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416A - Cool pillow - Google Patents

Cool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416A
KR20190084416A KR1020180002153A KR20180002153A KR20190084416A KR 20190084416 A KR20190084416 A KR 20190084416A KR 1020180002153 A KR1020180002153 A KR 1020180002153A KR 20180002153 A KR20180002153 A KR 20180002153A KR 20190084416 A KR20190084416 A KR 2019008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topper
opening
pillow
wat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1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6552B1 (en
Inventor
이한우
Original Assignee
이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우 filed Critical 이한우
Priority to KR102018000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552B1/en
Priority to PCT/KR2019/000061 priority patent/WO2019135605A1/en
Publication of KR2019008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5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 pillow of a heat absorption method. The cool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shioning unit defining an outer shape of the pillow and having a cylindrical receiving groove; a cover unit surrounding the cushioning unit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a heat conducting fluid partially filled in the cover unit to impregnate the cushioning unit; and a stopper unit coupled to the opening to seal the cover unit to prevent the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 stopper unit comprises: a first groove recess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a handle portion installe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groove to the upper surface; and a hollow portion formed under the first groove.

Description

쿨 베개{COOL PILLOW}Cool pillow {COOL PILLOW}

본 발명은 쿨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 흡수 방식의 쿨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 pillow of a heat absorption type.

베개는 통상적으로 솜과 같은 내부 충진재에 이를 감싸는 천 재질로 구성된다. A pillow is typically made of a fabric material that wraps around an internal filler such as cotton.

베개는 인체의 특정부분인 머리와 같은 부위가 닿았을 때 그 무게에 비례하여 꺼지도록 설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푹신하고 편안한 느낌을 전달하지만, 여름철 높은 온도에서는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주기도 한다. 푹신할수록 베개와 인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열이 쉽게 방출되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덥고 불쾌한 느낌을 전달하는 것이다. The pillow is designed to turn off proportional to its weight when it touches a certain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head, to give the user a feeling of being fluffy and comfortable, but it also gives the user discomfort at high temperatures during the summer. The more the pillow, the wid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illow and the body, the less easily the heat is released, and the hot and uncomfortable feeling is delivered to the user.

이에 대응하여 기존에 여러 방식의 쿨 베개가 존재한다. In response to this, there are various conventional cool pillows.

베갯잇에 합성 섬유를 이용한 메쉬 구조를 도입하여 인체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쉬 방식에서부터, 열흡수가 잘 되는 소프트 겔을 활용하여 베갯잇에 패치 형태로 붙이는 패치 방식, 그리고, 냉매를 직접 내부 충진재로 적용하는 방식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The mesh structure using synthetic fiber is introduced into the pillowcase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human body. The patch method is applied to the pillowcase in a patch form by using a soft gel having a good heat absorption, There are various ways to apply them directly as internal fillers.

그러나 기존의 방식들은 여러 한계점을 갖는데, 메쉬 방식은 인체의 열이 잘 빠져나가도록 하는 통풍 구조에 지나지 않아 어디까지나 수동적인 냉각 방식으로서 인체의 열을 능동적으로 식혀주지 못한다. 이에 비해 패치 방식은 능동적인 냉각 방식이긴 하나, 쉽게 인체의 열에 의해 데워져 냉각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매우 짧다. 그리고, 냉매 충진 방식은 냉각 상태 유지 시간은 길지만, 사용이 끝난 후 재냉동이 필요하여 사용상 번거로움을 유발한다. 또한, 냉매 충진 방식은 일반적으로 내부 충진재가 유동성의 냉매로 대체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지 못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수반하기도 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s have various limitations. The mesh method is merely a ventilation structure that allows the human body to easily dissipate heat, so that the passive cooling method can not actively cool the human body heat. On the other hand, the patch method is an active cooling method, but it is very short time to maintain the cooling state by the heat of human body easily. And, the refrigerant filling method has a long holding time in the cooling state, but it requires re-freezing after the use, resulting in troublesomeness in use. In addition, the refrigerant charging method is generally replaced with a liquid refrigerant, and the user's head can not be stably fixed, which may lead to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tudied for a long tim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fter trial and error, have come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 흡수 방식으로서 냉매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장시간 이용에도 냉각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며 이용시 이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쿨 베개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l pillow which can easily replace a refrigerant as a heat absorbing method and keep a cooling state for a long time even during use for a long time, and can securely fix a head of a user in use to induce a comfortable sleeping.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unspecified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asily deduced from the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는 베개의 외부 형상을 정의하며, 원통형의 수용홈이 형성된 완충부; 상기 완충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에 부분적으로 채워져 상기 완충부를 함침하는 열전도 유체; 및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를 밀봉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부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로 함몰된 제1 그루브와,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상부 표면을 향하여 입설된 손잡이부와, 상기 제1 그루브 아래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oo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n outer shape of a pillow, and includes a cushion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receiving groove; A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buffer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A thermally conductive fluid partially filled in the cover portion to impregnate the buffer portion; And a cap which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seals the cover to prevent the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herein the cap comprises: a first groov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groove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groove, And a hollow portion formed below the first groove.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에 구비되며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링형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그 외측 표면에 상기 제1 나사산에 상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상기 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Wherei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ring-shaped nut portion provided in the opening and having a first threaded portion, the plug portion having a second thread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ead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can be coupled to the opening through threaded engagement of the second thread.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반대쪽에서 하부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된 제2 그루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루브의 내측 표면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stopp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groove recessed upward from a lower surface at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groove,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is provided with a third threaded portion for screwing with a water- And the hollow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상기 제2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중공부 내부로 함몰된 제3 그루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그루브의 내측 표면에는 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4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And a third groove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groove into the hollow portion. A fourth thread for screwing the water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groove.

본 기술은 열 흡수 방식으로서 냉매 교체가 매우 용이한 쿨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 cool pillow in which refrigerant replacement is very easy as a heat absorption method.

또한 본 기술은 장시간 이용에도 냉각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쿨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 cool pillow that keeps the cooling state for a long tim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기술은 이용시 사용자의 두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편안한 느낌을 전달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 pillow that can relieve the user's head when used and deliver a comfortable feeling to induce a good night's slee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A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에 결합된 물통이 개구를 통해 열전도 유체로 젖어 있는 완충부 내 수용홈으로 도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에 결합된 물통이 개구를 통해 열전도 유체로 젖어 있는 완충부 내 수용홈으로 도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in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bottle is coupled to a sto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troducing a bucket coupled to a sto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receiving groove in a buffer portion wett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fluid through an openin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water bottle coupled to a sto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into a receiving groove in a cushioning portion wetted with a heat conductive fluid through an opening.
9 is a sectional view of a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the spacing are expres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can be exaggerated relative to the actual physical thicknes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known configurations irrespective o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case of adding the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have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A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in Fig. 2. Fig.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100)는 완충부(110), 커버부(120), 열전도 유체(130) 및 마개부(140)를 포함한다. 1 and 2, a cool pillow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ffer part 110, a cover part 120, a heat conductive fluid 130, and a stopper part 140 .

완충부(110)는 베개의 외부 형상을 정의한다. 완충부(110)는 스폰지, 솜, 라텍스 등 인체의 머리와 목 부위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가질 수 있다. The cushioning portion 110 defines the outer shape of the pillow. The buffer 110 may have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an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and neck of a human body such as a sponge, a cotton, and a latex.

완충부(110)는 다공성 또는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전도 유체의 의해 함침되고, 열전도 유체는 완충부의 다공성 또는 메쉬 구조 곳곳으로 스며든 상태로서, 인체와 닿는 부위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데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다. The buffering portion 110 may have a porous or mesh structure. Such a buffer portion is impregnat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fluid as described later,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is in a porous state of the buffer portion or impregnated into every part of the mesh structure, and has a structure advantageous for keeping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cool.

완충부(110)에는 원통형의 수용홈(112)이 형성된다. 수용홈(112)으로는 물통(B)이 수용된다. 물통(B)은 냉매, 즉, 쿨 베개의 기본적인 냉각 기능을 제공하는 물과 같은 냉매를 담는 용도로 이용된다. 물통(B)은 외부에서 냉각된 후 차가워진 상태로 본 발명의 수용홈(112)으로 수용될 수 있다. 물통(B)은 베개 내로 삽입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물통(일례로, 생수통)과 유사한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A cylindrical receiving groove 112 is formed in the buffer part 110. A water bottle (B)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2). The water bottle (B) is used to contain a refrigerant, that is, a refrigerant such as water that provides a basic cooling function of a cool pillow. The water bottle B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bottle B is cooled externally and then cooled. The water bottle B may have various shapes for insertion into the pillow, but it is assu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hape similar to a general water bottle (for example, a water bottle).

도 1은 쿨 베개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존재하는 완충부가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완충부는 인체의 머리나 목 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치기에 적합한 대략적으로 납작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완충부를 둘러싸는 커버부(120)는 완충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외관을 갖는다. 1 shows the outer appearance of a cool pillow, and the buffer part existing therein is not shown in FIG. 1, but the buffer part may have a substantially flat rectangular shape suitable for stably supporting the head or neck part of the human body , And the cover portion 120 surrounding such buffer portion has an appearan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uffer portion.

커버부(120)는 수용홈(112)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OP)를 갖는다. 개구(OP)는 쿨 베개 안으로 열전도 유체가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역할을 하고, 주입된 열전도 유체가 개구를 통해 새어나가지 않도록 개구(OP)는 후술하는 마개부에 의해 막아진다. The cover portion 120 has an opening OP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112. The opening OP serves as an inlet for injecting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into the cool pillow, and the opening OP is blocked by a cap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injected thermally conductive fluid does not leak through the opening.

커버부(120)는 내부에 채워진 유체를 밀봉하고, 베갯잇과 같은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는 방수원단이나 방수천일 수 있다. 또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The cover 12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o as to seal the fluid filled therein and to function as a pillowcase. For example, the cover portion may be a waterproof fabric or a waterproof cloth. Or a silicon materia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 유체(130)가 커버부(120)에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쿨 베개(100)가 z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열전도 유체(130)가 커버부(120)에 채워져 z방향으로 중간 정도의 수위(L)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전도 유체는 베개가 놓여지는 상태에 따라 커버부(120) 내에서 유동한다. 예를 들어, z방향을 따라 눕혀진 상태에서는 y방향으로 소정의 수위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is partially filled in the cover portion 120. 2 shows that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is filled in the cover portion 120 in a state in which the cool pillow 100 is erected in the z direction and has a middle level L in the z direction, The heat conductive fluid flows in the cover portion 120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pillow is placed. For example, in a state of being laid down along the z direction, it can have a predetermined water level in the y direction.

열전도 유체(130)는 물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유체일 수 있다.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may be a fluid that is readily available in everyday life, such as water.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부(110)는 다공성 또는 메쉬 구조를 가지므로, 커버부(120) 내에 부분적으로 채워진 열전도 유체(130)는 완충부(110)를 함침할 수 있다. 즉, 완충부(110)는 커버부(120) 내에서 부분적으로 채워진 열전도 유체(130)에 의해 젖어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다시 말해, 완충부는 커버부 내에서 열전도 유체에 부분적으로 잠겨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uffer part 110 has a porous or mesh structure,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partially filled in the cover part 120 can impregnate the buffer part 110. That is, the buffer portion 110 is in a wet state by the partially filled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in the cover portion 120. In other words, the buffer is partially immersed in the heat transfer fluid in the cover portion.

완전히 잠겨있는 경우보다, 부분적으로 채워진 경우, 사용자의 머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베개 내에 물이 가득채워질수록 물이 직접 머리를 받치게 되어 물컹거리기만 할 뿐 사용자의 머리를 바로 잡아주기 어렵고, 물의 양이 적을수록 냉각 효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유체(130)는 다공성 또는 메쉬 구조의 완충부(110)를 적실 정도의 수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partial filling, the user's head can be more stably fixed than in a completely locked state. As the pillow is filled with water, the water directly supports the hea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raighten the user's head. The smaller the amount of water, the more difficult it is to obtain the cooling effect. (130) preferably has a volume of the porous or mesh-like buffer part (11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버부(120)의 일측에는 수위 조절창(124)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 베개를 z방향으로 세워준 상태에서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를 주입하면서, 일측에 마련된 수위 조절창(124)을 통해 일정 레벨까지만 유체를 채워주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again to FIG. 1, a water level adjusting window 12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ver 120. As shown in FIG. 2, filling the fluid only up to a certain level through the level adjustment window 124 provided at one side while injecting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through the opening OP in a state of standing up the cool pillow in the z direction It is possible.

마개부(140)는 개구(OP)에 결합되어 열전도 유체(130)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커버부(120)를 밀봉한다. The cap 140 is coupled to the opening OP to seal the cover 120 so that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마개부(140)는 개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개구를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부는 실리콘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에 고무 재질이 코팅된 것일 수도 있다. The stopper portion 140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coupled to the opening in a threaded manner and can stably seal the opening. For example, the stopper may be a silicone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Or rubber material. Or a material such as plastic coated with a rubber material.

도 3에서 마개부(140)와 커버부(120)의 결합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3,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ap 140 and the cover 120 is shown in more detai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140)는 외측 표면(SL)에 나사산(141)이 형성된다. 외측 표면(SL)으로부터 돌출 형태의 나사산(141)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topper 140 has a thread 14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L. A projecting thread 141 may be formed from the outer surface SL.

그리고, 커버부(120)는 나사산(141)에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123)을 갖는 링형 너트부(122)를 포함한다. 링형 너트부(122)는 개구(OP)에 구비된다. The cover portion 120 includes a ring-shaped nut portion 122 having threads 123 corresponding to the threads 141. The ring- The ring-shaped nut portion 122 is provided in the opening OP.

즉, 마개부(140)는 나사산(141)과 나사산(123) 사이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커버부(120)의 개구(OP)에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stopper 140 can be coupled to the opening OP of the cover portion 120 through the threaded connection between the screw thread 141 and the screw thread 123.

마개부는 쿨 베개 내부의 열전도 유체가 새나가지 않도록 개구를 밀폐해야 하고 따라서 개구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링형 너트부(122)는 커버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커버부가 실리콘 재질인 경우 링형 너트부도 실리콘 재질로서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리콘 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링형 너트부를 먼저 구비시킨 후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실리콘 또는 방수천 재질의 커버부를 링형 너트부와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opper should seal the opening so that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inside the cool pillow does not leak, and is therefore firmly coupled to the opening. For this, the ring-shaped nut portion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ortion 120. For example, when the cover portion is made of silicon, the ring-shaped nut portion may also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and integral with the cover portion. As another example, after the ring-shaped nut part made of silicon or plastic is first provided, the cover part made of silicone or waterproof cloth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ing-shaped nut part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도 3을 참조하면, 마개부(140)는 상부 표면(ST)으로부터 하부로 함몰된 제1 그루브(142)와, 제1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부 표면(ST)을 향하여 입설된 손잡이부(146), 그리고, 제1 그루브(142) 아래에 형성된 중공부(H)를 포함한다. 3, the stopper 140 includes a first groove 142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ST downward, a handle 146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groove toward the upper surface ST, And a hollow portion (H) formed under the first groove (142).

손잡이부(146)는 바 형태로 제1 그루브에 입설되어 사용자가 마개를 열고 닫을 때 잡고 돌릴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The handle portion 146 is provided on the first groove in a bar shap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hold and turn the stoppe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stopper.

손잡이부(146)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그루브(142)는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groove 142 may have a structure that becomes deeper toward the center so that the user's finger can be sufficiently inserted into the knob 146. [

이러한 구조는 중공부(H)의 공간을 넓게 확보하기에 유리하므로, 넓은 중공부(H)를 통하여 외부와의 열손실 방지나 외부로부터의 열차단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손잡이부(146)를 제1 그루브(142) 내에 위치시킬 수 있어(즉, 손잡이부의 입설 높이를 마개부의 상부 표면(ST)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어) 베개 밖으로 불필요하게 손잡이부를 돌출 형성시키지 않는 오프셋 공간을 제공한다. Such a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securing a wide space of the hollow portion H, and therefore, it also helps to prevent heat loss to the outside through a wide hollow portion H and also to help from the outside. Further, the handle portion 146 can be positioned in the first groove 142 (i.e., the height of the entry of the handle portion can be positioned below the upper surface ST of the stopper portion) unnecessarily protruding the handle portion out of the pillow Provide offset space.

중공부(H)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워진 상태일 수도 있으나, 열차단용 물질이 채워진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중공부 내부가 열차단용 물질로 채워진 경우, 보다 우수한 열손실 방지 및 열차단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hollow portion H may have a state in which the interior is empty, but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for a heat carrier is filled. When the inside of the hollow part is filled with the material for heat shielding, more excellent heat loss prevention and heat shielding effect can be derived.

이와 같이, 외부에서 냉각시킨 물통(B)을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로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으로 넣고, 마개부(140)를 막아줌으로써, 냉각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고, 물컹거림 없이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여분의 물통(B)을 더욱 활용하여 교체 방식으로 식어버린 물통을 꺼내고 다시 차가운 물통을 넣어줌으로써 쿨 베개의 시원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bottle B cooled from the outside is put into the receiving groove in the buffer part 110 wetted with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through the opening OP, and the stopper part 140 is closed, (B) can be maintained, and the user's head can be stably fixed without causing a struggle. If necessary, the user can take advantage of the extra water bottle (B) The state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한편, 상기에서는 물통(B)이 마개부(140)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에 따라, 수용홈(112) 내에 물통(B)이 수용되었을 때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그 공간 내에서 한쪽으로 쏠려있을 수 있다. 베개를 자주 뒤집지 않는 이상 이런 상태는 계속 유지되게 되는데, 이는 열전도 유체와 물통 사이에 접촉 면적을 줄여 냉각 효과를 떨어뜨리고, 또한, 베개 내에서 물통이 덜렁거리는 이질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가적인 그루브 구조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20)의 개구(OP)를 밀봉하는 기본적인 역할은 동일하므로, 그루브 구조를 통한 물통 고정 역할과 보관시 뚜껑 역할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meantime, the water bottle B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140 in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ly, when the water bottle B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12, it can not be fixed and can be directed to one side in the space. This condition will continue to be maintained unless the pillow is frequently turned over, which reduc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and the bucket, thereby reducing the cooling effect and also providing the user with a sense of sheer buckling in the pillow. Accordingly, the stopper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groove structure as described later. Since the basic role of sealing the opening OP of the cover part 120 is the same, the function of fixing the water bottle through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role of the lid during storage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에 물통(B')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 2와 같이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한다.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bottle B 'is coupled to a stopper 1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sponds to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 as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 3과 유사하게 도 4에서 A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1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in FIG. 4, similar to FIG.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에 결합된 물통(B')이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로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112)으로 도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water bottle B 'coupled to the stopper 1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in the cushioning portion 110 in the cushioning portion 110 wet with the heat conductive fluid 130 through the opening OP, (112). ≪ / RTI >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마개부(140')는 상술한 제1 그루브(142), 손잡이부(146) 및 중공부(H) 외에 추가적으로, 제1 그루브(142)의 반대쪽에서 하부 표면(SB)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된 제2 그루브(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공부(H)는 제1 그루브(142)와 제2 그루브(144) 사이에 위치한다. 4 and 5, in addition to the first groove 142, the handle 146, and the hollow portion H described above, the stopper portion 140 'is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groove 142 And a second groove 144 recess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SB. At this time, the hollow portion H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oove 142 and the second groove 144.

그리고, 제2 그루브(144)의 내측 표면(SG1)에는 물통(B')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145)이 형성된다. The inner surface SG1 of the second groove 144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145 for screwing with the water bottle B '.

물통(B')은 별도의 뚜껑 없이 바로 마개부(140')에 결합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물통(B)과 차이가 있다. 물통(B')의 상단 개구 부분이 제2 그루브(144)에 형성된 나사산(145)을 통하여 제2 그루브 내부로 직접 결합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뚜껑은 불필요하다. The water bottle B 'differs from the water bottle B described above in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topper 140' without a separate lid. Since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bottle B 'can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groove through the screw thread 145 formed in the second groove 144, a separate lid is unnecessary.

이와 같이, 쿨 베개 내부에서 물통(B')이 마개부(14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으로써, 베개 내에서 물통이 분리된 상태에서 존재했을 때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들이 해소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bottle B 'is firmly fixed to the stopper 140' in the cool pillow,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at occur when the water bottle is present in the separated state can be solved.

마개부(140')는 이러한 물통 고정 역할 뿐만 아니라, 물통(B')의 뚜껑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보관시(냉동 또는 냉장) 뚜껑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B')에 물을 넣고 마개부(140')를 닫아 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 이 상태 그대로 냉동실에 넣어 냉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할 때 꺼내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로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으로 도면에 도시된 D방향으로 넣고, 마개부(140')를 돌려 개구(OP)를 막음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쿨 베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분의 물통(B')을 더욱 확보하면 교체 방식으로 시원한 상태의 지속 유지가 가능하다. The stopper portion 140 'may serve not only as a bucket stopper but also as a lid for the bucket B'. That is, it can also be used as a lid for storage (freezing or refrigeration). For example, water may be placed in the water bottle B 'and the stopper 140' may be closed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and frozen in the freezing chamber in this state. 6, into the receiving groove in the cushioning portion 110 wetted with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through the opening OP, as shown in FIG. 6, in the direction D shown in the figure, and the stopper portion 140 ' So that the cool pillow function can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Likewise, if the extra water bottle (B ') is further secur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ol state continuously by the replacement method.

이러한 뚜껑 역할의 수행을 위해 마개부(140')의 제2 그루브(144)는 상술한 제1 그루브(142)와는 다르게,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평평한 그루브 바닥에 물통의 상단 개구 부분이 밀착됨으로써 내부 물질이 새지 않도록 하는 뚜껑 본연의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그루브 바닥에는 원형 리브(미도시)가 돌설될 수 있고, 이러한 원형 리브는 물통(B)의 상단 개구 부분 안쪽으로 삽입됨으로써 방수 기능은 보다 완벽하게 보장될 수 있다. The second groove 144 of the stopper 140 'may have a flat structure, unlike the first groove 142 described above, for performing the lid function. The top opening portion of the bucket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flat groove, thereby realiz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lid which prevents the internal material from leaking. Further, a circular rib (not shown) may project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groove, and such a circular rib may be inserted inside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bottle B, so that the waterproof function can be more fully guaranteed.

한편, 마개부(140')와 커버부(120) 사이의 결합 구조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lug 140 'and the cover 12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14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에 결합된 물통(B'')이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로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112)으로 도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bottle B '' coupled to the stopper portion 14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uffer portion 110 wetted with the heat conductive fluid 130 through the opening OP And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2. As shown in Fig.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마개부(140'')는 상술한 제1 그루브(142), 제2 그루브(144), 손잡이부(146) 및 중공부(H) 외에 추가적으로, 제2 그루브(144)의 바닥으로부터 중공부(H) 내부로 함몰된 제3 그루브(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in addition to the first groove 142, the second groove 144, the grip portion 146, and the hollow portion H described above, the stopper portion 140 '' further includes a second groove 144 from the bottom of the hollow H to the bottom of the third groove 148.

제3 그루브(148)의 내측 표면(SG2)에는 물통(B'')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149)이 형성된다. On the inner surface SG2 of the third groove 148, a thread 149 for screwing with the water bottle B '' is formed.

제3 그루브(148)는 상술한 제2 그루브(144)와 유사하게, 별도의 뚜껑 없이도 물통(B'')이 바로 마개부(14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마개부(140'')는 제3 그루브(148)를 통하여 물통(B'') 고정 역할 및 보관시 물통(B'')을 위한 뚜껑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 마개부(140'')는 물통(B'')의 상단 개구 부분이 제3 그루브(148)에 형성된 나사산(149)을 통하여 제3 그루브 내부로 직접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물통 고정 역할을 할 수 있고, 물통(B'')에 물을 넣고 마개부(140'')를 닫아 물이 새지 않도록 냉동 및 보관시 사용할 수 있는 뚜껑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third groove 148 serves to enable the water bottle B '' to directly engage the stopper 140 '', similar to the second groove 144 described above, without a separate lid. That is, the stopper 140 '' can serve as a lid for the water bottle B '' through the third groove 148 and for the water bottle B '' when stored. In detail, the stopper portion 140 '' is provided with a bucket fixing portion 140 '' which allows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bottle B '' to be directly engaged and fixed into the third groove via the thread 149 formed in the third groove 148 And can serve as a lid which can be used for freezing and storing so as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by closing the stopper 140 '' by putting water in the water bottle B ''.

마개부가 닫힌 상태로 냉동된 물통(B'')은 필요할 때 냉동고로부터 꺼내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에 의해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으로 도면에 도시된 D방향으로 넣고, 마개부(140'')를 돌려 개구(OP)를 막음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쿨 베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분의 물통(B'')을 확보하면 교체 방식으로 시원한 상태의 지속 유지가 가능하다.The water bottle B '', which is frozen in the closed state with the stopper, is taken out of the freezer when necessary and is stored in the cushioning portion 110 wetted by the thermally conductive fluid 130 through the opening OP,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ol pillow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groove in the direction D shown in the figure and turning the stopper 140 '' to block the opening OP. Likewise, if the extra water bottle B '' is secur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ol state continuously by the replacement method.

이러한 뚜껑 역할을 위해, 제3 그루브(148) 또한 제2 그루브와 유사하게, 평평한 바닥 구조와 원형 리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or this lid function, the third groove 148 may also have a flat bottom structure and a circular rib structure, similar to the second groove.

제3 그루브(148)는 500ml 생수병과 같이 규격화된 뚜껑을 갖는 물통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물통(B'')은 500ml 생수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그루브(148)는 500ml 생수병의 뚜껑과 같은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500ml 생수병 뚜껑의 그루브 구조가 제3 그루브 구조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The third groove 148 is sized to accommodate a water bottle having a standardized lid, such as a 500 ml bottled water bottle. The water bottle (B '') may be a 500 ml bottled water bottle. For example, the third groove 148 may have an internal structure such as a lid of a 500 ml bottled water bottle. The groove structure of the 500 ml bottled water bottle lid may match the third groove structure.

500ml 생수병이 결합되는 특성상 제3 그루브(148)는 상술한 제2 그루브(144)보다는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즉, 제3 그루브와 제2 그루브는 모두 상부로 함몰된 구조를 갖고, 내측 표면에 카운터파트(물통의 상단 개구 부분)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는 공통되지만, 규격화된 뚜껑을 갖는 물통을 수용하는 제3 그루브는 그에 맞게 제2 그루브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제3 그루브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제3 그루브가 제2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중공부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제2 그루브는 제3 그루브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third groove 148 may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second groove 144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third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ll have a structure recessed upward and have a threaded structure for engagement with the counterpart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bottle) on the inner surface. However, The third groove accommodating the water bottle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econd groove so that the third groove can be disposed therein (the third groove can be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groove into the hollow portion The second groove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rd groove.

도 7 및 도 8에서는 총 3개의 나사산들(141, 145, 159)이 개시된다. 마개부의 외측 표면(SL)에 나사산(141)은 커버부(12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고, 마개부의 제2 그루브 내측 표면(SG1)에 나사산(145)은 본 발명의 쿨 베개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번들 물통(B')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것이며, 마개부의 제3 그루브 내측 표면(SG2)에 나사산(149)은 번들 물통 대신에 보다 쉽게 사용자가 접할 수 있는 500ml 생수통(B'')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번들로 제공된 물통(B')을 사용하여 In Figures 7 and 8, a total of three threads 141, 145, 159 are disclosed. The thread 141 on the outer surface SL of the stop is for engagement with the cover portion 120 and the thread 145 on the second groove inner surface SG1 of the stop can be provided with the cool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read 149 on the third grooved inner surface SG2 of the stopper portion is for the screwing with the 500 ml water bottle B '' which is more easily accessible to the user instead of the bundle water bottle, For example. The user uses the bundled water bottle B '

여기서, 나사산들(141, 145, 149)은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나사산들의 형성 크기(예를 들어, 돌출 높이)는 나사산(141) > 나사산(145) > 나사산(149)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각각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카운터파트의 크기와 관련된다. 상대적으로 큰 개구(OP)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산(141)은 가장 큰 높이를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보다 작은 크기의 물통(B')의 상단 개구 부분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산(145)은 중간 높이를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더 작은 크기의 500ml 생수통(B'')의 상단 개구 부분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산(149)은 가장 작은 높이를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카운터파트의 크기에 비례하여 나사산의 형성 크기를 정의하는 것은 불필요한 회전 수를 줄여 쉽고 빠른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Here, the threads 141, 145 and 149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form from the respective surfaces, the formation size of the threads (for example, the protrusion height) ). ≪ / RTI > This relationship is related to the size of the counterparts associated with each thread. The thread 141 used to block the relatively large opening OP can be protruded with the greatest height and the thread 145 used to block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bottle B ' May be protruded with a medium height, and the thread 149 used to block the top opening portion of the smaller sized 500 ml water bottle B " may be protruded with the smallest height. Defining the forming size of the threa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counter part reduces the unnecessary number of revolutions and enables quick and easy joining.

한편, 마개부(140'')와 커버부(120) 사이의 결합 구조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lug portion 140 '' and the cover portion 12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마개부(140'')에서 플랜지부(F)와 단차부(S)가 더 도시된다. FIG. 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p 14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portion F and the step S are further shown in the plug portion 140 " shown in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140''')는 도 7에서 상술한 마개부(140'')의 구성들 외에 추가적으로, 마개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부(F)와 플랜지부를 안착시키는 단차부(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S)는 플랜지부(F)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 구조이다. 플랜지부(F)는 마개부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이에 의해 상부 표면(ST)은 실질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9,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s of the stopper 140 ''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the stopper 140 '' 'further includes a flange portion F and a flange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tepped portion S for seating. The stepped portion S is a groov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ange portion F. The flange portion F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portion, whereby the upper surface ST can be substantially widened.

플랜지부(F)와 단차부(S)는 커버부(120)의 밀봉 구조를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한다. 플랜지부와 단차부 사이에는 고무 패킹이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커버부의 밀봉 구조를 더욱 완전하게 할 수 있다. The flange portion (F) and the stepped portion (S) make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cover portion (120) more stable and firm. A rubber packing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step portion, which can further complete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cover por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에 의하면, 쿨 베개(100)에 적용되는 냉매인 물통(B, B', B'')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쿨 베개와 함께 번들로 제공될 수 있는 물통(B, B')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물통(B'')도 사용할 수 있어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완충부(110) 곳곳으로 스며든 열전도 유체(130)를 통해 냉각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열전도 유체(130)는 커버부(120)에 완전히 채워지는 것이 아닌 부분적으로만 채워져 완충부(110)를 통해 인체의 두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마개부를 잡기 위한 손잡이부(146)가 베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계가 가능하여 쿨 베개의 외관 우수성을 높일 수 있고, 손잡이부 아래로 마련되는 중공부(H)를 통해 열손실 또는 열차단 효과를 높여 쿨 베개의 냉각 지속 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ol pill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easy to replace the water bottles (B, B ', B' ') which are refrigerants applied to the cool pillow 100, Not only the water bottles (B, B '), but also water bottles (B "), which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s, can be used. The thermal conduction fluid 130 is not only completely filled in the cover 120 but partially filled with the thermal conduction fluid 130 that permeates the buffer part 110, The head portion of the human body can be stably fixed. In addition, design can be made so that the handle portion 146 for holding the stopper portion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illow, so that the exterior appearance of the cool pillow can be improved and the heat loss or heat shielding can be achieved through the hollow portion H provided below the handle portion. By increasing the effect, the cooling duration of the cool pillow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쿨 베개
110 : 완충부
112 : 수용홈
120 : 커버부
122 : 링형 너트부
123, 141, 145, 149 : 나사산
OP : 개구
130 : 열전도 유체
140 : 마개부
142 : 제1 그루브
144 : 제2 그루브
146 : 손잡이부
H : 중공부
148 : 제3 그루브
ST : 상부 표면
SB : 하부 표면
SL : 외측 표면
SG1 : 제2 그루브의 내측 표면
SG2 : 제3 그루브의 내측 표면
B, B', B'' : 물통
100: Cool pillow
110: buffer
112: receiving groove
120: Cover part
122: ring-shaped nut part
123, 141, 145, 149:
OP: opening
130: Heat conduction fluid
140:
142: first groove
144: second groove
146: Handle portion
H: hollow portion
148: Third groove
ST: upper surface
SB: Lower surface
SL: outer surface
SG1: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SG2: inner surface of the third groove
B, B ', B'': Bucket

Claims (4)

베개의 외부 형상을 정의하며, 원통형의 수용홈이 형성된 완충부;
상기 완충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에 부분적으로 채워져 상기 완충부를 함침하는 열전도 유체; 및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를 밀봉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부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로 함몰된 제1 그루브와,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상부 표면을 향하여 입설된 손잡이부와, 상기 제1 그루브 아래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쿨 베개.
A cushion portion defining an external shape of the pillow and having a cylindrical receiving groove;
A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buffer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A thermally conductive fluid partially filled in the cover portion to impregnate the buffer portion; And
And a cap coupled to the opening to seal the cover to prevent the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herein the stopper comprises: a first groove recess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a bottom of the first groove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a hollow portion formed below the first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에 구비되며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링형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그 외측 표면에 상기 제1 나사산에 상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상기 개구에 결합되는 쿨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ring-shaped nut portion provided in the opening and formed with a first thread,
The stopper portion has a second thread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ead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opening through threaded engagement of the first thread and the second thr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반대쪽에서 하부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된 제2 그루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루브의 내측 표면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 사이에서 형성되는 쿨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groove recessed upward from a lower surface at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groove,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is formed with a third screw thread for screw connection with a water reservoi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중공부 내부로 함몰된 제3 그루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그루브의 내측 표면에는 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4 나사산이 형성되는 쿨 베개.
The method of claim 3,
And a third groove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groove into the hollow portion,
And a fourth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groove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the water bottle.
KR1020180002153A 2018-01-08 2018-01-08 Cool pillow KR102026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53A KR102026552B1 (en) 2018-01-08 2018-01-08 Cool pillow
PCT/KR2019/000061 WO2019135605A1 (en) 2018-01-08 2019-01-03 Cool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53A KR102026552B1 (en) 2018-01-08 2018-01-08 Cool pil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16A true KR20190084416A (en) 2019-07-17
KR102026552B1 KR102026552B1 (en) 2019-09-27

Family

ID=6714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153A KR102026552B1 (en) 2018-01-08 2018-01-08 Cool pillow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6552B1 (en)
WO (1) WO2019135605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68Y1 (en) * 2004-07-09 2005-01-21 김병철 Functional Pillow
KR20080040048A (en) * 2005-08-30 2008-05-07 옌스 하더 호브제르그 Heat cush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488A (en) * 2005-02-16 2006-08-31 Koritsu Kasei Kogyo Kk Warmer
KR20080006414U (en) * 2008-11-06 2008-12-22 이성철 Hot pack
KR200461834Y1 (en) * 2010-10-13 2012-08-13 이장익 Pillow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68Y1 (en) * 2004-07-09 2005-01-21 김병철 Functional Pillow
KR20080040048A (en) * 2005-08-30 2008-05-07 옌스 하더 호브제르그 Heat cush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605A1 (en) 2019-07-11
KR102026552B1 (en)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7151B2 (en) Storage container with insulation effect
US7191478B2 (en) Sleeping device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down filling and a temperature regulating material
KR100828147B1 (en) An insulating case for water bottle
NO330551B1 (en) Mattress including an active heat absorption / release layer in combination with a separating layer
US20090254158A1 (en) Cooling device for locally anesthetizing an area on the surface of the body
JP3164948U (en) Needle for water server
TWI608977B (en) Insulation container
KR20190084416A (en) Cool pillow
KR101336913B1 (en) Box for home delivery service
KR200466705Y1 (en) Cup having dual vessel for cold reserving
KR101812279B1 (en) Cooling massage apparatus
KR101187880B1 (en) Heat insulation container with built-in pack
CN203539520U (en) Medical ice cap
BR112013019841B1 (en) method for producing a closure cap for a fluid container and closure cap for a fluid container and fluid container arrangement
JP3141182U (en) Hot water bottle
JP3146052U (en) pillow
JP3601687B2 (en) Beer cooler
KR20200139980A (en) Water pillow able to isolate harmfulness electron waves
JP5119366B1 (en) Thermal insulation / cold insulation
JP3103273U (en) Bottle warmer
KR200259037Y1 (en) The water-pillow
KR200319144Y1 (en) an antifreezing device of liquefied gas
KR102101036B1 (en) Backpack-type cooling device
JPH07298971A (en) Pillow
KR20230080018A (en) Heat-insulation and cold-insulatio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