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864A -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864A
KR20190081864A KR1020170184696A KR20170184696A KR20190081864A KR 20190081864 A KR20190081864 A KR 20190081864A KR 1020170184696 A KR1020170184696 A KR 1020170184696A KR 20170184696 A KR20170184696 A KR 20170184696A KR 20190081864 A KR20190081864 A KR 20190081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lement
hologram optical
light source
display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성
강훈
정성민
이병호
이덕호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864A/ko
Publication of KR2019008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864A/ko
Priority to KR1020230093839A priority patent/KR102656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2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94Addressing the hologram to an 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74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holograph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8Individual components other than the hologram
    • G03H2001/0224Active addressable light modulator, i.e. Spatial Light Modulator [S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5/00Active addressable light modulator
    • G03H2225/30Modulation
    • G03H2225/36Polar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의 구현을 위하여 공간 광 변조기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정한 재생 조건에 따라 간섭 패턴에 따른 빛을 출력하는 홀로그램 광학 소자를 이용하여 직진 광으로 면광원을 생성하고, 상기 공간 광 변조기의 출력을 사용자의 눈에 수렴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공간 광 변조기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은 광 분리 소자를 이용하여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 제공되는 영상을 분리하는 방식 및 전자적으로 생성된 홀로그램을 공간 광 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SLM)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를 이용한 방식은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므로, 자연스러운 시차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간 광 변조기를 이용한 방식은 가간섭성이 있는 광원을 필요로 하므로, 상기 공간 광 변조기의 광원 유닛은 레이저와 같은 직진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직진 광을 면광원의 형태로 상기 공간 광 변조기에 제공하기 위하여 복잡한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착 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눈앞에 고정될 수 되므로, 상기 공간 광 변조기와 사용자의 눈 사이의 이격 거리가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짧은 집광 거리로 인하여, 렌즈의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 광 변조기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앞서 언급한 과제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 유닛을 포함한다. 광원 유닛은 직진 광을 출력한다. 직진 광의 경로 상에는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가 위치한다.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는 면광원을 출력하는 간섭 패턴을 포함한다.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출력 경로 상에는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가 비스듬히 위치한다.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출력 경로 상에는 공간 광 변조기가 위치한다.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간섭 패턴은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수렴하는 광을 출력한다.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는 광원 유닛과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와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 사이에는 지지 블록이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블록은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 및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는 지지 블록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블록은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와 공간 광 변조기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재생 조건은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간섭 패턴에 의해 출력된 면광원일 수 있다.
광원 유닛,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 및 공간 광 변조기는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장착 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눈 앞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홀로그램 광학 소자를 이용하여 직진광을 이용하여 공간 광 변조기에 공급된 면광원을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홀로그램 광학 소자에 의해 공간 광 변조기에 의해 구현된 가상 이미지가 사용자의 눈에 수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공간 광 변조기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 복잡한 광학계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공간 광 변조기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공간 광 변조기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입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에는 광원 유닛(110),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first Hologram Optical Element; first HOE, 120),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 지지 블록(140) 및 공간 광 변조기(15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110)은 가간섭성의 광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 유닛(110)은 직진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진 광은 레이저일 수 있다.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는 상기 광원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된 직진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는 특정한 재생 조건에 따라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빛을 출력하는 간섭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에 입사하는 빛이 재생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는 상기 간섭 패턴에 대응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의 재생 조건은 직진 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는 직진 광의 입사에 따라 면광원을 출력하는 간섭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된 직진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복잡한 광학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면광원의 휘도는 균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복잡한 광학계의 사용 없이, 공간 광 변조기(150)에 의해 생성된 입체 영상의 휘도 편차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입체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는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의 출력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는 상기 광원 유닛(110)과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의 출력 방향은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의 출력 방향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 유닛(110)은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로부터 사용자를 향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진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는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의 출력 경로 상에 비스듬히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의 간섭 패턴은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의 간섭 패턴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는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수렴되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 광 변조기(150)에 의해 생성된 가상 이미지가 집광 광학계 없이 사용자의 눈에 수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록(140)은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와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록(140)은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 및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의 위치 및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의 위치는 상기 지지 블록(1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 및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는 상기 지지 블록(140)의 해당 표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록(140)은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이동에 의한 영상의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록(140)은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로부터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 방향으로 진행하는 면광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블록(140)은 높은 투과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록(14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록(140)은 내부 전반사가 발생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블록(14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는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의 출력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는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와 사용자의 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는 상기 지지 블록(140)의 상기 경사면과 대응하는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록(140)은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와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는 상기 지지 블록(140)의 해당 표면과 이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광학 소자들(120, 130)의 재생 조건 및 간섭 패턴에 따른 출력을 이용하여 복잡한 광학계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에 의한 입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사용자의 눈앞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 영역이 장착 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장착 부재(200)가 안경테의 다리와 같은 형상인 것으로 도시/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장착 부재(200)가 헤드 기어(head-gear)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반사형 공간 광 변조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가 사용자의 눈과 공간 광 변조기(1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로부터 방출된 빛이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로 재입사될 수 있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에 의해 반사된 빛은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의 재생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의 재생 조건은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의 간섭 패턴에 의해 출력된 면광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공간 광 변조기(150)에 의해 구현된 가상 이미지가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에 의해 왜곡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 광 변조기(150)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 및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가 지지 블록(140)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 부재(125) 및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블록(14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부 구조가 효과적으로 정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광원 유닛(110),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 및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130)가 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광원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된 직진 광의 진행 방향을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120)로 변경하기 위한 반사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16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기 장착 부재(200)를 따라 연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유닛(110)은 상기 장착 부재(200)를 따라 연장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100 :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110 : 광원 유닛
120 :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 130 :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
140 : 지지 블록 150 : 공간 광 변조기
200 : 장착 부재

Claims (7)

  1. 직진 광을 출력하는 광원 유닛;
    상기 직진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고, 면광원을 출력하는 간섭 패턴을 포함하는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출력 경로 상에 비스듬히 위치하는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 및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출력 경로 상에 위치하는 공간 광 변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간섭 패턴은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수렴하는 광을 출력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는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와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 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 및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는 상기 지지 블록과 직접 접촉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와 상기 공간 광 변조기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재생 조건은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의 간섭 패턴에 의해 출력된 면광원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 상기 제 1 홀로그램 광학 소자, 상기 제 2 홀로그램 광학 소자 및 상기 공간 광 변조기가 수용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자의 눈 앞에 고정하는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84696A 2017-12-29 2017-12-29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81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96A KR20190081864A (ko) 2017-12-29 2017-12-29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0093839A KR102656241B1 (ko) 2017-12-29 2023-07-19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96A KR20190081864A (ko) 2017-12-29 2017-12-29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839A Division KR102656241B1 (ko) 2017-12-29 2023-07-19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864A true KR20190081864A (ko) 2019-07-09

Family

ID=672618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696A KR20190081864A (ko) 2017-12-29 2017-12-29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0093839A KR102656241B1 (ko) 2017-12-29 2023-07-19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839A KR102656241B1 (ko) 2017-12-29 2023-07-19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818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155A1 (ko) * 2021-01-15 2022-07-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얇은 광학 컴바이너를 가지는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7707A5 (ko) * 1977-03-14 1978-10-13 Dubied & Cie Sa E
JP5842298B2 (ja) 2014-01-28 2016-01-13 株式会社 グリーン オプティックス 透過型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光学システム
KR102606340B1 (ko) * 2015-10-28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투시형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US9964768B2 (en) 2016-03-04 2018-05-08 Sharp Kabushiki Kaisha Head mounted display using spatial light modulator to generate a holographic im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155A1 (ko) * 2021-01-15 2022-07-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얇은 광학 컴바이너를 가지는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241B1 (ko) 2024-04-09
KR20230114741A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8500B2 (en) Directionally illuminated waveguide arrangement
EP3241053B1 (en) Waveguide-based display system
KR102128673B1 (ko)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JP2021535444A (ja) 二次元の拡張を有する導光光学素子を含む光学システム
KR102659194B1 (ko)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용 박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2032U (ko) 반사체를 갖는 광 가이드 디스플레이
KR20190126411A (ko) 공간 광 변조기들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US11022799B2 (en) Projector-combiner display with beam replication
KR101946031B1 (ko) 시야창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6753B1 (ko) 가간섭성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채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US20170115484A1 (en) Image display device
WO2016130369A1 (en) Display system
WO2016130359A1 (en) Waveguide based display system
KR102549949B1 (ko) 다중요소 디스플레이 조명 시스템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CN110133860B (zh) 显示装置
EP3792681B1 (en) Multi-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holographic projection
US10795070B2 (en)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007818A (ko) 근안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한 증강 현실 안경 및 그 작동 방법
US10527773B2 (en)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05331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6241B1 (ko)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US11320785B2 (en)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mage reconstruction method and augmented reality glasses
US20220229223A1 (en) Display devic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200119716A (ko) 양안식 홀로그램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210038304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