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849A -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849A
KR20190086849A KR1020180004898A KR20180004898A KR20190086849A KR 20190086849 A KR20190086849 A KR 20190086849A KR 1020180004898 A KR1020180004898 A KR 1020180004898A KR 20180004898 A KR20180004898 A KR 20180004898A KR 20190086849 A KR20190086849 A KR 20190086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amping
suction
damping memb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진
하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6849A/ko
Publication of KR2019008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는, 압축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압축공간으로 냉매를 흡입시키는 복수의 흡입포트를 갖는 피스톤,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의 전면에 결합되는 흡입 밸브 및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댐핑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상기 흡입밸브와 접한다.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서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에는 냉각시스템이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된다.
상기 냉각 시스템이란, 냉매를 순환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으로서,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 시스템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압축기(Compressor)는 전기 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작동 유체를 압축하여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장치로서, 상기 냉장고와 같은 가전기기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압축기는 작동 유체의 압축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 및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구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그리고, 피스톤 헤드와 실린더 사이에 압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하여 상기 압축 공간이 증감되면서 상기 압축 공간 내의 작동 유체가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다.
또한,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상기 롤러가 편심 회전하면서 압축 공간에 공급된 작동 유체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다.
또한,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과, 상기 고정 스크롤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선회 스크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 스크롤이 회전하면서 압축 공간에 공급된 작동 유체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다.
최근에는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리니어 모터에 피스톤이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된 쉘 내부에서 피스톤이 리니어 모터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 공간으로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압축 공간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흡입포트 및 상기 흡입포트를 개폐하는 흡입밸브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리니어 압축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이하, 선행문헌 1)을 실시하여 등록된 바 있다.
1. 공개번호 : 제10-2017-0124905호 (공개일자 : 2017년 11월 13일)
2. 발명의 명칭 : 리니어 압축기
상기 선행문헌 1에서는 상기 흡입밸브의 형상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흡입밸브가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며 상기 흡입포트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흡입밸브가 상기 흡입포트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흡입밸브는 상기 피스톤의 전단에 면접촉되기 때문에 접촉에 의한 소음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상기 흡입밸브 및 상기 피스톤은 감쇄계수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스틸로 구비되어 더 큰 소음이 발생 및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소음은 압축기의 구동시 주 소음원에 해당되어,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가 구비된 냉장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동시 흡입밸브 및 피스톤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킨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밸브와 선접촉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는 댐핑부재를 통해 소음을 저감시킨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피스톤 및 상기 흡입밸브보다 감쇠계수가 높은 재질로 마련되는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는, 압축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압축공간으로 냉매를 흡입시키는 복수의 흡입포트를 갖는 피스톤,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의 전면에 결합되는 흡입 밸브 및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댐핑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상기 흡입밸브와 접한다.
이때,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피스톤보다 감쇠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댐핑부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는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댐핑부재의 외측은 상기 흡입포트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댐핑부재의 내측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댐핑부재에는, 상기 흡입밸브에 접하는 전단부를 포함하는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부가 포함되고, 상기 후방부는 상기 전방부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에는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댐핑부재가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설치되는 댐핑스토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댐핑스토퍼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형의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중심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삽입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밸브를 상기 피스톤에 체결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는 밸브 체결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삽입결합부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결합부의 내측에는 상기 밸브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에 대응되어 위치되고, 상기 댐핑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유동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밸브에는 상기 피스톤의 전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댐핑부재는 상기 복수의 날개부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복수의 댐핑부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전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흡입포트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댐핑부재를 구비하여, 흡입밸브에 의한 상기 흡입포트 개폐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흡입밸브와 선접촉되도록 피스톤 전단에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입밸브에 의한 상기 흡입포트 개폐시 충격량이 작아지고 전달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피스톤 및 상기 흡입밸브에 비해 감쇠계수가 높은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흡입밸브의 충격에 따라 전달되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의 후단에는 상기 댐핑부재를 고정시키는 댐핑스토퍼가 구비되어, 냉매의 유동에 의해 상기 댐핑부재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 머플러 및 실린더의 외측에 설치되는 공진 스프링을 통해 압축기의 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 부품을 포함한 압축기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냉장고의 기계실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냉장고의 내부 저장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의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및 흡입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및 흡입밸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댐핑부재 및 댐핑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VIII-V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장고 도어(3)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2)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장고 도어(3)는 상기 저장실(4)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실(4)에는 냉장실 및 냉동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 실은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2)의 내부에는 압축기(10)가 배치되는 기계실(5)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기계실(5)은 상기 캐비닛(2)의 후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1)는 가정과 같은 실내공간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준다. 특히, 상기 냉장고(1)의 주 소음원은 상기 압축기(1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압축기(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하,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킨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압축기(1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의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압축기(10)에는, 쉘(101) 및 상기 쉘(101)에 결합되는 쉘 커버(102, 103)가 포함된다. 넓은 의미에서, 상기 쉘 커버(102, 103)는 상기 쉘(101)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하측에는, 레그(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50)는, 상기 압축기(10)가 설치되는 제품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레그(50)는 앞서 설명한 냉장고(1)의 기계실(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101)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누워져 있는 배치, 또는 축방향으로 누워 있는 배치를 이룰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쉘(10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반경방향으로는 다소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10)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10)가 냉장고(1)의 기계실(5)에 설치될 때, 상기 기계실(5)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에 따라, 같은 부피의 캐비닛(2)에서 저장실(4)의 부피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외면에는, 터미널(10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은 외부 전원을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어셈블리(140, 도 4 참조)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특히, 상기 터미널(108)은 코일(141c, 도 4 참조)의 리드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의 외측에는, 브라켓(109)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09)에는, 상기 터미널(108)을 둘러싸는 복수의 브라켓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9)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상기 터미널(108)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양측부는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구된 쉘(101)의 양측부에는, 상기 쉘 커버(102, 103)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쉘 커버(102, 103)에는, 상기 쉘(101)의 개구된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 1 쉘커버(102) 및 상기 쉘(101)의 개구된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 2 쉘커버(103)가 포함된다. 상기 쉘 커버(102, 103)에 의하여, 상기 쉘(101)의 내부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쉘커버(102)는 상기 압축기(10)의 우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쉘커버(103)는 상기 압축기(10)의 좌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2 쉘커버(102, 10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쉘(101) 또는 쉘 커버(102, 103)에 구비되어, 냉매를 흡입, 토출 또는 주입시킬 수 있는 복수의 파이프(104, 105, 10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파이프(104, 105, 106)에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파이프(104)와, 압축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1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토출 파이프(105) 및 냉매를 상기 압축기(10)에 보충하기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흡입 파이프(104)는 상기 제 1 쉘커버(102)에 결합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축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기(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축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제 1 쉘커버(102)보다 상기 제 2 쉘커버(10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10)의 내부로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1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라 함은, 상기 레그(50)로부터의 수직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의 거리로서 이해된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작업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결합되는 지점에 대응하는, 쉘(10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2 쉘커버(103)의 적어도 일부분이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2 쉘커버(10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주입된 냉매의 저항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유로관점에서,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유로 크기는, 상기 쉘(101)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제 2 쉘커버(103)에 의해 작아지고, 그를 통과하며 다시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감소하여 냉매의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냉매에 포함된 유분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유분이 분리된 냉매가 피스톤(130, 도 4 참조)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냉매의 압축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유분은, 냉각 시스템에 존재하는 작동유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쉘커버(102)의 내측면에는, 커버지지부(102a)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지지부(102a)에는, 후술할 제 2 지지장치(18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지지부(102a) 및 상기 제 2 지지장치(185)는, 압축기(10)의 본체를 지지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의 본체는 상기 쉘(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전후 왕복운동 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는, 후술할 피스톤(130), 마그넷 프레임(138), 영구자석(146), 서포터(137) 및 흡입 머플러(150) 등과 같은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는, 후술할 공진스프링(176a, 176b), 리어 커버(170), 스테이터 커버(149), 제 1 지지장치(165) 및 제 2 지지장치(185) 등과 같은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쉘커버(102)의 내측면에는, 스토퍼(10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02b)는 상기 압축기(10)의 운반 중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등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의 본체, 특히 모터 어셈블리(140)가 상기 쉘(101)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스토퍼(102b)는, 후술할 리어 커버(17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압축기(10)에 흔들림이 발생할 때, 상기 리어 커버(170)가 상기 스토퍼(102b)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모터 어셈블리(140)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내주면에는, 스프링체결부(101a)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프링체결부(101a)는 상기 제 2 쉘커버(10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체결부(101a)는 후술할 제 1 지지장치(165)의 제 1 지지스프링(16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체결부(101a)와 상기 제 1 지지장치(16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압축기의 본체는 상기 쉘(101)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10)에는, 상기 쉘(101)의 내부에 제공되는 실린더(120)와,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130) 및 상기 피스톤(130)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리니어 모터로서 모터 어셈블리(140)가 포함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40)가 구동하면, 상기 피스톤(130)은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피스톤(130)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1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상기 흡입 머플러(150)를 거쳐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동한다. 예를 들어, 냉매가 상기 흡입 머플러(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150)에는, 복수의 머플러(151, 152, 153)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머플러(151, 152, 153)에는, 서로 결합되는 제 1 머플러(151), 제 2 머플러(152) 및 제 3 머플러(15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머플러(151)는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머플러(152)는 상기 제 1 머플러(151)의 후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머플러(153)는 상기 제 2 머플러(152)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 1 머플러(151)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냉매의 유동방향 관점에서,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상기 제 3 머플러(153), 제 2 머플러(152) 및 제 1 머플러(151)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소음은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제 1 머플러(151)와 상기 제 2 머플러(152)가 결합되는 경계면에는 머플러 필터(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머플러 필터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머플러 필터의 외주부는 상기 제 1, 2 머플러(151, 152)의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방향을 정의한다.
"축 방향"이라 함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 즉 도 5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 중에서, 상기 흡입 파이프(104)로부터 압축공간(P)을 향하는 방향, 즉 냉매가 유동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스톤(13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압축공간(P)은 압축될 수 있다.
반면에, "반경 방향"이라 함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도 5의 세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0)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피스톤 본체(131) 및 상기 피스톤 본체(1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플랜지(132)가 포함된다. 상기 피스톤 본체(131)는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는 상기 실린더(120)의 외측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제 1 머플러(151)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30)에 의하여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공간(P)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압축 공간(P)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흡입포트(133)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포트(133)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포트(133)를 개폐하는 흡입밸브(135)가 제공된다.
또한, 압축기는 토출커버(160) 및 토출밸브 어셈블리(161, 163)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커버(160)는 상기 압축 공간(P)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 공간(P)에서 배출된 냉매의 토출공간(160a)을 형성한다. 상기 토출공간(160a)은 토출커버(160)의 내부 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부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공간부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밸브 어셈블리(161, 163)는 상기 토출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 공간(P)에서 압축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토출밸브 어셈블리(161, 163)에는, 상기 압축 공간(P)의 압력이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개방되어 냉매를 상기 토출공간(160a)으로 유입시키는 토출 밸브(161) 및 상기 토출 밸브(161)와 토출커버(160)의 사이에 제공되어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조립체(163)가 포함된다.
상기 스프링 조립체(163)에는, 밸브 스프링(163a) 및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을 상기 토출커버(160)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부(163b)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 스프링(163a)에는, 판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지지부(163b)는 사출공정에 의하여 상기 밸브 스프링(163a)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161)는 상기 밸브 스프링(163a)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 밸브(161)의 후방부 또는 후면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토출 밸브(161)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되면 상기 압축공간(P)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토출 밸브(161)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압축공간(P)은 개방되어, 상기 압축공간(P) 내부의 압축된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 공간(P)은 상기 흡입밸브(135)와 상기 토출 밸브(16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밸브(135)는 상기 압축 공간(P)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 밸브(161)는 상기 압축 공간(P)의 타 측, 즉 상기 흡입밸브(135)의 반대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0)이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 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흡입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흡입밸브(135)가 개방되어 냉매는 상기 압축 공간(P)으로 흡입된다. 반면에,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상기 흡입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흡입밸브(135)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간(P)의 냉매가 압축된다.
한편,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상기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이 전방으로 변형하면서 상기 토출 밸브(161)를 개방시키고, 냉매는 상기 압축공간(P)으로부터 토출되어, 토출커버(160)의 토출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 냉매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은 상기 토출 밸브(161)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토출 밸브(161)가 닫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토출 커버(160)의 토출공간(160a)을 유동하는 냉매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토출 커버(160)에 커버파이프(162a)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파이프(162a)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파이프(162a)를 유동하는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105)로 전달하도록, 상기 커버파이프(162a)에 루프 파이프(162b)가 더 결합된다. 상기 루프 파이프(162b)의 일 측은 상기 커버파이프(162a)에 결합되며, 타 측은 상기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루프 파이프(162b)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 파이프(162b)는 상기 커버파이프(162a)로부터 상기 쉘(101)의 내주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루프 파이프(162b)는 감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프레임(11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실린더(12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압입(press fitting)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 및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커버(160)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40)에는,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48) 및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146)이 포함된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 및 이너 스테이터(148)와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146)은 1개의 극을 가지는 단일 자석으로 구성되거나, 3개의 극을 가지는 복수의 자석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마그넷 프레임(13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5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은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에 결합되어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146)이 왕복 운동할 때, 상기 피스톤(130)은 상기 영구자석(146)과 함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에는,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 및 스테이터 코어(141a)가 포함된다. 상기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에는, 보빈(141b) 및 상기 보빈의 원주 방향으로 권선된 코일(141c)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에는, 상기 코일(141c)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외부로 인출 또는 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단자부(141d)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단자부(141d)는, 상기 프레임(110)에 마련된 단자삽입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141a)에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lamination)이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복수의 코어 블럭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코어 블럭은, 상기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에는 스테이터 커버(149)가 제공된다. 즉,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부는 상기 프레임(11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부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와 상기 프레임(110)은 커버체결부재(149a)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커버체결부재(149a)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110)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10)에 마련된 체결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주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이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피스톤(130)을 지지하는 서포터(13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포터(137)는 상기 피스톤(130)의 후측에 결합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흡입 머플러(150)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 마그넷 프레임(138) 및 상기 서포터(137)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37)에는, 밸런스 웨이트(179)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179)의 중량은, 압축기 본체의 운전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 2 지지장치(185)에 의하여 지지되는 리어 커버(170)가 더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어 커버(170)에는 3개의 지지레그가 포함되며, 상기 3개의 지지레그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지지레그와,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 사이에는, 스페이서(181)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81)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로부터 상기 리어 커버(170)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170)는 상기 서포터(137)에 스프링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리어 커버(170)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 머플러(150)로의 냉매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 가이드부(15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입 가이드부(15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흡입 머플러(15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피스톤(130)이 공진 운동할 수 있도록 각 고유 진동수가 조절된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 176b)이 더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 176b)에는, 상기 서포터(137)와 스테이터 커버(149)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 1 공진스프링(176a) 및 상기 서포터(137)와 리어 커버(170)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 2 공진스프링(176b)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 176b)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10)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구동부의 안정적인 움직임이 수행되며,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서포터(137)에는, 상기 제 1 공진스프링(176a)에 결합되는 제 1 스프링지지부(137a)가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 주변의 부품간의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한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가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토출커버(16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 1 실링부재(127)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실링부재(127)는, 상기 프레임(110)의 제 1 설치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실린더(12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 2 실링부재(12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실링부재(128)는, 상기 프레임(110)의 제 2 설치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에는, 상기 실린더(120)와 상기 프레임(110)의 사이에 제공되는 제 3 실링부재(129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실링부재(129a)는, 상기 실린더(120)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실린더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실링부재(129a)는, 프레임의 내주면과 실린더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 포켓의 냉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프레임(110)과 실린더(1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 4 실링부재(129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4 실링부재(129b)는, 상기 프레임(110)의 제 3 설치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링부재(127, 128, 129a, 129b)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토출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기(10)의 본체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장치(1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지지장치(165)는 상기 제 2 쉘커버(10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10)의 본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지지장치(165)에는, 제 1 지지스프링(166)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지지스프링(166)은,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스프링체결부(10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리어 커버(170)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기(10)의 본체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장치(18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지지장치(185)는 상기 제 1 쉘커버(102)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기(10)의 본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지지장치(185)에는, 제 2 지지스프링(186)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지지스프링(186)은,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커버지지부(102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본체(121) 및 상기 실린더 본체(121)의 전방부 외측에 구비되는 실린더 플랜지(122)가 포함된다. 상기 실린더 본체(121)는, 축방향의 중심축을 가지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본체(121)의 외주면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본체(121)에는, 상기 토출밸브(161)를 통하여 배출된 냉매 중 적어도 일부의 냉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냉매는, 피스톤(130)과 실린더(120) 사이의 가스 베어링으로 사용되는 냉매로서 이해된다.
상기 가스 베어링으로 사용되는 냉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가스 홀(114)을 경유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내주면과 상기 실린더(12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 포켓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 포켓의 냉매는, 상기 가스유입부(126)로 유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스유입부(126)는 상기 실린더 본체(12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유입부(126)는 축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 본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유입부(126)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스유입부(126)는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본체(121)에는, 상기 가스유입부(126)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노즐(125)이 포함된다. 상기 실린더 노즐(125)은, 상기 실린더 본체(121)의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스유입부(126)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실린더 노즐(125)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 본체(121)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외주면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냉매는, 상기 피스톤(130)에 부상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130)에 대한 가스 베어링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및 흡입밸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및 흡입밸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는, 압축공간(P)으로 냉매를 흡입시키는 흡입포트(133)를 갖는 피스톤(130) 및 상기 흡입포트(133)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피스톤(130)의 전면에 결합되는 흡입밸브(135)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흡입밸브(135)를 상기 피스톤(130)에 체결시키도록, 상기 피스톤(130)에 결합되는 밸브 체결부재(134)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130)에는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가 결합되는 체결공(13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밸브(135)에는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가 관통되는 결합공(135a)이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135b)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흡입밸브(135)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날개부(135b)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134a), 상기 결합공(135a) 및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는 동일한 중심축(c)을 기준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가 상기 결합공(135a)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134a)에 결합된다. 즉, 상기 체결공(134a), 상기 결합공(135a) 및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는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동일한 중심축(c)을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밸브(135)는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에 의해 중심 측이 고정되며, 외측에 위치한 날개부(135b)가 전방으로 휘어지며 상기 흡입포트(133)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135b)가 후방으로 복귀되며 상기 흡입포트(133)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날개부(135b)와 상기 피스톤(130)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방으로 휘어지며 상기 흡입포트(133)를 개방한 상기 날개부(135b)가 상기 흡입포트(133)를 폐쇄하도록 복귀되며 상기 피스톤(130)과 밀착되며 소정의 충격음이 발생된다.
특히, 이와 같은 충격음은 종래에 상기 날개부(135b)가 상기 피스톤(130)의 전면과 면접촉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더 크게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피스톤(130) 및 상기 흡입밸브(134)가 비교적 감쇠계수(damping coefficient)가 작은 스틸, 알루미늉 등의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음이 더 크고 오래 전달되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압축기는 이와 같은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댐핑부재 및 댐핑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VIII-V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는, 상기 흡입포트(133)에 삽입되는 댐핑부재(20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댐핑부재(200)는 상기 피스톤(130) 및 상기 흡입밸브(135)보다 감쇠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댐핑부재(200)는 PEEK, CFRP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감쇠계수는 꼭 물성치 중 하나인 감쇠계수(damping coefficient)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전체적인 감쇠성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팽부재(200)는 상기 피스톤(130) 및 상기 흡입밸브(135)보다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댐핑부재(200)는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133)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흡입포트(133)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된다. 특히, 상기 댐핑부재(200)는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댐핑부재(200)의 외측은 상기 흡입포트(133)의 내측에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흡입포트(133)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200)의 내측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동공간(2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냉매는 상기 유동공간(202)을 따라 상기 흡입포트(133)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130)의 외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200)에는, 상기 흡입밸브(135)에 접하는 전단부를 포함하는 전방부(200a) 및 상기 전방부(200a)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부(200b)가 포함된다. 상기 전방부(200a)는 상기 흡입포트(133)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측을 의미하고, 상기 후방부(200b)는 냉매가 상기 흡입포트(133)으로 유입되는 측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후방부(200b)는 상기 전방부(200a)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200)에는 상기 전방부(200a)와 상기 후방부(200b)의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200c)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200c)는 상기 댐핑부재(200)의 두께가 변화되는 지점이며, 상기 전방부(200a)와 상기 후방부(200b)를 구분하는 지점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댐핑부재(200)의 형상은 상기 댐핑부재(200)를 상기 흡입포트(133)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댐핑부재(20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포트(133)의 내측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핑부재(200)는 상기 피스톤(13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전방부(200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입포트(13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밸브(135)와 접하는 전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상기 흡입밸브(135)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흡입밸브(135)와 상기 댐핑부재(200)간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댐핑부재(200)는 상기 날개부(135b)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200)에 의해 상기 날개부(135b)는 상기 피스톤(130)의 전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135b)가 상기 흡입포트(133)를 폐쇄하도록 복귀될 때, 상기 피스톤(130)과 밀착되지 않고 상기 댐팽부재(200)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댐핑부재(200)는 감쇠계수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상기 날개부(200b)와 상기 댐핑부재(200)의 접촉에 의한 충격음이 감쇠되며 비교적 멀리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날개부(135b)와 상기 댐핑부재(200)의 접촉면적이 적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충격음이 발생된다. 자세하게는, 종래에는 상기 날개부(135b)는 상기 피스톤(130)의 전단과 면접촉상태로 배치되었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날개부(135b)와 상기 댐핑부재(200)가 선접촉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매우 적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는, 상기 복수의 댐핑부재(200)가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133)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댐핑스토퍼(2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댐핑스토퍼(210)에는, 복수의 관통홀(212a)이 형성되는 원형의 안착부(212) 및 상기 안착부(212)의 중심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삽입결합부(214)가 포함된다.
상기 안착부(212)는 상기 피스톤(13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안착부(212)는 상기 흡입포트(133)가 형성되는 상기 피스톤(130)의 내측 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압축부(212)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관통홀(212a)은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133)에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관통홀(212a)은 상기 댐핑부재(200)의 내측에 형성된 유동공간(202)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관통홀(212a)은 상기 댐핑부재(20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피스톤(130) 내부로 유동된 냉매는 상기 관통홀(212a) 및 상기 유동공간(202)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2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관통홀(212a)을 통과하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212)에 의해 상기 댐핑부재(20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결합부(214)에 상기 체결공(134a)에 삽입된다. 특히, 상기 삽입결합부(214)는 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134a)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결합부(214)의 내측에는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가 삽입되는 결합공간(214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결합부(21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결공(134a)과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간(214a)의 후면도 개방되어 소정의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간(214a)에는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134)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흡입밸브(135) 및 상기 삽입결합부(214)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200)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댐핑스토퍼(210)는 상기 댐핑부재(2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핑스토퍼(210)는 감쇠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댐핑부재(20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더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댐핑부재(200)와 상기 댐핑스토퍼(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각 구성을 별도로 기재하였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조립이 편리하고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10 : 압축기 130 : 피스톤
133 : 흡입포트 134 : 밸브 체결부재
135 : 흡입밸브 200 : 댐핑부재
210 : 댐핑스토퍼

Claims (15)

  1. 압축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압축공간으로 냉매를 흡입시키는 복수의 흡입포트를 갖는 피스톤;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의 전면에 결합되는 흡입 밸브; 및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댐핑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상기 흡입밸브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피스톤보다 감쇠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는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의 외측은 상기 흡입포트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댐핑부재의 내측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에는,
    상기 흡입밸브에 접하는 전단부를 포함하는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부;가 포함되고,
    상기 후방부는 상기 전방부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에는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핑부재가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설치되는 댐핑스토퍼가 더 포함되는 리니어 압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스토퍼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형의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중심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삽입결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밸브를 상기 피스톤에 체결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는 밸브 체결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삽입결합부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결합부의 내측에는 상기 밸브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에 대응되어 위치되고, 상기 댐핑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유동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에는 상기 피스톤의 전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댐핑부재는 상기 복수의 날개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복수의 댐핑부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전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의 리니어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80004898A 2018-01-15 2018-01-15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90086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98A KR20190086849A (ko) 2018-01-15 2018-01-15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98A KR20190086849A (ko) 2018-01-15 2018-01-15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849A true KR20190086849A (ko) 2019-07-24

Family

ID=6748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898A KR20190086849A (ko) 2018-01-15 2018-01-15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68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134A (zh) * 2019-10-18 2019-12-20 青岛万宝压缩机有限公司 一种直线压缩机用活塞与吸气阀组件、压缩机
KR20220057857A (ko) 2020-10-30 2022-05-09 홍재의 벨크로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134A (zh) * 2019-10-18 2019-12-20 青岛万宝压缩机有限公司 一种直线压缩机用活塞与吸气阀组件、压缩机
KR20220057857A (ko) 2020-10-30 2022-05-09 홍재의 벨크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493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53859A (ko) 리니어 압축기
EP3346127B1 (en) Linear compressor
US20220136492A1 (en) Linear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EP3343033B1 (en) Linear compressor
US11248594B2 (en) Linear compressor
KR101990138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90140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390176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93526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90086849A (ko)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80431B1 (ko) 압축기
KR101990146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59660B1 (ko) 리니어 압축기
CN110894828B (zh) 线性压缩机及冰箱的控制方法
KR101990136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80077774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209350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162335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200127463A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89036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24069B1 (ko) 압축기
KR20200053781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20092022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10009407A (ko) 리니어 압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