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156A -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156A
KR20190087156A KR1020180005599A KR20180005599A KR20190087156A KR 20190087156 A KR20190087156 A KR 20190087156A KR 1020180005599 A KR1020180005599 A KR 1020180005599A KR 20180005599 A KR20180005599 A KR 20180005599A KR 20190087156 A KR20190087156 A KR 20190087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rojection
distance
reflect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469B1 (ko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성창 주식회사
(사)성창에너지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 주식회사, (사)성창에너지연구소 filed Critical 성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469B1/ko
Priority to JP2020537749A priority patent/JP7161235B2/ja
Priority to US16/960,348 priority patent/US20200373883A1/en
Priority to EP18901363.4A priority patent/EP3742603A4/en
Priority to PCT/KR2018/009895 priority patent/WO2019142993A1/ko
Publication of KR2019008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 G06F7/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 G06F7/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for evaluating functions by calculation
    • G06F7/548Trigonometric functions; Co-ordinate transform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은 제1 수평 가상면과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경사각을 결정하는 단계; 제1 투영높이, 제2 투영높이 및 제1 투영거리를 이용하여,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기 패널 타단이 상기 산출된 제2 투영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과 상기 제2 수평 가상면 사이의 패널 경사각을 결정하거나 상기 태양광 패널의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패널 경사각 또는 상기 패널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Method installing of solar module for efficient use of sunligh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의 반사를 위한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반사판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이라 함은 가로 세로로 배열된 판상의 집광패널들이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이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얻는 것을 말한다. 최근 석유에너지 및 각종 에너지의 고갈 또는 비용상승으로 대체에너지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그 한 예로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장치는, 통상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태양전지판을 직병렬로 연결한 태양광 모듈과, 집광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 그리고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조절기 및 직교류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패널 및 태양광을 태양광 패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태양광 반사판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계절의 변화에 따라 태양의 고도가 변화함에 따라 태양광 반사판에 입사된 태양광이 모두 태양광 패널 쪽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태양광 반사판이 태양광 패널과 결합된 각도가 일정하지 않고, 해당 결합 각도가 태양의 남중 고도를 만족하도록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태양광 모듈의 발전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양광 모듈을 구성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한 최적의 패널 경사각 또는 패널 길이를 결정하여 태양광 모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은 태양광 패널 및 태양광 반사판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패널 일단과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일단의 연결에 따른 접선이 수평을 이룰 때의 상기 접선을 포함하는 제1 수평 가상면과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경사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 가상면에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선이 만나는 제1 기준점과 상기 반사판 타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투영높이, 상기 수직선이 상기 태양광 패널의 패널 타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수평 가상면과 만나는 제2 기준점과 상기 반사판 타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2 투영높이, 및 상기 태양광이 상기 반사판 타단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수평 가상면에 투영될 때의 상기 태양광과 상기 제1 수평 가상면이 만나는 제1 투영점과 상기 제1 기준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투영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이 상기 반사판 타단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수평 가상면에 투영될 때의 상기 태양광과 상기 제2 수평 가상면이 만나는 제2 투영점과 상기 제2 기준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기 패널 타단이 상기 산출된 제2 투영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과 상기 제2 수평 가상면 사이의 패널 경사각을 결정하거나 상기 태양광 패널의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패널 경사각 또는 상기 패널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 경사각을 결정하는 단계는, 24절기 중 하지의 태양 남중 고도에 해당하는 각도를 상기 반사판 경사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영높이, 상기 제2 투영높이, 상기 제1 투영거리 및 상기 제2 투영거리 사이의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24절기 중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은 동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이 상기 태양광 반사판에 투영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투영높이는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길이와 상기 반사판 경사각에 근거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투영거리는 동지 때의 상기 태양광의 상기 제1 수평 가상면 또는 상기 제2 수평 가상면에 대한 투영각도와 상기 제1 투영높이에 근거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영각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 및 태양광 반사판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에서, 태양광의 제1 투영높이, 제2 투영높이, 제1 투영거리 및 제2 투영 거리 간의 관계를 통해 상기 태양광 패널의 경사각을 결정하거나 상기 태양광 패널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의 남중 고도의 변화에 관계 없이 태양광이 최대한 태양광 패널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패널과 태양의 남중고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반사판의 결합에 따른 각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100)은 태양광 패널(110) 및 태양광 반사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10)은 태양전지가 집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태양광 패널(110)은 강화 유리, 태양전지, 백시트(back sheet) 등을 포함하고 있다. 강화유리는 태양광을 내부로 입사시키는 것으로 태양광 패널의 상부 외면에 설치된다. 강화유리는 저철분의 편형상으로 구성된다. 태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전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실리콘 태양전지와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는 얇은 규소 결정판으로, 그 일면에 극미량의 인이 부착될 수 있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이 조사되는 경우에 규소의 자유전자가 이동하면서 기전력이 발생되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백시트는 태양전지의 하부에는 보호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태양광 반사판(120)은 반사율이 뛰어나고, 열전성이 우수한 미러 알루미늄, 미러 스텐레스 등과 같은 금속물질로 제작된다. 반사판(120)은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사성 금속물질이 코팅될 수도 있다. 태양광 반사판(120)은 태양광 패널(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태양광 반사판(120)은 입사된 태양광을 태양광 패널(110)로 반사시킨다. 이로 인해, 태양광 패널(110)에 자체적으로 입사되는 태양광 이외에 태양광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태양광이 태양광 패널(110)에 입사됨으로써, 태양광 반사판(120)은 태양광에 대한 집광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태양광 패널(110)의 패널 일단과 태양광 반사판(120)의 반사판 일단이 접하고, 볼트 삽입용 홀에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태양광 반사판(120)이 태양광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태양광은 계절 또는 하루 시간대에 따라 그 입사되는 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계절에 따라 태양광의 입사되는 각도가 변하더라도 태양광을 최대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태양광 반사판(120)과 태양광 패널(110)의 결합 각도 또는 태양광 패널의 길이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태양광 패널 및 태양광 반사판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패널 일단과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일단의 연결에 따른 접선이 수평을 이룰 때의 상기 접선을 포함하는 제1 수평 가상면과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경사각을 결정한다(S200 단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패널(110)과 태양의 남중고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3은 24절기 중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높은 하지와 가장 낮은 동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이 상기 태양광 반사판에 투영되는 것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지 때의 태양의 남중 고도는 θ1이고, 동지 때의 태양의 남중 고도는 θ2이다. 따라서, 각도 θ3은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한편, 태양광이 태양광 반사판(120)에서 전반사된다고 가정할 때, 각도 θ3 = θ4를 만족한다. 따라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라는 정의에 기초하여 태양광이 태양광 반사판(120)에서 반사되어 제1 수평 가상면(HS1) 또는 제2 수평 가상면(HS2)과 이루는 투영각도 θ5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제1 수평 가상면(HS1)은 태양광 패널(110)의 패널 일단과 태양광 반사판(120)의 반사판 일단의 연결에 따른 접선이 수평을 이룰 때의 접선을 포함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평 가상면(HS2)은 태양광 패널(110)의 패널 타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2에 의해, 하지 때의 태양의 남중 고도가 θ1=76°이고, 동지 때의 태양의 남중 고도가 θ2=29°인 경우에, 태양광의 제1 수평 가상면(HS1) 또는 제2 수평 가상면(HS2)에 대한 투영각도 θ5 = 180°+ 29°- 2*76°= 57°을 산출할 수 있다.
S200 단계 후에,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 가상면에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선이 만나는 제1 기준점과 상기 반사판 타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투영높이, 상기 수직선이 상기 태양광 패널의 패널 타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수평 가상면과 만나는 제2 기준점과 상기 반사판 타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2 투영높이, 및 상기 태양광이 상기 반사판 타단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수평 가상면에 투영될 때의 상기 태양광과 상기 제1 수평 가상면이 만나는 제1 투영점과 상기 제1 기준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투영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이 상기 반사판 타단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수평 가상면에 투영될 때의 상기 태양광과 상기 제2 수평 가상면이 만나는 제2 투영점과 상기 제2 기준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2 투영 거리를 산출한다(S202 단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태양광 패널(110)과 태양광 반사판(120)의 결합에 따른 각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태양광 반사판(120)의 반사판 타단(120-1)으로부터 제1 수평 가상면(HS1)에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선(VL)이 만나는 제1 기준점(RP1)과 반사판 타단(120-1) 사이의 거리는 제1 투영높이(PH1)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수직선(VL)이 태양광 패널(110)의 패널 타단(110-1)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수평 가상면(HS2)과 만나는 점을 제2 기준점(RP2)이라 할 때, 제2 기준점(RP2)과 반사판 타단(120-1) 사이의 거리는 제2 투영높이(PH2)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이 반사판 타단(120-1)에서 반사되어 제1 수평 가상면(HS1)에 투영될 때의 태양광과 제1 수평 가상면(HS1)이 만나는 점은 제1 투영점(PP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이 반사판 타단(120-1)에서 반사되어 제2 수평 가상면(HS2)에 투영될 때의 태양광과 제2 수평 가상면(HS2)이 만나는 점은 제2 투영점(PP2)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정의된 제1 투영점(PP1)과 제1 기준점(RP1) 사이의 거리는 제1 투영거리(PD1)로 정의되며, 제2 투영점(PP2)과 제2 기준점(RP2) 사이의 거리는 제2 투영거리(PD2)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의 정의에 따른 관계식을 이용하여, 제2 투영거리(PD2)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영거리(PD2)는 24절기 중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은 동지를 기준으로 태양광이 태양광 반사판(120)에 투영되는 것을 고려하여 제2 투영거리(PD2)를 산출할 수 있다.
먼저, 제1 투영높이(PH1)는 태양광 반사판(120)의 반사판 길이(PL)와 반사판 경사각(θ1)에 근거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반사판(120)의 반사판 길이(PL) = L이고, 반사판 경사각(θ1)이 하지 때의 태양의 남중 고도에 해당하는 θ1=76°인 경우에, 제1 투영높이(PH1) = L*sin 76°의 값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영거리(PD1)는 동지 때의 태양광의 제1 수평 가상면(HS1)에 대한 투영 각도(θ5)와 제1 투영높이(PH1)에 근거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지 때의 태양광의 제1 수평 가상면(HS1)에 대한 투영 각도(θ5)가 57°이고, 제1 투영높이(PH1)가 전술한 바와 같이 L*sin 76°인 경우에, tan 57°= 제1 투영높이(PH1)/제1 투영거리(PD1) = L*sin 76°/제1 투영거리(PD1)를 만족한다. 따라서, 제1 투영거리(PD1) = L*sin 76°/tan 57°의 값이 산출될 수 있다.
그 후, 제1 투영높이(PH1), 제2 투영높이(PH2), 제1 투영거리(PD1) 및 제2 투영거리(PD2) 사이의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제2 투영거리(PD2)가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투영높이(PH2)는 미리 정의되는 상수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영높이(PH1)가 L*sin 76°이고, 제2 투영높이(PH2)가 미리 정의되는 상수값 C이고, 제1 투영거리(PD1)가 L*sin 76°/tan 57°인 경우에, 제1 투영높이(PH1) : 제2 투영높이(PH2) = 제1 투영거리(PD1) : 제2 투영거리(PD2)의 비례 관계가 성립된다. 따라서, 제2 투영거리(PD2) = 제1 투영거리(PD1)*(제2 투영높이(PH2)/제1 투영높이(PH1)) = (L*sin 76°/tan 57°)*(C/L*sin 76°)의 값이 산출될 수 있다.
S202 단계 후에, 태양광 패널의 패널 타단이 산출된 제2 투영거리에 위치하도록 태양광 패널과 제2 수평 가상면 사이의 패널 경사각을 결정하거나 태양광 패널의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패널 경사각 또는 상기 패널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설치한다(S204 단계).
예를 들어, 제2 투영거리(PD2)가 S202 단계에서 산출된 바와 같이, (L*sin 76°/tan 57°)*(C/L*sin 76°)인 경우에, 태양광 패널(110)의 패널 타단(110-1)이 제2 투영거리(PD2) 즉, (L*sin 76°/tan 57°)*(C/L*sin 76°)의 거리에 위치하도록 태양광 패널의 길이(SL)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110)의 패널 타단(110-1)이 (L*sin 76°/tan 57°)*(C/L*sin 76°)의 거리에 위치하도록 태양광 패널(110)과 제2 수평 가상면(HS2) 사이의 패널 경사각(θ6)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의 길이(SL) 또는 패널 경사각(θ6)은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서로 상보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패널의 길이(SL)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는 패널 경사각(θ6)을 감소시킴으로써, 태양광 패널(110)의 패널 타단(110-1)이 제2 투영거리(PD2)에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고, 태양광 패널의 길이(SL)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패널 경사각(θ6)을 증가시킴으로써, 태양광 패널(110)의 패널 타단(110-1)이 제2 투영거리(PD2)에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110)의 패널 길이 또는 패널 경사각이 결정되면, 결정된 패널 길이 또는 패널 경사각에 따라 태양광 패널(110)의 길이 또는 경사각을 조정하여 설치하고, 또한, S200 단계에서 결정된 반사판 경사각에 따라 태양광 반사판도 설치한다. 이에 따라, 태양의 남중 고도의 변화에 관계 없이 태양광이 최대한 태양광 패널로 전달될 수 있으며, 태양광 모듈(100)은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재생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각 재생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태양광 모듈
110: 태양광 패널
120: 태양광 반사판

Claims (7)

  1. 태양광 패널 및 태양광 반사판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패널 일단과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일단의 연결에 따른 접선이 수평을 이룰 때의 상기 접선을 포함하는 제1 수평 가상면과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경사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 가상면에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선이 만나는 제1 기준점과 상기 반사판 타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투영높이, 상기 수직선이 상기 태양광 패널의 패널 타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수평 가상면과 만나는 제2 기준점과 상기 반사판 타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2 투영높이, 및 상기 태양광이 상기 반사판 타단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수평 가상면에 투영될 때의 상기 태양광과 상기 제1 수평 가상면이 만나는 제1 투영점과 상기 제1 기준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투영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이 상기 반사판 타단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수평 가상면에 투영될 때의 상기 태양광과 상기 제2 수평 가상면이 만나는 제2 투영점과 상기 제2 기준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기 패널 타단이 상기 산출된 제2 투영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과 상기 제2 수평 가상면 사이의 패널 경사각을 결정하거나 상기 태양광 패널의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패널 경사각 또는 상기 패널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경사각을 결정하는 단계는,
    24절기 중 하지의 태양 남중 고도에 해당하는 각도를 상기 반사판 경사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영높이, 상기 제2 투영높이, 상기 제1 투영거리 및 상기 제2 투영거리 사이의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24절기 중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은 동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이 상기 태양광 반사판에 투영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제2 투영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영높이는 상기 태양광 반사판의 반사판 길이와 상기 반사판 경사각에 근거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영거리는 동지 때의 상기 태양광의 상기 제1 수평 가상면 또는 상기 제2 수평 가상면에 대한 투영각도와 상기 제1 투영높이에 근거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투영각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수학식]
    Figure pat00004

KR1020180005599A 2018-01-16 2018-01-16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KR10200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99A KR102004469B1 (ko) 2018-01-16 2018-01-16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JP2020537749A JP7161235B2 (ja) 2018-01-16 2018-08-28 太陽光の効率的利用のための太陽光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
US16/960,348 US20200373883A1 (en) 2018-01-16 2018-08-28 Solar module installation method for efficient use of sunlight
EP18901363.4A EP3742603A4 (en) 2018-01-16 2018-08-28 SOLAR MODULE INSTALLATION PROCEDURE FOR EFFICIENT USE OF SUNLIGHT
PCT/KR2018/009895 WO2019142993A1 (ko) 2018-01-16 2018-08-28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99A KR102004469B1 (ko) 2018-01-16 2018-01-16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56A true KR20190087156A (ko) 2019-07-24
KR102004469B1 KR102004469B1 (ko) 2019-07-26

Family

ID=6730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599A KR102004469B1 (ko) 2018-01-16 2018-01-16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373883A1 (ko)
EP (1) EP3742603A4 (ko)
JP (1) JP7161235B2 (ko)
KR (1) KR102004469B1 (ko)
WO (1) WO20191429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323A1 (ko) * 2020-04-07 2021-10-14 주식회사 나노밸리 반사판을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과 반사판을 조절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363A (ja) * 2000-06-30 2002-01-25 Ntt Power & Building Facilities Inc 太陽光発電装置
KR101612426B1 (ko) * 2014-03-31 2016-04-14 이재진 반사경이 구비된 고정형 태양광 발전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711A (ja) * 1994-11-16 1996-06-07 Kyocera Corp 太陽電池装置
JP4043100B2 (ja) * 1998-05-13 2008-02-06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装置
EP0976655B1 (en) * 1998-07-30 2005-09-21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Thin-film reflectors for concentration solar array
KR101032515B1 (ko) * 2011-02-23 2011-05-04 권연희 각도조절이 가능한 반사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DE102011111473A1 (de) * 2011-08-23 2013-02-28 Stephan Arens Verfahren zur Konzentration des Sonnenlichts auf ein Solarmodul mit Hilfe eines Spiegels ohne Neigungsnachführung.
EP3097592B1 (en) * 2014-01-23 2017-11-15 Archimede Research S.r.l. Photovoltaic plant
KR101570741B1 (ko) * 2014-04-16 2015-11-24 이재진 반사경이 구비된 고정형 태양광 발전기
CN204906253U (zh) * 2015-08-14 2015-12-23 华南农业大学 一种追踪反射式集太阳能发电系统
KR101802370B1 (ko) * 2015-09-21 2017-11-29 유효진 태양광 발전 장치
CN205265606U (zh) * 2015-12-30 2016-05-25 英利能源(中国)有限公司 一种利用光线反射的太阳能光伏组件发电系统
US20170207744A1 (en) * 2016-01-20 2017-07-20 Pv Innovations Photovoltaic System with Reflective Panel or Reflective Strip Assembly
CN106452335A (zh) * 2016-10-10 2017-02-22 同济大学 一种光伏发电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363A (ja) * 2000-06-30 2002-01-25 Ntt Power & Building Facilities Inc 太陽光発電装置
KR101612426B1 (ko) * 2014-03-31 2016-04-14 이재진 반사경이 구비된 고정형 태양광 발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323A1 (ko) * 2020-04-07 2021-10-14 주식회사 나노밸리 반사판을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과 반사판을 조절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2993A1 (ko) 2019-07-25
JP2021513736A (ja) 2021-05-27
JP7161235B2 (ja) 2022-10-26
KR102004469B1 (ko) 2019-07-26
EP3742603A4 (en) 2021-06-02
US20200373883A1 (en) 2020-11-26
EP3742603A1 (en)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4053B2 (en) Solar module support structure
US20100313933A1 (en) Reflector-solar receiver assembly and solar module
JP3259692B2 (ja) 集光型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集光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200702407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and placement of a non-equatorial photovoltaic module
US20080023061A1 (en) Reflector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solar radiation for photovoltaic electricity generation
CN101345497A (zh) 一种曲面太阳光接收器
CN110568865A (zh) 一种双面组件跟踪角度智能优化方法及智能跟踪系统
CN107181463B (zh) 一种精确预测太阳能电池组件工作温度的方法
JP2008546195A (ja) 太陽光線集中装置
CA2754271A1 (en) Solar collection and light regulation apparatus
US7847183B2 (en) Three dimensional photo voltaic modules in an energy reception panel
CN106371466A (zh) 一种基于双面电池阵列的太阳能跟踪方法
US20120006405A1 (en) Panel-mounted photovoltaic system with fresnel reflector
EP08830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generated energy of solar cell
KR102004469B1 (ko) 태양광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
WO2020034273A1 (zh) 一种基于双轴太阳跟踪器的双面光伏组件系统以及双面光伏组件背面利用方法
JP2011129626A (ja) 反射光利用型太陽光モジュールシステム
CN110764536B (zh) 一种平单轴光伏跟踪系统优化方法
CN108763649A (zh) 一种优化评估光伏组件电池片所接受辐照量的方法
KR20100086298A (ko)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량 예측 방법
Bollentin et al. Modeling the solar irradiation on flat plate collectors augmented with planar reflectors
CN103941394A (zh) 一种平板接收型复合抛物面聚光器的截取方法
EP4145699A1 (en) Photovoltaic system for low solar elevation angles
Tayagaki et al. Simulation of diffuse irradiance impact on energy yield of curved photovoltaic modules using climatic datasets
JP6854096B2 (ja) 集光型太陽電池システム及び発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