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306A -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306A
KR20190080306A KR1020170182683A KR20170182683A KR20190080306A KR 20190080306 A KR20190080306 A KR 20190080306A KR 1020170182683 A KR1020170182683 A KR 1020170182683A KR 20170182683 A KR20170182683 A KR 20170182683A KR 20190080306 A KR20190080306 A KR 20190080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h
chief
movement path
copp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554B1 (ko
Inventor
황인혁
강태선
박인하
박정서
최성인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5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 위치에 기반한 동선 결정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동선 결정 서버는,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로부터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수집부;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이동경로 분석부; 상기 실제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이동 가능한 가상 통로인 족장 레이어를 생성하는 족장 레이어 생성부;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3D 설계 모델에 상기 족장 레이어를 매핑시켜 3D 경로맵을 생성하는 3D 모델 매핑부; 및 상기 3D 경로맵에 기초하여 목표지까지 이동 가능한 동선을 계산하여 안내하는 동선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Traffic line determining method and system for welding inspection based on mobile device loc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혹은 조선과 같은 대형 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층간 높이 차이가 커 각종 작업을 위해서는 족장을 설치한다. 족장은 임시로 설치하고 작업 후 철거하는 구조물로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며, 3차원 설계 모델에서도 족장에 대한 정보가 없다.
예를 들어, 건조 중인 선박은 안정성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선박에 관한 전문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선박 검사를 받아야 한다. 특히 선박에는 다양한 배관이 복잡하게 설치되며, 선체 블록 내에서 용접이 요구되는 부분(예컨대, 배관과 배관을 잇는 부분 등)에 행해지는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용접 검사가 중요하게 수행된다.
기존에는 3차원 설계 모델에 족장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부족하여 라인 품질 관리 담당자(QC)가 검사원을 인솔하여 용접 검사 위치를 직접 알려주는 방식으로 안내가 이루어졌다. 이 경우 라인 품질 관리 담당자가 부재 중인 경우에는 용접 검사 작업이 어렵고 이동 경로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용접 검사 위치나 경로를 청테이프로 표시하여 이정표로 활용하는 등 불편한 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73531호 (2013.07.03 공개) - 배관 용접부위 건전성 검사방법
본 발명은 3차원 설계 모델만으로는 이동 가능한 동선의 파악이 어려운 대형 구조물의 작업 현장에서 실제 작업자의 이동 경로 데이터로부터 임시 설치 구조물인 족장, 임시 통로의 위치를 파악하여 3차원 설계 모델에 매핑함으로써 족장을 고려한 실제 최적의 동선을 안내받을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인 품질 관리 담당자가 이동한 비파괴 검사(NDE) 경로를 저장하여 실제 용접 검사 시에 최적의 검사 동선을 계산하여 안내해주는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 위치에 기반한 작업현장의 동선 결정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동선 결정 서버로서,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로부터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수집부;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이동경로 분석부; 상기 실제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이동 가능한 가상 통로인 족장 레이어를 생성하는 족장 레이어 생성부;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3D 설계 모델에 상기 족장 레이어를 매핑시켜 3D 경로맵을 생성하는 3D 모델 매핑부; 및 상기 3D 경로맵에 기초하여 목표지까지 이동 가능한 동선을 계산하여 안내하는 동선 안내부를 포함하는 동선 결정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족장 레이어 생성부는 상기 실제 이동경로의 Z 좌표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지점을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간으로 판단하여 타 족장 레이어와의 상하 연결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족장 레이어 생성부는 상기 실제 이동경로에 대해 Z축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 보정치를 적용하여 상기 족장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3D 경로맵에서 상기 족장 레이어의 구간 별로 이동 빈도에 따라 표현을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빈도에 따라 상기 족장 레이어의 해당 구간에 대한 선 속성 혹은 색상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동선 안내부는 상기 족장 레이어의 구간 별로 확인 결과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실제 이동경로가 중첩되지 않는 경우 해당 구간을 동선 계산 시에 이동 가능 경로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 위치에 기반한 작업현장의 동선 결정 안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선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로부터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실제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이동 가능한 가상 통로인 족장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3D 설계 모델에 상기 족장 레이어를 매핑시켜 3D 경로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D 경로맵에 기초하여 목표지까지 이동 가능한 동선을 계산하여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선 결정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설계 모델만으로는 이동 가능한 동선의 파악이 어려운 대형 구조물의 작업 현장에서 실제 작업자의 이동 경로 데이터로부터 임시 설치 구조물인 족장, 임시 통로 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3차원 설계 모델에 매핑함으로써 족장을 고려한 실제 최적의 동선을 안내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인 품질 관리 담당자가 이동한 비파괴 검사(NDE) 경로를 저장하여 실제 용접 검사 시에 최적의 검사 동선을 계산하여 안내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실제 작업 현장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3D 설계 모델의 예시도,
도 5는 이동경로 분석에 따른 족장 레이어 생성 및 3D 모델 매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실제 작업 현장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3D 설계 모델의 예시도이며, 도 5는 이동경로 분석에 따른 족장 레이어 생성 및 3D 모델 매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시스템(1)은 3차원 설계 모델만으로는 이동 가능한 동선 파악이 어려운 대형 구조물의 작업 현장에서 실제 작업자의 이동 경로 데이터로부터 임시 설치 구조물인 족장 혹은 임시 통로 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3차원 설계 모델에 매핑함으로써 실제 최적의 동선을 안내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시스템(1)은 동선 결정 서버(10), 작업자 단말(20), 검사자 단말(30)을 포함한다.
동선 결정 서버(10)는 작업자 단말(20) 및 검사자 단말(3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20)은 작업 현장에서 실제 각종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가 소지한 전자 단말기이다.
작업자 단말(20)은 작업 현장에서 현재 단말의 3차원 위치를 획득한다.
이를 위해 작업 현장 내에는 다수의 신호 발생기(예컨대, 비콘(beacon), 와이파이 공유기 등)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작업자 단말(20)은 신호 발생 지점을 알고 있는 3개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면 삼각 측량법에 의해 자신의 실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20)이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GPS 신호를 활용하여 자신의 실외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작업자 단말(20)은 작업 현장에서의 3차원 위치 및 해당 위치에 있었던 시간 정보를 매칭시켜 실시간 혹은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 동선 결정 서버(10)로 전송한다.
동선 결정 서버(10)는 작업자 단말(20)에서 송신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누적 분석하여 해당 작업자 단말(20)을 소지한 작업자의 실제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작업자에 대한 실제 이동경로가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작업 현장에 대한 3D 설계 모델에 실제 이동경로를 매핑한 3D 경로맵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3D 경로맵에 기초하여 작업자 단말(20) 혹은 검사자 단말(30)로 동선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검사자 단말(30)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 상태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자가 소지한 단말이다. 검사자는 현재 작업 현장에 임시 설치된 족장 혹은 임시 통로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로, 동선 결정 서버(10)에서 제공하여 검사자 단말(30)에서 표시되는 동선 안내에 기초하여 지정된 검사(예컨대, 용접 검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검사자 단말(30)은 동선 결정 서버(10)로부터 동선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화면을 통해 동선 안내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동선 안내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검사자가 인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동선 안내를 제공받기 위해 검사자 단말(30)은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동선 결정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선 결정 서버(10)는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이동 가능한 경로를 분석하여 이동에 최단 시간이 소요되거나 이동거리가 가장 적은 최적의 동선을 결정하고, 검사자 단말(30)에 결정된 동선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출발지는 현재 검사자 단말(30)이 위치한 지점일 수 있다.
혹은 검사자 단말(30)은 수행하고자 하는 검사 관련 정보를 동선 결정 서버(10)에 전송하면, 동선 결정 서버(10)에서 검사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동선을 결정하고, 검사자 단말(30)에 결정된 동선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선 결정 서버(10)의 각 구성요소 및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동선 결정 서버(10)는 위치 수집부(11), 이동경로 분석부(12), 족장 레이어 생성부(13), 3D 모델 매핑부(14), 동선 안내부(15)를 포함한다.
위치 수집부(11)는 작업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즉,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가 매핑된 데이터)를 수집한다(단계 S100).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는 작업자 단말(20)의 단말 식별정보와 함께 수집될 수 있다.
이동경로 분석부(12)는 위치 수집부(11)에서 수집한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단말 식별정보 별로 구분한 후 시간 순서대로 위치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해당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작업자 단말(20)이 실제 이동한 경로(실제 이동경로)를 분석해 낸다(단계 S105).
위치 정보 조합 시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예컨대, 8시간 혹은 1일 등) 안에서만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실제 이동경로를 만들 수 있다.
또는 위치 정보의 분석 결과 작업현장에 진입한 순간부터 작업현장을 이탈하는 순간까지의 시간 범위 안에서만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작업현장에 관련된 실제 이동경로를 만들 수도 있다.
족장 레이어 생성부(13)는 이동경로 분석부(12)에서 분석해낸 실제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가상의 족장 레이어를 생성한다(단계 S110).
일반적으로 족장은 임시로 설치하고 작업 후 철거하는 임시 구조물이다. 따라서, 그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거나 부족하여, 3D 설계 모델에서도 족장에 대한 정보는 없는 실정이다.
실제 이동경로의 Z 좌표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예컨대, 0.5) 이상인 지점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간으로, 계단 혹은 사다리가 설치된 지점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타 족장 레이어와의 상하 연결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제 이동경로의 Z 좌표 변화율이 기준치 미만이고, XY 평면을 따라 평면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신규 족장 레이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작업자 단말(20)을 허리 위치에 부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실제 이동경로에 대해 Z축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 보정치(예컨대, -1m 정도)를 적용하여 족장 레이어가 생성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족장 레이어는 작업현장인 선박 블록의 외부에 설치되는 족장뿐만 아니라 선박 블록 내부에서 실제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모든 경로에 대응되어 생성될 수 있다.
3D 모델 매핑부(14)는 3D 모델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작업현장에 대한 3D 설계 모델을 불러와, 족장 레이어 생성부(13)에서 생성한 족장 레이어를 매핑시킨다(단계 S115). 족장 레이어는 3D 설계 모델에서는 표현되지 않은 가상의 통로에 해당한다.
3D 모델 매핑 시에 족장 레이어 상의 가상 통로는 구간마다 최근 이동 빈도에 따라 표현을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최근 이동 빈도는 서버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기간으로, 예컨대 며칠 단위일 수 있다.
이동 빈도는 동일한 가상 통로에 중첩되는 실제 이동경로의 수량을 의미하며, 이동 빈도에 따라 해당 구간의 가상 통로를 나타내는 선 속성 혹은 색상 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최근 2일 동안 10명 이상의 작업자가 이동한 실제 이동경로가 중첩된 가상 통로의 선 굵기를 2배 이상 굵게 하거나 빨간색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족장 레이어가 생성되어 있지만 최근 2일 동안 실제 이동경로가 중첩되지 않은 가상 통로의 경우에는 선 굵기를 50% 이하로 얇게 하거나 점선으로 표시하거나 회색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족장 레이어의 표현 상태로부터 족장의 철거 여부, 작업으로 막히는 길 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동선 안내부(15)는 검사자 단말(30) 혹은 작업자 단말(20)로부터의 동선 안내 요청에 따라 족장 레이어가 매핑된 3D 설계 모델(3D 경로맵)을 활용하여 목표지점(예컨대, 용접점 혹은 자재 위치)까지의 3차원 이동 경로(즉, 동선)을 계산하고, 요청한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동선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S120).
3차원 이동 경로의 계산 시 미리 설정된 기간(예컨대, 1일) 동안 실제 이동경로가 중첩되지 않은, 즉 이동이 없는 구간을 이동 가능 경로에서 제외하고 최적 경로가 계산되게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제 작업현장에 마련된 선박블록(20, 30) 및 임시 설치된 족장들이 표시되어 있다. 제1 선박블록(20)의 외곽에 1층 족장(21) 및 2층 족장(22)이 설치되고, 제2 선박블록(30)의 외곽에 1층 족장(31) 및 2층 족장(3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1층 족장(21, 31) 사이를 연결하는 1층 족장 연결부(41)와 2층 족장(22, 32) 사이를 연결하는 2층 족장 연결부(42)가 마련되어 있다.
선박블록(20, 30)은 실제 다수의 배관과 각종 설비들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복잡한 3차원 구조물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 내부에서 배관 및 설비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고 원활한 이동을 위한 동선 안내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4에는 3D 모델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현장에 대한 3D 설계 모델이 도시되어 있다. 3D 설계 모델에는 선박블록 모델(50, 60)만이 존재하고 있으며, 임시 설치된 족장들은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3D 모델 매핑부(14)에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족장 레이어 생성부(13)에서 생성한 족장 레이어를 선박블록 모델(50, 60)에 매핑시킴으로써 실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작업현장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1층의 실제 이동경로(71)에 기초하여 족장 레이어 1(1층 족장 레이어(51, 61)와 그 사이의 1층 족장 레이어 연결부(8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2층의 실제 이동경로(72)에 기초하여 족장 레이어 2(2층 족장 레이어(52, 62)와 그 사이의 2층 족장 레이어 연결부(8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족장 레이어가 선박블록 모델(50, 60)에 매핑되면, 추후 검사 작업 등을 위해 출발지에서 목표지까지의 동선 안내가 요구될 경우 족장 레이어를 활용한 3차원 이동 경로의 계산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프로그램)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시스템
10: 동선 결정 서버 11: 위치 수집부
12: 이동경로 분석부 13: 족장 레이어 생성부
14: 3D 모델 매핑부 15: 동선 안내부
16: 3D 모델 데이터베이스 20: 작업자 단말
30: 검사자 단말

Claims (7)

  1. 모바일 기기 위치에 기반한 작업현장의 동선 결정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동선 결정 서버로서,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로부터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수집부;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이동경로 분석부;
    상기 실제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이동 가능한 가상 통로인 족장 레이어를 생성하는 족장 레이어 생성부;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3D 설계 모델에 상기 족장 레이어를 매핑시켜 3D 경로맵을 생성하는 3D 모델 매핑부; 및
    상기 3D 경로맵에 기초하여 목표지까지 이동 가능한 동선을 계산하여 안내하는 동선 안내부를 포함하는 동선 결정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 레이어 생성부는 상기 실제 이동경로의 Z 좌표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지점을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간으로 판단하여 타 족장 레이어와의 상하 연결 지점으로 판단하는 동선 결정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 레이어 생성부는 상기 실제 이동경로에 대해 Z축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 보정치를 적용하여 상기 족장 레이어를 생성하는 동선 결정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경로맵에서 상기 족장 레이어의 구간 별로 이동 빈도에 따라 표현을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하는 동선 결정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빈도에 따라 상기 족장 레이어의 해당 구간에 대한 선 속성 혹은 색상이 다르게 설정되는 동선 결정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선 안내부는 상기 족장 레이어의 구간 별로 확인 결과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실제 이동경로가 중첩되지 않는 경우 해당 구간을 동선 계산 시에 이동 가능 경로에서 제외시키는 동선 결정 서버.
  7. 모바일 기기 위치에 기반한 작업현장의 동선 결정 안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선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로부터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실제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이동 가능한 가상 통로인 족장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3D 설계 모델에 상기 족장 레이어를 매핑시켜 3D 경로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D 경로맵에 기초하여 목표지까지 이동 가능한 동선을 계산하여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선 결정 방법.

KR1020170182683A 2017-12-28 2017-12-28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06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683A KR102060554B1 (ko) 2017-12-28 2017-12-28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683A KR102060554B1 (ko) 2017-12-28 2017-12-28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06A true KR20190080306A (ko) 2019-07-08
KR102060554B1 KR102060554B1 (ko) 2019-12-30

Family

ID=6725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683A KR102060554B1 (ko) 2017-12-28 2017-12-28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5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3531A (ko) 2011-12-23 2013-07-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용접부위 건전성 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389B1 (ko) * 2002-09-28 2009-07-20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위치기반 지역정보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3531A (ko) 2011-12-23 2013-07-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용접부위 건전성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554B1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44503B (zh) 一种智能车辆规划能力测试平台
CN104884899B (zh) 确定穿过交通运输网络的一或多个交叉口的轨迹的方法
KR101583723B1 (ko) Bim 디지털 모델과 건설 현장의 양방향 동기화 시스템
CN102867074B (zh) 在建筑物中放置全站仪的方法
CN109785667A (zh) 车道偏离识别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220139031A1 (en) Methods for generating and updating building models
CN1983091A (zh) 离线编程装置
CN107767108A (zh) Lod工作包
CN110209754B (zh) 一种可自动生成勘察图的道路规划导航系统
KR101522605B1 (ko)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7854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indoor navigation
JP6291560B1 (ja) 構造物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構造物管理方法
Zhao et al. Using real-time indoor resource positioning to track the progress of tasks in construction sites
JP2022553750A (ja) 地中線ネットワークの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要素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その移動型検出装置
CN115686014A (zh) 一种基于bim模型的地铁巡检机器人
CN116225029B (zh) 一种机器人路径规划方法
Luo et al. Location-aware sensor data error impact on autonomous crane safety monitoring
KR20190080306A (ko) 모바일 기기 위치 기반 동선 결정 방법 및 시스템
CN107462256A (zh) 一种导航方法及系统
JP7295106B2 (ja) 軌道ネットワーク内でのナビゲート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5982954A (zh) 一种输电线路三维仿真模型构建系统及模型构建方法
US11408958B2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position correction method
KR101924166B1 (ko) 플랜트 내의 작업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3100A (ko) 실시간 및 정적 속도 정보 반영 비율 산출 방법
CN111800733A (zh) 基于蓝牙定位的轨道交通定位导航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