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292A - How to control solenoid valve of fuel injector - Google Patents
How to control solenoid valve of fuel inj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2292A KR20190082292A KR1020197016808A KR20197016808A KR20190082292A KR 20190082292 A KR20190082292 A KR 20190082292A KR 1020197016808 A KR1020197016808 A KR 1020197016808A KR 20197016808 A KR20197016808 A KR 20197016808A KR 20190082292 A KR20190082292 A KR 201900822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noid valve
- operating mode
- solenoid
- current
- time interv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cold st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01F7/1805—Circuit arrangements for holding the operation of electromagnets or for holding the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 H01F7/1816—Circuit arrangements for holding the operation of electromagnets or for holding the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making use of an energy accumula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01F7/1844—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17—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using means for creating a boost current or using reference switch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55—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with means for determining actual opening or closing ti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1—Engine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06—Fuel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3—Lift of the valve need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01F7/1805—Circuit arrangements for holding the operation of electromagnets or for holding the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 H01F7/1816—Circuit arrangements for holding the operation of electromagnets or for holding the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making use of an energy accumulator
- H01F2007/1822—Circuit arrangements for holding the operation of electromagnets or for holding the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making use of an energy accumulator using a capacitor to produce a boost volta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01F7/1844—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01F2007/185—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with armature position measur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된 연료를 내연기관 내로 분사하기 위한 연료 인젝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연료 관류 개구를 개방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전류 공급에 의해 상승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전기자;를 구비하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 작동 모드(B1) 및 제2 작동 모드(B2)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들 작동 모드(B1, B2) 각각에서 솔레노이드 코일은 솔레노이드 전기자를 상승시키기 위해 제1 시간 구간(Δt1) 동안 인입 전류를 공급받고, 이어서 제2 시간 구간 동안에는 인입 전류보다 더 낮은 유지 전류를 공급받으며,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는 먼저 제1 작동 모드(B1)에서 작동되고, 하나 이상의 기결정 기준(TS1, TS2)에 따라 제1 작동 모드(B1)로부터 제2 작동 모드(B2)로 전환되며, 제1 작동 모드(B1)에서 제1 시간 구간(Δt1)은 제2 작동 모드(B2)에서보다 더 길고, 그리고/또는 유지 전류는 제2 작동 모드(B2)에서보다 더 높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solenoid valve of a fuel injector for injecting pressurized fuel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solenoid valve comprising: a solenoid coil; And a solenoid armature which can be raised by current supply to the solenoid coil for opening the fuel perfusion opening, wherein the solenoid valve is operable in a first operating mode (B 1 ) and a second operating mode (B 2 ) In each of these operating modes (B 1 , B 2 ), the solenoid coil is supplied with a pull-in current during a first time interval (Δt 1 ) to raise the solenoid armature, Wherein the solenoid valve is first actuated in the first operating mode B 1 and is switched from the first operating mode B 1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B 1 according to one or more predetermined criteria T S1 , B is converted to 2), the first operating mode (B 1) a first time interval (Δt 1) is the second operating mode (B 2) longer, and / or the holding current than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B 2 ).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 인젝터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를 위한 방법뿐만 아니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계산 유닛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solenoid valve of a fuel injector, as well as to a computation unit and 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내연기관을 위한 분사 시스템은 탱크로부터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연료를 이송한다. 이 경우, 연료 인젝터들에 의해 연료가 고압 어큐뮬레이터로부터 내연기관의 연소실로 공급된다.The injection system for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ransfers fuel from the tank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this case, the fuel is supplied from the high-pressure accumulator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by the fuel injectors.
이 경우, 상기 연료 인젝터들은, 솔레노이드 전기자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연료 관류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자 행정의 설정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많은 부품이 관여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 행정은 연료 온도 및 연료 압력의 영향을 받는다.In this case, the fuel injectors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that is supplied with current to the solenoid coil to raise the solenoid armature and open the fuel perfusion opening. In this case, many parts of the solenoid valve may be involved in setting the armature stroke. Also, the armature stroke is influenced by the fuel temperature and the fuel pressure.
DE 10 2010 027 989 A1호에는, 분사 밸브들이 스위칭 시간의 단축을 위해 자신의 제어의 제1 단계(부스트 단계)에서 부스트 전압으로 스위칭됨으로써, 최댓값을 1회 도달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특히 높은 제1 전류가 설정되는 연료 시스템들이 기술된다. 부스트 단계는 대부분 전기자 운동의 시작, 즉, 전기자의 초기 가속도를 특징짓는다. 부스트 전압은 예컨대 차량 배터리에서의 DC 컨버터에서 발생하고, 그에 따라 배터리 전압보다 훨씬 더 높을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코일 내에 그에 상응하게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제1 전류가 흐르게 된다.In DE 10 2010 027 989 A1, the injection valves are switched to the boost voltage in the first stage of their control (boost phase) in order to shorten the switching time, so that the first highest value in the solenoid coil Fuel systems in which current is set are described. The boost phase most often characterizes the beginning of the armature motion, i.e., the initial acceleration of the armature. The boost voltage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in a DC converter in a vehicle battery, and thus much higher than the battery voltage, thereby correspondingly flowing a relatively higher first current into the coil.
그 결과,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기자는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가속화될 수 있다. 부스트 전압은 이른바 부스트 커패시터 내에 임시 저장된다. 제1 전류 상승에 바로 후속하는 제어의 단계(인입 단계, pull-in phase)에서, 잔여 전기자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코일이 부스트 전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배터리 전압으로 스위칭된다. 인입 단계는 대략 최대 전기자 행정에 도달할 때까지 전기자 운동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인입 단계에는 제3 단계(유지 단계, holding phase)가 이어진다. 이 경우, 코일은 제1 및 제2 단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적은 추가 전류로 작동된다. 그러나 유지 단계에서의 제어를 위해 배터리 전압도 이용된다. 유지 단계는, 전기자가 대략 일정한 행정에서 유지되게 한다.As a result, the armature of the solenoid valve can be accelerated relatively more strongly. The boost voltage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so-called boost capacitor. In the control phase (pull-in phase) immediately following the first current rise, the coil is switched to a battery voltage that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boost voltage in order to perform the residual armature motion. The infeed phase provides armature movement until approximately the maximum armor stroke is reached. In general, the third phase (holding phase) is followed by the incoming phase. In this case, the coil is operated with a relatively small additional current as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steps. However, battery voltage is also used for control in the maintenance phase. The holding step causes the armature to be maintained in a substantially constant stroke.
저온에서, 특히 저온의 연료에서, 너무 적은 분사량을 저지하기 위해, 개방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높은 전류로 솔레노이드 전기자의 신속한 상승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은 인입 단계 동안에도 배터리 전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부스트 전압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DE 102 42 606 A1호 및 DE 10 2010 027 989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At low temperatures, especially at low temperature, a rapid rise of the solenoid armature can be carried out with a higher current than is necessary for open holding, in order to block too little injection quantity. In this case, the coil can also be switched to a boost voltage that is relatively greater than the battery voltage during the lead-in phase. Such a method is known, for example, from DE 102 42 606 A1 and DE 10 2010 027 989 A1.
DE 10 2010 000 827 A1호는 예컨대 노즐 니들에 의해 제어되는 분사 노즐들과; 연료 인젝터의 고압 측 및 저압 측과 연통되고 제어 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폐쇄 압력과 개방 압력 간에 전환될 수 있는 제어 챔버;를 포함하는 연료 인젝터를 기술하고 있다. 제어 챔버에는, 폐쇄 및 개방 시 특징적인 압력 변화량들을 검출하는 힘 센서 또는 압력 센서가 할당된다. 상기 센서를 니들 폐쇄 센서(NCS 센서; NCS: Needle Closing Sensor)로서도 지칭된다. 상기 센서로 실행되는 방법은 니들 폐쇄 제어(NCC)로서 지칭된다. 이 방법의 경우, 연료 인젝터의 분사 단계의 시작 및 종료 시 제어 챔버 압력이 상당히 변동하는 점이 이용된다.DE 10 2010 000 827 A1 includes, for example, injection nozzles controlled by a nozzle needle; And a control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high pressure side and the low pressure side of the fuel injector and being switchable between a closing pressure and an opening pressure by a control valve assembly. The control chamber is assigned with a force sensor or a pressure sensor which detects the characteristic pressure variations upon closing and opening. The sensor is also referred to as a needle closing sensor (NCS sensor). The method implemented with the sensor is referred to as needle closure control (NCC). In this method, the control chamber pressure fluctuates significantly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fuel injector injection phase.
본 발명에 따라,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특징들을 갖는, 연료 인젝터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를 위한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계산 유닛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안된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 설명의 대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solenoid valve of a fuel injector, which has the features of the independent patent claims, and a calculation unit and 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re proposed. Preferred embodiments are subject of the dependent claim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솔레노이드 코일과; 연료 관류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전류 공급에 의해 상승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전기자;를 포함하는, 가압된 연료를 내연기관 내로 분사하기 위한 연료 인젝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는 연료 인젝터를 위한 서보 밸브 또는 제어 밸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들 작동 모드 각각에서 솔레노이드 코일은 솔레노이드 전기자를 상승시키기 위해 제1 시간 구간 동안 인입 전류(pull-in current)를 공급받고, 이어서 제2 시간 구간 동안에는 인입 전류보다 더 낮은 유지 전류(holding current)를 공급받는다. 이 경우, 제1 시간 구간은 인입 전류 전에도 여전히, 도입부에 언급한 것처럼, 부스트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솔레노이드 밸브는 먼저 제1 작동 모드에서 제어되며, 하나 이상의 기결정 기준에 따라 제1 작동 모드로부터 제2 작동 모드로 전환된다. 이 경우,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시간 구간은 제2 작동 모드에서보다 더 길고, 그리고/또는 유지 전류는 제2 작동 모드에서보다 더 높다.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enoid coil; And a solenoid armature that can be raised by a current supply to the solenoid coil to open the fuel perfusion opening. The solenoid valve of the fuel injector injects pressurized fuel in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this case, the solenoid valve can be used as a servo valve or a control valve for the fuel injector. In this case, the solenoid valve may be operated in the first operating mode and the second operating mode, and in each of these operating modes, the solenoid coil supplies a pull-in current for a first time interval to raise the solenoid armature And is then supplied with a holding current that is lower than the inrush current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In this case, the first time period may still include a boost current, a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before the pull-in current. Now the solenoid valve is first controlled in the first operating mode and switched from the first operating mode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according to one or more predetermined criteria. In this case, the first time period in the first operating mode is longer than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and / or the holding current is higher than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이런 방식으로, 특히 예컨대 연료의 증가된 점성에 의해 솔레노이드 전기자의 상승이 느려지는 저온에서도 최대한 큰 전기자 행정 및 그에 상응하게 최대한 많은 연료 유량 또는 시트 스로틀 한계(seat throttle limit)의 극복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내연기관의 시동 시 내연기관에 대해 특징적인 또 다른 온도, 예컨대 냉각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 미만이라면, 솔레노이드 밸브는 먼저 제1 작동 모드에서 제어된다. 또는, 솔레노이드 전기자가 기결정 값만큼 상승되는 시간 구간이 기설정 행정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다시 말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너무 느리게 개방된다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먼저 제1 작동 모드에서 제어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예컨대 마모 또는 증가한 마찰일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maximum possible armature stroke and, correspondingly, to cope with as much fuel flow or seat throttle limit as possible, even at low temperatures where the rise of the solenoid armature is slowed, for example by the increased viscosity of the fuel . In this regard, preferably, when another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 the star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example, the coolant temperature, is less than a preset temperature threshold, the solenoid valve is first controlled in the first operating mode. Alternatively, if the time interval over which the solenoid armature is raised by the predetermined value exceeds the preset stroke threshold, in other words, if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too slowly,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olenoid valve is first controlled in the first operating mode. The reason may be, for example, wear or increased friction.
특히 정규 또는 정상 작동을 위한 작동 모드일 수 있는 제2 작동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고 인입 전류가 이용되는 제1 시간 구간을 통해, 이제 솔레노이드 전기자의 행정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느린 경우에도 솔레노이드 전기자가 충분히 많이 상승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후속하는 유지 전류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에 반해, 제1 시간 구간이 너무 짧으면, 솔레노이드 전기자는, 유지 전류를 통해 야기되는 (인입 전류에서보다 분명히 더 작을 수 있는) 자력에 의해 개방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충분히 상승하지도 않고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에 충분히 가까이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연료 유량이 의도치 않게 감소할 수도 있고, 또는 예컨대 스위칭 밸브의 경우에는 시트 스로틀 한계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매우 적은 유량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더 긴 제1 시간 구간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유지 전류에 의해 솔레노이드 전기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상승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럼으로써, 솔레노이드 전기자를 유지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극미하게만) 상승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자력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Even if the stroke rate of the solenoid armature is now relatively slow, over a first time period in which the inrush current is relatively long and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cond operating mode, which may be an operating mode for normal or normal operation, the solenoid armature So that the solenoid valve can be held in the open state by the subsequent holding current. 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time period is too short, the solenoid armature does not rise sufficiently to keep it open by the magnetic force (which may b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pull-in current) caused by the holding current, The coil may not reach close enough. As a result, the fuel flow rate may inadvertently decrease o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witching valve, the seat throttle limit may not be reached, which may result in very low flow rates. However, as with the relatively longer first time interval, the solenoid armature can rise relatively more due to the relatively higher holding current, thereby maintaining the solenoid armature continuously In some cases, only to a very small extent), relatively higher magnetic forces can be generated.
이 경우, 제1 작동 모드에서 예컨대 14 내지 18A 범위의 인입 전류는 예컨대 배터리 전압 또는 차량 전기 시스템 전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6 내지 8A 범위인 (또는 제2 작동 모드에 비해 증가하였다면 예컨대 10 내지 12A의 범위인) 후속 유지 전류는 마찬가지로 배터리 전압 또는 차량 전기 시스템 전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전류값들, 특히 예컨대 약 18A의 최대 전류를 준수하면, 인입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 장치에서의 손상은 예상되지 않는다.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시간 구간으로서, (적어도 시작 시) 예컨대 450 내지 900㎲ 사이의 값들, 특히 600 내지 800㎲ 사이의 값들이 고려된다 한편, 제2 작동 모드에서 표준 시간 구간(typical time duration)은 예컨대 450㎲이다.In this case, the pull-in current in the first operating mod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4 to 18 A,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via the battery voltage or the vehicle electrical system voltage. A subsequent holding current, for example in the range of 6 to 8 A (or in the range of 10 to 12 A if increased compared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for example) may likewise be generated via battery voltage or vehicle electrical system voltage. Observing these current values, in particular a maximum current of, for example, about 18 A, no damage is expected in the control device supplying the inrush current. Values in the range of, for example, 450 to 900 占 퐏, and in particular in the range of 600 to 800 占 퐏 are taken into account as the first time interval in the first operating mode (at least at the start), while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the typical time duration Is 450 mu s, for example.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기결정 기준은, 제1 작동 모드의 시작 이후 솔레노이드 밸브의 적어도 하나의 기결정 작동 기간의 도달 또는 초과, 및/또는 내연기관의 특징적인 하나 이상의 온도의 적어도 하나의 기결정 값의 도달 또는 초과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보다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부하를 요구하는 제1 작동 모드가 불필요하게 오래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작동 기간 후에 내연기관이 충분히 웜업됨으로써, 저온의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전술한 단점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환을 개시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온도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히 하나 이상의 특성 온도는 연료 귀환부의 온도, 및/또는 연료 탱크의 온도, 및/또는 내연기관의 냉각수의 온도, 또는 상기 온도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온도와 작동 기간의 조합도 가능하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criteria criterion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predetermined or predetermined determination of the at least one predetermined operating period of the solenoid valve since the start of the first operating mode, and / Includes reaching or exceeding the value. Thereby, the first operating mode which requires a relatively higher load of the solenoid valve than the second operating mode may not be used unnecessarily long. For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sufficiently warmed up after a predetermined operating period, so that the aforementioned disadvantages in the low temperature solenoid valve no longer occur. Likewise, temperatures may be used directly to initiate the conversion.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at least one characteristic temperature may comprise the temperature of the fuel returning part and / or the temperature of the fuel tank and / o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se temperature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temperatures and the operating period is also possible.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기결정 기준은 각각 제2 시간 구간 동안 솔레노이드 전기자의 행정의 적어도 하나의 기결정 값의 도달 또는 초과, 및/또는 연료 인젝터의 노즐 니들의 폐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는 도입부에 언급한 NCS 센서일 수 있음)의 전압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기결정 값의 도달 또는 미달을 포함한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내연기관의 온도 및 그에 따른 연료의 온도는 솔레노이드 전기자의 행정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행정 속도 및 제1 시간 구간에 따라, 일반적으로 더 이상 솔레노이드 전기자의 추가 상승이 실시되지 않을뿐더러, 도달된 행정이 유지될 뿐인 제2 시간 구간 동안의 솔레노이드 전기자의 행정은 연료의 온도에 대한 척도이다. 따라서, 상기 행정은 다시 말해 제2 작동 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기준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도입부에 언급한 NCS 센서에 의해 매우 간단하게 행정에 대한 척도가 결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preferably one or more of the predetermined criteria may be reached or exceeded, respectively, of at least one predetermined value of the stroke of the solenoid armature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and / or the closing of the nozzle needle of the fuel injector Or at least one predetermined value of the voltage level of the sensor (which may be the NCS sensor referred to in the introduction) for detecting the voltage level. As already mentioned,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hence the temperature of the fuel affect the stroke rate of the solenoid armature. The stroke of the solenoid armature during the second time period in which no further rise of the solenoid armature is generally carried out and only the reached stroke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stroke velocity and the first time interval is measured on a scale of the temperature of the fuel to be. Thus, the stroke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switching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Likewise, a measure for the stroke can be determined very simply by the NCS sensor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행정의 적어도 하나의 기결정 값의 도달 또는 초과는 행정의 시간 곡선에 따라서, 그리고/또는 센서의 전압 레벨의 적어도 기결정 값의 도달 또는 미달은 센서의 전압 레벨에 따라서, 각각 복수의 제2 시간 구간에 걸쳐서 결정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제2 시간 구간 동안(다시 말해 유지 전류의 이용 동안) 정의된 측정 범위에서, 각각 행정 또는 전압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이제 행정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2 시간 구간들 및 그에 따른 제어 과정들에 걸쳐 증가하거나, 전압 레벨이 감소하면, 이는 온도가 상승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상응하게, (기결정 값의 도달 또는 초과 시) 제2 작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arrival or the exceedance of at least one predetermined value of the strok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ime curve of the stroke, and / or at least the predetermined value of the sensor's voltage level is reached or not, , Respectively, over a plurality of second time intervals. To this end, the respective stroke or voltage level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in the defined measuring range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i.e. during the use of the holding current). Now, if the stroke increases over the second time intervals of the solenoid valve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processes, or if the voltage level decreases, this means that the temperature has risen. Correspondingly, it can be switched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upon reaching or exceeding the predetermined value).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행정의 적어도 하나의 기결정 값의 도달 또는 초과, 및/또는 센서의 전압 레벨의 적어도 기결정 값의 도달 또는 미달은 각각, 감소된 유지 전류 및/또는 감소된 제1 시간 구간, 즉, 인입 전류 기간을 이용한 제1 작동 모드 동안 시험 측정치들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위해, 정해진 이격 간격들에서, 즉, 제1 작동 모드를 이용한 소정 갯수의 통상적인 제어 과정 이후에, 각각 여타의 경우 제1 작동 모드에 대해 통상적인 유지 전류 및/또는 여타의 경우 통상적인 인입 전류 기간 또는 제1 시간 구간을 갖는 제어 과정에 비해 감소된 유지 전류 및/또는 감소된 제1 시간 구간을 갖는 제어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제, 솔레노이드 전기자의 행정이 기결정 값에 도달하거나 그 기결정 값을 초과할 경우, 또는 전압 레벨이 기결정 값에 도달하거나 미달하는 경우,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감소한 유지 전류 및/또는 감소한 제1 시간 구간으로서 제2 작동 모드에서의 유지 전류 및/또는 시간 구간이 이용된다. 이 경우, 가급적 즉시 제2 작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Likewise preferably, at least one predetermined value of the stroke is reached or exceeded, and / or at least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voltage level of the sensor is reached or not, respectively, the reduced holding current and / I. E., During the first operating mode using the inrush current period. To this end, it is also possible, at predetermined spacing intervals, i.e. after a certain number of conventional control procedures using the first operating mode, to maintain a typical holding current and / A control process having a reduced holding current and / or a reduced first time interval as compared to a control process having a current period or a first time period can be performed. Now, it can be assumed that the temperature rises when the stroke of the solenoid armature reaches or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or when the voltage level reaches or falls below the predetermined value. In this case, particularly preferably, the holding current and / or the time interval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is used as the reduced holding current and / or the decreased first time interva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switch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as soon as possible.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1 작동 모드로부터 제2 작동 모드로의 전환은 하나 이상의 기준에 따른 제1 시간 구간 및/또는 유지 전류의 단계적 감소를 통해 수행된다. 그에 따라, 즉각적인 전환에 추가로, 두 작동 모드 간의 단계적 전환도 가능하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기준의 상이한 값들 및/또는 상이한 기준들은 상기 단계적 전환을 위해 각각의 단계에 상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단계적 전환을 통해 전체적으로 인입 전류를 위한 긴 제1 시간 구간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작동 기간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시간 구간은 예컨대 50, 100 또는 150㎲의 단계로 감소할 수 있다. 이 단계들은 예컨대 가변적일 수 있다.In a preferred manner, the transition from the first operating mode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is performed through a gradual reduction of the first time interval and / or the holding current according to one or more criteria. Accordingly, in addition to immediate switching,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stepwise between the two operating modes. For example, different values of one or more criteria and / or different criteria may be selected corresponding to each step for the stepwise conversion. The stepwise switching can achieve a relatively shorter operating period of the solenoid valve having a long first time interval for the entire incoming current. To this end, the first time period may be reduced to, for example, 50, 100, or 150 microseconds. These steps may be, for example, variable.
본 발명에 따른 계산 유닛, 예컨대 자동차의 제어 장치는 특히 프로그램 기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of a calculation unit, for example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dapted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 program description.
상기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특히 실행 측 제어 장치가 또 다른 작업들을 위해서도 이용됨에 따라 어차피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식이 특히 적은 비용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저장 매체는 특히,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EEPROM, DVD 등과 같은 자기식, 광학식 및 전자식 메모리들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 인트라넷 등)를 통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desirable to implement the above metho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ince this approach results in particularly low costs, especially if the running-side control device is used for other tasks anyway. Storage media suitable for providing computer programs are, in particular, magnetic, optical and electronic memories such as hard disks, flash memories, EEPROMs, DVDs,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download the program via a computer network (Internet, intranet, etc.).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및 구현예들은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Further advantag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is illustrated schematically in the drawings an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상이한 온도들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 내의 전형적인 전류 특성곡선 및 관련된 전기자 행정 특성곡선의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방법과,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 간의 비교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 내 전류, 관련 분사율, NCS 신호 특성곡선들 및 전기자 행정의 특성곡선들의 그래프이다.
도 4는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적용 시, 온도에 따른 인입 전류의 상이한 제1 시간 구간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olenoid valve in whic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2 is a graph of typical current characteristic curves and associated armature stroke characteristics curves in solenoid coils of solenoid valves at different temperatures.
Figure 3 is a graph of the solenoid coil current, associated injection rate, NCS signal characteristic curves, and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armature stroke of a solenoid valve in a comparison between a method no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to be.
4 is a graph showing different first time intervals of the incoming current with temperature in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one preferred embodiment.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예컨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코일(111)을 구비한 전자석(110)을 포함한다. 예컨대 실행측 계산 유닛(180), 예컨대 제어 장치를 통한 전압(U)의 인가 시, 솔레노이드 코일(111) 내에 전류(I)가 흐른다.1, there is shown schematically a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관류 개구(150)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데 이용되는 솔레노이드 전기자(120)가 제공된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전기자(120)는, 관류 개구(150)를 폐쇄하는 구성요소(122)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122)는 예컨대 관류 개구(150)의 방향으로 갈수록 부분적으로 원추형으로 좁아지는 단부를 가진 볼트의 형태로 형성된다.There is also provided a
또한, 솔레노이드 전기자(120)는, 솔레노이드 전기자(120)의 상부 단부, 다시 말하면 솔레노이드 코일(111)의 방향으로 향하는 단부 상에 제공되는 전기자 블레이드(121)(armature blade)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전기자 블레이드(121)는 구성요소(122)와 통합 형성될 수 있거나, 구성요소(122)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또한, 솔레노이드 전기자(120)에 작용하여, 솔레노이드 코일(111)로의 전류 공급 없이 그리고 그에 따라 자력 없이 전기자(120)를 관류 개구(150) 내로 또는 관류 개구쪽으로 가압하여 관류 개구를 폐쇄하는 스프링(130)이 제공된다. 솔레노이드 전기자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스프링(130)의 측은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적합한 (여기에는 미도시된) 구성요소에 정지되어 있을 수 있다.It also acts on the
솔레노이드 코일(111)로의 전류 공급 시 자력이 형성되고, 솔레노이드 전기자(120)는 스프링(130)의 스프링 힘에 대항해서 상승하여 솔레노이드 코일(111) 또는 전자석(110)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때, 관류 개구(150)는 개방된다.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상응하는 전류 공급 시, 솔레노이드 전기자(120)는 전자석(110)에 배치된 조정 링(115)(adjusting ring)에서 정지할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전기자(120)는 전기자 블레이드(121)의 반경 방향 바깥쪽 단부로 정지된다.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도 2에는, 상이한 온도들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 내 전류의 표준 특성곡선 및 관련된 전기자 행정의 특성곡선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시간(t)에 걸쳐 전류(I) 및 전기자 행정(h)이 표시되어 있다.FIG. 2 schematically shows the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armature stroke and the standard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solenoid coil current of the solenoid valves at different temperatures. To this end, the current I and the armature stroke h are shown over time t.
도면에는 상세히 표시되지 않은 선택적인 짧은 부스트 전류 이후, 제1 시간 구간(Δt1) 동안 인입 전류(IA)가 솔레노이드 코일 내에 흐를 수 있다. 이어서, 전류는 유지 전류(IH)로 감소할 수 있으며, 이 유지 전류는 그런 다음 제2 시간 구간(Δt2) 동안 흐른다. 여기에 도시된 전류 특성곡선은, 예컨대 내연기관이 작동 온도에 있을 때 솔레노이드 밸브의 정규 제어에서 일반적인 것이다.After an optional short boost current not shown in detail in the figure, the pull-in current I A can flow in the solenoid coil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DELTA t 1 . Then, the current can be reduced to the holding current I H , which then flows during the second time period? T 2 . The current characteristic curves shown here are common in normal control of solenoid valves, for example whe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at operating temperature.
한편, 도시된 전류 특성곡선에서는, 전자석 밸브를 통과하여 흐르는 연료의 점성이 증가함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전기자 행정의 3개의 특성곡선이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점성이 낮을 때에는 완전한 전기자 행정이 짧은 시간 내에 도달되는 반면, 점성이 약간 더 높은 경우에는 완전한 전기자 행정에 도달되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더 긴 시간 이후에야 도달된다. 점성이 더 증가할수록 전기자 행정 속도는 훨씬 더 감소하고, 솔레노이드 전기자는 더 이상 완전한 전기자 행정에, 즉,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정지부에 한 번도 도달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current characteristic curve shown, only three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armature stroke are shown schema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the viscosity of the fuel flowing through the electromagnet valve increases. When the viscosity is low, a complete armature stroke is reached in a short time, whereas when the viscosity is slightly higher, a complete armature stroke is reached, but only after a relatively longer time. As the viscosity further increases, the armature stroke rate decreases much more and the solenoid armature no longer reaches a complete armature stroke, i. E., For example, the stop shown in FIG.
이제, 도 3에는, 제1 작동 모드 동안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방법(특성곡선 I1, R1, S1, h1)과,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특성곡선 I2, R2, S2, h2) 간을 비교하여, 각각 시간(t)에 걸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 내 전류(I)의 특성곡선들, 관련 분사율들(R), NCS 신호 특성곡선들(S) 및 전기자 행정(h)의 특성곡선들이 도시되어 있다.Now, Fig. 3, during a first mode of operation methods that do not conform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stic curve I 1, R 1, S 1, h 1), and a preferred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example (characteristic curve I 2 , R 2 , S 2 , h 2 ) of the solenoid coil of the solenoid valv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characteristic curves of the solenoid coil current I of the solenoid valve, the associated injection rates R, NCS signal characteristic curves (S) and armature stroke (h).
NCS 신호(S)는, 도입부에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은 예컨대 피에조 센서의 전압 신호이다. NCS 신호의 특성곡선으로부터 전기자 행정(h)이 도출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The NCS signal S is, for example, a voltage signal of a piezo sensor as already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portion. From the characteristic curve of the NCS signal the armature stroke h can be derived or determined.
전류 특성곡선(I2)에서는 인입 전류가 시간 구간(Δt'1) 동안 이용되는 반면, 전류 특성곡선(I1)에서는 인입 전류가 시간 구간(Δt'1)보다 훨씬 더 짧은 시간 구간(Δt1) 동안 이용된다. 내연기관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도가 낮을 때 나타나는 것과 같은 높은 점성을 갖는 연료의 경우, 인입 전류가 이용되는 더 긴 제1 시간 구간은 이제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흐르는 더 많은 연료량을 야기한다. 이는 R1에 비해 증가된 분사율(R2)에서 확인된다.Current characteristic curve (I 2) in the inlet, the other hand is used for (1 and current characteristic curve (I 1) in the incoming current time interval (Δt current time interval Δt), much shorter time period than 1) (Δt 1 ). In the case of a fuel having a high viscosity such as that which appear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solenoid valve is low, the longer first time period in which the inrush current is used now results in a greater amount of fuel flowing through the solenoid valve. This is confirmed at an increased injection rate (R 2 ) relative to R 1 .
이 경우, 제1 시간 구간들에는, 솔레노이드 코일 내에서 유지 전류가 흐르는 제2 시간 구간(Δt2 또는 Δt'2)이 각각 이어진다. 이 경우, 제2 시간 구간들은, 각각의 제1 및 제2 시간 구간이 합쳐져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체 제어 시간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각각 선택된다.In this case, the first time intervals are followed by a second time interval (? T 2 or? T ' 2 ) in which the holding current flows in the solenoid coil. In this case, the second time intervals are respectively sele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are combined to derive the total control time of the solenoid valve.
이제, 특성곡선들(S2 또는 h2)에서는, 인입 전류를 위한 제1 시간 구간이 더 길수록 전기자 행정이 더 크며, 이는 더 높은 분사율과 일치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입 전류의 더 긴 제1 시간 구간의 선택을 통해, 온도가 낮고 연료 점성이 높은 경우에도 원하는 분사율이 달성될 수 있다.Now, in the characteristic curves (S 2 or h 2 ), it can be seen that the longer the first time interval for the incoming current is, the larger the armature stroke i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higher injection rate. Thus,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longer first time period of the inrush current, the desired injection rate can be achieved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low and the fuel viscosity is high.
여기에 도시된 제1 시간 구간(Δt'1) 또는 관련 전류 특성곡선(I2)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주에서 제1 작동 모드를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한편, 도시된 제1 시간 구간(Δt1) 또는 관련 전류 특성곡선(I1)은 제2 작동 모드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언급한 것처럼, 제2 작동 모드는 충분히 높은 온도에 도달했을 때에만 이용되며, 그럼으로써 연료의 높은 점성으로 인한 너무 낮은 분사율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다.Herein, the first time interval (Δt '1) or associated current characteristic curve (I 2) is to be used for the first operating mode in the context of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the other hand, the illustrated first time interval shown in ( Δt 1) or associated current characteristic curve (I 1) can be used for the second operating mode. As mentioned, the second operating mode is only used when a sufficiently high temperature is reached, so that a too low injection rate due to the high viscosity of the fuel no longer occurs.
도 4에는,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적용 시, 연료의 온도(T)에 따라서 인입 전류의 상이한 제1 시간 구간들(Δt1)이 도시되어 있다.4, there a preferred embodiment when apply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example, different first time interval of the current draw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uel (T) (Δt 1) is shown.
여기서는, 온도(T)가 기준으로서 값(TS1)에 도달할 때까지, 솔레노이드 코일이 제1 작동 모드(B1)에서 제어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간 구간은 출발값에서부터 제2 작동 모드(B2)에서 도달될 값으로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이 경우, 값(TS2)에 도달하는 동시에 제2 작동 모드(B2)가 사용된다.He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olenoid coil is controlled in the first operating mode B 1 until the temperature T reaches the value T S1 as a reference. In this case, the first time period i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starting value to the value to be reached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B 2 ). In this case, the second operating mode B 2 is used at the same time as the value T S2 is reached.
추가의 또는 다른 기준으로서, 예컨대 전기자 행정(h)의 기결정 값(hM)의 도달 또는 초과; 또는 전압 레벨 또는 전압 신호(S)의 기결정 값(SM)의 도달 또는 미달;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시간 구간(Δt2 또는 Δt'2) 동안 이용될 수 있다.As an additional or different criterion, for example, the arrival or exceedance of the predetermined value h M of the armature stroke h; Or a predetermined value S M of the voltage level or the voltage signal S can be used for a second time period? T 2 or? T ' 2 , as shown in Fig.
Claims (12)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제1 작동 모드(B1) 및 제2 작동 모드(B2)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들 작동 모드(B1, B2) 각각에서 솔레노이드 코일(111)은 솔레노이드 전기자(120)를 상승시키기 위해 제1 시간 구간(Δt1, Δt'1) 동안 인입 전류(IA)를 공급받고, 이어서 제2 시간 구간(Δt2, Δt'2) 동안에는 인입 전류(IA)보다 더 낮은 유지 전류(IH)를 공급받으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먼저 제1 작동 모드(B1)에서 작동되고, 하나 이상의 기결정 기준(TS1, TS2)에 따라 제1 작동 모드(B1)로부터 제2 작동 모드(B2)로 전환되며,
제1 작동 모드(B1)에서 제1 시간 구간(Δt1, Δt'1)은 제2 작동 모드(B2)에서보다 더 길고, 그리고/또는 유지 전류(IH)는 제2 작동 모드(B2)에서보다 더 높은, 연료 인젝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a solenoid valve (100) of a fuel injector for injecting pressurized fuel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solenoid valve comprising: a solenoid coil (111); And a solenoid armature (120) which can be raised by supplying current to a solenoid coil (111) for opening a fuel flow opening (150),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noid valve
The solenoid valve 100 may be operated in a first operating mode B 1 and a second operating mode B 2 and in each of these operating modes B 1 and B 2 the solenoid coil 111 is connected to a solenoid armature the first time interval to raise the (120) (Δt 1, Δt '1) being supplied to the incoming current (I a) for, then the second time interval (Δt 2, Δt' 2) during the pull current (I a) Is supplied with a lower holding current I H ,
The solenoid valve 100 includes a first, a first mode of operation and operative in the (B 1), at least one group determination reference (T S1, T S2), a first operating mode,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from (B 1) in accordance with (B 2 ),
A first operating mode the first time interval from (B 1) (Δt 1, Δt '1) has a second operating mode (B 2) longer, and / or the holding current than in the (I H) is a second operating mode ( B 2 ), wherein the solenoid valv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6222508.1 | 2016-11-16 | ||
DE102016222508.1A DE102016222508A1 (en) | 2016-11-16 | 2016-11-16 | Method for controlling a solenoid valve of a fuel injector |
PCT/EP2017/077085 WO2018091232A1 (en) | 2016-11-16 | 2017-10-24 | Method for controlling a solenoid valve of a fuel inj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2292A true KR20190082292A (en) | 2019-07-09 |
Family
ID=6026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6808A Ceased KR20190082292A (en) | 2016-11-16 | 2017-10-24 | How to control solenoid valve of fuel injecto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82292A (en) |
CN (1) | CN109952622B (en) |
DE (1) | DE102016222508A1 (en) |
WO (1) | WO201809123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0200682A1 (en) * | 2020-01-22 | 2021-07-22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magnetically controllable tank valve,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device |
DE102020206693A1 (en) * | 2020-05-28 | 2021-12-02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Method for operating a fuel injection system, control unit |
DE102020208051A1 (en) | 2020-06-29 | 2021-12-30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Method for coo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CN116447030B (en) * | 2023-04-26 | 2024-06-18 |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njection driving mode of injection valve and injec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42606A1 (en) | 2002-09-13 | 2004-03-25 | Robert Bosch Gmbh | Control method for electromagnetic device e.g. in motor vehicle fuel injection system, by connecting device to voltage supply in attracting phase, independently of operating state |
US7013876B1 (en) * | 2005-03-31 | 2006-03-21 | Caterpillar Inc. | Fuel injector control system |
EP2083159A1 (en) * | 2008-01-28 | 2009-07-29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 A method for driving solenoid-actuated fuel injector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DE102008042265A1 (en) * | 2008-09-22 | 2010-04-08 | Robert Bosch Gmbh | Method for operating an injection valve |
DE102010000827A1 (en) | 2010-01-12 | 2011-07-14 | Robert Bosch GmbH, 70469 | fuel injector |
DE102010027989A1 (en) | 2010-04-20 | 2011-10-20 | Robert Bosch Gmbh | A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erein a solenoid valve is actuated for injecting fuel |
DE102010043914A1 (en) * | 2010-11-15 | 2012-05-16 | Robert Bosch Gmbh | Method for operating injection valve of fuel injection system, involves lowering value of aperture parameter often as the calculated value of opening parameter relative to standardized value of opening parameter is unchanged |
DE102014201206A1 (en) * | 2014-01-23 | 2015-07-23 | Robert Bosch Gmbh | Method for determining a fuel property |
DE102014220795A1 (en) * | 2014-10-14 | 2016-04-14 | Robert Bosch Gmbh | Method for setting a current in a solenoid valve |
-
2016
- 2016-11-16 DE DE102016222508.1A patent/DE102016222508A1/en active Pending
-
2017
- 2017-10-24 KR KR1020197016808A patent/KR20190082292A/en not_active Ceased
- 2017-10-24 WO PCT/EP2017/077085 patent/WO201809123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10-24 CN CN201780070677.4A patent/CN109952622B/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952622A (en) | 2019-06-28 |
CN109952622B (en) | 2022-05-24 |
WO2018091232A1 (en) | 2018-05-24 |
DE102016222508A1 (en) | 2018-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98114B2 (en) | Fuel injection controller and fuel injection system | |
US5992391A (en) |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970376B2 (en) | Fuel injection controller and fuel injection system | |
US9322356B2 (en) | Method and control unit for operating a valve | |
US9200580B2 (en) |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injection valve | |
US9228521B2 (en) | Fuel injection controller and fuel-injection-control system | |
US11060475B2 (en) | Valve body operation estimation device | |
KR20190082292A (en) | How to control solenoid valve of fuel injector | |
CN105508068B (en) | Method for predetermining the current in a solenoid valve | |
JP4868554B2 (en) | Injection valve drive method | |
US8483933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fuel injector | |
CN110541769B (en) | Method for determining the closing moment of a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 |
JP2008051106A (en) | Piezoelectric fuel injector | |
US10648419B2 (en)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nd fuel injection system | |
US20190010889A1 (en) | Optimization of current injection profile for solenoid injectors | |
US7617813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piezoelectric actuator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iezoelectric actuator | |
US20170204804A1 (en) | Method for determining an opening delay of a fuel injector | |
US8332125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olenoid valve | |
CN102803689B (en) | The determination promoting delay of magnet valve | |
US9453473B2 (en) | Method for actuating a piezo injector of a fuel injection system | |
KR102469641B1 (en) | How to control fuel injectors | |
US11131264B2 (en)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 |
KR101836030B1 (en) | Method for determining the closing characteristic of the control valve of a piezo servo injector | |
KR2021010431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for improving the deviation of opening duration of injector | |
JP2021018888A (en) | Hydrogen injector for fuel cel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6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206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5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4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11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619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