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899A -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899A
KR20190083899A KR1020180001898A KR20180001898A KR20190083899A KR 20190083899 A KR20190083899 A KR 20190083899A KR 1020180001898 A KR1020180001898 A KR 1020180001898A KR 20180001898 A KR20180001898 A KR 20180001898A KR 20190083899 A KR20190083899 A KR 20190083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blocked
blocking
web page
scri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윤웅진
최경모
김도훈
오현섭
천지영
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블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블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블링
Priority to KR102018000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3899A/ko
Publication of KR2019008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며, 차단 감지 시스템은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가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광고 차단 감지부, 및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차단된 광고의 배너 영역에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LOCK}
본 발명은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에 포함된 광고의 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존재하는지 감지하여 광고를 표시하도록 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콘텐츠들은 온라인 광고를 함께 제공한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온라인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얻고, 온라인 광고의 광고주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매체를 통해 광고 효과를 얻는다.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904858호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매체에 광고를 노출하여 광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유저 입장에서는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광고의 노출에 대한 거부감, 광고의 노출로 인한 인터넷 속도 저하, 또는 통신료의 발생 등으로 인해 광고의 노출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광고의 노출을 원하지 않는 유저에게 제공되는 광고를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광고 차단 수단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광고 차단 수단의 사용으로 광고를 차단하게 되면, 광고 비용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콘텐츠 제공자는 수익이 감소하게 되어 양질의 콘텐츠 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한 광고 노출의 차단을 방지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광고 차단 수단의 사용으로 인해 광고가 차단되더라도 유저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광고 비용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의 수익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감지 시스템은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가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광고 차단 감지부, 및 상기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차단된 광고의 배너 영역에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감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광고 차단 방지 방법은,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 내에 포함된 광고가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차단된 광고의 배너 영역에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차단 방지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 내에 포함된 광고가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차단된 광고의 배너 영역에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차단 방지 방법에 의해 수행되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 내에 포함된 광고가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차단된 광고의 배너 영역에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한 광고 노출의 차단을 방지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광고 차단 수단의 사용으로 인해 광고가 차단되더라도 유저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광고 비용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의 수익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감지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방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된 유저에게 타깃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 화면 내의 웹 페이지를 이용한 광고 제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이하에서, '웹 페이지'는 인터넷을 통해 유저 단말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되는 문서로서, 유저에게 제공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매체 서버에 의하여 유저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는 콘텐츠와 함께 광고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광고는 후술할 광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광고 시스템은 상술한 매체 서버와 별개의 운영자 또는 동일한 운영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광고는 광고 스크립트의 실행에 의하여 광고 시스템으로부터 유저 단말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웹 페이지는 이러한 광고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웹 페이지는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상술한 광고 스크립트의 실행 여부나 웹 페이지의 변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광고 차단 여부를 식별하고, 광고 스크립트의 실행이 차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웹 페이지에서 차단된 광고를 복원하거나 대체하여 게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가 광고 스크립트나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포함한다고 함은, 특정 서버에 접근하여 해당 서버가 광고 스크립트나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웹 페이지가 해당 서버에서 광고 스크립트나 차단 감지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광고 스크립트나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서버-사이드-스크립트로 구현될 수 있고, 웹 페이지는 이들을 실행시키고 실행 결과를 받아 표시하기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스크립트는 통상의 온라인 광고 스크립트와 같이, 각종 광고 제공자들의 도메인 네임을 갖는 주소를 가질 수 있고,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일반적인 광고 차단 수단이 스크립트의 실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광고 차단 수단이 광고로 인식하지 않거나 인식할 수 없는 주소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감지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구성(1)은 광고 시스템(10), 차단 감지 시스템(20), 및 유저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네트워크 구성(1)은 광고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유저 단말(30)에 제공하는 매체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를 도시하지는 않았다.
광고 시스템(10)는 유저 단말(30)에 광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광고 시스템(10)는 유저 단말(30)에서 웹 페이지가 실행되면, 웹 페이지 내에 광고 제공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소정의 배너 영역에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시스템(10)는 유저 단말(30)에서 웹 페이지가 실행될 때 광고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실행 결과로서 광고 콘텐츠를 웹 페이지 일측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유저 단말(30)에서 광고 차단 프로그램과 같은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한 광고 차단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때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매체 대표 도메인 또는 랜덤 도메인을 주소로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매체 대표 도메인은, 상술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매체 서버의 대표 도메인을 의미한다.
실제, 광고 차단 수단에서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운영되는 매체로부터 콘텐츠까지 차단되지는 않도록 하기 위해, 콘텐츠가 공급되는 매체 도메인을 차단 대상으로 할 수 없다. 따라서,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매체 도메인을 이용하여 유저 단말(30)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차단 감지 스크립트가 매체 대표 도메인을 갖는 경우, 차단 감지 스크립트의 주소에 대응하는 매체 서버의 영역에서는 다시 차단 감지 시스템(20)으로 접근하여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유저 단말(30)과 차단 감지 시스템(20) 사이에서 직접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매체 서버로 우회하여 차단 감지 시스템(20)에서 차단 감지 스크립트가 실행된 결과가 매체 서버를 통해 우회적으로 유저 단말(3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차단 감지 스크립트가 랜덤 도메인에 의해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 도메인은 매번 또는 주기적으로 무작위로 생성되어 변동되는 도메인 네임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해당 랜덤 도메인 네임을 갖는 가상의 주소를 인터넷 상에 할당하고 이를 통해 차단 감지 시스템(20)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차단 감지 스크립트의 주소를 이미지 인코딩 방식, 예를 들어 BASE64 인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이미지로 변환하여 웹 페이지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유저 단말(30) 내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해 광고 차단이 발생되면, 광고 차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광고의 차단을 감지하면,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차단된 광고 또는 대체 광고를 유저 단말(3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유저 단말(30)로 제공된 웹 페이지가 실행될 때 광고 스크립트가 차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웹 페이지가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스크립트의 실행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광고 스크립트의 실행 결과가 기록되는 유저 단말(30)의 웹 브라우저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변수 값인 경우 광고 스크립트가 차단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유저 단말(30)에 유저의 식별을 위한 고유 아이디(ID)를 할당하고, 고유 아이디에 기초하여 해당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광고 시스템(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인터넷 사용 기록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타기팅된 광고를 수신하여 유저 단말(30)로 차단된 광고 대신에 광고를 제공하거나, 광고 시스템(10)에 의해 직접 타기팅된 광고를 유저 단말(30)로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광고 시스템(10)가 제공하는 광고 스크립트의 실행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광고 타기팅을 위한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의 수집도 불가하므로, 광고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광고 차단이 중단되더라도 광고가 차단된 동안의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타기팅된 광고를 제공할 수 없어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때 광고 시스템(10)는 차단 감지 시스템(20)이 수집한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참조하여 광고 타기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차단된 광고를 유저 단말(30)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광고 시스템(10)로 제공함으로써 소정의 비용을 광고 시스템(10)로부터 광고 수수료의 일부로부터 정산 받을 수 있다.
유저 단말(30)은 광고 시스템(10) 및 차단 감지 시스템(2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유저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유저 단말(30)은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유저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단말(30)은 유저의 인터넷 접속에 의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실행시킬 수 있다. 유저 단말(30)에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스크립트를 직접 실행하거나, 또는 서버 측 스크립트의 실행을 서버로 요청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유저 단말(30)에 광고 차단 수단이 설치된 경우, 광고 차단 수단은 웹 페이지의 실행 시 광고 스크립트의 실행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하지만, 유저 단말(30)의 차단 감지 스크립트의 경우 매체 대표 도메인 내지 랜덤 도메인을 이용하므로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유저 단말(30)은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한 광고의 차단 없이 웹 페이지를 실행하게 된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광고 차단 감지부(110), 광고 제공부(120), 유저 관리부(130), 사용기록 수집부(140), 및 사용기록 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차단 감지부(110)는 웹 페이지가 유저에게 제공될 경우, 웹 페이지 내에 포함된 광고의 차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광고 차단 감지부(110)는 유저 단말에 설치된 광고 차단 수단 예를 들어, 광고 차단 프로그램 등에 의해 웹페이지 내에 포함된 광고의 차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차단 감지부(110)는 웹 페이지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이하 'HTML'라 칭하기로 함)의 변조를 식별하여 광고 차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광고 차단 감지부(110)는 HTML이 변조된 경우,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해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광고 차단 감지부(110)는 광고 차단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태그, 변수, 및 문자열 등의 값을 확인하고, 광고 차단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판정되는 태그, 변수, 및 문자열이 존재하면,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해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차단 감지부(110)는 웹 페이지에 광고 스크립트와 차단 식별 스크립트가 포함되도록 하고, 차단 식별 스크립트가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스크립트에 의해 웹 브라우저의 메모리 영역에 기입되는 정보를 읽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차단 감지부(110)는 웹 브라우저의 메모리 영역에 기입되는 정보가 변수 값이면, 해당 광고의 스크립트가 차단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이때 차단 감지 스크립트가 기존의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해 광고 스크립트로 식별되지 않는 도메인 네임 주소를 갖도록 설정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방법들 이외에, 광고 차단 감지부(110)는 광고 차단 수단, 예를 들어 광고 차단 프로그램의 존재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광고 차단 프로그램의 존재 또는 동작 여부를 확인하여 광고의 차단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광고 제공부(120)는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웹 페이지 내의 차단된 광고의 배너 영역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120)는 기존에 차단된 배너 영역에 제공될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다른 새로운 광고를 배너 영역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광고 제공부(120)는 직접 광고를 제공하거나, 광고 시스템(10)로부터 유저 단말(30)에 제공될 광고를 제공받아 유저 단말(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광고 제공부(120)는 매체의 웹 페이지를 주기적으로 크롤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 제공부(120)는 각 웹 페이지에 포함되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광고의 정보는, 광고 제공자, 광고 스크립트의 주소 정보, 광고가 제공되기 위한 배너 영역에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너 영역에 관련된 정보는 웹 페이지 내 배너 영역의 위치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120)는 수집된 배너 영역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 위치를 미리 파악하고, 선정된 위치에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부(120)는 미리 수집한 광고 스크립트 정보나 광고 제공자 정보에 기초하여 추후 해당 웹 페이지에서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차단된 광고 스크립트의 실행을 광고 시스템(10)로 요청하여 차단된 광고가 유저 단말(3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저 관리부(130)는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에게 고유 아이디(ID)를 할당할 수 있다. 특히, 유저 관리부(130)는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해 광고 차단이 감지된 유저에게 고유 아이디를 할당할 수 있다.
사용 기록 수집부(140)는 고유 아이디에 기초하여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 사용 기록 수집부(140)가 수집하는 인터넷 사용 기록은 해당 유저에게 타기팅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수집될 수 있다.
이때 사용 기록 수집부(140)는 광고 차단이 감지된 유저에게 할당된 고유 아이디를 웹 브라우저의 메모리 영역, 예를 들어 쿠키에 기록되도록 한 후, 추후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할 때마다 고유 아이디를 함께 연관하여 수집함으로써, 동일한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이 누적하여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기록 수집부(140)는 상술한 차단 감지 스크립트, 또는 그와 별개로 구성되는 스크립트를 통해 유저 단말(30)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 사용 기록은 각각의 고유 아이디마다 별개로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사용 기록 제공부(150)는 수집한 인터넷 사용 기록을 광고 시스템(10)로 제공함으로써 광고 시스템(10)가 유저를 위한 광고를 타기팅하는데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차단 감지 시스템(20) 또는 차단 감지 시스템(20) 내의 모듈들(110 내지 150)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성도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각각 내지는 구성 요소들 전체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스크립트 등을 통해 독립된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단말(30)에는 매체 서버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가 실행될 수 있다(S210). 여기서, 웹 페이지는 유저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콘텐츠 외에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가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20). S220단계의 판단결과, 광고 차단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광고 차단에 대응되는 별도의 광고 표시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광고 차단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할 수도 있다.
하지만, S220단계의 판단결과, 광고 차단이 감지된 경우,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차단된 광고 또는 대체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S230). 이때 광고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고 차단된 광고나 대체 광고를 표시하는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통상의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하여 광고 스크립트로 식별되지 않는 도메인의 주소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된 유저에게 타깃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광고의 차단을 감지하면, 광고가 차단된 유저, 즉 유저 단말에 고유 아이디(ID)를 할당할 수 있다(S310). 여기서, 고유 아이디는 해당 유저 단말의 인터넷 사용기록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S310단계에서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해당 유저 단말(30)에서 광고가 차단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더라도 새로운 유저에 대해 고유 아이디를 할당할 수 있다.
이어서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고유 아이디가 할당된 유저 단말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S320).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유저 단말에 대해 타깃 광고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S330).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타깃 광고를 선택하기 위해 유저의 인터넷 기록을 직접 참조하여 광고 타기팅을 수행하거나,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광고 시스템(10)으로 전달하여 광고 시스템(10)이 타기팅 광고를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선택된 타깃 광고를 해당 유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340).
이때 인터넷 사용 기록은, 유저 단말(30)의 웹 브라우저에 입력된 검색어나 키워드, 유저가 접근한 웹 페이지 주소, 유저가 클릭한 광고의 정보, 유저가 클릭한 상품의 정보 등 웹 브라우저를 통해 발생하는 각종 유저 활동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광고의 차단이 감지되면,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단 감지 스크립트는 매체 대표 도메인 또는 랜덤 도메인과 같은 비광고 도메인을 주소로 가질 수 있다.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광고 스크립트로부터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는 광고를 타기팅 하기 위한 광고 관련 정보(예를 들면, 광고의 종류, 형태, 대상 등) 또는 광고 관련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광고에 매칭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서로 다른 매체 또는 서로 다른 광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스크립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제 1 광고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 제 1 광고 스크립트의 제 1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제 1 광고 스크립트와 다른 제 2 광고 스크립트를 제 1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제 1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제 2 광고 스크립트를 제공할 광고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광고 스크립트는 제 1 광고 스크립트와 다른 매체 또는 다른 광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광고 스크립트일 수 있다.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제 2 광고 스크립트로부터 제 2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제 1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와 상기 제 2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를 매칭하고, 매칭된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타기팅을 수행하거나, 매칭된 광고 스크립트 식별자를 광고 시스템(10)으로 전달하여 광고 시스템(10)이 타기팅 광고를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 화면 내의 웹 페이지를 이용한 광고 제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에는 웹 페이지(410)의 제공을 매체 서버로 요청하기 위하여 웹 페이지의 주소를 입력하거나 현재 실행되는 웹 페이지의 주소를 표시하기 위한 주소창(401)이 포함되며, 웹 페이지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한다.
또한, 웹 페이지(410)는 웹 페이지 내 일부 영역인 배너 영역(411, 412)에 광고(AD1, AD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단말(30)에 광고 차단 수단이 실행되는 경우, 유저 단말(30)이 웹 페이지(410)를 표시할 때, 광고 차단 수단이 웹 페이지 내 광고 영역에 포함된 광고들(AD1, AD2)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광고들(AD1, AD2)을 차단한 광고 차단 수단에 의해 웹 페이지(410)에 포함된 광고들(AD1, AD2)이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매체의 대표 도메인을 사용하여 광고를 전달하거나, 랜덤 도메인, 또는 이미지로 변환된 도메인 등을 이용하는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광고 차단 여부를 식별하고, 차단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차단된 광고의 표시를 위해 미리 웹 페이지를 크롤링하여 분석한 후, 각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 스크립트의 주소나 배너 영역에 대한 정보를 미리 보유할 수 있다. 이로써 차단된 광고를 표시하거나 대체 광고를 표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차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차단 감지 스크립트가 실행될 때, 동시에 고유 아이디에 기초하여 각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함으로써, 차단된 광고 스크립트가 수집하지 못하는 기록을 대신 수집하여 광고 시스템(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차단 감지 시스템(20)은 고유 아이디를 할당함에 있어서, 미리 광고 시스템(10)로부터 해당 광고 시스템(10)가 이용하고자 하는 고유 아이디의 할당을 요청함으로써 광고 시스템(10)와 동일한 고유 아이디를 기반으로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방지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방지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방지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광고 시스템 20: 차단 감지 시스템
30: 유저 단말 110: 광고 차단 감지부
120: 광고 제공부 130: 유저 관리부
140: 사용 기록 수집부 150: 사용 기록 제공부

Claims (17)

  1.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광고 차단 감지부; 및
    상기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차단된 광고의 배너 영역에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가 차단된 유저에게 고유 아이디(ID)를 할당하는 유저 관리부; 및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하는 사용 기록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감지 시스템은,
    상기 사용 기록 수집부가 수집한 인터넷 사용 기록을 상기 차단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사용 기록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가 상기 차단된 광고의 배너 영역에 표시하는 광고는,
    상기 광고가 차단된 유저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유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에 기초하여 타기팅된 광고인, 차단 감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차단 감지부는,
    상기 웹 페이지 내의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변조를 식별하여 상기 광고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차단 감지부는,
    상기 웹 페이지에 광고 스크립트와 차단 식별 스크립트를 포함시키고, 상기 차단 식별 스크립트가, 상기 광고 스크립트에 의해 웹 브라우저의 메모리에 기입되는 정보가 변수 값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광고 차단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배너 영역에 차단된 기존의 광고와 대체 광고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표시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감지부는,
    랜덤 도메인 또는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매체의 대표 도메인을 주소로 갖고, 상기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차단 감지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단 감지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매체를 주기적으로 크롤링하여 수집된 광고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를 표시하는, 차단 감지 시스템.
  10. 차단 감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광고 차단 방법에 있어서,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웹 페이지 내에 포함된 광고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가 차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차단된 광고의 배너 영역에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가 차단된 유저에게 고유 아이디(ID)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유저로부터 웹 페이지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인터넷 사용 기록에 기초하여 타기팅된 광고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되는 인터넷 사용 기록을 상기 차단된 광고의 광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배너 영역을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탐지된 배너 영역에 상기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매체의 대표 도메인을 사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매체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주기적으로 크롤링하여 광고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너 영역에 표시될 광고를 결정하고, 결정된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7. 차단 감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제 10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01898A 2018-01-05 2018-01-05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3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98A KR20190083899A (ko) 2018-01-05 2018-01-05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98A KR20190083899A (ko) 2018-01-05 2018-01-05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99A true KR20190083899A (ko) 2019-07-15

Family

ID=6725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98A KR20190083899A (ko) 2018-01-05 2018-01-05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389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208B1 (ko) * 2022-02-14 2023-07-21 주식회사 애드쉴드 과격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153580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애드쉴드 과격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153579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애드쉴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22320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애드쉴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난독화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22322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애드쉴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208B1 (ko) * 2022-02-14 2023-07-21 주식회사 애드쉴드 과격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153580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애드쉴드 과격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153579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애드쉴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22320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애드쉴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난독화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22322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애드쉴드 광고 차단 기능에 대응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3899A (ko) 차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6851351B2 (ja) コンテンツレンダリング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100260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nd presenting notices to viewers of electronic ad content regarding targeted advertising techniques used by Internet advertising entities
JP5497282B2 (ja) 情報提供方法及び広告提供方法
CN106062801B (zh) 用于电视事件观看的追踪像素和cookie
US20100235256A1 (en) System for online contents marketplace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873351B1 (ko) 매쉬업 지도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382075A1 (en) Monitoring individual viewing of television events using tracking pixels and cookies
US20080270233A1 (en) Tracking offline user activity and computing rate information for offline publishers
US20110125593A1 (en) Online marketing paym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10218599B2 (en) Identifying referral pages based on recorded URL requests
US10037546B1 (en) Honeypot web page metrics
US201000947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nternet ad media using etags
US10621600B2 (en) Method for analyzing website visitors using anonymized behavioral prediction models
CN103473721A (zh) 使用分布式人口统计信息确定媒体印象的方法和装置
US201000828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relevant internet content
KR20070052028A (ko) 키워드 광고에서 접속자의 행위 분석에 의해 과금을수행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3268562B (zh) 一种互联网广告受众人口属性的监测方法及系统
US11743354B2 (en) Method of loading clickstream data into a web analytics platform
KR101474804B1 (ko) 광고제공장치, 광고제공프로그램 및 광고제공방법
KR20200105179A (ko) 유해 사이트 현황 자동 수집 시스템
US20130332267A1 (en) Selecting content based on data analysis
US201903406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ation of Advertisement Content
KR20200025408A (ko) 실시간 이벤트 처리를 이용한 실시간 오퍼 제공 방법 및 서버 시스템
KR20090118335A (ko) 광고 차단 기능에 대한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