KR102628586B1 -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586B1
KR102628586B1 KR1020230125493A KR20230125493A KR102628586B1 KR 102628586 B1 KR102628586 B1 KR 102628586B1 KR 1020230125493 A KR1020230125493 A KR 1020230125493A KR 20230125493 A KR20230125493 A KR 20230125493A KR 102628586 B1 KR102628586 B1 KR 10262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ps
user
hand
container
gau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희
정훈
Original Assignee
그리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리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2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의료소모품을 의료용기에 떨어뜨리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 환경에서 의료소모품을 의료용기에 떨어뜨리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과정을 통해 의료기술을 향상시켜 실제 상황에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Virtual reality simulation method for medical consumables drop training}
본 발명은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의료소모품을 의료용기에 떨어뜨리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뇨세트란 도 43과 같이 도뇨관 삽입시술에 필요한 도뇨관, 트레이, 곡반, 종지, 윤활제, 포셉, 거즈, 소독솜, 주사기, 증류수 등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는 의료도구로서, 이러한 도뇨세트는 소독된 멸균포로 감싸진 상태로 보관된다.
도뇨관 삽입시술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뇨세트를 감싸는 멸균포를 무균적으로 펼친 후에, 의료용기(트레이, 종지 등)에 의료소모품(거즈, 소독솜 등)을 배치하는 시술준비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술준비과정 또한 반드시 무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의료용기에 의료소모품을 옮길 때 소정의 높이범위에서 떨어뜨려서 옮기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서, 의료소모품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높이범위는 대략 10~15cm 정도이다.
즉, 의료용기로부터 수직상방으로 10~15cm 정도의 높이에서 떨어뜨려야만 의료소모품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10~15cm의 높이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오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의료소모품을 소정의 높이범위에서 의료용기로 떨어뜨리는 과정을 숙달이 될 때까지 반복적이고도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지만, 실제현실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훈련하기에는 시간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무리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가상현실 환경에서 의료소모품을 의료용기에 떨어뜨리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을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2045260호 (2019.11.11.)
본 발명은 가상현실 환경에서 의료소모품을 의료용기에 떨어뜨리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트레이(100)가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100) 외부에 의료소모품(10)이 보관된 용기(30)와 포셉(20)이 배치된 상태로 준비되는 준비단계(S100);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검출하는 입력동작검출단계(S200);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용기(30)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용기개방단계(S300);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포셉(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포셉이동단계(S400); 상기 용기개방단계(S300)에 의해 용기(30)가 개방되어 의료소모품(1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의 팁부(22)를 의료소모품(10)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의료소모품(10)을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그립단계(S500); 상기 그립단계(S500)에 의해 의료소모품(10)이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과 함께 이동되는 의료소모품(10)이 트레이(1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될 때 의료소모품(10)의 현재 높이(H)를 출력하는 높이출력단계(S600); 상기 높이출력단계(S600)에 의해 의료소모품(10)의 현재 높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의료소모품(10)을 포셉(20)의 팁부(22)로부터 놓아서 트레이(100)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낙하단계(S700); 상기 낙하단계(S700)에 의해 낙하되는 의료소모품(10)의 낙하높이를 분석하여 결과메시지를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S800);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출력단계(S800)는 ⅰ) 의료소모품(10)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 이내이면 성공메시지(SM)를 출력하고, ⅱ) 의료소모품(10)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면 실패메시지(FM)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 환경에서 의료소모품을 의료용기에 떨어뜨리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과정을 통해 의료기술을 향상시켜 실제 상황에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소모품의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의료소모품 중에서 거즈의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의료소모품 중에서 소독솜의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의료소모품 중에서 도뇨관의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윤활제의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용기개방단계(S300)의 구성도이다.
도 7은 거즈용기개방단계(S310)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소독솜용기개방단계(S320)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뇨관용기개방단계(S330)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포셉이동단계(S400)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그립단계(S500)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높이출력단계(S600)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낙하단계(S700)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결과출력단계(S800)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윤활제용기이동단계(S900)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1차이동단계(S910)의 구성도이다.
도 17은 2차이동단계(S920)의 구성도이다.
도 18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소모품의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시간 순서대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3은 일반적인 도뇨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실제현실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의료소모품을 의료용기에 떨어뜨리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단계(S100)와, 입력동작검출단계(S200)와, 용기개방단계(S300)와, 포셉이동단계(S400)와, 그립단계(S500)와, 높이출력단계(S600)와, 낙하단계(S700)와, 결과출력단계(S800)와, 윤활제용기이동단계(S900)와, 1차토출단계(S1000)와, 2차토출단계(S1100)와, 경고출력단계(S1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방법의 일 실시예는 실제현실 환경에서 의료소모품을 떨어뜨리는 과정과 유사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은 구체적으로 ⅰ) 거즈의 낙하 훈련, ⅱ) 소독솜의 낙하 훈련, ⅲ) 도뇨관의 낙하 훈련, ⅳ) 윤활제의 낙하 훈련의 순서대로 구현되도록 제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순서는 하나의 예시일뿐, 반드시 이러한 순서조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거즈의 낙하 훈련은 도 2의 순서도와 같이 제시되어 있고, 각 단계별 모습은 도 18 내지 도 30을 시간 순서대로 참조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독솜의 낙하 훈련은 도 3의 순서도와 같이 제시되어 있고, 각 단계별 모습은 도 31 내지 도 33을 시간 순서대로 참조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뇨관의 낙하 훈련은 도 4의 순서도와 같이 제시되어 있고, 각 단계별 모습은 도 34 내지 도 36을 시간 순서대로 참조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윤활제의 낙하 훈련은 도 5의 순서도와 같이 제시되어 있고, 각 단계별 모습은 도 37 내지 도 42를 시간 순서대로 참조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다음으로 각각의 의료소모품(거즈, 소독솜, 도뇨관) 및 윤활제의 낙하 훈련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준비단계(S100)에 대해 설명한다. 준비단계(S100)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트레이(100)가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100) 외부에 의료소모품(10)이 보관된 용기(30)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트레이(100) 외부에 포셉(20)이 배치된 상태로 준비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준비단계(S100)는 도 18과 같이 ⅰ) 상기 트레이(100) 내부에 종지(200)가 더 배치되고, ⅱ) 상기 의료소모품(10)은 거즈(11)와 소독솜(12)과 도뇨관(13)을 포함하며, ⅲ) 상기 의료소모품(10)이 보관된 용기(30)는 거즈용기(31)와 소독솜용기(32)와 도뇨관용기(33)를 포함하고, ⅳ) 상기 트레이(100) 외부에 윤활제(41)가 충진된 윤활제용기(40)가 배치되며, ⅴ) 또한 상기 트레이(100) 외부에 곡반(300)이 더 배치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입력동작검출단계(S200)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동작검출단계(S200)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HMD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공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카메라와 키넥트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카메라는 HMD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고, 키넥트센서는 전방의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검출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가상현실 환경만을 대상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나아가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확장현실(XR, eXpended Reality) 환경까지 그 대상을 확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개방단계(S300)에 대해 설명한다. 용기개방단계(S30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용기(30)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용기개방단계(S300)는 도 6과 같이 거즈용기개방단계(S310)와, 소독솜용기개방단계(S320)와, 도뇨관용기개방단계(S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즈용기개방단계(S310)는 거즈용기(31)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도 7과 같이 제1목표지점출력단계(S311)와, 뚜껑이동준비단계(S312)와, 뚜껑위치유지단계(S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목표지점출력단계(S311)는 거즈용기(31)의 뚜껑(31a)에 인접하게 사용자의 손(1)이 위치할 때 상기 뚜껑(31a)이 이동되어야 할 제1목표지점(S1)이 출력되는 단계이다(도 21 참조).
상기 뚜껑이동준비단계(S312)는 상기 제1목표지점출력단계(S311)에 의해 제1목표지점(S1)이 출력된 상태에서 거즈용기(31)의 뚜껑(31a)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상기 뚜껑(31a)을 제1목표지점(S1)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이다(도 21 참조).
상기 뚜껑위치유지단계(S313)는 상기 뚜껑이동준비단계(S312)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집힌 뚜껑(31a)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뚜껑(31a)의 내부면이 위로 노출된 상태로 제1목표지점(S1)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목표지점(S1)에 뚜껑(31a)에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단계이다(도 22,23 참조).
도 22는 상기 뚜껑(31a)이 목표지점(S1)에 도달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23은 상기 뚜껑(31a)이 목표지점(S1)에 도달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소독솜용기개방단계(S320)는 소독솜용기(32)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도 8과 같이 제2목표지점출력단계(S321)와, 뚜껑이동준비단계(S322)와, 뚜껑위치유지단계(S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목표지점출력단계(S321)는 소독솜용기(32)의 뚜껑(32a)에 인접하게 사용자의 손(1)이 위치하면 상기 뚜껑(32a)이 이동되어야 할 제2목표지점(S2)이 출력되는 단계이다(도 31 참조).
상기 뚜껑이동준비단계(S322)는 상기 제2목표지점출력단계(S321)에 의해 제2목표지점(S2)이 출력된 상태에서 거즈용기(32)의 뚜껑(32a)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상기 뚜껑(32a)을 제2목표지점(S2)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이다(도 31 참조).
상기 뚜껑위치유지단계(S323)는 상기 뚜껑이동준비단계(S322)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뚜껑(32a)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뚜껑(32a)의 내부면이 위로 노출된 상태로 목표지점(S2)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제2목표지점(S2)에 뚜껑(32a)에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단계이다(도 32 참조).
상기 도뇨관용기개방단계(S330)는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도뇨관용기(33)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도 9와 같이 용기개방준비단계(S331)와, 용기개방유지단계(S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개방준비단계(S331)는 도뇨관용기(33)의 일단에 형성된 개방수단(33a)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개방수단(33a)을 이동시켜 도뇨관용기(33)를 일단에서부터 개방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이다(도 34 참조).
상기 용기개방유지단계(S332)는 상기 용기개방준비단계(S331)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개방수단(33a)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제3목표지점(S3)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제3목표지점(S3)에 개방수단(33a)에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단계이다(도 35,36 참조).
포셉이동단계(S400)에 대해 설명한다. 포셉이동단계(S40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포셉(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도 10과 같이 포셉이동준비단계(S410)와, 포셉위치유지단계(S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셉이동준비단계(S410)는 포셉(20)의 손잡이부(21)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집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포셉(20)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이다(도 19 참조).
상기 포셉위치유지단계(S420)는 상기 포셉이동준비단계(S410)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포셉(20)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되,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포셉(20)의 이동된 현위치가 유지되는 단계이다(도 20 참조).
그립단계(S500)에 대해 설명한다. 그립단계(S500)는 상기 용기개방단계(S300)에 의해 용기(30)가 개방되어 의료소모품(1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의 팁부(22)를 의료소모품(10)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의료소모품(10)을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그립단계(S500)는 도 11과 같이 거즈그립단계(S510)와, 소독솜그립단계(S520)와, 도뇨관그립단계(S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즈그립단계(S510)는 거즈용기개방단계(S310)에 의해 거즈용기(31)가 개방되어 거즈(1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의 팁부(22)를 거즈(11)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 사용자 손(1)이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잡고 오므리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가까워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가까워지면서 거즈(11)를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도 24,25 참조).
상기 거즈그립단계(S510)는 거즈(11)가 포셉(20)의 팁부(22)에 잡힌 상태에서 포셉(20)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솜그립단계(S520)는 소독솜용기개방단계(S320)에 의해 소독솜용기(32)가 개방되어 소독솜(1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의 팁부(22)를 소독솜(12)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 사용자 손(1)이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잡고 오므리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가까워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가까워지면서 소독솜(12)을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도 33 참조).
상기 소독솜그립단계(S520)는 소독솜(12)이 포셉(20)의 팁부(22)에 잡힌 상태에서 포셉(20)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뇨관그립단계(S530)는 도뇨관용기개방단계(S330)에 의해 도뇨관용기(33)의 일단이 개방되어 도뇨관(13)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의 팁부(22)를 도뇨관(13)의 노출된 일측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 사용자 손(1)이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잡고 오므리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가까워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가까워지면서 도뇨관(13)을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도 36 참조).
상기 도뇨관그립단계(S530)는 도뇨관(13)이 포셉(20)의 팁부(22)에 잡힌 상태에서 포셉(20)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출력단계(S600)에 대해 설명한다. 높이출력단계(S600)는 상기 소모품그립단계(S500)에 의해 의료소모품(10)이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과 함께 이동되는 의료소모품(10)이 트레이(1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될 때 의료소모품(10)의 현재 높이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높이출력단계(S600)는 도 12와 같이 거즈높이출력단계(S610)와, 소독솜높이출력단계(S620)와, 도뇨관높이출력단계(S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즈높이출력단계(S610)는 거즈그립단계(S510)에 의해 거즈(11)가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과 함께 이동되는 거즈(11)가 트레이(1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될 때 거즈(11)의 현재 높이(H)를 출력하는 단계이다(도 28 참조).
도 28을 참조하면, 거즈(11)의 현재 높이(H)가 8cm 로 출력되는데, 이 때 포셉(20)과 함께 거즈(11)의 위치를 위아래로 이동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H)가 변경되고, 거즈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켜 트레이(100)의 수직상부에서 벗어나면 상기 높이(H)가 출력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거즈높이출력단계(S610)에서 출력되는 거즈(11)의 현재 높이(H)를 눈으로 보면서 포셉(20)과 합께 거즈(1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적정 높이가 어느 정도인지 체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소독솜높이출력단계(S620)는 소독솜그립단계(S520)에 의해 소독솜(12)이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과 함께 이동되는 소독솜(12)이 종지(2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될 때 소독솜(12)의 현재 높이(H)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도 28과 유사하므로, 도 28을 참조한다.
상기 도뇨관높이출력단계(S630)는 도뇨관그립단계(S530)에 의해 도뇨관(13)이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과 함께 이동되는 도뇨관(13)이 트레이(1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될 때 도뇨관(13)의 현재 높이(H)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도 28과 유사하므로, 도 28을 참조한다.
낙하단계(S700)에 대해 설명한다. 낙하단계(S700)는 상기 높이출력단계(S600)에 의해 의료소모품(10)의 현재 높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의료소모품(10)을 포셉(20)의 팁부(22)로부터 놓아서 트레이(100)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낙하단계(S700)는 도 13과 같이 거즈낙하단계(S710)와, 소독솜낙하단계(S720)와, 도뇨관낙하단계(S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즈낙하단계(S710)는 거즈높이출력단계(S610)에 의해 거즈(11)의 현재 높이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손(1)을 펼쳐서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놓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멀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멀어지면서 거즈(11)를 놓아서 트레이(100)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도 29,30 참조).
참고로, 도 29는 거즈(11)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서 실패메시지(FM)가 출력된 모습도 추가로 나타나 있고, 도 30은 거즈(11)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여서 성공메시지(SM)가 출력된 모습도 추가로 나타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결과출력단계(S800)에서 후술한다.
상기 소독솜낙하단계(S720)는 소독솜높이출력단계(S620)에 의해 소독솜(12)의 현재 높이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손(1)을 펼쳐서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놓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멀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멀어지면서 소독솜(12)을 놓아서 종지(200)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도 29,30과 유사하므로, 도 29,30을 참조한다.
상기 도뇨관낙하단계(S730)는 도뇨관높이출력단계(S630)에 의해 도뇨관(13)의 현재 높이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손(1)을 펼쳐서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놓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멀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멀어지면서 도뇨관(13)을 놓아서 트레이(100)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도 29,30과 유사하므로, 도 29,30을 참조한다.
결과출력단계(S800)에 대해 설명한다. 결과출력단계(S800)는 상기 낙하단계(S700)에 의해 낙하되는 의료소모품(10)의 낙하높이를 분석하여 결과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과출력단계(S800)는 ⅰ) 의료소모품(10)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 이내이면 성공메시지(SM)를 출력하고, ⅱ) 의료소모품(10)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면 실패메시지(FM)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과출력단계(S800)는 도 14와 같이 거즈낙하결과출력단계(S810)와, 소독솜낙하결과출력단계(S820)와, 도뇨관낙하결과출력단계(S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즈낙하결과출력단계(S810)는 거즈낙하단계(S710)에 의해 낙하되는 거즈(11)의 낙하높이를 분석하여 결과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즈낙하결과출력단계(S810)는 ⅰ) 거즈(11)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 이내이면 성공메시지(SM)를 출력하고, ⅱ) 거즈(11)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면 실패메시지(FM)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29,30 참조).
여기서, 기 설정된 높이범위는 10~15cm 가 바람직하다. 즉, 의료용기로부터 수직상방으로 10~15cm 정도의 높이에서 떨어뜨려야만 의료소모품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10~15cm의 높이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오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도 29는 거즈(11)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인 10~15cm 에서 벗어나서 "X"의 실패메시지(FM)가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30은 거즈(11)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인 10~15cm 이내여서 "O"의 성공메시지(SM)가 출력된 모습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거즈낙하결과출력단계(S810) 후에 소독솜의 낙하 훈련으로 넘어가기 전에 거즈용기개방단계(S310)에 의해 개방되어진 거즈용기(31)의 뚜껑(31a)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목표지점출력단계(S311)와, 뚜껑이동준비단계(S312)와, 뚜껑위치유지단계(S313)를 유추하여 자명하게 파악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소독솜낙하결과출력단계(S820)는 소독솜낙하단계(S720)에 의해 낙하되는 소독솜(12)의 낙하높이를 분석하여 결과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독솜낙하결과출력단계(S820)는 ⅰ) 소독솜(12)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 이내이면 성공메시지(SM)를 출력하고, ⅱ) 소독솜(12)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면 실패메시지(FM)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도 29,30과 유사하므로, 도 29,30을 참조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소독솜낙하결과출력단계(S820) 후에 도뇨관의 낙하 훈련으로 넘어가기 전에 소독솜용기개방단계(S320)에 의해 개방되어진 소독솜용기(32)의 뚜껑(32a)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목표지점출력단계(S321)와, 뚜껑이동준비단계(S322)와, 뚜껑위치유지단계(S323)를 유추하여 자명하게 파악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뇨관낙하결과출력단계(S830)는 도뇨관낙하단계(S730)에 의해 낙하되는 도뇨관(13)의 낙하높이를 분석하여 결과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뇨관낙하결과출력단계(S830)는 ⅰ) 도뇨관(13)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 이내이면 성공메시지(SM)를 출력하고, ⅱ) 도뇨관(13)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면 실패메시지(FM)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도 29,30과 유사하므로, 도 29,30을 참조한다.
윤활제용기이동단계(S900)에 대해 설명한다. 윤활제용기이동단계(S90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윤활제용기(4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도 15와 같이 1차이동단계(S910)와, 2차이동단계(S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1차이동단계(S910)는 윤활제용기(40)의 위치를 곡반(300)의 수직상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도 16과 같이 제4목표지점출력단계(S911)와, 1차이동준비단계(S912)와, 1차위치유지단계(S9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목표지점출력단계(S911)는 윤활제용기(40)가 이동되어야 할 제4목표지점(S4)이 출력되는 단계로서, 상기 제4목표지점(S4)은 곡반(30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37 참조).
상기 1차이동준비단계(S912)는 상기 제4목표지점출력단계(S911)에 의해 제4목표지점(S4)이 출력된 상태에서 윤활제용기(40)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상기 윤활제용기(40)를 제4목표지점(S4)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이다(도 37 참조).
상기 1차위치유지단계(S913)는 상기 1차이동준비단계(S912)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윤활제용기(40)가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윤활제용기(40)의 토출구가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제4목표지점(S4)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제4목표지점(S4)에 윤활제용기(40)가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단계이다(도 38 참조).
상기 2차이동단계(S920)는 1차토출단계(S1000) 이후에 윤활제용기(40)의 위치를 트레이(100)의 수직상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트레이(100) 안에 있는 거즈(11)의 수직상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이동단계(S920)는 도 17과 같이 제5목표지점출력단계(S921)와, 2차이동준비단계(S922)와, 2차위치유지단계(S9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5목표지점출력단계(S921)는 윤활제용기(40)가 이동되어야 할 제5목표지점(S5)이 출력되는 단계로서, 상기 제5목표지점(S5)은 트레이(10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40 참조). 바람직하게는, 트레이(100) 안에 거즈(11)가 배치된 모습으로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거즈(11)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이동준비단계(S922)는 상기 제5목표지점출력단계(S921)에 의해 제5목표지점(S5)이 출력된 상태에서 윤활제용기(40)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상기 윤활제용기(40)를 제5목표지점(S5)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이다(도 40 참조).
상기 2차위치유지단계(S923)는 상기 2차이동준비단계(S922)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윤활제용기(40)가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윤활제용기(40)의 토출구가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제5목표지점(S5)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제5목표지점(S5)에 윤활제용기(40)가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단계이다(도 41 참조).
1차토출단계(S1000)에 대해 설명한다. 1차토출단계(S1000)는 1차이동단계(S910)에 의해 윤활제용기(40)가 제4목표지점(S4)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윤활제용기(40)로부터 윤활제(41)를 곡반(300)으로 토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토출단계(S1000)는 윤활제용기(40)가 제4목표지점(S4)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1)이 윤활제용기(40)를 가압하는 형태로 바뀌면, 윤활제용기(40)로부터 윤활제(41)가 곡반(300)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39 참조).
2차토출단계(S1100)에 대해 설명한다. 2차토출단계(S1100)는 2차이동단계(S920)에 의해 윤활제용기(40)가 제5목표지점(S5)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윤활제용기(40)로부터 윤활제(41)를 트레이(100)로 토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이(100) 안에 있는 거즈(11)로 토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토출단계(S1100)는 윤활제용기(40)가 제5목표지점(S5)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1)이 윤활제용기(40)를 가압하는 형태로 바뀌면, 윤활제용기(40)로부터 윤활제(41)가 트레이(100)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42 참조). 바람직하게는, 트레이(100) 안에 거즈(11)가 배치된 모습으로 출력된 상태에서, 윤활제(41)를 트레이(100) 안에 있는 거즈(11)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고출력단계(S1200)에 대해 설명한다. 경고출력단계(S120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오염경고메시지(CM)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오염경고메시지(CM)는 ⅰ) 뚜껑위치유지단계(S313)에서 뚜껑(31a)의 내부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제1목표지점(S1)에 도달하거나, ⅱ) 뚜껑위치유지단계(S323)에서 뚜껑(32a)의 내부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제2목표지점(S2)에 도달하거나, ⅲ) 거즈그립단계(S510)에 의해 거즈(11)가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을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이거나, ⅳ) 소독솜그립단계(S520)에 의해 소독솜(12)이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을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이거나, ⅴ) 거즈낙하단계(S710)에 의해 낙하되는 거즈(11)가 트레이(100) 외부에 떨어지거나, ⅵ) 소독솜낙하단계(S720)에 의해 낙하되는 소독솜(12)이 종지(200) 외부에 떨어지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은 거즈낙하단계(S710)에 의해 낙하되는 거즈(11)가 트레이(100) 외부에 떨어져서 오염경고메시지(CM)가 출력된 모습이고, 도 27은 거즈그립단계(S510)에 의해 거즈(11)가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을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여서 오염경고메시지(CM)가 출력된 모습이다.
이러한 오염경고메시지(CM)를 통하여 사용자는 본인의 잘못된 동작을 피드백받아 이를 교정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 환경에서 의료소모품을 의료용기에 떨어뜨리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과정을 통해 의료기술을 향상시켜 실제 상황에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의료소모품
11 : 거즈
12 : 소독솜
13 : 도뇨관
20 : 포셉
21 : 손잡이부
22 : 팁부
30 : 의료소모품이 보관된 용기
31 : 거즈용기
31a : 뚜껑
32 : 소독솜용기
32a : 뚜껑
33 : 도뇨관용기
33a : 개방수단
40 : 윤활제용기
41 : 윤활제
100 : 트레이
200 : 종지
300 : 곡반
1 : 사용자의 손
CM : 오염경고메시지
SM : 성공메시지
FM : 실패메시지
S1 : 제1목표지점
S2 : 제2목표지점
S3 : 제3목표지점
S4 : 제4목표지점
S5 : 제5목표지점
H : 의료소모품의 높이

Claims (5)

  1. 가상현실 환경에서 트레이(100)가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100) 외부에 의료소모품(10)이 보관된 용기(30)와 포셉(20)이 배치된 상태로 준비되는 준비단계(S100);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검출하는 입력동작검출단계(S200);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용기(30)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용기개방단계(S300);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포셉(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포셉이동단계(S400);
    상기 용기개방단계(S300)에 의해 용기(30)가 개방되어 의료소모품(1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의 팁부(22)를 의료소모품(10)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의료소모품(10)을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그립단계(S500);
    상기 그립단계(S500)에 의해 의료소모품(10)이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과 함께 이동되는 의료소모품(10)이 트레이(1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될 때 의료소모품(10)의 현재 높이(H)를 출력하는 높이출력단계(S600);
    상기 높이출력단계(S600)에 의해 의료소모품(10)의 현재 높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의료소모품(10)을 포셉(20)의 팁부(22)로부터 놓아서 트레이(100)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낙하단계(S700);
    상기 낙하단계(S700)에 의해 낙하되는 의료소모품(10)의 낙하높이를 분석하여 결과메시지를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S800);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단계(S100)는
    트레이(100) 내부에 종지(200)가 더 배치되고, 의료소모품(10)은 거즈(11)와 소독솜(12)을 포함하며, 의료소모품(10)이 보관된 용기(30)는 거즈용기(31)와 소독솜용기(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용기개방단계(S300)는
    거즈용기(31)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거즈용기개방단계(S310)와,
    소독솜용기(32)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소독솜용기개방단계(S320)를 포함하고,

    상기 거즈용기개방단계(S310)는
    거즈용기(31)의 뚜껑(31a)에 인접하게 사용자의 손(1)이 위치할 때 상기 뚜껑(31a)이 이동되어야 할 제1목표지점(S1)이 출력되는 제1목표지점출력단계(S311)와,
    상기 제1목표지점출력단계(S311)에 의해 제1목표지점(S1)이 출력된 상태에서 거즈용기(31)의 뚜껑(31a)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상기 뚜껑(31a)을 제1목표지점(S1)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뚜껑이동준비단계(S312)와,
    상기 뚜껑이동준비단계(S312)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집힌 뚜껑(31a)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뚜껑(31a)의 내부면이 위로 노출된 상태로 제1목표지점(S1)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목표지점(S1)에 뚜껑(31a)에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뚜껑위치유지단계(S313)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솜용기개방단계(S320)는
    소독솜용기(32)의 뚜껑(32a)에 인접하게 사용자의 손(1)이 위치할 때 상기 뚜껑(32a)이 이동되어야 할 제2목표지점(S2)이 출력되는 제2목표지점출력단계(S321)와,
    상기 제2목표지점출력단계(S321)에 의해 제2목표지점(S2)이 출력된 상태에서 거즈용기(32)의 뚜껑(32a)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상기 뚜껑(32a)을 제2목표지점(S2)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뚜껑이동준비단계(S322)와,
    상기 뚜껑이동준비단계(S322)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뚜껑(32a)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뚜껑(32a)의 내부면이 위로 노출된 상태로 목표지점(S2)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제2목표지점(S2)에 뚜껑(32a)에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뚜껑위치유지단계(S323)를 포함하고,

    상기 포셉이동단계(S400)는
    포셉(20)의 손잡이부(21)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집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포셉(20)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포셉이동준비단계(S410)와,
    상기 포셉이동준비단계(S410)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포셉(20)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되,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포셉(20)의 이동된 현위치가 유지되는 포셉위치유지단계(S42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단계(S500)는
    거즈용기개방단계(S310)에 의해 거즈용기(31)가 개방되어 거즈(1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의 팁부(22)를 거즈(11)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 사용자 손(1)이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잡고 오므리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가까워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가까워지면서 거즈(11)를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거즈그립단계(S510)와,
    소독솜용기개방단계(S320)에 의해 소독솜용기(32)가 개방되어 소독솜(1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의 팁부(22)를 소독솜(12)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 사용자 손(1)이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잡고 오므리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가까워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가까워지면서 소독솜(12)을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소독솜그립단계(S520)를 포함하고,

    상기 거즈그립단계(S510)는
    거즈(11)가 포셉(20)의 팁부(22)에 잡힌 상태에서 포셉(20)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독솜그립단계(S520)는
    소독솜(12)이 포셉(20)의 팁부(22)에 잡힌 상태에서 포셉(20)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높이출력단계(S600)는
    거즈그립단계(S510)에 의해 거즈(11)가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과 함께 이동되는 거즈(11)가 트레이(1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될 때 거즈(11)의 현재 높이(H)를 출력하는 거즈높이출력단계(S610)와,
    소독솜그립단계(S520)에 의해 소독솜(12)이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과 함께 이동되는 소독솜(12)이 종지(2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될 때 소독솜(12)의 현재 높이(H)를 출력하는 소독솜높이출력단계(S620)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단계(S700)는
    거즈높이출력단계(S610)에 의해 거즈(11)의 현재 높이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손(1)을 펼쳐서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놓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멀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멀어지면서 거즈(11)를 놓아서 트레이(100)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거즈낙하단계(S710)와,
    소독솜높이출력단계(S620)에 의해 소독솜(12)의 현재 높이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손(1)을 펼쳐서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놓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멀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멀어지면서 소독솜(12)을 놓아서 종지(200)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소독솜낙하단계(S720)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출력단계(S800)는
    거즈낙하단계(S710)에 의해 낙하되는 거즈(11)의 낙하높이를 분석하여 결과메시지를 출력하는 거즈낙하결과출력단계(S810)와,
    소독솜낙하단계(S720)에 의해 낙하되는 소독솜(12)의 낙하높이를 분석하여 결과메시지를 출력하는 소독솜낙하결과출력단계(S820)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출력단계(S800)는
    ⅰ) 의료소모품(10)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 이내이면 성공메시지(SM)를 출력하고, ⅱ) 의료소모품(10)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면 실패메시지(FM)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즈낙하결과출력단계(S810)는
    ⅰ) 거즈(11)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 이내이면 성공메시지(SM)를 출력하고, ⅱ) 거즈(11)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면 실패메시지(FM)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독솜낙하결과출력단계(S820)는
    ⅰ) 소독솜(12)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 이내이면 성공메시지(SM)를 출력하고, ⅱ) 소독솜(12)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면 실패메시지(FM)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되는 의료소모품(10)은 도뇨관(13)을 더 포함하고, 의료소모품(10)이 보관된 용기(30)는 도뇨관용기(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용기개방단계(S300)는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도뇨관용기(33)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도뇨관용기개방단계(S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뇨관용기개방단계(S330)는
    도뇨관용기(33)의 일단에 형성된 개방수단(33a)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개방수단(33a)을 이동시켜 도뇨관용기(33)를 일단에서부터 개방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용기개방준비단계(S331)와,
    상기 용기개방준비단계(S331)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개방수단(33a)이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제3목표지점(S3)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제3목표지점(S3)에 개방수단(33a)에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용기개방유지단계(S332)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단계(S500)는
    도뇨관용기개방단계(S330)에 의해 도뇨관용기(33)의 일단이 개방되어 도뇨관(13)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의 팁부(22)를 도뇨관(13)의 노출된 일측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 사용자 손(1)이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잡고 오므리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가까워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가까워지면서 도뇨관(13)을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도뇨관그립단계(S5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뇨관그립단계(S530)는
    도뇨관(13)이 포셉(20)의 팁부(22)에 잡힌 상태에서 포셉(20)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높이출력단계(S600)는
    도뇨관그립단계(S530)에 의해 도뇨관(13)이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과 함께 이동되는 도뇨관(13)이 트레이(1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될 때 도뇨관(13)의 현재 높이(H)를 출력하는 도뇨관높이출력단계(S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낙하단계(S700)는
    도뇨관높이출력단계(S630)에 의해 도뇨관(13)의 현재 높이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손(1)을 펼쳐서 포셉(20)의 손잡이부(21)를 놓는 형태로 바뀌면, 상기 손잡이부(21)가 서로 멀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포셉(20)의 팁부(22)도 서로 멀어지면서 도뇨관(13)을 놓아서 트레이(100)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도뇨관낙하단계(S7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출력단계(S800)는
    도뇨관낙하단계(S730)에 의해 낙하되는 도뇨관(13)의 낙하높이를 분석하여 결과메시지를 출력하는 도뇨관낙하결과출력단계(S8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뇨관낙하결과출력단계(S830)는
    ⅰ) 도뇨관(13)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 이내이면 성공메시지(SM)를 출력하고, ⅱ) 도뇨관(13)의 낙하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범위에서 벗어나면 실패메시지(FM)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윤활제용기(4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윤활제용기이동단계(S900);
    1차이동단계(S910)에 의해 윤활제용기(40)가 제4목표지점(S4)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윤활제용기(40)로부터 윤활제(41)를 곡반(300)으로 토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1차토출단계(S1000);
    2차이동단계(S920)에 의해 윤활제용기(40)가 제5목표지점(S5)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윤활제용기(40)로부터 윤활제(41)를 트레이(100) 안에 있는 거즈(11)로 토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2차토출단계(S1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준비단계(S100)는
    트레이(100) 외부에 윤활제(41)가 충진된 윤활제용기(40)와 곡반(300)이 더 배치된 상태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윤활제용기이동단계(S900)는
    윤활제용기(40)의 위치를 곡반(300)의 수직상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1차이동단계(S910)와,
    1차토출단계(S1000) 이후에 윤활제용기(40)의 위치를 트레이(100) 안에 있는 거즈(11)의 수직상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2차이동단계(S920)를 포함하고,

    상기 1차이동단계(S910)는
    윤활제용기(40)가 이동되어야 할 제4목표지점(S4)이 출력되는 제4목표지점출력단계(S911)와,
    상기 제4목표지점출력단계(S911)에 의해 제4목표지점(S4)이 출력된 상태에서 윤활제용기(40)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상기 윤활제용기(40)를 제4목표지점(S4)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1차이동준비단계(S912)와,
    상기 1차이동준비단계(S912)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윤활제용기(40)가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윤활제용기(40)의 토출구가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제4목표지점(S4)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제4목표지점(S4)에 윤활제용기(40)가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1차위치유지단계(S913)를 포함하고,

    상기 제4목표지점(S4)은
    곡반(30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차이동단계(S920)는
    윤활제용기(40)가 이동되어야 할 제5목표지점(S5)이 출력되는 제5목표지점출력단계(S921)와,
    상기 제5목표지점출력단계(S921)에 의해 제5목표지점(S5)이 출력된 상태에서 윤활제용기(40)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1)이 잡는 형태로 바뀌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펴는 형태로 바뀌기 전까지 상기 윤활제용기(40)를 제5목표지점(S5)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2차이동준비단계(S922)와,
    상기 2차이동준비단계(S922)에서 사용자의 손(1)으로 잡힌 윤활제용기(40)가 사용자의 손(1)을 따라 이동되다가 윤활제용기(40)의 토출구가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제5목표지점(S5)에 도달하면, 사용자의 손(1)이 다시 형태로 바뀌더라도 상기 제5목표지점(S5)에 윤활제용기(40)가 위치한 모습이 유지되는 2차위치유지단계(S923)를 포함하고,

    상기 제5목표지점(S5)은
    트레이(100) 안에 거즈(11)가 배치된 모습으로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거즈(1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1차토출단계(S1000)는
    윤활제용기(40)가 제4목표지점(S4)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1)이 윤활제용기(40)를 가압하는 형태로 바뀌면, 윤활제용기(40)로부터 윤활제(41)가 곡반(300)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차토출단계(S1100)는
    윤활제용기(40)가 제5목표지점(S5)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1)이 윤활제용기(40)를 가압하는 형태로 바뀌면, 윤활제용기(40)로부터 윤활제(41)가 트레이(10) 안에 있는 거즈(11)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 손(1)의 입력동작을 분석하여, ⅰ) 뚜껑위치유지단계(S313)에서 뚜껑(31a)의 내부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제1목표지점(S1)에 도달하거나, ⅱ) 뚜껑위치유지단계(S323)에서 뚜껑(32a)의 내부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제2목표지점(S2)에 도달하거나, ⅲ) 거즈그립단계(S510)에 의해 거즈(11)가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을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이거나, ⅳ) 소독솜그립단계(S520)에 의해 소독솜(12)이 포셉(20)으로 잡혀진 상태에서 포셉이동단계(S400)에 의해 포셉(20)을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이거나, ⅴ) 거즈낙하단계(S710)에 의해 낙하되는 거즈(11)가 트레이(100) 외부에 떨어지거나, ⅵ) 소독솜낙하단계(S720)에 의해 낙하되는 소독솜(12)이 종지(200) 외부에 떨어지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오염경고메시지(CM)를 출력하는 경고출력단계(S1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5. 삭제
KR1020230125493A 2023-09-20 2023-09-20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KR10262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493A KR102628586B1 (ko) 2023-09-20 2023-09-20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493A KR102628586B1 (ko) 2023-09-20 2023-09-20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586B1 true KR102628586B1 (ko) 2024-01-25

Family

ID=8972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493A KR102628586B1 (ko) 2023-09-20 2023-09-20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5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260B1 (ko) 2018-01-17 2019-12-0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JP2020106844A (ja) * 2013-12-20 2020-07-09 インテュイティブ サージカル オペレ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処置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シミュレータシステム
JP2023039946A (ja) * 2021-09-09 2023-03-22 学校法人北里研究所 食事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食事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6844A (ja) * 2013-12-20 2020-07-09 インテュイティブ サージカル オペレ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処置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シミュレータシステム
KR102045260B1 (ko) 2018-01-17 2019-12-0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JP2023039946A (ja) * 2021-09-09 2023-03-22 学校法人北里研究所 食事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食事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04637A1 (en) Virtual reality training, simulation, and collaboration in a robotic surgical system
US10610303B2 (en) Virtual reality laparoscopic tools
CN110321786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人体坐姿实时监视方法和系统
CN110390851A (zh) 增强现实训练系统
CN106030683A (zh) 用于医疗程序培训的模拟器系统
Anita McCutcheon et al. Clinical procedures for safer patient care
Yu et al. Evaluation of microsurgical tasks with OCT-guided and/or robot-assisted ophthalmic forceps
US7291016B2 (en) Ophthalmic surgery simulation device
CN110475523A (zh) 用于操纵器的关联过程和相关系统
CN104768447B (zh) 用于对眼睛成像的设备
US20080070752A1 (en) Fine Motor Control Rehabilitation
US20150004581A1 (en) Interactive physical therapy
CN107850939A (zh) 用于通过眼睛反馈实现通信的系统和方法
KR102628586B1 (ko)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CN102448680A (zh) 外科手术机器人的合成表征
CN108154778A (zh) 基于运动捕捉和混合现实的眼科手术培训系统及方法
CN110838251A (zh) 静脉输液智能训练方法及系统
Lin et al. Portability and applicability of virtual fixtures across medical and manufacturing tasks
Shin et al. Lamellar keratoplasty using position-guided surgical needle and M-mod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US20180011722A1 (en) User assistance system of a reprocessing apparatus
Ikuta et al. Micro active forceps with optical fiber scope for intra-ocular microsurgery
Droutsas et al. A simple ex vivo model for teaching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KR102640592B1 (ko) 도뇨세트를 감싸는 멸균포의 개폐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US11657730B2 (en) Simulator for manual tasks
Zhenzhu et al. Feasibility study of the low-cost motion tracking system for assessing endoscope holding sk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