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166A - Cleaning device for smoke based on IoT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for smoke based on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166A
KR20190084166A KR1020170177255A KR20170177255A KR20190084166A KR 20190084166 A KR20190084166 A KR 20190084166A KR 1020170177255 A KR1020170177255 A KR 1020170177255A KR 20170177255 A KR20170177255 A KR 20170177255A KR 20190084166 A KR20190084166 A KR 20190084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zone
sensor unit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6724B1 (en
Inventor
김관형
오암석
김성대
성 동 여
황종호
하정수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경동냉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경동냉열산업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724B1/en
Publication of KR2019008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1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7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cigarette smoke controller, which can remotely monitor removal efficiency of a cigarette smoke controller. The IoT-based cigarette smoke controller comprises: a case; a suction fan; a first sensor unit; a plasma reaction unit; a filter unit; a second sensor unit; an operation unit; a transmission unit; and a display module.

Description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Cleaning device for smoke based on Io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담배연기 제연기의 제연 효율을 원격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tobacco smoke smok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oT-based tobacco smoke smoke smoke monitor capable of remotely monitoring the smoke removal efficiency of a smoke smoke smoke based on IoT (Internet of Things) .

일반적으로, 흡연을 하게 되면 담배 연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아세톤, 나프티라민, 메탄올, 포름알데히드, 톨루이딘, 암모니아 등 수십에서 수백 종류의 인체에 유해한 성분에 의해 폐와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등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Generally, when you smoke, it can cause harmful effects to your health such as lung and cardiovascular diseases caused by toxic substances in dozens to hundreds of kinds such as carbon monoxide, acetone, naphthylamine, methanol, formaldehyde, toluidine, affect.

특히, 담배의 종류, 하루 소비량, 흡입 정도, 담배 성분인 타르 함유량 등에 따라 질병을 일으키는 영향력이 달라지고 또 흡연은 전체 암 사망의 30% 정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the influence of disease on smoking cigarette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igarette, daily consumption, degree of inhalation, and tar content of tobacco, and smoking accounts for about 30% of all cancer deaths.

또한, 흡연은 흡연자가 직접 흡연을 하지 않더라도 흡연자가 흡연 시 발생하는 담배 연기를 주변 사람이 들이마시는 것을 간접흡연이라고 하는데, 이와 같이 간접흡연을 하게 되면 세포의 정상 기능이 손상돼 폐암이나 다른 질병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In addition, smoking is a type of second-hand smoke in which people smoke tobacco smoke that occurs when a smoker smokes, even if the smoker does not directly smokes. Thus, when secondhand smoke is given, the normal function of the cells is impaired, There is a danger to cause.

더불어, 최근에는 분리된 공간에서 따로 담배를 피우는 이른바 3차 흡연을 하더라도, 담배의 독성물질이 공기나 가구, 벽에 스며들어 임산부나 어린이에게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었다.In addition,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even in the so-called tertiary cigarette smoking in a separate space, toxic substances in the cigarette smoke permeate air, furniture, and walls, affecting pregnant women and children.

상기와 같이, 간접흡연의 피해를 막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공공건물을 비롯해 금연 장소를 점점 확대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he harm of the secondhand smoke, the smoking cessation area including the public buildings is gradually expanding in Korea.

이에 따라, 최근에는 흡연공간을 형성하는 별도의 흡연 부스를 제작하여 흡연 부스의 내부에서 흡연자가 흡연을 할 수 있도록 흡연시설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separate smoking booth for forming a smoking space has been produced and a smoking facility has been provided so that a smoker can smoke inside the smoking booth.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흡연 부스는 흡연 부스에 흡, 배기 팬을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는 한편 흡연 부스 내부의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만 국한되어 있어 흡연실 내부에서 흡연을 하는 흡연자의 건강을 불필요하게 더욱 해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smoking booth as described above is limited only to sucking outside air by installing suction and exhaust fans in the smoking booth, and discharging the smoke inside the smoking booth to the outside, so that the health of the smoker smoking inside the smoking room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unnecessarily hurt even more.

또 흡연 부스 내부의 담배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흡연 부스 주변에서는 항상 담배 연기 및 냄새가 나고 이와 같은 요인에 의해 담배 연기와 냄새가 걸러지지 않고 흡연 부스의 외부로 배출된다는 것은 담배 연기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그대로 노출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Also, due to the simple structure that forced the cigarette smoke inside the cigarette booth to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e tobacco smoke and odor are always generated around the cigarette booth, and the cigarette smoke and odor are not filtered by such facto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smoke are directly exposed to the human bod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460041호 '담배연기 정화 배출장치'와, 등록실용신안 제20-0228802호 '담배연기 제거용 제연기'가 제안되었으며, 상기한 담배연기 정화 배출장치의 공통점은 흡, 배기팬이 설치된 몸체의 내부에 카본 필터를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담배 냄새를 완화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egeneration utility model 20-0460041 'tobacco smoke purge exhaust system' and a registraion utility model 20-0228802 'tobacco smoke eliminator smoke' have been proposed. The commonality of the discharge device is that the carbon filter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provided with the suction and exhaust fan, so that the smell of the cigarette can be effectively alleviated.

반면, 종래의 담배연기 정화 배출장치는 흡연부스 내부의 유해한 성분을 정화시키는 장치에 불과한 것으로, 사용 중에 인가되는 부하전류가 기설정된 부하전류 이상이 되거나 정화부의 오작동 등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으나, 설치된 장소에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를 즉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contrast, the conventional cigarette smoke purify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is only a device for purifying harmful components in the smoking booth, and various problems such as a load current applied during use or a malfunction of the purifying unit may occur,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manager does not reside in the place, and the problem can not be solved immediatel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담배연기 제연기의 동장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고, 담배연기 제연기에 문제가 발생되면 원격지에서도 이를 즉시 해결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oT-based cigarette smoke device capable of always monitoring the state of smoke of a cigarette smoke smok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smoke.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외부의 담배연기 및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팬과,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담배연기 및 공기의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흡기팬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광촉매가 코팅된 유전체관과, 상기 유전체관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방전전극과, 상기 유전체관의 하측에 상기 방전전극에 대향되게 대향전극이 형성되는 플라즈마 반응부,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서 이동되는 잔여 오염물질과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분해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와,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정보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전송하는 전송부및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정보를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oT-based cigarette smoke sm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case formed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in the case, A first sensor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take port and measuring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of the cigarette smoke and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a first sensor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fan, A plasma reactor having a dielectric tube, a discharge electrod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dielectric tube, and a counter electrode facing the discharge electrode below the dielectric tube; The remaining contaminants moving in the plasma reaction unit and the ozone generated in the plasma reaction unit are decomposed A second sensor par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in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 transmission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case and that converts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into digit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nverted digital information at a short distance or at a long distance;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recei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er in a graph or numerical value.

또한, 상기 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alculating unit may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1)

DRE = (1-Vout/Vin)*100%DRE = (1-V out / V in ) * 100%

* Vin : 제1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 V in :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measured at the first sensor part

* Vout :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 V out :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measured in the second sensor part

* DRE :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또는 암모니아의 농도 변화율* DRE: the change rate o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or ammonia measured at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는 흡입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센서부와 배출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센서부 각각에서 일산화탄소와 오존의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담배연기 제연기의 제거효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oT-based cigarette smoke smok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and ozone in each of the first sensor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let and the second sensor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utlet,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smoke from the cigarette smoke at a short distance or at a long d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표시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oT-based tobacco smoke smo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nsor unit and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표시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moke of a cigarette smoke based on I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ensor unit and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물인터넷(IoT)이란,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physical world)와 가상 세계(virual world)의 다양한 사물들을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시설을 의마한다.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 컴퓨팅 기기들이 사물에 연결되어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지능통신을 할 수 있는 사물 통신(M2M : Machine to Machine)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을 하는 개념으로 진화했다.First, the Internet (IoT) is a service infrastructure for providing advanced services by connecting various objects of the physical world and virual world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concept of machine-to-machine (M2M), which enables intelligent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objects, objects and objects, is extended to the Internet since infrastructure computing devices for implementing ubiquitous space are connected to objects and the objects themselves are intelligent. And evolved into a concept of interacting with all the information of reality and virtual world as well as objects.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IoT를 이용하여 담배연기 제연기의 제연효율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흡기팬(200), 제1 센서부(250), 플라즈마 반응부(300), 필터부(400), 제2 센서부(500), 연산부(600), 전송부(700) 및 디스플레이부(8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oT-based tobacco smoke fum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an monitor the smoke removal efficiency of a cigarette smoke smoke using IoT as described above. A first sensor unit 250, a plasma reaction unit 300, a filter unit 400, a second sensor unit 500, an operation unit 600, a transfer unit 700, and a display unit 800 do.

먼저, 상기 케이스(100)는 일측에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일정한 면적과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First, a suction port 1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00, and a discharge port 1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case 100 i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has a certain area and an internal space.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흡기팬(200), 제1 센서부(250), 플라즈마 반응부(300), 필터부(400), 제2 센서부(500), 연산부(600) 및 전송부(7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door (not show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can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se 100, and the intake fan 200, the first sensor unit 250, the plasma reaction unit 300 The filter unit 400, the second sensor unit 500, the calculation unit 600, and the transfer unit 700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상기 흡입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 및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담배연기 또는 공기(이하, 담배연기)는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지나면서 오염원이 분해 및 제거되고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1, the suction port 1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0 and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as well as the upper portion, 100), and external cigarette smoke or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igarette smoke)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contamination source is decomposed and remov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ase 100, (120).

다음으로, 상기 흡기팬(2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110)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외부의 담배연기 및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기팬(200)의 일측에는 상기 흡기팬(200)을 작동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The suction fan 200 is formed inside the case 10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110 and sucks external cigarette smoke and air. The suction fan 2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fan 200, (Not shown) for operating the motor 200 and a control modul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motor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제1 센서부(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1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110)로 흡입되는 담배연기 및 공기의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한다. 2, the first sensor unit 25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take port 110, and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in the cigarette smoke and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10, .

이때, 상기 제1 센서부(250)는 무선(Wi-Fi, Bluetooth, ZigBee 등) 또는 유선 방식으로 후술할 상기 연산부(600)로 농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ensor unit 250 may transmit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uni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wireless (Wi-Fi, Bluetooth, ZigBee, etc.) or wired method.

그리고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300)는 상기 흡기팬(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광촉매(311)가 코팅된 유전체관(310)과, 상기 유전체관(310)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방전전극(320)과, 상기 유전체관(310)의 하측에 상기 방전전극(320)에 대향되게 대향전극(330)이 형성된다.The plasma reactor 3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fan 200. The plasma reactor 300 includes a dielectric tube 310 coated with a photocatalyst 31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discharge electrode 320 and a counter electrode 330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electric tube 310 to face the discharge electrode 320.

먼저, 상기 유전체관(310)은 내부가 중공된 관통형 관형상으로 외주면에는 가시광에 반응 또는 활성화되는 상기 광촉매(311)가 코팅되어진 유전체장벽을 가지며, 다시 말하면, 상기 광촉매(311)는 상기 유전체관(310)의 상측과 상기 유전체관(310)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방전전극(320)과 상기 대향전극(330)의 이외의 면에 코팅된다.The photocatalyst 311 has a dielectric barrier coated with the photocatalyst 311 that is reacted or activated with visible li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electric tube 310. In other words, And is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e 310 and the discharge electrode 32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electric tube 31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ounter electrode 330.

그리고 상기 광촉매(311)는 다양한 유해물질을 용이하게 분해하고 향균 및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오존량을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311)는 다수의 조성물이 포함되며, 상세하게는 인산은, 이산화티타늄 및 무기 바인더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 조사하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고, 산, 염기, 유기용매에 침식되지 않는 화학적인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The photocatalyst 311 can easily decompose various harmful substances, perform an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function, and can perform a function of reducing the amount of ozone. The photocatalyst 311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sitions, specifically, silver phosphate, titanium dioxide, and an inorganic binder. The titanium dioxide exhibits high activity under ultraviolet irradiation, and can have chemical stability that is not eroded by acids, bases, and organic solvents.

상기 인산은은 385nmm 이상 500nm의 가시광선 파장대의 광 에너지에 의하여 촉매 활성 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상기 이산화티타늄과 상기 인산은이 혼합됨으로써, 상기 광촉매(311)는 가시광에도 효과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The silver phosphate may exhibit a catalytic activity reaction by light energy of visible light wavelength band of 385 nm or more and 500 nm or more. The titanium dioxide and the phosphoric acid are mixed, so that the photocatalyst 311 can be effectively activated to visible light.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광촉매(311)는 촉매 작용에 의하며 물 또는 산소 등을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산소종에는 히드록시 라디칼(OH-), 과산화수소(H2O2) 등이 포함된다.The photocatalyst 31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verted int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ith water or oxygen depending on the catalytic action. The active oxygen species include a hydroxyl radical (OH-), hydrogen peroxide H2O2).

상기 활성산소종은 강력한 살균 및 탈취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기물로 이루어진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 등이 생물학적 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톨루엔, 암모니아 등의 가스 오염물질을 인체에 무해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시킬 수 있다.The active oxygen species can perform a strong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action, and can decompose gas contaminants such as toluene, ammonia and the like into harmless water and carbon dioxide, as well as biological contaminants such as bacteria or fungi composed of organic substances .

다음으로, 상기 방전전극(3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전체관(310)의 상측에 7개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톱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전극(320)은 압력 220V, 출력 18KV의 특성을 가지는 고압트랜스에 연결되어 고압의 전력이 인가된다.As shown in FIG. 1, the discharge electrodes 32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electric tube 310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formed in a saw-tooth shape. The discharge electrode 320 is connected to a high-voltage transformer having a characteristic of a pressure of 220V and an output of 18KV, and high-voltage power is applied.

상기 대향전극(330)은 상기 유전체관(310)의 하측에 상기 방전전극(32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트위스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대향전극(330)은 소정길이의 사각막대 형상이나, 양단부를 파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트위스트 형상 즉, 과배기와 같은 형상을 구비하게 된다.The counter electrode 33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electric tube 310 at a position facing the discharge electrode 320, and is formed in a twisted shape. The counter electrode 330 may have a rectangular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r may have a shape such as a twist shape or an overflow shape by holding both ends thereof and rotating them in opposite directions.

이에 따라, 상기 대향전극(330)의 표면에는 사각막대의 길이방향으로 존재하던 4개의 면이 담배연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나선형 골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존재하던 4개의 모서리는 나선형 골을 서로 구분하는 경계가 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과(310)의 내면에 접촉 또는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유전체관(310)의 내면과 함께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Thus, the four faces existing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quare bar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unter electrode 330, and the four corners that exi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by the helical valleys And generates a plasma together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ielectric tube 310 in contact with or approach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ody 310.

따라서, 상기 방전전극(320)과 상기 대향전극(330)에 개시전압 이상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방전전극(320)과 상기 대향전극(330)의 주변에서는 높은 전기장에 의한 방전 현상이 발생된다.Therefore, when a high voltag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art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320 and the counter electrode 330, a discharge phenomenon due to a high electric field occurs around the discharge electrode 320 and the counter electrode 330.

그리고 상기 방전전극(320)과 상기 대향전극(330)의 사이에 절연 파괴가 발생되고, 높은 전기장에 의한 방전 현상이 발생되어 강력한 플라즈마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방전전극(320)과 상기 대향전극(330)의 주변을 지나는 자유전자는 상기 전기장에 의하여 가속되어 공기 중 중성분자(산소, 질소 등)와 충돌하여 분자를 이온화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다량의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dielectric breakdown is generat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320 and the counter electrode 330, a discharge phenomenon due to a high electric field is generated to form a strong plasma region, and the discharge electrode 320 and the counter electrode 330 are accelerated by the electric field to collide with neutral molecules (oxygen, nitrogen, etc.) in the air to ionize the molecules, thereby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ions.

또한, 상기 플라즈마 영역을 지나는 자유전자가 상기 전기장에 의하여 가속되어 공기와 반응하며, 그 결과 다량의 OH 라디칼이 발생하게된다.In addition, free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plasma region are accelerated by the electric field and react with air, resulting in a large amount of OH radicals.

이때, 다량의 이온이 발생하게 되어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소정의 담배 냄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다량의 OH 라디칼에 의하여 담배 냄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a large amount of ions are generated to remove contaminants or to easily remove a predetermined smell of cigarette, and the smell of cigarette can be easily removed by a large amount of OH radicals.

상기 유전체관(310)의 외주면에 코팅된 상기 광촉매(311)는 상기 플라즈마 영역에 부유하는 다양한 유해물질을 용이하게 분해하고 항균 및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오존량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hotocatalyst 311 co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electric tube 310 can easily dissolve a variety of harmful substances suspended in the plasma region, perform an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function, and reduce the amount of ozone .

그리고 상기 필터부(400)는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300)와 상기 배출구(12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300)에서 이동되는 잔여 오염물질과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300)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분해시킨다.The filter unit 400 is disposed between the plasma reaction unit 300 and the discharge port 120. The filter unit 400 may include residual contaminants moving in the plasma reaction unit 300 and plasma generated in the plasma reaction unit 300 Ozone is decomposed.

또한, 상기 필터부(400)는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300)에서 이동되는 잔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이산화망간이 구비되는 제1 필터부(410)와,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300)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분해하는 활성탄이 구비되는 제2 필터부(420)를 포함한다.The filter unit 400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410 having manganese dioxide for decomposing residual contaminants moving in the plasma reaction unit 300 and a second filter unit 410 for removing ozone generated in the plasma reaction unit 300. [ And a second filter 420 having activated carbon to be decomposed.

이때, 상기 제1 필터부(410)는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300)에서 살균 처리된 공기 또는 담배연기에 남아 있는 오염물질인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상화망간이 구비되어 흡착화학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상기 제2 필터부(420)는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300)에서 생성된 오존을 분해처리하는 활성탄이 구비되어 흡착화학반응이 일어나 담배연기 및 냄새뿐만 아니라 살균처리까지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filter unit 410 is provided with idealized manganese for removing carbon monoxide, which is a contaminant remaining in air or cigarette smoke, sterilized in the plasma reactor 300, so that an adsorption chemical reaction occurs, 2 filter unit 420 is provided with activated carbon for decomposing ozone generated in the plasma reaction unit 300 to provide an effect of performing an adsorption chemical reaction so as to perform sterilization as well as tobacco smoke and odor.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센서부(500)는 상기 배출구(12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센서부(500)는 무선(Wi-Fi, Bluetooth, ZigBee 등) 또는 유선 방식으로 후술할 상기 연산부(600)로 농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sensor unit 5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20, and measures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in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0 The second sensor unit 500 may transmit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in a wireless manner (Wi-Fi, Bluetooth, ZigBee, etc.) or in a wired manner.

이때, 상기 연산부(600)는 상기 제1 센서부(250)와 상기 제2 센서부(500)에서 측정된 정보를 연산하며, 하기 연산식을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600 calculate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250 and the second sensor unit 500, and uses the following equation.

DRE = (1-Vout/Vin)*100%DRE = (1-V out / V in ) * 100%

* Vin : 제1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 V in :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measured at the first sensor part

* Vout :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 V out :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measured in the second sensor part

* DRE :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또는 암모니아의 농도 변화율 * DRE: the change rate o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or ammonia measured at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따라서, 상기 제1 센서부(250)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와 상기 제2 센서부(500)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를 취합하여 연산하여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300)에서 세척된 담배연기 또는 공기의 제연율을 연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centrations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250 and the concentrations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unit 500 are calculated and calculat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ate of the tobacco smoke or air cleaned in the air conditioner 300.

그리고 상기 전송부(7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산부(600)에서 연산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정보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전송하게 된다.The transmitting unit 70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and converts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unit 600 into digit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nverted digital information in a short distance or a long distance.

이때, 상기 전송부(700)는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3G 통신망 또는 LTE 등을 사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800)로 전송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unit 700 transmits to the display unit 800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using Wi-Fi, WiBro, 3G communication network or LTE.

또한, 상기 표시 모듈(800)은 상기 전송부(700)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810)와, 상기 수신부(810)에 수신된 정보를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20)가 구비된다.The display module 800 includes a receiving unit 810 for receiving digit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700 and a display unit 820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810 in a graph or numerical value, .

상기 표시 모듈(800)은 상기 전송부(700)와 원거리 있어도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관리자가 상기 표시 모듈(800)에 표시되는 농도 변화율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연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즉각적으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The display module 80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eceiving data even when remotely from the transmitter 70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monitor the concentration change rat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8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f the efficiency drops, immediate response becomes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케이스
110 : 흡입구
120 : 배출구
200 : 흡기팬
250 : 제1 센서부
300 : 플라즈마 반응부
310 : 유전체관
311 : 광촉매
320 : 방전전극
330 : 대향전극
400 : 필터부
410 : 제1 필터부
420 : 제2 필터부
500 : 제2 센서부
600 : 연산부
700 : 전송부
800 : 표시 모듈
810 : 수신부
820 : 디스플레이부
100: Case
110: inlet
120: Outlet
200: suction fan
250: first sensor unit
300: Plasma reaction part
310: dielectric tube
311: Photocatalyst
320: discharge electrode
330: opposing electrode
400:
410: first filter unit
420: second filter unit
500: second sensor unit
600:
700:
800: Display module
810:
820:

Claims (2)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외부의 담배연기 및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팬;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담배연기 및 공기의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
상기 흡기팬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광촉매가 코팅된 유전체관과, 상기 유전체관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방전전극과, 상기 유전체관의 하측에 상기 방전전극에 대향되게 대향전극이 형성되는 플라즈마 반응부;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서 이동되는 잔여 오염물질과 상기 플라즈마 반응부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분해시키는 필터부;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정보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정보를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담배연기 제연기.
A case having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 intake fan formed inside the case adjacent to the intake port and configured to intake external cigarette smoke and air;
A first sensor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in the cigarette smoke and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A dielectric tu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fan and coated with a photocatalys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discharge electrod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dielectric tube, and a plasma having a counter electrode facing the discharge electrode below the dielectric tube A reaction part;
A filter unit disposed between the plasma reaction unit and the discharge port to decompose the residual contaminants moving in the plasma reaction unit and the ozone generated in the plasma reaction unit;
A second sensor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in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 trans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case and converting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unit into digit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digital information at a short distance or at a long distance; And
And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digit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er in a graph or a numerical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단배연기 제연기.

(수학식 1)
DRE = (1-Vout/Vin)*100%

* Vin : 제1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
* Vout :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및 암모니아의 농도
* DRE :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오존 또는 암모니아의 농도 변화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unit computes by using the following expression (1).

(1)
DRE = (1-V out / V in ) * 100%

* V in :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measured at the first sensor part
* V out :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and ammonia measured in the second sensor part
* DRE: the change rate o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zone or ammonia measured at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KR1020170177255A 2017-12-21 2017-12-21 Cleaning device for smoke based on IoT KR1020267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55A KR102026724B1 (en) 2017-12-21 2017-12-21 Cleaning device for smoke based on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55A KR102026724B1 (en) 2017-12-21 2017-12-21 Cleaning device for smoke based on I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166A true KR20190084166A (en) 2019-07-16
KR102026724B1 KR102026724B1 (en) 2019-09-30

Family

ID=6747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255A KR102026724B1 (en) 2017-12-21 2017-12-21 Cleaning device for smoke based on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72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065A (en)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이노엔스 Energy saving type apparatus for controlling pollutant
KR20150112711A (en) * 2014-03-28 2015-10-07 주식회사 포시 Smoking booth
KR101610744B1 (en) * 2015-03-20 2016-04-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a cigarette smoke
KR20170112383A (en)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애리프 Smoking booth with Cigaret Smoke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065A (en)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이노엔스 Energy saving type apparatus for controlling pollutant
KR20150112711A (en) * 2014-03-28 2015-10-07 주식회사 포시 Smoking booth
KR101610744B1 (en) * 2015-03-20 2016-04-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a cigarette smoke
KR20170112383A (en)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애리프 Smoking booth with Cigaret Smoke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724B1 (en)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2757B (en) Air disinfection purifier, disinfe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04534572B (en) A kind of indoor air-purification device
JP3773767B2 (en) Air purifi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n ion generator
JP3770782B2 (en) Air purifi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n ion generator
KR201700727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with function of formaldehyde removal and sterilization from indoor air
WO2017126146A1 (en) Air cleaner
CN113144251B (en) Ozone disinfection equipment suitable for killing novel coronavirus in closed space
KR102028441B1 (en) Cleaning method for smoke based on IoT
CN111569287A (en) High-efficient sterilization electronic gauze mask
KR10066898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of underground space and room using ozone and contact area enlargement catalyst material for noxious gas and sterilization removal
KR20090013061U (en) Plasma odor remover
KR20190084166A (en) Cleaning device for smoke based on IoT
JP3680120B2 (en) Ion generator, air purifi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CN214536695U (en) Wall-mounted air disinfection purifier for elevator car
JP2002075588A (en) Ion generator, air cleaner and air conditioner therewith
CN205054964U (en) House deodorizing device
CN211600935U (en) Small-size air sterilization clarifier
CN106958887A (en) A kind of depollution of environment sterilizing unit
JP2004000606A (en) Sterilization method,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er
CN203598274U (en) Vacuum unit system with exhausting and sterilizing functions
CN202715066U (en) Ceiling embedded plasma purification sterilizer
CN203122755U (en) Purification face mask for plasma electric welding
JP5409151B2 (en) Air purification / dry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00030241A (en) Air cleaner using ion generator
CN217016092U (en) Integrated high-energy ion exhaust treatmen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