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034A -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034A
KR20190082034A KR1020180037497A KR20180037497A KR20190082034A KR 20190082034 A KR20190082034 A KR 20190082034A KR 1020180037497 A KR1020180037497 A KR 1020180037497A KR 20180037497 A KR20180037497 A KR 20180037497A KR 20190082034 A KR20190082034 A KR 20190082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front frame
fastening
control unit
bone co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욱
홍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글
Priority to US16/177,26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204617A1/en
Publication of KR2019008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골전도 스피커와 제 1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 1 템플;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와, 상기 제 1 제어부와 무선 통신 가능한 제 2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 2 템플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는 각각 상기 제 1 골전도 스피커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아래의 설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거나 착용하여 사용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티셔츠부터 안경, 팔찌, 시계 또는 신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통상적으로 렌즈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집중하여 개발이 되어왔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만 집중되어, 일반적인 안경이 형태와는 매우 다른 기이한 형태로 개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수많은 사용자들로부터 일상 생활에서도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으면서, 음향 정보의 송수신이라는 기본적인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일부 구성 요소를 교체하더라도 자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골전도 스피커와 제 1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 1 템플;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와, 상기 제 1 제어부와 무선 통신 가능한 제 2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 2 템플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는 각각 상기 제 1 골전도 스피커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템플 및 제 2 템플이 탈착되는 전방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전방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템플이 상기 전방 프레임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을 마주하는 체결 전방부; 상기 제 1 템플이 상기 전방 프레임에 대해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을 마주하는 체결 내측부; 및 상기 체결 전방부 및 체결 내측부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 공간 중, 상기 체결 전방부가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과, 상기 체결 내측부가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은, 상기 가이드 홈이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 홀에 체결되는 돌기 형상을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공간 중, 상기 가이드 홈이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은 상기 체결 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는, 상기 전방 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제 1 골전도 스피커 및 제 1 제어부를 수용하는 전방 수용부; 사용자의 귀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배터리를 수용하는 후방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1 템플의 후방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방 수용부, 안착부 및 후방 수용부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전방 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골전도 스피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후방 수용부의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제 1 템플의 내측부로부터 하측 및 외측으로 연장하는 사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 중 입력 신호를 전달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선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제 1 템플의 외측부를 구비하는 외측 커버; 및 상기 외측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사선부를 구비하는 내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템플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외부에서 상기 외측 커버를 수직하게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상기 외측 커버에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제 1 템플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템플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충전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템플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템플의 외부 윤곽에 대응하는 내부 윤곽을 구비하고,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부 구성 요소를 교체하더라도 자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렌즈 프레임을 교체하더라도, 골전도 스피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격된 구성 요소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자체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좌측 템플이 양측 골전도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고, 우측 템플이 양측 골전도 스피커의 재생 목록을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조작성이 뛰어나다. 예를 들어,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템플의 내측 및 하측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손목에 부담 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이드부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구조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촉감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찾아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템플이 전방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의 내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을 내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을 외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사용자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 및 충전 포트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와, 충전 포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 및 충전 포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7년 12월 29일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17-0184697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고, 해당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특허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템플이 전방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안경, 헤어 밴드, 헤드폰 및 백폰 등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안경 형상을 갖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전방 프레임(10), 제 1 템플(11) 및 제 2 템플(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템플(11)은 제 1 골전도 스피커(111)를 구비하고, 제 2 템플(12)은 제 2 골전도 스피커(1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골전도 스피커(111)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121)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사용자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골전도 스피커(111)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121)는 사용자의 귀 전방 측두골(側頭骨)에 접촉하여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0)은 사용자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프레임(10)은 안경 또는 선글라스의 렌즈 프레임일 수 있다. 전방 프레임(10)은 제 1 템플(11)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 1 연결부(101)와, 제 2 템플(12)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 2 연결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템플(11) 및 제 2 템플(12)은 각각 제 1 연결부(101) 및 제 2 연결부(102)를 통해 전방 프레임(10)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제 1 템플(11)은 제 1 연결부(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체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체결부(110)는 제 1 연결부(1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홀(1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0)은 제 1 체결부(110)에 형성된 체결 홀(1101)에 체결되는 돌기 형상을 구비하는 제 1 연결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부(101)는 체결 홀(1101)에 삽입 가능한 돌기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 1 체결부(110)는 제 1 연결부(1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 1 체결부(110)가 돌기 형상을 구비하고, 제 1 연결부(101)가 제 1 체결부(110)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체결부(110)는 상하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제 1 연결부(101)의 상측 및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연결부(101)가 제 1 체결부(110)의 상측 및 하측을 커버할 수도 있다.
제 1 체결부(110)는 체결 전방부(110a), 체결 내측부(110b) 및 가이드 홈(1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전방부(110a)는 제 1 템플(11)이 전방 프레임(10)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 프레임(10)을 마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체결 전방부(110a)는 제 1 템플(11) 및 전방 프레임(10) 사이의 각도가 최대일 때, 전방 프레임(10)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템플(11)이 전방 프레임(10)에 대해 제 1 각도를 이룰 경우, 제 1 템플(11)의 체결 전방부(110a)는 전방 프레임(1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각도는 제 1 템플(11) 및 전방 프레임(1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각도는 80도 내지 100도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체결 내측부(110b)는 제 1 템플(11)이 전방 프레임(10)에 대해 접힌 상태에서, 전방 프레임(10)을 마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체결 내측부(110b)는 제 1 템플(11) 및 전방 프레임(10) 사이의 각도가 최소일 때, 전방 프레임(10)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템플(11)이 전방 프레임(10)에 대해 제 2 각도를 이룰 경우, 제 1 템플(11)의 체결 내측부(110b)는 전방 프레임(1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각도는 제 1 템플(11) 및 전방 프레임(1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각도는 0도 내지 20도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02)은 체결 전방부(110a) 및 체결 내측부(110b)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02)은 제 1 연결부(101) 및 제 1 체결부(110)의 결합 및/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가이드 홈(1102)은 제 1 템플(11)의 전방 및 내측 사이를 향하는 방향, 즉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전방부(110a)가 0도를 향하고, 체결 내측부(110b)가 90도를 향한다고 할 때, 가이드 홈(1102)은 대략 45도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02)은 인접한 체결 전방부(110a) 및 체결 내측부(110b)와 함께 대략 'U'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가이드 홈(1102)으로 인해, 제 1 체결부(11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 공간의 상하 간격은 전체적으로 불균일하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 공간 중 체결 전방부(110a) 및 체결 내측부(110b)가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은 상대적으로 좁고, 가이드 홈(1102)이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은 상대적으로 넓을 수 있다. 상기 체결 공간 중, 가이드 홈(1102)이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은, 체결 홀(110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제 1 템플(11) 및 전방 프레임(10)이 특정 각도를 이룰 때에만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제 1 템플(11) 및 전방 프레임(10)은 일반적으로 대략 0도(접힌 상태) 또는 대략 90도(펼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상황에서 제 1 템플(11)은 전방 프레임(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포지션을 이룬다. 한편, 사용자가 제 1 템플(11)을 전방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 1 템플(11) 및 전방 프레임(10)이 이루는 각도를 대략 45도로 맞춘 후에, 제 1 템플(11)을 전방 프레임(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제 1 템플(11) 및 전방 프레임(10)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45도인 상황은, 제 1 템플(11)을 접거나 펼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이루어질 뿐이므로,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만 제 1 템플(11) 및 전방 프레임(10)이 특정 각도를 이루게 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제 2 템플(12)은 제 2 골전도 스피커(121) 및 제 2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을 내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을 외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제 1 템플(11)을 도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수를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 1 템플(11)"은 "템플(11)"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 1 템플(11) 및 제 2 템플(12)의 구성 요소는 대부분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며,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제 1 템플(11)에 대한 설명은 제 2 템플(12)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템플(11)은 크게 전방 수용부(11a), 안착부(11b) 및 후방 수용부(11c)로 구획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0)으로부터 템플(11)의 후방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방 수용부(11a), 안착부(11b) 및 배터리 수용부(11c)는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수용부(11a)는 전방 프레임(10)에 근접한 부분일 수 있다. 전방 수용부(11a)는 외측 커버(116) 및 전방 내측 커버(11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수용부(11a)는 골전도 스피커(111) 및 제어부(112)를 수용할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111)는 전방 수용부(11a)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제어부(112)는 전방 수용부(11a)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111) 및 제어부(112) 사이의 중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골전도 스피커(111)로부터 전방 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줄여줄 수 있다.
안착부(11b)는 사용자의 귀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11b)는 전방 수용부(11a) 및 후방 수용부(11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b)는 배터리 수용부(11c)의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전방 수용부(11c)에서 발생된 진동의 세기는 안착부(11b)를 통과하며 감쇄할 수 있다. 안착부(11b)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터리(115) 및 골전도 스피커(111)를 연결하는 라인(미도시)과, 배터리(115)와 제어부(112)를 연결하는 라인(미도시)은 안착부(11b)의 중공을 통과할 수 있다.
후방 수용부(11c)는 전방 프레임(10)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분일 수 있다. 후방 수용부(11c)는 배터리(115)를 수용할 수 있다. 후방 수용부(11c)는 배터리(115)가 흔들리지 않도록, 배터리(115)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귀에 안착되는 안착부(11b)를 중심으로 템플(11)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대략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템플(11)은 안착부(11b)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무거운 배터리(115)를 후방에 위치시키되 비교적 가깝게 위치시키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골전도 스피커(111) 및 제어부(112)를 전방에 위치시키되 비교적 멀리 위치시킴으로써 대략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게 배분을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템플(11)은 골전도 스피커(111), 제어부(112), 전원 스위치(113), 배터리(115), 외측 커버(116), 전방 내측 커버(117), 후방 내측 커버(118) 및 충전 단자(119)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111)는, 스피커 바디(1111) 및 스피커 패널(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바디(1111)는 전방 수용부(11a)에 배치되어,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 패널(1112)은 스피커 바디(1111)로부터 생성된 진동을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할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111)는 안착부(11b) 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골전도 스피커(111)로부터 생성된 진동은 스피커 패널(1112)을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기도 하지만, 공기를 매질로 하여 사용자의 고막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골전도 스피커(111)는 템플(11)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전도 스피커(111)는 제어부(112), 전원 스위치(113) 및 배터리(115) 중 하나 이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 전선은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제어부(112)는 사선부(1171)를 통해 입력 신호를 전달 받아, 골전도 스피커(1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전방 프레임(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12) 및 전방 프레임(10) 사이의 거리는, 제어부(112) 및 골전도 스피커(111)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제어부(112)는, 인쇄회로기판(1121),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 지지 브라켓(1123) 및 안테나 패턴(1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21)은 템플(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수용부(11a)는 인쇄회로기판(1121)이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는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2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 및/또는 안테나 패널(1124)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초로, 골전도 스피커(111)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는 인쇄회로기판(1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선부(1171)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는 템플(11)을 수직하게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템플(11)의 외측부에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외부에서 템플(11)을 바라볼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는 템플(11)의 외측 커버(116)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유저 인터페이스인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가 가려지므로, 일반적인 안경으로 인식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이나, 사선부(1171)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123)은 인쇄회로 기판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12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에 가해지는 압력이 그대로 인쇄회로기판(1121)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123)은 전체적으로 두 개의 면이 서로 맞닿는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123)의 하면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를 지지하고, 지지 브라켓(1123)의 상면은 인쇄회로기판(1121)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123)의 내측에는 움푹 패인 홈을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 브라켓(1123) 및 인쇄회로기판(1121)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1124)은 지지 브라켓(1123)의 상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1124)은 지지 브라켓(1123)의 상기 홈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간략히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안테나 패턴(1124)이 형성될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템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쇄회로기판(1121)을 길게 연장할 필요 없이 안테나 패턴(1124) 및 인쇄회로기판(1121)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통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1124)을 통하여 한 쌍의 템플(11) 간의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테나 패턴(1124)은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템플(11)의 제 1 제어부(112)는 제 2 템플(12)의 제 2 제어부(122)와 상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안테나 패턴(1124)은 인쇄회로기판(1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템플(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는 볼륨 조절 기능을 할 수 있다. 제 1 템플(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를 조작할 경우, 제 1 템플(11)의 인쇄회로기판(1122)은 입력 신호를 기초로 골전도 스피커(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템플(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를 이용하여, 제 1 템플(11) 및 제 2 템플(12)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골전도 스피커의 볼륨을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템플(11)의 인쇄회로기판(1122)은 안테나 패턴(1124)을 통해,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 2 템플(12)의 안테나 패턴(미도시)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 2 템플(12)의 안테나 패턴(미도시)은 제 1 템플(11)의 안테나 패턴(1124)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제 2 템플(12)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달하고, 제 2 템플(12)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은 제 2 골전도 스피커(112, 도 1 참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제어부(112) 및 제 2 제어부(미도시)는 원격으로 무선 통신함으로써, 제 1 골전도 스피커(111)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121, 도 1 참조)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 제 1 및 제 2 템플(11, 12)이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므로, 전방 프레임(10)이 교체되더라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자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개인 취향에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전방 프레임(1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13)는 템플(11)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13)의 적어도 일부는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 스위치(113)를 가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 도 1 참조)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13)는 템플(11)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착용하거나 벗는 동안 용이하게 전원 스위치(113)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착용한 상태의 사용자는, 작동 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벗은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전원을 오프하는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 스위치(113)에 엄지 손가락을 올린 후 가압함과 동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벗을 수 있다.
배터리(115)는 골전도 스피커(111) 및 제어부(11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외측 커버(116)는 템플(11)의 외측부와 하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 커버(117, 118)은 외측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 커버(116) 및 내측 커버(117, 118)가 결합된 상태에서, 템플(11)은 내부에 중공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 커버(117, 118)은 템플(11)의 내측부와 사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 커버(117, 118)는 전방 내측 커버(117) 및 후방 내측 커버(118)로 분리 도시되어 있으나, 전방 내측 커버(117) 및 후방 내측 커버(118)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방 내측 커버(117)는 사선부(1171), 스피커 수용 홀(1172), 패널 지지부(1173) 및 가이드부(117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선부(1171)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착용했을 때를 기준으로, 템플(11)의 내측부로부터 하측 및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사선부(1171)는 내측 커버(117)의 내측부와 일정 각도, 예를 들어 30도 내지 60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사선부(1171)는 외측 커버(116)의 하측부와 일정 각도, 30도 내지 60도를 이룰 수 있다. 사선부(1171)는 내측 커버(117)의 내측부와, 외측 커버(116)의 하측부를 비스듬하게 연결할 수 있다. 사선부(1171)로 인해, 내측 커버(117)의 내측부는 외측 커버(116)의 하측부와 완만하게 연결될 수 있고, 템플(11)의 횡단면은 대략 5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선부(1171)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사선부(1171)에 의하면, 도 8을 통해 후술하는 것처럼 사용자는 손목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꺾을 필요 없이 손을 자연스럽게 올린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를 조작할 수 있다.
가이드부(1174)는 사선부(1171)로 갈수록 폭이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부(1174)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174)는 전원 스위치(113)가 구비되는 템플(11)의 하측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가 구비되는 사선부(117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부(1174)는 내측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174)는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부(1174)를 하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이드부(1174)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을 자연스럽게 올려 템플(11)을 파지하는 자세에서, 엄지손가락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 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가이드부(1174)에 맞닿은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가이드부(1174)를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부(1174)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가이드하는 촉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후방 내측 커버(118)는 배터리(115)의 일면을 지지하는 후방 내측 커버 바디(1181)와, 신체와의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한 마찰 부재(1182)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단자(119)는 템플(11)의 후방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 단자(119)는 템플(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충전 단자(119)는 배터리(115)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므로, 배터리(115)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전 단자(119)는 예를 들어, 템플(11)에 대하여 고정된 형태의 단자이거나, 템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포고핀일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U)는 손목 관절(J)의 부담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손(H)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 도 5 참조)가 사선부(1171, 도 5 참조)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템플(11, 도 5 참조)의 내측면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U)는 손목 관절(J)을 바깥쪽으로 부자연스럽게 신장(extension) 하여야만 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템플(11)의 하측면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U)는 손목 관절(J)을 안쪽으로 부자연스럽게 굽힘(flexion) 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사선부(1171)에 의하면, 이상의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야기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각종 런닝, 자전거타기(cycling) 및 등산 등의 아웃도어 활동 시에도 자연스럽게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22)를 조작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방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 1 템플(11) 및 제 2 템플(12)은 각각 제 1 제어부(112) 및 제 2 제어부(122)를 통해 서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12) 및 제 2 제어부(122)는 전방 프레임(1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제어부(112) 및 전방 프레임(10) 사이의 거리는, 제 1 제어부(112) 및 제 1 골전도 스피커(111, 도 1 참조)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제어부(122) 및 전방 프레임(10) 사이의 거리는, 제 2 제어부(122)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121, 도 1 참조)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방식 등의 무선 통신 신호는 인체를 통과하기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제 1 제어부(112) 및 제 2 제어부(122)는 사용자의 신체의 간섭을 덜 받고, 효율적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 및 충전 포트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와, 충전 포트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템플 및 충전 포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충전 포트(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포트(19)는 제 1 템플(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템플(11)의 외부 윤곽에 대응하는 내부 윤곽(19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템플(11)의 외부 윤곽은 외측 커버(116) 및 후방 내측 커버(118)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충전 포트(19)는, 포트 홈(192), 커넥터(193) 및 충전 라인(194)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 홈(192)은 충전 포트(19)의 상방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파인 홈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포트 홈(192)에 손가락을 밀어 넣음으로써 제 1 템플(11)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커넥터(193)는 제 1 템플(11)이 충전 포트(19) 내부로 삽입된 겨우, 충전 단자(1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93)는 예를 들어, 충전 포트(19)에 대하여 고정된 형태의 단자이거나, 제 1 템플(11)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포고핀일 수 있다.
충전 라인(194)은 충전 단자(119)를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6)

  1. 제 1 골전도 스피커와 제 1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 1 템플;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와, 상기 제 1 제어부와 무선 통신 가능한 제 2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 2 템플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는 각각 상기 제 1 골전도 스피커 및 제 2 골전도 스피커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템플 및 제 2 템플이 탈착되는 전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전방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템플이 상기 전방 프레임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을 마주하는 체결 전방부;
    상기 제 1 템플이 상기 전방 프레임에 대해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을 마주하는 체결 내측부; 및
    상기 체결 전방부 및 체결 내측부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 공간 중, 상기 체결 전방부가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과, 상기 체결 내측부가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은, 상기 가이드 홈이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 홀에 체결되는 돌기 형상을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공간 중, 상기 가이드 홈이 구비된 부분의 상하 간격은 상기 체결 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는, 상기 전방 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제 1 골전도 스피커 및 제 1 제어부를 수용하는 전방 수용부;
    사용자의 귀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배터리를 수용하는 후방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1 템플의 후방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방 수용부, 안착부 및 후방 수용부가 순서대로 배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전방 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골전도 스피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후방 수용부의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제 1 템플의 내측부로부터 하측 및 외측으로 연장하는 사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 중 입력 신호를 전달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선부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제 1 템플의 외측부를 구비하는 외측 커버; 및
    상기 외측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사선부를 구비하는 내측 커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템플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외부에서 상기 외측 커버를 수직하게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상기 외측 커버에 완전히 오버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템플은, 상기 제 1 템플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템플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충전 단자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템플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템플의 외부 윤곽에 대응하는 내부 윤곽을 구비하고,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80037497A 2017-12-29 2018-03-30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90082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77,268 US20190204617A1 (en) 2017-12-29 2018-10-31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97 2017-12-29
KR20170184697 2017-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034A true KR20190082034A (ko) 2019-07-09

Family

ID=672618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497A KR20190082034A (ko) 2017-12-29 2018-03-30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80037516A KR20190082035A (ko) 2017-12-29 2018-03-30 웨어러블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516A KR20190082035A (ko) 2017-12-29 2018-03-30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8203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035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4617A1 (en) Wearable device
KR101786613B1 (ko)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CN210835473U (zh) 耳戴式电极结构以及穿戴式生理感测装置
EP3525031B1 (en) Display device
US20040008158A1 (en) Head-mounted display
US9075249B2 (en) Eyeglass frame with input and output functionality
CN104094592B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眼镜用显示设备和显示设备用眼镜镜脚
KR101819530B1 (ko) 골전도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다리
US10191289B2 (en) Modular accessories for head-mountable device
CN105340294A (zh) 具有可适应装配的耳机
CN116338983A (zh) 模块化眼镜系统、设备和方法
US20110090135A1 (en) Interchangeable display device for a head-mounted display system
KR20150118979A (ko)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듈식 프레임 구성
CN108646409A (zh) 带有输入和输出结构的可佩戴装置
KR20150111198A (ko) 이동 단말기
US9807490B1 (en) Vibration transducer connector providing indication of worn state of device
JP5555366B1 (ja) 眼鏡フレーム、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付眼鏡
JPH10294983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CN113168033A (zh) 具有音频回放功能的眼镜
KR2019008203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CN112022668A (zh) 一种颈部按摩仪
JP2014059544A (ja) 補聴器付き眼鏡
CN217181349U (zh) 一种便于拆卸的智能眼镜套件以及智能眼镜
CN112433366B (zh) 智能眼镜
TWI678559B (zh) 模組化智慧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