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628A - 이중복합 용접철망 - Google Patents

이중복합 용접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628A
KR20190083628A KR1020190037815A KR20190037815A KR20190083628A KR 20190083628 A KR20190083628 A KR 20190083628A KR 1020190037815 A KR1020190037815 A KR 1020190037815A KR 20190037815 A KR20190037815 A KR 20190037815A KR 20190083628 A KR20190083628 A KR 2019008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ongitudinal
welded
wir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완진
석주환
Original Assignee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3628A/ko
Publication of KR2019008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복합 용접철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을 서로 직각으로 교차시키고 교차된 지점에서 전기용접시켜서 제조된 용접철망에 있어서, 상기 세로철선을 길이방향으로 2개의 철선으로 투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가로철선을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1개의 폭방향철선을 투입하되,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의 틈새 사이로 투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의 길이(L)가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의 폭의 너비(W)에 비하여 최소한 1.2 배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이 상하 방향으로 짝을 이루고,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의 상하 방향의 틈새 사이로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이 삽입되어진 이후, 전기용접에 의해,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과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들이 용접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복합 용접철망{Double Welded Steel Mesh}
본 발명은 이중복합 용접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기둥이나 철근 콘트리트 바닥면에 사용될 수 있고, 외력이 가해졌을 때 길이방향으로 강력하게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써, 종래의 용접철망으로서는 달성하지 못하였던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이중복합 용접철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망은 철사를 이용하여 그물 망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가로 방향의 철사와 세로 방향의 철사를 서로 결합시키는 방식에 따라, 개비온 철망과 용접 철망으로 나누어진다.
개비온 철망은 다수의 철선들을 서로 인접한 것들 끼리 짝을 이루고, 그 짝을 이룬 철선들을 서로 트위스트시켜서 꼬임구조를 형성하고, 그 이후 서로 반대방향으로 철선들을 진행시키고, 다시 서로 인접한 것들을 새로운 짝으로 만들어 이들을 트위스트시켜서 또 꼬임구조를 형성하고, 그 이후 다시 원래의 방향으로 각 철선들을 진행시켜서 원래의 철선들로 하여금 짝을 이루게 한 다음, 또 다시 트위스트시켜서 꼬임구조를 이루며, 다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시켜서 꼬임구조를 이루는 방식으로 제조되어진다.
그런데, 상기 개비온 철망은 다수의 철선들이 서로 트위스트되어 꼬임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어서, 개비온 철망을 펼쳐놓았을 때, 약간 출렁출렁한 느낌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개비온 철망은 건축물의 기둥이나 외벽과 같은 건축현장의 건축골조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용접철망은 가로 방향의 철선(20)들과 세로 방향의 철선(10)들을 서로 직각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어 있는 부분을 전기용접시켜줌으로써, 용접결합에 의해 철망을 이루는 방식으로 제조되어진다. 용접철망은 가로 철선과 세로 철선을 서로 용접시켜서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완성된 용접철망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매우 강력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용접철망은 첨부된 도 7a에 잘 도시되어 있다.
용접철망은 가로 철망과 세로 철망을 서로 용접시켜서 결합시킨 것이어서, 개비온 철망에 대비하여 외력에 대해 강인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빌딩이나 아파트, 공장바닥과 같은 건축골조 현장에 종종 사용되어 오고 있었다.
그러나, 건축 골조 또는 고속도로 농로 등의 토목 현장에서는, 종래의 단일의 사각 용접철망에 비하여 더 좋은 저항특성을 가진 제품이 요구되어 왔었고, 이에 부응하여, 2개의 철선(20)과 1개의 철선(10)을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형성한 용접 철망이 개발되어 제공되기에 이르렀다. 이는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1702557호에 의한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7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복합 용접철망은 하나의 철선을 공급하면서, 그 위쪽과 그 아래쪽에서 각각 직각된 방향으로 투입하고, 이들을 서로 전기용접시켜서, 용접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투입된 중앙의 철선에 대하여, 그의 상방향 및 그의 하방향에서 2개의 철선이 공급되어 용접되는 것이므로, 상기 상방향 철선과 상기 하방향 철선의 길이가 가장 길었을 경우, 제조장치의 폭에 해당하는 2 미터를 초과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선행 기술인 특허등록 제10-1702557호의 제조장치 또는 이것을 이용한 제조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도 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상의 복합 용정철망을 제조하는데 그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 7c에 의한 복합 용접철망은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철선이 단지 1개로 구성된 것이므로, 이러한 제품을 건축물의 골조에 사용하거나 토목현장에 사용하였을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큰 저항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외부에서 강력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길이방향의 철선이 단선이어서, 쉽게 휘어져버리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용접철망은 각각의 철선들이 서로 용접되어 있어서 외부의 힘에 대해, 개비온철망에 비해서는 상당한 정도의 저항능력을 가지고 있고, 또한 종래의 복합 용접철망은 종래의 단일 용접철망에 비하여 더 큰 저항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길이방향의 철선이 단선으로 되어 있는 것이어서, 역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저항력에 취약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02557호 (등록일: 2017. 1. 2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20857호 (공개일: 2010. 2. 23.)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 기둥이나 철근 콘트리트 바닥면에 사용될 수 있고, 외력이 가해졌을 때 길이방향으로 강력하게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써, 종래의 용접철망으로서는 달성하지 못하였던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이중복합 용접철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을 서로 직각으로 교차시키고 교차된 지점에서 전기용접시켜서 제조된 용접철망에 있어서, 상기 세로철선을 길이방향으로 2개의 철선으로 투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가로철선을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1개의 폭방향철선으로 투입하되,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의 틈새 사이로 투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 개가 반복적 계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의 길이(L)가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의 폭의 너비(W)에 비하여 최소한 1.2 배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이 상하 방향으로 짝을 이루고,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의 상하 방향의 틈새 사이로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이 삽입되어진 이후, 전기용접에 의해,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과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들이 용접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을 2개의 길이방향철근으로 대체하고,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을 1개의 폭방향철근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2개의 철선을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틈새(d)를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공급하는 길이방향철선의 공급단계(S 210)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이 일정한 틈새(d)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철선을 공급하되,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이 상하 방향으로 이루고 있는 상기 틈새(d)의 사이로 공급하는 폭방향철선의 공급단계(S 220)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과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전기용접기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철선과 상기 폭방향철선을 용접결합시키는 철선의 용접결합단계(S 230)와; 용접결합이 완료된 용접철망 결합부를 뒤쪽으로 끌어당겨서 이동시키는 철망의 이동단계(S 240)와; 완성된 용접철망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거나 마무리하는 마침단계(S 2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은 품질의 균일화 및 고급화를 위하여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완성한 이중복합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2개의 길이방향철선과 1개의 폭방향철선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된 지점에서 전기용접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강력한 힘이 작용할 경우에도, 매우 견고한 저항능력을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건축물의 기둥이나 바닥면에 사용되었을 경우에도, 매우 견고한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은 매우 균일하고 견고한 이중복합 철망을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연속적이며 기계적인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제조장치에 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조장치에 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폭방향철선의 측면 삽입장비에 관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용접철망의 끌어당김 장비에 관한 개념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사각 용접철망들에 관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은 세로철선(10)과 가로철선(20)을 서로 직각으로 교차시키고 교차된 지점에서 전기용접시켜서 제조된 용접철망에 있어서, 상기 세로철선을 길이방향으로 2개를 투입하여 길이방향철선(110)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로철선을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1개를 투입하여 폭방향철선(120)으로 투입하되,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들의 틈새(d) 사이로 투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 개가 반복적 계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의 개략적인 개념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은 길이방향철선(110)을 2개로 형성하고 그들 사이의 틈새(d)로 폭방향철선(120)을 삽입한 다음, 상기 길이방향철선(110)과 상기 폭방향철선(120)을 서로 용접결합시킨다. 상기 길이방향철선(110)은 상기 폭방향철선(120)에 대하여 그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상기 폭방향철선(120)은 상기 길이방향철선(110)에 비하여 그 길이가 더 짧은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길이방향철선(110)과 상기 폭방향철선(120)의 길이가 서로 반대로 형성된 것이거나 서로 동일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의 틈새(d)로 상기 폭방향철선(120)이 삽입되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폭방향철선(120을 중심에 두고, 그 상하방향에서 밀착시켜 용접결합시키는 용접철망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용접철망은 종래의 선행기술(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02557호, 등록일: 2017. 1. 26.)에 의하여 제조된 것으로, 완성된 제품은 그 길이에 있어서도, 서로 반대의 구조를 이루게 되고,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의 길이(L)가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120)의 폭의 너비(W)에 비하여 최소한 1.2 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 배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의 길이(L)가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120)의 폭의 너비(W)에 비하여 최소한 1.2 배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건축물의 구조 또는 건축물의 바닥이나 도로 등에 사용될 경우, 종래의 용접철망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종래의 제조장치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 제조되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상기 이중복합 용접철망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이 상하 방향으로 짝을 이루고,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의 상하 방향의 틈새 사이로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이 삽입되어진 이후, 전기용접에 의해,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과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들이 용접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들이 서로 짝을 이루고, 다른 1개의 폭방향철선(120)이 그 틈새 사이로 삽입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 개가 반복적 계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방향철선(110)들은 와이어철선 롤러(도시되지 않음)에서 풀려서 제공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되거나, 일정한 길이만큼 사전에 절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들을 2개의 길이방향철근으로 대체하고,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120)을 1개의 폭방향철근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철선은 대체적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와이어 제품을 말하는 반면에, 상기 철근은 대체적으로 그 직경이 철선에 비하여 굵게 형성된 철제 제품을 말한다. 상기 철선 대신에 철근을 사용할 경우에는, 대형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기둥 콘크리트 구조물에 주로 사용되어지게 된다. 상기 철선 대신에 철근을 사용하였을 경우, 상기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은 당연히 이중복합 용접철근망을 포함하는 개념임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은 본 발명자가 개발한 제조장치에 의하여 자동적 기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의 제조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제조장치(300)에 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조장치(300)에 관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의 제조장치(300)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을 공급하는 철선공급부(310)와,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1개의 폭방향철선(120)을 공급하는 폭철선공급부(320)와, 상기 길이방향철선(110)과 상기 폭방향철선(110)을 전기용접하는 용접결합부(330)와, 전기용접이 완료된 철망부를 뒤쪽으로 끌어당겨서 외부로 배출해주는 철망끌어당김부(340)와, 전체적인 시스템을 제어하고 통제하는 콘트롤부(C)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철선공급부(310)는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을 연속적이고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길이방향철선(110)의 길이(L)는 폭방향철선(120)의 폭(W)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틈새(d)를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공급되어진다. 상기 틈새(d)는 폭방향철선(120)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틈새(d)가 상기 폭방향철선(120)의 직경에 비하여 더 작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폭방향철선(120)이 상기 길이방향철선(110)의 틈새(d)의 내부에 삽입되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철선공급부(310)는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급보조부(312)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의 제조장치(300)에 있어서 폭방향철선의 측면 삽입장비에 관한 개념도이다.
상기 폭철선공급부(320)는 폭방향철선(120)을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들의 틈새(d) 사이로 삽입시켜주는 장치이다. 이는 다수의 폭방향철선(120)을 보관하고 있다가 하나씩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해주는 폭방향철선의 공급부(60)에서 전달된 폭방향철선(120)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폭철선공급부(320)는 프레임(51)의 일측에 설치된 서보모터(52)와, 서보모터에서 구동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2개의 스프로킷(53)과, 상기 스프로킷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54)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철선이송대(5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접결합부(330)는 서로 직교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겹쳐져 있는 철선들을 전기용접 방식으로 결합시켜주는 장비로서, 통상의 기술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이중복합 용접철망(100)의 제조장치(300)에 있어서 용접철망의 끌어당김 장비에 관한 개념도이다.
상기 철망끌어당김부(340)는 용접철망을 뒤쪽으로 끌어당겨서 외부로 배출해주기 위한 장치로서, 제어부(C)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동되어지는 제1 모터(342)와, 상기 제1 모터(342)에 결합되어 있고 그 회전력을 전달해주는 회전축(344)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고 전기용접에 의해 철망을 구성하는 부분을 갈고리처럼 걸어주는 후크(34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철망끌어당김부(340)는 역시 제어부(C)의 신호에 의해 가동되어지는 제2 모터(352)와, 상기 제2 모터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354)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지는 래크(356)와, 상기 피니언기어(354) 및 래크(356)의 기어결합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길을 직선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58)을 더욱 포함하고 있다. 이들 각 부분의 상호간의 작동관계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어진다.
본 발명은 복합이중 용접철망(100)을 기계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2개의 철선을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틈새(d)를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공급하는 길이방향철선의 공급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길이방향철선의 공급단계(S 210)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2개의 철선을 선택하고, 그 2개의 철선을 상하 방향으로 약간 벌어진 상태로 공급한다. 상하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는 상태로 공급할 경우에는, 가로방향으로 공급하는 철선을 그 틈새로 삽입시킬 수 없으므로, 그 틈새(d)를 확보할 수 있도록 주의한다. 상기 틈새(d)를 정밀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공급보조부(312)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급보조부(312)에는 2개의 철선이 상하 방향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통과할 수 있는 통과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은, 폭방향철선(120)을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의 틈새(d)로 삽입하는 폭방향철선의 공급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폭방향철선의 공급단계(S 220)는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이 진입하여 들어오게 되면, 그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1개의 폭방향철선(120)을 투입하게 된다.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120)은 이미 전단계에서 공급된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들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틈새(d)를 형성하고 있는 공간으로 투입되어진다.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120)은 외부에서 안쪽으로 투입되어지는데, 상기 용접철망 제조장치(300)의 폭철선공급부(320)를 통하여 삽입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폭방향철선의 공급부(60)에서 폭방향철선(120)이 하나씩 위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철선이송대(56)가 회전하면서, 상기 폭방향철선(120)을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의 틈새(d)로 보내주게 된다. 상기 철선이송대(56)는 체인(54)에 결합되어 있고, 체인(54)은 서보모터(52)에 의해 회전하는 2개의 스프로킷(53)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보모터(52)가 제어부(C)에 의해 가동되어지면, 상기 체인(54)이 회전하게 될 때, 그와 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은 상하방향의 2개의 철선과 그 가운데 삽입되어 있는 철선을 동시에 전기용접시키는 철선의 용접결합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철선의 용접결합단계(S 230)는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110)과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12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전기용접기(320)에 의해서 전기용접을 시킨다. 전기용접 방식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철선(110)과 상기 폭방향철선(12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위쪽의 용접기와 아래쪽의 용접기가 서로 동일한 시점에 전기용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용접 작업이 완료되어지면, 길이방향철선(110)들과 폭방향철선(120)들은 서로 용접결합을 이루게 되고, 이들은 전체적으로 철망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은 용접결합이 완료된 용접철망 결합부를 뒤쪽으로 끌어당겨서 이동시키는 철망의 이동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철망의 이동단계(S 240)는 용접작업에 의해 철망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그 철망구족를 뒤쪽으로 잡아 끌어당기고, 뒤쪽으로 이동시켜서 최종 마무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접철망 제조장치(300)의 철망끌어당김부(34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방향철선(110)과 상기 폭방향철선(120)이 용접결합을 형성하게 되면,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제1 모터(342)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 모터(342)가 약간 회전되어지면, 상기 회전축(344)이 약간 회전되어지고, 다시 그곳에 결합되어 있는 후크(346)가 회전되어지면서, 용접철망을 걸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다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모터(352)에 보내고, 상기 제2 모터(352)가 회전하게 된다. 제2 모터(352)가 회전하게 되면, 그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354)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는 상기 래크(356)를 타고 후진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358)에 의해 정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상기 제2 모터(352)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358)을 타고 후진하게 되면, 이송몸체(360)의 내부에 축결합되어 있는 상기 회전축(344)과, 상기 후크(346) 및 용접철망을 동시에 뒤쪽으로 후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용접철망부와 더불어, 상기 길이방향철선(110)을 동시에 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은 완성된 용접철망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거나 마무리하는 마침단계(S 2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침단계(S 250)는 용접결합이 완료된 용접철망 결합부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칼을 더욱 설치하고, 그 절단칼에 의해 절단할 수도 있고, 처음부터 적절한 길이만큼 공급함으로써, 완성된 용접철망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이중복합 용접철망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이중복합 용접철망 (본 발명),
110 : 길이방향철선, 120 : 폭방향철선,
300 :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장치, 310 : 철선공급부,
320 : 폭철선공급부, 330 : 용접결합부,
340 : 철망끌어당김부, C : 제어부,
L : 길이 (길이방향철망), W : 너비 (폭방향철망),
d : 길이방향철선들의 상하 방향의 틈새.

Claims (4)

  1.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을 서로 직각으로 교차시키고 교차된 지점에서 전기용접시켜서 제조된 용접철망에 있어서,
    상기 세로철선은 길이방향으로 2개의 길이방향철선으로 투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가로철선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1개의 폭방향철선으로 하여 투입하되,
    상기 가로철선이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의 틈새(d) 사이로 투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복합 용접철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의 길이(L)가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의 폭의 너비(W)에 비하여 최소한 1.2 배 이상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복합 용접철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이 상하 방향으로 짝을 이루고,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이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의 상하 방향의 틈새(d) 사이로 삽입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 개가 반복적 계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복합 용접철망.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길이방향철선들을 2개의 길이방향철근으로 대체하고,
    상기 1개의 폭방향철선을 1개의 폭방향철근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복합 용접철망.

KR1020190037815A 2019-04-01 2019-04-01 이중복합 용접철망 KR20190083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15A KR20190083628A (ko) 2019-04-01 2019-04-01 이중복합 용접철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15A KR20190083628A (ko) 2019-04-01 2019-04-01 이중복합 용접철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171A Division KR102047412B1 (ko) 2018-01-04 2018-01-04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628A true KR20190083628A (ko) 2019-07-12

Family

ID=6725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815A KR20190083628A (ko) 2019-04-01 2019-04-01 이중복합 용접철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36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857A (ko) 2008-08-13 2010-02-23 곽선경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702557B1 (ko) 2015-09-22 2017-02-06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857A (ko) 2008-08-13 2010-02-23 곽선경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702557B1 (ko) 2015-09-22 2017-02-06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315B1 (ko)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면의 시공방법
KR101946976B1 (ko)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방법
CN108570992A (zh) 一种基坑围护桩桩间模筑混凝土的施工方法
JP2003003795A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の締固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締固め方法
WO2014117214A1 (en) Rebar mesh and method of production
KR20190083479A (ko) 이중복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JP4625796B2 (ja) 多連円弧状トンネルの接続構造および施工方法
KR20190083628A (ko) 이중복합 용접철망
EP3670775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and eines bauwerks aus beton sowie eine wand eines bauwerks aus beton
KR20220139523A (ko) 이중복합 용접철망
KR101855231B1 (ko) 복층 용접철망 제조장치
JPH0221755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のプレハブ要素の端部連結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鉄筋コンクリートの柱建材
KR200494539Y1 (ko) 타설막이
KR102126340B1 (ko) 슬리브배관의 배선이 가능한 중공슬래브 구조물
CN108277993A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吊撑装置及其组装制作方法
JPH0441829A (ja) 柱梁の仕口とその施工方法
DE2063655A1 (ko)
CN217692321U (zh) 一种管线固定器
JP2002339345A (ja) 地中連続壁の施工法
KR102560735B1 (ko) 용접철근 격자망을 이용한 철근망 선조립 시공방법
US20050166542A1 (en) Wall panel machine and method
CN114899755A (zh) 一种管线固定器
CN107119908A (zh) 建筑外窗上檐方钢吊砖施工方法
JPH101942A (ja) フレキシブル鉄筋の建込み装置とその建込み方法
CN109680811B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型钢柱节点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3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204

Effective date: 2021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