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949A -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949A
KR20190081949A KR1020170184830A KR20170184830A KR20190081949A KR 20190081949 A KR20190081949 A KR 20190081949A KR 1020170184830 A KR1020170184830 A KR 1020170184830A KR 20170184830 A KR20170184830 A KR 20170184830A KR 20190081949 A KR20190081949 A KR 2019008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und pattern
touch sensor
sensor module
touch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502B1 (ko
Inventor
천호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09J2201/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SD(Electrostatic Discharge) 성능을 향상한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커버 글라스와, 상기 커버 글라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의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회로부로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배선층과, 상기 라우팅 배선층의 외곽을 둘러싸는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패턴층을 포함하여, 정전기가 상기 라우팅 배선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OUCH SENSOR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SD(Electrostatic Discharge) 성능을 향상한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들이 사용자와 가전기기 또는 각종 정보통신기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법을 익혀야 하고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불편을 야기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따라서, 편리하면서도 간단하고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손이나 펜 등으로 화면을 직접 터치하거나 근접시켜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센서(touch sensor)가 제안되었다.
터치센서는 간단하고, 오작동이 적으며, 별도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편리성 때문에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상술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터치센서는 그 구조에 따라 상판 부착형(add-on type), 상판 일체형(on-cell type) 및 내장형(integrated type or in-cell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상판 부착형은 표시장치와 터치센서 모듈을 개별적으로 제조한 후에, 표시장치의 상판에 터치센서 모듈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상판 일체형은 표시 장치의 상부 유리 기판 표면에 터치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소자들을 직접 형성하는 방식이다. 내장형은 표시장치 내부에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소자들을 내장하여 표시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터치센서 모듈 중 상판 부착형은 그 제조 및 표시장치에의 적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터치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서 모듈(100)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접착층(A)으로 터치센서 모듈(100)이 합착되어 구성된다.
터치센서 모듈(100)은 커버 글라스를 포함하며, 커버 글라스에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과 라우팅 배선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액정표시 장치를 예로 들면,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가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층(A)은 접착제 층으로 이루어지거나,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 모듈(10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별도의 도구와의 접촉이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의 신체 또는 별도의 도구와의 접촉시에 정전기가 터치센서 모듈로 유입될 수 있다.
터치센서 모듈(100)의 내부로 정전기가 유입되면, 그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 모듈(100)로 유입된 정전기가 터치센서 모듈(100)의 측면을 타고 흘러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유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전기가 터치센서 모듈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전기가 터치센서 모듈의 외면을 타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커버 글라스와, 상기 커버 글라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의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회로부로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배선층과, 상기 라우팅 배선층의 외곽을 둘러싸는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패턴층을 포함하여, 정전기가 상기 라우팅 배선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라우팅 배선층과 동일 높이에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라우팅 배선층과 접지패턴층의 저면에 적층되는 오버 코트층과,상기 오버 코트층의 저면을 감싸는 보호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오버 코트층의 외측면과 보호필름층의 외측면은 상기 접지패턴층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지패턴층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버 글라스와, 상기 커버 글라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의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회로부로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배선층과, 상기 라우팅 배선층의 외곽을 둘러싸는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패턴층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과, 상기 터치센서 모듈과 합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접지패턴층의 내측에 오버코트층과 보호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버코트층과 상기 보호필름층은 상기 접지패턴층의 내면의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글라스와, 상기 커버 글라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의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회로부로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배선층과, 상기 라우팅 배선층의 외곽을 둘러싸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모서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전기가 터치센서 모듈의 라우팅 배선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전기로 인한 오류 또는 손상을 저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라우팅 배선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접지전극층을 배치하되, 접지전극층의 측면과 외면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접지전극층으로 유입된 정전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터치센서 모듈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터치센서 모듈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터치센서 모듈의 터치 전극과 라우팅 배선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접지 패턴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접지 패턴과 오버코트층과 보호필름층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터치센서 모듈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센서 모듈(100)은 커버 글라스(110)와, 블랙 마스크 층(120)과, 인덱스 매칭층(130)과, 터치센서 전극층(140)과, 절연 패턴층(150)과, 터치센서 연결전극층(160)과, 라우팅 배선층(170)과, 오버코트층(180)과, 보호필름층(190)을 포함한다.
터치센서 모듈(100)은 커버 글라스(110)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 줄을 조밀 하게 설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위치를 좌표로 알아내는 가압식과 커버 글라스(110) 표면에 전하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들을 설치한 후 접촉 시에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는 정전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터치센서 모듈(100)은 정전용량(capacitive overlay) 방식, 압력식 저항막([0050] resistive overlay) 방식, 적외선(infrared beam) 감지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integral strain gauge)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surface acoustic wave) 방식 등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커버 글라스(110)의 외부로 향하는 면을 외면으로 칭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는 면을 내면으로 칭한다.
커버 글라스(110)는 터치센서 모듈(100)을 외부 환경과 물리적인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버 글라스(110)는 강화유리 또는 투명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110)의 내면에는 블랙 마스크층(120)이 적층된다. 블랙 마스크층(120)은 커버 글라스(110)의 내면에 인쇄되며, 화면이 표시되는 화소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마스크층(120)은 대스플레이 모듈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에서 터치센서 모듈(100)의 내부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블랙 마스크층(120)의 내면에는 인덱스 매칭층(130)이 적층된다. 인덱스 매칭층(130)은 절연층으로 형성되며, 터치센서 전극층(140)이 시인되지 않도록 굴절률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블랙 마스크층(120)과 인덱스 매칭층(130)의 사이에는 버퍼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인덱스 매칭층(130)의 내면에는 터치센서 전극층(140)이 배치된다. 터치센서 전극은 상하 좌우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터치센서 전극층(140)은 투명 도전성 물질인 인듐-틴-옥사이드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나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센서 전극층(140)의 내면에는 절연 패턴층(150)이 적층된다. 절연 패턴층(150)은 터치센서 연결전극층(160)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터치센서 전극층(140)의 내면에 적층된다.
절연 패턴층(150)의 내면으로는 터치센서 연결전극층(160)이 적층된다.
터치센서 연결전극층(160)은 절연 패턴층(15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터치센서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센서 연결전극층(160)의 아래쪽으로는 라우팅 배선층(170)이 적층된다. 라우팅 배선층(170)은 평면적으로는 터치센서 전극층(140)의 둘레에 배치된다.
라우팅 배선층(170)의 내면 전체를 감싸는 오버코트층(180)이 적층된다.
오버코트층(180)의 내면으로는 보호필름층(190)이 적층된다.
보호필름층(190)은 비산방지필름(ASF)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필름층(190)은 터치센서 모듈(10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는 에어갭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OGS(On Glass Solution) 터치센서 모듈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터치센서 모듈의 터치센서 전극층과 라우팅 배선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서 전극층(140)은 제1 전극부(142)와, 제2 전극부(144)를 포함한다.
제1 전극부(142)는 복수의 마름모 패턴이 제1 방향(예를 들어, 도면 상 세로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전극들(TX1 ~ TX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부(144)는 복수의 마름모 패턴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도면 상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 전극들(RX1 ~ RX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연결된 제1 전극들(TX1 ~ TX5)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1 방향으로 연결된 제1 전극들(TX1 ~ TX5) 각각은, 제2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전극들(TX1 ~ TX5)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또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된 제2 전극들(RX1 ~ RX4)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2 방향으로 연결된 제2 전극들(RX1 ~ RX4)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전극들(RX1 ~ RX4)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전극들(RX1 ~ RX4)은 연결전극층(16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전극층(160)은 제1 전극들(TX1 ~ TX5)과 제2 전극들(RX1 ~ RX-5) 간의 쇼트(short)를 방지하면서 제2 전극들(RX1 ~ RX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들간의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앞서 설명한 절연패턴층(150)이다. 도 3에서는, 연결전극층(160)이 복수의 제2 전극들(RX1 ~ RX4)을 연결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제1 전극들(TX1 ~ TX5)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전극층(16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연결전극층(160)의 재질을 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하는 경우, 소정 요건의 광 투과율을 만족시키면서도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방향으로 연결된 제1 전극들(TX1 ~ TX5)은, Tx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된 라우팅 배선(17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향으로 연결된 제2 전극들(RX1 ~ RX4)은 Rx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되는 라우팅 배선(172)에 연결될 수 있다.
라우팅 배선(172)은 터치센서 모듈의 일측에 배열된 접속 패드(174)로 연결되며, 상기 접속 패드(174)는 Tx 구동부와 Rx 구동부가 구비된 회로부와 접속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라우팅 배선층의 외측에 접지패턴층(17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터치센서 모듈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라우팅 배선층(170)이므로, 라우팅 배선층(170)으로 정전기가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라우팅 배선층(170)으로 정전기가 유입되면 라우팅 배선의 전하값이 변경되어 노이즈(noise)가 발생하거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는 회로의 손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라우팅 배선층(170)을 둘러싸는 형태로 접지패턴층(175)을 배치하여, 유입되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가 라우팅 배선층(170)에 도달하기 전에 접지패턴층(175)을 통해 흡수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접지패턴층(175)은 도전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패턴층(175)은 정전기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며, 정전기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전기가 흐르는 경로상에 접지패턴층(175)이 배치되면, 정전기가 흐르다가 접지패턴층(175)으로 유도된다.
다시말해, 다른 구성품으로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를 접지패턴층(175)에서 흡수하게 됨으로써, 다른 구성품으로 정전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터치센서 모듈의 측면이 일직선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접지패턴층(175)의 측면만이 노출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터치센서 모듈의 전면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질 때, 터치와 함께 정전기가 터치센서 모듈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 때 정전기는 터치센서 모듈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경향을 나타낸다.
터치센서 모듈의 표면으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는 터치센서 모듈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 내려가게 되는데, 그 경로상에 접지패턴층(175)이 배치되면, 외측면을 따라 흐르던 정전기가 접지패턴층(175)으로 흡수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접지패턴층(175)의 배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오버코트층(180)의 테두리와 보호필름층(190)의 테두리가 접지패턴층(175)의 외곽면보다 안쪽에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접지패턴층(175)의 모서리가 단차면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 접지패턴층(175)의 측면(175a)이 외부로 노출되고, 접지패턴층(175)의 배면(175b)의 일부도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면(175c)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터치센서 모듈(100)의 외면중 접지패턴층(175)이 차지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터치센서 모듈(100)의 외면을 타고 흐르는 정전기가 접지패턴층(175)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접지패턴층(175)의 배면(175b)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175c)을 형성한 것이나, 접지패턴층(175)의 배면(175b) 전체가 노출면(175c)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도 7의 실시예 참조)
도 5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의 경우 터치센서 모듈(100)의 측면(175a)을 타고 흐르는 정전기가 접지패턴층(175)의 노출면(175c)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어서, 터치센서 모듈(100)의 아래쪽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정전기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패턴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지패턴층(175)은 라우팅 배선층(174)의 최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라우팅 배선에 비하여 두꺼운 선폭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접지패턴층(175)의 선폭이 두꺼워 지면, 접지패턴층(175) 전체의 대전 성능이 향상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접지패턴층은 금속케이스 등 다른 접지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접지 패턴과 오버코트층과 보호필름층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평면적이 배치 구조를 살펴보면, 터치 센서 전극층(140)의 제1전극(142)과 제2전극(144)의 외부를 라우팅 배선(172)이 둘러싸는 형태가 되며, 라우팅 배선(172)의 외부를 접지패턴층(175)이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패턴층(175)의 배면에 노출면(도 5의 175c)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오버코트층(180)과, 보호필름층(190)은 접지패턴층(175)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어야 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오버코트층(180)과 보호필름층(190)이 접지패턴층(175)과 중첩되지 않는 내부 영역에 배치된 것이나, 앞서 살펴본 도 5의 단면도와 같이, 오버코트층(180)과 보호필름층(190)의 일부가 접지패턴층(175)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지패턴층을 라우팅 배선층의 외곽에 라우팅 배선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터치센서 모듈로 유입되는 정전기가 라우팅 배선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지패턴층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오버코트층과 보호필름층의 측면이 접지패턴층의 외곽측면보다 안쪽에 배치되도록 하며, 접지패턴층의 저면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입된 정전기가 접지패턴층을 거쳐 디스플레이 모듈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터치센서 모듈
110: 커버글라스
120: 블랙마스크층
130 : 인덱스 매칭층
140 : 터치센서 전극층
150 : 절연패턴층
160 : 연결전극층
170 : 라우팅 배선층
175 : 접지패턴층
175a : 측면
175b : 배면
175c : 노출면
180: 오버코트층
190 : 보호필름층
200 :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1)

  1. 커버 글라스와,
    상기 커버 글라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의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회로부로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배선층과,
    상기 라우팅 배선층의 외곽을 둘러싸는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패턴층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패턴층은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터치센서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라우팅 배선층과 동일 높이에 적층되어, 상기 라우팅 배선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터치센서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배선과 접지 패턴의 저면에 적층되는 오버 코트층과,
    상기 오버 코트층의 저면을 감싸는 보호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코트층의 외측면과 보호필름층의 외측면은 상기 접지패턴층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지패턴층의 배면에 노출면이 형성되는 터치센서 모듈.
  6. 커버 글라스와, 상기 커버 글라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의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회로부로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배선층과, 상기 라우팅 배선층의 외곽을 둘러싸는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패턴층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과,
    상기 터치센서 모듈과 합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양면테이프로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접지패턴층의 내측에 오버코트층과 보호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버코트층과 상기 보호필름층은 상기 접지패턴층의 내면의 노출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글라스와, 상기 커버 글라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의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회로부로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배선층과, 상기 라우팅 배선층의 외곽을 둘러싸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모서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패턴층의 내측에 오버코트층과 보호필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버코트층과 상기 보호필름층은 상기 접지패턴층의 배면에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양면테이프로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84830A 2017-12-29 2017-12-29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30A KR102497502B1 (ko) 2017-12-29 2017-12-29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30A KR102497502B1 (ko) 2017-12-29 2017-12-29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949A true KR20190081949A (ko) 2019-07-09
KR102497502B1 KR102497502B1 (ko) 2023-02-07

Family

ID=6726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830A KR102497502B1 (ko) 2017-12-29 2017-12-29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37U (ko) * 2020-06-11 2021-12-21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터치 센서의 정전 방전 보호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1830A (ja) * 2008-06-12 2009-12-24 Nitto Denko Corp 透明導電性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KR20120001406A (ko) * 2010-06-29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1830A (ja) * 2008-06-12 2009-12-24 Nitto Denko Corp 透明導電性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KR20120001406A (ko) * 2010-06-29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37U (ko) * 2020-06-11 2021-12-21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터치 센서의 정전 방전 보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502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3904B2 (ja) タッチセンサを含む表示装置
US9454253B2 (en) Smartphone
EP2746907B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63191B2 (ja) 圧力検出のための電極シート及びこれを含む圧力検出モジュール
TWI585659B (zh) 電容式觸控面板及降低電容式觸控面板的金屬導體可見度之觸控面板的製造方法
KR101868473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US8537135B2 (en) Sensory structure of touch panel
KR102264760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5180B1 (ko) 터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102024779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EP2911043B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US9304631B2 (en) Touch screen panel
JP6779762B2 (ja) 表示装置
JP5877864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の導電模様構造
JP201208402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150060449A (ko) 터치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388101B1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る表示装置
JP6842927B2 (ja) タッチ検出装置及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TW201519022A (zh) 觸控面板
EP2713249B1 (en) Touch display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145971A1 (en) TOUCH Panel
US20100039407A1 (en) Sensory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with predetermined sensing areas
KR1022816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CN114188371A (zh) 显示装置
KR20190081949A (ko)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