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518A - 매칭 장치, 중계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매칭 장치, 중계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518A
KR20190082518A KR1020180000212A KR20180000212A KR20190082518A KR 20190082518 A KR20190082518 A KR 20190082518A KR 1020180000212 A KR1020180000212 A KR 1020180000212A KR 20180000212 A KR20180000212 A KR 20180000212A KR 20190082518 A KR20190082518 A KR 20190082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g
matching
confirmation signal
position confi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신영
최중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2518A/ko
Priority to PCT/KR2018/015414 priority patent/WO2019135499A1/ko
Publication of KR2019008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위치 전송 방법은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면, 중계 장치로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태그 식별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칭 장치, 중계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MATCHING DEVICE, RELAY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LOCATION OF A TAG}
본 발명은 태그 정보와 상품 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매칭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통 매장에서는 선반에 진열 중인 상품에 대한 판매 가격이나 할인 정보, 단가, 원산지 등과 같은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종이 레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 레이블을 이용한 가격 표시 방식은 상품 정보가 변경되거나 상품 진열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사용 중이던 종이 레이블을 폐기하고 새로운 종이 레이블을 작성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에 지속적인 비용이 발생하며 나아가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종이라는 원자재를 낭비하게 되어 환경 보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종이 레이블을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태그의 일 예인 전자 가격 표시기(또는 전자 선반 레이블(Electronic Shelf Label: ESL))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 가격 표시기는 중앙 관제 센터(서버)에서 해당 상품의 가격관련 정보를 무선장치(예를 들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격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실시간으로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때, 상기 전자 가격 표시기는 해당 상품에 대한 잦은 정보 변경이나 할인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전자 가격 표시기가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스토어 심볼(Store Symbol), 프로모션 이미지(Promotion Image), 바코드(Barcode), 상품 이름(Product Name), 상품 이미지(Product Image), 원산지 정보 등의 많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가격 표시기는 구동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최근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위치 추적과 같은 이동성에 기반한 기술들이 응용되고 있다. 예컨대,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던 GPS 를 카 네비게이션에 활용하거나, 셀 기반의 모바일 폰의 위치를 인식하여 사람을 찾거나 위치 기반 게임을 할 수 있다. 또한, 관심 대상이 중요한 기술 중 RFID 기술을 이용한 위치 기반 기술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인식함으로써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RTLS(Real Time Locationing System)을 제공할 수 있다. RTLS 에 의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원리 중에서는 와이파이(Wi-Fi) 신호를 이용한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TOA(Time of Arrival)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위치 추적을 위한 위치 추적 모듈은 높은 소비 전류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배터리를 통해 구동되는 전자 가격 표시기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장에 진열되어 있는 모든 전자 가격 표시기에 상기 위치 추적 기능을 위한 모듈을 장착하는 경우, 이에 따른 비용 상승이 발생하고, 상기 높은 소비 전류의 요구에 따른 태그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위치 추적 기능 제공을 위한 노드의 증가로 인해 네트워크 리소스가 부족하고, 상기 네트워크 리소스의 부족에 따른 인프라 구축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매칭 장치를 이용하여 매장에 설치된 모든 태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매칭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위치 전송 방법은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면, 중계 장치로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태그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태그 정보의 수신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전송된다.
또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태그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와 함께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되어 복수의 중계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매칭 정보는,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복수의 중계 장치 중 기지정된 특정 중계 장치로 전송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매칭 장치는 중계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태그 정보 획득부; 상품정보를 획득하는 상품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가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획득한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를 포함한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태그 식별자를 포함한 위치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위치 확인 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계 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를 통해 상기 태그 정보의 획득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를 통해 상기 태그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태그 정보,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매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되어 복수의 중계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매칭 정보가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복수의 중계 장치 중 기지정된 특정 중계 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장치는, 매칭 장치와 통신하여 위치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위치 확인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신호를 토대로 상기 매칭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매칭 장치와 인접한 태그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포함된 상기 태그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매칭 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태그 정보 및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매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1 매칭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를 삽입하여 제 2 매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생성한 제 2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전자가격 표시 시스템에서는, 상품 정보와 태그 정보를 매칭하는 매칭 과정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품 정보와 태그 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태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태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품 정보와 태그 정보를 매칭하는 하나의 매칭 장치를 이용하여, 모든 태그 및 각각의 태그에 매칭된 상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는 매칭 장치에서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상기 태그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태그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시간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태그의 추가 비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태그의 소모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실시간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태그 및 상품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매장 운영자는 소비자에게 매장 운영 시스템에 실시간 상품 위치 제공이나, 최적의 광고 위치 선정 등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태그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칭 장치(4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장치(3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삼각측량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제 1 매칭 정보, 제 2 매칭 정보 및 위치 확인 신호를 나타낸 데이터 포맷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제 1 매칭 정보, 제 2 매칭 정보 및 위치 확인 신호를 나타낸 데이터 포맷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의 제 1 매칭 정보, 제 2 매칭 정보 및 위치 확인 신호를 나타낸 데이터 포맷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태그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은 복수의 태그(100), 서버(200), 복수의 중계 장치(300) 및 매칭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태그(100)는 전자 선반 라벨(electronic shelf label, ESL) 또는 전자 선반 라벨 단말기 또는 전자 가격 단말기 또는 전자 가격 표시기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태그(100)는 대형 마트, 일반 상점 등의 매장의 선반(500)에 장착되어, 상기 선반에 진열된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의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스토어 심볼(Store Symbol), 프로모션 이미지(Promotion Image), 바코드(Barcode), 상품 이름(Product Name), 상품 이미지(Product Image), 원산지 정보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태그(100) 각각은, 복수의 중계 장치(300) 중 지정된 중계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태그(100) 각각은, 상기 지정된 중계 장치(300)를 통해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태그(100)는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열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태그(100)는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태그(100)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구동 전원이 필요한 시점에서 제공되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태그(100)는 7개의 획으로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7-세그먼트 방식의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태그(100)는 구체적인 색상과 이미지 표현으로 섬세한 제품 정보를 전달하는 그래픽 방식의 태그, 냉동 조건에 강한 태그 등과 같이 제품별로 특화된 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태그(100)는 전자 종이(E-Paper)나 LCD 등을 통해 상기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설치된 복수의 태그(100)를 관리한다. 특히,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태그(100)에 각각 표시되는 상품 정보의 동기화, 변경 및 업데이트와 같은 상품 정보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상품 정보 관리를 위해, 상기 매장에 설치된 각각의 태그(100)의 정보 및 상기 태그(100)에 매칭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저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태그(100)의 정보는, 상기 각각의 태그(100)가 가지는 고유의 식별자와, 상기 각각의 태그(1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200)는 상기 유통 매장 등과 같은 장소에 진열된 상품 정보 나 상기 상품 정보에 매칭되어 설치된 태그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유통 매장 등과 같은 공간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상기 각각의 태그(10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상품 정보의 변경이나 업데이트를 위하여,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태그(100)로 상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태그(100)에 각각 표시되는 상품 정보의 동기화, 변경 및 업데이트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상품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통 매장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태그(100)는 서로 다른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각각 표시하기 위해 다수 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태그(100) 각각은, 각각의 태그(100)를 구분하기 위한 서로 다른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태그(100)에 구비된 통신 모듈의 주소 정보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자는 상기 중계 장치(3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태그(100)의 통신 모듈에 대한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태그(100)의 각각의 식별자, 설치 위치 정보, 그리고 상기 식별자/위치 정보에 따라 각각의 태그(100)에 표시될 상품 정보를 연동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계 장치(300)는 상기 유통 매장 내에서,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태그(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 각각은 지정된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자신과 연동된 특정 태그(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 각각은,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자신과 연동된 태그(100) 이외의 다른 태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복수의 태그(100)와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 장치는 1:N으로 연동이 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태그(100)와 하나의 중계 장치(300)는 상호 연동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200)에서 상기 태그(100)로 전송되는 정보나, 상기 태그(100)에서 상기 서버(200)로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연동된 중계 장치(3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즉, 특정 정보가 특정 태그(100)에서 서버(200)로 전송하는 경우, 또는 서버에서 특정 태그(100)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정보의 발송지 또는 수신지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 태그(100)와 연동된 특정 중계 장치(300)로만 상기 정보가 전송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태그(100)와 양방향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장치(300)는 양방향 무선 신호, 예를 들어, IR-UWB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서버(200)와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신호를 상기 서버(2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복수의 태그(100) 각각과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신호를 상기 태그(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장치(300)는 상기 서버(200)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태그(100)와 통신하는 통신부가 서로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 장치(300)와 상기 서버(200) 사이의 통신은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기술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UWB(Ultra Wideband),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장치(300)와 상기 태그(10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계 장치(300)와 상기 태그(100)는 하나의 중계 장치(300)에서 다수의 태그(1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그비(Zigbee, 즉, IEEE 802.15.4)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상기 중계 장치(300)와 상기 태그(100)는 고속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Wi-Fi(즉, IEEE 802.11), 블루투스(Bluetooth, 즉, IEEE 802.15.1)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중계 장치(300)는 상기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앵커(Anchor), 기지국(base station), 접속점(Access Point),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양방향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는 매칭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확인 신호를 토대로 상기 매칭 장치(400)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매칭 장치(400)에서 브로드캐스트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매칭 장치(400)의 주위에 설치된 적어도 3개의 중계 장치(300)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되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신호를 토대로 상기 매칭 장치(400)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 중 특정 중계 장치(300)는 상기 적어도 3개의 중계 장치(300)에서 계산된 거리 정보를 수신 및 취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중계 장치(300)는 자신이 계산한 거리 정보를 포함한 상기 취합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리 정보 취득은, 삼각 측량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삼각측량법은 신호원(Base Station)과 수신기 사이의 전파 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신호원과 수신기 간의 거리를 알게 되는 측위 방식으로 ToA(Time of Arrival)나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로 위치 측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ToA는 세 원의 교차점을 계산하는 기하학적 해석을 이용하며, TDoA는 두 신호원에서 수신기까지 거리의 차에 비례하는 전파 도달 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을 통하며, 상기 ToA 및 TDoA의 구체적인 위치 계산 과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매칭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 신호 내에는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함께 태그 식별자를 포함하는 태그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위치확인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상기 태그 주소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중계 장치(300)는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를 특정 중계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 신호 내에는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함께 태그 식별자를 포함하는 태그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태그 주소에 대응되어 지정된 중계 장치(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중계 장치(300)로 상기 태그 주소와 함께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 내에 포함된 태그 주소와 함께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100)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한 태그(1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와, 상기 태그 식별자에 매칭된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태그(100)로부터 직접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태그(100)와 연동된 특정 중계 장치(300)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태그 정보,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최종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한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매칭 장치(400)는 복수의 태그(100) 및 상기 복수의 태그의 각각에 대응되는 상품을 매칭시킨다. 이를 위해, 매칭 장치(400)는 복수의 태그(100) 중 어느 하나의 태그(100)의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어느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획득한 태그 정보 및 상품 정보를 포함한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매칭 장치(400)는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상품 정보 획득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복수의 태그(100)에 대한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태그 정보 획득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매칭 장치(400)는 특정 시점에 위치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송신되는 위치 확인 신호는 목적지가 지정되어 있지 않고 브로드캐스트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매칭 장치(400)의 인근에 위치한 적어도 3개의 중계 장치(3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할 때,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와 함께 상기 태그 정보를 구성하는 태그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매칭 장치(400)의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와 상기 태그(100) 사이에서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매칭 장치(400)에서 상기 태그(100)의 태그 정보가 수신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태그(100)의 태그 정보가 상기 매칭 장치(400)에서 수신 가능한 시점에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태그(100)와 상기 매칭 장치(400)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칭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이 연결된 시점, 상기 수신 가능한 시점, 일정 거리 이내인 시점, 및 수신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의 시점은, 상기 매칭 장치(400)가 상기 태그 정보를 전송한 특정 태그(100)가 설치된 위치에 위치한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매칭 장치(400)에서 전송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신호가 아니라, 상기 태그(100)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태그(100)의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태그(100)와 상기 매칭 장치(400)가 최대한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매칭 장치(400)에서 상기 태그(100)의 태그 정보가 획득되기 위해서는, 상기 매칭 장치(400)와 상기 태그(100)가 최대한 접근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칭 장치(400)와 상기 태그가 최대한 접근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이 연결된 시점, 상기 태그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시점, 일정 거리 이내인 시점, 및 수신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의 시점에 상기 획득한 태그 정보를 포함한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중계 장치(300)로부터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응답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획득한 태그 정보, 상품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한 최종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최종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획득한 상품 정보 및 상기 태그 정보만을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매칭 정보와,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매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매칭 정보는 상기 매칭 장치(400)에서 생성되어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매칭 정보는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 중 특정 중계 장치(300)에서 생성되어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획득한 상품 정보 및 상기 태그 정보만을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 중 특정 중계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중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 중 상기 매칭 장치(400)의 상기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특정 중계 장치(300)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종 매칭 정보는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특정 중계 장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태그(100), 상기 중계 장치(300) 및 상기 매칭 장치(400) 각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태그(100)는 전원 입력부(101), 보호부(102), 제 1 안테나(103), 제 2 안테나(104), 통신부(105), 디스플레이 모듈(106), 구동부(107) 및 스위치(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01)는 상기 태그(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 입력부(101)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전원 입력부(101)는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 PSU(Power Supply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 입력부(101)는 상기 배터리 또는 교류 전원 입력부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원을 각 구성요소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01)는 상기 태그(100)의 구동 모드에 따라 복수의 구성 요소 중 특정 구성 요소에만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103) 및 제 2 안테나(104)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 1 안테나(103) 및 상기 제 2 안테나(104)는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안테나(103) 및 제 2 안테나(104)의 통신 방식은 데이터 통신 방식 및 근거리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웨이브(Z-wav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안테나(103)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상기 제 2 안테나(104)는 LF(Low Frequency) 통신을 위한 안테나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안테나(103)는 2.4GHz 대역의 안테나일 수 있으며, 제 2 안테나(104)는 13.56MHz 대역의 안테나일 수 있다.
통신부(105)는 상기 제 1 안테나(10) 및 제 2 안테나(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태그(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105)는 상기 태그(100)의 관리를 위한 신호, 상기 태그(100)에 표시될 상품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상품에 대한 동영상 데이터나 이벤트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5)는 상기 제 1 안테나(103) 및 제 2 안테나(104)를 통해 수신되는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수신 및 표시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 동작이 완료되면 다시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상기 통신부(105)를 통해 전달되는 상품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전자 종이(E-pape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6)에 표시되는 상품 관련 정보는, 스토어 심볼, 프로모션 이미지, 바코드, 상품 이름, 상품 이미지, 원산지 정보, 상품 가격 및 세일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07)는 상기 통신부(105)를 통해 전달되는 상품 관련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6)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6)의 구동을 제어한다.
스위치(108)를는 상기 통신부(105)와 디스플레이 모듈(10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부(105)와 디스플레이 모듈(106)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전달 경로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통신부(105)가 온되면, 상기 스위치(108)도 온되어, 상기 통신부(105)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6) 사이의 경로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05)가 오프되면, 상기 스위치(108)도 오프되어 상기 통신부(105)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6) 사이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칭 장치(4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상기 매칭 장치(400)는 관리자가 태그(100)와 상품을 상호 매칭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휴대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리모트컨트롤러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매칭 장치(400)는 통신부(403), 상품 정보 획득부(401), 태그 정보 획득부(402) 및 제어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 획득부(401)는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위해, 상품 정보 획득부(401)는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나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을 캡쳐하여 이에 따른 상품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리더기 또는 QR 코드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정보 획득부(402)는 복수의 태그(100) 중 주위에 인접한 태그(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와 통신하는 리더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는 상기 태그(1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NFC 통신부일 수 있다.
통신부(403)는 중계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획득한 상품 정보 및 태그 정보를 포함한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03)는 상기 중계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03)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기술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03)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403)는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만을 포함하는 제 1 매칭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300)를 통해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통신부(403)는 상기 태그 정보, 상기 상품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매칭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300)를 통해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403)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중계 장치(300)로부터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403)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신호를 상기 중계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404)는 매칭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04)는 복수의 태그(100)와 상품 정보의 매칭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04)는 매칭 동작 진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상품 정보 획득부(401) 및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상품 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획득되는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4)는 상기 상품 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획득한 상품 정보를 저장부(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획득되는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획득한 상기 태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품 정보와 태그 정보의 매칭 진행을 위한 매칭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태그 정보에 상기 상품 정보를 매칭한 제 1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상기 태그 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태그 정보를 포함한 위치 확인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생성한 위치 확인 신호가 상기 통신부(403)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매칭 장치(400)에서 전송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신호라기보다는, 상기 매칭 장치(400)에서 현재 매칭중인 태그(100)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매칭 장치(400)가 상기 태그(100)와 최대한 접근한 곳에 위치한 경우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될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점에 상기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신호가 상기 통신부(403)를 통해 송신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상기 태그(100)의 태그 정보가 획득되기 위해서는, 상기 매칭 장치(400)가 상기 태그(1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해야 한다. 이때,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는 근거리 통신부이며, 바람직하게 NFC 통신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상기 태그 정보가 획득되기 위해서는 상기 매칭 장치(400)가 상기 태그(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10cm 이내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상기 태그(100)의 태그 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에의 상기 매칭 장치(400)의 현재 위치는 상기 태그(10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상기 태그 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에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는 상기 획득된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다수의 태그 중 어느 태그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신호인지 구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상기 태그 정보의 획득이 완료된 이후에 송신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태그 정보의 획득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매칭 장치(400)가 이동한 경우, 상기 매칭 장치(4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태그(100)의 위치는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404)는 상기 태그 정보의 획득이 완료된 이후,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와 상기 태그(100) 사이의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와 상기 태그(100) 사이의 통신이 연결된 상태라는 것은, 상기 매칭 장치(400)와 상기 태그(100) 사이의 거리가 10cm 이내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에서 상기 태그 정보의 수신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태그 정보의 수신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매칭 장치(400)가 상기 태그 정보의 완전한 수신 완료를 위해,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 거리를 유지하는 대기 시간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 거리가 유지되는 상기 대기 시간 내에 상기 획득한 태그 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결국,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와 상기 태그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일정 거리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의 통신 가능 거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10cm 이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되는 위치 확인 신호는 적어도 3개의 중계 장치(3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중계 장치는 상기 설명한 삼각측량법에 따라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매칭 장치(400)와의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계산된 거리에 대한 거리 정보는 특정 중계 장치(300)에서 취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중계 장치(300)는 상기 취합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통신부(403)를 통해 상기 특정 중계 장치(300)로부터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정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에서 획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태그(10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상품 정보 획득부(401)에서 획득된 상품 정보와,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에서 획득된 태그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최종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통신부(403)를 통해 상기 생성한 최종 매칭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태그 정보만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매칭 정보를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 중 특정 중계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이때, 상기 제 1 주파수 채널은 공통 채널이며, 이에 따라 상기 매칭 장치(400)의 주위에 위치한 모든 중계 장치(300)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매칭 정보는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이때,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은 복수의 중계 장치(300) 중 기지정된 특정 중계 장치(300)와의 통신을 위한 개별 주파수 채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매칭 정보는 복수의 중계 장치(300) 중 상기 개별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는 특정 중계 장치(3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어부(404)는 제 1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상기 획득한 상품 정보 및 상기 획득한 태그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어부(404)는 제 2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획득한 상품 정보 및 상기 획득한 태그 정보 획득부(402)만을 포함하는 제 1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제 1 매칭 정보와 구분되어 상기 중계 장치(300)에서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중계 장치(300)는 상기 제 1 매칭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매칭 정보를 포함하는 최종 제 2 매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제 2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장치(3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계 장치(300)는 제 1 통신부(301), 제 2 통신부(302), 저장부(303) 및 제어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301)는 상기 복수의 태그(100) 중 기지정된 특정 태그(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302)는 상기 매칭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통신부(302)는 상기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301) 및 상기 제 2 통신부(302)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기술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301) 및 상기 제 2 통신부(302)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저장부(303)는 매칭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위치 확인 신호를 토대로 취득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포함된 태그 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303)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03)는 상기 매칭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304)는 상기 중계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04)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신호를 토대로 상기 매칭 장치(400)와의 거리를 계산한다.
도 6은 일반적인 삼각측량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적어도 3개의 중계 장치(3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3개의 중계 장치(300)는 AP1, AP2 및 AP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AP1, AP2 및 AP3 각각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자신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AP1의 좌표 정보는 (X1, Y1)일 수 있고, 상기 AP2의 좌표 정보는 (X2, Y2)일 수 있으며, 상기 AP3의 좌표 정보는, (X3, Y3)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중계 장치(300)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신호의 송신 시간 및 수신 시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 장치와 상기 매칭 장치(40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리 계산은 하나의 송신기와 하나의 수신기 사이의 상기 위치 확인 신호의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하나의 송신기와 두개의 수신기 사이의 상기 위치 확인 신호의 이동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중계 장치(300)는 상기 거리가 계산되면,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를 메인 중계 장치(300)로 전송한다. 상기 메인 중계 장치(300)는 상기 복수의 중계 장치(300) 중 어느 하나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4)는 해당 중계 장치(300)가 상기 메인 중계 장치이면, 상기 다른 중계 장치(300)에서 계산된 거리 정보를 취합한다. 그리고, 상기 취합한 거리 정보와, 자신이 계산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X, Y)를 취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4)는 상기 취득한 좌표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매칭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4)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포함된 태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제어부(304)는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포함된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제 3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3 매칭 정보를 서버(20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제어부(304)는 상기 매칭 장치(400)로부터 상기 획득한 제 1 매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4)는 해당 중계 장치(300)가 상기 매칭 장치(400)와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인 경우, 상기 매칭 장치(400)로부터 상기 제 1 매칭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4)는 해당 중계 장치(300)가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매칭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300)가 아닌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매칭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300)로부터 상기 제 1 매칭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4)는 상기 전달받은 상기 제 1 매칭 정보와 상기 제 3 매칭 정보를 포함한 제 2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 2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칭 장치 및 중계 장치를 이용한 서버로의 태그 위치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중계 장치(300)는 중계 장치 #1, 중계 장치 #2, 중계 장치 #3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중계 장치 #1, 중계 장치 #2, 중계 장치 #3 각각은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매칭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확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상기 중계 장치 #1, 중계 장치 #2, 중계 장치 #3 중에서, 중계 장치 #1이 메인 중계 장치로 설정되어 있고, 중계 장치 #2가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매칭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로 설정되어 있음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한다. 그러나, 상기 메인 중계 장치 및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매칭 장치와 통신하는 중계 장치를 서로 동일한 중계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 #1)일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의 제 1 매칭 정보, 제 2 매칭 정보 및 위치 확인 신호를 나타낸 데이터 포맷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먼저 매칭 장치(400)는 상품 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101단계).
또한, 매칭 장치(400)는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102단계). 이때, 상기 상품 정보 및 태그 정보의 획득은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품 정보가 먼저 획득된 후 태그 정보가 획득될 수 있고, 또한 이와 다르게 태그 정보가 먼저 획득된 후 상품 정보가 획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매칭 장치(400)의 제어부(304)는 상기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태그 정보의 획득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103단계). 이때, 상기 위치 확인신호는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며, 이에 따라 주위에 위치한 중계 장치 #1, 중계 장치 #2, 중계 장치 #3에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각각 수신될 수 있다.
도 8의 (a)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의 데이터 포맷을 보여준다.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획득한 태그 정보로 구성된 태그 주소(Tag Addres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계 장치 #1, 중계 장치 #2, 중계 장치 #3은 각각 상기 수신한 위치 확인 신호의 송신 시간 및 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와의 거리를 계산한다(105단계, 106단계, 107단계).
이후, 상기 중계 장치 #2는 상기 거리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를 메인 중계 장치(300)인 상기 중계 장치 #1로 전송한다(108단계).
또한, 상기 중계 장치 #3은 상기 거리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를 상기 메인 중계 장치(300)인 상기 중계 장치 #1로 전송한다(109단계).
상기 중계 장치 #1은, 메인 중계 장치로써, 상기 중계 장치 #2 및 중계 장치 #3으로부터 전송되는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장치 #1은 각각의 중계 장치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중계 장치에서 계산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110단계).
이후, 상기 중계 장치 #1은, 상기 위치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한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매칭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111단계).
도 8의 (b)는 상기 위치 정보의 데이터 포맷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위치 정보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계산된 태그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 신호내에 포함되어 있던 태그 정보(tag addres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112단계).
도 8의 (c)는 상기 최종 매칭 정보의 데이터 포맷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최종 매칭 정보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실질적으로, 중계장치 #2의 주소일 수 있음)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획득한 태그 정보로 구성된 태그 주소(Tag Address) 필드와, 상기 상품 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획득한 상품 정보로 구성된 상품 정보 필드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중계 장치 #2로 상기 생성한 최종 매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13단계).
이후, 상기 중계 장치 #2는 상기 수신한 최종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114단계).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매칭 장치(400)가 상기 중계 장치(300)로부터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상품 정보, 태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모두 포함한 최종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의 제 1 매칭 정보, 제 2 매칭 정보 및 위치 확인 신호를 나타낸 데이터 포맷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매칭 장치(400)는 상품 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201단계).
또한, 매칭 장치(400)는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202단계). 이때, 상기 상품 정보 및 태그 정보의 획득은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품 정보가 먼저 획득된 후 태그 정보가 획득될 수 있고, 또한 이와 다르게 태그 정보가 먼저 획득된 후 상품 정보가 획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매칭 장치(400)의 제어부(304)는 상기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태그 정보의 획득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203단계). 이때, 상기 위치 확인신호는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며, 이에 따라 주위에 위치한 중계 장치 #1, 중계 장치 #2, 중계 장치 #3에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각각 수신될 수 있다.
도 10의 (b)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의 데이터 포맷을 보여준다.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획득한 태그 정보로 구성된 태그 주소(Tag Addres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획득한 상품 정보 및 상기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 1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 1 매칭 정보를 지정된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중계 장치 #2로 전송한다(204단계).
도 10의 (a)는 상기 제 1 매칭 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보여준다.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획득한 태그 정보로 구성된 태그 주소(Tag Address) 필드와, 상품 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획득한 상품 정보로 구성된 상품 bar cod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계 장치 #1, 중계 장치 #2, 중계 장치 #3은 각각 상기 수신한 위치 확인 신호의 송신 시간 및 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와의 거리를 계산한다(205단계, 206단계, 207단계).
이후, 상기 중계 장치 #2는 상기 거리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를 메인 중계 장치(300)인 상기 중계 장치 #1로 전송한다(208단계).
또한, 상기 중계 장치 #3은 상기 거리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를 상기 메인 중계 장치(300)인 상기 중계 장치 #1로 전송한다(209단계).
상기 중계 장치 #1은, 메인 중계 장치로써, 상기 중계 장치 #2 및 중계 장치 #3으로부터 전송되는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장치 #1은 각각의 중계 장치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중계 장치에서 계산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210단계).
이후, 상기 중계 장치 #1은, 상기 위치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한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 #2로 전송할 수 있다(211단계).
도 10의 (c)는 상기 위치 정보의 데이터 포맷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위치 정보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계산된 태그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던 태그 정보(tag addres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계 장치 #2는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제 1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212단계). 상기 제 2 매칭 정보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최종 매칭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0의 (d)는 상기 최종 매칭 정보의 데이터 포맷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최종 매칭 정보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실질적으로, 중계장치 #2의 주소일 수 있음) 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제 1 매칭 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던 태그 정보로 구성된 태그 주소(Tag Address) 필드와, 상품 정보로 구성된 상품 정보 필드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계 장치 #2는 상기 생성한 제 2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213단계).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중계 장치 #1이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 #2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 장치 #2에서 상기 제 2 매칭 정보가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기 중계 장치 #1에서 상기 제 2 매칭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중계 장치 #2는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수신한 제 1 매칭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 #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매칭 정보는 상기 거리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고, 상기 거리 정보와 개별적으로 상기 중계 장치 #2에서 상기 중계 장치 #1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 장치 #1은 상기 취득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제 1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상기 생성한 제 2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상기 중계 장치(30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취득하면서, 상기 매칭 장치(400)로부터 제 1 매칭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상품 정보, 태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모두 포함한 최종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의 제 1 매칭 정보, 제 2 매칭 정보 및 위치 확인 신호를 나타낸 데이터 포맷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매칭 장치(400)는 상품 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301단계).
또한, 매칭 장치(400)는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302단계). 이때, 상기 상품 정보 및 태그 정보의 획득은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품 정보가 먼저 획득된 후 태그 정보가 획득될 수 있고, 또한 이와 다르게 태그 정보가 먼저 획득된 후 상품 정보가 획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매칭 장치(400)의 제어부(304)는 상기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태그 정보의 획득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303단계). 이때, 상기 위치 확인신호는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며, 이에 따라 주위에 위치한 중계 장치 #1, 중계 장치 #2, 중계 장치 #3에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각각 수신될 수 있다.
도 12의 (b)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의 데이터 포맷을 보여준다.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획득한 태그 정보로 구성된 태그 주소(Tag Addres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장치(400)는 상기 획득한 상품 정보 및 상기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 1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 1 매칭 정보를 지정된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중계 장치 #2로 전송한다(304단계).
도 12의 (a)는 상기 제 1 매칭 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보여준다.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402)를 통해 획득한 태그 정보로 구성된 태그 주소(Tag Address) 필드와, 상품 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획득한 상품 정보로 구성된 상품 bar cod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계 장치 #1, 중계 장치 #2, 중계 장치 #3은 각각 상기 수신한 위치 확인 신호의 송신 시간 및 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와의 거리를 계산한다(305단계, 306단계, 307단계).
이후, 상기 중계 장치 #2는 상기 거리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를 메인 중계 장치(300)인 상기 중계 장치 #1로 전송한다(308단계).
또한, 상기 중계 장치 #3은 상기 거리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를 상기 메인 중계 장치(300)인 상기 중계 장치 #1로 전송한다(309단계).
또한, 상기 중계 장치 #2는 상기 매칭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310단계).
그리고, 상기 중계 장치 #1은, 메인 중계 장치로써, 상기 중계 장치 #2 및 중계 장치 #3으로부터 전송되는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장치 #1은 각각의 중계 장치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중계 장치에서 계산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칭 장치(4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311단계).
이후, 상기 중계 장치 #1은, 상기 위치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한 상기 매칭 장치(4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312단계).
도 12의 (c)는 상기 위치 정보의 데이터 포맷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위치 정보는 송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GW Address 필드와,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리모컨 주소(remocon address) 필드와, 프레임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계산된 태그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던 태그 정보(tag addres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일(tail) 정보에는 데이터 오류 해결 등을 위한 체크섬(checksum) 필드와, ET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품 정보 및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매칭 정보는 상기 매칭 장치(400)에서 중계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200)로 직접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는 상기 메인 중계 장치에서 계산되어, 상기 제 1 매칭 정보와는 별개로 상기 서버(20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매칭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제 2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자가격 표시 시스템에서는, 상품 정보와 태그 정보를 매칭하는 매칭 과정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품 정보와 태그 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태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태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품 정보와 태그 정보를 매칭하는 하나의 매칭 장치를 이용하여, 모든 태그 및 각각의 태그에 매칭된 상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는 매칭 장치에서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상기 태그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태그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시간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태그의 추가 비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태그의 소모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실시간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태그 및 상품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매장 운영자는 소비자에게 매장 운영 시스템에 실시간 상품 위치 제공이나, 최적의 광고 위치 선정 등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 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면, 중계 장치로 위치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태그 식별자를 포함하는
    태그 위치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태그 정보의 수신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전송되는
    태그 위치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태그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전송되는
    태그 위치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와 함께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태그 위치 전송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되어 복수의 중계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매칭 정보는,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복수의 중계 장치 중 기지정된 특정 중계 장치로 전송되는
    태그 위치 전송 방법.
  6. 중계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태그 정보 획득부;
    상품정보를 획득하는 상품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가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획득한 태그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를 포함한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태그 식별자를 포함한 위치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위치 확인 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계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매칭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를 통해 상기 태그 정보의 획득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매칭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 획득부를 통해 상기 태그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매칭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태그 정보,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매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매칭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제 1 주파수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되어 복수의 중계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매칭 정보가 제 2 주파수 채널을 통해 복수의 중계 장치 중 기지정된 특정 중계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매칭 장치.
  11. 매칭 장치와 통신하여 위치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위치 확인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위치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신호를 토대로 상기 매칭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인 신호는,
    상기 매칭 장치와 인접한 태그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확인 신호에 포함된 상기 태그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중계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매칭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중계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중계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태그 정보 및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매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1 매칭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를 삽입하여 제 2 매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생성한 제 2 매칭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중계 장치.
KR1020180000212A 2018-01-02 2018-01-02 매칭 장치, 중계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 KR20190082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12A KR20190082518A (ko) 2018-01-02 2018-01-02 매칭 장치, 중계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
PCT/KR2018/015414 WO2019135499A1 (ko) 2018-01-02 2018-12-06 매칭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12A KR20190082518A (ko) 2018-01-02 2018-01-02 매칭 장치, 중계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518A true KR20190082518A (ko) 2019-07-10

Family

ID=6714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212A KR20190082518A (ko) 2018-01-02 2018-01-02 매칭 장치, 중계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82518A (ko)
WO (1) WO20191354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490B1 (ko) * 2023-06-07 2024-01-04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Ai esl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2344A (zh) * 2021-12-23 2022-04-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价签网络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934A (ko) * 2005-11-09 2007-05-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알에프아이디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알에프아이디정보 제공 장치, 알에프아이디 정보 수신 장치, 기록매체
KR20090010333A (ko) * 2007-07-23 2009-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물품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935199B1 (ko) * 2007-10-09 2010-01-0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물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6797A (ko) * 2012-10-31 2014-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선반 라벨 태그 가격정보 할당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101712395B1 (ko) * 2015-07-10 2017-03-07 에이큐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 지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490B1 (ko) * 2023-06-07 2024-01-04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Ai esl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499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2990B2 (en) Analog heterogeneous connectivity tags and methods and systems to configure the tags
CN108562869B (zh) 一种室内定位导航系统及方法
US20130317916A1 (en) Location based technology for smart shopping services
US20110240731A1 (en)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method of synchronizing electronic shelf label tag with product, and method of updat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same
US94142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retail media
CN103914671A (zh) 电子货架标记系统
CN105117752B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esl系统
US10192158B2 (en) Electronic price indicator, power supply apparatus and electric price indicating system
KR20190082518A (ko) 매칭 장치, 중계 장치 및 이의 태그 위치 전송 방법
KR20170009045A (ko) 전자 가격 표시기,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030600A (ko) 상품 위치를 안내하는 단말 장치 및 상품 위치 안내 방법
KR20160020265A (ko) 개선된 정보 갱신 기능을 가지는 전자 라벨 시스템
KR101603160B1 (ko) 네트워크 연동 기능을 가진 비콘 게이트웨이를 이용하는 비콘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콘 신호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US1151665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hanges setting content of beacon terminal
KR20180070861A (ko) 위치 정보 단말기, 전자 가격 표시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5486136U (zh) 一种电子价格标签的绑定系统
CN105160371B (zh) 一种基于nfc技术的esl系统
CN103630130A (zh) 基于位基服务的导航系统及其导航显示方法
KR20160051455A (ko) 전자 라벨의 정보 등록 장치 및 정보 등록 방법
CN110580555A (zh) 一种商品管理方法及系统
WO2021140983A1 (ja)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品管理方法
KR20170101051A (ko)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014540A (ko)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에서의 채널 설정 방법
US20100003918A1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using active radio frequency tags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US11893612B2 (en) Shopping store planning and operations using large-scale distributed radio infra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