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064A -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064A
KR20190083064A KR1020180000580A KR20180000580A KR20190083064A KR 20190083064 A KR20190083064 A KR 20190083064A KR 1020180000580 A KR1020180000580 A KR 1020180000580A KR 20180000580 A KR20180000580 A KR 20180000580A KR 20190083064 A KR20190083064 A KR 2019008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data
data
electronic device
fingerpri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509B1 (ko
Inventor
정치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509B1/ko
Priority to PCT/KR2018/016781 priority patent/WO2019135553A1/en
Priority to US16/236,900 priority patent/US10803874B2/en
Priority to EP23191642.0A priority patent/EP4254230A1/en
Priority to EP19150124.6A priority patent/EP3508998B1/en
Publication of KR2019008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064A/ko
Priority to US17/020,131 priority patent/US11430450B2/en
Priority to KR1020220132226A priority patent/KR102615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6Decision making techniques; Pattern matching strateg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6Decision making techniques; Pattern matching strategies
    • G10L17/12Score normalis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10L25/84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for discriminating voice from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1Access rights, e.g. capability lists, access control lists, access tables, access matr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음성 데이터와 기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 및 수신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등적인 접근 권한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을 향상할 수 있는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셋탑박스 등과 같은 각종 전자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 뿐만 아니라 공공 장소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TV와 같이 다수가 공공으로 사용하는 기기에서 개인화 서비스 사용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변경될 때 마다 계정을 변경을 위해 매번 로그인을 새로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목소리에 포함된 성문(voice print)을 이용하여 ID 및 패스워드를 통한 로그인이 없어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발화가 짧거나, 주변 잡음이 심한 경우, 가족 간 음성이 유사한 경우 화자를 인식하는 정확도가 저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주변 환경에도 사용자를 보다 정확히 식별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등적인 접근 권한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을 향상할 수 있는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와 기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 및 상기 수신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상기 수신된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 및 상기 수신된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가 각각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일치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제1 접근 권한으로 결정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지문 데이터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별된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상기 제1 접근 권한보다 낮은 제2 접근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상이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및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중 인식 정확도가 더 높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SNR))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신호 대 잡음 비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 및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불가능하면, 추가 인증을 위한 UI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추가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면,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기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 및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하고,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 및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가 각각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일치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제1 접근 권한으로 결정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지문 데이터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별된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상기 제1 접근 권한보다 낮은 제2 접근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상이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및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사용자 중 인식 정확도가 더 높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호 대 잡음비(Signl to Noise Ratio(SNR))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신호 대 잡음 비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 및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불가능하면, 추가 인증을 위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추가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면,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기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에서 표시되는 UI 화면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른 UI 화면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접근 권한 결정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1 내지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2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의 입력 소스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또는 기저장된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TV, 휴대폰, 스마트폰, PDA, 노트북 PC, 모니터, 태블릿 PC, 전자 책, 전자 액자, 키오스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처리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서버, 셋탑 박스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은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처리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로부터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마이크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 구비된 마이크, 또는 외부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마이크를 구비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20), 외부 마이크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20) 또는 외부 마이크는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데이터 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 또는 외부 마이크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입력받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각각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 권한을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부여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기능 수행 또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 의해 상술한 모든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복수의 전자 장치가 일부 동작을 나누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복수의 동작 중 일부의 동작은 서버, 셋탑 박스 및 원격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되고, 나머지 일부의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때, 원격 제어 장치(20)는 전자 장치(100)의 조작만을 수행하는 전용의 장치일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작 명령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지문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20)는 입력받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장치(20)는 입력받은 사용자의 데이터 각각에 대한 사용자 식별 동작을 수행한 후, 식별 결과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는 아날로그 신호로 수신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장치(20)는 조작 명령을 단방향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는 방향 키 또는 숫자 키와 같은 복수의 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명령은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업/다운, 소리 업/다운, 채널 번호, 문자 키, 커서(방향 키)의 이동 명령, 선택된 항목의 실행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지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키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키는 동일한 키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가 버튼키 및 방향키를 구비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20)과 직접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전자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는 라우터 등의 중계 장치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20)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리모컨과 연결될 수 있으며, 반대로, 원격 제어 장치(20)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20)를 통하여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전자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터치 스크린, 버튼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하여 조작 명령 및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결정된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기기에 접속될 수 있고, 무선 통신(예를 들어, Z-wave, 4LoWPAN, RFID, LTE D2D, BLE, GPRS, Weightless, Edge Zigbee, ANT+, NFC, IrDA, DECT, WLAN,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외부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여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0)는 원격 제어 장치와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와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통신부(100)는 와이파이만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 및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 또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의 성문(voice print)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결정된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식별 동작이 외부 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 통신부(110)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 또는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또는 마이크 등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또는 지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음성 데이터 또는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차등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획득된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를 식별한다는 것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정된 사용자와 실제 사용자가 일치할 확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접근 권한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프로그램, 프로세스, 데이터, 디렉토리, 파일 등에 대해 접근, 판독, 기록 및 실행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차등적으로 접근 권한을 결정한다는 것은, 접근 권한의 레벨에 따라 접근 또는 실행 가능한 범위가 달라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접근 권한에 따른 동작에 대한 실시 예는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로 식별된 사용자와 지문 데이터로 식별된 사용자가 동일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가장 높은 권한인 제1 접근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 중 하나에 의해서만 사용자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제1 접근 권한 보다 낮은 제2 접근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 중 어느 것으로도 식별이 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가장 낮은 제3 접근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제어 명령과 결정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 가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불가능하면, 프로세서(120)는 접근 권한을 변경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추가 인증을 위한 UI 화면을 표시하고, UI 화면을 통해 추가 인증이 수행되면, 결정된 접근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면,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명령이 외부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이면,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제어 명령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접근 권한 결정 후 입력된 음성 또는 버튼 조작 등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이 수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에게 차등적으로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 식별의 정확성 향상 및 보안이 강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디스플레이(140), 버튼(150), 비디오 프로세서(160), 비디오 출력부(170), 오디오 프로세서(180) 및 오디오 출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된 기재는 생략한다.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CPU(123), GPU(Graphic Processing Unit)(124), 버스(125)를 포함할 수 있다. RAM(121), ROM(122), CPU(123), GPU(Graphic Processing Unit)(124) 등은 버스(12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23)는 메모리(13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3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23)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24)는 전자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140)에 UI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디스플레이(140)로 제공되어,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130)에는 입력된 영상을 영상 처리하기 위한 파라미터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3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데이터와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저장된 음성 데이터 중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성문을 갖는 음성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저장된 지문 데이터 중 획득된 지문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지문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데이터와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코어와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매칭 정도를 스코어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음성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지문 데이터와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매칭 정도를 스코어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지문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데이터와 관련된 기설정된 값과 지문 데이터와 관련된 기설정된 값은 다른 값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주변 환경을 반영하여 사용자 식별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음성 데이터에서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SNR))를 산출하고, 산출된 신호 대 잡음 비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를 보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지문 인식 버튼에 이물질이 인식되면, 이에 기초하여,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를 보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 권한을 차등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와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가 일치하면,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사용자에게 제1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식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식별된 사용자에게 가장 높은 접근 권한인 제1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사용자에게 제1 접근 권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가 제1 접근 권한인 것으로 설정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보안 등급이 높은 개인 정보, 개인 컨텐츠 등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사용자가 식별되면,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사용자에게 제1 접근 권한보다 낮은 제2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 중 어느 하나는 기설정된 값 이상이지만, 다른 하나는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사용자에게 제1 접근 권한보다 낮은 제2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접근 권한은 제1 접근 권한보다는 낮지만,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공개된 컨텐츠 이외에 사용 이력 등 보안 등급이 한 단계 낮은 정보 등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 중 어느 것으로도 사용자가 식별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사용자에게 가장 낮은 제3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 모두가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 프로세서(120)는 채널 변경 등 공개된 컨텐츠에만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각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접근 권한을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프로세서(120)는 접근 권한을 4개 이상으로 분류하여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결과 스코어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결과 스코어를 합산한 스코어를 이용하여 접근 권한을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와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가 상이하면, 프로세서(120)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 중 인식 정확도가 더 높은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접근 권한을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정확도는 실제 사용자와 일치할 확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와 기설정된 임계값의 차가 더 크면, 인식 정확도가 더 높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설정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만을 비교하여 스코어가 더 높은 것을 인식 정확도가 더 높다고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설정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지문 데이터를 이용해 식별된 사용자를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로 결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받기 위한 UI, 추가 인증을 위한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인식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식별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를 각각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을 이용한 매칭 스코어는 A가 가장 높고, 지문 인식을 이용한 매칭 스코어는 B가 가장 높으면, 프로세서(120)는 음성 인식을 통해 A를 사용자로 식별하고, 지문 인식을 통해서는 B를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데이터를 이용해 식별된 사용자가 상이하면,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인식 정확도가 더 높은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사용자가 B라고 한다면, B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B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B에 대한 스코어와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B에 대한 스코어가 각각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차등적으로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B에 대한 스코어는 A에 대한 스코어보다는 낮을 수 있다.
한편, 메모리(130)는 복수의 접근 권한 각각에 대해 수행 가능한 기능 및 접근 가능한 파일,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접근 권한에 따라 메모리(130)에 접근 권한에 매칭되어 저장된 파일,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4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또는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셋탑박스, 서버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14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14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버튼(150)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150)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음성 입력을 위한 버튼을 누르고 음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때, 버튼의 표면에 지문 인식 기능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지문도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어 있거나,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프로세서(16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170)는 비디오 프로세서(160)에서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140)가 구비된 경우, 비디오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14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나,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140)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포트 형태일 수도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18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160) 및 오디오 프로세서(18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40)는 비디오 프로세서(160)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메인 표시 영역, 서브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90)는 오디오 프로세서(18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오디오 출력부(19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스피커와 같이 음성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외부 스피커에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포트 형태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비디오 출력부(170)과 오디오 출력부(19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전자 장치(100)가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HDMI 포트 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물리적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비디오 출력부(17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송되는 영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비디오 처리부(160)에서 출력된 영상에 GUI가 부가된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전자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HDMI 포트,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에서 표시되는 UI 화면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410)를 포함하는 UI 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대기 모드일 때,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410)를 포함하는 UI 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대기 모드는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절전 모드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는 검은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대기 모드 뿐만 아니라 인증이 필요한 컨텐츠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410)를 포함하는 UI 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410)는 인증을 위한 동작 및 음성 인식을 위한 단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은 사용자의 성문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마이크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지문 인식이 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지문 인식 동작이 별개로 수행될 수 있고, 전자 장치는 지문 인식을 요청하는 UI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 인식을 위한 단어를 알고 있거나, 단어에 무관하게 음성 인식이 가능하다면, 전자 장치(100)는 메시지(410) 표시 없이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UI 화면(400)을 확인한 후 도 5에 도시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10)는 원격 제어 장치(20)를 이용하여 음성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10)는 원격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음성 입력 버튼(21)을 누르고, 음성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의 마이크 또는 외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10)는 버튼(21)을 누른 후 음성 명령을 입력하거나, 버튼(21)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음성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버튼(21)은 지문 인식이 가능한 버튼일 수 있다.
즉, 사용자(10)는 음성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버튼(21)을 누르면서 원격 제어 장치(20)의 버튼(21)을 통해 지문 데이터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음성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21)이 지문 인식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지문 인식을 위한 버튼이 원격 제어 장치(20)에 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인 컨텐츠 실행을 원치 않는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접근 권한이 낮게 결정되도록 음성 명령 및 지문 인식 중 어느 하나만을 입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른 UI 화면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결정된 후 표시되는 UI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으로 가장 높은 제1 접근 권한이 선택된 경우의 UI 화면의 일 실시 예, 도 6b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으로 제1 접근 권한보다는 낮은 제2 접근 권한이 선택된 경우의 UI 화면의 일 실시 예, 도 6c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으로 가장 낮은 접근 권한인 제3 접근 권한이 선택된 경우의 UI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결정된 접근 권한에 따라 다른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가장 높은 제1 접근 권한으로 결정되면,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메시지(610)를 포함한 UI 화면(600-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제1 접근 권한보다는 낮은 제2 접근 권한으로 결정되면,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 및 특정 기능에서는 추가 인증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메시지(620)를 포함한 UI 화면(600-2)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접근이나, 결제 등 높은 보안이 필요한 기능에 대해서는 추가 인증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가장 낮은 제3 접근 권한으로 결정되면, 전자 장치는 다시 인증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630)를 포함한 UI 화면(600-3)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추가 인증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고, 일반적인 TV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인증이 필요한 기능 수행 명령을 입력하면, 전자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인증을 요청하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된 사용자의 접근 권한에 따라 다른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메시지 표시를 하지 않고, 결정된 접근 권한에 따라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전자 장치가 스마트폰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UI 화면은 전자 장치가 TV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도 7b보다 더 높은 접근 권한으로 결정된 경우 표시되는 UI 화면이다. 예를 들어, 도 7a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제1 접근 권한으로 결정된 경우 표시되는 UI 화면(710)이고, 도 7b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제1 접근 권한보다 낮은 제2 접근 권한으로 결정된 경우 표시되는 UI 화면(720)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접근 권한으로 결정된 경우의 UI 화면(710)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연락처, 사진첩, SNS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접근 권한으로 결정된 경우의 UI 화면(720)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은 제외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결정된 접근 권한에 따라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제2 접근 권한으로 결정되어도,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정보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개인 정보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전자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추가 인증을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된 사용자에 대하여 결정된 접근 권한에 따라 다른 UI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보안이 강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추가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810)를 포함하는 UI 화면(800)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결정된 접근 권한을 벗어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전자 장치는 추가 인증을 위한 UI 화면(80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추가 인증을 수행하겠다는 피드백을 입력하면, 전자 장치는 음성 및 지문을 이용하여 다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비밀번호 등 추가 암호 입력, 휴대폰 본인 인증, 공인인증서 등을 이용해 사용자가 추가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추가 인증에 성공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대해 결정된 접근 권한을 더 높은 접근 권한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9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를 통해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 및 지문 인식 버튼을 통해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는 획득된 데이터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S920). 구체적으로, 기저장된 데이터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획득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획득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고,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성문이 가장 유사한 음성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획득된 데이터와 기저장된 데이터의 유사 정도를 스코어로 산출하여 가장 높은 스코어를 갖는 음성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획득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지문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고,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지문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획득된 데이터와 기저장된 데이터의 유사 정도를 스코어로 산출하여 가장 높은 스코어를 갖는 음성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스코어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할 수 있다(S9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가 각각 기설정된 임계값을 넘는지 여부에 따라 차등적으로 접근 권한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접근 권한 결정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010).
그 다음,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V)와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F)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2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와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매칭 스코어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매칭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V)와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F)가 일치하면(S1020-Y),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의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V)가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V(TH))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30).
식별된 사용자의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V)가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V(TH)) 이상이면(S1030-Y),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의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F)가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F(TH))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040).
이때, 식별된 사용자의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F)가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F(TH)) 이상이면(S1040-Y),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제1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권한은 복수의 접근 권한 중 가장 높은 접근 권한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가 모두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식별된 사용자에게 가장 높은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식별된 사용자의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F)가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F(TH)) 미만이면(S1040-N),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제1 권한보다 낮은 제2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식별된 사용자의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V)가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V(TH)) 미만이면(S1030-N),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의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F)가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F(TH))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050).
이때, 식별된 사용자의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F)가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F(TH)) 이상이면(S1050-Y),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제2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식별된 사용자에게 가장 높은 권한보다는 제한적인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식별된 사용자의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F)가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F(TH)) 미만이면(S1050-N), 전자 장치는 식별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가장 낮은 제3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V)와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F)가 상이하면(S1020-N),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V)와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F) 중 인식 정확도가 더 높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V)와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V(TH))의 차이가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F)와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F(TH))의 차이보다 더 큰지 판단할 수 있다(S1060).
이때,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V)와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V(TH))의 차이가 더 크면(S1060-Y),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V)를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S1070). 한편,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F)와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S_F(TH))의 차이가 더 크면(S1060-N), 전자 장치는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ID_F)를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S1080).
그 다음, 전자 장치는 결정된 사용자의 음성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V) 및 지문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S-F)를 이용하여 S1030 내지 S1050을 거쳐 접근 권한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식별 결과에 대한 스코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는 설정에 따라 지문 데이터를 이용한 식별 결과를 우선시하거나, 식별 결과에 대한 합산 스코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레벨로 나눠진 접근 권한 중 매칭되는 접근 권한을 결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하는 UI 화면을 표시하거나, 인증을 다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전자 장치(100)에서 외부 장치(2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근 권한을 결정하고, 결정된 접근 권한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우선, 외부 장치(20)는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110). 이때, 외부 장치(2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 전용의 리모컨이거나,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 다음, 외부 장치(20)는 전자 장치(100)에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120).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S1130). 이때, 사용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에 이미 저장된 것이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는 수집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가 전송되면, 외부 서버에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가 수집되기 전 로그인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와,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매칭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매칭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와, 수집된 지문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매칭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매칭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일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일치된 사용자의 스코어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접근 권한 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다르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및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중 어느 사용자로 식별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의 설명에서 기재하였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결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접근 권한을 결정하고(S1140), 결정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1150). 이때, 각 접근 권한에 매칭된 제공 가능한 컨텐츠는 전자 장치(100)에 미리 저장된 것이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2는 전자 장치(100)에서 직접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근 권한을 결정하고, 외부 장치(200)에서 결정된 접근 권한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210). 이때,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마이크 및 지문 인식 버튼을 구비한 외부 장치(200) 전용의 리모컨이거나, 외부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수집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S1220). 이때, 사용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에 이미 저장된 것이거나,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는 수집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가 전송되면, 외부 서버에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가 수집되기 전 로그인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와,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매칭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매칭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와, 수집된 지문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매칭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매칭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일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일치된 사용자의 스코어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접근 권한 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다르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및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중 어느 사용자로 식별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의 설명에서 기재하였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결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접근 권한을 결정하고(S1230), 결정된 접근 권한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S124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의 매칭 스코어를 음성 데이터에 대해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의 매칭 스코어를 지문 데이터에 대해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접근 권한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200)는 수신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1250). 이때, 각 접근 권한에 매칭된 제공 가능한 컨텐츠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에 미리 저장된 것이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식별 및 접근 권한 결정 동작이 동일한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동작, 접근 권한 결정 동작 및 컨텐츠 제공 동작이 각각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3은 전자 장치(100)에서 외부 장치 1(2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근 권한을 결정하고, 결정된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 2(200)에 전송하여 외부 장치 2(200)가 접근 권한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우선, 외부 장치 1(20)은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310). 이때, 외부 장치 1(20)은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 전용의 리모컨,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외부 마이크,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그 다음, 외부 장치 1(20)은 전자 장치(100)에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320).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수집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S1330). 이때, 사용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에 이미 저장된 것이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는 수집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가 전송되면, 외부 서버에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가 수집되기 전 로그인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와,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매칭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매칭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와, 수집된 지문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매칭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매칭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일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일치된 사용자의 스코어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접근 권한 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다르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및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중 어느 사용자로 식별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의 설명에서 기재하였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결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접근 권한을 결정하고(S1340), 결정된 접근 권한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 2(200)에 전송할 수 있다(S1350). 여기서, 외부 장치 2(20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 가능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 2(200)는 수신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1360). 이때, 각 접근 권한에 매칭된 제공 가능한 컨텐츠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 2(200)에 미리 저장된 것이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것은,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다른 장치가 표시하도록 접근 권한에 기초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3에서는 외부 장치 1(20)와 외부 장치 2(20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외부 장치 2(200)에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외부 장치 1(20)와 외부 장치 2(200)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에게 차등적으로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 식별의 정확성 향상 및 보안이 강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와 기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 및 상기 수신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상기 수신된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 및 상기 수신된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가 각각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일치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제1 접근 권한으로 결정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지문 데이터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별된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상기 제1 접근 권한보다 낮은 제2 접근 권한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상이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및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중 인식 정확도가 더 높은 사용자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SNR))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신호 대 잡음 비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 및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불가능하면, 추가 인증을 위한 UI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추가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면,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기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 및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하고,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스코어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로 식별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 및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가 각각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일치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제1 접근 권한으로 결정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지문 데이터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별된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상기 제1 접근 권한보다 낮은 제2 접근 권한으로 결정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와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가 상이하면,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및 상기 지문 데이터에 대한사용자 중 인식 정확도가 더 높은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호 대 잡음비(Signl to Noise Ratio(SNR))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신호 대 잡음 비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스코어를 보정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 및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불가능하면, 추가 인증을 위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추가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으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면, 상기 결정된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음성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기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획득된 지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80000580A 2018-01-03 2018-01-03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456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80A KR102456509B1 (ko) 2018-01-03 2018-01-03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CT/KR2018/016781 WO2019135553A1 (en) 2018-01-03 2018-12-27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6/236,900 US10803874B2 (en) 2018-01-03 2018-12-31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23191642.0A EP4254230A1 (en) 2018-01-03 2019-01-02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19150124.6A EP3508998B1 (en) 2018-01-03 2019-01-02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7/020,131 US11430450B2 (en) 2018-01-03 2020-09-14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220132226A KR102615950B1 (ko) 2018-01-03 2022-10-14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80A KR102456509B1 (ko) 2018-01-03 2018-01-03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226A Division KR102615950B1 (ko) 2018-01-03 2022-10-14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064A true KR20190083064A (ko) 2019-07-11
KR102456509B1 KR102456509B1 (ko) 2022-10-19

Family

ID=650105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580A KR102456509B1 (ko) 2018-01-03 2018-01-03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20132226A KR102615950B1 (ko) 2018-01-03 2022-10-14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226A KR102615950B1 (ko) 2018-01-03 2022-10-14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803874B2 (ko)
EP (2) EP4254230A1 (ko)
KR (2) KR102456509B1 (ko)
WO (1) WO2019135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509B1 (ko) * 2018-01-03 202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598057B1 (ko) * 2018-09-10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소기반 화자모델 적응 방법 및 장치
US11170800B2 (en) * 2020-02-27 2021-11-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ing user experience for multiuser sessions based on vocal-characteristic models
CN117079652B (zh) * 2023-10-16 2024-01-30 明度智云(浙江)科技有限公司 一种scada系统语音控制方法、装置和服务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1031A1 (en) * 2008-09-15 2010-03-18 Carter Stephen R Multiple biometric smart card authentication
US20120313753A1 (en) * 2008-03-17 2012-12-13 Ensign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of Identification Based on Biometric Parameters
US20160112415A1 (en) * 2014-10-15 2016-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securit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6129011A (ja) * 2011-03-21 2016-07-1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音声認証を用いたデバイスアクセス
US20170147803A1 (en) * 2015-02-04 2017-05-25 Aerendir Mobile Inc. Local user authentication with neuro and neuro-mechanical fingerprint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5731D0 (en) 1989-03-13 1989-04-26 British Telecomm Pattern recognition
JP2004032479A (ja) 2002-06-27 2004-01-2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KR20040052661A (ko) 2004-04-26 2004-06-23 (주)예스테크놀로지 다중 생체인증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N101884188A (zh) * 2007-07-12 2010-11-10 创新投资有限责任公司 身份鉴别和受保护访问系统、组件和方法
US20090165125A1 (en) * 2007-12-19 2009-06-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access to a computing device
KR100944248B1 (ko) 2008-04-17 2010-02-24 주식회사 에스원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7865A (ko)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자 및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9323912B2 (en) * 2012-02-28 2016-04-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factor biometric authentication
US9600304B2 (en) * 2014-01-23 2017-03-21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for multiple users using remote user biometrics
KR102223609B1 (ko) * 2014-05-09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간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CN104573462B (zh) 2015-01-30 2017-05-03 北京得意音通技术有限责任公司 指纹与声纹双认证方法
KR20160109058A (ko) 2015-03-09 201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문 인식을 이용한 방송 시청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157905B2 (en) * 2015-08-29 2021-10-26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ecure on device cardhold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KR102409903B1 (ko) 2015-12-09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404809B (zh) 2015-12-29 2018-09-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身份认证方法及用户终端
US20180151182A1 (en) * 2016-11-29 2018-05-31 Interactive Intelligence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voice biometric verification
US10403287B2 (en) * 2017-01-19 2019-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users within a group that share a single teleconferencing device
KR102456509B1 (ko) * 2018-01-03 202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3753A1 (en) * 2008-03-17 2012-12-13 Ensign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of Identification Based on Biometric Parameters
US20100071031A1 (en) * 2008-09-15 2010-03-18 Carter Stephen R Multiple biometric smart card authentication
JP2016129011A (ja) * 2011-03-21 2016-07-1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音声認証を用いたデバイスアクセス
US20160112415A1 (en) * 2014-10-15 2016-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securit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70147803A1 (en) * 2015-02-04 2017-05-25 Aerendir Mobile Inc. Local user authentication with neuro and neuro-mechanical fingerpr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411011A1 (en) 2020-12-31
US20190206409A1 (en) 2019-07-04
EP3508998C0 (en) 2023-08-23
KR102456509B1 (ko) 2022-10-19
EP3508998A1 (en) 2019-07-10
EP3508998B1 (en) 2023-08-23
EP4254230A1 (en) 2023-10-04
WO2019135553A1 (en) 2019-07-11
US10803874B2 (en) 2020-10-13
US11430450B2 (en) 2022-08-30
KR102615950B1 (ko) 2023-12-21
KR20220147546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5950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9354841B2 (en) Wirelessly communicating configuration data for interactive display devices
KR102527291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25254B1 (ko) 입력기를 통해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30291955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05307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489487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444066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40113242A (ko) 이동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집중 모드로 변환하는 방법
US202303775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9007662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US1193450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6405722A (zh) 智能电视的手势操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89253A (ko) 도킹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