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267A -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 Google Patents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267A
KR20190085267A KR1020180003185A KR20180003185A KR20190085267A KR 20190085267 A KR20190085267 A KR 20190085267A KR 1020180003185 A KR1020180003185 A KR 1020180003185A KR 20180003185 A KR20180003185 A KR 20180003185A KR 20190085267 A KR20190085267 A KR 2019008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member
hand sanitizer
hand
pocket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695B1 (ko
Inventor
조윤주
이인숙
Original Assignee
조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주 filed Critical 조윤주
Priority to KR102018000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05B11/3001
    • B05B11/3042
    • B05B11/304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호사와 같이 직업특성상 손소독이 수시로 행해져야 하는 사람들이 손소독제를 상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손소독제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손소독제 사용이 필수적이고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손소독제를 항시 소지하면서 수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손소독제 사용율을 높이고, 개인용 손소독제를 별도 포켓에 수납하여 펌프만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인해 감염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omitted}
본 발명은 간호사와 같이 직업특성상 손소독이 수시로 행해져야 하는 사람들이 손소독제를 상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손소독제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종플루, 메르스, 지카바이러스 등 감염에 의한 전염병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손소독제 사용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이는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염요인이 많은 병원에서 특히 필수적인데, 손소독제 사용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손소독제를 구간마다 비치하여 간호사를 포함한 병원 직원과 내방객의 사용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치형태는 이동량이 많은 간호사로 하여금 이동 동선을 더욱 길게 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환자 접촉이 빈번한 간호사나 외부 감염이 많은 내방객 등 다수의 사람이 동일한 손소독제를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감염을 유발시키는 사례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소용량의 용기에 손소독제를 담아 간호사 개인용으로 배포하는 경우도 있으나, 간호사복 주머니에서 빈번하게 넣었다 빼는 과정에서 용기 자체에 감염이 많이 될 수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026100호 (2012.13.06.)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손소독제 사용이 필수적이고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손소독제를 항시 소지하면서 수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손소독제 사용율을 높이고, 개인용 손소독제를 별도 포켓에 수납하여 펌프만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인해 감염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펌핑작용에 의해 손소독제용기(60)의 내부 내용물을 토출하는 펌프헤드(700)와 펌프헤드(700)를 손소독제용기(60)에 결합시키는 펌프캡(800)으로 구성된 손소독제용기(60)를 담는 손소독제용포켓(10)에 있어서, 손소독제용포켓(10)은 손소독제용기(60)의 펌프캡(800)에서부터 손소독제용기(60)를 감싸고 상부로는 펌프헤드(700)가 노출되며, 상기 손소독제용포켓(10)은 손소독제용포켓(10)의 상부가 펌프캡(800)에 밀착되도록 조이는 조임부(100); 손소독제용포켓(10)의 후면에 벨트(11)가 장착되는 후면벨트장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손소독제용포켓(10)은 손소독제용포켓(10)의 전면에 클립을 꽂거나 소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면수납부(200), 손소독제용포켓(10)의 바닥면에 일정 두께로 덧대어지는 경질의 처짐방지패드(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펌프캡(800)은 원기둥형상으로서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부플랜지(810)와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하부플랜지(82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100)는 펌프캡(800)의 상부플랜지(810) 및 하부플랜지(820) 사이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의 반원으로서 일단부에 제1레버(111)가 형성되고 하면에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112)가 형성된 제1조임부재(110), 펌프캡(800)의 상부플랜지(810) 및 하부플랜지(820) 사이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의 반원으로서 제1조임부재(110)의 제1레버(111)와 대칭되는 위치에 제2레버(121)가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돌기(112)가 결합되는 반원경로의 결합레일(122)이 형성된 제2조임부재(120)를 포함하며, 제1조임부재(110)의 제1레버(111)와 제2조임부재(120)의 제2레버(121)가 교차된 상태에서 제1조임부재(110)의 결합돌기(112)가 제2조임부재(120)의 결합레일(122)에 결합됨으로써 제1조임부재(110)가 제2조임부재(120)의 위에서 반원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교차된 레버(111,121)를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임부(100)의 일측이 세로로 절개되어 제1조임부재(110)가 수용되는 제1조임부재수용부(101)와 제2조임부재(120)가 수용되는 제2조임부재수용부(102)로 구성될 때, 제1조임부재수용부(101)는 제1조임부재(110)와 제1레버(111)가 위치한 곳에 고정결합되고 제2조임부재(12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제2조임부재수용부(102)는 제2조임부재(120)와 제2레버(121)가 위치한 곳에 고정결합되고 제1조임부재(11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손소독제 사용이 필수적이고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손소독제를 항시 소지하면서 수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손소독제 사용율을 높이고, 개인용 손소독제를 별도 포켓에 수납하여 펌프만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인해 감염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후면벨트장착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전면수납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조임부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펌프헤드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조임부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임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레버를 이격시킨 개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조임부 대한 저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1,2조임부재의 결합상태의 평단면도와 결합구조에 대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손소독제용기에 대한 예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손소독제용포켓과 벨트를 이용하여 허리에 장착한 예시 상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손소독제용기(60)를 담아 간호사와 같이 직업특성상 손소독이 수시로 행해져야 하는 사람들이 손소독제를 상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손소독제용기(60)는 도 8과 같이 펌핑작용에 의해 손소독제용기(60)의 내부 내용물을 토출하는 펌프헤드(700)와 펌프헤드(700)를 손소독제용기(60)에 결합시키는 펌프캡(800)으로 구성되며, 도 1 및 도 9와 같이 사람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벨트(11)가 구비된 손소독제용포켓(10)에 수납되어 상시 휴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성을 고려하여 손소독제용기(60)의 용량은 100ml 정도의 소용량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용량 특성상 내용물을 자주 충전해야 하므로 손소독제용포켓(10)으로 넣었다빼는 과정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용기 아랫부분이 사각형 보다 반원의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소독제용기(60)의 펌프캡(8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으로서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부플랜지(810)와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하부플랜지(8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제1조임부재(110)와 제2조임부재(120)가 펌프캡(800)에 결합될 때 위나 아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손소독제용포켓(10)은 손소독제용기(60)의 펌프캡(800)에서부터 손소독제용기(60)를 감싸고 상부로는 펌프헤드(700)가 노출되는 구조이며, 도 1 및 도 2와 같이 조임부(100), 전면수납부(200), 후면벨트장착부(300) 및 처짐방지패드(400)로 구성된다.
조임부(100)는 손소독제용포켓(10)의 상부가 펌프캡(800)에 밀착되도록 조이는 부분으로서 손소독제용포켓(10)의 상단 내부에 고무줄과 같은 탄성있는 끈을 삽입하여 손소독제용포켓(10)에 손소독제용기(60)를 수납할 때에는 조임부(100)를 벌려 손소독제용기(60)의 펌프캡(800)까지 손소독제용포켓(10)에 수납한 뒤 조임부(100)가 펌프캡(800)을 조여 손소독제용기(60)가 손소독제용포켓(10)에서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7은 조임부(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펌프헤드(700)를 눌러 손소독제를 토출시킬 때의 사용성과 손소독제용기(60)를 손소독제용포켓(10)로 수납할 때의 편의성을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 조임부(100)가 제1조임부재(110)와 제2조임부재(120)로 구성된 것을 제시한다.
도 6은 펌프캡(800)에 조임부(100)가 결합된 상태를 아래에서 도면으로서, 제1조임부재(110)는 펌프캡(800)의 상부플랜지(810) 및 하부플랜지(820) 사이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의 반원 형상('C'자 형)의 부재로서 일단부에 제1레버(111)가 형성되고, 제2조임부재(120)는 제1조임부재(110)와 대칭인 구조로서 마찬가지로 펌프캡(800)의 상부플랜지(810) 및 하부플랜지(820) 사이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의 반원 형상('C'자 형)의 부재이고 제1조임부재(110)의 제1레버(111)와 대칭되는 위치에 제2레버(121)가 형성된다. 제1,2레버(111,121)는 측면에서 볼 때 아래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돌출된 부분으로서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손으로 펌프헤드(700)를 눌러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손가락으로 제1,2레버(111,121)를 걸어 위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1,2레버(111,121)가 없는 상태에서 손으로 펌프헤드(700)를 누르게 되면 벨트(11)에 의해 허리에 고정된 손소독제용포켓(10)이 아래로 처지면서 펌핑작용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데, 제1,2레버(111,121)로 인해 아래방향에서 위로 지지하는 힘을 작용시키면서 안정적으로 펌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조임부재(110)에는 하면에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112)가 형성되고, 제2조임부재(120)에는 상면에 결합돌기(112)가 결합되는 반원경로의 결합레일(122)이 형성됨으로써, 제1조임부재(110)와 제2조임부재(120)는 제1,2레버(111,121)가 교차된 상태에서 중심과 반경이 같은 원 상에 아래위로 겹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조임부재(110)와 제2조임부재(120)가 위아래로 겹쳐 결합되되, 제1,2레버(111,121)를 최대한 이격시킴(개방상태)으로써 제1조임부재(110)와 제2조임부재(120)가 최대한 겹치게 되면 그 평면도가 반원 경로상에 그려지고, 제1,2레버(111,121)를 최대한 근접시킴(조임상태)으로써 제1조임부재(110)와 제2조임부재(120)가 최대한 겹치지 않게 되면 그 평면도가 원에 가까운 경로상에 그려지는 것이다. 이 때 제1조임부재(110)와 제2조임부재(120)의 조절간격을 가장 넓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결합돌기(112)가 제1레버(111)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혹은 제1레버(111)가 위치한 구간 전체에 해당하는 원호 부분이 돌출부로 형성되어 결합돌기(112)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임상태에서 제1조임부재(110)와 제2조임부재(120)가 펌프캡(800)을 조여 결합됨으로써 손소독제용기(60)가 손소독제용포켓(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조임부재(110)의 제1레버(111)와 제2조임부재(120)의 제2레버(121)가 교차된 상태에서 제1조임부재(110)의 결합돌기(112)가 제2조임부재(120)의 결합레일(122)에 결합됨으로써 제1조임부재(110)가 제2조임부재(120)의 위에서 반원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교차된 레버(111,121)를 근접(조임상태)시키거나 이격(개방상태)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교차된 레버(111,121)를 근접시킨 상태(조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결합돌기(11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123,미도시)가 결합레일(122)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조임부(100)의 일측이 세로로 절개됨으로써 제1조임부재수용부(101)와 제2조임부재수용부(102)로 나뉠 때, 제1조임부재(110)는 제1조임부재수용부(101)에 수용되고 제2조임부재(120)는 제2조임부재수용부(102)에 수용된다.
이 때, 제1조임부재수용부(101)는 제1조임부재(110)와 제1레버(111)가 위치한 곳에 고정결합되고 제2조임부재(12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제2조임부재수용부(102)는 제2조임부재(120)와 제2레버(121)가 위치한 곳에 고정결합되고 제1조임부재(11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교차된 레버(111,121)를 근접(도 4의 조임상태)시키거나 이격(도 6의 개방상태)시킬 때 제1조임부재수용부(101)는 제1조임부재(110)의 이동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하고, 제2조임부재수용부(102)는 제2조임부재(120)의 이동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조임상태(도 4 및 도 6(a))에서는 제1조임부재(110)의 제1레버(111)를 제외한 대부분 구간이 제2조임부재수용부(102)에 수용되고, 제2조임부재(120)의 제2레버(121)를 제외한 대부분 구간이 제1조임부재수용부(101)에 수용된다. 개방상태(도 5 및 도 6(b))에서는 제1조임부재(110)가 제2조임부재수용부(102)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제2조임부재(120)가 제1조임부재수용부(101)에서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조임부(100)의 전체 둘레를 넓혀 손소독제용포켓(10)의 상단을 개방시킴으로써 손소독제용기(60)의 수납 또는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조임부(100)의 절개부(100a)의 반대측 일부 구간이 탄력성을 가진 탄력밴드(103)로 구성될 경우 다양한 용량 또는 형상의 손소독제용기(60)에도 더욱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전면수납부(200)는 도 2와 같이 손소독제용포켓(10)의 전면에 클립을 꽂거나 소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포켓 형태로 구성하여 반창고 등의 간단한 소지품을 보관할 수도 있고, 밴드를 덧대어 세로로 다수 구간 박음질 처리를 함으로써 간호업무시 필요한 볼펜과 같은 클립형태의 소지품을 꽂아 휴대할 수도 있다.
후면벨트장착부(300)는 손소독제용포켓(10)의 후면에 벨트(11)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도 1과 같이 밴드를 덧대어 위아래로 여유있게 박음처리함으로써 벨트를 탈부착하여 손소독제용포켓(10)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벨트 착용 후 사용자가 손소독제용포켓(1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벨트(11)를 제거한 상태에서 손소독제용포켓(10)만 단독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의 우측 도면과 같이 전면수납부(200)에 클립을 꽂아 사용자의 옷에 부착할 수 있다.
처짐방지패드(400)는 손소독제용포켓(10)의 바닥면에 일정 두께로 덧대어지는 경질의 패드로서, 펌프헤드(700)를 아래로 눌러 손소독제용기(60) 내부의 내용물(손소독제)을 토출시킬 때 벨트나 클립에 의해 착용된 구조 특성상 손소독제용기(60)가 아래로 처져 펌핑작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처짐방지패드(400)가 바닥을 좀 더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위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손소독제용포켓
11 : 벨트
100 : 조임부
110 : 제1조임부재
111 : 제1레버
112 : 결합돌기
120 : 제2조임부재
121 : 제2레버
122 : 결합레일
123 : 스토퍼
101 : 제1조임부재수용부
102 : 제2조임부재수용부
103 : 탄력밴드
100a : 절개부
200 : 전면수납부
300 : 후면벨트장착부
400 : 처짐방지패드
60 : 손소독제용기
700 : 펌프헤드
800 : 펌프캡
810 : 상부플랜지
820 : 하부플랜지

Claims (3)

  1. 펌핑작용에 의해 손소독제용기(60)의 내부 내용물을 토출하는 펌프헤드(700)와 펌프헤드(700)를 손소독제용기(60)에 결합시키는 펌프캡(800)으로 구성된 손소독제용기(60)를 담는 손소독제용포켓(10)에 있어서,
    손소독제용포켓(10)은 손소독제용기(60)의 펌프캡(800)에서부터 손소독제용기(60)를 감싸고 상부로는 펌프헤드(700)가 노출되며,

    상기 손소독제용포켓(10)은
    손소독제용포켓(10)의 상부가 펌프캡(800)에 밀착되도록 조이는 조임부(100);
    손소독제용포켓(10)의 후면에 벨트(11)가 장착되는 후면벨트장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소독제용포켓(10)은
    손소독제용포켓(10)의 전면에 클립을 꽂거나 소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면수납부(200),
    손소독제용포켓(10)의 바닥면에 일정 두께로 덧대어지는 경질의 처짐방지패드(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캡(800)은
    원기둥형상으로서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부플랜지(810)와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하부플랜지(82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100)는
    펌프캡(800)의 상부플랜지(810) 및 하부플랜지(820) 사이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의 반원으로서 일단부에 제1레버(111)가 형성되고 하면에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112)가 형성된 제1조임부재(110),
    펌프캡(800)의 상부플랜지(810) 및 하부플랜지(820) 사이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의 반원으로서 제1조임부재(110)의 제1레버(111)와 대칭되는 위치에 제2레버(121)가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돌기(112)가 결합되는 반원경로의 결합레일(122)이 형성된 제2조임부재(120)를 포함하며,

    제1조임부재(110)의 제1레버(111)와 제2조임부재(120)의 제2레버(121)가 교차된 상태에서 제1조임부재(110)의 결합돌기(112)가 제2조임부재(120)의 결합레일(122)에 결합됨으로써 제1조임부재(110)가 제2조임부재(120)의 위에서 반원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교차된 레버(111,121)를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임부(100)의 일측이 세로로 절개되어 제1조임부재(110)가 수용되는 제1조임부재수용부(101)와 제2조임부재(120)가 수용되는 제2조임부재수용부(102)로 구성될 때,
    제1조임부재수용부(101)는 제1조임부재(110)와 제1레버(111)가 위치한 곳에 고정결합되고 제2조임부재(12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제2조임부재수용부(102)는 제2조임부재(120)와 제2레버(121)가 위치한 곳에 고정결합되고 제1조임부재(11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KR1020180003185A 2018-01-10 2018-01-10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KR102011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185A KR102011695B1 (ko) 2018-01-10 2018-01-10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185A KR102011695B1 (ko) 2018-01-10 2018-01-10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67A true KR20190085267A (ko) 2019-07-18
KR102011695B1 KR102011695B1 (ko) 2019-08-19

Family

ID=6746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185A KR102011695B1 (ko) 2018-01-10 2018-01-10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521B1 (ko) 2020-08-12 2021-08-27 박상수 소독제 인출장치
KR20220003032U (ko) 2021-06-20 2022-12-27 안소영 핸드크림과 손소독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293B1 (ko) 2020-07-15 2021-02-25 진대성 엘리베이터용 손소독제 공급장치
RU210501U1 (ru) * 2020-10-08 2022-04-18 Надир Харунович Нутфуллин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дозатор антисептика
KR20220111101A (ko) 2021-02-01 2022-08-09 이정무 손목시계형 손소독제 공급장치
KR102546425B1 (ko) 2021-03-12 2023-06-22 울산과학기술원 봉 거치식 새니타이저 디스펜서
KR20230000168U (ko) 2021-07-12 2023-01-19 권오종 휴대용 액체분무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20Y1 (ko) * 1985-12-24 1989-03-06 이흥재 삽탈용 액자를 장착한 게시판
JPH0518542U (ja) * 1991-08-27 1993-03-09 威光 臼井 ゴム磁石を装着したベルト
KR940000185Y1 (ko) * 1990-07-11 1994-0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장비 작업기의 우선제어장치
JPH0852087A (ja) * 1994-08-12 1996-02-27 Inax Corp 水石鹸供給装置における吐出口部の構造
KR970000135U (ko) * 1995-06-24 1997-01-21 김명식 아기용 멜빵
KR19990035481U (ko) * 1999-06-28 1999-09-06 김재송 휴대폰홀더
KR200331306Y1 (ko) * 2003-07-23 2003-10-23 (주)아름다운생활 휴대용 물통 주머니 세트
KR100802061B1 (ko) * 2007-03-30 2008-02-12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KR200438391Y1 (ko) * 2006-11-03 2008-02-15 한기정 용기 주머니
JP2009203560A (ja) * 2008-02-26 2009-09-10 Masashi Ono 保冷体・保温体装着具
KR20120026100A (ko) 2009-05-22 2012-03-16 트리스텔 피엘씨 손 소독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20Y1 (ko) * 1985-12-24 1989-03-06 이흥재 삽탈용 액자를 장착한 게시판
KR940000185Y1 (ko) * 1990-07-11 1994-0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장비 작업기의 우선제어장치
JPH0518542U (ja) * 1991-08-27 1993-03-09 威光 臼井 ゴム磁石を装着したベルト
JPH0852087A (ja) * 1994-08-12 1996-02-27 Inax Corp 水石鹸供給装置における吐出口部の構造
KR970000135U (ko) * 1995-06-24 1997-01-21 김명식 아기용 멜빵
KR19990035481U (ko) * 1999-06-28 1999-09-06 김재송 휴대폰홀더
KR200331306Y1 (ko) * 2003-07-23 2003-10-23 (주)아름다운생활 휴대용 물통 주머니 세트
KR200438391Y1 (ko) * 2006-11-03 2008-02-15 한기정 용기 주머니
KR100802061B1 (ko) * 2007-03-30 2008-02-12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JP2009203560A (ja) * 2008-02-26 2009-09-10 Masashi Ono 保冷体・保温体装着具
KR20120026100A (ko) 2009-05-22 2012-03-16 트리스텔 피엘씨 손 소독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521B1 (ko) 2020-08-12 2021-08-27 박상수 소독제 인출장치
KR20220003032U (ko) 2021-06-20 2022-12-27 안소영 핸드크림과 손소독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695B1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5267A (ko)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US20100059560A1 (en) Portable case for storing and carrying medical items
US6565054B2 (en) Syringe holder attachment for medication
US11163329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hand sanitizer
US6234357B1 (en) Multipurpose carrying system for dispensing viscous liquid products
US6481590B1 (en) Container carrier
US20060289567A1 (en) Wearable disinfecting gel dispenser
CO5300420A1 (es) Surtidor de medicamento
US20080087560A1 (en) Disinfectant wipe dispenser
US20100122993A1 (en) Pocket supported dispenser OFR dispensing disinfecting fluid
US20080208148A1 (en) Ophthalmic Device
US9072637B1 (en) Self leveling cradle and removable container
US10898411B1 (en) Syringe and plunger clip for bottles and method
US20180263436A1 (en) Wearable Sterile Alcohol Pad Dispensing Device
US11524313B2 (en) System for dispensing substance
US11833340B2 (en) Syringe and plunger clip for bottles
JP3229454U (ja) 消毒液携帯装置
KR20200053150A (ko) 수액거치대가 구비된 방문 간호용 가방
US20050097661A1 (en) Cover lid or handle for a urinal having a fresh scent compartment
CN213789564U (zh) 一种便携式伤口处理装置
CN216855140U (zh) 一种医疗护理用置物盘
CN209004540U (zh) 一种医疗护理用工具箱
CN211675878U (zh) 一种医疗消毒棒
US20150080786A1 (en) Compact Consciousness Arousing Device
CN212326595U (zh) 一种便携式治疗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