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31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319A
KR20190086319A KR1020180004701A KR20180004701A KR20190086319A KR 20190086319 A KR20190086319 A KR 20190086319A KR 1020180004701 A KR1020180004701 A KR 1020180004701A KR 20180004701 A KR20180004701 A KR 20180004701A KR 20190086319 A KR20190086319 A KR 20190086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sch
communication system
slot
prb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현
김철순
이정훈
김민현
김지형
박주호
예충일
이준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0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6319A/ko
Publication of KR2019008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또는, LTE-A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new radio))이 고려되고 있다. NR은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고, LTE에 비해 다양한 통신 서비스 및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NR의 요구사항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NR과 같이 넓은 주파수 대역과 광범위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전송 방식이 요구되며, 특히 무선 링크 품질(radio link quality)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설정 방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등이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통해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노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노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은 아래 표 1과 같이 다양한 뉴머롤러지(numerology)(예를 들어, 다양한 파형(waveform) 파라미터 집합)를 지원할 수 있다. 표 1은 LTE에서 규정된 일반 CP(예를 들어, LTE과 동일한 CP 오버헤드(overhead))가 적용된 뉴머롤러지를 나타낼 수 있고, CP-OFDM이 사용되는 경우에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간격과 CP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구현 복잡도를 낮추기 위한 목적 및 이종 뉴머롤러지들 간의 동작(예를 들어, 캐리어 집성(CA) 동작, 이중 연결성(DC) 동작, 하나의 캐리어 내에서 이종 뉴머롤러지의 다중화 동작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표 1에서 서브캐리어 간격들 간에 2의 지수배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뉴머롤러지 #1은 LTE와 NR이 동일 지역에서 동일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시나리오에 적합할 수 있다. 뉴머롤러지는 동작 주파수 대역, 목표 서비스, 시나리오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뉴머롤러지는 특정 신호 또는 특정 채널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0kHz 이하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해당하는 뉴머롤러지(즉, 뉴머롤러지 #1 내지 #3)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60kHz 이상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해당하는 뉴머롤러지(즉, 뉴머롤러지 #3 내지 #6)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 15kHz에 해당하는 뉴머롤러지(즉, 뉴머롤러지 #1)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서브캐리어 간격 60kHz에 해당하는 뉴머롤러지(즉, 뉴머롤러지 #3)는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뉴머롤러지는 하나의 셀 또는 하나의 캐리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뉴머롤러지는 하나의 캐리어 내에서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종 뉴머롤러지들은 서로 다른 동작 주파수 대역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종 뉴머롤러지들은 동일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동일 캐리어) 내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또는, 요구사항)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서비스,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서비스 등을 지원하기 위해 뉴머롤러지 #1보다 작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5kHz 또는 3.75kHz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가 고려될 수 있다.
한편, NR의 프레임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R에서 시간 축의 빌딩 블록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OFDM 심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OFDM 심볼”은 다른 웨이브폼(waveform) 기술 기반의 심볼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계없이 1ms일 수 있다. 슬롯은 14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슬롯의 길이는 서브프레임의 길이와 달리 서브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할 수 있다.
슬롯들 각각에서 제어 채널(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설정될 수 있고, 제어 채널은 슬롯의 앞쪽 영역 및 뒤쪽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슬롯 기반의 스케쥴링이 사용되는 경우에 하나의 슬롯은 최소 스케쥴링 단위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기지국은 슬롯들 각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스케쥴링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슬롯 종류(type)는 하향링크 구간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슬롯, 상향링크 구간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슬롯, 하향링크 구간 및 상향링크 구간을 모두 포함하는 양방향(Bi-directional) 슬롯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양방향 슬롯에서 하향링크 구간과 상향링크 구간 사이에 보호 구간이 위치할 수 있고, 보호 구간의 길이는 2배의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과 지연 확산(delay spread)의 합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 패킷 또는 하나의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을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슬롯들이 집성(aggregation)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 또는 복수의 전송 블록들을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슬롯들이 집성될 수 있다.
NR에서 슬롯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미니 슬롯 기반의 스케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니 슬롯은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아날로그 또는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위한 적극적인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지원, 비면허 대역에서 부분(partial) 슬롯 전송, NR과 LTE 간의 공존 주파수 대역에서 부분 슬롯 전송, URLLC 서비스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을 지원하기 위해, 미니 슬롯의 길이 및 시작 시점(예를 들어, 위치)은 유연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이 M개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경우, 미니 슬롯은 1개 내지 (M-1)개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M은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미니 슬롯의 길이 및 시작 시점은 단말을 위해 명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미니 슬롯의 길이 및 시작 시점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미니 슬롯의 길이 및 시작 시점이 단말에 명시적으로 설정되지 않고,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 구간, 스케쥴링되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 축 자원 크기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미니 슬롯 기반의 스케쥴링이 운용될 수 있다.
LTE에서 자원 할당 기본 단위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 쌍(Pair)일 수 있고, 하나의 PRB 쌍은 시간 축에서 2개의 연속적인 슬롯들과 주파수 축에서 12개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NR에서 PRB는 주파수 축의 자원 할당 단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PRB는 뉴머롤러지에 관계없이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PRB에 의해 점유되는 대역폭은 뉴머롤러지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 60kHz에 해당하는 뉴머롤러지 #3을 사용하는 경우에 하나의 PRB에 의해 점유되는 대역폭은 서브캐리어 간격 15kHz에 해당하는 뉴머롤러지 #1을 사용하는 경우에 하나의 PRB에 의해 점유되는 대역폭의 4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이 단말에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쥴링하는 방법과 단말에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채널이라 함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고,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각각 PDSCH 및 PUSCH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채널의 스케쥴링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형태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전송된다. DCI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되며, 단말은 PDCCH 탐색 공간을 모니터링함으로써 PDCCH를 수신하고 DCI를 획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DCI는 데이터 채널의 스케쥴링 정보 외에 다른 정보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채널(이하 PDSCH로 통칭함)은 시간 및 주파수로 표현되는 2차원 자원 그리드 상에 스케쥴링될 수 있다. 시간 축의 스케쥴링 최소 단위는 하나의 심볼(예를 들어, OFDM 심볼)이고, 주파수 축의 스케쥴링 최소 단위는 하나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이다. 각 PRB는 정수 개의 연속된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의 PRB는 12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PDSCH의 스케쥴링 정보는 주파수 축 스케쥴링 정보 및 시간 축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DSCH의 주파수 축 스케쥴링 정보는 PDSCH가 스케쥴링되는 PRB(들)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PRB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RB(들)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는 비트맵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는 PDSCH는 주파수 축에서 물리적으로 연속된 PRB(들)에 스케쥴링되고, 상기 PRB(들)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PDSCH의 PRB 시작점 및 PRB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예를 들어, 50개의 PRB로 구성되는 캐리어 또는 대역부분(bandwidth part)이 사용되는 경우, 주파수 축 스케쥴링 정보는 50비트의 비트맵이고, 비트맵의 각 비트는 각 PRB가 PDSCH의 스케쥴링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DCI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주파수 축 스케쥴링은 PRB 그룹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PRB 그룹은 연속된 K개의 PRB들로 구성될 수 있고 (K는 자연수), K는 규격에 미리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 K=2인 PRB 그룹 단위로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경우, 비트맵에 요구되는 정보량은 25비트로 감소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스케쥴링되는 PRB(들)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는 RIV(resource indicator value)를 포함할 수 있다.
PDSCH의 시간 축 스케쥴링 정보는 PDSCH가 스케쥴링되는 심볼(들)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심볼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PDSCH는 시간 축에서 연속된 심볼(들)에 스케쥴링될 수 있다. 이 경우, PDSCH를 구성하는 심볼(들)의 위치 정보는 PDSCH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PDSCH를 구성하는 심볼(들)의 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이 14개의 심볼(심볼 0번 내지 13번)로 구성되고 한 슬롯 내에서 PDSCH가 스케쥴링되는 경우, PDSCH의 시작 심볼의 후보는 심볼 0번 내지 13번을 포함하고, PDSCH의 심볼 수의 후보는 1 내지 14를 포함할 수 있다. PDSCH 시작 심볼을 A라 하고 PDSCH를 구성하는 심볼의 수를 B라 할 때, 특정 A 및 B의 조합은 유효할 수도 있고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1 및 B=10의 조합은 PDSCH가 슬롯의 두 번째 심볼에서 시작되고 10개의 연속된 심볼을 차지함을 나타내고, 이 조합은 유효하다. 다른 예를 들어, A=1 및 B=14의 조합은 PDSCH가 슬롯의 두 번째 심볼에서 시작되고 14개의 연속된 심볼을 차지함을 나타내고, 이 조합은 한 슬롯 내에서 PDSCH가 스케쥴링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유효하지 않다. 이 경우, 유효한 PDSCH 시작 심볼 및 심볼의 수는 상술한 RIV의 형태를 사용하여 하나의 값으로 효과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 시작 심볼을 A라 하고 PDSCH를 구성하는 심볼의 수를 B라 할 때, A 및 B는 수학식 1과 같이 SIV(symbol indicator value)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A 값의 범위가 0 내지 13인 경우, 수학식 1의 SIV를 통해 한 슬롯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시간 축 자원 할당의 경우의 수를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SIV의 값 범위는 0부터 104까지의 정수이고, 이는 7비트의 정보량을 가진다.
한편, PDSCH의 시간 축 스케쥴링 정보의 정보량을 줄이기 위해, A 그리고/또는 B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기반의 스케쥴링이 사용되는 경우 또는 PDSCH 맵핑 타입 A가 사용되는 경우, PDSCH는 슬롯의 앞 쪽에서부터 스케쥴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DSCH 맵핑 타입 A가 사용되는 경우 PDSCH의 복호를 위한 DMRS가 맵핑되는 심볼들 중에서 첫 번째 심볼의 위치는 단말에 반고정적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그 위치는 슬롯의 3번째 심볼 또는 4번째 심볼일 수 있다. 따라서 PDSCH 맵핑 타입 A가 사용되는 경우, PDSCH의 시작 심볼의 위치가 슬롯의 앞 쪽일수록 채널 추정 성능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PDSCH 시작 심볼의 위치가 슬롯의 앞 쪽일수록 PDSCH에 더 많은 수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A의 범위는 0 내지 X로 제한될 수 있다 (X는 13보다 작은 자연수).
반면, 슬롯 기반의 스케쥴링이 사용되는 경우, 하향링크 심볼로만 구성되는 하향링크 슬롯에의 스케쥴링을 고려할 때, B의 범위는 제한하지 않고 수학식 1의 범위(즉, 0<B<=14-A)를 동일하게 따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술한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 SIV의 표현식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X=4이고 A의 범위가 0 내지 4로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SIV의 표현식은 수학식 2를 따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술한 바와 같이 X의 범위가 제한되고 수학식 2에 의해 SIV가 정의되는 경우, SIV의 값 범위는 0부터 59까지의 정수이고, 이는 6비트의 정보량을 가진다. 즉, 수학식 2의 SIV를 사용하여 단말에 A 및 B를 설정하는 방법은 수학식 1의 SIV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더 적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심볼 단위의 스케쥴링이 사용되는 경우, 또는 PDSCH 맵핑 타입 B가 사용되는 경우, PDSCH의 심볼 수 B의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 맵핑 타입 B가 사용되는 경우, 단말에 스케쥴링될 수 있는 PDSCH의 심볼 수는 2, 4, 및 7로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PDSCH의 시작 심볼 A는 모든 유효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의 심볼 수 B가 2인 경우 PDSCH 시작 심볼 A는 0부터 12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PDSCH의 심볼 수 B가 7인 경우, PDSCH 시작 심볼 A는 0부터 7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SIV는 수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PDSCH 시작 심볼 및 PDSCH의 심볼 수는 상술한 SIV의 형태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SIV는 물리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DCI)을 통해 지시되거나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SIV의 후보값(들)이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고, 물리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DCI)에 의해 SIV의 후보값(들) 중에서 하나의 값이 단말에 지시될 수 있다.
SIV는 다른 시간 축 자원 할당 정보와 함께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V는 DCI가 전송되는 슬롯과 PDSCH가 전송되는 슬롯 간의 오프셋 및 PDSCH 맵핑 타입 (타입 A 또는 타입 B)과 함께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KR1020180004701A 2018-01-12 2018-01-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86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701A KR20190086319A (ko) 2018-01-12 2018-01-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701A KR20190086319A (ko) 2018-01-12 2018-01-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19A true KR20190086319A (ko) 2019-07-22

Family

ID=6746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701A KR20190086319A (ko) 2018-01-12 2018-01-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6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079A (ko) * 2021-12-20 202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079A (ko) * 2021-12-20 202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477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前記方法を利用する装置
JP715516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割当関連シグナリング方法及び上記方法を利用する装置
EP360623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0899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搬送波集成方法及び装置
KR20190129721A (ko) 고신뢰 및 저지연 통신을 위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US111291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user equipment, and system
RU2701202C1 (ru) Конфигурация передачи нисходящего канала
EP3518451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102165825B1 (ko) Ul/dl 전송 리소스의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90132228A (ko) 비면허 대역에서 harq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0127248A (ja) ユーザ装置によって行われる方法、及び基地局によって行われる方法
JP202052394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ダウンリンク信号受信方法及び前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WO2021005663A1 (ja) 端末
JP7210437B2 (ja) データ伝送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1034289A (zh) 用于控制资源映射的方法和装置
US118820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ference signal sequ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060015B2 (ja) ヌメロロジーを示す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1865527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0890953B (zh) 使用免授权频段的通信方法和通信装置
KR2019008631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98695A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41126A1 (zh) 信道探测参考信号的传输方法、终端和基站
KR20220063725A (ko)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및 harq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39153A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U2744903C1 (ru) Терминал,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ерминал и базовую станци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