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450A -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 디스펜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 디스펜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450A
KR20190086450A KR1020197013840A KR20197013840A KR20190086450A KR 20190086450 A KR20190086450 A KR 20190086450A KR 1020197013840 A KR1020197013840 A KR 1020197013840A KR 20197013840 A KR20197013840 A KR 20197013840A KR 20190086450 A KR20190086450 A KR 2019008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processing unit
data processing
dispensing station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948B1 (ko
Inventor
이반 마드센
토마스 크라머
Original Assignee
호베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베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호베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8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4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44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by checking a correct coupling or coded information
    • B67D7/348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by checking a correct coupling or coded information by interrogating an information transmitter, e.g. a transpo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70Bear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7/00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08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with mechanical drive, other than directly by springs or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9/00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 F16N29/02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for influencing the supply of lubrica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7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flow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F03D7/047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r architecture, e.g. multiple processors or data commun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컨트롤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를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를 구비하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이다.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적어도 컨테이너와 관련된다.

Description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 디스펜싱 시스템
본 발명은 디스펜싱(dispensing) 스테이션 및 디스펜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기계 또는 그 부품과 같은 대상물에 윤활유를 분배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기계 또는 그 부품들은 예를 들어, 풍력 발전용 터빈들일 수 있다.
기계들은 윤활유 없이는 적절하게 작동할 수 없다. 만약 기계들 또는 그 부품들이 윤활유를 공급받지 못하면, 그것들은 마르게 되고, 최악의 경우 파괴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기계들은 윤활장치를 이용하여 윤활유가 자주 공급되어야만 한다. 다양한 윤활장치들이 윤활 업계에 알려져 있다. 일부는 고정식이고 일부는 이동식이다. 일부는 자동인 반면 다른 것들은 반-자동이다. 이동식 솔루션들은 완전히 비-자동인 경향이 있다.
자동 또는 반-자동 솔루션들은 여러가지 방식들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윤활장치들은 기계가 윤활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기계들에 결합된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윤활장치들은 유활유의 함량이 낮거나 컨테이너가 소진되었음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에 결합되는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과 무관하게, 알려진 윤활장치들의 센서(들)는 폐회로에 결합됨으로써, 작동-조건의 만족 여부를 센서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윤활장치는 예를 들어, 윤활유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컨테이너 내의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온도가 센서 내의 미리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높으면, 윤활장치는 윤활유를 분배할 수 있다.
센서 입력/출력에 기반하는 센서들과 작동들의 다양한 시나리오들은 윤활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센서 기반 윤활장치들에 따른 문제는, 예를 들어, 작동 조건들이 특정의 작업 조건에 부합하도록 일반적으로 공장 출하 시부터 미리-정의된다는 것이다.
미리-정의된 설정들 따라서, 미리-정의된 작동 조건들은 요구되는 작업 조건들과 때로는 부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들 등의 미리-정의된 작동 조건들은 특수한 작업들, 기계들 또는 윤활유들에 맞춰서 변경이 요구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솔루션들은 예를 들어, 센서들의 미리-정의된 작동 조건들을 공장 단계에서 재-정의하는 것이다. 다른 솔루션들은 센서의 미리-정의된 작동 조건들을 사용자 단계에서 재-정의하는 것이다. 이것은 센서의 기술적 지식을 사용하여 때로는 가능할 수도 있고, 때로는 불가능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자동 또는 반-자동 윤활장치들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대체로 센서(들)에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센서들은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 또는 센서의 어느 하나에 결합된 메모리를 구비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메모리는 안정성 문제들 및 부적절한 작업 조건들을 방지하기 위해 공장 단계에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윤활장치들 내의 센서들의 조작 특히, 미리-정의된 작동 조건들의 조작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조건(들)에 대한 용이한 접속은 안정성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금지된다.
본 발명은, 안정성과 타협하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윤활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품들의 조건들이 용이하게 정의 또는 재-정의되는 윤활장치 특히, 반-자동 또는 자동 윤활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
제1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대상물(target)에 윤활유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개시한다.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윤활유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떼어낼 수 있게 배치된 컨테이너(container); 디스펜서와 컨테이너에 연결된 펌프; 및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컨트롤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태블릿, 스마트폰, 랩탑, 또는 근접장(near field) 커플링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함께 구성비된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컨테이너에 관련된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제2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컨테이너에 관련된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더 구성됨으로써, 그러한 매칭이 유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를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대상물에 윤활유를 분배시키도록 구성되고, 또는 그러한 매칭이 무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컨트롤러에 대한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의 전송을 거부하여 대상물에 윤활유가 분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디스펜서는 윤활유를 분배하기 위한 호스(hose) 또는 총(gun)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펜서는 호스에 연결된 총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이동식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고정식 디스펜싱 스테이션들 내의 컨트롤러로 명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어 파라미터들과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 모두를 이동식 디스펜싱 스테인션 또는 고정식 디스펜싱 스테이션들의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윤활장치들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들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이동식 윤활 스테이션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고정식 윤활 스테이션들의 어느 하나의 용이한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어 파라미터들을 전송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전송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장점은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그의 조건 파라미터들의 면에서 용이하게 재구성한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데이터 처리 유니트에서 수신된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에 관련된 특징들은, 윤활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품들(적어도 컨테이너)의 조건이 용이하게 정의 또는 재-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즉,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유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형태,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밀도,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점도,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양, 및 컨테이너의 사용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이기 때문에,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용이하게 정의할 수 있다.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의 변경은 예를 들어,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들은 암호가 설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안정성과 타협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영구 기억장치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일부일 필요가 없다. 사실상,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들은 작동하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영구 기억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제2 조건 파라미터들은 그러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조건 파라미터는 판독가능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작동 성질들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개시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자동 또는 자동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본 개시에서 더 강조될 것이다.
개시된 바와 같은 전형적인 윤활장치들은 내부의 영구 기억장치와 내부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와 통신하는 대신에 유용하게 변경될 수 있고, 기존의 센서(들)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와 통신하기 위해 재-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기존의 윤활장치들 내의 기존의 센서(들)의 출력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에 전용될 수 있고, 거기서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통신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건 파라미터들이 용이하게 정의되는 윤활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이 마련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프로세싱 유니트가 윤활 스테이션의 표준화된 부분인 윤활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제2 측면
제2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디스펜싱 시스템을 개시한다. 디스펜싱 시스템은, 제1 측면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디스펜싱 스테이션;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디스펜싱 시스템의 장점들은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위한 것과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의 일부로서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 디스펜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펜싱 스테이션과 디스펜싱 시스템의 특징들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제1 및 2 조건 파라미터 세트들과 명령 파라미터(들)
일 실시예에서,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 및/또는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형태,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밀도,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점도,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양, 및 컨테이너의 사용 시간 중 하나 이상이다.
전술한 윤활장치들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센서들 내의 내장(build-in) 파라미터들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에 수신될 때, 예를 들어, 조건 파라미터의 다른 세트에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칭이 수행될 때까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 및/또는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저장하는, 캐시(cache)와 같은, 임시 기억장치가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명령 파라미터(들)는, 윤활유의 양, 윤활유의 유동률, 펌프의 압력, 및 펌프의 속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윤활유의 양은 부피의 면에서 리터, mL일 수 있고, 질량의 면에서 예를 들어 kg, 그램, 또는 mg일 수 있다. 컨트롤러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이러한 단위들에 응답하도록 상응하게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제2 통신 디바이스
일 실시예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태그 리더기(tag reader)이고, 태그 리더기는 컨테이너와 연관된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태그 리더기이고, 태그 리더기는 컨테이너와 연관된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태그는 컨테이너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태그는 컨테이너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컨테이너와 연관된 라벨(label)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디바이스이다. 라벨은 컨테이너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라벨은 컨테이너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동으로 정의하도록 구성된 수동 입력 디바이스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이하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단일의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태블릿, 스마트폰, 랩탑, 또는 근접장 커플링 또는 블루투스와 함께 구성된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이다. 바람직하게,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사용자에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되면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거나, 컨트롤러에 대한 입력을 적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스마트 시계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팔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더 일반적으로 리모콘일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a)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식별하라는 적어도 하나의 요청을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b)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식별했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근접장 커플링과 같은 접속이 수립될 때,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은 자동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펜싱 스테이션에게 메시지를 발송함으로써 요청이 개시될 수 있다.
응답은 "예", 숫자, 또는 ID 코드와 같은 메시지일 수 있다. 숫자 또는 ID 코드는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중앙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중앙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에 가서 예를 들어, 어느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사용되고 있거나 사용되었는지 볼 수 있다. 숫자 또는 ID 코드는 예를 들어,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응답은 "당신은 디스펜싱 스테이션 번호 42에 연결을 원하는 것이 확실합니까?"의 대사가 따라 붙을 수 있다. 질문 형태의 응답을 수신하면, 사용자는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용 또는 불-수용 값을 돌려보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대상물과 관련된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고, 제3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대상물과 관련된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것은 추가적인 사람의 실수를 방지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더 구성되고, 만약 매칭이 유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을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대상물에 윤활유가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또는 만약 매칭이 무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을 컨트롤러로 전송시키지 않고 대상물에 윤활유가 분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시, 이것은 추가적인 사람의 실수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디스펜서가 대상물에 매우 가까울 때,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분배만 하도록 제공한다. 만약, 2개 이상의 대상물들이 서로 가깝게 배치되고, 예를 들어, 2개의 대상물들이 상이한 윤활유들이 필요하면, 디스펜서를 보유하는 사용자는 어느 대상물이 윤활유의 일 형태를 필요로 하고 또는 다른 대상물이 다른 형태의 윤활유를 필요로 하는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디스펜서를 대상물에 가깝게 단지 배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윤활유의 형태가 정확하면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윤활유를 분배한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통해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과 상기 조건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만약 제1 통신 디바이스가 휴대폰이면, 수신기는 근접장 커플링 수신기, 블루투스 수신기, 및/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휴대폰들에 의해 전송될 때 주파수들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에 또는 중앙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펌프가 제어되는 방식에 기반하는 상태 보고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컨트롤러의 출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컨트롤러의 출력은 펌프에 대한 입력으로서 정의된다.
대부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상태 보고서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태 보고서는 윤활유가 분배되는지 여부의 표시일 수 있다. 또한, 상태 보고서는 분배된 윤활유의 양, 펌프가 사용된 시간일 수 있다.
제3 통신 디바이스
일 실시예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서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태그 리더기이고, 태그 리더기는 대상물과 연관된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대상물과 연관된 라벨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디바이스이다.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동으로 정의하도록 구성된 수동 입력 디바이스이다.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태블릿, 스마트폰, 랩탑, 또는 근접장 커플링 또는 블루투스와 함께 구성된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제3 통신 디바이스는 사람의 실수가 제한되는 윤활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제3 및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
일 실시예에서,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 및/또는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기계의 형태, 기계 부품의 형태, 및 기계의 위치 중에서 하나 이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위치확인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고, 위치확인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또는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에 위치된다.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의 구비는, 예를 들어,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이동식이고 사용자가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또는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이동시킬 때,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또는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좌표(coordinate) 설정의 변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디스펜싱 스테이션 일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이동식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수의 고정식 디스펜싱 스테이션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단일의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다수의 대상물들에 예를 들어, 하나의 대상물에 하나씩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고정식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식 디스펜싱 스테이션(들)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디스펜싱 스테이션(들) 부근에 있기를 원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사용자는 디스펜싱 스테이션(들)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윤활유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윤활유는 추적(tracer)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윤활유를 대상물에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싱 스테이션과 관련될 수 있고, 윤활유는 추적 물질을 포함한다. 디스펜싱 스테이션에서 추적 물질을 사용하면,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디텍터를 통해 감지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디텍터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링크될 수 있다. 컨테이너의 내용물 예를 들어,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형태와 관계된 제2 조건 파라미터들은 제2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펜싱 시스템 및 통신 디바이스들
제2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예시적인 디스펜싱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제3 통신 디바이스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련하여 개시된 바와 같이 상태를 기록(logging)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 보고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중앙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태 보고서는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펜싱 시스템은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과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중앙 통신 스테이션을 더 구비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와 디스펜싱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는 제3 통신 디바이스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특정의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대상물 내 또는 그 위에 예를 들어, 기계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다. 이렇게 하여,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은 대상물로부터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 이것은 완전한 자동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Example 1- 디스펜싱 시스템의 일부로서 디스펜싱 스테이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의 일부로서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1)의 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펜싱 스테이션(1)은 대상물(2)에 윤활유를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펜서(3)는 디스펜싱 스테이션(1)으로부터 윤활유를 대상물(2)에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디스펜서(3)는 디스펜싱 스테이션(1)을 대상물(3)에 연결하는 호스이다. 나아가서, 컨테이너(4)는 디스펜싱 스테이션(1) 내에 떼어 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디스펜싱 스테이션(1)은 펌프(5)와 펌프(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6)를 더 구비한다.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컨트롤러(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를 더 구비한다. 이 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위치되고, 특히 컨트롤러(6)에 통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로부터의 명령 파라미터(들)는 컨트롤러로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컨트롤러 내에 통합되더라도,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명령 파라미터(들)의 형태로 컨트롤러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컨트롤러의 일부에 통합되어 있는지와 무관하게, 명령 파라미터(들)가 처리 유니트로부터 컨트롤러로 전달되는지 여부를 허용하거나 거부하도록 프로그램된다. 폐회로 및/또는 집적 회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그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정보 또는 명령들의 통과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안내될 수 있거나 안내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의 어느 하나의 형태)은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 내부의 폐루프에서 명령이 순환되게 함으로써 다른 위치(컨트롤러와 같이)로의 접속이 거부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는 제1 통신 디바이스(9)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9)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통신 디바이스(9)는 무선 디바이스, 이 예에서, 도면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와 함께 구성된 스파트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 디바이스(9)는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하고, 따라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는 제1 통신 디바이스(9)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 수신기(10)를 통해 상기 명령(들)(8)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는 제1 통신 디바이스(9)를 통해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11)를 더 수신하고,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11)는 적어도 컨테이너(4)에 관련된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는 제2 통신 디바이스(13)를 통해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12)를 더 수신하고,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적어도 컨테이너(4)에 관련된다. 이 예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13)는 디스펜싱 스테이션(1)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태그 리더기이고, 태그 리더기는 컨테이너(4)와 연관된 태그(14)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태그(14)는 컨테이너(4) 상에 배치된다. 비록, 도 1에서는 볼 수 없지만,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는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더 구성되고, 이렇게 하여, 만약 매칭이 유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8)을 컨트롤러(6)로 전송하여 윤활유가 대상물로(2)로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또는 만약 매칭이 무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8)이 컨트롤러로 전송되지 않도록 해서 윤활유가 대상물(2)로 분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사람의 실수가 방지되도록 최적화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7)는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대상물(2)과 관련된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15)를 수신하고, 제3 통신 디바이스(17)를 통해 대상물(2)과 관련된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16)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스캐닝 디바이스 특히, 대상물(2)과 연관된 라벨(18) 즉, 바코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바코드 판독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스테이션(1), 제1 통신 디바이스(9) 및 제2 통신 디바이스(13)를 구비하는 디스펜싱 시스템(19)이 제공된다.
디스펜싱 시스템(19)은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8)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11)를 제1 통신 디바이스(9)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중앙 통신 스테이션(20)을 더 구비한다.
Example 2 - 이동식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반-자동 모드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즉, 컨테이너 내에 요구되는 형태의 유활유가 존재할 때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윤활유를 분배하기만을 사용자가 원하면,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하나의 형태의 윤활유로 설정된다.
윤활유의 형태는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에 명시되고, 그로부터 윤활유의 형태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로 전달된다. 사용자는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에 무선으로 연결된 태블릿을 사용하여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용이하게 구성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구성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및/또는 엔지니어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 또는 미리-설정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어떤 형태의 윤활유가 존재하는지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아직 모를 수 있고, 따라서 아직은 윤활유를 분배할 수 없다.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요구되는 형태의 윤활율를 가진 컨테이너를 구비한다는 사실을 디스펜싱 스테이션에게 알려주면,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윤활유를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의 컨테이너를 쳐다 보고, 라벨이 "그리스(grease) A"를 표시하는지 본다. 사용자는 제2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이 경우, 예를 들어, 디스펜싱 스테이션 상에 위치된 수동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이것을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로서 수동으로 입력한다. 사용자가 라벨을 정확하게 읽고 그것을 정확하게 입력하기 때문에,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윤활유를 분배할 수 있다.
이제, 사용자는 주어진 기계 부품에 0.2L의 윤활유를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분배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태블릿을 이용하여 0.2L의 윤활유의 양을 하나의 명령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태블릿은 이것을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로 전송한다. 그 다음, 윤활유는 대상물로 분배된다.
이러한 예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이용하여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입력해야 하고, 최종적으로 디스펜싱 스테이션에게 명령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윤활유를 분배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강요당한다. 이 예는 그 어떤 점검이 없이는 요구되는 윤활유를 사용자가 바로 분배할 수 없는 것을 보여준다.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사용자가 실제로 윤활유의 분배를 원한다는 것을 적어도 2중으로 점검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예는 제2 통신 디바이스가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원격 제어로서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서, 이 예는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가 동시에 수신될 필요가 없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예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만약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예를 들어,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의 임시 기억장치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되거나,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으로 하드 드라이브 또는 서브 상에 저장하도록 구성되거나, 만약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예를 들어, 임시 기억장치 내에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면,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은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다.
Example 3 - 이동식 디스펜싱 시스템의 반-자동 모드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즉, 컨테이너 내에 원하는 형태의 윤활유가 존재할 때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윤활유를 분배하기만을 관리자가 원하면,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윤활유의 그러한 형태로 설정된다. 이 예에서, 관리자는 사용자가 아니라, 관리자가 사람의 실수를 제한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요구되는 바와 같이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설정될 필요가 있음을 중앙 통신 스테이션에 있는 엔지니어에게 명령한다. 엔지니어는 윤활유의 형태로서의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제1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사용자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식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취한다. 디스펜싱 스테이션과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서로 가까운 근처에 있으면,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로 전송된다.
사용자가 이동식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컨테이너들의 웨어 홀(ware hall)로 가지고 와서 엔지니어에 의해 설정된 윤활유의 형태와 매칭되지 않는 윤활유의 형태를 가진 컨테이너를 잘못 배치하면, 다음 단계가 발생한다. 컨테이너 내부의 태그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의 태그 리더기에 의해 판독된다. 태그는 윤활유의 형태를 포함하고 따라서 태그 리더기는 컨테이너 내에 있는 윤활유의 형태를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대상물로 이송하고,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부터 0.2L의 윤활유가 분배되어야 함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그 리더기에 의해 통신된 바와 같은 윤활유의 형태가 엔지니어에 의해 특정된 바와 같은 윤활유의 형태와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 윤활 스테이션은 윤활유를 대상물에 분배하지 않는다.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태 보고서를 수신하고, 그것으로부터 사용자는 윤활유가 정확한 형태가 아님을 읽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컨테이너를 정확한 컨테이너로 배치하고,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부터 0.2L의 윤활유가 분배되어야 함을 전송할 수 있다. 2개의 파라미터들 사이에 매칭이 존재하기 때문에,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윤활유를 분배한다.
이 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펌프가 제어되는 방식에 기반하여 상태 보고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태 보고서를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0.2L의 윤활유가 분배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보고서는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추가적인 정보는 '이것은 숫자 42로서 식별된 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었음'일 수 있다.
나아가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태 보고서를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든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고, 디스펜싱 스테이션 예를 들어, 숫자 42가 어떻게 작동되었는지를 볼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보고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중앙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이 더 제공된다.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태 보고서를 무선으로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를 통해 중앙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태 보고서를 유선 연결을 통하여 전송한다.
디스펜싱 스테이션들의 모니터링은 중앙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의 접속에 의해 상응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디스펜싱 스테이션들의 유지보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상응하게 가능할 수 있다.
이 예는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가 동시에 수신될 필요가 없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본 예에 관련하여, 만약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예를 들어,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의 임시 기억장치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되거나,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된 하드 드라이브 또는 서브에 저장하도록 구성거나, 또는 만약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예를 들어, 임시 기억장치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면,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은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다.
Example 4 - 이동식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반-자동 모드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즉, 컨테이너 내에 원하는 형태의 윤활유가 존재할 때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윤활유를 분배하기만을 관리자가 원하면,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윤활유의 그러한 형태로 설정된다. 이 예에서, 관리자는 사용자가 아니고, 관리자는 사용자 팩터들에 의존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관리자는 요구되는 바와 같이 디스펜싱 스테이션이 설정될 필요가 있음을 중앙 통신 스테이션에 있는 엔지니어에게 명령한다. 엔지니어는 윤활유의 형태로서의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제1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컨테이너를 정확한 컨테이너로 배치하고,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부터 0.2L의 윤활유가 분배되어야 함을 전송한다. 2개의 파라미터들 사이에 매칭이 존재하기 때문에,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윤활유를 분배한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 아무 것도 분배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대상물과 관련된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제3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대상물과 관련된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매칭되지는 여부를 점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만약 매칭이 유효하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컨트롤러로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의 전송하여 대상물로 윤활유가 분배되게 구성되고, 만약 매칭이 무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를 컨트롤러로 전송하지 않고 대상물로 윤활유가 분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엔지니어는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함께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기계 부품으로 설정되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붙잡고 디스펜스를 특정의 기계 부품 부근에 배치한다. 이 예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서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태그 리더기이고, 태그 리더기는 대상물과 연관된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태그는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 이 경우, 기계 부품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기계 부품에 매우 가깝게 유지하기 때문에, 태그는 태그 리더기에 의해 판독된다. 따라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고,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매칭을 수행한다. 그 후,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윤활유를 분배할 수 있다.
사용자는 0.2L의 윤활유가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배되어야 함을 다시 전송한다. 이제,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매칭이 있기 때문에,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윤활유를 분배한다.
이 예는 사용자가 디스펜싱 스테이션을 작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특정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를 기계 부품에 배치시키고 정확한 형태의 윤활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윤활유를 분배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나아가서, 이 예는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이 동시에 수신될 필요가 없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관련하여, 만약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예를 들어,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의 임시 기억장치 내에, 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된 하드 드라이브 또는 서브에 저장하도록 구성거나, 또는 만약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예를 들어, 임시 기억장치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면,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은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내용은 이어지는 항목들에 의해 설명된다.
항목들
1. 대상물에 윤활유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 윤활유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떼어낼 수 있게 배치된 컨테이너;
- 컨테이너와 디스펜서에 연결된 펌프;
-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및
- 컨트롤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태블릿, 스마트폰, 랩탑, 또는 근접장 커플링 또는 블루투스와 함께 구성된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인,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를 수신하고,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컨테이너에 관련된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고, 제2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컨테이너에 관련된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를 구비하고,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더 구성됨으로써,
- 만약 매칭이 유효인 경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를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윤활유가 대상물로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또는
- 만약 매칭이 무효인 경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를 컨트롤러로 전송하지 않고 윤활유가 대상물로 분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2. 항목 1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 및/또는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형태,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밀도,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점도,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양, 및 컨테이너의 사용 시간 중 하나 이상이다.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는, 윤활유의 양, 윤활유의 유동율, 펌프의 압역, 펌프의 속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4.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태그 리더기이고, 태그 리더기는 컨테이너와 연관된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5.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 태그 리더기이고, 태그 리더기는 컨테이너와 연관된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6.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컨테이너와 연관된 라벨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디바이스이다.
7.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동으로 정의하도록 구성된 수동 입력 디바이스이다.
8.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식별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청을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식별했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9.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대상물과 관련된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대상물과 관련된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제3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10.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더 구성됨으로써,
- 만약 매칭이 유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을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윤활유가 대상물로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 만약 매칭이 무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을 컨트롤러로 전송시키지 않고 윤활유가 대상물로 분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11.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서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태그 리더기이고, 태그 리더기는 대상물과 연관된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12.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대상물과 연관된 라벨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디바이스이다.
13.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동으로 정의하도록 구성된 수동 입력 디바이스이다.
14.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 및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기계의 형태, 기계 부품의 형태, 및 기계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이다.
15. 항목 14에 따른 디스펜션 스테이션으로서,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과 같은 위치확인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고, 위치확인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또는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에 위치된다.
16.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2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제3 통신 디바이스는 태블릿, 스마트폰, 랩탑, 또는 근접장 커플링 또는 블루투스와 함께 구성된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이다.
17.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이하다.
18.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통해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와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19.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위치된다.
20.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21.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에 위치된다.
22.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펌프가 제어되는 방식에 기반하여 상태 보고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23.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상태 보고서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24. 선행하는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디스펜싱 스테이션은 이동식이다.
25.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 항목 1 내지 항목 24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
-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 제2 통신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26. 항목 25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항목 1 및 항목 9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 제3 통신 디바이스를 더 구비한다.
27. 항목 25 또는 항목 26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항목 22에 따른 상태 보고서를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28. 항목 25 내지 항목 27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항목 22에 따른 상태 보고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중앙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을 더 구비한다.
29. 항목 25 내지 항목 28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 및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중앙 통신 스테이션을 더 구비한다.
30. 항목 25 내지 항목 29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기계 또는 기계의 부품인 대상물을 더 포함한다.
31. 항목 25 내지 항목 30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제2 통신 디바이스는 항목 4-7 및 16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다.
32. 항목 25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항목 11-13 및 16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다.
33. 항목 25 내지 항목 32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대상물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다.
1...디스펜싱 스테이tus 2...대상물
3...디스펜서 4...컨테이너
5...펌프 6...컨트롤러
7...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 8...명령 파라미터
9...제1 통신 디바이스 10...블루투스 수신기
11...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 12...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
13...제2 통신 디바이스 14...태그
15...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 16...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
17...제3 통신 디바이스 18...라벨
19...디스펜싱 시스템 20...중앙 통신 스테이션

Claims (15)

  1. 대상물에 윤활유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으로서,
    - 윤활유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떼어낼 수 있게 배치된 컨테이너;
    -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컨테이너에 연결된 펌프;
    - 상기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및
    -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태블릿, 스마트폰, 랩탑, 또는 근접장 커플링 또는 블루투스와 함께 구성된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인,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명령 파라미터(들)를 수신하고, 적어도 컨테이너에 관련된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적어도 컨테이너에 관련된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제2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상기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더 구성됨으로써,
    - 만약 매칭이 유효인 경우,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윤활유를 대상물로 분배시키도록 구성되고, 또는
    - 만약 매칭이 무효인 경우,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지 않고 윤활유가 대상물로 분배되지 않도록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 및/또는 상기 제2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형태,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밀도,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점도, 상기 컨테이너 내의 윤활유의 양, 및 컨테이너의 사용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인, 디스펜싱 스테이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태그 리더기(tag reader)이고, 상기 태그 리더기는 상기 컨테이너와 연관된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 상기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식별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청을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 상기 디스펜싱 스테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식별했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 대상물과 관련된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 대상물과 관련된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제3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6. 청구항 5에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가 상기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더 구성됨으로써,
    - 만약 매칭이 유효이면,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윤활유가 대상물로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 만약 매칭이 무효이면,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시키지 않고 윤활유가 대상물로 분배되지 않도록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서,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펜서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태그 리더기이고, 상기 태그 리더기는 대상물과 연관된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3 조건 파라미터 세트 및/또는 상기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기계의 형태, 기계 부품의 형태, 및 기계의 위치 중에서 하나 이상인, 디스펜싱 스테이션.
  9. 청구항 8에서,
    상기 제4 조건 파라미터 세트는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과 같은 위치확인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위치확인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또는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에 위치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내에 위치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펌프가 제어되는 방식에 기반하여 상태 보고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상기 상태 보고서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디스펜싱 스테이션.
  13.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펜싱 스테이션;
    -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 제2 통신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디스펜싱 시스템.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청구항 11에 따른 상태 보고서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싱 시스템.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서,
    상기 명령 파라미터(들) 및 상기 제1 조건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중앙 통신 스테이션을 더 구비하는, 디스펜싱 시스템.
KR1020197013840A 2016-11-25 2017-11-15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 디스펜싱 시스템 KR102487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200774.4 2016-11-25
EP16200774 2016-11-25
PCT/EP2017/079319 WO2018095780A1 (en) 2016-11-25 2017-11-15 A dispensing station and a dispens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450A true KR20190086450A (ko) 2019-07-22
KR102487948B1 KR102487948B1 (ko) 2023-01-11

Family

ID=5751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840A KR102487948B1 (ko) 2016-11-25 2017-11-15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 디스펜싱 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530689B2 (ko)
EP (1) EP3544925B1 (ko)
JP (1) JP2020518769A (ko)
KR (1) KR102487948B1 (ko)
CN (1) CN110035973B (ko)
AU (1) AU2017365199B2 (ko)
BR (1) BR112019010309B1 (ko)
CA (1) CA3043861A1 (ko)
CL (1) CL2019001395A1 (ko)
DK (1) DK3544925T3 (ko)
ES (1) ES2886273T3 (ko)
MA (1) MA46925A (ko)
MX (1) MX2019006055A (ko)
MY (1) MY196901A (ko)
WO (1) WO2018095780A1 (ko)
ZA (1) ZA2019032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A46925A (fr) * 2016-11-25 2019-10-02 Hove As Station de distribution et système de distribution
US11732842B2 (en) * 2018-07-24 2023-08-22 DUALCO, Inc. Lubrication unit management system
WO2020169748A1 (en) * 2019-02-20 2020-08-27 Hove A/S A system configured for unit replacement at a target
US20230003341A1 (en) * 2019-12-09 2023-01-05 Hove A/S Pressure controlled grease pump
DE102020204240A1 (de) * 2020-04-01 2021-10-07 Sms Group Gmbh Wächter für Handschmierstellen an rotierenden oder bewegten Bauteilen und System sowie Verfahren zur Überwachung von Abschmiervorgängen an Handschmierstellen
TWM621185U (zh) * 2021-09-08 2021-12-11 多加欣業有限公司 注脂系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1629B1 (en) * 1996-11-01 2002-01-29 Bp Oil International Limited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40112917A1 (en) * 2002-12-12 2004-06-17 Groesbeck R. Clay Drink dispensing cart and water packaging and supply system
US20120245729A1 (en) * 2011-03-24 2012-09-27 Gojo Industries, Inc. Network enabled dispenser
US20140129038A1 (en) * 2012-11-08 2014-05-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Cross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with Fluid Product ID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2723B (it) * 1987-03-31 1989-02-09 Massimo Sanna Sistema e dispositivo per far erogare quantita' prefissate di liquido da una pompa dosatrice in regime di portata variabile
US7181361B2 (en) * 2005-01-14 2007-02-20 Flying J, Inc. Collecting and communicating temperature and volume data directly from a dispenser
CN2879546Y (zh) * 2006-03-27 2007-03-14 同济大学 基于电子标签的加油机信息管理装置
US8485233B2 (en) * 2007-11-08 2013-07-16 Chevron U.S.A. Inc. Bio-fuels vehicle fueling system
US8646313B2 (en) * 2009-06-22 2014-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lubrication for a plug-in hybrid
US9140407B2 (en) * 2010-11-29 2015-09-22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Pump having stirrer and direct feed
WO2013029164A1 (en) 2011-08-30 2013-03-07 Stephania Holdings Inc. Methods of controlling a lubricator apparatus, methods of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and systems
DE102013203263A1 (de) * 2013-02-27 2014-08-28 Skf Lubrication Systems Germany Ag Vorrichtung zur Schmierstoffzufuhr zu einer Schmierstelle in einer Maschine
TW201525289A (zh) * 2013-08-07 2015-07-01 Graco Minnesota Inc 電子泵馬達控制
SE1550049A1 (sv) * 2015-01-21 2016-07-22 Osakeyhtiö Skf Ab System, method &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024494B2 (en) * 2015-08-17 2018-07-17 CanServ, LLC Lubr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5329192A (zh) 2015-12-01 2016-02-17 贵州大学 一种汽车自动加油的方法及系统
US9813000B2 (en) * 2015-12-18 2017-11-07 Sirius Instrumentation And Controls In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accuracy of chemical injection pumps
JP2019505797A (ja) * 2016-01-18 2019-02-28 グラコ ミネソタ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継続的な貯留槽レベルの監視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WO2018071960A1 (en) * 2016-10-17 2018-04-26 VAP Australia Pty Ltd A bearing lubrication application control system
US20190263341A1 (en) * 2016-11-02 2019-08-29 Graco Minnesota Inc. Vehicle adaptive automatic lubrication
MA46925A (fr) * 2016-11-25 2019-10-02 Hove As Station de distribution et système de distribution
CN113753839B (zh) * 2017-10-09 2023-12-05 纳普科有限责任公司 用于液体产品递送车辆的控制系统
US11732842B2 (en) * 2018-07-24 2023-08-22 DUALCO, Inc. Lubrication unit management system
US20200309319A1 (en) * 2019-03-28 2020-10-01 Jason Pitcher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On-demand Lubricating of Industrial Valves
CA3080175A1 (en) * 2019-05-03 2020-11-03 Gjr Meyer Service, Inc. Grease manifol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1629B1 (en) * 1996-11-01 2002-01-29 Bp Oil International Limited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40112917A1 (en) * 2002-12-12 2004-06-17 Groesbeck R. Clay Drink dispensing cart and water packaging and supply system
US20120245729A1 (en) * 2011-03-24 2012-09-27 Gojo Industries, Inc. Network enabled dispenser
US20140129038A1 (en) * 2012-11-08 2014-05-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Cross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with Fluid Product ID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46925A (fr) 2019-10-02
BR112019010309A2 (pt) 2019-09-03
CL2019001395A1 (es) 2019-09-13
CN110035973A (zh) 2019-07-19
CN110035973B (zh) 2021-11-19
MX2019006055A (es) 2019-07-10
AU2017365199B2 (en) 2020-06-25
JP2020518769A (ja) 2020-06-25
WO2018095780A1 (en) 2018-05-31
US20200063719A1 (en) 2020-02-27
MY196901A (en) 2023-05-09
ZA201903236B (en) 2020-09-30
EP3544925B1 (en) 2021-05-26
ES2886273T3 (es) 2021-12-16
KR102487948B1 (ko) 2023-01-11
DK3544925T3 (da) 2021-08-09
CA3043861A1 (en) 2018-05-31
US11530689B2 (en) 2022-12-20
AU2017365199A1 (en) 2019-06-06
BR112019010309B1 (pt) 2023-12-19
EP3544925A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948B1 (ko) 디스펜싱 스테이션 및 디스펜싱 시스템
CN106054823B (zh) 用于过程控制系统中的多模式rfst通信的方法和装置
US9578446B2 (en) Method as well as system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11199293B2 (en) Grease gun and network
EP2264642B1 (en) Data exchange with a man-machine-device using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CN105513296A (zh) 一种智能防丢系统及方法
EP32643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commissioning, testing, and maintaining a fire alarm control panel via a mobile device
RU2728726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для сбора данных от локализованных датчиков
KR20160112048A (ko) 비콘을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US89171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KR101239526B1 (ko) 지그비와 rfid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와그 시스템
US20160098673A1 (en) Rfid tag cylinder inventory control system
US1149882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airing kegs and taps
KR20190051408A (ko)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가스용기 출납 모니터링시스템
KR101720254B1 (ko) 사물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91138A (ko) 제품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2017035097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unter device for a fluid, counter device and counter system
US20210350195A1 (en) Alarm system component with unpowered event detection
US20190333043A1 (en) Data transmission from a vending machine through customers' cellular devices
CN114518730A (zh) LoRaWAN的区域参数化
KR20160149950A (ko) 스마트폰 고유 아이디 맵핑을 통한 사용자인식 위콘 무선단말기 및 그 시스템
KR20140074511A (ko) 컨테이너 정보 제어 시스템 및 컨테이너 정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