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448A -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448A
KR20190081448A KR1020170183996A KR20170183996A KR20190081448A KR 20190081448 A KR20190081448 A KR 20190081448A KR 1020170183996 A KR1020170183996 A KR 1020170183996A KR 20170183996 A KR20170183996 A KR 20170183996A KR 20190081448 A KR20190081448 A KR 20190081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owder
feed additive
livestock
red p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411B1 (ko
Inventor
노유헌
김성수
이지원
이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미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미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미니티
Priority to KR102017018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4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고추(Capsicum annuum) 분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식물성 소재를 활용하여 가축 내 축적되는 항생제 및 향균제의 분해를 촉진하고 축전된 중금속을 배출하거나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가축의 면역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생제 등의 사용을 줄이고 축산물 생산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궁극적으로 축산물의 품질이 향상되게 한다.

Description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ADDITIVE COMPOSITION FOR FEED}
본 발명은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식물성 소재를 포함하면서, 가축의 면역력을 높여주고, 잔류하는 중금속 및 항생제를 감소시킴으로서 육질의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축의 생산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은 식생활이 고급화되고 다양해짐에 따라 건강뿐만 아니라 맛도 좋은 고급 육류에 대한 인식 및 판매량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서 생산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육류 제품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많은 시험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해서 배합사료나 사료첨가제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황토를 이용하는 사료, 죽초액을 이용하는 사료, 녹차를 이용하는 사료, 현미를 이용하는 사료 등 다양한 사료 관련 제품이 연구되고 시판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돼지, 소, 닭 등의 가축은 사람을 위한 동물성 식품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육되고 있다. 이러한 가축 사육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사육환경의 변화로 인해 질병 및 기타 환경적인 요인들에 대한 면역력, 생리활성이 저하된다는 것이다. 이는 자연적인 서식환경이 아닌 고밀도 사육, 사료원료의 화학처리제 사용증가, 가공 사료의 급여량 증가 등이 주요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가축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 즉 면역력 및 생리활성이 낮아지면 성장의 정체, 폐사 등으로 이어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 등의 약제 사용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항생제 등의 약제의 생체 내 축적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결국 축산농가의 생산성 및 경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사료 첨가제 또는 보조사료는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축산물의 소화력, 생리활성, 성장촉진, 면역증강 등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첨가제 등을 말하는 것으로 국민 식생활이 서구화 되면서 축산물 섭취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동물성 지방의 과다 섭취로 인한 부정적 견해가 제기되었다. 특히 콜레스테롤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면서 축산물의 LDL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HDL 콜레스테롤을 강화시킬 수 있는 보조사료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축산업은 보편적으로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가축의 질병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항생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나(Guo, F. C. et al., 2004, Effect of a Chinese herb medicine formulation,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on performance of broilers, Br Poult Sci., 45, 793-797), 항생물질을 빈번하게 사용하게 되면 내성을 가지는 미생물이 증가하여 그 항생물질의 효능이 떨어지거나, 축산물 중에 잔류하게 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항생제의 사용이 점차 규제되고 있다(Chae, M. H. et al., 2011, Antimicrobial resistance in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solated from food animals and raw meats in slaughterhouse in Korea during 2010, Kor. J. Vet. Publ. Hilth., 35, 239-245).
따라서 천연물 유래의 사료 첨가제를 활용함으로서 가축 자체의 면역성이 증진되게 함으로서 축산물에 잔류하는 항생제 함량을 줄이게 하고, 가축에 축적되는 중금속이 배출 또는 감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천연 소재를 기반으로 기능성 첨가제가 연구되고 있다.
KR 10-2017-0132475 A KR 10-2016-0040790 A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소재를 활용하여 가축 내 축적되는 항생제 및 향균제의 분해를 촉진하고 축전된 중금속을 배출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가축의 면역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생제 등의 사용을 줄이고 축산물 생산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궁극적으로 축산물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고추(Capsicum annuum)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추 분말은 고추열매 꼭지 분말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고추 씨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엉겅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고추열매 꼭지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 씨 분말이 10 내지 8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은 상기 고추열매 꼭지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 씨 분말이 10 내지 800 중량부 및 엉겅퀴 추출물이 10 내지 8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는 상기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을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고추(Capsicum annuum)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고추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의미로서의 고추나무의 열매를 포함하며, 고추 열매 과육, 고추 씨, 고추 열매 꼭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고추 분말을 사료 첨가제로 포함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축의 면역활성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사육과정에서 가축에 축적되는 잔류 항생제 및 중금속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어 보다 우수한 품질의 축산물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추 분말은 고추열매 꼭지 분말인 것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추 요리 등에 사용되는 고추 과육 또는 고추 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을 사료 첨가제에 사용하는 경우 고추 열매에 포함된 유효성분으로 면역증진 작용이 훨씬 배가되고, 축적되는 항생제 등이 감소한다. 특히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을 사료 첨가제에 포함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축산물의 육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고추 씨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고추 열매 꼭지 분말과 고추 씨 분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추 전체를 분쇄한 분말 또는 고추 열매의 과육 부위를 분쇄한 분말에 비하여 사육되는 가축의 면역활성이 크게 높아질 뿐만 아니라 생산된 축산물의 육질 및 향미가 훨등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 고추 씨 및 고추 열매 꼭지는 고추 부산물로서 식품 제조단계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버려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냥 버려지거나 퇴비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버려지는 고추 부산물을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의 용도로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엉겅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엉겅퀴(Cirsium japonicum)란 가시나물이라고도 부르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한편,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50∼100cm이고 전체에 흰 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엉겅퀴의 뿌리잎은 꽃필 때까지 남아 있고 줄기잎보다 크다. 줄기잎은 바소꼴모양의 타원형으로 깃처럼 갈라지고 밑은 원대를 감싸며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지고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다. 꽃은 6 내지 8월에 피고 자주색에서 적색이다. 가지와 줄기 끝에 두화가 달린다. 총포의 포조각은 7 또는 8열로 배열하고 안쪽일수록 길어진다. 관모는 길이 16 내지 19mm이다. 연한 식물체를 나물로 하고 성숙한 뿌리를 약용으로 한다. 열매는 수과로 3.5 내지 4mm이다.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에 분포한다.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은 것을 좁은잎엉겅퀴,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은 것을 가시엉겅퀴,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가시엉겅퀴라고 한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사육되는 가축의 생산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관능적으로 더 우수한 품질의 육질을 가지는 축산품이 제공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엉겅퀴 추출물을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 및 고추 씨 분말과 혼합하여 함께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포함시켜 사용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하여 축산물에 축적되는 잔류 항생제 및 중금속량을 줄일 수 있으며, 축산물의 생산성과 생산된 축산물의 향미 및 유질을 높일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축산물을 생산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료용 첨가제용 조성물은 뉴그린(toscano, Braccica oleracea)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뉴그린은 십자화과의 브로콜리 종류로, 토스카노(Toscano)라고도 한다. 브로콜리는 주로 꽃봉오리와 꽃대를 식용하는 것인데, 뉴그린은 잎을 식용하는 잎브로콜리이다. 잎은 검정색을 띤 녹색이며, 앞면이 올록볼록한 것이 특징이다. 추위와 습기, 병해를 견디는 성질이 강하여 재배하기가 비교적 쉬운 편이다. 잎이 손바닥 크기로 자라면 하나씩 뜯어내는 잎따기로 수확하는데, 잎이 계속 자라는 속도가 빨라 수확량이 많다
상기 사료용 첨가제용 조성물에 뉴그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관능적으로 식감 및 향미가 우수한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가축의 생육 발달에 도움이 되어 생산량 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면역작용이 활성화 되고 사육되는 가축에 축적되는 항생제 량을 줄여 우수한 품질의 축산품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고추열매 꼭지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 씨 분말이 10 내지 8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원료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 효과로 축산물의 생산량 증가 및 품질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은 상기 고추열매 꼭지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 씨 분말이 10 내지 800 중량부 및 엉겅퀴 추출물이 10 내지 8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축산품에 축적된 항생제를 감소시킬 수 있고 향미와 식감이 우수한 축산품으로서, 그 생산량 증대에 기여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료첨 가제용 조성물은 상기 고추열매 꼭지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 씨 분말이 100 내지 600 중량부; 엉겅퀴 추출물이 100 내지 600 중량부 및 뉴그린 추출물 200 내지 400 중량부로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분말 및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서 축적된 항생제를 제거시키면서 가축의 생육을 증가시켜 축산품 생산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생산된 축산품이 관능적으로 매우 우수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는 상기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을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식물성 소재 활용하여 가축 내 축적되는 항생제 및 향균제의 분해를 촉진하고 축전된 중금속을 배출하거나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가축의 면역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생제 등의 사용을 줄이고 축산물 생산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궁극적으로 축산물의 품질이 향상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사료를 통하여 상술한 효과를 나타내는 사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사료 첨가제의 제조]
1. 분말의 제조
(1) 고추 분말의 제조
고추 열매 꼭지와 고추씨가 제거된 고추 과육을 35 내지 40℃ 에서 건조 건조하고, 300mesh 이하로 분쇄하여 고추 과육 분말(A-1)을 제조하였다.
(2) 고추의 열매 꼭지 분말의 제조
고추의 열매의 꼭지 부분을 35 내지 40℃ 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열매 꼭지와 고추씨는 300mesh 이하로 분쇄하여 고추 열매 꼭지 분말(A-2)을 제조하였다.
(3) 고추 씨 분말의 제조
고추 씨를 35 내지 40℃ 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열매 꼭지와 고추씨는 300mesh 이하로 분쇄하여 고추 열매 꼭지 분말(A-3)을 제조하였다.
(4) 고추씨 열매 꼭지 분말 및 고추 씨 분말의 혼합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과 상기 고추 씨 분말을 혼합하여 고추씨 열매 꼭지 및 고추 씨의 혼합 분말(A-4)을 제조하였다.
2. 추출물의 제조
(1) 엉겅퀴 추출물의 제조
엉겅퀴 (Korean thisle, Cirsium japonicum maachii)을 선별하여 분쇄한 뒤, 분쇄물 중량의 약 8배의 부피량(w/v%)의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2시간 이상 열수추출하고, 4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2차 추출한다. 추출물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엉겅퀴 추출물(EXG)을 제조하였다.
(2) 뉴그린 추출물(B-2)의 제조
뉴그린 (toscano, Braccica oleracea)을 선별하여 분쇄한 뒤, 분쇄물 중량의 약 7배의 부피량 (w/v)의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약 4시간 동안 열수추출방법으로 추출하고 4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2차 추출한다. 본 추출물을 바로 여과하여 진공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뉴그린 추출물(EXT)을 제조하였다.
3. 사료 첨가제의 제조
상기 제조된 A-1 내지 A-4 및 EXG, EXT를 하기의 [표 1]과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S1 S2 S3
A-1 100 - -
A-4 - 100 100
EXG 100 100 100
EXT - - 100
(단위: 중량부)
[실험예: 사료 첨가제의 평가]
1. 사료첨가제 사용에 따른 닭의 생산성 향상 효과 실험
20일령의 양계를 각각 60수씩 분리 사육하면서 일반 사료 급여구(대조구, C)와 S1 내지 S3 의 사료 첨가제 분말 첨가 사료 급여구로 나눠 30일간 급여하였고, 자유 급수하였다. 사료첨가제는 사료 전체 중량기준 5% 첨가하였고, 분리사육은 가로x세로가 1.8X1.4 m의 사육장에서 실내온도 20 내지 25도, 습도 65 내지 70%를 유지하면서 이루어졌다.
하기의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결과와 같이, 본 발명S3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실험두수 60수 모두 생존하였고, 대조구(C)는 3두가 폐사하였다. 일반적인 계육의 폐사두수는 통계학적으로 5% 정도이다. 평균 체중의 경우, S3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사료 첨가제를 포함한 사료를 섭취한 닭의 경우 대조구(C)에 비해선 약 15% 정도의 증체량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목 S1 S2 S3 C
평균체중(Kg) 1.59 1.61 1.81 1.58
폐사두수(마리) 3 2 0 3
따라서, 상기 S3의 조성에 의하는 경우 닭의 생산성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사료첨가제 급여를 통해서 생산된 계육의 관능적 특성
상기 S1 내지 S3의 사료첨가제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양계의 계육과 사료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한 양계의 계육 (대조구, C)을 시료로 하여 30인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도체는 가로X세로X높이 5.0 cm X 3.0cm X 1.0 cm 크기로 절단하고 그 절단육은 철판 뒤에서 프로판가스로 가열하여 각 10분간 충분히 구웠다.
관능검사는 다즙성, 연도, 향미의 기호도를 7점 등급제 (7=가장 좋다, 4=좋지도 싫지도 않다, 1=가장 싫다)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30대의 성인 30명의 관능검사요원으로 하여 평가하였고 결과는 하기의 [표 3]와 같다.
항목 S1 S2 S3 C
다즙성 4.25 5.25 5.53 4.11
연도 4.21 4.67 4.90 3.85
향미 4.14 5.51 5.76 4.01
(단위: 등급 평균값)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S1 내지 S3에 의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관능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S2의 경우 고추 열매 분말 및 고추 씨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고추 열매 분위의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생산된 계육의 관능성이 훨씬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S3의 조성에 의하는 경우 다즙성, 연도, 향미에도 고르게 관능성이 향상되어 관능성이 가장 우수하게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사료첨가제 급여를 통해서 생산된 계육내 항생제 잔류량 검사
상기 S1 내지 S3의 사료첨가제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양계의 계육과 사료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한 양계의 계육 (대조구, C)을 시료로하여 플루오로퀴놀론계 합성항균제 엔로플로사신(enrofloxacin) 잔류량을 확인하였다.
시험조작은 식품공전(별책) 15. 식품중의 잔류물질시험법, 3) 합성항균제, (2) 정량시험법 중 플루오로퀴놀론계[엔로플록사신(Enrofloxacin)]에 따라 액체크로마토그라프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계육을 잘게 마쇄한 후 정확히 10g을 취하여 디클로로메탄 40㎖ 첨가하고 균질기로 2분간 균질화한다. 균질액은 8,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육질부 상층에 있는 소량의 액은 파스퇴르피펫으로 제거하고 육질부를 유리막대로 구멍을 뚫은 다음 디클로로메탄층을 전량 수거하여 농축수기에 옮기고 잔사에 대하여는 같은 조작을 1회 더 반복하여 추출액을 합친다. 모아진 추출액은 1㎖ 정도가 되도록 35°에서 감압 농축한다. 이 농축액은 0.1N 염산용액 40㎖를 가하여 분액여두에 씻어넣고, 헥산 40㎖를 가하여 5분간 격렬하게 흔들어 헥산층과 0.1N 염산층을 분리한다. 0.1N 염산층은 다른 분액여두로 옮겨 디클로로메탄 40㎖를 가하고 5분간 격렬하게 흔든 후 층을 분리시켜 디클로로메탄 층을 취한다. 이 추출 조작을 2회 반복한다. 추출액은 35°에서 감압농축으로 건조시키고, 이동상 2㎖를 가하여 녹여 0.45㎛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한 후 시험용액으로 사용한다.
분석은 칼럼 C18(4.6mm × 250mm, 5㎛) 또는 이와 동등한 것을 사용하고 이동상은 0.01M 수산 :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6 : 3 : 1), 유속 1.0㎖/분, 여기파장 327nm, 측정파장 369nm의 조건에 따라서 시험용액과 표준용액을 액체크로마토그라프에 주입한다. 얻어진 각 피크의 머무름 시간을 비교하여 피크의 높이 또는 면적으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엔로플로사신 함량을 각각 구한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표 4]를 참조하면, S1은 대조군 C에 비하여 소폭의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S2의 경우 이보다 높은 정도의 항생제 저감효과를 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S3의 사료 첨가제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h 양계의 계육내 항생제 잔류량이 계란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육계에서도 대조구에 비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준치 이하로 확실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목 S1 S2 S3 C
Enrofloxacin (in 육계) 0.22 0.12 0.02 0.25
Enrofloxacin (in 계란) 0.81 0.67 불검출 0.86
(단위: mg/kg)
5. 사료첨가제 급여에 따른 돼지의 생산성 향상 효과
본 발명의 S1 내지 S3에 따른 사료첨가제의 돼지의 생산성 (체중증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돈 50마리를 각각 일반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제조예1 사료첨가제 분말 첨가 사료를 급여구로 나눠 6개월간 자유 급여한 후 평균 체중을 측정하였다.
양돈용 사료에 제조예 1의 사료 첨가제 분말을 사료 전체 중량 기준 5% 첨가한 사료를 6개월간 자유 급여한 자돈과 사료 첨가제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양돈용 사료를 6개월간 자유 급여한 자돈 (대조구)의 평균 체중, 사료요구율 및 폐사 두수를 조사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항목 S1 S2 S3 C
평균체중(Kg) 9.85 106.4 118.37 99.22
사료요구율 2.12 2.55 2.17 3.01
폐사두수(마리) 1 1 0 3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S1의 경우 대조구(C)에 비하여 특별한 개선효과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S2의 경우 평균 체중과 사료요구율에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S3의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돼지가 대조구의 돼지에 비해서 평균 체중과 사료요구율이 크게 개선되어 전체적으로 양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6개월 동안 폐사 두수도 전혀 없이 모두 생존하여 면역력이 전체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사료첨가제 급여를 통해서 생산된 돈육의 관능적 특성
상기 S1 내지 S3의 사료첨가제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양돈의 돈육과 사료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한 양돈의 돈육 (대조구)을 시료로 하여 30인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도체는 가로X세로X높이 5.0cm X 3.0cm X 1.0cm 크기로 절단하고 그 절단육은 철판 뒤에서 프로판가스로 가열하여 각 17분간 충분히 구웠다.
관능검사는 다즙성, 연도, 향미의 기호도를 7점 등급제 (7=가장 좋다, 4=좋지도 싫지도 않다, 1=가장 싫다)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30대의 성인 30명의 관능검사요원으로 하여 평가하였고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항목 S1 S2 S3 C
다즙성 5.14 5.95 6.53 4.76
연도 5.64 5.46 5.87 4.46
향미 4.29 5.14 6.34 4.32
(단위: 등급 평균값)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S1을 포함하는 경우 다즙성 및 연도가 소폭 상승하였고, S2를 포함하는 경우 대조구(C)와 비교할 때, 다즙성, 연도 및 향미 전 항목에서 관능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S3에 의하는 경우 이를 섭취하여 제조된 돈육의 다즙성, 연도, 향미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해서 월등한 등급으로 향상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7. 사료첨가제 급여를 통해서 생산된 돈육내 항생제 잔류량 검사
상기 S1 내지 S3의 사료첨가제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양돈의 돈육과 사료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한 양돈의 돈육 (대조구)을 시료로 하여 페니실린계 합성항균제 엠피실린 (ampicillin) 잔류량을 확인하였다.
시험조작은 축수산물 유해물질 분석법 편람에 기제된 방법대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측정기기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 LC-MS/MS를 사용하여 표준품 ampicillin을 모두 HPLC 그래이드로 맞춰 시약들을 준비하였다. 시험용액은 0.05% formic acid in water와 0.05% formic acid in Actonitrile, 0.1M phosphate buffer (pH 4.5), 0.17 M sulphruic acid, 5 % sodoium tungstate, 25 mm PBS (pH 9.0)을 준비하여 균질화한 시료 2g에 1ug/mL 농도의 표준용액을 100uL 첨가하여 0.05ug/g 농도로 spike sample을 조제하여 사용한다.
분석은 칼럼 XBridge C18(2.1 mm × 150mm, 3.5㎛) 또는 이와 동등한 것을 사용하고 이동상은 0.05 % FA in water/0.05 % FA in MeCN gradient를 사용하고 이온화는 ESI (positive), Capiilary (kV) : 3,00, Exractor (V) : 0.3, Source 온도 150도, Desolvation 온도 350도, Gas Flow: Desolvation 650 L/hr, Cone 50 L/hr, Auxilary Gas: 질소 Collision Gas : 아르곤 조건에 따라서 시험용액과 표준용액을 액체크로마토그라프에 주입한다. 얻어진 각 피크의 머무름 시간을 비교하여 피크의 높이 또는 면적으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엠피실린 함량을 각각 구한다.
항목 S1 S2 S3 C
Ampicillin 0.14 0.14 0 0.02
검출빈도 1건 1건 0건 4건
(단위: mg/kg)
그 결과, S1 및 S2의 항생제 감소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S3의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양돈의 돈육 내 항생제 잔류량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검출빈도는 0건이었다. 따라서 S3의 조성에 의하는 경우 돈육 내 잔류 항생제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고추(Capsicum annuum) 분말을 포함하는 것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 분말은 고추열매 꼭지 분말인 것인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고추 씨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사료 첨가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엉겅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사료 첨가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열매 꼭지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 씨 분말이 10 내지 8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열매 꼭지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고추 열매 꼭지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 씨 분말이 10 내지 800 중량부 및
    엉겅퀴 추출물이 10 내지 8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KR1020170183996A 2017-12-29 2017-12-29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KR102200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96A KR102200411B1 (ko) 2017-12-29 2017-12-29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96A KR102200411B1 (ko) 2017-12-29 2017-12-29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490A Division KR20200000397A (ko) 2019-12-18 2019-12-18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448A true KR20190081448A (ko) 2019-07-09
KR102200411B1 KR102200411B1 (ko) 2021-01-08

Family

ID=6726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996A KR102200411B1 (ko) 2017-12-29 2017-12-29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742A1 (ko) 2020-03-13 2021-09-16 씨제이제일제당(주) 과립형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579A (ko) * 2011-11-15 2013-05-24 민경헌 가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금용 혼합사료
KR101559515B1 (ko) * 2014-10-10 2015-10-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20160040790A (ko) 2014-10-06 2016-04-15 (주)칼스 발효한 두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6610A (ko) * 2015-05-20 2016-11-30 임국진 닭 사료 및 그 제조방법
JP2017534287A (ja) * 2014-11-07 2017-11-24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ニューグリーン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解毒用組成物
KR20170132475A (ko) 2016-05-24 2017-12-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의 육질개선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579A (ko) * 2011-11-15 2013-05-24 민경헌 가금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금용 혼합사료
KR20160040790A (ko) 2014-10-06 2016-04-15 (주)칼스 발효한 두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9515B1 (ko) * 2014-10-10 2015-10-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JP2017534287A (ja) * 2014-11-07 2017-11-24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ニューグリーン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解毒用組成物
KR20160136610A (ko) * 2015-05-20 2016-11-30 임국진 닭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2475A (ko) 2016-05-24 2017-12-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의 육질개선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사료번호 7-49) (2012) (@농사로 홈페이지: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f/psfa/....)*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742A1 (ko) 2020-03-13 2021-09-16 씨제이제일제당(주) 과립형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KR20210115468A (ko) 2020-03-13 2021-09-27 씨제이제일제당 (주) 과립형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411B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vens et al. Proximate and anti-nutritional composition of leaves and seeds of Moringa oleifera in Nigeria: a comparative study
Elkloub et al. Effect of using Moringa oleifera leaf meal on performance of Japanese quail
Andrzejewska et al. Silybum marianum: non‐medical exploitation of the species
Sallau et al. Effect of boiling, simmering and blanching on the antinutritional content of Moringa oleifera leaves
Sola-Ojo et al. Performance, carcass profile and oxidative stability of broiler chickens fed processed baobab seed meal
KR101961260B1 (ko) 깔라만시를 포함한 애완동물용 사료
Ponder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value and the content of bioactive compounds in the fruit of individual species of chaenomeles and quince
Lee et al. Antimicrobial property of 2-hydroxypropane-1, 2, 3-tricarboxylic acid isolated from Citrus microcarpa extract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Essien et al. Effect of Aridan (Tetrapleura tetraptera) powder as feed additive on the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broiler chickens
KR102292878B1 (ko) 인삼을 이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사육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Wahdan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the Physalis peruviana calyces growing in Egypt
KR20190081448A (ko)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KR101762569B1 (ko) 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모링가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KR102474576B1 (ko) 샐러드 채소 부산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친환경 사료 조성물
KR101326274B1 (ko) 매실을 이용한 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방법
KR102526310B1 (ko)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7307229B (zh) 一种改善淘汰蛋鸡肉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Mohamed Role of moringa, thyme and licorice leave extracts on productive performance of growing rabbits
Rajaian et al. Satureja hortensis as a growth promoter in broiler chickens
Akiode et al. Nutrients,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nalysis of selected agricultural wastes as potential livestock feed ingredients
KR101273276B1 (ko) 커큐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KR102190631B1 (ko) 가축용 음용수 제조방법 및 이를 가축에 급여하는 방법
KR20140098992A (ko) 닥나무 분말 및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금류 사육방법 및 그 축산물
KR20200000397A (ko)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41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18

Effective date: 2020090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