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444A - Transferring unit, transfer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ransferring system - Google Patents

Transferring unit, transfer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ransfer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444A
KR20190080444A KR1020170182894A KR20170182894A KR20190080444A KR 20190080444 A KR20190080444 A KR 20190080444A KR 1020170182894 A KR1020170182894 A KR 1020170182894A KR 20170182894 A KR20170182894 A KR 20170182894A KR 20190080444 A KR20190080444 A KR 20190080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nit
head portions
guide rail
h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8331B1 (en
Inventor
최정식
박병창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7018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331B1/en
Publication of KR2019008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4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3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unit, a transfer system having the same,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fer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unit for holding and transferring a transfer object, a transfer system having the same,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unit comprises: a body part connected to a transfer unit guide rail for holding and transferring a transfer object and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 plurality of head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to hold the transfer object; and a plurality of lifting par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 parts, respectively, for lifting the plurality of head parts.

Description

이송 유닛,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및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Transferring unit, transfer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ransferring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ring unit, a transferring system including the transferring unit,

본 발명은 이송 유닛,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및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대상물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이송 유닛,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및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unit, a transfer system including the transfer uni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f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fer unit for holding and transferring a transfer object, a transfer system including the transfer uni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fer system.

OHT(Overhead Hoist Transport, 천장 대차 시스템)는 이송할 이송 대상물이 많은 대형병원, 반도체 생산공장 등에 설치된다. OHT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rail)을 따라 주행하며, 이송 대상물을 운반하는 대차(vehicle)와 대차의 안내를 위한 레일 등을 포함한다. OHT는 이송명령을 지령하는 OCS(OHT Control System)에 의해서 통합 제어 관리된다.The Overhead Hoist Transport (OHT) system is installed in large hospitals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lants where there are many transport objects to be transported. The OHT runs along a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includes a vehicle for transporting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nd a rail for guiding the truck. The OHT is integrated and controlled by OCS (OHT Control System) which commands the transfer command.

천장 대차 시스템이 반도체 생산 라인에 설치되는 경우, 크린 룸(clean room) 내의 천장 공간을 이용해서 레일이 배치되는데, 레일 상에서 구동되는 대차는 반도체 웨이퍼가 수용된 웨이퍼 대차 등의 이송 대상물을 처리장치나 검사장치의 반송 포트 사이에서 운반한다.When a ceiling trolley system is installed in a semiconductor production line, a rail is disposed by using a ceiling space in a clean room. A railcar which is driven on a rail carries a transportation object such as a wafer carrier, Between the conveying ports of the conveying unit.

주행 레일은 지주 등에 의해 크린 룸의 천장 등으로부터 지지되고, 주행 레일 본체와 급전 레일로 이루어진다. 대차는 주행 구동부를 구비하여 주행 레일 본체 내를 주행할 수 있고, 수전부에 의해 급전 레일로부터 신호를 수전(受電)하여 OCS와 통신한다.The running rail is supported by a support or the like from a ceiling of a clean room, and is composed of a running rail main body and a power feeding rail. The bogie is provided with a traveling drive unit and can travel in the traveling rail main body, and receives signals from the power feeding rail by the power receiver to communicate with the OCS.

천장 대차 시스템은 복수의 대차가 궤도 위를 주행함으로써, 이송 대상물을 이송한다. 궤도는 대차가 직선으로 주행 중 다른 궤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분기하는 분기 구간과 분기 구간에서 이동하여 오는 이송차량을 다른 궤도에 진입시키는 합류 구간을 가진다. 대차가 여러 장소로 분기되어 연결된 궤도 위를 주행함으로써,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게 된다.In the ceiling trolley system, a plurality of trucks travel on an orbit to transport a conveying object. The trajectory has a branching section for branching so that the bogie can move to another orbit while traveling on a straight line, and a joining section for entering the traversing vehicle moving on the branching section to another track. The bogie is branched to various places and travels on a connected orbit, thereby transferring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to a desired position.

종래의 대차는 이송 대상물을 파지(handling)하는 헤드(head)를 하나만 구비하고 있어 한 번에 하나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단위 시간 당 이송량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반도체 생산 라인 등 물동량이 많은 곳에서는 늘어나는 물류 이동량에 맞추어 대차들의 추가 설치가 필요하지만, 제한된 공간 및 대차를 추가 설치하는 고가의 비용으로 인해 물류 이동에 따른 용량 증가가 미진한 실정이다. 또한, 대차들을 추가 설치하더라도 단위 시간 당 물동량이 많은 경우에는 대차의 수량이 많이 필요하고 차량 당 처리 속도가 길어 차량이 정체됨으로 인해 운영(operation)이 불가한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bogie has only one head for handling the conveying object, so that one conveying object can be conveyed at a time, and thus the conveying amount per unit time is very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dditional bogies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logistics moving in the places where there is a lot of traffic such as semiconductor production lines. However, due to the high cost of installing a limited space and a bogie, the capacity increase due to the movement of the logistics is insufficient. In addition, even if additional bogies are installed, in the case where the cargo volume per unit time is large, the number of cargoes is large, and the operation speed is long and the operation is impossible due to the car stagnation.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429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64298

본 발명은 동시에 복수의 이송 대상물을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유닛,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및 이송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fer unit capable of gripping and transferring a plurality of transfer objects at the same time, a transfe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fer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은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 대상물을 각각 파지하는 복수의 헤드부;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승강시키는 복수의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fer unit comprising: a body connected to a guide rail and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dy portion and gripping the objects to be transported; And a plurality of elevating portion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respectively,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respectively.

상기 몸체부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gap adjusting unit provided on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s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상기 복수의 헤드부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의 간격과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후의 간격을 측정하며,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다.And an interval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heads and measuring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wherein the interval measuring unit measures the interval before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s and the interval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s, And the gap adjusting unit may correc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by reflecting a difference in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승강부와 상기 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승강부를 각각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The gap adjust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and the body unit, and can move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승강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승강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p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linear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vating portions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portion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상기 복수의 헤드부에 제공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osition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heads to measure a position of the conveying object; And a position correcting par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 parts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each of the head part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상기 복수의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ds may be disposed along the guide rail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ails.

상기 복수의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그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그립부재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이송 대상물을 파지하는 그립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may include a gripper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grip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and grips the conveyed object by adjusting an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grip members have.

상기 복수의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정렬바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을 정렬시키는 정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ds may include a plurality of alignment ba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may further include an alignment member for aligning the conveyance object.

상기 복수의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플레이트의 하중으로 상기 이송 대상물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shafts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and a contact plate that can be elevated along the plurality of guide shaft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And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상기 몸체부에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상기 몸체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 및 각각의 상기 승강부에 제공되어 각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상기 이송 대상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a position sensor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on the guide rail and a sensor provided on each of the elevation portions and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이송 대상물이 정렬되어 지지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A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the rail part being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a cradle in which the transported objects are aligned and supported.

상기 레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식별태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식별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태그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태그의 식별정보는 상기 거치대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unit further includes an identification tag installed on the guide rail, and the transfer unit further includes a tag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ta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tag includes a position of the cradl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몸체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하강시켜 다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port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measuring a gap between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body portion; Lowering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measuring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correct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by reflecting a difference in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몸체부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 대상물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moving the body along the guide rails to a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fter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is corrected.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하강시키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이송 대상물과 정렬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Lowering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align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heads with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상기 이송 대상물과 정렬시키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보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step of aligning the at least one head with the conveying object includes moving the at least one hea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moving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wherein the step of moving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or the mov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can be moved while maintaining the corrected spac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송 유닛은 복수의 헤드부를 포함하여 동시에 복수의 이송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고, 하나의 이송 유닛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단위 시간 당 이송량을 늘려 이송 대상물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 시스템에서 이송 유닛의 수량을 줄여 이송 유닛의 정체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송 유닛의 추가 설치에 따른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The convey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plurality of heads and can grasp a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at the same time and can increase the processing speed of one conveying unit and increase the conveying amount per unit time, Can be improved. Accordingly, the number of transfer units in the transfer system can be reduced to eliminate the transfer unit, and the investment cost for the additional transfer unit can be reduced.

또한, 간격측정부를 통해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고, 간격조정부를 통해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보상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이송 대상물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해 놓은 경우에는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후의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맞춰 놓게 되면 하나의 헤드부와 이송 대상물의 정렬만으로 복수의 헤드부가 복수의 이송 대상물과 한 번에 정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헤드부의 정렬을 위해 각 헤드부마다 각각 정렬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며, 복수의 헤드부의 이송 대상물과의 정렬을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gap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through the gap measuring portion, and to compensate for the ga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through the gap adjusting portion.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f the intervals after the descend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set at regular intervals,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and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Lt; / RTI > Therefore, the aligning process is not required for each head part for aligning the respective head parts, and the time for aligning the plurality of head parts with the conveying object can be shortened.

그리고 위치측정부를 통해 이송 대상물의 위치를 측정하고, 간격조정부와 위치보정부를 통해 헤드부의 위치를 보정하여 간단하게 헤드부와 이송 대상물을 정렬시킬 수 있다.T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s measured through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head unit is corrected through the gap adjusting unit and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so that the head unit and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can be aligned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lif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interval correction of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port system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In the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rawings are partially exaggerated in size to accurately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로, 도 1(a)는 전체도이며, 도 1(b)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n overall view, FIG. 1 (b) is a partial enlarged view,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100)은 가이드 레일(211)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 대상물(10)을 각각 파지하는 복수의 헤드부(120);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12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부(120)를 각각 승강시키는 복수의 승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transfer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connected to a guide rail 211 and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211;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body portion 110 and gripping the transported object 10; And a plurality of lifting portions 13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and lifting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respectively.

몸체부(110)는 가이드 레일(211)에 연결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몸체부(110)에는 복수의 헤드부(120)와 승강부(130) 등이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이송 대상물(10)의 파지 여부에 따른 각각의 헤드부(120)의 무게 편차에 따라 뒤틀리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형상과 소재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body 110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rail 211 and may move along the guide rail 211.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elevating portions 130, and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body portion 110. Here, the body part 110 may have a strength not to be distorted depending on the weight deviation of each head part 120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s gripped or not, and the shape and the material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복수의 헤드부(120), 승강부(130) 등이 연결되어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111)와 지지 플레이트(111)의 양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측벽(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111)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111)의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 양측에 측벽(11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11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 레일(211)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11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111 to which a plurality of heads 120, a lift 130, etc. are connected and supported, The side wall 112 may be formed of a metal.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111 may ext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and the side walls 11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1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In this case, the body 11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211 and supported.

복수의 헤드부(120)는 몸체부(110)에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이송 대상물(10)을 각각 파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헤드부(120)는 몸체부(110)의 하부면(또는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may be installed on the body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guide rails 211 and may grip the transported objects 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r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여기서, 복수의 헤드부(120)는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주행(또는 이동)하게 되므로, 복수의 이송 유닛(100)이 연속해서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을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또는 상기 몸체부의 주행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에 맞추어 복수의 헤드부(120)는 몸체부(110)에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may be disposed along the guide rail 211, and may be spaced apart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The body part 110 travels (or moves) along the guide rails 211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guide rails 211 so that a plurality of the transfer units 100 successively grasp the transfer object 10 A plurality of the conveyed objects 10 can be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or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110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in accordance with the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10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Can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to avoid interference.

그리고 복수의 헤드부(120)는 이송 대상물(10)을 각각 파지할 수 있으며, 이송 대상물(10)의 중량 및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 및 구성 요소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복수의 헤드부(120)는 승강 또는 몸체부(110)가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주행하는 도중에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면 족하고, 복수의 헤드부(120)의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 간의 연결관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이송 유닛(100)은 이송 대상물(10)을 각각 파지할 수 있는 복수의 헤드부(120)를 가짐으로써, 물류량을 종래의 이송 유닛보다 2배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d units 120 can hold the transported object 10 and can be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shapes and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weight and size of the transported object 10.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may be capable of stably gripping the conveyed object 10 to be conveyed during the elevation or while the body portion 110 is traveling along the guide rails 211,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ccordingly, the transfer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pable of holding the transfer object 10, respectively, so that the volume of the transfer can be increased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e conventional transfer unit.

복수의 승강부(130)는 복수의 헤드부(120)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헤드부(120)를 각각 승강시킬 수 있다. 복수의 승강부(130)는 몸체부(110)와 복수의 헤드부(120)의 사이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헤드부(120)의 상황에 따라 복수의 헤드부(120)를 각각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20)의 상황은 헤드부(120)의 고장 여부, 각 헤드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이송 대상물(10)의 유무 등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portions 130 can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respectively, and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lifted and lowered,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portions 13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respective head portions 120. [ Respectively. Here, the state of the head part 120 may be a failure of the head part 120,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veyed object 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head part 120,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나타낸 개략도로, 도 3(a)는 승강부의 전체도이며, 도 3(b)는 벨트부의 확대도이고, 도 3(c)는 권취부재의 확대도이다.3 (b) is an enlarged view of the belt portion, and Fig. 3 (c) is an enlarged view of the winding portion of the winding member.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lif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부(130)는 복수의 헤드부(12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벨트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벨트부(135)는 복수의 헤드부(1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헤드부(120)를 개별적(또는 독립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lifting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lt units 135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s 12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belt portions 135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respectively, and the respective head portions 120 may be individually (or independently) raised and lowered.

또한, 벨트부(135)는 헤드부(120)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벨트부재(131); 및 복수의 벨트부재(131)를 권취하는 권취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벨트부재(131)는 헤드부(120)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헤드부(12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헤드부(120)를 승강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중량의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한 헤드부(120)를 승강시키기 위해 헤드부(120)의 여러 영역(예를 들어, 4군데 코너)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벨트부재(131)는 헤드부(120) 및 헤드부(120)에 파지된 이송 대상물(10)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 족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belt portion 135 includes a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20, respectively. And a winding member 132 for winding a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The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ar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20 so that the head portion 120 can be lifted and lowered while keeping the head portion 120 horizontal. (For example, four corners) of the head 120 in order to raise and lower the head 120 gripped by the head 120.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can support the load of the conveyed object 10 held by the head part 120 and the head part 120 firmly,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권취부재(132)는 복수의 벨트부재(131)를 권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벨트부재(131)를 권취 및/또는 권출함에 의해 헤드부(1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권취부재(132)는 구동축(132a)에 의해 회전되며, 벨트부재(131)가 권취되는 구동풀리(drive pulley, 132b) 및 벨트부재(131)를 통해 구동풀리(132b)와 연결되며, 구동풀리(132b)에 따라 회전하여 벨트부재(131)의 권취를 가이드하는 종동풀리(idle pulley, 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132a)은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또는 회전)할 수 있으며, 종동풀리(132c)는 헤드부(120)에 연결된 각 벨트부재(131)의 연결 위치에 대응되어 제공될 수 있고, 각 벨트부재(131)의 연결 위치에서 벨트부재(131)의 권취를 가이드하여 헤드부(12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헤드부(12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The winding member 132 can wind a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and can lift and lower the head unit 120 by winding and / or unwinding a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The winding member 132 is rotated by the drive shaft 132a and is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132b through a drive pulley 132b and a belt member 131 on which the belt member 131 is wound, And an idle pulley 132c that rotates along the belt 132b to guide the winding of the belt member 131. [ The driven pulley 132c is connected to the belt memb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head unit 120. The driven pulley 132c is connected to a drive unit (not shown) such as a motor, 131 of the belt member 131 and guide the winding of the belt member 131 at the connecting position of each belt member 131 so that the head part 120 can be stably .

한편, 구동축(132a)은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110)의 지지 플레이트(110)의 장축으로 구동축(132a)이 연장되어 안정적으로 승강부(130)가 몸체부(110)에 지지될 수 있고, 몸체부(110)는 가이드 레일(2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shaft 132a can be extend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In this case, the drive shaft 132a extend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pport plate 110 of the body 110, and the lift unit 130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body 110. The body 110 is supported by the guide 110, And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rail 211.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유닛(100)은 몸체부(110)에 제공되며, 복수의 헤드부(120)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정부(140)는 몸체부(110)에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헤드부(120)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조정부(140)는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p adjusting unit 140 provided on the body 110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s 120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120, . The gap adjusting unit 140 may be provided on the body 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s 120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heads 120. For example, the gap adjusting unit 14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복수의 벨트부재(131)를 권취하여 헤드부(120)를 승강시키는 경우에는 각 벨트부재(131)의 특성(예를 들어, 탄성, 강성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벨트부재(131)를 사용하더라도 각 벨트부재(131)의 성분 함량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탄성 등의 각 벨트부재(131)의 특성이 다를 수 있다. 각 벨트부재(131)의 특성이 다르게 되면, 헤드부(120)의 하강시에 헤드부(120)가 수직하게 똑바로 하강하지 못하고, 한 쪽으로 치우쳐 하강할 수 있으며, 헤드부(120)의 하강 전과 후에 헤드부(120)의 수평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복수의 헤드부(120)를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이 작아지거나(또는 좁아지거나) 커지게(또는 벌어지게) 된다.The characteristics (e.g., elasticity, rigidity, etc.) of the respective belt members 131 may differ when the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are wound and the head portion 120 is lifted and lowered. For example, even if a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made of the same material are used, the component content of each belt member 131 may be slightly differ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lt member 131 such as elasticity may be different . When the head part 120 is lowered, the head part 120 can not be vertically and vertically lowered, and can be lowered toward one side. When the head part 120 is lowere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head unit 120 may be changed. When the plurality of head parts 120 are lower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ntervals of the plurality of head parts 120 can not be maintained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s, (Or become narrowed).

이로 인해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해 놓은 경우에도 각각의 헤드부(120)를 대응되는 이송 대상물(10)과 각각 정렬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헤드부(120)의 이송 대상물(10)과의 정렬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복수의 헤드부(120)로 인한 이송 대상물(10)의 이송 효율 향상이 미미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each of the head portions 120 must be aligned with the corresponding conveying object 10. Accordingly, the alignment time of the plurality of head parts 120 with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10 is lo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object 10 due to the plurality of head parts 120 may be insignificant.

이에 본 발명의 이송 유닛(100)은 간격조정부(140)를 통해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후의 간격이 일정 간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해 놓은 경우에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후의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맞출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헤드부(120)와 이송 대상물(10)의 정렬만으로 복수의 헤드부(120)가 복수의 이송 대상물(10)과 한 번에 정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헤드부(120)의 정렬을 위해 각 헤드부(120)마다 각각 정렬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며, 복수의 헤드부(120)의 이송 대상물(10)과의 정렬을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송 대상물(10)의 이송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Thus, the transfer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heads 120 through the gap adjusting unit 140, so that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the head units 120 after the fall can be made constant. When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10 can be adjusted at regular intervals,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aligned with the plurality of the conveying objects 10 at one time only by alignment of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10. Therefore, the aligning process is not required for each of the head units 120 in order to align the respective head units 120, and the time for aligning the plurality of head units 120 with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10 is shortened And the conveying efficiency of the conveying object 10 can be further improved.

여기서, 간격조정부(140)는 복수의 승강부(130)와 몸체부(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승강부(130)를 각각 이동시켜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즉, 간격조정부(140)는 복수의 승강부(130)의 간격(또는 상기 복수의 벨트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간격조정부(140)는 복수의 승강부(130)와 지지 플레이트(1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헤드부(120)는 복수의 승강부(13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승강부(130)의 간격을 조정하여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헤드부(120)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The spacing adjusting unit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30 and the body unit 110 to move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30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head units 120 Can be adjusted. That is, the interval adjusting unit 140 can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30 (or the interval between the belt units). At this time, the gap adjusting unit 1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30 and the support plate 111. Since the respective head portions 120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vating portions 130, the intervals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elevating portions 130. [ In such a case,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stably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held horizontally, so that the interval can be adjus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도 4(a)는 간격 보정 전을 나타내고, 도 4(b)는 간격 보정 후를 나타낸다.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interval correction of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shows the interval before correction, and FIG. 4 (b) shows the interval after correc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유닛(100)은 복수의 헤드부(120)에 제공되며,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측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간격측정부(150)는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전의 간격과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으며, 간격조정부(140)는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반영하여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다. 간격측정부(150)는 복수의 헤드부(120)에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측정부(150)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가 각각의 헤드부(120)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서로의 거리를 측정하여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측정부(150)는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전의 간격과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4, the transfe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val measuring unit 150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heads 120 for measuring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120 And the interval measuring unit 150 can measure the interval before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the head units 120 and the interval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the head units 120. The interval adjusting unit 140 includes a plurality of head units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corrected by reflecting the gap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fall of the head portion 120. [ The gap measuring unit 150 may be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120 and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120. [ For example, the gap measuring unit 150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ensors, and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head units 120, and a plurality of heads 120 ) Can be measured. Here, the interval measuring unit 150 can measure the interval before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s 120 and the interval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the heads 120.

그리고 간격조정부(140)는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반영하여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다. 복수의 헤드부(120)는 하강 전과 후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간격측정부(150)를 통해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전의 간격과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후의 간격을 측정하여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반영함으로써,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맞춘 상태에서 복수의 헤드부(120)를 하강시킨 후에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후의 간격이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도록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몸체부(110)의 이동없이 복수의 헤드부(120)를 각각 승강시켜 이송 대상물(10)을 각각 파지할 수 있다.The interval adjusting unit 140 may correct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120 by reflecting the ga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lurality of head units 120 are lowered. The intervals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s 120 can be measured through the gap measuring unit 150 and the intervals before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s 120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the heads 120 are measured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corrected by reflecting the ga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are lowered. For example, after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are lower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10,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120 can be corrected so that the interval thereafter becomes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10. [ Thus,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raised and lowered without moving the additional body portion 110, respectively, so that the transported objects 10 can be respectively gripped.

또한, 간격조정부(14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미도시); 복수의 승강부(13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동력에 의해 선형 이동하는 복수의 이동체(미도시) 및 동력원(미도시)의 회전력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미도시)은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 the interval adjusting unit 140 may include a power source (not shown) for generating power; A plurality of moving bodies (not shown) linearly moving by the power and a motion converting memb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vating portions 130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source (not shown) into a linear motion . A power source (not shown) can generate power and generate, for example, a rotational force.

복수의 이동체(미도시)는 복수의 승강부(130)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동력원(미도시)과 샤프트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에 의해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이동체(미도시)의 선형 이동에 따라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복수의 승강부(130)가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moving bodies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fting units 130, respectively, and may be linearly moved by the power by being connected to a power source (not shown) by a shaft or the like. The plurality of lifting portions 130 can be mov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body (not show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adjusted through this.

운동변환부재(미도시)는 동력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동력원(미도시)의 회전력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변환부재(미도시)는 스크류 샤프트(screw shaft)와 볼 너트(ball nut)로 이루어진 볼 스크류(ball screw)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는 동력원(미도시)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된 상기 볼 너트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또는 나사산)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 너트가 이동체(미도시)일 수 있다.The motion converting member (not shown) can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not shown), and can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of a power source (not shown) into a linear motion. For example, the motion converting member (not shown) may include a ball screw composed of a screw shaft and a ball nut, and the screw shaft is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of a power source And the ball nut coupled to the screw shaft can linearly move along a threaded hole (or thread) of the screw shaft by rotation of the screw shaft. Here, the ball nut may be a moving body (not shown).

그리고 간격조정부(140)는 복수의 승강부(130)에 각각 연결되며,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복수의 승강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 가이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형 가이드부재(미도시)는 복수의 승강부(130)에 각각 연결되어 헤드부(120) 및/또는 이동체(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동력에 의한 승강부(130)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여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복수의 승강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선형 가이드부재(미도시)를 통해 안정적으로 복수의 승강부(130)를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복수의 헤드부(120)를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gap adjusting unit 140 further includes a linear guide memb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30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30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can do. The linear guide membe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fting portions 130 and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120 and / or the moving body (not shown),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fting portion 130 by the power Guide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lift portions 130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The plurality of lifting portions 130 can be linearly mov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through the linear guide members (not shown), and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stably guided along the guide rails 211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of the frame.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유닛(100)은 복수의 헤드부(120)에 제공되어 이송 대상물(10)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160); 및 복수의 헤드부(120)와 각각 연결되며,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헤드부(120)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보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보정부(170)는 복수의 헤드부(120)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헤드부(120)를 이동시켜 각각의 헤드부(12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위치보정부(170)는 복수의 승강부(130)에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헤드부(120)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승강부(130) 중 각각의 벨트부(13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보정부(170)는 구성 요소로서, 헤드부(120)를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모듈(sliding module)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조정부(140)의 하부면에 슬라이딩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위치보정부(170)는 헤드부(120) 및/또는 이송 대상물(10)의 중량 및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 및 구성 요소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보정부(170)는 이송 대상물(10)이 승강 및/또는 이송되는 도중에도 헤드부(120)에 의해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헤드부(12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으면 족하고, 위치보정부(170)의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 간의 연결관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A transfe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measuring unit (160) provided on a plurality of heads (120) to measure a position of a transfer object (10); And a position correcting part 17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 parts 120 and correcting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head parts 12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have.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 units 120 and may move the respective head units 12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Can be corrected. At this time,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30 to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s 120, respectively,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elt units 135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130 Can be connected.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170 may include a sliding module that moves the head unit 12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 For example, the sliding module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ap adjusting unit 140.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17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shapes and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weight and the size of the head 120 and / or the conveying object 10.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170 may be capable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unit 12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ead unit 120 can be stably gripped by the head unit 120 even during the lifting and /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osition correcting section 17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위치보정부(170)는 로테이트 모듈(rotate module)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테이트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모듈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트 모듈은 헤드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파지할 이송 대상물(10)이 놓여진 각도에 대응하여 헤드부(120)의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헤드부(120) 간에 서로 정렬되도록 각각의 헤드부(120)의 각도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헤드부(120)가 서로 나란하게(또는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을 한 번의 정렬을 통해 추가적인 정렬없이 복수의 헤드부(120)를 각각 승강하여 파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170 may include a rotate module. For example, the rotatable module may b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module. The rotation module can rotate the head 120 and correct the angle of the head 120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object 10 to be gripped is placed. At this time, the angles of the respective head parts 120 can be corrected so that the plurality of head parts 12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head parts 120 can be arranged in parallel (or parallel) to each other.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conveying objects 10 arranged in parallel to one another can be lifted and held by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without further alignment through one alignment.

위치측정부(160)는 복수의 헤드부(120)에 제공될 수 있고, 각각 대응되는 이송 대상물(1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 대응되는 이송 대상물(10)의 위치에 맞추어 각각의 헤드부(120)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복수의 헤드부(120)와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을 각각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측정부(160)를 통해 이송 대상물(10)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송 대상물(10)의 위치에 맞추어 간격조정부(140)를 통해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의 헤드부(12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으며, 위치보정부(170)를 통해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헤드부(12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헤드부(120)와 이송 대상물(10)을 정렬시킬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ing unit 160 may be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heads 120 and may measure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onveying object 1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and the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10 can be aligned by correcting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head portions 12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conveyed objects 1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10 is measured through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60, 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10 is measured through the gap adjusting unit 140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head part 120 of the guide rail 211 and correct the position of the head part 120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through the position correcting part 170. [ Accordingly, the head part 120 and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10 can be aligned easily.

여기서, 하나의 헤드부(120)를 이송 대상물(10)과 정렬시키면서 나머지 헤드부(120)는 하나의 헤드부(120)와의 간격과 정렬이 유지되도록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헤드부(120)를 이용한 한 번의 정렬을 통해 복수의 헤드부(120)와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이 각각 정렬될 수 있다.Here, one head 120 may be aligned with the conveying object 10, and the remaining head 120 may be corrected in position so that the gap with the one head 120 and alignment are maintaine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and a plurality of transported objects 10 can be aligned through one alignment using one head portion 120, respectively.

복수의 헤드부(120)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그립부재(121a)를 포함하며, 복수의 그립부재(121a)의 간격을 조정하여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하는 그립퍼(1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퍼(121)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그립부재(121a)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그립부재(121a)의 간격을 조정하여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할 수 있다. 복수의 그립부재(121a)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서로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그립부재(121a)가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그립부재(121a)가 인접한 헤드부(120) 및/또는 파지할 이송 대상물(10)로부터 인접 배치된 이송 대상물(10)과 간섭될 수 있고, 복수의 그립부재(121a)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없어 이송 대상물(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지 못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include a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provided on both si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 members 121a is adjusted, And a gripper 121 for holding the gripper 10. The gripper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provided on both si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The gap between the grip members 121a may be adjusted, 10). The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may be adjusted. When a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a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from the adjacent head part 120 and / It is possible to interfere with the conveyed object 10 having a plurality of gripping members 121 and sufficient space can not be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ing members 121a can be adjusted.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복수의 그립부재(121a)를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배치하게 되면, 복수의 그립부재(121a)가 인접한 헤드부(120) 및/또는 파지할 이송 대상물(10)로부터 인접 배치된 이송 대상물(10)과 간섭될 염려가 없고, 이에 따라 복수의 그립부재(121a)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송 대상물(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에 그립퍼(121)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그립부재(121a)의 간격을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할 수 있다.However, if a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ar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may be provided on adjacent head portions 120 and / There is no fear of interfering with the transported object 10 disposed adjacent from the transported object 10 to be gripped, thereby providing sufficient space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plurality of gripping members 121a, (10) can be stably gripped. The gripper 121 can grip the conveyed object 10 stably by adjusting the intervals of the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

또한, 복수의 헤드부(120)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정렬바(122a)를 포함하며, 이송 대상물(10)을 정렬시키는 정렬부재(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부재(122)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정렬바(122a)를 포함할 수 있고, 이송 대상물(10)을 정렬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정렬바(122a)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 중 일측으로 이송 대상물(10)이 치우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 대상물(10)이 그립퍼(121)에 의해 안정적으로 파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정렬바(122a)도 복수의 그립부재(121a)와 같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정렬바(122a)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송 대상물(10)의 측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이송 대상물(10)이 복수의 정렬바(122a)에도 지지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정렬바(122a)의 간격 조절은 그립퍼(121)에 의한 파지에 보조적으로 수행되므로, 복수의 정렬바(122a)의 간격 조절의 폭은 복수의 그립부재(121a)의 간격 조절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복수의 정렬바(122a)가 인접한 헤드부(120) 및/또는 파지할 이송 대상물(10)로부터 인접 배치된 이송 대상물(10)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include a plurality of alignment bars 122a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and further include an alignment member 122 for aligning the conveying object 10 can do. The alignment member 1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alignment bars 122a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and may align the conveying object 10. [ The plurality of alignment bars 122a can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to prevent the conveyed object 10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of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11, So that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10 can be stably gripped by the gripper 121. [ Here, the plurality of alignment bars 122a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as a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an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lignment bars 122a to contact the side surface of the conveyance object 10 , The object 10 to be conveyed is also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alignment bars 122a, so that the object 10 can be gripped more stably. At this time, since the adjustment of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alignment bars 122a is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gripping by the grippers 121, the width of the adjustment of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alignment bars 122a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grip members 121a And the plurality of alignment bars 122a may not interfere with the adjacent conveyed object 10 from the head portion 120 and / or the conveyed object 10 to be held.

그리고 복수의 헤드부(120)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23a)와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23a)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접촉 플레이트(123b)를 포함하며, 접촉 플레이트(123b)의 하중으로 이송 대상물(10)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가압부재(pusher, 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123)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23a)와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23a)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접촉 플레이트(123b)를 포함할 수 있고, 접촉 플레이트의 하중으로 이송 대상물(10)의 상부면을 눌러줄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23a)는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접촉 플레이트(123b)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의 이송 대상물(1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shafts 123a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and contact plates 123b capable of elevating along the plurality of guide shafts 123a, And a pusher 123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10 with the load of the contact plate 123b. The pressing member 1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shafts 123a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and a contact plate 123b capable of elevating along the plurality of guide shafts 123a,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10 can be pushed by the load of the plate. A plurality of guide shafts 123a can b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ontact plates 123b and to move the guide rails 2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10 from being released.

접촉 플레이트(123b)는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23a)에 연결되어 그 하부면이 밀어 올려지는 힘으로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23a)를 따라 승강할 수 있으며, 헤드부(120)의 하강으로 접촉 플레이트(123b)의 하부면이 이송 대상물(1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접촉 플레이트(123b)가 이송 대상물(10)의 상부에 얹어질 수 있다. 헤드부(120)가 더 하강하게 되면, 헤드부(12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하강하게 되나 접촉 플레이트(123b)는 이송 대상물(10)로 인해 더 하강할 수 없어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23a)를 따라 헤드부(120)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비해 이송 대상물(10)의 높이만큼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헤드부(120)가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하게 되면, 접촉 플레이트(123b)는 이송 대상물(10)의 상부에 얹어져 이송 대상물(10)의 상부면을 그 하중으로 눌러줄 수 있다.The contact plate 123b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guide shafts 123a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late 123b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plurality of guide shafts 123a by the force of being pushed up. 123b ab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10 so that the contact plate 123b can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object 10 to be transported. When the head 120 further descends, the other components of the head 120 are lowered, but the contact plate 123b can not descend further due to the conveyance object 10, and the plurality of guide shafts 123a The height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10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components of the head 120. When the head unit 120 grasps the object 10, the contact plate 123b can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object 10 to push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10 with the load.

이를 통해 가압부재(123)는 접촉 플레이트(123b)의 하중으로 이송 대상물(10)의 상부면을 눌러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송 대상물(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123)는 그립퍼(121)와 함께 이송 대상물(10)을 잡아줄 수 있으며, 그립퍼(121)가 이송 대상물(10)의 하부면을 가압하고 가압부재(123)가 이송 대상물(10)의 상부면을 눌러주어 그립퍼(121)와 가압부재(123)의 사이에 이송 대상물(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이송 대상물(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23 can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10 by the load of the contact plate 123b so that the conveyed object 10 can be held so as not to be detached. Here, the pressing member 123 can grip the conveyed object 10 together with the gripper 121, and the gripper 121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10 and the pressing member 123 presses the conveyed object 10 So that the conveying object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veying object 10 by stably supporting the conveying object 10 between the gripper 121 and the pressing member 123.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유닛(100)은 몸체부(110)에 제공되어 가이드 레일(211)에서 몸체부(11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미도시) 및 각각의 승강부(130)에 제공되어 각 헤드부(120)의 하부에 이송 대상물(10)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191)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미도시)는 몸체부(110)에 제공되어 가이드 레일(211)에서 몸체부(1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미도시)는 가이드 레일(211)에 표시된 바코드 등을 읽어 가이드 레일(211)에서 몸체부(1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위치 검출에 따라 이송 대상물(10)의 위치(또는 상기 이송 대상물이 지지되는 거치대의 위치)로 몸체부(110)가 이동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body part 110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ody part 110 in the guide rail 211 and a position sensor And a sensor 191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10 on the lower portion of each head 120. A position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body 110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ody 110 in the guide rail 211. For example, a position sensor (not shown)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body 110 in the guide rail 211 by reading a bar code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guide rail 211, and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body 110 The body part 110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conveying object 10 (or the position of the cradle on which the conveying object is supported).

감지 센서(191)는 각각의 승강부(130)에 제공될 수 있고, 각 헤드부(120)의 하부에 이송 대상물(10)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120)가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하부의 거치대(220)에 이송 대상물(10)이 있으면 헤드부(120)가 이송 대상물(10)을 하부의 거치대(220)에 내려놓지 않고, 이송 대상물(10)이 없는 다른 거치대(220)에 내려놓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거치대(220)에 이송 대상물(10)이 겹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20)가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하부의 거치대(220)에 이송 대상물(10)이 없으면 헤드부(120)를 하강시키지 않고, 이송 대상물(10)이 있는 다른 거치대(220)에서 헤드부(120)를 하강시켜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할 수 있다.The sensing sensor 191 may be provided to each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s 130 and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 10 to be conveyed under the respective head units 120. For example, when the head part 120 grips the transported object 10, if the transported object 10 is present on the lower platform 220, the head part 120 moves the transported object 10 to the lower cradle 220, (220), but can be placed on another stand (220) without the conveying object (10). Thus, the objects to be transferred 10 can be prevented from overlapping with one cradle 220. If the head part 120 does not grip the transported object 10 and the transported object 10 does not exist on the lower platform 220, the transported object 10 The head part 120 can be lowered from the other stand 220 to grip the object 10 to be transported.

이에 효과적으로 이송 대상물(10)의 파지 위치와 거치 위치(또는 반송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이송 대상물(10)을 이송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이송 대상물(1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onvey the gripping posi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or the transporting position) of the transporting object 10, thereby transferring the transporting object 10, thereby efficiently transporting the transporting object 10.

본 발명의 이송 유닛(100)은 몸체부(110)에 제공되며, 헤드부(120)에 파지된 이송 대상물(10)의 하부를 지지하여 이송 대상물(10)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낙하방지부(180)는 몸체부(110)의 측벽(112)에 제공될 수 있고, 몸체부(110)의 측벽(112)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헤드부(120)에 파지된 이송 대상물(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낙하방지부(180)는 몸체부(110)의 각 측벽(112)에 대칭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낙하방지부(180)는 헤드부(120)의 승강시 간섭되지 않도록 접혀지거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헤드부(120)의 승강시에는 접혀지거나 회전되었다가 헤드부(120)가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하여 상승하면 이송 대상물(10)의 하부를 향하여 펴져서 이송 대상물(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낙하방지부(180)를 이용하여 이송 대상물(10)의 이송 도중 안정적으로 이송 대상물(1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body part 110 and includes a drop prevention part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transported object 10 gripped by the head part 120 to prevent the transported object 10 from falling 180) < / RTI > The fall preventing portion 18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all 112 of the body portion 11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op prevention portions 180 extending inward from the side wall 112 of the body portion 110, Can be supported. For example, the drop prevention portions 18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respective side walls 112 of the body portion 110. The fall preventing unit 180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or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ead unit 120. When the head unit 120 is lifted or lowered, 120 are held by the conveying object 10 and rise, they can be sprea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onveying object 10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onveying object 1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veying object 10 from dropping stably during the conveyance of the conveying object 10 by using the fall preventing unit 180. [

본 발명의 이송 유닛(100)은 몸체부(110)와 가이드 레일(211)을 연결하며,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190)는 몸체부(110)와 가이드 레일(211)을 연결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또는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부(190)는 작업장의 천장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주행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211)에 체결될 수 있고, 구성 요소로서 몸체와 복수개의 휠과 휠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190)는 이송 대상물(10)의 중량 및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주행부(190)는 가이드 레일(211)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주행할 수 있으면 족하고, 주행부(190)의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 간의 연결관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transport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veling unit 190 connecting the body 110 and the guide rail 211 and traveling along the guide rail 211. The travel unit 190 can connect the body 110 and the guide rail 211 and can travel along the guide rail 211 (or along a predetermined route). To this end, the running unit 190 can be fastened to the guide rail 211 so as to be able to run along the guide rails 211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workplace, and includes a body, a plurality of wheels and a wheel driving motor . The traveling unit 19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connection elements and components in correspondence with the weight and size of the object 10 to be transported. That is, the running unit 190 can be mounted on the guide rail 211 and run along the guide rail 211, and the connec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running unit 19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를 들어, 주행부(190)는 몸체부(110)의 지지 플레이트(111) 상부에 복수개가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몸체부(110)의 균형을 맞추기 용이하여 주행부(190)를 통해 안정적으로 몸체부(110)가 가이드 레일(211)에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9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11 of the body 1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rails 211 extend, thereby balancing the body 110 So that the body portion 11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guide rail 211 through the driving portion 190.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사항들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duplicate elements of the transpor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2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100); 상기 몸체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레일(211)을 포함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레일부(210); 및 상기 이송 대상물(10)이 정렬되어 지지되는 거치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fer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uide rail (211) guiding movement of the body part (110), the rail part (210) being installed on a ceiling; And a cradle 220 in which the transported objects 10 are aligned and supported.

이송 유닛(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100)일 수 있으며, 복수의 헤드부(120)를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송 유닛(100)은 헤드부(120)에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하여 가이드 레일(211)를 따라 이동하고 지정된 위치(또는 장소)의 거치대(220)에 내려놓거나 상기 거치대(220)에 놓여있는 이송 대상물(10)을 끌어올려(또는 파지하고 승강하여) 가이드 레일(211)를 타고 지정된 다른 위치 상으로 이동한 다음 그 위치의 거치대(220)에 내려 놓는 방식으로 이송 대상물(10)을 이송(또는 반송)하게 된다.The transfer unit 100 may be a transfer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head units 120 and may adjust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the head units 120. The transfer unit 100 holds the object 10 to be transferred to the head unit 120 and moves along the guide rail 211 to be placed on the holder 220 at a designated position or place or placed on the holder 220 The conveying object 10 is conve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veying object 10 is pulled up (or held and elevated), the guide rail 211 is moved to another specified position, (Or returned).

레일부(210)는 몸체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211)을 포함할 수 있고,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11)은 몸체부(1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고, 몸체부(110)의 주행 경로(또는 궤도)를 제공할 수 있다. 레일부(210)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형병원, 반도체 생산공장 등의 건물의 천장 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rail part 210 may include a guide rail 211 for guiding movement of the body part 11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guide rail 211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body 110 and provide a traveling path (orbit) of the body 110. The rail part 21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example, on the ceiling side of a building such as a large hospital 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tory.

이송 시스템(200)에서의 이송 대상물(10)의 이송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transfer process of the transfer object 10 in the transfer system 200 will be described below.

이송 시스템(200)은 이송 유닛(100)을 가이드 레일(211)에서 주행시킴으로써, 헤드부(120)에 파지된 이송 대상물(10)을 각 지정된 위치의 거치대(220)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복수의 헤드부(120)는 미리 설정된 값에 의거하여 몸체부(110)에 대하여 그 위치를 보정하여 거치대(220)의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The transport system 200 can move the transported object 10 gripped by the head unit 120 onto the platform 220 at each designated position by moving the transport unit 100 from the guide rail 211. [ In this state, the plurality of head parts 120 can be aligned with the position of the cradle 220 by correcting their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10 based on preset values.

그리고 헤드부(120)는 승강부(130)에서 복수의 벨트부재(131)를 권출함에 의해 거치대(220) 상에 있는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강될 수 있다. 계속해서 그립퍼(121)가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하여 승강부(130)에서 복수의 벨트부재(131)를 감아 올림(또는 권취함)으로써, 이송 대상물(10)을 매달기 상태로 파지할 수 있다.The head part 120 can be lowered to a position where the conveying object 10 on the cradle 220 can be gripped by pulling a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from the elevating part 130. [ The gripper 121 grips the conveyed object 10 and winds up (or winds up) the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at the elevation portion 130 to grip the conveyed object 10 in a suspended state .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복수의 헤드부(120)는 각각 이송 대상물(10)을 파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grip the transported object 10, respectively.

이송 유닛(100)은 복수의 헤드부(120)에 이송 대상물(10)을 매달은 상태로 파지한 후에, 가이드 레일(211)을 주행함으로써, 이송 대상물(10)을 다른 지정된 위치들의 거치대(220) 상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헤드부(120)의 이동에 의해 각각의 헤드부(120)를 각 거치대(220)의 위치에 맞춘 후에, 승강부(130)에서 복수의 벨트부재(131)를 권출함으로써, 다른 지정된 위치의 거치대(220) 상에 이송 대상물(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헤드부(120)는 이송 대상물(10)을 거치대(220) 상에 얹어 놓고, 승강부(130)에서 재차 복수의 벨트부재(131)를 감아 올림으로써, 반송으로 이행될 수 있다.The conveying unit 100 moves the conveying object 10 along the guide rail 211 after grasping the conveying object 10 in a suspended state o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 ≪ / RTI > The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are pulled out from the elevation portion 130 after the head portions 120 are aligned with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holders 220 by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10 can be lowered on the platform 220 of the position. In this state, the head unit 120 can be shifted to the conveying state by placing the conveying object 10 on the cradle 220 and winding up the plurality of belt members 131 again by the elevating unit 130.

이러한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200)의 이송 유닛(100)은 한 번에 2개 이상의 이송 대상물(10)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이송 유닛에 비하여 단위 시간 당 이송량을 2배 이상으로 늘릴 수 있으며, 이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Since the transfer unit 100 of the transfer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wo or more transfer objects 10 at a time, the transfer amount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more than twi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ransfer unit 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ransfer time.

거치대(220)는 이송 대상물(10)이 지지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이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은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2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The holder 220 can support the conveying object 10, and a plurality of the conveying objects 10 can be arranged and arrange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1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and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211.

레일부(210)는 가이드 레일(211)에 설치되는 식별태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송 유닛(100)은 식별태그(미도시)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태그인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식별태그(미도시)의 식별정보는 거치대(220)의 위치(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유닛(100)은 태그인식부(미도시)를 통해 가이드 레일(211)에 설치되는 식별태그(미도시)를 스캔하여 식별태그(미도시)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이송 유닛(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태그(미도시)는 바코드 등일 수 있다. 식별태그(미도시)의 식별정보는 가이드 레일(211) 중 이송 유닛(100)의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거치대(220)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식별태그(미도시)의 식별정보를 통해 거치대(220)의 위치에 이송 유닛(100)이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거치대(220)의 위치에서 이송 유닛(100)이 정지할 수 있다.The rail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n identification tag (not shown) provided on the guide rail 211.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a tag recognition unit (not shown) for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dentification ta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tag (not shown) may include the position (o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radle 220. The transfer unit 100 can recogniz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dentification tag (not shown) by scanning an identification tag (not shown) provided on the guide rail 211 through a tag recognition unit (not shown) 100) can be confirmed. Here, the identification tag (not shown) may be a bar code or the lik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tag (not shown) may include the position of the holder 220 as well a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in the guide rail 211. That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tag (not shown) can be used to check whether the transfer unit 100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mount 220, and the transfer unit 100 can be stopped at the position of the mount 220.

하강 후의 복수의 헤드부(120)의 간격은 거치대(220)에 지지된 이송 대상물(10)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헤드부(120)를 이용한 한 번의 정렬을 통해 복수의 헤드부(120)와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을 각각 정렬시킬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이송 대상물(10)을 한 번의 정렬을 통해 추가적인 정렬없이 복수의 헤드부(120)를 각각 승강하여 파지할 수 있다.The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after descending may be the same as the interval of the conveyed objects 10 supported by the cradle 220. In this case, a plurality of heads 120 and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10 can be aligned by one alignment using one head 120, and a plurality of conveyed objects 10 Can be lifted and gripped by a plurality of heads 120 without further alignment through one alignment.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사항들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nection with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ap with the explanations is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몸체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하는 과정(S100);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하강시켜 다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하는 과정(S200);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하는 과정(S300); 및 상기 몸체부를 이송 대상물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S4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port system, including: measuring a gap between a plurality of head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body part; A step (S200) of lowering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measur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 step (S300) of correct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by reflecting a ga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lowered; And moving the body part to a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S400).

먼저, 몸체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한다(S100). 여기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간격측정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할 수도 있고, 간격조정부 중 상기 복수의 헤드부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이동체의 간격을 통해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복수의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First, intervals between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body portion are measured (S100). Here, the interval before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measured.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can be measured through the interval measuring unit, or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can be measured through the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moving bodi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s, respectively. Meanwhile, the body part can move along the guide rails, and the plurality of head parts can be spaced apart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하강시켜 다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한다(S200). 여기서, 복수의 헤드부(120)의 하강 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를 하강시키는 복수의 벨트부재의 특성(예를 들어, 탄성, 강성 등) 차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의 간격과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후의 간격이 다를 수 있으며, 상기 간격측정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Next,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lowered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is measured again (S200). Here, the interval after the fall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120 can be measured. At this time, the gap before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the gap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the head portions may be differ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elasticity, rigidity, etc.) of the plurality of belt members lowering the head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measured through the measurement portion.

그 다음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한다(S300). 상기 복수의 헤드부는 하강 전과 후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간격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의 차이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상기 몸체부의 이동없이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승강시켜 이송 대상물을 각각 파지할 수 있다.Then,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is corrected by reflecting the ga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lowered (S300).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may be spaced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portion, and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may be corrected by refl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als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measured through the gap measuring portion. Whereby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lifted and lowered without further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thereby gripping the transported objects, respectively.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하는 과정(S300)에서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후의 간격이 하부에 정렬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이송 대상물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상기 이송 대상물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맞춘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하강시킨 후에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후의 간격이 복수개의 상기 이송 대상물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이용한 한 번의 정렬을 통해 상기 복수의 헤드부와 복수개의 상기 이송 대상물을 각각 정렬시킬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이송 대상물을 한 번의 정렬을 통해 추가적인 정렬없이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승강하여 파지할 수 있다.In the step S300 of correct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may be corrected so that the distance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s is equal to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objects to be conveyed arranged at the bottom . For example, after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gaps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aligned at the same intervals as the gaps of the plurality of the conveyed objects, the interval after the fall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becomes shorter than the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the conveyed obj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corrected so as to be the sam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plurality of head parts and the plurality of the conveying objects respectively by one alignment using one head part, and to arrange a plurality of the conveying objects arranged in parallel to one another, So that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lifted and gripped.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하는 과정(S300) 이후에 상기 몸체부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 대상물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S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S400) of moving the body along the guide rail to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after the step of correct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S300) .

그리고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하는 과정(S300) 이후에 상기 몸체부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 대상물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S400). 상기 몸체부를 이송 대상물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대상물을 각각 파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이 보정된 경우에는 추가적인 상기 몸체부의 이동없이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승강하여 상기 이송 대상물을 각각 파지할 수 있다.After the step S300 of correct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the body may be moved along the guide rail to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S400). It is possible to grip each of the transported objects by moving the body part to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ed object and lowering the plurality of headed parts, respectively. And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is corrected,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respectively lifted and lowered to grip the conveyed objects without moving the body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하강시키는 과정(S500);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이송 대상물과 정렬시키는 과정(S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a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tep of lowering the plurality of head units (S500); And aligning at least one hea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with the conveying object (S600).

그 다음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하강시킬 수 있다(S500). 이때,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보정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보정된 간격이 상기 이송 대상물의 간격과 동일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상기 몸체부의 이동없이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하강하여 상기 이송 대상물을 각각 파지할 수 있다.Th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lowered (S50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corrected intervals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maintained. And when the calibrated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is equal to the interval of the conveying object,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respectively lowered to grip the conveying object without further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그리고 상기 복수의 헤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이송 대상물과 정렬시킬 수 있다(S600). 상기 헤드부와 상기 이송 대상물이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헤드부를 상기 이송 대상물과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이 보정되어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시에 모두 동일한 간격을 갖게 되면, 복수개의 상기 이송 대상물이 동일한 패턴(또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의 정렬을 통해 모든 상기 헤드부가 정렬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may be aligned with the conveying object (S600). When the head part and the conveying object are not aligned, the head part can be aligned with the conveying object. Here, if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is corrected and all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equal to each other when they are lowered, when a plurality of the conveyed objects are arranged in the same pattern (or at the same interval) All of the head portions can be aligned through alignment.

상기 이송 대상물과 정렬시키는 과정(S6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S6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S6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S610)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S620)에서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보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step S600 of aligning the at least one head with the object to be conveyed may include moving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hea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guide rail (S610); And a step (S620) of moving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In the step (S610) of moving the guide rail in the extending direction (S610) (S620),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can be moved while maintaining the corrected intervals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6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may be mov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S610). The position of the guide rail in the extending direction can be corrected by moving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6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may be mov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S620).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may be mov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to correct a posit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S610)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S620)에서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보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이용한 한 번의 정렬을 통해 상기 복수의 헤드부와 복수개의 상기 이송 대상물을 각각 정렬시킬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이송 대상물을 한 번의 정렬을 통해 추가적인 정렬없이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승강하여 파지할 수 있다.In a step S610 of moving the guide rail in an extending direction or a step of moving the guide rail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S620, Can be moved.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can be aligned through one alignment using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arranged in parallel to one another can be aligned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can be lifted and held without alignment.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헤드부를 포함하여 동시에 복수의 이송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고, 하나의 이송 유닛의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단위 시간 당 이송량을 늘려 이송 대상물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 시스템에서 이송 유닛의 수량을 줄여 이송 유닛의 정체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송 유닛의 추가 설치에 따른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또한, 간격측정부를 통해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고, 간격조정부를 통해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보상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이송 대상물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해 놓은 경우에는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후의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맞춰 놓게 되면 하나의 헤드부와 이송 대상물의 정렬만으로 복수의 헤드부가 복수의 이송 대상물과 한 번에 정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헤드부의 정렬을 위해 각 헤드부마다 각각 정렬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며, 복수의 헤드부의 이송 대상물과의 정렬을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측정부를 통해 이송 대상물의 위치를 측정하고, 간격조정부와 위치보정부를 통해 헤드부의 위치를 보정하여 간단하게 헤드부와 이송 대상물을 정렬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hold a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including a plurality of heads, to increase the processing speed of one conveying unit, and to increase the conveying amount per unit time to improve the conveying efficiency of the conveying object . Accordingly, the number of transfer units in the transfer system can be reduced to eliminate the transfer unit, and the investment cost for the additional transfer unit can be reduced. Furthe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gap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through the gap measuring portion, and to compensate for the ga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through the gap adjusting portion.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f the intervals after the descend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set at regular intervals,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and the plurality of conveying objects Lt; / RTI > Therefore, the aligning process is not required for each head part for aligning the respective head parts, and the time for aligning the plurality of head parts with the conveying object can be shortened. T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s measured through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head unit is corrected through the gap adjusting unit and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so that the head unit and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can be aligned easi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이송 대상물 100 : 이송 유닛
110 : 몸체부 111 : 지지 플레이트
112 : 측벽 120 : 복수의 헤드부
121 : 그립퍼 121a: 그립부재
122 : 정렬부재 122a: 정렬바
123 : 가압부재 123a: 가이드 샤프트
123b: 접촉 플레이트 130 : 승강부
131 : 벨트부재 132 : 권취부재
132a: 구동축 132b: 구동풀리
132c: 종동풀리 135 : 벨트부
140 : 간격조정부 150 : 간격측정부
160 : 위치측정부 170 : 위치보정부
180 : 낙하방지부 190 : 주행부
191 : 감지 센서 200 : 이송 시스템
210 : 레일부 211 : 가이드 레일
220 : 거치대
10: conveying object 100: conveying unit
110: body part 111: support plate
112: side wall 120:
121: gripper 121a: grip member
122: alignment member 122a: alignment bar
123: pressing member 123a: guide shaft
123b: contact plate 130:
131: Belt member 132: Winding member
132a: drive shaft 132b: drive pulley
132c: driven pulley 135: belt portion
140: interval adjusting unit 150: interval measuring unit
160: position measuring unit 170: position correcting unit
180: drop prevention unit 190:
191: Detection sensor 200: Transport system
210: rail part 211: guide rail
220: Cradle

Claims (17)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 대상물을 각각 파지하는 복수의 헤드부;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승강시키는 복수의 승강부;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A body connected to the guide rail and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dy portion and gripping the objects to be transported; And
And a plurality of lift portion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respectively,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ap adjusting unit that is provided on th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ds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의 간격과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후의 간격을 측정하며,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interval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heads to measure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Wherein the gap measuring unit measures an interval befor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an interval after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Wherein the gap adjusting unit corrects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by reflecting a ga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승강부와 상기 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승강부를 각각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p adjusting unit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and the body unit and moves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승강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승강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linear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vating portions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portion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에 제공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sition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heads to measure a position of the conveying object; And
And a position correcting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each of the head portion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heads are disposed along the guide rail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guide rai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그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그립부재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이송 대상물을 파지하는 그립퍼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heads comprises:
And a gripper including a plurality of grip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s and gripping the conveyance object by adjusting an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grip memb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정렬바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을 정렬시키는 정렬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heads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alignment bars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wherein the aligning member aligns the conveying obje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의 양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플레이트의 하중으로 상기 이송 대상물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heads comprises:
A plurality of guide shaf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guide rails and a contact plate capable of elevating along the plurality of guide shafts and including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by the load of the contact plate The transfer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상기 몸체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 및 각각의 상기 승강부에 제공되어 각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상기 이송 대상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이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a position sensor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on the guide rail and a sensor provided on each of the elevation portions and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Included conveying uni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이송 유닛;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이송 대상물이 정렬되어 지지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the rail part being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And a cradle in which the transported objects are aligned and support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식별태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식별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태그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태그의 식별정보는 상기 거치대의 위치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ail portion further includes an identification tag provided on the guide rail,
Wherein the transfer unit further comprises a tag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tag,
Where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tag includes a position of the cradle.
몸체부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하강시켜 다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하강 전과 후의 간격 차이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head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body portion;
Lowering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measuring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And correcting an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by reflecting a ga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re lower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간격을 보정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몸체부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 대상물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moving the body along a guide rail to a position of a conveying object after a process of correct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부를 각각 하강시키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헤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이송 대상물과 정렬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Lowering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And
And aligning at least one hea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ead portions with the conveying object.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상물과 정렬시키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복수의 헤드부의 보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헤드부를 이동시키는 이송 시스템의 운영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ocess of aligning the transfer object with the transfer object comprises:
Moving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And moving the at least one head port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Wherein the at least one head unit is moved while maintaining a corrected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units in a process of moving the guide rai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rail extends o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rail. Way.
KR1020170182894A 2017-12-28 2017-12-28 Transferring unit, transfer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ransferring system KR101998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894A KR101998331B1 (en) 2017-12-28 2017-12-28 Transferring unit, transfer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ransfer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894A KR101998331B1 (en) 2017-12-28 2017-12-28 Transferring unit, transfer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ransfer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444A true KR20190080444A (en) 2019-07-08
KR101998331B1 KR101998331B1 (en) 2019-07-09

Family

ID=6725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894A KR101998331B1 (en) 2017-12-28 2017-12-28 Transferring unit, transfer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ransfer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3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976B1 (en) 2022-04-05 2024-02-14 시너스텍 주식회사 Rotate unit for OH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7379U (en) * 1976-05-01 1977-11-08
KR20060064298A (en) 2004-12-08 200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Overhead hoist transfer
KR20060106261A (en) * 2005-04-07 2006-10-12 (주)세아에스에이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controlling pick up crane and pick up crane using it
JP2010265102A (en) * 2009-05-18 2010-11-25 Ihi Corp Portal cra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7379U (en) * 1976-05-01 1977-11-08
KR20060064298A (en) 2004-12-08 200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Overhead hoist transfer
KR20060106261A (en) * 2005-04-07 2006-10-12 (주)세아에스에이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controlling pick up crane and pick up crane using it
JP2010265102A (en) * 2009-05-18 2010-11-25 Ihi Corp Portal c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331B1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1595B (en) Rail car system and rail car
KR101356569B1 (en) Overhead transportation system and article transfer method
JP5266683B2 (en) Transport system and teaching method in the transport system
JP4438736B2 (en) Transport device
KR20180129657A (en) Article transfer device
KR101684406B1 (en) Shuttle and Stacker crane, and Automatic Warehouse System with thereof
KR20160111329A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and inspection unit
US20170247190A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WO2014115472A1 (en) Transferring device and transferring method
CN109843751B (en) Overhead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system
JP2009292582A (en) Stacker crane
CN113329957B (en) Storage system
TWI763871B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KR20190009371A (en) Return system
KR101998331B1 (en) Transferring unit, transfer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ransferring system
CN113348140B (en) storage system
CN113195379B (en) Storage system
JP5617868B2 (en) Transport device
KR101419354B1 (en) Overhead hoist shuttle and lifter there of
CN113682787A (en) Article conveying apparatus
TW202241781A (en) Carrier and mobile lifting conveyor containing the carrier
KR102378775B1 (en) Support device for teaching
CN111217146A (en) Long section bar transfer robot
WO2023032293A1 (en) Traveling vehicle system
JP6197753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