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176A - Non- 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 - Google Patents

Non- 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176A
KR20190087176A KR1020180005633A KR20180005633A KR20190087176A KR 20190087176 A KR20190087176 A KR 20190087176A KR 1020180005633 A KR1020180005633 A KR 1020180005633A KR 20180005633 A KR20180005633 A KR 20180005633A KR 20190087176 A KR20190087176 A KR 20190087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slip
cover portion
cover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은철
Original Assignee
최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철 filed Critical 최은철
Priority to KR102018000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7176A/en
Publication of KR20190087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dge anti-slip expansion joint apparatus includes: an expansion joint unit having a pair of main bodies provided 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a bridge upper plate to face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individually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face each other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cover unit adhering to an upper portion surface of the expansion joint unit, wherein the cover uni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with a shape of the expansion joint unit and is provided with layers laminated with colors different from each other.

Description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NON- 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NON-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

본 발명은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측 이음 장치의 마모와 차량의 주행 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brasion of a new side coupling device and sliding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은 신축 이음 장치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In general, the top plate of the bridge can be connected via expansion joints.

신축 이음 장치는 교량 상판의 불연속부에 설치되어 온도 변화 시 교량 상판의 수축과 팽창, 차량 통행 시 활하중에 의한 회전과 이동, 상부구조 형식에 따른 크리프 및 건조 수축 등으로 인한 교량 상판의 유동을 수용하게 되며, 이러한 유격공간을 보상하여 차량의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expansion joint is installed in the discontinuity part of the bridge top plate to accommodate the flow of the bridge top plate due to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bridge top plate during the temperature change, rotation and movement due to live load during vehicle passing, And the running space of the vehicle can be ensured by compensating for the clearance space.

구체적으로 신축 이음장치는 교량의 상판의 일단과 타단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본체로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expansion joint device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so as to face each other.

그리고 복수 개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각각의 본체에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로 구비된다.And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신축 이음 장치는 신축력 발생 시 지지 플레이트의 상호 결합되는 형상을 취하며 신축력에 대응하게 된다. The expansion joint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shape in which the support plates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force is generated, and corresponds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force.

그러나 본체와 지지 플레이트는 철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고 표면 처리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우천 및 설천 시 차량이 본체와 지지 플레이트 상에서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plate are formed of iron or an alloy containing them, and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is omit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slips on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plate during rain and snow.

상기와 같은 차량의 미끄러짐은 차량 사고를 유발하는 주요 인자로 적용될 수 있다. Such a slip of the vehicle can be applied as a main factor causing a vehicle accident.

또한, 본체와 지지 플레이트는 차량의 주행 시 차량에 타이어와 접촉하여,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본체와 지지 플레이트의 마모도에 따라 차량의 주행 시 차량의 주행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ody and the support plate are in contact with the tir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causing abrasion, and the running feeling of the vehicle is lowere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depending on the wear of the body and the support plate.

또한, 본체와 지지 플레이트는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마모가 발생 시 차량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신축 이음 장치를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plate have to be replaced entirely in ord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the vehicle when abrasion due to running of the vehicle occurs.

이에 따라, 신축 이음 장치의 교체에 따른 교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lacement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expansion joint.

등록 특허 10-136543610-136543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이 주행 중 미끄럼을 방지하고,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마모 발생을 최소화 하며, 마모 발생 시 신축 이음 장치의 보수가 용이한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slippage during running of a vehicle, minimizing occurrence of wear caused by running of the vehicle,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upon occurrence of wear The purpo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는 교량 상판의 일단과 타단에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와, 복수 개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각각의 상기 본체에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신축 이음부; 및 상기 신축 이음부의 상부면에 접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신축 이음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적층된 레이어가 구비된다.A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main bodi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a bridge top plate, and a plurality of main bodies An expansion joint comprising a support plate; And a cover portion bond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joint portion. The cover portion has the same shape as the expansion joint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layers laminated in different colors.

또한, 상기 커버부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신축 이음부에 접착되는 시트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of a sheet to be adhered to the expansion joint by an adhesive,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recesse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또한, 상기 레이어는 상기 커버부에 일정 간격으로 구획되어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aye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over.

또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신축 이음부의 사이에는 메쉬 구조의 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A support portion of the mesh structur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expansion joint portion.

또한, 상기 본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미끄럼 방지홈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미끄럼 방지홈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lip preven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제1 미끄럼 방지홈 및 상기 제2 미끄럼 방지홈은 차량의 주행 방향에 위치한 입구가 라운드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lip prevention groove and the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 may be rounded at an entrance located in a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제1 미끄럼 방지홈에는 강화 계열의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lip prevention groove may be filled with reinforcing filler.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는 본체와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접착되는 커버부에 의해서 우천 및 설천 시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bridge type non-slip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lipping of the vehicle during rainy and windy weather by the cover portion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plate.

또한, 커버부에는 복수 개의 수용홈이 구비되어 접착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커버부와 신축 이음부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Further,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so that the amount of the adhesive can be adjusted,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stretch joint portion.

또한, 커버부와 신축 이음부 사이에는 지지부가 배치되어 커버부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 시켜, 커버부와 신축 이음부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Further, a support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expansion joint portion,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applied to the cover portion is kept constant, thereby enhanc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expansion joint portion.

또한, 커버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 개의 레이어가 구비되어 이루어져, 차량의 주행 중 커버부의 마모도를 확인할 수 있어, 적절한 교체 시기에 맞춰 커버부를 교체하여, 신축 이음부의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different color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egree of wear of the cover portion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and the cover portion can be replaced in accordance with an appropriate replacement time period to prevent wear and corrosion of the expansion joint portion .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 및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 선 및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ridg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type non-slip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line BB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type non-slip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C line and the DD line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may onl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another element, the upper or lower (lower) (on or under) all include that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at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indirectly form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Also,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not interpreted in formal sen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 및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C-C 선 및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n upper plate of a bridg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CC line and DD line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신축 이음 장치(1)는 교량의 상판(1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ridge type sliding expansion join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erconnect the top plates 10 of bridges.

그리고 교량 상판(10)에는 차선(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30)은 차선(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bridge top plate 10 may be provided with a lane 20. Thus, the vehicle 30 can move along the lane 20.

본 발명에 있어서, 교량 상판(10)에는 차선(20)이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량 상판(10)의 위에 아스팔트와 같은 도로 포장재가 설치되고 도로 포장재의 상부에 차선(2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e 20 is formed on the bridge top plate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road surface material such as asphalt is installed on the bridge top plate 10, (20) may be formed.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1)는 신축 이음부(100) 및 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xpansion joint 100 and a cover 200. [

신축 이음부(100)는 본체(110)와 지지 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는 교량 상판(10)의 일단과 타단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pansion joint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nd a support plate 120. The main body 110 may be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ridge top plate 10 so as to face each other.

지지 플레이트(120)는 복수 개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각각의 본체(110)에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20 may be provided facing each other in each of the main bodies 110 so that a plurality of the support plates 120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실시예로, 지지 플레이트(120)는 본체(110)에서 돌출되며,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게 이격된 공간이 서로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120 protrudes from the body 110, and spaced apart spaces that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can be mad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120)는 상호 결합되는 형상을 취하며 신축력에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 plates 120 take a shape to b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can cope with the stretching force.

또한, 본체(110)와 지지 플레이트(120)는 차량(30)의 주행 시 차량의 무게에 의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철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plate 120 may be made of iron or an alloy containing the same to prevent damage due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30 is running.

본체(110)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미끄럼 방지홈(111)이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lip prevention grooves 111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실시예로, 제1 미끄럼 방지홈(111)은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non-slip grooves 111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일 실시예로, 제1 미끄럼 방지홈(111)은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 질 수 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ti-slip grooves 111 may be formed by one groov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지지 플레이트(120)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미끄럼 방지홈(121)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s 121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상기와 같이 제1 미끄럼 방지홈(111)과 제2 미끄럼 방지홈(121)은 본체(110)와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서 요철 형태의 구간을 형성하여, 차량(30)의 주행 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slip prevention grooves 111 and the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s 121 form an uneven shap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plate 120, Slip can be prevented.

커버부(200)는 신축 이음부(100)의 상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0)는 본체(110)와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00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joint portion 100. Specifically, the cover portion 200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plate 120.

실시예로, 커버부(200)는 신축 이음부(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20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expansion joint portion 100.

그리고 커버부(200)는 마찰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차량(30)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rictional force, and can prevent the vehicle 30 from slipping.

이를 위해, 커버부(200)는 에폭시 수지, MMA((Methyl Methacrylate Resin) 수지 및 폴리 우레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ver part 200 may be made of any one of epoxy resin, MMA (Methyl Methacrylate Resin) resin and polyurea.

에폭시는 높은 탄성력과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가지는 수지이다. 이에 따라, 유면이나 수면에 친화력을 갖는 우수한 젖음성(wetting)을 가지며, 분자의 격자 사이를 소수성화 하여 내수성을 극도로 높여주는 성질 등을 갖는다.Epoxy is a resin with high elasticity, heat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As a result, it has excellent wettability with affinity to the oil surface and water surface, hydrophobicity between molecules of the molecule, and water resistance.

상기와 같은 특성을 통해 에폭시 수지는 소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여 철재에 내구성과 내열 충격성을 겸비하며 높은 접착력을 발휘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the epoxy resin has excellent adhesion to the material and has durability and thermal shock resistance to the steel material and exhibits high adhesive strength.

그리고 MMA(Methyl Methacrylate Resin) 수지는 2 액형 도료로서 우수한 도막 유연성으로 인하여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콘트리트 및 석재 등에 탁월한 접착력을 갖는다. 또한, 상기 MMA 수지는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 내후성이 우수하다. MMA (Methyl Methacrylate Resin) resin is a two-pack type paint that does not crack due to its excellent film flexibility and has excellent adhesion to concrete and stone. The MMA resin is excellent in abrasion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nd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weather resistance.

또한, 상기 MMA 수지는 경화시간이 빠르며, 저온 경화성이 우수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MA resin has a high curing time and is excellent in low-temperature curing ability and can shorten the working time.

폴리우레아(Polyurea)는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ymer)와 아민(Amine)의 연쇄반응으로 생성된 2 액형 탄성물질로 방식석, 방청성, 내산성, 내열성, 내마모성이 높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Polyurea is a two-pack type elastic material produced by a chain reaction of an isocyanate prepolymer and an amine, and has a high anticorrosive property, rustproofing property, acid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커버부(200)는 상기와 같은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신축 이음부(100)에 접착되어, 신축 이음부(100)에 대한 내마모성 및 방청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ver part 200 is made of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resins and bonded to the expansion joint part 100 to provide abrasion resistance and rust prevention property to the expansion joint part 100.

구체적으로, 커버부(200)는 본체(110)와 지지 플레이트(120)의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ver portion 200 can prevent abrasion and corrosion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plate 120.

실시예로, 커버부(200)는 접착제(300)에 의해 신축 이음부(100)에 접착되는 시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00 may be made of a sheet to be adhered to the expansion joint portion 100 by an adhesive 300. [

일 실시예로, 커버부(200)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수용홈(210)이 구비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2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00.

구체적으로 수용홈(210)은 커버부(200)에 도포되는 접착제(300)의 일정량을 수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groove 210 may receiv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adhesive 300 applied to the cover portion 200.

이에 따라, 수용홈(210)은 커버부(200)에 도포되는 접착제(300)의 양을 늘려 커버부(200)와 신축 이음부(100)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receiving groove 210 can increase the amount of the adhesive 300 applied to the cover part 200 and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over part 200 and the expansion joint part 100.

수용홈(210)은 커버부(200)의 전체에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접착력을 증가 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210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cover portion 200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일 실시예로, 수용홈(210)은 제1 미끄럼 방지홈(111) 및 제2 미끄럼 방지홈(121)이 구비된 구간을 제외하고 커버부(200)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도 있다.A plurality of the receiving grooves 210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portion 200 except for a sec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non-slip grooves 111 and 121 are provided.

도 4를 참조하면, 제1 미끄럼 방지홈(111)과 제2 미끄럼 방지홈(121)은 차량(30)의 주행 방향에 위치한 입구가 라운드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non-slip groove 111 and the second non-slip groove 12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entrance located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30 is rounded.

이에 따라, 제1 미끄럼 방지홈(111)과 제2 미끄럼 방지홈(121)은 차량(30)의 주행 시 요철 형태의 구간에서 발생하는 주행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non-slippery groove 111 and the second non-slippery groove 121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running feeling that occurs in the section of the vehicle 30 when the vehicle 30 is running.

실시예로,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1 미끄럼 방지홈(111)에는 강화 계열의 충진재(500)가 충진될 수 있다.The first non-slip groove 111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may be filled with a reinforcing filler material 500.

충진재(500)는 커버부(200)를 지지하여 차량이 주행 시 발생하는 커버부(200)의 마모 및 커버부(2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ller material 500 supports the cover part 200 to minimize wear of the cover part 200 and deformation of the cover part 200 when the vehicle travels.

실시예로, 커버부(200)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적층된 레이어(L)가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ver part 200 may be provided with layers L stacked in different colors.

일 실시예로, 레이어(L)는 커버부(200)에 일정 간격으로 구획되어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ayers L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over portion 20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레이어(L)를 통해 차량(30)의 주행 시 커버부(200)의 마모도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degree of wear of the cover portion 200 when the vehicle 30 travels through the layer L.

구체적으로 레이어(L)는 커버부(200)의 마모에 따라 외부로 다른 색상이 노출되어, 커버부(200)의 마모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ayer L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wear of the cover part 200, so that the wear state of the cover part 200 can be visually confirmed.

실시예로, 커버부(200)는 제2 미끄럼 방지홈(121)을 통해서 신축 이음부(100)와 커버부(2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00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spaced between the expansion joint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200 through the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 121. [

이에 따라, 커버부(200)는 마모에 따라 커버부(200)를 교체 시 제2 미끄럼 방지홈(121) 측으로 절단 장치(미도시)를 삽입하여, 커버부(200)를 절단하여, 손쉽게 신축 이음부(100)에서 커버부(200)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ver part 200 is replaced by the wear of the cover part 200, the cutting device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 121 side to cut the cover part 200, The cover portion 200 can be removed from the joint portion 100.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신축 이음 장치(1)는 신축 이음부(100), 커버부(200) 및 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5 to 7, a bridge type sliding expansion joint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xpansion joint 100, a cover part 200, and a support part 400 .

신축 이음부(100)는 본체(110)와 지지 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pansion joint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nd a support plate 120.

신축 이음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expansion joint 100 is as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커버부(200)는 접착제(300)를 통해 신축 이음부(100)에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폭시 수지, MMA((Methyl Methacrylate Resin) 수지 및 폴리 우레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part 200 may be adhered to the expansion joint 100 through the adhesive 300.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portion 200 may be formed of any one of epoxy resin, MMA (Methyl Methacrylate Resin) resin, and polyurea.

실시예로, 지지부(400)는 커버부(200)와 신축 이음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portion 200 and the expansion joint 100.

지지부(400)는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며, 신축 이음부(100)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400 may have a mesh structure and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expansion joint portion 100.

일 실시예로, 지지부(400)는 와이어 및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가 메쉬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400 may be formed of a mesh structur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ire and plastic.

특히, 지지부(400)는 본체(110)와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커버부(200)에 도포된 접착제(300)의 두게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the support part 4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adhesive 300 applied to the cover part 200 can be kept constant.

구체적으로, 지지부(400)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공간에 접착제(300)를 수용하며, 지지부(400)를 구성하는 와이어 및 플라스틱의 두께만큼 커버부(200)에 도포되는 접착제(30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 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art 400 accommodates the adhesive 300 in the mesh-shaped space,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300 applied to the cover part 200 by the thickness of the wire and the plastic constituting the support part 400 It can be kept constant.

이에 따라, 커버부(200)에 도포되는 접착제(300)는 지지부(400)를 통해서 일정한 두께로 유지되어 커버부(200)와 신축 이음부(100)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dhesive 300 applied to the cover part 200 is maintained at a constant thickness through the supporting part 400, so that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cover part 200 and the expansion joint part 100 can be increased.

실시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제1 미끄럼 방지홈(111)과 제2 미끄럼 방지홈(121)은 차량(30)의 주행 방향에 위치한 입구가 라운드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7, the first non-slip groove 111 and the second non-slip groove 12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entrance located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30 is rounded.

이에 따라, 차량(30)의 주행 중 제1 미끄럼 방지홈(111)과 제2 미끄럼 방지홈(121)은 차량(30)의 주행 시 요철 형태의 구간에서 발생하는 주행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lip prevention groove 111 and the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 121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30 can prevent a decrease in running feeling that occurs in the section of the vehicle 30 when the vehicle 30 is running .

실시예로,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1 미끄럼 방지홈(111)에는 강화 계열의 충진재(500)가 충진될 수 있다.The first non-slip groove 111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may be filled with a reinforcing filler material 500.

충진재(500)는 커버부(200)를 지지하여 차량이 주행 시 발생하는 커버부(200)의 마모 및 커버부(2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ller material 500 supports the cover part 200 to minimize wear of the cover part 200 and deformation of the cover part 200 when the vehicle travels.

그리고 커버부(200)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적층된 레이어(L)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200 may be provided with a layer L stacked in different colors.

상기 레이어(L)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ayer L is as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1)는 신축 이음부(100)의 상부면에 접착되는 커버부(200)에 의해서 우천 및 설천 시 차량(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ver portion 200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joint 100, Can be prevented.

또한, 커버부(200)에는 복수 개의 수용홈(210)이 구비되어 접착제(300)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커버부(200)와 신축 이음부(100)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The cover part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210 to adjust the amount of the adhesive 300 so tha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over part 200 and the stretch joint part 100 can be increased.

또한, 커버부(200)와 신축 이음부(100) 사이에는 지지부(400)가 배치되어 커버부(200)에 도포되는 접착제(30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 시켜, 커버부(200)와 신축 이음부(100)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A support part 400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part 200 and the expansion joint part 100 to keep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300 applied to the cover part 200 constan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joint portions 100 can be increased.

또한, 커버부(200)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 개의 레이어(L)가 구비되어 이루어져, 차량(30)의 주행 중 커버부(200)의 마모도를 확인할 수 있어, 적절한 교체시기에 맞춰 커버부(200)를 교체하여, 본체(110)와 지지 플레이트(12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yers L having different colors so that the degree of wear of the cover portion 200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30 can be checked, The 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plate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braded.

또한, 커버부(200)는 제2 미끄럼 방지홈(121)을 통해서 신축 이음부(100)와 커버부(200) 사이가 이격된 공간이 구비되어, 커버부(200)를 교체 시 제2 미끄럼 방지홈(121) 측으로 절단 장치(미도시)를 삽입하여, 커버부(200)를 절단하여, 손쉽게 신축 이음부(100)에서 커버부(200)를 제거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expansion joint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 121. When the cover portion 200 is replaced,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cover portion 200 from the expansion joint portion 100 by inserting a cutting device (not shown) into the prevention groove 121 side to cut the cover portion 200.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And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10: 교량 상판
20: 차선 30: 차량
100: 신축 이음부 110: 본체
111: 제1 미끄럼 방지홈 120:지지 플레이트
121: 제2 미끄럼 방지홈 200: 커버부
210: 수용홈 300: 접착제
400: 지지부 500: 충진재
L: 레이어
1: Bridge type non-slip expansion joint 10: Bridge top plate
20: lane 30: vehicle
100: stretch joint 110: body
111: first slip prevention groove 120: support plate
121: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 200: cover part
210: receiving groove 300: adhesive
400: Support part 500: Filler
L: Layer

Claims (7)

교량 상판의 일단과 타단에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와, 복수 개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각각의 상기 본체에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신축 이음부; 및
상기 신축 이음부의 상부면에 접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신축 이음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적층된 레이어가 구비되는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A pair of main bodies disposed at opposite ends of the bridge top plate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support join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facing each other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nd a cover portion bond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joint portion,
Wherein the cover portion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expansion joint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layers laminated in different col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신축 이음부에 접착되는 시트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수용홈이 구비되는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And a sheet to be adhered to the expansion joint by an adhesive,
Wherein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는
상기 커버부에 일정 간격으로 구획되어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는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rtions at regular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신축 이음부의 사이에는
메쉬 구조의 지지부가 배치되는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expansion joint portion
A bridge type anti-slip expansion joint device in which a supporting portion of a mesh structure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미끄럼 방지홈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미끄럼 방지홈이 각각 구비되는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first slip prevention groov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second slip preven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끄럼 방지홈 및 상기 제2 미끄럼 방지홈은
차량의 주행 방향에 위치한 입구가 라운드지게 이루어지는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lip-preventing groove and the second slip-
Wherein the entrance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is roun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끄럼 방지홈에는
강화 계열의 충진재가 충진되는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lip prevention groove
A bridge type non - slip expansion joint device filled with reinforced filler material.
KR1020180005633A 2018-01-16 2018-01-16 Non- 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 KR201900871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33A KR20190087176A (en) 2018-01-16 2018-01-16 Non- 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33A KR20190087176A (en) 2018-01-16 2018-01-16 Non- 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76A true KR20190087176A (en) 2019-07-24

Family

ID=6748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633A KR20190087176A (en) 2018-01-16 2018-01-16 Non- 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717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081B1 (en) * 2021-04-28 2022-05-12 주식회사 비엠이앤씨 A 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36B1 (en) 2012-11-22 2014-02-19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Expansion joint for brid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36B1 (en) 2012-11-22 2014-02-19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Expansion joint for b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081B1 (en) * 2021-04-28 2022-05-12 주식회사 비엠이앤씨 A 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2960A (en) Concrete joint restraint system
US3375763A (en) Elastomeric expansion joint
JP6077304B2 (en) Equipment for bridging expansion joints
ES2624313T3 (en) Manufactured item made of composite material, to be incorporated into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S4279533A (en) Roadway expansion joint
SE500547C2 (en) dilatation joint
JPS6346201B2 (en)
US20140299390A1 (en) Strip scale technology
US4572702A (en) Expansion joint
KR102097567B1 (en)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preventing noise and slip
KR20190087176A (en) Non- 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
JP5291328B2 (en) Telescop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792035A (en) Reinforced seamless elastomer expans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5164234B2 (en) Expansion joint for bridge
JP6432157B2 (en) Telescopic device for road bridge
JP3102683B2 (en) Elastic joint structure
KR101749686B1 (en) deck plate having non-slip layer
JP6328840B1 (en) Lined board with anti-slip layer
KR101768631B1 (en) Non- Slip Expansion Joint of a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305121B1 (en) Waterproof expansion joint for partially repairable and easy maintenance using vulcanization rubber sheet
JP6396770B2 (en) Road floor slab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JP2019039274A (en) Filling structure for road bridge expansion device
EP2811071B1 (en) Rail slab with an elastic mat for a floating railway
CN210288097U (en) Comb-shaped elastic telescopic component and joint filling module
KR101048422B1 (en) Expansion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