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938A -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 Google Patents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938A
KR20190084938A KR1020190083635A KR20190083635A KR20190084938A KR 20190084938 A KR20190084938 A KR 20190084938A KR 1020190083635 A KR1020190083635 A KR 1020190083635A KR 20190083635 A KR20190083635 A KR 20190083635A KR 20190084938 A KR20190084938 A KR 2019008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aling member
sealing
groov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026B1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4276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12292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to KR102019008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0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1O-ring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39Containing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플랜지(flange) 사이에 구비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gasket)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SEALING PART FOR GASKET AND GASKE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 플랜지(flange) 사이에 구비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gasket)에 사용되는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개스킷은 압력용기, 관 플랜지, 기계기구의 접합 면 등의 고정 접합 면에 볼트 등으로 체결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정적 실(seal)의 총칭으로 작동하는 유체의 종류, 압력, 온도 등의 사용상태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형상, 재질 등이 사용된다. 이와는 상대적으로 운동부에 사용되는 동적 실의 총칭을 패킹(packing)이라 부르고 있다.
이러한 용어는 같은 종류의 실이라 할지라도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그 사용하는 명칭이 달라 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O 링(오 링, O ring)의 경우 오 링 개스킷 이라고 부르며, 운동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같은 오 링 일지라도 오 링 패킹으로 불리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명칭은 규격화되어 있지만 엄격하게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도 1은 일반적인 개스킷이 사용되는 일 사용 태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개스킷(100)은 관 플랜지(200) 사이의 접합 면 사이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개스킷(100)은 관로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외부 유출은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개스킷(100)이 관 플랜지(200)에 장착된 이후에는 관 플랜지(200)의 접합 면이 벌어지지 않도록, 관 플랜지(200)의 개구부에 볼트(400)를 넣고, 볼트의 양측을 너트(300)로 조이게 된다. 볼트(400)에 너트(300)를 결합하기 전에 메탈 워셔(610)과 절연 워셔(620)가 먼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관 플랜지(20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볼트(300)는 절연 슬리브(500) 내부에 끼워져서 관 플랜지(200)에 삽입될 수도 있다.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59388 (2016.05.26 공개))은 진공 및 고압의 조건에서도 2중으로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를 구비하는 개스킷이 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위 특허문헌 1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특허문헌 1의 도시된 개스킷 발명은 금속 재질의 중심층(100), 중심층의 상면 및 하면에 중심층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는 절연 재질의 제1층(210) 및 제2층(220)을 구비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가 각각 제1층(210) 및 제2층(220)을 관통하여 중심층(100)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홈부 및 제2홈부보다 개스킷 중심으로부터 먼쪽에 제3홈부 및 제4홈부가 각각 제1층(210) 및 제2층(22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홈부 및 제2홈부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사다리꼴 형상의 제1 실링부재(410)와 제2실링부재(420)가 내부에 개스킷 중심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 내에 제1 스프링(510) 및 제2 스프링(520)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3홈부 및 제4홈부에는 2중으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의 오링(O-ring) 부재인 제3 실링부재(610) 및 제4 실링부재(610)가 삽입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도시된 실링부재, 특히 제3 및 제4 실링부재의 경우, 제3 및 제4 홈부에 오링을 삽입하는 것일뿐 누설되는 유체에 따라 밀폐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가변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링 효과가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특허문헌 1에는 절연 재질이 녹을 수 있는 고온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실시예나 구조를 기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고온 환경에서 실링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59388 (2016.05.26 공개)
본 발명은 진공 및 고압의 환경에서도 플랜지 접합부 상의 누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개스킷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실링 부재를 사용하면서도 플랜지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고온의 환경에서 개스킷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개스킷과 플랜지 사이의 마모에 의한 제품 내구도 저하를 줄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링부재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구비되는 거치홈 및 상기 거치홈에 거치되는 실링부를 수비하는 실링부재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실링부는 V형 또는 W형 스파이럴 와운드이며, 상기 거치홈은 실링부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거치홈은 실링부재의 외측에 구비되고 외측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홈은 실링부재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 상면은 상측이 라운딩 처리된 물결 형상이거나, 내측 상면은 상측이 라운딩 처리된 물결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 하단은 내측 방향으로 절삭된 내향 절삭부를 구비하고, 내측 하단은 외측 방향으로 절삭된 외향 절삭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절연 개스킷으로서, 상기 절연 개스킷은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층 및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 및 제2층에 각각 구비되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에, 상술한 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연 개스킷의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전기적 절연 재질이고, 상기 중심층은 금속 재질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는 각각 제1층 및 제2 층을 통과하여 중심층까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 개스킷은 상기 중심층과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저면절연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절연 개스킷은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금속 재질이고, 상기 중심층은 절연 재질이며, 이 경우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는 각각 제1층 및 제2 층까지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실링부재 구조와는 상이한 스파이럴 와운드 형상을 가지는 실링부재를 통해서 보다 뛰어난 밀폐 효과를 가지는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개스킷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갈바노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의 환경에서 개스킷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개스킷과 플랜지 사이의 마모에 의한 제품 내구도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개스킷이 사용되는 일 사용 태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위 특허문헌 1에 도시된 개스킷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V형 스파이럴 와운드의 실링부를 구비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한 개스킷의 사시도 및 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개스킷의 실링부재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링부재와 다른 실링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링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W형 스파이럴 와운드의 실링부를 구비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개스킷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원판 형상의 개스킷 구조의 특성 상, 설명의 편의 및 도면과 설명 사이의 일치를 위하여 개스킷의 일 단면을 전재로 설명한다. 하지만, 중심 부분이 개구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개스킷의 특성 상, 당업자라면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의 단면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각 구성이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이를 기초로 원판 형상의 전체적인 개스킷의 형상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기술과 겹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 "내측(I)"이란 띠 형상을 가지는 구성요소에서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O)"이란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측"이란 도면 상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이란 도면 상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을 설명하고, 도 6을 참조하여 도 4및 도 5에 따른 개스킷에 사용되는 실링부재(61, 62)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개스킷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은 중심이 개구된 원판 형상의 중심층(10)을 중심으로 상면 및 하면에 중심층과 동일한 형상의 제1층(21) 및 제2층(22)을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층(21) 및 제2층(22) 상에는 제1 홈부(310) 및 제2홈부(320)가 구비되고, 각각 제1층(21) 및 제2층(22)을 관통하여 중심층(10)의 일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단, 중심층(10)까지 관통하여 형성되지는 않는다. 제1실시예에서 중심층(10)은 금속 재질이고 제1층(21) 및 제2층(22)은 전기적 절연 재질이다.
제1 실링부재(61) 및 제2 실링부재(62)는 각각 상기 제1홈부(310) 및 제2 홈부(320) 내부에 구비 및 배치되어 플랜지에서 누출되는 유체가 외측 방향으로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실링부재(61) 및 제2실링부재(62)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링부재(61) 및 제2실링부재(62)는 상하측 대칭으로 구비되는 동일한 형상의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실링부재(61)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링부재(61)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실링부재(61)의 단면 중 우측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을 기준으로 볼 때, 좌측이 중심축을 향하는 내측 방향(I), 우측이 외측 방향(O)이다.
도 6에 도시된 제 1 실링부재(61)는 상기 띠 형상의 제1 홈부(310)에 삽입되도록 띠 형상을 가지고, 실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높이는 제1 홈부(또는 제2 홈부)의 높이 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실링부재(61)는 후술하게 되는 실링부(610)가 거치되는 거치홈(611)을 구비한다. 상기 거치홈(611)의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의 내측에 구비(611a)되어 내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거나(도 6), 실링부재의 외측에 구비(611 b)되어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거나(도 7), 실링부재의 중심에 구비(611c) 될 수 있다(도 8). 이와 같은 거치홈은 금속 재질의 실링부재를 직각 형상으로 절삭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거치홈(611)의 높이는 실링부재의 높이보다 작도록 구비됨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실링부(610)가 거치되는 밑면이 일정 부분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61)는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유체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실링부(610)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링부(610)는 스파이럴 와운드(Spiral Wound)형상으로서, 고온 및 고압 상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고유의 높은 밀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스파이럴 와운드는 후프(hoof)와 필러(filler)가 교대로 반복하여 감겨서 형성되며, 상기 후프는 두 개의 뫼와 하나의 골로 이루어진 V 형상(610v)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프의 두 개의 뫼의 방향은 상기 개스킷의 외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러는 흑연, 세라믹(ceramic), 운모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러는 비 석면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링부(610)의 높이는 거치홈(611)의 높이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마모층(613)이 제1 실링부재(61)의 상면 상(615)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우측 상단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마모층(613)은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띠 형상을 가지되, 제1 실링부재(61) 상면 전체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측 상면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마모층(413)은 제1실링부재(41)와 플랜지 사이에 고온 환경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줄이면서 동시에 상기 C링 형상에서 누출된 유체를 추가적으로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흑연 재질을 제1 내마모층으로 사용하는 경우, 내마모층(413)은 고온에서도 내구성이 높으며, 더 나아가 플랜지와 실링부재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실링부재(61)의 외측 상면(615)은 상단이 라운딩 처리된 물결 형상(615a)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형상(615a)은 상기 제1 내마모층(613)과의 밀폐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내마모층(613)과 제1 실링부재의 외측 상면이 면대 면으로 접촉하는 것보다 물결 형상(615a)과 제1 내마모층(613)이 접촉하는 것으로 보다 향상된 밀폐성을 발휘할 수 있고, 상단이 라운딩 처리된 물결 형상이 제1 내마모층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실링부재(61)는 상기 실링부의 상측 및 하측에 제2 내마모층(61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제1 내마모층(613)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실링부(610)의 상단과 플랜지 사이, 그리고 실링부의 하단과 실링부재의 거치홈의 저면 사이의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실링부의 상단 및 하단에 제2 내마모층(614)를 구비할 경우, 실링부의 상단에 위치한 제2 내마모층의 수직 방향 높이가 상기 제1 내마모층(613)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1실링부재(61)의 외측 하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삭된 내향 절삭부(617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향 절삭부(617a)는 제1실링부재(61)의 외측 하단과 중심층(10)을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링부재(61)가 삽입되는 제1홈부(310)은 중심층(10)까지 형성되어 있고 제1실링부재(61) 및 중심층(10)은 금속 재질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갈바노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내향 절삭부(617)를 구비함으로써 제1 실링부재(61)와 중심층(10)을 물리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상기 내향 절삭부(617a)가 절삭된 형상은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절삭될 수도 있고, 외측 하단에서 경사지도록 깍인 형상일 수 있지만,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실링부재(61)의 외측 하단과 중심층(10) 사이를 물리적으로 절연할 수 있는 모든 절삭 형상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제1 실링부재(61)의 내측 하단(6112)과 중심층(10)을 물리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홈부(310)의 내측벽(311)과 상기 제1 실링부재(61)의 내측 일단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링부재(61) 단면의 좌우너비는 제1 홈부(310) 단면의 좌우너비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이 내측 일단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홈부의 내측벽(311)과 이격되어 있는 것은, 금속 재질의 실링부재(61)의 내측 하단이 중심층(10)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누출된 유체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실링부의 밀폐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제1실링부재(61)의 저면에는 저면절연층(619)을 구비하여 금속 재질인 제1실링부재(61)와 금속재질인 중심층(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저면절연층의 재질은 예를 들어 전기적 절연재질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제1실링부재(61)와의 차이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실링부재의 좌우를 대칭되도록 바꾸어 형성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거치홈(611b)은 제1 실링부재의 외측에 구비되고, 외측 방향(O)으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기본적인 구성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대응되되, 도 6과 달리 내측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절삭된 외향 절삭부(617b)가 구비되어 중심층과 전기적 절연된다. 또한, 도 6과 유사하게 내측 상단은 상측이 라운딩 처리된 물결 형상(615b)으로 구비된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실링부재를 결합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거치홈(611c)은 제1 실링부재의 중심에 구비되어 단면을 볼 때 "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본적인 구성은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대응되되, 도 6 및 도 7과 달리 외측 하단 및 내측 하단 양쪽에 각각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절삭된 외향 절삭부(617b) 및 내향 절삭부(617a)가 모두 구비되어 내측 및 외측 모두 중심층과 전기적 절연된다. 이와 같이 양측 모두 중심층과 절연이 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제1 실링부재의 너비는 제1 홈부(310)과 동일하게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도 8에 따른 실링부재는 내측 상단의 물결 형상(615b) 및 외측 상단의 물결 형상(615a)을 모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로서, 이중으로 유출되는 유체를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각각 도 6, 도 7 및 도 8에서 외측 상단 및 내측 상단에 물결 형상이 없이 평평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도 6, 도 7 및 도 8의 V형 스파이럴 와운드 실링부가 아닌 W형 스파이럴 와운드 실링부(610w)가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고온의 환경을 전제로 밀폐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실링부재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도 6에 도시된 제1실링부재의 실시예가 적용된 개스킷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2 및 13은 각각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1 실링부재의 실시예가 적용된 개스킷의 단면도로서, 실링부재 자체의 형상 및 기능은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외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중심층(10)의 재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는 달리 절연 재질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절연 재질의 중심층(1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되는 제1층(21) 및 제2층(22)은 금속 재질로 구비된다. 이는 고온의 환경에서 내열성이 낮은 절연 재질을 외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실링부재(61, 62)가 삽입되는 제1홈부(310) 및 제2홈부(32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달리, 절연 재질의 중심층에 의하여 제1층 및 제2층이 절연되기 때문에, 제1층(21) 및 제2층(22)을 관통하여 형성되지 않고 제1층 및 제2층 내에 형성된다.

Claims (13)

  1. 유체의 유출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절연 개스킷으로서,
    중심층(10) 및 상기 중심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층(21) 및 제2층(22);
    상기 제1층(21) 및 제2층(22)에 각각 구비되는 제1 홈부(310) 및 제2 홈부(330);
    상기 실링부재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구비되는 거치홈(611); 및
    상기 거치홈에 거치되는 실링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의 내측벽(311)과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6112)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 및 중심층(10)이 절연되고 상기 실링부(610)의 밀폐성이 높아지며,
    상기 실링부는 V형 또는 W형 스파이럴 와운드이고,
    상기 거치홈(611)은 실링부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 하단은 내측 방향으로 절삭된 내향 절삭부(617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상면(615a)은 상측이 라운딩 처리된 물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상측 및 하측에 내마모부재(61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4. 유체의 유출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절연 개스킷으로서,
    중심층(10) 및 상기 중심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층(21) 및 제2층(22);
    상기 제1층(21) 및 제2층(22)에 각각 구비되는 제1 홈부(310) 및 제2 홈부(330);
    상기 실링부재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구비되는 거치홈(611); 및
    상기 거치홈에 거치되는 실링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의 내측벽(311)과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6112)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 및 중심층(10)이 절연되고 상기 실링부(610)의 밀폐성이 높아지며,
    상기 실링부는 V형 또는 W형 스파이럴 와운드이고,
    상기 거치홈(611)은 실링부재의 외측에 구비되고 외측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 하단은 외측 방향으로 절삭된 외향 절삭부(617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5. 제 4 항에 있어서,
    내측 상면(615b)은 상측이 라운딩 처리된 물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6. 유체의 유출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절연 개스킷으로서,
    중심층(10) 및 상기 중심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층(21) 및 제2층(22);
    상기 제1층(21) 및 제2층(22)에 각각 구비되는 제1 홈부(310) 및 제2 홈부(330);
    상기 실링부재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구비되는 거치홈(611); 및
    상기 거치홈에 거치되는 실링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의 내측벽(311)과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6112)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 및 중심층(10)이 절연되고 상기 실링부(610)의 밀폐성이 높아지며,
    상기 실링부는 V형 또는 W형 스파이럴 와운드이고,
    상기 거치홈(611)은 실링부재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 하단 및 외측 하단은 각각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절삭된 외향 절삭부(617b) 및 내향 절삭부(617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을 중심으로 내측 상면(615b) 및 외측 상면(615a)은 상측이 라운딩 처리된 물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 상면(615b) 및 외측 상면(615a)의 물결 형상의 상측에 내마모부재(61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9.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21) 및 제2층(22)은 전기적 절연 재질이고, 상기 중심층(10)은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310) 및 제2 홈부(320)는 각각 제1층(21) 및 제2층(22)을 통과하여 중심층(10)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10)과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저면절연층(619)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12.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21) 및 제2층(22)은 금속 재질이고, 상기 중심층(10)은 절연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310) 및 제2 홈부(320)는 각각 제1층(21) 및 제2층(22)까지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개스킷.
KR1020190083635A 2017-10-30 2019-07-11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KR10228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635A KR102284026B1 (ko) 2017-10-30 2019-07-11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66A KR20180122923A (ko) 2017-05-05 2017-10-30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KR1020190083635A KR102284026B1 (ko) 2017-10-30 2019-07-11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766A Division KR20180122923A (ko) 2017-05-05 2017-10-30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938A true KR20190084938A (ko) 2019-07-17
KR102284026B1 KR102284026B1 (ko) 2021-07-30

Family

ID=6751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635A KR102284026B1 (ko) 2017-10-30 2019-07-11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0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0301A1 (fr) * 2002-05-29 2003-12-04 Nok Corporation Bague d'etancheite
KR101045068B1 (ko) * 2008-07-25 2011-06-29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절연 개스킷
KR20160059388A (ko)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개스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0301A1 (fr) * 2002-05-29 2003-12-04 Nok Corporation Bague d'etancheite
KR101045068B1 (ko) * 2008-07-25 2011-06-29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절연 개스킷
KR20160059388A (ko)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개스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026B1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2923A (ko)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KR101914262B1 (ko)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
US5255926A (en) Steel laminate gasket
KR20110130880A (ko) 메탈 개스킷
US9528722B1 (en) Versatile encapsulated fluid heater configuration
KR20190084938A (ko)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KR20190084939A (ko)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KR102633116B1 (ko) 해양플랜트용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가스켓
KR101554322B1 (ko) 캠프로파일을 구비한 스프링 타입 가스켓의 제조방법
EP2362120B1 (en) Seal structure for engine
JP7026453B2 (ja) パッキン
US20190085979A1 (en) Dynamic sealing device
JP2009216150A (ja) ピストンシール構造
US2684255A (en) Joint seal structure
RU2638707C2 (ru) Кольцевая металлическая статическая прокладка
KR20170000076U (ko) 멀티 캠프로파일 가스켓
KR20220041361A (ko) 가스켓
KR20210037051A (ko) 실린더라이너 및 그 실린더라이너가 결합된 실린더블록
KR20210032770A (ko) 해양플랜트 배관용 개스킷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 절연 개스킷
KR102149928B1 (ko) 가스켓
KR102564321B1 (ko) 가스켓
US9234588B2 (en) Flexible stuffing box packing assembly
CN220250753U (zh) 一种高温换热器内管体膨胀密封结构
JP6711505B2 (ja) コンプレッションリング
JPS61164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