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543A -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543A
KR20190081543A KR1020170184154A KR20170184154A KR20190081543A KR 20190081543 A KR20190081543 A KR 20190081543A KR 1020170184154 A KR1020170184154 A KR 1020170184154A KR 20170184154 A KR20170184154 A KR 20170184154A KR 20190081543 A KR20190081543 A KR 2019008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arning
local terminal
evaluation
feedbac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18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543A/ko
Publication of KR2019008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로컬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계획안 정보 및 학습 콘텐츠를 로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학습 피드백 정보를 평가 DB 상에 저장하고, 학습 통계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동 대상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유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 등 미취학 아동 대상 교육기관의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교육 커리큘럼들이 개발되면서 개발자 측면과 현장에서 학습을 지도하는 교육자 측면 사이에서 원활한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교육업에 대한 일정 사업 규모를 갖추고 있지 않는 이상,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면서 현장에서 이를 관리하기까지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개발자가 좋은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었더라도, 교사가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교육 과정 체크 및 다양한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입력하기까지는 실질적인 작업 부하(work load)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커리큘럼에 따른 활동 계획안과 활동 자료 및 활동자료를 교사가 직접 로컬 단말에서 실행시키기가 번거롭고 보안상의 이슈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면서 교육활동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6470호(2010.06.15)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유아 대상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로컬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계획안 정보 및 학습 콘텐츠를 로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학습 피드백 정보를 평가 DB 상에 저장하고, 학습 통계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어휘 단어 정보 및 특정 어휘 단어의 의미 정보, 동영상 노출횟수 정보, 음성 노출횟수, 교사노출 빈도, 유아구사 빈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어휘의 발음 가이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발음 가이드 기능은 상기 서버의 콘텐츠 DB에 저장된 발음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어휘와 동일한 뜻을 가지는 다른 외국어 어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한 로컬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학습 피드백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평가 DB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DB는, 상기 로컬 단말로부터 수신된 학습 피드백 정보가 저장되는 D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통계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 DB는, 상기 평가 DB에 저장되는 학습 피드백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의해서 통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개시되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로컬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계획안 정보 및 학습 콘텐츠를 로컬 단말로 전송하는 명령;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 및 상기 수신된 학습 피드백 정보를 평가 DB 상에 저장하고, 학습 통계 자료를 생성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어휘 단어 정보 및 특정 어휘 단어의 의미 정보, 동영상 노출횟수 정보, 음성 노출횟수, 교사노출 빈도, 유아구사 빈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어휘의 발음 가이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발음 가이드 기능은 상기 서버의 콘텐츠 DB에 저장된 발음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어휘와 동일한 뜻을 가지는 다른 외국어 어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은,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한 로컬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학습 피드백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평가 DB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DB는, 상기 로컬 단말로부터 수신된 학습 피드백 정보가 저장되는 D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통계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 DB는, 상기 평가 DB에 저장되는 학습 피드백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의해서 통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에서 하나의 화면에서 오늘의 활동 자료를 실행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버 내 스트리밍 서비스로 보안 이슈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관리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의 발음 가이드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알림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 미리보기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 평가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평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통계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 통계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늘의 활동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에서 "단말(device)”이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되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며, 출력장치를 통해 결과를 출력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Computer), 콘솔(Game Console),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PC, 스마트 밴드(Smart Band)나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하드웨어라면 단말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관리 프로그램"이란, 교육 커리큘럼을 관리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야 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통상 원격지의 둘 이상의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서버를 통해 동기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개인용 컴퓨터나 콘솔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단말(서로 다른 종류의 단말도 포함한다)가 연동되거나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한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관리 프로그램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입력장치(Input Device)"란, 로컬 단말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조이스틱,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하드웨어 버튼 또는 스티어링 휠, 악기, 총, 장갑, 발판 등의 형태로 제조된 조작 전용 입력장치를 들 수 있다. 이외에도 단말에 탑재되거나 연동되는 각종 센서(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모션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감압 센서 등)나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Indoor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 확인 수단 또한 입력장치의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출력장치(Output Device)"란, 단말의 연산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연산결과는 인간의 오감을 이용하여 인지될 수 있는 형태로 표시된다. 반드시 시각이나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후각적, 촉각적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피커나 모니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형적인 하드웨어가 상기 정의를 만족하지만, 이외에도 3D 프린터와 같이 촉각적 형태로 출력하거나, 진동이나 향기, 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 또한 출력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는 단말의 일 요소로서 단말에 포함될 수도 있고, 단말과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컬 단말(102, 104), 및 관리 서버(106)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단말(102, 104)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관리 서버(10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컬 단말(102, 104)은 사용자(이하, 교사로 지칭될 수 있음)의 입력에 따라 관리 서버(106)에 접속하여 학습 및 학습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로컬 단말(102)은 관리 서버(106)로부터 학습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학습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단말(102, 104)은 관리 서버(106)에 학습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로컬 단말(102, 104)는 관리 서버(106)에 학습 계획안 정보 및 학습 콘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6)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로컬 단말(102, 104)에게 학습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관리 서버(106)는 로컬 단말(102, 104)의 학습 콘텐츠 요청에 따라 학습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은 로컬 단말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관리 서버는 로컬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교사는 계획안을 확인하기 위해서 또는 학습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해서 교사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로컬 단말은 교사 계정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는 해당 교사 계정의 유효성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교사 계정의 ID, Password 등의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공인인증서 또는 교사 계정에 기설정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서 교사 계정이 권한이 있는 계정인지 판단할 수 있다. 로컬 단말이 교사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생체 정보를 이용해서 관리 서버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는 교사의 홍채 정보, 지문 정보, 얼굴 정보 또는 모세혈관 정보 등을 통해 교사 계정을 인증 할 수 있다.
교사 계정뿐만 아니라, 학습 대상자의 계정 또는 학부모의 계정으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는 교사 계정과 다른 계정들 간에 권한 설정을 다르게 하여, 열람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정보에 질적 또는 양적 차이를 줄 수 있다.
로컬 단말은 또한 별도 학습 콘텐츠 배급자 계정이나 웹 관리자 계정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교사가 학습 콘텐츠를 만드는 경우도 있지만, 별도의 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어서 로컬 단말에서 관리 서버에 제작된 학습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계획안 정보 및 학습 콘텐츠를 로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200). 관리 서버는 교사 계정에 기설정된 학습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계획안 정보 및 학습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학습 환경 정보는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인프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학습 대상자의 학급 정보, 학급 교사 정보, 학급별 수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로컬 단말로 계획안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계획안 정보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재배열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는 일일 계획안, 주간 계획안, 월별 계획안 등 다양한 시간 기준으로 계획안 정보가 로컬 단말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로컬 단말에서 학습 콘텐츠 요청 정보가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경우, 관리 서버는 학습 콘텐츠 정보를 로컬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로컬 단말에서 다운로드되어 재생 가능한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관리 서버는 로컬 단말에서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될 수 있도록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0). 교육 커리큘럼에 있어서 학습에 대한 피드백은 향후의 계획을 수정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학습 피드백 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관리 서버는 로컬 단말에 학습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일정 기간 내에 학습 피드백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에서 일정 기간 내에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관리 서버는 로컬 단말에 학습 피드백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가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평가 DB 상에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학습 통계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S400). 관리 서버는 학습 피드백 정보의 경우, 열람 권한을 강화된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학습 통계 자료는 개인 정보 등을 표시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관리 서버(106)는 평가 DB(110), 통계 DB(120) 및 콘텐츠 DB(130)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DB(110)는 로컬 단말로부터 수신한 학습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DB일 수 있으며, 학급별 피드백, 아동별 피드백, 학년별 피드백, 수업 참가 그룹 피드백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저장될 수 있다.
통계 DB(120)는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준으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DB 상에 저장된 학습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교사별, 학급별, 아동별, 기간별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한 통계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DB(130)는 학습에 필요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스프레드시트 등 다양한 형식의 학습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학습 콘텐츠는 교사가 생성한 자료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자료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육 커리큘럼 관리자(교사 등)는 로컬 단말에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로컬 단말은 교육 커리큘럼 관리자의 명령 정보에 의해서 계획안을 계획안 DB에 업로드하거나 학습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 DB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계획안 DB 및 학습 콘텐츠 DB는 분리되거나 동일한 DB 일 수 있다.
교사는 로컬 단말에서 관리 서버의 계획안 정보 및 학습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학습에 이용할 수 있으며, 로컬 단말은 대형 디스플레이 기기, 아동별 디스플레이 장치 등 별도의 출력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학습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관리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영유아 대상 외국어 교육 과정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반드시 본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유아 뿐만 아니라 성인 등 다양한 연령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로컬 단말에서 교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 어휘가 입력되면, 특정 어휘와 연관된 다양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이라는 어휘를 로컬 단말에서 요청하면 버스, 지하철, 비행기, 배, 자동차 등의 어휘의 중문, 영문 등 외국어 어휘가 로컬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해당 외국어 어휘들의 통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버스가 동영상 내에서 노출된 횟수, 음성이 노출된 횟수, 교사가 노출한 빈도, 아동이 구사한 빈도 등의 정보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로컬 단말에서는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특정 어휘가 많이 노출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의 발음 가이드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컬 단말에서는 외국어 어휘의 발음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빗방울 만들기”라는 어휘를 로컬 단말에서 관리 서버로 전송하면, 관리 서버는 해당 어휘와 연관된 어휘 및 발음 가이드 정보를 로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는 “비”라는 어휘의 중문, 중문 발음 음성 정보, 병음 표기 정보, 의미 정보, 동의(同意) 외국어 정보 등을 로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빗방물 만들기”라는 어휘에서부터 “비” 어휘뿐만 아니라, “빗방울”, “떨어지다”, “비가오는 날” 등의 어휘 정보를 로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관 어휘 정보는 학습 콘텐츠 생성시 연관 정보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관리 서버에서 유사도를 분석하여 연관 어휘 정보로 매칭시킨 정보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알림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학습이 완료된 이후에, 관리 서버는 로컬 단말에 학습 피드백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는 완료된 학습 정보를 매칭하여 학습 피드백 정보가 학습 콘텐츠 정보 또는 계획안 정보 등과 연관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로컬 단말로부터 일정 기간동안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관리 서버는 로컬 단말에 학습 피드백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 미리보기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단말은 학습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학습 콘텐츠는 향후 학습에 이용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계획안 정보에 기초하여 날짜, 활동 유형, 언어 등의 카테고리로 그룹핑(grouping)을 할 수 있으며, 로컬 단말에서는 교사의 설정에 따라서 멀티자료, 계획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 평가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단말에서는 활동 피드백(활동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교사가 로컬 단말을 통해 완료된 학습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로컬 단말은 학습 피드백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로컬 단말에서는 교사 계정 또한 실제로 학습을 수행한 활동교사 계정 및 학급 교사 계정, 담당 교사 계정, 운영자 계정 등 다양한 교사 계정으로 접속하여 학습 피드백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 서버는 교사 계정의 권한 설정에 따라서 타 학습 피드백 정보를 열람, 수정 등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평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학급 담임교사들이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 상에서 학습활동 이후 활동평가를 입력하는 경우, 운영자(예시, 어린이집 원장) 계정은 학습 피드백(활동 평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통해서 학습 피드백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운영자 계정으로도 학습 피드백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로컬 단말에 입력된 학습 피드백 정보는 관리 서버의 평가 DB에 저장될 수 있다. 평가 DB에 저장된 학습 피드백 정보는 통계 DB 등에서 다양한 기준의 통계 자료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통계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관리 서버의 평가 DB 상에 저장되는 학습 피드백 정보에는 학습에 사용된 어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어휘가 학습 상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었는지 등을 통계 자료로 생성함으로써 향후 계획안 수립 및 계획안 수정에 기초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단어 “red”에 대해서 전체 연령 대상으로 특정 일에 어떠한 형태로 사용되었는지를 통계 자료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 통계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는 평가 DB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평가 통계 정보를 통계 DB에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학습에 대한 4세반을 대상으로 학습을 수행한 교사가 입력한 학습 피드백 정보를 토대로, 특정 도서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통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 정보는 관리 서버에서 로컬 단말로 전송되어, 로컬 단말에서는 시각적인 통계 자료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늘의 활동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의 관리 서버는 계획안 정보에 매칭된 학습 콘텐츠 정보를 로컬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로컬 단말은 학습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사운드,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학습 계획안에 매칭된 대로 재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시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이하는 예시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교육 커리큘럼을 관리하는 장치(예를 들어, 로컬 단말(102, 104))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예를 들어, 생체 정보 측정기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로컬 단말에게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예를 들어, 관리 서버(106))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버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버스와 연결되고, 버스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에 연결한다.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메모리 및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이다.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 장치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하거나 착탈 불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컴퓨팅 장치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팅 장치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
102 : 로컬 단말
104 : 로컬 단말
106 : 관리 서버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로컬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계획안 정보 및 학습 콘텐츠를 로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학습 피드백 정보를 평가 DB 상에 저장하고, 학습 통계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어휘 단어 정보 및 특정 어휘 단어의 의미 정보, 동영상 노출횟수 정보, 음성 노출횟수, 교사노출 빈도, 유아구사 빈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어휘의 발음 가이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발음 가이드 기능은 상기 서버의 콘텐츠 DB에 저장된 발음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어휘와 동일한 뜻을 가지는 다른 외국어 어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한 로컬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학습 피드백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평가 DB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DB는,
    상기 로컬 단말로부터 수신된 학습 피드백 정보가 저장되는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통계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 DB는,
    상기 평가 DB에 저장되는 학습 피드백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의해서 통계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7.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로컬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계획안 정보 및 학습 콘텐츠를 로컬 단말로 전송하는 명령;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 및 상기 수신된 학습 피드백 정보를 평가 DB 상에 저장하고, 학습 통계 자료를 생성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어휘 단어 정보 및 특정 어휘 단어의 의미 정보, 동영상 노출횟수 정보, 음성 노출횟수, 교사노출 빈도, 유아구사 빈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어휘의 발음 가이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발음 가이드 기능은 상기 서버의 콘텐츠 DB에 저장된 발음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어휘와 동일한 뜻을 가지는 다른 외국어 어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컬 단말로부터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은,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한 로컬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학습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학습 피드백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평가 DB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DB는,
    상기 로컬 단말로부터 수신된 학습 피드백 정보가 저장되는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통계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 DB는,
    상기 평가 DB에 저장되는 학습 피드백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의해서 통계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커리큘럼 관리 시스템.
KR1020170184154A 2017-12-29 2017-12-29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81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54A KR20190081543A (ko) 2017-12-29 2017-12-29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54A KR20190081543A (ko) 2017-12-29 2017-12-29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43A true KR20190081543A (ko) 2019-07-09

Family

ID=6726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54A KR20190081543A (ko) 2017-12-29 2017-12-29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5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709A (ko) * 2020-08-19 2022-02-28 이우진 온라인 상에서 역량 범주화를 통한 기업가정신 교육 커리큘럼 효과성 테스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0565A (ko) * 2021-09-16 2023-03-23 샘랩 주식회사 운영변환 기반 실시간 협업 편집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40563A (ko) * 2021-09-16 2023-03-23 샘랩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41130A (ko) * 2021-09-16 2023-03-24 샘랩 주식회사 WebRTC 기반 실시간 채팅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470A (ko) 2007-07-20 2010-05-27 블루아이 ,엘엘씨 화물을 싸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470A (ko) 2007-07-20 2010-05-27 블루아이 ,엘엘씨 화물을 싸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709A (ko) * 2020-08-19 2022-02-28 이우진 온라인 상에서 역량 범주화를 통한 기업가정신 교육 커리큘럼 효과성 테스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0565A (ko) * 2021-09-16 2023-03-23 샘랩 주식회사 운영변환 기반 실시간 협업 편집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40563A (ko) * 2021-09-16 2023-03-23 샘랩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41130A (ko) * 2021-09-16 2023-03-24 샘랩 주식회사 WebRTC 기반 실시간 채팅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3723B2 (en) Tracking digital credential usage in a sensor-monitored environment
US106855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mmersive simulator
Kane et al. Tracking@ stemxcomet: teaching programming to blind students via 3D printing, crisis management, and twitter
Mishra Factors related to sight-reading accuracy: A meta-analysis
KR20190081543A (ko) 교육 커리큘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276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comprehensive, nation-wide, cloud-based education support platform
Lofland The use of technology in the treatment of autism
KR20150064119A (ko) 태블릿 컴퓨터
Tiwari et al. College information chat bot system
BR112020003468A2 (pt) sistema de aprendizado com progresso mensurável baseado em avaliação
Chambers et al. Learning for All: Guidelines on the Inclusion of Learners with Disabilities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ODL)
Vidakis et al. Ludic educational game creation tool: teaching schoolers road safety
Ables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Discovering their uses in natural science classrooms and beyond
KR102099945B1 (ko) 학습자의 집중력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멘토자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Iskandar et al. Web-based STMIK AKBA Student Attendance Information System by Making QR Codes an Auxiliary Medium
Tenemaza et al. Specific dyslexia exploratory test (TEDE): Two tasks using augmented reality
Still Applied crowd science
Sesmiarni et al. Android-Based Augmented Reality: An Alternative in Mastering Tajweed for Student Learning
KR101844047B1 (ko) 온라인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
Skalka Microlearning and Automated Assessment–A Framework Implementation of Dissimilar Elements to Achieve Better Educational Outcomes
Allen et al. The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Adaptations to accommodate a telepractice model of clinical care
Samson Computer Based Examination System with Multifactor Authentication and Message Notification Features
Mubeen et al. TALEM (The Advanced Learning and Education Management) System With OBE (Outcome-based Education)
Durczok Time to change your education programme—the transformative power of digital education
Jia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Blended Learning for the Undergraduate Course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