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441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441A
KR20190083441A KR1020180001086A KR20180001086A KR20190083441A KR 20190083441 A KR20190083441 A KR 20190083441A KR 1020180001086 A KR1020180001086 A KR 1020180001086A KR 20180001086 A KR20180001086 A KR 20180001086A KR 20190083441 A KR20190083441 A KR 20190083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coupled
sump
low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240B1 (ko
Inventor
이강현
박형만
홍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240B1/ko
Priority to US16/238,734 priority patent/US11253133B2/en
Priority to AU2019200019A priority patent/AU2019200019B2/en
Priority to EP19150209.5A priority patent/EP3508108B1/en
Publication of KR2019008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means of an impeller in the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3Water recirculation, e.g. control of distributing valves for redirection of wate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섬프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부노즐 또는 탑 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파이프 및 상기 세척수 파이프를 상기 섬프에 결합시키는 하부 커넥터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음식물이나 오물 등이 뭍은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식기 세척기의 내부에는,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조에는 식기가 수납되는 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랙 장치는 상기 세척조로부터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기 세척기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섬프에 저장된 물을 식기로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섬프로부터 상기 노즐로 연장되어 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파이프가 구비되는 워터 가이드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에는, 상기 섬프로부터 세척조의 상하방향 대략 중앙부로 연장되는 상부 파이프 및 상기 세척조의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탑 파이프가 포함된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특허출원을 실시한 바 있다.
1. 공개번호(공개일) : 10-2007-0056281 (2013년 4월 8일)
2. 발명의 명칭 :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이러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워터 가이드에 구비되는 파이프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므로, 고온의 세척수 또는 스팀이 상기 파이프를 유동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에는 열 노화가 발생되어 부식이 일어나거나 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파이프를 구성하는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파이프를 유동하는 물의 양(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므로, 파이프의 파손이 발생될 여지가 있었다.
셋째, 플라스틱 소재의 파이프에 벤딩부를 구현할 때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상기 벤딩부에 부식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파이프를 섬프측에 고정하기 위한 커넥터에 고압의 펌핑 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커넥터에서의 누수가 발생하거나, 상기 커넥터의 탈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워터 가이드에 구비되는 파이프를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하여 부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파이프는 연성 스테인리스 강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연성 및 경도가 개선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부 파이프와 탑 파이프를 별도로 제공하여, 섬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부 노즐 및 탑 노즐로 각각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 파이프 또는 탑 파이프에 작용하는 세척수의 압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파이프와 탑 파이프가 다각형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주변 부품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 커넥터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테인리스 소재의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의 가공을 통하여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워터 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을 용이하게 구현하고 상기 벤딩부에서의 응력집중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와 섬프를 연결하는 하부 커넥터 및 상기 하부 커넥터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통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파이프의 탈거를 방지하고 상기 커넥터에서의 세척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하부 커넥터 중 섬프에 연결되는 전방부의 경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커넥터의 전방부가 섬프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하부 커넥터 중 파이프에 연결되는 후방부의 경도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커넥터의 후방부가 상기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후방부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하부 커넥터의 후방부를 조일 수 있는 클립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후방부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섬프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부노즐 또는 탑 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파이프 및 상기 세척수 파이프를 상기 섬프에 결합시키는 하부 커넥터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 배출부에 결합되며 세척수의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배출부에 결합되며 세척수의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연결부가 포함되므로, 상기 세척수 파이프를 상기 섬프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노즐에 연통되는 상부 파이프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탑 노즐에 연통되는 탑 파이프가 포함되므로, 상기 상부 노즐 및 탑 노즐로 세척수의 유동을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는 사출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분리벽이 더 포함되며, 상기 분리벽에 의하여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제 2 유로는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유동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상부 노즐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세척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므로 섬프 및 세척수 파이프와의 체결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2 연결부의 전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섬프에 결합되는 커넥터 전방부 및 상기 제 1,2 연결부의 후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 결합되는 커넥터 후방부가 포함된다.
상기 커넥터전방부의 경도는 상기 커넥터 후방부의 경도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섬프와 하부 커넥터와의 체결력을 개선하고, 상기 하부 커넥터와 세척수 파이프와의 밀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탑 파이프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의 길이보다 설정 길이(L1)만큼 길게 형성되므로, 상부 파이프와 하부 커넥터간의 실링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커넥터를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더 포함되므로, 하부 커넥터와 세척수 파이프의 체결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2 연결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가 더 포함되므로, 제 1,2 연결부의 탄성력이 커져 강도 보완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한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워터 가이드에 구비되는 파이프, 즉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를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하여 강도 및 경도가 보강되고 열노화에 따른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상기 파이프에는, 연성 스테인리스 강관, 일례로 오스테아니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이 적용됨으로써,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강관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굽힘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는 연성이 확보되면서도 높은 강도 및 경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내압 능력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상부 파이프와 탑 파이프가 별도로 구비되어 섬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부 노즐 및 탑 노즐로 각각 유동되므로, 상기 상부 파이프 또는 탑 파이프에 각각 작용하는 세척수의 압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수압에 따른 파이프의 응력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파이프와 탑 파이프가 다각형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므로 상기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주변 부품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의 다각형 외면이 상부 커넥터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스테인리스 소재의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의 가공을 통하여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워터 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을 용이하게 구현하고 상기 벤딩부에서의 응력집중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와 섬프를 연결하는 하부 커넥터 및 상기 하부 커넥터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통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파이프의 탈거를 방지하고 상기 커넥터에서의 세척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하부 커넥터 중 섬프에 연결되는 전방부의 경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커넥터의 전방부가 섬프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커넥터 중 파이프에 연결되는 후방부의 경도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커넥터의 후방부가 상기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후방부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하부 커넥터의 후방부를 조일 수 있는 클립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후방부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 소재를 이용하여 원형 파이프의 제조후 인발과정을 통하여 다각형 파이프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다각형 파이프의 벤딩공정을 통하여 워터 가이드의 벤딩부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의 연신율이 개선되고 가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딩부에서의 파이프 꺼짐현상, 즉 파이프가 벤딩부에서 과도하게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응력부식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에 워터 가이드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애 따른 워터 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상부 커넥터 및 홀더에 결합된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상부 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상부 커넥터에 결합된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하부 커넥터를 통하여 섬프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하부 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넥터에 클램프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넥터에 클램프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클램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넥터에 클램프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에 워터 가이드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세척조를 형성하는 터브(11)와, 상기 터브(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12) 및 상기 터브(11)의 하측에 제공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20)가 포함된다.
상기 터브(11)의 내부에는, 식기가 수납되는 복수의 랙(50,70,80)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랙(50,70,80)은 상기 터브(11)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터브(11)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랙(50,70,80)에는, 상기 터브(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랙(50)와, 상기 제 1 랙(5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랙(70) 및 상기 제 1 랙(50)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3 랙(80)이 포함된다.
상기 섬프(20)의 상측에는, 상기 섬프(2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세척조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하부 노즐(17), 상부 노즐(163) 및 탑 노즐(170)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하부 노즐(17)은, 상기 섬프(20)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조의 하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분사된 세척수는 상기 제 3 랙(80)에 수납되는 식기를 향한다. 그리고, 상기 섬프(20)에는, 상기 하부 노즐(17)에 결합되는 하부 노즐 결합부(19)가 제공된다.
상기 상부 노즐(163)은 상기 세척조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랙(50) 또는 제 2 랙(70)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며, 상기 탑 노즐(170)은 상기 터브(11)의 천정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 1~3 랙(50,70,80)을 향하여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상기 터브(11)의 내부에는, 상기 섬프(20)에 제공되는 세척 펌프(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워터 가이드(100)가 제공된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는 상기 섬프(20)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터브(11)의 후방부에서 벤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섬프(200)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상부 노즐(163)로 가이드 하는 상부 파이프(110) 및 세척수를 상기 탑 노즐(170)로 가이드 하는 탑 파이프(120)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노즐(170)를 통하여 이동된 세척수는 상기 탑 노즐(170) 및 상부 노즐(163)을 통하여 상기 제 1 랙(50) 또는 제 2 랙(70)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를 합하여, "세척수 파이프"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탑 파이프(120)는 상기 터브(11)의 상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터브(11)의 상부에서 벤딩되어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탑 파이프(120)의 상부에는 상기 탑 노즐(170)에 연결되는 탑 커넥터(1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상기 워터 가이드(100)의 대략 중앙부에는, 공급 파이프(160)가 연결된다. 상기 공급 파이프(160)는 상기 워터 가이드(10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노즐(163)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급 파이프(160)에는 노즐 홀더(166)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노즐(163)은 상기 노즐 홀더(16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노즐(163)에는, 상기 상부 노즐(163)로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상부 노즐(163)의 상측 및 상기 상부 노즐(163)의 하측으로 분사하는 노즐공(163a)이 포함된다. 상기 노즐공(163a)은 상기 상부 노즐(163)의 상면 및 저면에 다수 개가 형성되며, 세척수는 다수의 노즐공(163a)을 통하여 상기 제 1 랙(50) 또는 제 2 랙(70)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공급 파이프(160)를 지지하는 홀더(1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홀더(150)는 상기 워터 가이드(100)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 파이프(1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홀더(150)의 후방부에 결합되며 후술할 사부 파이프(110) 및 탑 파이프(120)를 지지하는 상부 커넥터(1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워터 가이드(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섬프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1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를 상기 섬프(20)에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워터 가이드(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애 따른 워터 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가이드(100)에는, 섬프(20)에 연결되어 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파이프(110,120)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파이프(110,120)에는, 상기 섬프(20)로부터 세척조의 중앙부 높이까지 연장되는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섬프(20)로부터 세척조의 천장부 높이까지 연장되는 탑 파이프(120)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와 상기 탑 파이프(120)는, 상기 세척조의 중앙부 높이까지 서로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파이프(120)는 상기 세척조의 중앙부 높이에서 천장부 높이까지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는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파이프(110)는 상기 섬프(2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세척조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벤딩되어 상기 세척조의 중앙부 높이까지 연장된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에는, 상기 세척조의 하부 후방측에 위치되는 제 1 상부벤딩부(11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상부벤딩부(115)에서 벤딩되는 각도는 약 90도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상부벤딩부(115)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 파이프(110)는 "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탑 파이프(120)는 상기 섬프(2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세척조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벤딩되어 상기 세척조의 천장부 높이까지 연장된다. 상기 탑 파이프(110)에는 복수의 벤딩부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복수의 벤딩부에는, 상기 세척조의 하부 후방측에 위치되는 제 1 탑벤딩부(125) 및 상기 세척조의 상부 후방측에 위치되는 제 2 탑벤딩부(127)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탑벤딩부(115)에서 벤딩되는 각도는 각각 약 90도를 형성한다. 상기 제 1,2 탑벤딩부(125,127)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탑 파이프(120)는 "ㄷ"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는 다각 파이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는 4각 파이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각 파이프는 일반적인 원형 파이프에 비하여, 해당 파이프의 설치용적 대비 활용 가능한 유동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상부유로(11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 파이프(120)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탑 유로(120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유로(110a) 및 탑 유로(120a)는 대략 사각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유로(110a)의 크기는 상기 탑 유로(120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유로(110a)를 통하여 상기 상부 노즐(163)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이 상기 탑유로(120a)를 통하여 상기 탑 노즐(17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보다 많아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노즐(163)의 세척수 분사량이 상기 탑 노즐(170)의 세척수 분사량보다 많아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에는, 상기 섬프(20)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상부 유입부(111) 및 상기 상부 파이프(110)를 유동한 세척수를 상부 커넥터(140)로 배출하는 상부 유출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유입부(111)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유출부(112)는 상기 상부 파이프(11)의 타측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탑 파이프(120)에는, 상기 섬프(20)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탑 유입부(121) 및 상기 탑 파이프(120)를 유동한 세척수를 탑 커넥터(175)로 배출하는 탑 유출부(122)가 포함된다. 상기 탑 유입부(121)는 상기 탑 파이프(120)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탑 유출부(122)는 상기 탑 파이프(11)의 타측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는 스테인리스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테인리스 강관에는 강도 및 가공성이 우수한 연성 스테인리스 강관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성 스테인리스강은 휨성이 좋기 때문에 관의 굽힘 가공성이 매우 좋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연성 스테인리스 강관은, 스테인리스 소재와, 적어도 구리(Cu)가 포함한 불순물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성 스테인리스 강관의 조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조성의 구성비는 중량비(weight percent, wt.%)임을 밝혀둔다.
1. 스테인리스강의 조성(composition)
(1) 탄소(C, carbon) : 0.3% 이하
상기 워터 가이드(100)의 파이프(110,120)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 강은 탄소(C)와 크롬(Cr, chromium)을 포함한다. 탄소는 크롬과 반응하여 크롬탄화물(chromium carbide)로 석출되는데, 입계(grain boundary) 또는 그 주변에 크롬이 고갈되어 부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탄소의 함량은 적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는 타 원소와 결합하여 크리프 강도(creep strength)를 높이는 작용을 하는 원소이고, 탄소의 함량이 0.03%를 초과하면 오히려 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소의 함량을 0.03% 이하로 설정한다.
(2) 규소(Si, silicon) : 0 초과 1.7% 이하
오스테나이트 조직은 페라이트 조직 또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비해 낮은 항복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성 스테인리스 강이 구리와 유사 또는 동등한 수준의 휨성(또는 휨 자유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스테인리스 강의 기지 조직이 오스테나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러나, 규소는 페라이트를 형성하는 원소이기 대문에, 규소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기지 조직에서 페라이트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고, 페라이트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규소의 함량은 가능한 한 적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조 과정에서 규소가 불순물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규소의 함량이 1.7%를 초과하면 스테인리스 강이 요구되는 수준의 연성을 가지기 어렵고,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 강에 포함되는 규소의 함량을 1.7% 이하로 설정한다.
(3) 망간(Mn, manganess) : 1.5 ~ 3.5%
망간은 스테인리스 강의 기지 조직이 마르텐사이트계로 상변태되는 것을 억제하고, 오스테나이트 구역을 확대시켜 안정화하는 작용을 한다. 만일, 망간의 함량이 1.5% 미만이면, 망간에 의한 상변태 억제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망간에 의한 상변태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망간의 함량 하한을 1.5%로 설정한다.
그러나, 망간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스테인리스 강의 항복 강도가 상승하여, 스테인리스 강의 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망간의 함량 산한을 3.5%로 설정한다.
(4) 크롬(Cr, chromium) : 15 ~ 18%
망간은 스테인리스강의 부식개시저항성(Corrosion Initiation Resistance)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부식개시란, 부식되지 않음 모재(base material)에 부식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초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고, 부식개시저항성이란 모재에 최초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이는, 내식성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크롬의 함량이 15.0%보다 낮으면 스테인리스 강이 충분한 부식개시 저항성(또는 내식성)을 갖지 못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크롬의 함량 하한을 15.0%로 설정한다.
반대로, 크롬의 함량이 너무 많아지면 상온에서 페라이트 조직이 되어 연성이 감소하게 되며, 특히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이 없어져 취화하기 때문에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크롬의 함량 상한을 18.0%로 설정한다.
(5) 니켈(Ni, nickel) : 7.0 ~ 9.0%
니켈은 스테인리스 강의 부식성장저항성(Corrosion Growth Resistance)을 향상시키고,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안정화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부식성장이란, 이미 모재에 발생된 부식이 넓은 범위로 퍼지면서 성장하는 것을 의미하고, 부식성장저항성이란, 부식의 성장을 억제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니켈의 함량이 7.0%보다 낮으면 스테인리스 강이 충분한 부식성장저항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본 발명의 니켈의 함량 하한을 7.0%로 설정한다. 또한, 니켈의 함량이 과잉되면 스테인리스강의 강도와 경도를 증가시켜 스테인리스 강의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뿐만 아니라, 비용 증가를 초래하여 경제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니켈의 함량 상한을 9.0%로 설정한다.
(6) 구리(Cu, Copper) : 1.0 ~ 4.0%
구리는 스테인리스강의 기지 조직이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상변태되는 것을 억제하여, 스테인리스강의 연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다. 구리의 함량이 1.0% 미만이면 구리에 의한 상변태 억제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리에 의한 상변태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 구리의 함량 하한을 1.0%로 설정한다. 특히, 스테인리스강이 요구되는 수준의 휨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리의 함량이 1.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지 조직의 상변태 억제 효과가 증가하지만, 그 증가폭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구리의 함유량이 과잉되어 4 ~ 4.5%를 초과하면 그 효과는 포화되고 마르텐사이트 발생을 촉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구리가 고가의 원소이기 때문에 경제성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구리의 상변태 억제 효과가 포화 수준 미만으로 유지되고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리의 함량 상한을 4.0%로 설정한다.
(7) 몰리브덴(Mo, molybdenum) : 0.03% 이하
(8) 인(P, phosphorus) : 0.04% 이하
(9) 황(S, sulfer) : 0.04% 이하
(10) 질소(N, nitrogen) : 0.03% 이하
몰리브덴, 인, 황. 및 질소는 강철 반제품에 본래부터 포함되어 있는 원소들로 스테인리스강을 경화시키므로, 가능한 낮은 함량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스테인리스강의 기지 조직(matrix structure)
스테인리스 강을 금속 조직(또는 기지조직) 측면에서 분류하면, 크롬(18%)과 니켈(8%)을 주성분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Ostenite type) 스테인리스강과, 크롬(18%)을 주성분으로 하는 페라이트계(Ferrite type) 스테인리스 강, 및 크롬(8%)을 주성분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계(Martensite type) 스테인리스 강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염분이나 산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하고, 연성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연성 스테인리스강은 기지 조직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은 페라이트 조직이나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비해 항복 강도와 경도가 낮은 특성을 가진다. 나아가, 동일한 조건에서 결정 크기를 성장시켰을 때,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도 크기가 가장 커서 연성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스테인리스강의 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테인리스 강의 기지 조직이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테인리스 강의 기지 조직을 오스테나이트만으로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다른 기지 조직을 포함할 수 밖에 없다.
상세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기지 조직은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델타 페라이트(δ-Ferrite)이다. 즉, 상기 델타 페라이트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스테인리스강의 경도는 높아지는 반면 연성은 떨어지게 된다.
스테인리스 강이 입도 면적을 기준으로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기지 조직을 가지고, 1% 이하의 델타 페라이트 기지 조직을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스테인리스 강의 연성을 크게 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포함된 델타 페라이트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스테인리스 강이 1% 이하의 델타 페라이트 기지 조직을 가지는 경우에도, 상기 델타 페라이트가 결정립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보다 국부적으로 특정 결정립에 밀집 분포되는 것이 연성 증가에 유리하다.
3. 스테인리스강의 평균 입도 크기(average diameter)
스테인리스강의 평균 입도 크기는, 조성 및/또는 열처리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의 평균 입도 크기는, 스테인리스 강의 강도와 경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테면, 평균 입도 크기가 작을수록 스테인리스강의 강도와 경도는 커지고, 평균 입도 크기가 클수록 스테인리스강의 강도와 경도는 작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스테인리스강은, 구리의 함량과 델타 페라이트의 입도 면적을 조절하여 휨성이 좋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테인리스강의 평균 입도 크기를 30 ~ 60μm로 제한한다. 일반적인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입도 크기는 30μm보다 작다. 따라서, 제조 공정 및 열처리를 통해 평균 입도 크기를 30μm 이상으로 성장시킬 필요가 있다.
미국재료시험협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의 기준에 따르면, 30 ~ 60μm의 평균 입도 크기는 5.0 ~ 7.0의 입도 번호(Grain size No.)에 해당한다. 이에 반해, 30μm보다 작은 평균 입도 크기는 ASTM 입도번호 7.5 이상에 해당한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를 상기 섬프(20)에 연결시키는 하부 커넥터(1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EPDM 소재 (EPDM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rubb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섬프(20)에 연결되는 전방부의 경도와, 파이프(110,120)가 연결되는 후방부의 경도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복합 사출방식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 결합되는 클램프(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클램프(180)의 조임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110,120)가 상기 하부 커넥터(130)로부터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를 지지하는 상부 커넥터(1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 커넥터(140)는 상기 세척조의 중앙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커넥터(140)에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가 결합되는 커넥터 본체(141)가 포함된다.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커넥터 배출부(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상부 커넥터(14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 파이프(160)를 지지하는 홀더(1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홀더(150)에는, 상기 상부 커넥터(140)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 배출부(143)에 연통하는 파이프 연통부(153)를 가지는 홀더 본체(151)가 포함된다. 상기 파이프 연통부(153)에는, 상기 공급 파이프(16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150)에는, 상기 홀더 본체(151)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랙(50)을 지지하는 랙 지지부(155)가 구비된다. 상기 랙 지지부(155)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랙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랙(50)은 상기 다수의 랙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랙 지지부에 지지되어 설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탑 파이프(120)를 상기 상부 커넥터(140)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9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탑 파이프(120)는 상기 상부 커넥터(140)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190)은 상기 탑 파이프(1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탑 파이프(120)를 상기 상부 커넥터(140)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상부 커넥터 및 홀더에 결합된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상부 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상부 커넥터에 결합된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110) 및 탑 파이프(120)는 상부 커넥터(140)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 커넥터(140)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커넥터(140)는 폴리 프로필렌(polypropylene,PP)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커넥터(140)의 커넥터 본체(141)에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가 결합되는 파이프 결합부(142)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는 상기 파이프 결합부(142)에 삽입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결합부(142)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각의 포켓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파이프(110)는 상기 파이프 결합부(142)의 하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커넥터 유로(141a)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유로(141a)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커넥터 배출부(143)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 유로(141a)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의 상부 유출부(112)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배출부(143)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물은 상기 커넥터 유로(141a)를 거쳐 상기 커넥터 배출부(143)를 향하여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 유로(141a)내에서 세척수의 유동방향이 변경되는데, 유동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 배출부(143)의 내면에는 라운드부(14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143a)는,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내면이 상하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부드럽게 꺽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143a)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커넥터(140)는 이중 사출방식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는 상기 파이프 결합부(142)에 강제 압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의 상부 유로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상부 커넥터(140)의 커넥터 유로(141a)로 유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세척수의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파이프(110)가 상기 파이프 결합부(142)에 강제 압입방식을 통하여 밀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파이프(110)와 상기 상부 커넥터(140)의 연결부위에서 세척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넥터(140)의 커넥터 본체(141)에는, 상기 탑 파이프(120)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부(145)가 포함된다. 상기 파이프 삽입부(145)는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탑 파이프(120)의 연장방향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탑 파이프(120)의 후측에 결합되며 상기 탑 파이프(120)를 지지하는 브라켓(19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190)은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분 및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라켓(190)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브라켓후면부 및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2개의 브라켓측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90)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후크(147)에 결합되는 후크 삽입부(192)가 포함된다. 상기 후크 삽입부(192)는 상기 2개의 브라켓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147)는 상기 후크 삽입부(19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후크(147)는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양 측면에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넥터(141)에는, 상기 탑 파이프(120)를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146)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파이프지지부(146)는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후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삽입부(145)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탑 파이프(120)의 후면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넥터(141)에는, 상기 홀더(150)에 결합되는 홀더 결합부(148)가 더 포함된다. 상기 홀더 결합부(148)는 상기 커넥터 본체(141)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홀더(15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더 결합부(148)에는 돌기가 포함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홀더(15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하부 커넥터를 통하여 섬프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XI-X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XII-X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 및 탑 파이프가 하부 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110) 및 탑 파이프(120)는 하부 커넥터(130)를 통하여 섬프(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섬프(20)의 상면부에는, 세척수를 상기 섬프(2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섬프 유입부(20a)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상기 섬프(20)의 상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탑 파이프(120)는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와 연결되는 상부파이프 연결부(131) 및 상기 탑 파이프(120)와 연결되는 탑파이프 연결부(133)가 포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를 "제 1 연결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를 "제 2 연결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는 사출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를 분리하는 분리벽(137)이 포함된다. 상기 분리벽(137)은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37)에 의하여,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 내부의 세척수 유로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 내부의 세척수 유로는 분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에 세척수를 가이드 하는 제 1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는 상기 탑 파이프(120)에 세척수를 가이드 하는 제 2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2 유로는 상기 분리벽(137)에 의하여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제 1 유로는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의 제 2 유로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크기는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파이프(110)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후방부에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상부 파이프(110)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후방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파이프(120)는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의 후방부에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탑 파이프(120)는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의 후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전방부는 상기 섬프(20)의 상면부에 결합된다. 상기 섬프(20)에는, 상기 섬프(20)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섬프(20)로부터 배출시키는 제 1 배출부(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배출부(22)는 상기 섬프(20)의 상면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섬프(20) 내부의 세척수 저장공간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에는, 상기 제 1 배출부(22)에 결합되는 제 1 섬프결합부(13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섬프결합부(132)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전방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배출부(22)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배출부(22)의 내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프(20)에 저장된 세척수는 상기 제 1 배출부(22) 및 상기 제 1 섬프결합부(132)를 통하여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의 전방부는 상기 섬프(20)의 상면부에 결합된다. 상기 섬프(20)에는, 상기 섬프(20)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섬프(20)로부터 배출시키는 제 2 배출부(23)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배출부(23)는 상기 제 1 배출부(22)의 일측에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부(23)는 상기 섬프(20)의 상면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섬프(20) 내부의 세척수 저장공간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에는, 상기 제 2 배출부(23)에 결합되는 제 2 섬프결합부(134)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섬프결합부(134)는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의 전방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배출부(23)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배출부(23)의 내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프(20)에 저장된 세척수는 상기 제 2 배출부(23) 및 상기 제 2 섬프결합부(134)를 통하여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섬프(20)에는, 상기 제 1 배출부(22)와 상기 제 2 배출부(23)를 분리시키는 유로구획부(2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로구획부(25)는 상기 제 1 배출부(22)와 상기 제 2 배출부(2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구획부(25)에 의하여, 상기 섬프(20)에 저장된 세척수는 분지되어, 상기 제 1 배출부(22) 및 상기 제 2 배출부(23)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100)에는,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를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 밀착시키는 클램프(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클램프(180)는 상기 하부 커넥터(130)의 후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클램프(180)는 상기 하부 커넥터(130)의 후방부 중,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가 삽입되는 부분, 즉 클램프 결합부(135)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180)는 상기 클램프 결합부(135)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결합부(135)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를 구성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EPDM 소재 (EPDM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rubbe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복합 사출에 의하여,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는, 상기 섬프(20)에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전방부(130a) 및 상기 상부 파이프(110)와 탑 파이프(120)에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후방부(130b)가 포함된다.
상기 커넥터전방부(130a)와 상기 커넥터후방부(130b)는 제 1 연장선(ℓ1)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전방부(130a)는 상기 제 1 연장선(ℓ1)의 전방에 정의되는 부분이며, 상기 커넥터후방부(130b)는 상기 제 1 연장선(ℓ1)의 후방에 정의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전방부(130a)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를 구성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전방부(130a)의 경도는 상기 커넥터후방부(130b)의 경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전방부(130a)는 상기 섬프(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소 높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전방부(130a)의 경도는 쇼어 경도 9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전방부(130a)가 높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부 커넥터(130)가 상기 섬프(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후방부(130b)는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후방부(130b)의 경도는 쇼어 경도 6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후방부(130b)가 낮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부 커넥터(130)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에 더욱 밀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 컨넥터(130)와 파이프(110,120)의 결합부위에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후방부(130b)에는, 상기 클램프(180)가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부(135) 및 상기 클램프 결합부(13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연장부(139)가 포함된다. 상기 커넥터 연장부(139)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를 구성한다.
즉,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후방부 길이는,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의 후방부 길이보다, 상기 커넥터 연장부(139)의 전후방 길이(L1)만큼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를 유동하는 세척수의 양이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를 유동하는 세척수의 양보다 많으므로, 상기 상부 파이프(110)와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간의 실링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연장부(139)에 의하여, 상기 상부 파이프(110)와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간의 접촉면적은, 상기 탑 파이프(120)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133)간의 접촉면적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연장부(139)에는, 돌기부(136)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136)는 상기 커넥터 연장부(139)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136)는, 상기 상부 파이프(110)를 유동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에 변형이 발생할 때,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변형량을 줄여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부(136)에 의하여,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탄성력을 커지게 되고, 그만큼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131)의 강도는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136)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돌기부(136)는 전후방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넥터에 클램프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죄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넥터(130)에는 클램프(180)가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180)는 판형의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클램프(180)는 판형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80)가 하부 노즐(17)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180)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클램프(180)의 두께는 0.4~0.6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18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클램프(180)에는, 상기 하부 커넥터(130)의 상면에 놓여지는 제 1 파트(181a)와, 상기 제 1 파트(181a)의 일 측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 커넥터(130)의 일 측면에 놓여지는 제 2 파트(181b) 및 상기 제 2 파트(181b)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하부 커넥터(130)의 하면에 놓여지는 제 3 파트(181c)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80)에는, 상기 제 1 파트(181a)의 타 측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 1 걸림부(182) 및 상기 제 3 파트(181c)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걸림부(182)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 2 걸림부(183)가 포함된다.
상기 클램프(180)가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2 걸림부(182,183)는 서로 결합되지 않으며 서로 이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걸림부(182)는 상기 제 2 걸림부(183)의 상측에 이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80)가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걸림부(182)와 상기 제 2 걸림부(183)를 오므리면, 상기 제 1 걸림부(182)와 상기 제 2 걸림부(183)는 서로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182)에는 제 1 돌기(182a)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걸림부(183)에는 제 2 돌기(183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기(182a) 및 상기 제 2 돌기(183a)는 상기 제 1,2 걸림부(182,183)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기(182a)는 상기 제 2 돌기(183a)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돌기(183a)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기(182a)의 상면은 상기 제 2 돌기(183a)의 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180)가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180)의 조임력은 상기 하부 커넥터(130)를 통하여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파이프(110) 또는 탑 파이프(12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스테인리스 소재의 원재료를 이용하여 원형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리스 소재에는, 위에서 설명한, 연성 스테인리스 강관소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원재료 플레이트를 롤링하고, 롤링된 플레이트의 양단 접합부를 가스 용접을 통하여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를 냉각하여 연마공정을 수행한 후, 원형 파이프 취출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취출된 원형 파이프를 적당한 크기로 컷팅한다(S11).
상기 가공된 원형 파이프에 대한 인발작업을 실시하여, 다각 파이프, 일례로 사각 파이프의 형상을 구현하고, 적절한 크기로 컷팅한다. 이 때, 상기 사각 파이프는, 상부 파이프(110) 및 탑 파이프(120)에 대응하는 외부/내부 크기를 가지도독 제조될 수 있다(S12).
상기 제조된 사각 파이프에 대하여 벤딩작업을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워터 가이드에 구비되는 상부 파이프(110) 및 탑 파이프(1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벤딩작업은, 다각 맨드릴(mandrel)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성 스테인리스 강관소재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벤딩작업을 수행하므로, 파이프의 연신율 및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110,120)의 제 1,2 벤딩부(115,125)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2 벤딩부(115,125)에서의 응력부식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파이프(110,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S13).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넥터에 클램프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클램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넥터(230)에는 클램프(280)가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280)는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클램프(280)는 스프링 강선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80)가 하부 노즐(17)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280)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클램프(20)의 두께는 0.4~0.6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230)에는, 상부 파이프(110)가 결합되는 상부파이프 연결부(231) 및 상기 탑 파이프(120)가 결합되는 탑파이프 연결부(233)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231)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233)는 서로 분리된 세척수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231)의 후방부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233)의 후방부에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231)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233)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기부(23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36)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231)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233)로부터 돌출되며,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231)에는, 상기 클램프(280)가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부(235)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 결합부(235)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231)에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부(236) 사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280)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231)의 외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280)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231)에 결합되는 상부 파이프(1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28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클램프(280)에는, 상기 하부 커넥터(130)의 상면에 놓여지는 제 1 파트(281a)와, 상기 제 1 파트(281a)의 일 측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 커넥터(230)의 일 측면에 놓여지는 제 2 파트(281b) 및 상기 제 2 파트(281b)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하부 커넥터(130)의 하면에 놓여지는 제 3 파트(281c)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80)에는, 상기 제 1 파트(281a)의 타 측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 1 걸림부(282) 및 상기 제 3 파트(281c)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걸림부(282)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 2 걸림부(283)가 포함된다.
상기 클램프(280)를 상기 하부 커넥터(230)에 결합할 때, 상기 제 1,2 걸림부(282,283)는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질 수 있고, 상기 클램프(280)는 상기 클램프 결합부(235)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클램프(180)가 상기 하부 커넥터(130)에 끼워지면, 상기 제 1 걸림부(282)와 상기 제 2 걸림부(283)는 복원력에 의하여, 서로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280)가 상기 하부 커넥터(230)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280)의 조임력은 상기 하부 커넥터(230)를 통하여 상기 상부 파이프(11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넥터에 클램프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넥터(230)에는 클램프(380)가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380)는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클램프(380)는 스프링 강선이 포함되며, 도 18에서 설명한 클램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330)에는, 상부 파이프(110)가 결합되는 상부파이프 연결부(331) 및 상기 탑 파이프(120)가 결합되는 탑파이프 연결부(333)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331)와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333)는 서로 분리된 세척수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331)의 후방부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333)의 후방부에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331)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233)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기부(33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36)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231)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233)로부터 돌출되며,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331)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333)에는, 상기 클램프(280)가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부(335)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 결합부(335)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331)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333)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부(236) 사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380)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331)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333)의 외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380)는 상기 상부파이프 연결부(331)에 결합되는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파이프 연결부(333)에 결합되는 탑 파이프(1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380)가 상기 하부 커넥터(330)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380)의 조임력은 상기 하부 커넥터(330)를 통하여 상기 상부 파이프(110) 및 상기 탑 파이프(12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1 : 식기 세척기 10 : 케이스
11 : 터브 17 : 하부 노즐
100 : 워터 가이드 110 : 상부 파이프
115 : 제 1 벤딩부 120 : 탑 파이프
125 : 제 2 벤딩부 130 : 하부 커넥터
140 : 상부 커넥터 150 : 홀더
160 : 공급 파이프 163 : 상부 노즐
170 : 탑 노즐 180 : 클램프
190 : 브라켓

Claims (18)

  1.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 1 배출부 및 제 2 배출부를 가지는 섬프;
    상기 세척조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섬프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에 분사하는 상부 노즐;
    상기 세척조의 상하방향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섬프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에 분사하는 탑 노즐;
    상기 섬프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노즐 또는 상기 탑 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파이프; 및
    상기 세척수 파이프를 상기 섬프에 결합시키는 하부 커넥터가 포함되며,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 배출부에 결합되며, 세척수의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배출부에 결합되며, 세척수의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연결부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노즐에 연통되는 상부 파이프;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탑 노즐에 연통되는 탑 파이프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파이프와 상기 탑 파이프는 분리되어 제공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는 사출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분리벽이 더 포함되며,
    상기 분리벽에 의하여,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제 2 유로는 서로 분리되는 식기 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보다 크게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는 EPDM 소재 (EPDM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rubber)로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2 연결부의 전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섬프에 결합되는 커넥터 전방부; 및
    상기 제 1,2 연결부의 후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 결합되는 커넥터 후방부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전방부의 경도는 상기 커넥터 후방부의 경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파이프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탑 파이프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의 길이보다 설정 길이(L1)만큼 길게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커넥터를 상기 세척수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더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는 각각,
    상기 클램프가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부가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판형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판형의 탄성부재는 상기 제 1,2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식기 세척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스프링 강선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강선은 상기 제 1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식기 세척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 1,2 연결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가 더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소재 및 적어도 구리(Cu)가 포함한 불순물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파이프는 다각 파이프로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KR1020180001086A 2018-01-04 2018-01-04 식기 세척기 KR10245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086A KR102456240B1 (ko) 2018-01-04 2018-01-04 식기 세척기
US16/238,734 US11253133B2 (en) 2018-01-04 2019-01-03 Dishwasher
AU2019200019A AU2019200019B2 (en) 2018-01-04 2019-01-03 Dishwasher
EP19150209.5A EP3508108B1 (en) 2018-01-04 2019-01-03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086A KR102456240B1 (ko) 2018-01-04 2018-01-04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441A true KR20190083441A (ko) 2019-07-12
KR102456240B1 KR102456240B1 (ko) 2022-10-19

Family

ID=6495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086A KR102456240B1 (ko) 2018-01-04 2018-01-04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3133B2 (ko)
EP (1) EP3508108B1 (ko)
KR (1) KR102456240B1 (ko)
AU (1) AU2019200019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2525B1 (en) * 2016-10-20 2020-10-21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576A (ko) * 2006-02-24 2006-06-13 허정석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공급관 구조
KR20120079793A (ko) * 2011-01-05 201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KR20130070275A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0963A (en) * 1992-03-02 1994-01-25 Maytag Corporation Coupler for appliance hose
US5556137A (en) * 1994-10-31 1996-09-17 Itt Automotive, Inc. Fluid connector assembly
KR101335175B1 (ko) 2005-11-29 201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US7829001B2 (en) * 2006-06-30 2010-11-09 Federal-Mogul World Wide, Inc. Cold static gasket for complex geometrical sealing applications
DE102006061149A1 (de)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mehrkanaliger Speisung von Sprüheinrichtungen
KR20100048467A (ko) * 2008-10-31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P2474660A3 (en) * 2011-01-05 2013-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omprising an anti-vibration drain hose
EP2510864B1 (en) * 2011-04-12 2014-09-03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8801863B2 (en) * 2011-05-11 2014-08-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rack corner spray system
US8778094B2 (en) 2011-05-11 2014-07-1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multi-feed washing system
CN203468548U (zh) * 2013-07-22 2014-03-12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连接管及应用所述连接管的疏水设备和洗碗机
WO2015082139A1 (en) * 2013-12-04 2015-06-11 Arc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locking element
EP3040011B1 (en) 2014-12-31 2019-07-24 Whirlpool EMEA S.p.A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GB2551696B (en) * 2016-06-15 2022-03-09 Exel Ind Sa Hoses and hose adaptors
WO2018031806A1 (en) * 2016-08-10 2018-02-15 Omni Solutions Llc Washing systems
EP3510308B1 (en) * 2016-09-08 2021-10-06 Illinois Tool Works Inc. Clog resistant appliance diverter val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576A (ko) * 2006-02-24 2006-06-13 허정석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공급관 구조
KR20120079793A (ko) * 2011-01-05 201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KR20130070275A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240B1 (ko) 2022-10-19
AU2019200019A1 (en) 2019-07-18
EP3508108B1 (en) 2023-09-06
US20190200839A1 (en) 2019-07-04
US11253133B2 (en) 2022-02-22
EP3508108A1 (en) 2019-07-10
AU2019200019B2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3447A (ko) 식기 세척기
KR20190083441A (ko) 식기 세척기
US8394981B2 (en) Hydrocyanation of 2-pentenenitrile
JP4459237B2 (ja) 1,3−ブタジエンから3−ペンテンニトリルを製造する方法
US20150167161A1 (en) Gas injection components for deposi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080071105A1 (en) ni(0) -containing catalyst system
ES2271357T3 (es) Composiciones polimericas que contienen fosforo y su uso en reacciones de hidrocianacion, isomerizacion e hidroformilacion.
WO2008008930A3 (en) Hydrocyanation process with reduced yield losses
JPH09512013A (ja) モノオレフィン類のヒドロシアン化用二座ホスファイトとニッケル触媒の組成物
US20120234414A1 (en) Fuel pump module including a flange groove rod attachment
KR0173326B1 (ko) 공액 2-알케노에이트의 시안화수소화
US7793894B1 (en) Retaining system
EP2473803A2 (en) High - strength refrigerator door
CN220321662U (zh) 蒸发器支架、蒸发器组件和制冷设备
CN116772456A (zh) 蒸发器支架、蒸发器组件和制冷设备
CN217415670U (zh) 管线支架及具有其的车辆
CN200949974Y (zh) 用于冰箱的排水漏斗装配结构
CN217944993U (zh) 汽车地毯总成及具有其的汽车
KR102418141B1 (ko) 식기세척기
CN211976112U (zh) 管夹
KR100692274B1 (ko) 화학기상 증착 장치
KR200388892Y1 (ko) 선박 유류 탱크용 곡관 수평 배열 파이프 증기 가열기
JP5807962B2 (ja) 長尺物の内面めっき用の補助電極
KR20170011111A (ko) 패널의 구조와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A2492242A1 (en) Water line retaining element for a refrigerator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