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908A -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908A
KR20190083908A KR1020180001909A KR20180001909A KR20190083908A KR 20190083908 A KR20190083908 A KR 20190083908A KR 1020180001909 A KR1020180001909 A KR 1020180001909A KR 20180001909 A KR20180001909 A KR 20180001909A KR 20190083908 A KR20190083908 A KR 20190083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frame
image
terminal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050B1 (ko
Inventor
홍세진
김혁규
문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0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0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청크(chunk)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수신한 청크에 포함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 정보 추출부; 추출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정보 저장부; 및 역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저장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가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역순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역 재생부;를 포함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제공된 멀티미디어에 있어서 Frame에 따른 재생 순서에 제약받지 않고 멀티미디어를 역 재생 가능하고, 사용자가 재생 바를 터치하여 역으로 이동한 위치가 p/bFrame에 대응한 위치여도 Frame에 따른 재생 순서에 제약받지 않아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버퍼링이 없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MEDIA CHUNK}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수신한 멀티미디어 청크를 제어하여 재생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은 동영상, 이미지 등 콘텐츠(또는 멀티미디어)를 임시 저장 서버에 옮겼다가, 수요가 있을 때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이다.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대용량 콘텐츠를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이용할 경우 과부하가 발생해 전송 속도가 떨어지거나 서비스가 중단되는데, CDN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서비스다. 즉, CDN은 콘텐츠가 여러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망을 경유하면서 발생하는 부하를 줄이고, 이동 경로를 최적화해 트래픽이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로 인해 인터넷 접속품질과 속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장애 우회기술을 통해 특정 서버의 장애 시에 장애가 없는 다른 서버를 이용하도록 자동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현재 CDN 기술은 동영상 방송, 파일 다운로드, 이미지 캐싱 등에 적용되고 있다.
HLS("HTTP Live Streaming" 또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Live Streaming")는 애플(Apple)사에서 만든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기반의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이다. 아이폰, 아이패드, 맥(MAC) 등에서 생방송은 물론 오디오,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기기나 망 환경에 따라 비트율이 다르게 전송이 된다. 전송되는 콘텐츠(또는 멀티미디어)는 암호화되며 사용자 인증 서비스도 제공된다. HLS 프로토콜은 스트리밍 데이터를 엠펙투 티에스(MPEG-2 TS: MPEG-2 Transport stream)에 담아 시간 단위로 잘게 쪼개고, 재생 파일 정보는 m3u8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MPEG에서는 MPEG-2 TS와 HLS 등을 종합하여 HTTP 동적 적응 스트리밍(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표준을 제정하였다. 이후 MPEG-2 TS의 차세대 버전인 엠엠티(MMT: MPEG Media Transport)를 만들었다. MMT의 정식 명칭은 엠펙 에이치 파트원(MPEG-H Part 1)이다.
또한, 규격 자체의 단순함과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를 통한 표준화 작업 등을 통해 다른 업체들도 쉽게 HLS를 지원할 수 있게 하여 Adobe는 Flash Media Server 4.0에서, Microsoft는 IIS Media Server 4.0에서 HLS를 정식으로 지원하며,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상대 진영이라 할 수 있는 Google의 Android에서도 3.0 버전인 Honeycomb부터 HLS를 지원한다.
단말기가 콘텐츠(이하 "멀티미디어"라고 함)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 멀티미디어를 구성하는 각 Frame마다 YUV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Frame은 iFrame, pFrame 및 bFrame이 있고, iFrame에서 p/bFrame 방향대로 각 Frame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재생 바를 터치하여 역으로 이동한 위치가 p/bFrame에 대응한 위치일 경우, 단말기는 iFrame이 나올 때까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없어 영상을 제공할 수 없다.
더불어, 사용자는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일수록 각 Frame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멀티미디어를 받아 시청할 수밖에 없는 제약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3-0093810호(2013. 08. 23. 공개)
http://helloworld.naver.com/helloworld/712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Frame에 따른 재생 순서에 제약받지 않고 멀티미디어를 역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p/bFrame 재생 위치에서 iFrame 재생 위치로 재생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경쟁사와 차별화된 역 재생하는 시청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청크(chunk)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수신한 청크에 포함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 정보 추출부; 추출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정보 저장부; 및 역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저장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가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역순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역 재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청크(chunk)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수신한 청크에 포함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역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저장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가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역순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제공된 멀티미디어에 있어서 Frame에 따른 재생 순서에 제약받지 않고 멀티미디어를 역 재생 가능하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재생 바를 터치하여 역으로 이동한 위치가 p/bFrame에 대응한 위치여도 Frame에 따른 재생 순서에 제약받지 않아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버퍼링이 없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편의상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1), 서버(3), 단말기(5) 및 단말기 제어 장치(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망(1)은 서버(3)와 단말기(5)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으며, 서버(3)가 단말기(5)에게 멀티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그 어떠한 망도 좋다.
예를 들어, 통신망(1)은 CDN(Content Delivery Network) 환경에서 서버(3)와 단말기(5)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망이다.
또한, 통신망(1)은 단말기(5)와 단말기 제어 장치(7) 간 통신을 위해 유/무선으로 연결한 것을 더 포함하며, 단말기 제어 장치(7)가 단말기(5) 내부에 구성되어 유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서버(3)는 단말기(5)에게 멀티미디어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5)에게 멀티미디어를 전달하는 서버로 영상 변환 및 전송을 담당하는 서버가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미디어 서버, 전송 서버 및 스트리밍 서버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5)는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를 제공하는 장치로 서버(3)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전달받은 데이터는 멀티미디어를 특정 기준으로 나눠서 보낸 정보로 순차적인 데이터가 압축되어 있고, 멀티미디어를 특정 시간 단위로 나눈 청크(chunk)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달된 데이터라고 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 장치(7)는 단말기(5)가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장치로 단말기(5)와 별도로 구성이 될 수 있지만 단말기(5) 내부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언급된 단말기 제어 장치(7)는 서버(3)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청크(chunk)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단말기(5)를 제어하는 장치를 일예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단말기 제어 장치(7)는 이미지 정보 추출부(71), 이미지 정보 저장부(73) 및 역 재생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미지 정보 추출부(71)는 단말기(5)가 수신한 청크에 포함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며, 다수의 청크를 병렬로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청크는 멀티미디어를 특정 시간 단위로 나눠서 수신한 데이터 덩어리로 이미지 정보 추출부(71)는 적어도 하나의 청크를 수신하며, 적어도 하나의 청크를 한번에 수신하거나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으며, 특정 횟수에 나눠서 수신될 수 있어 각 청크는 수신되는 시점이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또는 "Frame"이라고 함)은 멀티미디어를 구성하는 iFrame, pFrame 및 bFrame을 포괄하는 모든 프레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각 프레임을 이미지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 각 프레임마다의 raw 데이터로 YUV 또는 RGB로 표현된 정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는 YUV로 표현된 정보인 것이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YUV는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U,V)로 색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색차 신호중 U는 휘도 신호와 청색 신호 성분의 차를 의미하고, V는 휘도 신호와 적색 신호 성분의 차를 말한다. 흑백TV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고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YUV 방식을 사용한다. 사람의 눈은 휘도 신호에는 민감하지만 색 신호에는 덜 민감한 것을 이용하여 신호를 압축할 때 휘도 신호는 색차 신호보다 많은 비트를 할당하여 코딩한다. Y:U:V의 비율은 보통 4:2:2이며 정보량은 2/3로 줄어든다. RGB 값을 YUV로의 변환식은 Y=0.3R+0.59G +0.11B, U=(B-Y)x0.493, V=(R-Y)x0.877이며, 반대로 YUV 값을 RGB로의 변환식은 R=Y+0.956U+0.621V, G=Y+0.272U+0.647V, B=Y+1.1061U+1.703V이다.
이미지 정보 저장부(73)는 추출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구체적으로는 특정 개수의 청크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개수는 2개가 적합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미지 정보 저장부(73)는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LIFO(la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저장하는 것이 더 적합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추후에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재생 바를 터치하여 역으로 이동한 위치가 p/bFrame에 대응한 위치여도 Frame에 따른 재생 순서에 제약받지 않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청크와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순서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순서 정보는 멀티미디어에서 각 청크와 프레임에게 부여된 정보로 멀티미디어의 순방향 재생을 위해 부여된 정보이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정보 저장부(73)는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면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정보 저장부(73)는 사용자가 해당 멀티미디어 시청을 종료하기 전까지는 저장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관리할 수도 있지만, 재생된 특정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삭제하고 추가로 수신된 청크에서 추출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개수의 청크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초과하여 재생 또는 역 재생해야 하는 경우, 특정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면서 삭제하고, 추가로 수신된 청크의 추출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추가로 수신된 청크는 이미지 정보 추출부(71)에서 수신한 청크로서 이미지 정보 추출부(71)에서 이미 수신한 청크이며, 이미지 정보 저장부(73)가 해당 청크에서 추출한 이미지 정보를 아직 저장하지 않은 청크이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로 수신된 청크는 이미지 정보 저장부(73)가 이미 저장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한 청크 이후에 추가로 수신한 청크일 수도 있다.
역 재생부(75)는 역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저장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단말기(5)가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역순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iFrame, pFrame, pFrame, bFrame 순으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를 단말기(5)가 bFrame, pFrame, pFrame, iFrame 순서에 대응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역 재생 명령은 단말기(5)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를 기초로 입력된 명령으로 신호 또는 데이터로 구분되며, 순차적인 각 프레임을 역으로 출력하여 멀티미디어를 역 재생하는 것을 요청하는 명령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역 재생 명령은 역 재생 시작 지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역 재생 시작 지점 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의 특정 프레임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역 재생 시작 지점이 현재 재생 프레임과 대응하지 않는 경우, 역 재생 시작 지점에 해당하는 이미지 정보를 역순으로 출력한다. 다만, 해당 이미지 정보가 없을 경우, 해당 청크를 수신하여 역 재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 이벤트는 사용자가 단말기(5)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터치하여 발생시킨 이벤트로 사용자가 단말기(5)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특정 터치를 하거나 사용자에게 제공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발생되며 다수의 터치로 발생한 터치 이벤트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멀티미디어가 단말기(5)에 출력되는 최종적인 데이터가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역순으로 출력하는 경우, 순서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도록 재생 버튼을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수신한 청크에 포함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한다(S101).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각 프레임을 이미지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 각 프레임마다의 raw 데이터로 YUV 또는 RGB로 표현된 정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는 YUV로 표현된 정보인 것이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청크는 적어도 하나이므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병렬로 추출할 수도 있다.
추출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다(S103). 구체적으로는 특정 개수의 청크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특정 개수는 2개가 적합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를 청크와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순서 정보를 기초로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제어 장치(7)가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면서 단말기(5)가 추출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 방식은 LIFO가 적합하지만,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추후에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멀티미디어 시청을 종료하기 전까지는 저장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관리할 수도 있지만, 재생된 특정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삭제하고 추가로 수신된 청크에서 추출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개수의 청크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초과하여 재생 또는 역 재생해야 하는 경우, 특정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면서 삭제하고, 추가로 수신된 청크의 추출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역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저장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단말기(5)가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역순으로 출력하도록 한다(S105).
여기서 역 재생 명령은 단말기(5)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를 기초로 입력된 명령으로 신호 또는 데이터로 구분되며, 순차적인 각 프레임을 역으로 출력하여 멀티미디어를 역 재생하는 것을 요청하는 명령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역 재생 명령은 역 재생 시작 지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역 재생 시작 지점 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의 특정 프레임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역 재생 시작 지점이 현재 재생 프레임과 대응하지 않는 경우, 역 재생 시작 지점에 해당하는 이미지 정보를 역순으로 출력한다. 다만, 해당 이미지 정보가 없을 경우, 해당 청크를 수신하여 역 재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각 프레임을 이미지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 각 프레임마다의 raw 데이터로 YUV 또는 RGB로 표현된 정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는 YUV로 표현된 정보인 것이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멀티미디어가 단말기(5)에 출력되는 최종적인 데이터가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역순으로 출력하는 경우, 순서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도록 재생 버튼을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역순으로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는 동안 단말기의 일측면에 순서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가 출력되는 실시간 화면이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포함한 인터페이스 또는 해당 실시간 화면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의 (주) 화면이 실시간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말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단말기 제어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단말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망 3: 단말기
5: 서버 7: 단말기 제어 장치
71: 이미지 정보 추출부 73: 이미지 정보 저장부
75: 역 재생부

Claims (19)

  1.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청크(chunk)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청크에 포함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 정보 추출부;
    추출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정보 저장부; 및
    역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저장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가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역순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역 재생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YUV 또는 RGB로 표현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크는 멀티미디어를 특정 시간 단위로 나눈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은 HLS(HTTP Live Stream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단말기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 환경에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재생 명령은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를 기초로 입력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 저장부는 상기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면서 상기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 저장부는 상기 청크와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순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9.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청크(chunk)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수신한 청크에 포함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추출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역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저장한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가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 역순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YUV 또는 RGB로 표현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크는 멀티미디어를 특정 시간 단위로 나눈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은 HLS(HTTP Live Stream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단말기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 환경에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 재생 명령은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를 기초로 입력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면서 상기 각 프레임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청크와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순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8.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기 제어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9.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01909A 2018-01-05 2018-01-05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12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09A KR102112050B1 (ko) 2018-01-05 2018-01-05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09A KR102112050B1 (ko) 2018-01-05 2018-01-05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908A true KR20190083908A (ko) 2019-07-15
KR102112050B1 KR102112050B1 (ko) 2020-05-18

Family

ID=6725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909A KR102112050B1 (ko) 2018-01-05 2018-01-05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0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823A (ko) * 2003-06-11 200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역재생을 위한 동적인 버퍼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14362A (ko) * 2006-08-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30093810A (ko) 2012-01-11 2013-08-23 주식회사 케이티 스트림 변환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 그리고 단말로 스트림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
KR20150119168A (ko) * 2013-03-14 2015-10-23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오버 http(dash)를 http 라이브 스트리밍(hls)으로 변환 또는 번역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823A (ko) * 2003-06-11 200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역재생을 위한 동적인 버퍼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14362A (ko) * 2006-08-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30093810A (ko) 2012-01-11 2013-08-23 주식회사 케이티 스트림 변환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 그리고 단말로 스트림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
KR20150119168A (ko) * 2013-03-14 2015-10-23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오버 http(dash)를 http 라이브 스트리밍(hls)으로 변환 또는 번역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helloworld.naver.com/helloworld/71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050B1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95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oving image data
CN107846633B (zh) 一种直播方法及系统
US9172979B2 (en) Experience or “sentio” codec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QoE and encoding based on QoE experiences
WO2019169682A1 (zh) 一种音视频的合成方法及系统
JP2018186524A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US9693080B2 (en) Distribution control system, distribu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80146019A1 (en) Light-weight resolution switching for online video streaming
US9497492B2 (en) Distribution control system,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894391B2 (en) Distribution management apparatus,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CN103329521A (zh) 用于暂停视频流传送内容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JPWO2011004886A1 (ja) 配信システムと方法とゲートウェイ装置とプログラム
KR20170007261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US201401890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video transmission
US20160044079A1 (en) Distribution control system, distribu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2320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transmission network
US20240121455A1 (en)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video bitrate switching
US11570226B2 (en) Protocol conversion of a video stream
US20140282039A1 (en) Distribution control system,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95537B1 (ko) 네트워크 환경 적응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9596282B2 (en) Delivery managing device, terminal, and delivery managing method
KR20190083908A (ko)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268167B1 (ko) 영상 제공 시스템
JP2008136044A (ja) 動画分割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4257771A (zh) 一种多路音视频的录像回放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603976B1 (ko) 동영상 파일 결합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