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593A -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593A
KR20190083593A KR1020180001426A KR20180001426A KR20190083593A KR 20190083593 A KR20190083593 A KR 20190083593A KR 1020180001426 A KR1020180001426 A KR 1020180001426A KR 20180001426 A KR20180001426 A KR 20180001426A KR 20190083593 A KR20190083593 A KR 20190083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wound
discharged
sludge
re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구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3593A/ko
Publication of KR2019008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61F13/0006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sub-pressure or over-pressure therapy, wound drainage or wound irrigation, e.g. for use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NPW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 A61F2013/00404Plasters use skin protection against blisters or bed so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5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88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impervious, i.e. occlusive bandage
    • A61F2013/00889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impervious, i.e. occlusive bandage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창상피복제로서,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저장하는 진물저장부, 상기 진물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환부에서 진물을 흡수하여 상기 진물저장부로 배출하는 진물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1) 창상피복제가 환자의 환부에 부착되는 단계, (2) 상기 창상피복제의 진물배출부가,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되는 진물을 흡수하여 진물저장부로 배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창상피복제의 상기 진물저장부가, 상기 진물배출부에 의해 배출된 진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 따르면, 창상피복제가,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진물배출부에 의해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진물저장부로 배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생 동안 드레싱을 계속해야하는 만성상처의 경우 상처가 깨끗하게 유지되고, 짓무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상피복제가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의 치료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를 보호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어, 진물저장부에 저장된 진물이 창상피복제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창상피복제를 비교적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ONLY FOR CHRONIC WOUNDS DRESSING AND METHOD OF USING IT}
본 발명은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레싱(dressing)은 상처의 치유 속도를 빠르게 하고 상처 난 부위에 더 위해를 가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상처에 붙이는 멸균 거즈나 압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드레싱은 상처 부위에 바로 닿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드레싱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드레싱의 종류에 따라 도시한 도 1을 통하여, (a) 하이드로 콜로이드, (b) 투명 드레싱, (c) 친수성 겔, 및 (d) 흡수 드레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드레싱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461269호(발명의 명칭: 필름 드레싱) 등이 있다.
피부는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 조절, 세균 침입 방지 등 중요한 생명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신체기관이다. 피부가 각종 외상에 의하여 그 기능을 상실하면 수분 손실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등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생명연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드레싱을 이용한 상처 치료가 필수적이다.
특히, 만성상처는 4주 이상 상처가 낫지 않는 것으로서, 욕창, 당뇨발, 정맥울혈성궤양 등이 대표적인 질환이다. 도 2는 욕창 환자에게 드레싱을 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러한 만성상처는 수술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하고 남은 여생 동안 드레싱을 계속해야하는 경우가 많으며, 상처처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쉽게 악화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현재 나와 있는 드레싱은 기능이 우수하지만 너무 고가이고 자주 갈아줘야 함에 따른 비용부담이 매우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바,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와 관련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창상피복제가,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진물배출부에 의해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진물저장부로 배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생 동안 드레싱을 계속해야하는 만성상처의 경우 상처가 깨끗하게 유지되고, 짓무르지 않게 할 수 있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상피복제가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의 치료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를 보호할 수도 있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어, 진물저장부에 저장된 진물이 창상피복제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창상피복제를 비교적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는,
창상피복제로서,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저장하는 진물저장부; 및
상기 진물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환부에서 진물을 흡수하여 상기 진물저장부로 배출하는 진물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물저장부는,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응집해 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물배출부는,
상기 환자의 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진물을 상기 진물저장부로 한 방향으로만 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상피복제는,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기 진물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물저장부에 저장된 진물이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는 방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부는,
밴드 형태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부는,
벨트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성질환은,
욕창, 당뇨발, 정맥울혈성궤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1) 창상피복제가 환자의 환부에 부착되는 단계;
(2) 상기 창상피복제의 진물배출부가, 상기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되는 진물을 흡수하여 진물저장부로 배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창상피복제의 상기 진물저장부가, 상기 진물배출부에 의해 배출된 진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물저장부는,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응집해 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물배출부는,
상기 환자의 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진물을 상기 진물배출부로 한 방향으로만 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상피복제는,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기 진물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물저장부에 저장된 진물이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는 방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부는,
밴드 형태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부는,
벨트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만성질환은,
욕창, 당뇨발, 정맥울혈성궤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 따르면, 창상피복제가,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진물배출부에 의해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진물저장부로 배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생 동안 드레싱을 계속해야하는 만성상처의 경우 상처가 깨끗하게 유지되고, 짓무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상피복제가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의 치료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를 보호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어, 진물저장부에 저장된 진물이 창상피복제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창상피복제를 비교적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드레싱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욕창 환자에게 드레싱을 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진물이 환자의 환부에서 진물배출부에 의해 진물저장부로 배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방수부에 의해 진물저장부의 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부착부의 형태를 밴드 형태로 하는 경우와 벨트 형태로 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부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는,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저장하는 진물저장부(100), 및 진물저장부(100)와 결합되어, 환자의 환부에서 진물을 흡수하여 진물저장부(100)로 배출하는 진물배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물저장부(100)는,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물저장부(100)는 진물배출부(200)와 결합되어, 진물배출부(200)에 의해 배출된 진물을 저장한다. 특히, 실시예에 따라서는, 진물저장부(100)는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어,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응집해 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고흡수성 물질은,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콜, 젤라틴, 알지네이트, 키토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으나, 상기에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물배출부(200)는,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되는 진물을 흡수하여 진물저장부(10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물배출부(200)는, 환자의 환부에 부착되어 진물을 흡수하며, 흡수된 진물을 진물저장부(100)로 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진물이 환자의 환부에서 진물배출부(200)에 의해 진물저장부(100)로 배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물배출부(20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환자의 환부에서 진물저장부(100) 방향으로 한 방향으로만 진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환부가 더욱 깨끗하게 유지되고 짓무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300)는, 진물배출부(200)와 결합되어, 상처를 빠르게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재생능력촉진 물질 도포부(300)는 환자의 환부에 접촉되어,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의 치유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은 염기성 섬유모세포성장인자, 비아핀에멀전, EG-DECORIN, 상피세포성장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으나, 상기에 나열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침입방지부(400)는, 진물저장부(100)와 결합되어 환자의 환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입방지부(400)는, 진물저장부(100)의 외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환자의 환부가 오염되지 않고 깨끗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방수부에 의해 진물저장부의 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는, 방수가 가능한 재질의 방수부(5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진물저장부(100)에 저장된 진물이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는, 타 창상피복제에 비하여 오랫동안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창상피복제와 관련된 환자의 비용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때, 방수부(500)에는 폴리우레탄계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방수부(500)의 소재가 상기 필름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에서, 부착부의 형태를 밴드 형태로 하는 경우와 벨트 형태로 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는, 환자의 환부의 위치 등에 따라서 밴드 형태의 부착부에 의해 환자의 환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도 8(a)), 벨트 형태의 부착부에 의해 환자의 환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도 9(b)).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부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를, 밴드 형태의 부착부에 의해 당뇨발 환자의 환부에 부착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b)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를, 벨트 형태의 부착부에 의해 욕창 환자의 환부에 부착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밴드 형태의 부착부의 경우, 환자의 환부에 직접 붙이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도 9의 (a)), 벨트 형태의 부착부의 경우, 환자의 허리 등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도 9의 (b)).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를 이용하는 방법은,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창상피복제(10)가, 환자의 환부에 부착되는 단계(S100), 창상피복제(10)의 진물배출부(200)가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되는 진물을 흡수하여 진물저장부(100)로 배출하는 단계(S200), 및 창상피복제(10)의 진물저장부(100)가, 진물배출부(200)에 의해 배출된 진물을 겔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10)와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진물배출부에 의해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진물저장부로 배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생 동안 드레싱을 계속해야하는 만성상처의 경우 상처가 깨끗하게 유지되고, 짓무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창상피복제가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의 치료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를 보호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어, 진물저장부에 저장된 진물이 창상피복제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창상피복제를 비교적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100: 진물저장부
200: 진물배출부
300: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
400: 침입방지부
500: 방수부

Claims (20)

  1. 창상피복제로서,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저장하는 진물저장부; 및
    상기 진물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환부에서 진물을 흡수하여 상기 진물저장부로 배출하는 진물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물저장부는,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응집해 겔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물배출부는,
    상기 환자의 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진물을 상기 진물저장부로 한 방향으로만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제는,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기 진물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물저장부에 저장된 진물이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는 방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밴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벨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질환은,
    욕창, 당뇨발, 정맥울혈성궤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11.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1) 창상피복제가 환자의 환부에 부착되는 단계;
    (2) 상기 창상피복제의 진물배출부가, 상기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되는 진물을 흡수하여 진물저장부로 배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창상피복제의 상기 진물저장부가, 상기 진물배출부에 의해 배출된 진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물저장부는,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환자의 환부에서 배출된 진물을 응집해 겔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물배출부는,
    상기 환자의 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진물을 상기 진물저장부로 한 방향으로만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처재생능력촉진물질 도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제는,
    외부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기 진물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물저장부에 저장된 진물이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는 방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밴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벨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질환은,
    욕창, 당뇨발, 정맥울혈성궤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를 이용하는 방법.
KR1020180001426A 2018-01-04 2018-01-04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190083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426A KR20190083593A (ko) 2018-01-04 2018-01-04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426A KR20190083593A (ko) 2018-01-04 2018-01-04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593A true KR20190083593A (ko) 2019-07-12

Family

ID=6725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426A KR20190083593A (ko) 2018-01-04 2018-01-04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35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292A2 (ko) 2019-12-13 2021-06-17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20210075880A (ko) 2019-12-13 2021-06-23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292A2 (ko) 2019-12-13 2021-06-17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20210075880A (ko) 2019-12-13 2021-06-23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wden et al. Wound dressings: principles and practice
US5998692A (en) Wound dressing
US20140358058A1 (en) Wound dressing formed with a two-sided adhesive band
US6613006B1 (en) Orthopedic cas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70078367A1 (en) Bandage for covering a wound with no adhesive-to-skin contact
Sekiya et al. Treatment of infectious skin defects or ulcers with electrolyzed strong acid aqueous solution
Thomas A structured approach to the selection of dressings
KR20240008975A (ko) 상처 드레싱
KR20190083593A (ko) 만성상처 전용 창상피복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ammerlander et al. An investigation of Cutimed® Sorbact® as an antimicrobial alternative in wound management
Hermans et al. Preliminary report on the use of a new hydrocolloid dressing in the treatment of burns
Lobo Gajiwala et al. Use of irradiated amnion as a biological dressing in the treatment of radiation induced ulcers
Huang et al. Aquacel® Ag with Vaseline gauze in the management of 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Wynn-Williams et al. The effects of povidone-iodine in the treatment of burns and traumatic losses of skin
Rheinecker Wound management: the occlusive dressing
KR102028131B1 (ko) 드레싱제
Swanson Modern dressings and technologies
HAGELSTEIN et al. Treating recalcitrant venous leg ulcers using a PHMB impregnated dressing: A case study evaluation.
Jones et al. Wound Cleansing—A Therapy Revisited
US20130267882A1 (en) Amputation dressings
Foutsizoglou A practical guide to the most commonly used dressings in wound care
US20060051431A1 (en) Methods of managing multi-tissue injuries
RU2775878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нойных ран
Senet Local treatment of venous leg ulcers
Hess Hydrocolloids: Healing by Occl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