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76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760A
KR20190085760A KR1020180004007A KR20180004007A KR20190085760A KR 20190085760 A KR20190085760 A KR 20190085760A KR 1020180004007 A KR1020180004007 A KR 1020180004007A KR 20180004007 A KR20180004007 A KR 20180004007A KR 20190085760 A KR20190085760 A KR 2019008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lf
scell
base station
rlc
pd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효선
권기범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8000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5760A/ko
Publication of KR2019008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PDCP 복제가 설정된 특정 셀에서 무선 링크 장애(RLF)가 발생한 경우의 RLF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LINK FAILURE}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는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프레임워크 및 표준에 대해서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IMT for 2020 and beyond"라 칭하여지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5 세대(5G) 통신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IMT for 2020 and beyond" 에서 제시하는 요구사항들을 충족하기 위해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New Radio) 시스템은 다양한 시나리오, 서비스 요구사항, 잠재적인 시스템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시간-주파수 자원 단위 기준에 대한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URLLC(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ication)와 같이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다.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복제(duplication)를 적용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는 PDCP 복제가 발생하는 CA(Carrier Aggregation) 구조의 SCell(Secondary Cell)에 대해서 무선 링크 장애((Radio Link Failure, RLF)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SCell-RLF 발생시 단말의 동작에 대하서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SCell-RLF에 있어서, 기존 CA 구조에서 임의의 셀에서 RLF가 발생한 경우와 달리, SCell에서 RLF가 발생했을 때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립(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SCell-RLF가 발생하더라도 단말의 RRC 연결이 유지된다. 그러나 SCell-RLF 발생 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PDCP 복제가 설정된 특정 셀에서 무선 링크 장애(RLF)가 발생한 경우의 RLF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PDCP가 복제된 SCell에서 SCell-RLF가 발생한 경우, 단말은 기본적인 RLF 동작 및 SCell-RLF 동작에 기초하여 RLF 보고 및 RLF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PDCP 복제가 설정된 특정 셀에서 무선 링크 장애(RLF)가 발생한 경우의 RLF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이중 연결성 또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설정된 단말이 PDCP 복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Cell-RLF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Cell-RLF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ell-RLF 발생 시 RLF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ell-RLF 발생 시 RLF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SCell-RLF 발생 시 RLF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ase Station, BS)'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비-AP 스테이션(non-AP STA)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망 구조는 E-UMTS(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LTE-A pro 시스템, evolved-LTE 시스템 등을 포함하거나, 5세대 이동 통신 망, 5G(5th generation), NR(new radi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기지국(11)과 단말(User Equipment, UE, 12)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단말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기지국(11)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에게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커버리지는 사이트(site)라는 용어로도 표현될 수 있다. 사이트(site)는 섹터라 부를 수 있는 다수의 영역들(15a, 15b, 15c)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트에 포함되는 섹터 각각은 서로 다른 식별자를 기반으로 식별될 수 있다. 각각의 섹터(15a, 15b, 15c)는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gNB(g-NodeB 또는 5G-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 eNodeB), 가내 기지국(Home eNodeB, HeNodeB), 릴레이(relay),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단말(12)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IoT 기기(Internet of Thing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기지국(11)은 해당 기지국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크기 및/또는 해당 기지국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제한 및 인증 여부 등에 따라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기지국이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 기지국의 커버리지, 기지국의 안테나에 의해 구현되는 빔(beam), 또는 기지국을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중연결 (dual connectivity) 또는 다중연결 (multi connectivity)와 같이 하나의 단말이 동시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설정되는 경우, 아래와 같이 각 기지국의 역할에 따라 서로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자원제어를 위한 시그널링을 직접 전송하며 핸드오버 등 이동성(mobility)과 무선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기지국을 주 기지국(master eNodeB), 상기 단말에게 추가적인 무선자원을 제공하고 상기 무선자원에 대한 제어를 일부 독립적으로 진행하고 일부는 주 기지국을 통해 진행할 수 있는 기지국을 부 기지국(secondary eNodeB)라는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 FH(frequency hopping)-CDMA, FH-OFDMA 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에는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되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을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half-FDD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약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RRC: Radio Resource Control
- MAC: Medium Access Control
- RLC: Radio Link Control
-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 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 RAN: Radio Access Network
- gNB: g-NodeB (NR 시스템의 기지국의 명칭, LTE의 eNB와 구분하기 위해 gNB라 부른다.)
-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 eMBB: evolved Mobile BroadBand
- URLLC: 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ication
-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 HSS: Home Subscriber Server
먼저 NR 시스템에서 고려하는 뉴머롤로지(numerology)에 대해서 설명한다.
NR 뉴머롤로지란, NR 시스템의 설계를 위해서 시간-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자원 그리드를 생성하는 기본적인 요소 또는 인자에 대한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LTE/LTE-A 시스템의 뉴머롤로지의 일례로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15kHz (또는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Frequency Network)의 경우에는 7.5kHz)에 해당한다. 다만, 뉴머롤로지라는 용어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만을 제한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과 연관 관계를 가지는(또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CP(Cyclic Prefix) 길이, TTI(Transmit Time Interval) 길이, 소정의 시간 구간 내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개수, 하나의 OFDM 심볼의 듀레이션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CP 길이, TTI 길이, 소정의 시간 구간 내의 OFDM 심볼 개수, 또는 하나의 OFDM 심볼의 듀레이션 중의 하나 이상에서 상이한 값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IMT for 2020 and beyond"에서 제시하는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현재 3GPP NR 시스템은 다양한 시나리오,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 잠재적인 새로운 시스템과의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뉴머롤로지를 고려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뉴머롤로지로는, "IMT for 2020 and beyond"에서 요구하는 보다 높은 주파수 밴드, 보다 빠른 이동 속도, 보다 낮은 지연 등을 지원하기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뉴머롤로지를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uMTC(Ultra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URLLC 또는 eMBB 서비스에 대한 유저 플레인(user plane) 레이턴시에 대한 요구사항은 상향링크에서 0.5ms 및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서 4ms 이며, 이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LTE-Advanced) 시스템의 10ms 의 레이턴시 요구사항에 비하여 상당한 레이턴시 감소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시나리오 및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하나의 NR 시스템에서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뉴머롤로지를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기존의 LTE/LTE-A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을 지원하는 것과 달리, 복수의 SCS를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복수의 SCS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NR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뉴머롤로지는, 기존의 700MHz 또는 2GHz 등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 또는 캐리어(carrier)에서 넓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6GHz 또는 40GHz와 같은 주파수 범위 또는 캐리어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가정하여 결정될 수도 있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높은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상에서 발생하는 높은 경로-손실(path-loss), 페이즈-잡음(phase-noise),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 등의 좋지 않은 채널 환경을 극복하고자 동기화 신호,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신호 및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 등에 복수의 빔(beam)을 통한 전송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새로운 기능인 PDCP 복제(Duplication)를 추가하였으며, 현재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PDCP 복제(Duplication)란 송신단의 PDCP 계층에서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고 서로 다른 RLC 계층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현재까지 논의된 PDCP 복제 기능에 따르면, 단말에 대해서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이하 "DC") 구조 또는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CA)이 설정되는 경우, 특정 QoS(Quality of Service) 플로우 식별자(QoS Flow ID, QFI)를 가지는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에 대해서 PDCP 복제를 할 수 있다.
DC 구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DC란 단말이 마스터(master) 기지국과 보조(secondary) 기지국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동작을 뜻한다. DC가 설정된 단말은, 마스터 기지국의 계층 구조에 대한 단말의 계층 구조와, 보조 기지국의 계층 구조에 대한 단말의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말의 계층 구조에 대한 예시로서, DC가 설정된 단말은 마스터 기지국에 관련된 서빙셀들의 그룹인 MCG(Master Cell Group)에 대한 MAC 개체와 보조 기지국에 관련된 서빙셀들의 그룹인 SCG(Secondary Cell Group)에 대한 MAC 개체와 같이 두 개의 MAC 개체를 가질 수 있다.
단말의 계층 구조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에 대응하는 계층 구조에서 단말은 MCG 베어러(bearer)를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단말의 제 1 PDCP, 단말의 제 1 RLC를 통하여 처리하고 단말의 제 1 MAC 개체로 전달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의 계층 구조에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마스터 기지국의 제 1 MAC 개체, 마스터 기지국의 제 1 RLC를 거쳐 마스터 기지국의 제 1 PDCP 개체로 전달되고, 이러한 데이터 패킷은 MCG 베어러에 매핑될 수 있다.
단말의 계층 구조에 있어서, 보조 기지국에 대응하는 계층 구조에서 단말은 SCG 베어러를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단말의 제 2 PDCP, 단말의 제 2 RLC를 통하여 처리하고 단말의 제 2 MAC 개체로 전달할 수 있다. 보조 기지국의 계층 구조에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보조 기지국의 제 1 MAC 개체, 보조 기지국의 제 1 RLC를 거쳐 보조 기지국의 제 1 PDCP 개체로 전달되고, 이러한 데이터 패킷은 SCG 베어러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분할 베어러(split bearer) 방식을 이용하여 마스터 기지국 및 보조 기지국의 자원을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이러한 분할 베어러를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단말의 제 3 PDCP 개체를 통하여 복제하고, 복제된 동일한 데이터 패킷을 각각 마스터 기지국에 대응하는 단말의 제 3 RLC 및 보조 기지국에 대응하는 단말의 제 4 RLC로 전달하고, 이들은 각각 단말의 제 1 MAC 및 제 2 MAC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의 계층 구조에서 단말로부터 분할 베어러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은 마스터 기지국의 제 1 MAC 개체, 마스터 기지국의 제 2 RLC 개체를 거쳐 마스터 기지국의 제 2 PDCP 개체로 전달될 수 있다. 보조 기지국의 계층 구조에서 단말로부터 분할 베어러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은 보조 기지국의 계층 구조에서 보조 기지국의 제 1 MAC 개체, 보조 기지국의 제 2 RLC 개체를 거쳐 마스터 기지국의 제 2 PDCP 개체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DC 구조에서는 두 개의 MAC 개체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PDCP 개체를 통해 하나로 병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분할 베어러를 처리하는 PDCP 개체(예를 들어, 단말의 제 2 PDCH 개체 및 마스터 기지국의 제 2 PDCP 개체)가 MCG에 속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분할 베어러를 처리하는 PDCP 개체가 SCG에 속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CA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CA란 넓은 전송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s, CC) 또는 셀을 병합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단말의 능력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CC를 이용해서 동시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셀에 대한 CA가 설정되는 경우, 둘 이상의 셀은 스페셜 셀(Special Cell, SpCell) 및 하나 이상의 보조 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pCell은 MCG의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과 SCG의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rimary Secondary Cell, PSCell)을 포함한다.
CA가 설정된 단말의 계층 구조에서 단말은 하나의 단일 MAC 개체를 가질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는 CA에서도 PDCP 복제를 지원하기 위해 분할 베어러 방식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CA가 설정된 단말의 PDCP 복제는 서로 다른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서로 다른 셀로 전송될 수 있다.
CA에서의 분할 베어러는 단말의 하나의 PDCP 개체에서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고, 두 개의 RLC 개체(즉, 단말의 제 1 및 제 2 RLC 개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캐리어(예를 들어, 캐리어 a, 캐리어 b)로 전송함으로써 두 캐리어의 자원을 모두 이용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계층 구조에서는 기지국의 하나의 MAC 개체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각각의 캐리어(예를 들어, 캐리어 a, 캐리어 b)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제 1 RLC 및 기지국의 제 2 RLC를 통하여 기지국의 하나의 PDCP 개체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PDCP 복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DC의 경우 서로 다른 MAC 개체를 통해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 동일한 패킷을 전송하고, CA의 경우 하나의 MAC 개체를 통해 서로 다른 캐리어로 동일한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지연 시간이 줄어드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PDCP 복제는 URLLC 와 같이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는 데이터 패킷에 적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PDCP 복제가 수행될 때, 수신단의 PDCP 계층은 중복된 데이터 패킷을 검출하는 기능과 데이터 패킷 재정렬 기능을 통해 중복된 데이터를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PDCP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데이터 패킷마다 SN(Sequence Number)을 할당해주기 때문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PDCP 계층은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SN을 확인하여, 동일한 SN인 경우 중복된 데이터 패킷으로 고려함으로써 중복된 데이터 패킷 검출을 할 수 있다. 또한 SN의 순서대로 데이터 패킷을 재정렬하여 상위 계층에 순서대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재정렬은 소정의 타이머(예를 들어, t-Reordering 타이머)로 정의되는 일정 시간 동안 이뤄지며,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 패킷이 있더라도 더 이상 기다리지 않고 그대로 상위 계층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한다. 따라서 PDCP 복제가 수행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더라도 수신단의 PDCP 계층은 중복 감지 기능과 재정렬 기능을 통해 문제 없이 중복된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SN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마다 보안을 적용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PDCP 복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고려 사항으로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상향링크 채널 환경, 셀 또는 캐리어의 부하 상황, 패킷 사이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의 상향링크 채널 환경이 좋지 않거나, 복제된 패킷을 받더라도 셀 또는 캐리어가 충분히 처리를 할 수 있는 상황이거나, 단말이 전송하는 패킷 사이즈가 작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또는 이러한 조건들 중의 하나 이상의 조건이 동시에 만족되는 경우에, PDCP 복제를 활성화하여 기지국의 데이터 패킷 수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만약, 위와 같은 조건들 중의 하나 이상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은 PDCP 복제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DC 또는 CA 가 설정된 단말이 PDCP 복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예시에서 송신 단은 단말에 해당하고, 수신 단은 기지국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 단이 기지국이고 수신 단이 단말인 경우에도 도 2의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예시에 있어서, DC가 설정된 경우 송신 단(예를 들어, 단말)의 제 1 RLC는 MCG에 속하는 RLC, 제 2 RLC는 SCG에 속하는 RLC일 수 있다. 또한, 수신 단(예를 들어, 기지국)의 제 1 RLC는 MCG에 속하는 RLC, 제 2 RLC는 SCG에 속하는 RLC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서는 송신 단의 MAC은 하나의 MAC으로 표시되지만, 실제로는 MCG에 속하는 MAC과 SCG에 속하는 MAC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2 에서 수신 단의 MAC은 하나의 MAC으로 표시되지만, 실제로는 MCG에 속하는 MAC과 SCG에 속하는 MAC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 있어서, CA가 설정된 경우 송신 단(예를 들어, 단말)의 제 1 RLC는 제 1 캐리어(또는 제 1 셀)에 속하는 RLC, 제 2 RLC는 제 2 캐리어(또는 제 2 셀)에 속하는 RLC일 수 있다. 또한, 수신 단(예를 들어, 기지국)의 제 1 RLC는 제 1 캐리어(또는 제 1 셀)에 속하는 RLC, 제 2 RLC는 제 2 캐리어(또는 제 2 셀)에 속하는 RLC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서는 송신 단의 MAC은 서로 다른 캐리어(또는 셀) 하나의 공통 MAC을 가질 수 있고, 수신 단의 MAC은 서로 다른 캐리어(또는 셀) 하나의 공통 MAC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SDU는 해당 계층으로 들어오는, 해당 계층에서 아직 처리하지 못한 패킷을 의미하며, PDU는 해당 계층에서 해당 계층의 기능을 적용하여 처리한 패킷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RLC PDU는 RLC 계층에서 하위 계층에서 요구한 데이터 사이즈에 맞도록 데이터 패킷을 분할하고, RLC 헤더를 추가한 데이터 패킷을 말하며, MAC SDU는 RLC 계층에서 전송한 RLC PDU 즉, MAC 계층으로 전송되는, 그리고 MAC 계층에서 아직 처리하지 못한 데이터 패킷을 의미한다.
도 2의 예시에서 단말(송신 단)이 기지국(수신 단)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에 해당하는 IP 패킷이 SDAP에 전달되면, SDAP는 IP 패킷의 QoS 플로우 ID(QFI) 및 DRB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IP 패킷이 전달될 DRB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IP 패킷의 QFI에 대응하는 DRB에 대해서 PDCP 복제가 활성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SDAP는 IP 패킷에 기초하여 SDAP PDU를 생성하고, QFI에 매핑되는 DRB에 대응하는 PDCP로 전달할 수 있다.
PDCP는 PDCP 복제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동일한 SN 값(예를 들어, x)을 가지는 두 개의 PDCP PDU(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PDCP PDU)를 중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 1 및 제 2 PDCP PDU는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RLC로 전달될 수 있다.
제 1 PDCP PDU를 수신한 제 1 RLC 및 제 2 PDCP PDU를 수신한 제 2 RLC는 각각의 RLC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RLC 계층에서는 각각의 무선 베어러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를 보장하도록 RLC-TM(Transport Mode), RLC-UM(Unacknowledged Mode), RLC-AM(Acknowledged Mode)와 같은 세 가지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RLC-TM의 경우 수신한 RLC SDU(즉, PDCP PDU) 그대로 MAC 계층으로 전달한다. RLC-UM과 RLC-AM의 경우 하위계층에서 지시한 패킷 사이즈에 따라 PDCP PDU를 분할한 뒤, SN을 할당하여 RLC 헤더를 추가한 뒤, RLC PDU를 생성하고 MAC 계층으로 전달한다.
동일한 SN을 가지는 복제된 제 1 및 제 2 PDCP PDU는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RLC로 전송되기 때문에, 제 1 RLC가 제 1 RLC PDU에 할당한 SN(예를 들어, y)와 제 2 RLC가 제 2 RLC PDU에 할당한 SN(예를 들어, z)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서로 다른 RLC에서 할당한 SN 값은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RLC 계층에서 할당하는 SN은 RLC 계층에서만 식별 및 처리되므로, PDCP 계층에서 할당하는 SN과 구별되며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기지국(즉, 수신 단)의 PDCP 계층은 단말(즉, 송신 단)의 PDCP 계층에서 할당한 SN을 통해 중복된 패킷 검출을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RLC PDU를 수신한 단말의 MAC 계층은 제 1 및 제 2 MAC PDU를 생성하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기능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HARQ란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자동 반복 및 요청을 통해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때 HARQ 기능을 적용하며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을 정확히 수신했을 경우, HARQ process ID 전송과 함께 NDI(New Data Indicator)를 토글시킴으로써 이를 알린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을 정확히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HARQ process ID, UL grant, RV(Redundancy Version) 전송과 함께 NDI를 토글시키지 않음으로써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했음을 알리고 재전송을 요청한다.
단말이 전송한 제 1 및 제 2 MAC PDU를 수신한 기지국의 MAC 계층은 제 1 및 제 2 RLC 계층으로 각각 제 1 및 제 2 MAC SDU를 전달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RLC 계층은 RLC-AM 모드를 적용할 경우, ARQ(Automatic Repeat reQues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RQ란 MAC 계층에서의 HARQ의 실패로 수신하지 못한 패킷에 대해 재전송을 요청하는 것으로, 재전송을 요청 받은 송신단의 RLC 계층은 데이터 패킷을 다시 전송한다.
기지국의 제 1 및 제 2 RLC 계층은 수신한 RLC SDU를 PDCP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RLC 계층으로부터 제 1 및 제 2 RLC SDU를 수신한 기지국의 PDCP 계층은, 단말의 PDCP 계층이 할당한 SN을 확인하여 중복된 데이터 패킷을 검출하고 데이터 패킷 재정렬을 수행하여 데이터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PDCP는 SN 값이 n으로 동일한 두 개의 중복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경우 하나를 버리고(discard) 나머지 하나를 PDCP SDU로 생성하여 SDAP로 전달할 수 있다. SDAP는 PDCP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IP 패킷으로 구성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Cell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 장애(RLF)에 대해서 설명한다.
NR 시스템에서는 CA 구조에서 수행하는 PDCP 복제에 대해 SCell-RLF를 도입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하에서는 먼저 RLF에 대해서 설명하고, SCell-RLF에 대해 설명한다.
RLF란 단말이 단말과 기지국 간의 무선링크가 끊어졌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RLF 발생시 단말은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RLF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세 가지 기준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첫 번째 기준으로서, 단말은 물리(PHY) 계층에서 물리 채널 문제를 감지한 경우 RLF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물리계층으로부터 N310 또는 N313으로 정의되는 소정의 개수만큼 연속적인 비동기 상태 지시(indication) (예를 들어, "out-of-sync" 메시지)를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했을 때 무선 환경에 문제가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out-of-sync" 메시지는 단말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측정하여, 채널 품질이 일정한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즉, N310 개의 연속적인 "out-of-sync"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T310으로 정의되는 시간 길이를 가지는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또는, N313 개의 연속적인 "out-of-sync"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T313으로 정의되는 시간 길이를 가지는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T310 또는 T313 길이의 타이머가 진행되는 동안, 단말이 N311 로 정의되는 소정의 개수만큼 연속적인 동기 상태 지시(예를 들어, "in-sync" 메시지)를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단말은 T310 또는 T313 타이머를 중지한다. 만약 T310 또는 T313 타이머가 만료(expire)되는 경우에, 단말은 RLF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N310, N311, N313, T310, T313는 상위 계층 파라미터로서 미리 정의된 값으로 주어질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으로서, 단말은 MAC 계층에서 랜덤 액세스에 실패했을 때 RLF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란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차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접속 시도를 알린다. 상기 프리앰블을 수신한 기지국은 응답으로 RAR(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를 구성하여 단말에게 전송한다. 상기 RAR 메시지에는 단말의 TA(Timing Advance) 값, 랜덤액세스 동안 사용될 임시 단말 식별값 TC-RNTI(Temporary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등이 포함된다. RAR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고,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C-RNTI 또는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상기 TC-RNTI 또는 C-RNTI로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이 끝나면 TC-RNTI를 C-RNTI로 변경함으로써 랜덤액세스 과정이 완료된다.
상기 랜덤액세스 과정 중 단말은 RAR 메시지를 일정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랜덤액세스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랜덤 액세스에 실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다시 프리앰블을 전송하여 랜덤액세스과정을 재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프리앰블 재전송이 일정 횟수 (예를 들어, PreambleTransMax로 정의되는 값)에 도달했으나 성공하지 못한다면, 단말은 RLF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세 번째 기준으로서, 단말은 RLC 계층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했을 때 RLF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의 RLC 계층은 RLC-AM(Acknowledged Mode)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ARQ(Automatic Repeat reQues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RQ란 MAC 계층에서의 HARQ(Hybrid ARQ)의 실패로 수신하지 못한 패킷에 대해 재전송을 요청하는 것으로, 재전송을 요청 받은 송신단의 RLC 계층은 데이터 패킷을 다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RLC 계층의 재전송이 일정 횟수(예를 들어, maxRetxThreshold로 정의되는 값)에 도달했으나 전송에 성공하지 못한다면, 단말은 RLF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세 가지 기준을 통해 RLF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단말은, 상기 RLC 개체가 포함된 셀 그룹(Cell Group, CG)에 따라 다음 과정을 따른다. 상기 RLC 개체가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에 포함된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재설립 과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을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RLC 개체가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에 포함된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 과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procedure)으로 SCG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G에서 발생한 RLF의 경우, 단말은 T311으로 정의되는 시간 길이를 가지는 타이머를 시작하고, 적절한 셀을 선택하면 타이머 T311을 중지하고, T301으로 정의되는 시간 길이를 가지는 새로운 타이머를 시작한다. 이후, 단말은 RLF가 발생한 이유에 대한 정보 메시지와 RRC 연결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설립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타이머 T301을 멈추고, PDCP와 RLC를 재설정한다. 또한 단말은 무선 자원 설정 절차를 수행하고, RRC 연결 재설립 완료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만약 타이머 T311 또는 T301이 만료되었다면, 단말은 RRC 아이들(RRC IDLE)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T301, T311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로서 미리 정의된 값으로 주어질 수 있다. 또는 SCG에서 발생한 RLF의 경우, 단말은 모든 SCG DRB를 중단하고 SCG 전송을 중지한다. 또한 SCG의 MAC을 리셋하고, 타이머 T307이 작동 중일 경우 타이머 T307을 멈춘 뒤, 기지국에 SCG 실패를 보고하기 위해 SCG 실패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한다.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SCG를 재구성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RLF가 발생한 Cell이 속한 CG에 따라 CG별 RLF 동작을 따르는 것을 기본적인 RLF 동작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Cell-RLF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Cell-RLF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Cell-RLF란 CA구조에서 PDCP 복제를 수행하는 SCell에 RLF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SCell에서 상기 RLF 발생 판단 기준 중에서 세 번째 기준인 RLC 계층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했을 때, 단말은 SCell-RLF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SpCell에 관련된 제 1 RLC가 아닌, SCell에 관련된 제 2 RLC에서 RLC 최대 재전송 횟수 도달 기준에 따른 RLF가 발생한 경우에, 단말은 SCell-RLF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다른 RLF 경우와 달리, 단말은 SCell-RLF가 발생하면 그 발생 사실을 RRC 계층을 통해 기지국으로 알리지만 RRC 연결 재설립 과정은 시작하지 않는다. 즉, CA 구조에서 서로 다른 셀을 통해 복제된 패킷이 전송되기 때문에, SCell의 RLF로 인하여 SCell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지 못하더라도, 다른 셀(예를 들어, SpCell 또는 다른 SCell)을 통해 패킷이 송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SCell-RLF가 발생하더라도 패킷 송수신에 문제가 없다. 만약 RLF가 발생한 셀이 SpCell이라면 단말과 기지국 간의 RRC 연결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지만, SCell에서 RLF가 발생했다면 여전히 RRC 연결이 유효하기 때문에, 단말은 RRC 연결 재설립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SCell-RLF 관련 단말 동작은 일반적인 RLF 동작과 달리 새롭게 정의될 필요가 있다. SCell-RLF 관련 단말 동작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SCell RLC로부터 복제 DRB(Duplication DRB)에 대해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했다는 표시가 있는 경우에, 단말은 SCell-RLF 발생으로 판정하고, SCell-RLF 발생 사실을 기지국에 보고하며, SCell 상에서의 송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상기 SCell의 해제 또는 상기 SCell RLC 개체의 재설정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단말은 다른 셀(예를 들어, SpCell 또는 SCell)을 통해 패킷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셀(예를 들어, SpCell 또는 SCell)에서도 RLF가 발생한다면 패킷 송수신에 문제가 생긴다. 만약 다른 셀이 SpCell이라면 기본적인 RLF 절차를 따른다. 하지만 다른 셀이 SCell이라면 PDCP 복제를 수행하는 다른 SCell과 마찬가지로 SCell-RLF 발생으로 판정하고 상기와 같은 SCell 해제 또는 SCell RLC 개체 재설정과 같은 기지국의 지시를 기대해야 하는지 또는 정상적인 패킷 송수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RLF 절차를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단말 동작의 불명료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상기 상황에 대한 단말 동작을 정의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SCell-RLF가 발생했을 때의 단말의 RLF 처리 방안을 아래의 실시예들과 같이 정의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SCell-RLF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내지 도 6의 예시들에 있어서, CA가 설정된 단말은 하나의 SpCell과 다수의 SCell을 가질 수 있다. 단말은 상기 SpCell 및 SCell들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단말에 대해서 SpCell과 세 개의 SCell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기 구성된 셀에 대해서 PDCP 복제(duplic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SpCell과 SCell1에서 동일한 복제된 패킷을 전송할 수 있고, 또한 SCell2와 SCell3에서 동일한 복제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의 예시들에 있어서, 단말은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다음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SCell-RLF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SCell1, SCell2, 또는 SCell3의 RLC 개체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했을 때가 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의 예시들은, PDCP 복제를 수행하는 SCell에서 SCell-RLF 발생을 판단하고, 상기 SCell이 기지국에 의해 처리되기 전에, PDCP 복제를 수행하는 또 다른 SCell에서도 RLF 발생을 판단하는 경우에 단말의 RLF 처리 방안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도 5와 도 6의 예시들에 있어서, 또 다른 SCell에서 RLF가 발생한 시점이 단말이 RRC 재구성 완료 전에 SCell-RLF가 발생한다면 이하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SpCell에서 RLF 발생을 판단한 경우, 단말은 즉시 기본적인 RL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단말은 RLF를 발생 사실을 기지국에 알릴 때, RLF가 발생한 셀이 MCG에 속하는지 SCG에 속하는지에 따라 보고하는 RLF가 달라진다. 또한 보고하는 RLF에 따라 RLF 동작 또한 달라진다. 즉, RLF가 발생한 셀이 MCG에 속한다면 RLF를 MCG-RLF로 판단하고,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거친다. 또는 RLF가 발생한 셀이 SCG에 속한다면 RLF를 SCG-RLF로 판단하고, SCG 전송 중단 및 SCG-RLF 보고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CG 별 동작을 기본적인 RLF 동작으로 정의할 수 있다.
SCell-RLF 동작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SCell RLC로부터 복제 DRB(Duplication DRB)에 대해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했다는 표시가 있는 경우에, 단말은 SCell-RLF 발생으로 판정하고, SCell-RLF 발생 사실을 기지국에 보고하며, SCell 상에서의 송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상기 SCell의 해제 또는 상기 SCell RLC 개체의 재설정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SCell 동작을 SCell-RLF 동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RLF 동작과 SCell-RLF 동작을 바탕으로, 도 5와 도 6의 예시들에서는 PDCP 복제에 관련된 SCell에서 SCell-RLF가 발생한 경우의 단말의 RLF 보고 및 RLF 처리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RLF가 PDCP 복제를 수행하는 하나의 DRB에 대한 두 SCell 모두 RLF가 발생한 경우, 일반적인 RLF 절차를 따르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ell-RLF 발생 시 RLF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DRB에서 PDCP 복제를 수행하는 서로 다른 SCell의 RLC 개체가 모두 RLC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여 RLF 발생을 판단했을 때, 기본적인 RLF 절차를 따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PDCP 복제를 수행하는 DRB에 구성된 서로 다른 SCell 중, 하나의 SCell에 대한 RLC 개체가 RLC 재전송 최대 횟수에 도달하면 이 사실을 단말 내 RRC 계층에 알린다. 상기 사실을 인지한 단말의 RRC 계층은 SCell-RLF가 발생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RRC 계층은 RLF가 발생한 상기 SCell에 대한 전송을 중지하고, 기지국에게 SCell-RLF 발생 사실을 보고하기 위해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한다. 이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 또는 PDCP 복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MAC CE와 같은 기지국 지시를 통해 상기 SCell의 처리를 기대할 수 있으며, 그 동안 남아있는 다른 SCell로 정상적인 패킷 송수신을 계속할 수 있다. 그러나 남아있는 상기 다른 SCell에서도 RLC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여 RLF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한다면, 단말은 어떤 cell로도 패킷을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셀들이 속한 CG에 따라 기본적인 RLF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DCP 복제를 수행하는 두 SCell 모두 RLF 발생을 판단한 경우,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하므로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름으로써 RRC 연결 재설정 또는 SCG 재설정을 통해 추후 단말의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두 셀 모두 RLF가 발생했다는 것은 안좋은 무선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PDCP 복제는 높은 신뢰성과 저지연을 요구하는 URLLC 데이터 패킷에 수행되기 때문에, PDCP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SCell은 다른 SCell에 비해 좀 더 좋은 커버리지와 좀 더 좋은 무선 환경을 갖는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Cell들에서 모두 RLF 발생을 판단했다는 것은 모든 Cell의 상태가 안좋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다른 셀에서도 RLF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라 RLF가 발생한 CG를 재설정 또는 재구성하여 계속해서 RLF가 발생하는 동작을 막을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RLF가 PDCP 복제를 수행하는 하나의 DRB에 대한 두 SCell 모두 RLF가 발생한 경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일반적인 RLF 절차를 따르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ell-RLF 발생 시 RLF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하나의 DRB에서 PDCP 복제를 수행하는 두개의 SCell을 가지며, 두 SCell 모두 RLF가 발생했을 때, 하나의 셀이라도 회복될 여지가 보인다면 기본적인 RLF 동작이 아닌 SCell-RLF 동작을 따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DRB에서 PDCP 복제를 수행하는 SCell의 RLC 개체가 RLC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여 RLF 발생을 판단했을 때, SCell-RLF 동작에 따라 SCell-RLF 발생 사실을 기지국에 보고한다. 이 후, 동일한 DRB의 또 다른 SCell의 RLC 개체가 RLC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여 RLF 발생을 판단했을 때 또한 SCell-RLF 동작을 따라, SCell-RLF 발생 사실을 기지국에 보고한다. 이후, 일정 시간을 두고 하나의 셀이라도 회복될 여지가 보이지 않는다면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를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동안 기지국의 지시(예를 들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를 수 있다. 이 때, 기본적인 RLF 동작을 수행할 지를 판단하기 위해 단말은 DRB 단위로 동작하는 타이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는 PDCP 복제가 활성화된 DRB에서 두 셀 모두 RLF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하게 되면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RLF가 발생한 SCell이 하나라도 기지국으로부터 처리가 되면, 예를 들어,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RLC 개체 재설정 또는 SCell 해제와 같은 과정을 완료하게 되면 멈출 수 있다. 타이머 만료 시, 단말은 기지국과의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PDCP 복제를 수행하는 두 SCell 모두 RLF 발생을 판단한 경우,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하므로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름으로써 RRC 연결 재설정 또는 SCG 재설정을 통해 추후 단말의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르는 것은, 특히 MCG RLF 동작을 따를 때는, 단말은 모든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기지국이 RLF가 발생한 링크를 회복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데이터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타이머를 구성하여 일정시간 동안 RLF가 발생한 SCell이 회복된다면, RRC 연결 재설정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시간 이후에도, 링크가 회복이 안 될 때만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름으로써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어떤 지시도 수신하지 못했다는 것은 안좋은 무선 링크 환경으로 인해 SCell-RLF를 보고하는 메시지 자체가 전송되지 않은 이유 때문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에 구성된 모든 셀의 무선 링크 환경이 안좋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면 더 이상 기지국의 지시를 기다리지 않고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르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SCell-RLF 발생 시 RLF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710에서 단말은 PDCP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SCell에 대한 RLC에서 RLC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했을 경우에 SCell-RLF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SCell-RLF 발생을 판단한 단말은 RLF가 발생한 SCell에 대한 모든 전송을 중지시키고, SCell-RLF 발생 사실을 기지국에 보고하기 위해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단말은 상기 RLF가 발생했던 SCell과 동일한 DRB에서 PDCP 복제를 수행하는 또 다른 SCell에서도 RLF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건과 마찬가지로 또 다른 SCell의 RLC가 RLC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했을 경우, 기지국은 상기 SCell에서도 RLF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단말은 하나의 DRB 내에 PDCP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SCell에 대해 모두 RLF가 발생했을 경우, 이 RLF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를 수 있다. 상기 기본적인 RLF 동작은 RLF가 발생한 SCell이 어떤 CG에 속하는지에 따라 처리하는 것으로, MCG라면 단말의 모든 전송을 중단하고,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RLF가 발생한 SCell이 SCG에 속한다면, 단말은 SCG의 모든 전송을 중단하고, SCG-RLF 발생 사실을 기지국에 보고하기 위해 메시지를 구성하고 전송한다.
또한, 단말은 우선 SCell-RLF 동작을 따라 상기 RLF가 발생한 SCell에 대한 전송을 중단한 뒤,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타이머를 동작하여 소정의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기지국의 처리를 기대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LF 해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단계 S730에서 바로 기본적인 RLF 동작을 따르는 것이 아닌, 타이머를 동작하여 기지국의 처리를 기다리는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를 통해 중단된 데이터 송수신이 해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 S750과 같이 타이머를 멈출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800)는 프로세서(810), 안테나부(820), 트랜시버(830), 메모리(8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811) 및 물리계층 처리부(8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811)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815)는 물리(physical,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기지국 장치(8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8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830)는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40)는 프로세서(8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기지국 장치(8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장치(1600)의 프로세서(81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지국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800)의 프로세서(810)의 상위계층 처리부(811)는 SCell-RLF 처리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SCell-RLF 처리부(812)는 단말로부터 SCell에 대한 RLF가 발생하였음을 보고받았을 때, 상기 SCell을 재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SCell을 해제하고 다른 SCell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다른 SCell을 재설정함으로써 RLF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말 장치(850)는 프로세서(860), 안테나부(870), 트랜시버(880), 메모리(8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861) 및 물리계층 처리부(8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861)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865)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8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단말 장치(85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87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88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90)는 프로세서(860)의 연산 처리된 정보, 단말 장치(85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850)의 프로세서(86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단말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말 장치(850)의 프로세서(860)의 상위계층 처리부(861)는 RLF 발생 판단부(862) 및 기본 RLF 동작부(863) 와 SCell-RLF 동작부(864)를 포함할 수 있다.
RLF 발생 판단부(862)는 RLF 발생을 판단하는 세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했을 때 RLF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LF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셀에서 발생했는지에 따라 기본 RLF 동작 또는 SCell-RLF 동작으로 나뉘게 되며, RLF 발생 판단부(862)는 상황에 따라 기본 RLF 동작부(864) 또는 SCell-RLF 동작부(865)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SCell의 RLC에서 RLC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였음을 보고받는다면 SCell-RLF 동작부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PDCP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DRB 내에 두 개의 SCell 모두 RLF를 보고한 경우에 바로 기본 RLF 동작부(863)에 알릴 수도 있다.
또한, PDCP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DRB 내에 두 개의 SCell 모두 RLF를 보고한 경우, 먼저 SCell-RLF 동작부(864)에 알린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기본 RLF 동작부(863)에 알려 처리를 지시할 수도 있다.
PCell에서 발생한 RLF는 PDCP 복제 수행 유무에 상관없이 기본 RLF 동작부(853)에 알릴 수 있다. 또한 PDCP 복제를 수행하지 않는 SCell에서 발생한 RLF 또한 기본 RLF 동작부(853)에 알릴 수 있다.
기본 RLF 동작부(863)는 RLF가 발생한 셀이 포함된 CG에 따라 RL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LF 발생한 셀이 MCG에 속할 경우, 단말은 모든 전송을 중단하고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는 RLF가 발생한 셀이 SCG에 속할 경우, 단말은 SCG에 대한 전송을 중단하고 SCG RLF 발생 사실을 보고하기 위해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SCell-RLF 동작부(863)는, RLF가 발생한 SCell에 대한 전송을 중단하고 SCell RLF 발생 사실을 기지국에 보고하기 위해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800) 및 단말 장치(850)의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10 : 무선 통신 시스템 11 : 기지국
12 : 단말

Claims (1)

  1. 단말이 무선 링크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PDCP가 복제된 SCell에서 SCell-RLF가 발생한 경우, 기본적인 RLF 동작 및 SCell-RLF 동작에 기초하여 RLF 보고 및 RLF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방법.
KR1020180004007A 2018-01-11 2018-0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90085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07A KR20190085760A (ko) 2018-01-11 2018-0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07A KR20190085760A (ko) 2018-01-11 2018-0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760A true KR20190085760A (ko) 2019-07-19

Family

ID=6751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007A KR20190085760A (ko) 2018-01-11 2018-0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동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57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570A (ko) * 2019-08-15 2022-04-1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570A (ko) * 2019-08-15 2022-04-1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92884B (zh) 使用多连接的移动稳健性和空间可靠性
US11503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ACH-less mobility with pre-allocated b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59276B2 (en) Methods responding to SCG failure in DC communications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network nodes
EP3179819B1 (en) User equipment for dual connectivity
CN11099939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切换过程的方法及其装置
KR101954495B1 (ko) 단말의 이동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EP3179770B1 (en) User equipment
US9338815B2 (en) Signal process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2225902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over procedure thereof
WO2017163676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1300556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가 기지국과의 연결을 재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047679A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fast handover failure recovery in 3gpp lte network
KR20170053326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7163670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170114258A (ko)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32882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relay reselection and connection handling procedure in a ue-to-ue relay scenario
RU2664484C2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роцедуры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KR20180081446A (ko) 데이터 중복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23543514A (ja) Ue-ネットワーク間リレーシナリオにおけるリレー再選択およびデータ送信処理手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7201743A1 (zh) 传输方法、基站和终端
KR20190127561A (ko) 릴레이 노드를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5216412A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方法
US202400569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potential errors that may occur when performing daps handover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W202226879A (zh) 降低多分支傳輸中封包延遲的方法和裝置
KR20150018248A (ko) 이중연결 시스템에서 멀티 플로우를 고려한 pdcp 재배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