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225A -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225A
KR20190080225A KR1020170182559A KR20170182559A KR20190080225A KR 20190080225 A KR20190080225 A KR 20190080225A KR 1020170182559 A KR1020170182559 A KR 1020170182559A KR 20170182559 A KR20170182559 A KR 20170182559A KR 20190080225 A KR20190080225 A KR 2019008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module
standing
pedestria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사무엘
Original Assignee
김사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무엘 filed Critical 김사무엘
Priority to KR102017018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225A/ko
Publication of KR2019008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이 포함되는 식별표지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 형상의 기립체; 상기 기립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을 구비한 헤드; 상기 기립체의 외주면에서 차도를 향한 측에 위치하여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는 레이저부와 상기 레이저부를 회동시키는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식별표지모듈; 상기 기립체 주변에 위치한 보행자를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레이저부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Identification Marking Device Including Snow Removing Function Standing Upright Around A Crosswalk}
본 발명은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복수개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전력공급 없이 태양광 전지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식별표지장치를 제공하되, 야간에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레이저 광선을 회동하여 조도할 수 있고, 나아가 제설장치를 설치하여 적설시 횡단보도 주변을 제설할 수 있는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한민국의 지진 발생 빈도 증가로 인하여 원자력발전 규모를 축소 내지 폐쇄하자는 탈원전 여론과, 화력발전을 통하여 발생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오염이 주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방사능 위험, 환경 오염의 문제와 발전 연료 공급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태양광 발전을 활용하여 가로등, 버스정거장 전광판 등 도로 설비에 부분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나 발전 효율이 높지 않아 대량으로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기에는 난점이 있다.
한편, 볼라드(bollard)(이하부터 ‘식별표지장치’라고 한다.)는 차도와 보도를 경계하는 곳에 설치되어 차량의 보도 침입을 방지하는 기둥 형상의 장치로서, 통상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일반 도로변 또는 횡단보도에 설치된다.
야간에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경우 차량 운전자가 횡단보도에 존재하는 보행자를 식별하기 어려워 교통사고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횡단보도주변에 설치된 시설물에 조명을 설치하는 선행기술들이 개발되었으나, 선행기술들의 대다수가 LED를 구동하여 횡단보도 전체를 조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차량 운전자에 눈부심을 유발하여 보행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에 난점이 있다.
또한, 동절기에 적설이 되는 경우, 제설차 등의 제설장비나 제설장비를 이용하여 도로를 제설하는데, 야간에 적설이 될 경우 인력 부족과 시야의 제한으로 제설에 난점이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선행기술로서 무인 제설장비가 존재하지만, 대다수가 차도 제설을 위한 것이어서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제설하는 것은 제한적이다. 그로 인해 동절기의 야간 횡단보도에서는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도 증가와 함께 적설의 결빙으로 인한 낙상 및 식별표지장치와의 충돌 위험도도 증가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식별표지장치의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250868호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가 개시되어있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횡단보도 조명용 식별표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횡단보도의 양측에 입설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횡단보도를 지향하여 조명하는 횡단보도 조명수단; 상기 본체 상에서 설치되어, 횡단보도에 인접하는 도로의 사각지대에 인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사각지대 감지센서; 및 상기 사각지대 감지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인체가 감지된 방향으로 상기 횡단도보 조명수단을 회동시키는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태양열 발전을 통한 자체 전력 수급이 불가능하고, 보행자가 사각지대를 벗어날 경우 보행자를 조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532554호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이 개시되어있다. 본 발명은 도로 상에서 보행자가 횡단하는 구간에 설치되며, 도로면으로부터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된 제1블록과, 도로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제2블록이 복수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횡단보도 블록; 상기 제1블록 또는 제2블록 상에 마련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에 시각적 신호를 제공하는 발광부; 상기 횡단보도 블록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보행자가 상기 횡단보도 블록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1센서부로부터 상기 횡단보도 블록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에서 보행자 또는 차량에 시각적 신호가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횡단보도를 이탈하는 보행자는 감지가 불가능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자 위치를 감지시킬 수 없고, 폭이 넓은 도로의 경우 발광부를 통한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전력공급 없이 태양광 전지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식별표지장치를 제공하되, 야간에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레이저 광선을 회동하여 조도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식별표지와의 충돌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고, 동절기에 횡단보도의 제설이 가능하며, 제설시 보행자에게 제설 여부를 인식시켜줄 수 있는,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야간에 횡단보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별표지장치를 제공하되, 외부로부터의 전력공급 없이 태양광 발전모듈을 통하여 보행자에게 레이저 광선을 조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횡단보도 상 보행자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된 반사광을 통하여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여 레이저 광선을 회동하여 조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행자의 충돌로 인한 부상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절기의 횡단보도 주변을 제설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행자에게 위험을 감지하도록 제설제 분사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이 포함되는 식별표지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 형상의 기립체; 상기 기립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을 구비한 헤드; 상기 기립체의 외주면에서 차도를 향한 측에 위치하여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는 레이저부와 상기 레이저부를 회동시키는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식별표지모듈; 상기 기립체 주변에 위치한 보행자를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레이저부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센서부는, 반사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반사광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반사광으로 보행자와 이격된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판단부와 보행자의 키를 판단하는 높이판단부로 구성되는 보행자 감지 모듈과,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보행자 감지 모듈에서 판단된 보행자를 향해 레이저부의 조사방향을 제어하는 조명방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식별표지장치는,
상기 기립체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것으로서,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식별표지장치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 기립체와,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기립체의 저면을 지지하는 승강 회전축과, 상기 승강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승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행자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식별표시장치 주변의 적설량을 측정하는 적설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립체는, 상기 기립체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제설액을 저장하는 제설액 탱크와, 상기 제설액을 상기 기립체 외부로 분사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분사펌프를 포함하는 제설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적설량의 고저에 따라 상기 분사펌프의 분사 구동을 제어하는 제설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기립체는, 상기 기립체에 내장된 것으로서 제설액이 저장된 제설액 보조탱크와, 상기 제설액 보조탱크에 제설액을 주입하는 것으로서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설액 주입구 및, 상기 제설액 보조탱크에 저장된 제설액을 상기 기립체의 외부로 분출하는 분사부, 상기 제설액 보조탱크 내부에서 제설액을 압축하는 압축 패널과, 상기 압축 패널의 일 측에 연결된 보조탱크샤프트 및, 상기 제설액 보조탱크의 내부 일 측에 고정된 상태로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와 나사산 결합을 하는 제어 블록과,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압축 패널의 승강을 제어하는 샤프트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보조제설모듈과, 상기 컨트롤러는, 적설량의 고저에 따라 상기 보조제설모듈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보조제설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나아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설모듈 및 상기 보조제설모듈에서 제설액 분사 시 상기 기립체 주변 바닥영역으로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제설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각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분사영역표시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는,
1) 야간에 사용할 수 있는 식별표지장치로서, 태양광발전모듈을 결합하여 외부 전력 공급 없이 레이저 광선을 조도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
2) 상기 식별표지장치에 보행자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감지하여, 감지된 반사광을 통하여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여 레이저 광선을 회동하여 조도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
3) 상기 식별표지장치에 승강장치로 보행자의 충돌로 인한 부상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
4) 나아가 상기 식별표지장치에 동절기의 횡단보도 주변을 제설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
5)더 나아가 보행자에게 위험을 감지하도록 제설제 분사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더욱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가 설치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별표지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 및 승강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설모듈 및 보조제설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식별표지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가 설치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의 식별표지모듈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 및 승강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설모듈 및 보조제설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식별표지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는 횡단보도에서 인도가 차도와 인접하는 위치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기립체(10)이다.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 또는 사각의 기둥 형태를 가지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와 도 3를 참조하면, 기립체(10)는 상면 및 상측면 표면에 태양광 발전 모듈이 부착된 헤드(100)와, 기립체(10)의 외주면의 차도 측에 위치하여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P)에게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는 식별표지모듈(200), 기립체(1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식별표지모듈(200)의 출력과 제설액 분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300)와, 기립체(10) 하단에 위치하여 기립체(10)를 외부에서 오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충격흡수부(400), 기립체(10)를 물리적으로 이층 구조로 분리하며 보조 기립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모듈(500), 기립체 중앙에 위치하여 가스를 이용하여 제설액을 기립체 외부로 분사하는 제설모듈(600), 충격흡수부 하단에 위치하여 압력을 이용하여 제설액을 기럽체 외부로 분사하는 보조제설모듈(700), 센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통해 기립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00), 기립체를 인도의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900)로 구성된다.
먼저, 헤드(100)는 기립체(10)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을 통해 식별표지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며, 기립체(10) 상부와 상측면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패널(111), 헤드(100) 내부에 위치하여 생성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 태양광 발전 모듈(111)과, 축전지(112)의 전력을 전달하는 회로(120)로 구성된다. 태양광 패널(111)은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헤드 표면에 비는 곳이 없도록 최대한 밀집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우천 등으로 인하여 헤드(100) 내부에 물이 스며들어 회로(12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처리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식별표지모듈(200)은, 기립체(10)의 표면을 감싸며 헤드(100)와 승강모듈(500)을 연결하는 하우징(210)과, 기립체(10)의 차도 측 방향으로 위치하며 복수 개의 단색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보행자에게 광선을 조사하는 레이저부(220)와 보행자의 위치를 따라 레이저부(220)를 상하좌우로 회동하는 각도조절장치(230), 레이저부(220)를 외부의 충격 혹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렌즈(240)로 구성된다.
레이저부(220)와 각도조절장치(230)는 축전지 회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으며 다이오드의 색상과 수량, 배열은 횡단보도의 위치, 너비 등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각도조절장치(230)는 레이저부(220)에서 출력되는 광선의 조사방향, 광선을 회전시킬 시 회전속도와 회전반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절방법은 다이오드 측면에 굴절판을 설치하여 굴절판을 회전하거나 다이오드를 직접 회전시키는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기립체(10)의 표면 일 측에 위치하며 기립체(10)에 조사되는 태양광의 조도 고저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센서(310), 횡단보도 인도 측에 보행자(P)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보행자 인식 센서(320), 레이저부(220)에서 조사되었다가 보행자에게서 반사된 광선을 감지하는 반사광 감지 센서(330), 횡단보도 주변 지면의 적설 여부를 확인하는 적설 감지 센서(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 구성된다.
충격흡수부(400)는 기립체(10) 표면을 둘러싸면서 부착된 폐곡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보행자(P)가 기립체(10)에 충돌할 시 보행자(P)의 부상을 방지하고 자동차 등이 추돌할 경우 기립체(10)에 가하여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4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충격흡수부(400)는 기립체(10) 표면 내벽(410)과 외벽(420)을 둘러싼 형태로, 바람직한 재질로는 스티로폼 및 스펀지 등의 완충재를 물리적으로 부착하여 구성되나, 열거된 재질 외의 완충재를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격흡수부(400)의 기립체(10) 중앙부는 완충공간(430)으로 존재하도록 하며, 충격흡수부(400)의 외부 완충재(420) 표면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피막(440)을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야간에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표지장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야간에 차량 전조등 반사를 위한 반사판(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다.
승강모듈(500)은, 도4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립체가 이층 구조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보조기립체 하단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기립체 장착홈(510)과, 주기립체의 상면 중앙부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것으로서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주기립체 장착홈(520)이 나사산을 따라 결합하여 구성되며, 주기립체 홈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 회전축(530)과, 승강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동모터(540)를 통해 승강 회전축(530)이 회전하면 이 나사산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보조기립체가 상승하거나 혹은 주기립체 내부로 하강되어 마치 주기립체에 보조기립체가 내장되는 형상처럼 보여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기립체와 동일한 초기상태를 갖되, 필요에 따라 보조기립체를 승강시켜 기립체의 높이 및 형상을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설모듈(600)은 기립체(10) 중앙부에 위치하며, 동절기에 적설시 제설액을 분사하여 횡단보도 주변의 적설이 결빙되어 보행자(P)가 낙상하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설모듈(600)의 구성은 제설액을 저장하는 제설액 탱크(610)와, 제설액 탱크(6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제설액을 기립체 외부로의 분사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분사펌프(620), 분사펌프(620)를 관통하여 가스를 유입하는 가스 배관(630), 가스 배관(630)에 유입되는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탱크(640), 분사펌프(620)와 가스탱크(640) 사이의 일지점에 위치하여 가스의 유입을 통제하는 가스밸브(650)와, 분사펌프(6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제설액을 운반하는 배관(660), 배관(660)의 일지점에 위치하여 배관(660)내로 운반된 제설액의 유출을 물리적으로 통제하는 분사밸브(670), 분사밸브(670)를 통과한 제설액이 상단몸체 외부로 유출되어 분사되는 분사공(6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설액 탱크(610)는 기립체 내부 중앙부에 위치하며, 분사에 필요한 제설액을 내부에 저장한다. 제설액 성분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염화칼슘이나 염화칼륨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성분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설액의 침전 및 응고를 막기 위해 제설액을 가열하는 히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설액 탱크(610) 측면 일측에 위치한 분사펌프(620)에 분사펌프(620)를 관통하는 가스 배관(630)을 통하여 가스가 유입되면 가스의 수축팽창 작용으로 인해 제설액 탱크(610) 내부에 존재하는 제설액이 분사펌프(620)로 공급되며 배관(660)을 통해 분사공(680)으로 압송되어 기립체 외부로 유출되어 분사된다. 가스 배관(630)을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는 가스 배관(630) 일측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기립체 내부 일측에 위치한 가스탱크(640)에서 공급되며, 사용되는 가스의 한 실시예로는 질소일 수 있다. 제설액 분사 시 분사와 동시에 승강모듈(500)을 통하여 승강을 제어하여 기립체(10) 승강과 동시에 제설액을 분사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조제설모듈(700)은 기립체(10)의 충격흡수부(400) 하단에 위치하며, 제설 모듈(600)을 통해 분사되는 제설액이 낙하하기 어려운 기립체(10) 인접지면의 사각지대에 제설액을 분사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조제설모듈(700)은 충격흡수부(400) 하단 표면에 복수개가 위치하여 제설액을 저장하는 제설액 보조탱크(710)와, 제설액 보조탱크(710)에 제설액을 주입하는 제설액 주입구(720)와, 제설액 보조탱크(710)의 일측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기립체(10) 외부로 제설액을 배출하는 경사관(731)과 제설액 보조탱크(710)와 경사관(731) 사이에 위치하여 제설액 배출 여부를 통제하는 보조탱크밸브(732)를 포함한 보조분사부(730)로 구성된다,
또한, 보조제설모듈(700)은 제설액 보조탱크(710) 상부에 위치하여 제설액 보조탱크(710)의 표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이루어져 제설액과 직접 맞닿아 제설액을 압축하는 압축 패널(741)과, 압축 패널(741)의 일 측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샤프트(742)와, 제설액 보조탱크(710) 일 측에 고정된 상태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샤프트(742)와 나사산 결합을 하는 제어블록(743) 및, 샤프트(742)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구동모터(7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축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 구동모터(744)의 정 방향 회전을 통하여 샤프트(742)가 회전되되 제어블록(743)과의 나사산 결합 구조에 따라 샤프트(742)가 나사산을 따라 압축 패널(741)이 제설액 측으로 접근하도록 이동되면서 제설액을 압축한다. 이와 반대로, 샤프트 구동모터(744)를 역 방향 회전을 하여 압축 패널(741)이 제설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압축부(740)의 제설액 압축에 의하여 보조탱크밸브(732) 개폐 제어와 함께 제설액 분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부여한다.
더불어, 각각의 제설액 보조탱크를 개폐 처리하는 보조탱크밸브(732)를 분기관에 의해 연결하고 각각의 분기관이 모아지는 지점에 통합 밸브(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하여 2차에 따른 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먹이 배출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보조분사부(730)에 포함된 보조탱크밸브(732)를 통과한 제설액은 제설액 보조탱크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경사관(731)을 통하여 기립체(10) 외부로 분사되는데, 경사관(731)의 경사와 직경을 조절하여 제설액의 분사량과 분사속도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정보는 컨트롤러(800)에 전달되는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컨트롤러는 발전 제어모듈(810), 조명 제어모듈(820), 보행자 감지 모듈(830), 승강 제어모듈(840), 제설 제어모듈(850), 보조제설 제어모듈(860), 분사영역 제어모듈(8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발전 제어모듈(810)은 조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된 조도의 고저를 통해 야간, 연무 등으로 발전이 불가능할 경우 태양광 발전 모듈(110)의 발전을 중단시키며,
조명 제어모듈(820)은 보행자 인식 센서(320)에서 보행자(P)가 횡단보도에 존재함을 감지하면 레이저부(220)를 점등하는 조명출력 제어부(821)와, 레이저부(220)에서 조사된 광선이 보행자(P)를 향하도록 각도조절장치(230)를 회동하는 조명방향 제어부(8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보행자 감지 모듈(830)은 거리판단부(831)와 높이판단부(8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레이저부(220)에서 조사되었다가 보행자(P)에게서 반사되어 반사광 감지 센서(330)로 감지된 반사광을 통하여 보행자(P)의 현재 가로방향 위치를 거리판단부(831)가, 보행자(P)의 현재 세로방향 위치를 높이판단부(832)가 계산한 다음, 조명방향 제어부(822)에서 보행자(P)의 예상 이동 위치로 레이저부(220)에서 광선이 조사되도록 각도조절장치(230)를 회동시킨다. 보행자 감지 모듈(830)에서 보행자(P)의 현재 위치가 횡단보도를 완전히 횡단한 것으로 판단되면 조명출력 제어부(821)에서 레이저부(220)를 소등한다.
또한, 승강 제어모듈(840)에서는 승강모듈(500)의 구동모터(540)의 구동을 제어하여 보조기립체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승강 회전축(530)을 회전시켜 보조기립체의 나사산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보조기립체가 상승하거나 혹은 주기립체 내부로 하강하
제설 제어모듈(850)은, 적설 감지 센서(340)가 적설을 감지하면, 제설액 탱크(610)내 제설액 분사를 실행하기 위하여 분사펌프(6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설액을 분사밸브로 압송하는 분사펌프 제어부(851), 가스밸브(650)의 개폐를 제어하여 가스탱크(640)의 가스가 분사펌프(620)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제어하는 가스밸브 제어부(852), 분사밸브(670)의 개폐를 제어하여 분사밸브(670)로 압송된 제설액이 분사공(680)을 통하여 기립체(10) 외부로 분사되게 하는 분사 제어부(8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제설 제어모듈(860)은, 적설 감지 센서(340)가 적설을 감지하면, 제설액 보조탱크(710) 제설액 분사를 실행하기 위하여 보조제설모듈(700)에 포함된 압축부(740)의 샤프트 구동모터(744)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부 제어부(871), 보조탱크 밸브(732)개폐를 제어하여 제설액이 경사관(731)을 통하여 기립체(10)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보조탱크밸브 제어부(8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립체(10)가 지면과 접하는 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위치한 고정부(900)는 기립체(10)가 설치된 본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기립체(10)가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을 원반 형상으로 둘러싼 지면고정설비(910)와 지중에 매설되어 콘크리트로 고정된 매립부(920)로 구성된다. 지면고정설비(910)는 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대(911)와, 지지대(911)와 지면을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연결시키는 볼트 등을 포함하는 패스너(912), 패스너(912) 결합을 위한 패스너 홀(913)로 이루어지며 원반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도 제작 가능하다. 매립부(920)의 매립 깊이는 도로 사정에 적합하게 조절 가능하며, 콘크리트 외 다른 재료를 활용하여 기립체(10)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식별표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적설 감지 센서(340)가 적설 여부를 감지하면 제설 제어모듈(850)은 제설모듈(600)이, 보조제설 제어모듈(860)은 보조제설모듈(700)이 제설액 분사를 실행하도록 각각 제어한다. 이 때, 제설모듈(600) 및 보조제설모듈(700)에서 제설액 분사와 동시에 레이저부(220)에서 보행자(P)에게 레이저를 조사하게 되는 경우, 컨트롤러(800)에 포함되어 있는 분사영역표시 제어모듈(870)이 레이저부(220)에서 제설액의 분사범위를 조도하도록 각도조절장치(230)의 회동을 제어하는 조명방향 제어부(822)에 명령하고, 제설모듈(600) 및 보조제설모듈(860)에서 제설액 분사가 종료되면 분사영역표시 제어모듈(870)에서 조명방향 제어부(822)에서 레이저부(220)가 다시 보행자(P)를 조도하도록 조명방향 제어부(822)에 명령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기립체 P: 보행자
100: 헤드 110: 태양광 발전 모듈
111: 태양광 패널 112: 축전
120: 회로 200: 식별표지모
210: 하우징 220: 레이저부
230: 각도조절장치 240: 렌즈
300: 센서부 310: 조도 감지 센서
320: 보행자 인식 센서 330: 반사광 감지 센
340: 적설 감지 센서 400: 충격흡수부
410: 내부 완충재 420: 외부 완충재
430: 완충공간 440: 형광물질 피막
500: 승강모듈 510: 보조기립체 장착홈
520: 주기립체 장착홈 530: 승강 회전축
540: 구동모터 600: 제설모듈
610: 제설액 탱크 620: 분사펌프
630: 가스 배관 640: 가스탱크
650; 가스밸브 660: 배관
670: 분사밸브 680: 분사공
700: 보조제설모듈 710: 제설액 보조탱크
720: 제설액 주입구 730: 보조분사부
731: 경사관 732: 보조탱크밸브
740: 압축부 741: 압축패널
742: 샤프트 743: 제어블록
744: 샤프트 구동모터 800: 컨트롤러
810: 발전 제어모듈 820: 조명 제어모듈
821: 조명출력 제어부 822: 조명방향 제어부
830: 보행자 감지 모듈 831: 거리판단부
832: 높이판단부 840: 승강 제어모듈
850: 제설 제어모듈 851: 분사펌프 제어부
852: 가스밸브 제어부 853: 분사밸브 제어부
860: 보조제설 제어모듈 871: 압축부 제어부
872: 보조탱크밸브 제어부 880: 분사영역표시 제어모듈
900: 고정부 910: 지면고정설비
911: 지지대 912: 패스너
913: 패스너 홀 920: 매립부

Claims (7)

  1. 횡단보도 주변에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로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 형상의 기립체;
    상기 기립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을 구비한 헤드;
    상기 기립체의 외주면에서 차도를 향한 측에 위치하여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는 레이저부와 상기 레이저부를 회동시키는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식별표지모듈;
    상기 기립체 주변에 위치한 보행자를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레이저부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횡단보도 주변에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반사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반사광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반사광으로 보행자와 이격된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판단부와 보행자의 키를 판단하는 높이판단부로 구성되는 보행자 감지 모듈과,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보행자 감지 모듈에서 판단된 보행자를 향해 레이저부의 조사방향을 제어하는 조명방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주변에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체는,
    주 기립체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것으로서,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식별표지장치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 기립체와,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기립체의 저면을 지지하는 승강 회전축과, 상기 승강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승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행자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주변에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식별표시장치 주변의 적설량을 측정하는 적설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립체는,
    상기 기립체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제설액을 저장하는 제설액 탱크와, 상기 제설액을 상기 기립체 외부로 분사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분사펌프를 포함하는 제설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적설량의 고저에 따라 상기 분사펌프의 분사 구동을 제어하는 제설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주변에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체는,
    상기 기립체에 내장된 것으로서 제설액이 저장된 제설액 보조탱크와,
    상기 제설액 보조탱크에 제설액을 주입하는 것으로서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설액 주입구 및,
    상기 제설액 보조탱크에 저장된 제설액을 상기 기립체의 외부로 분출하는 보조분사부를 포함하는 보조제설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주변에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설모듈은,
    상기 제설액 보조탱크 내부에서 제설액을 압축하는 압축 패널과, 상기 압축 패널의 일 측에 연결된 보조탱크샤프트 및, 상기 제설액 보조탱크의 내부 일 측에 고정된 상태로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와 나사산 결합을 하는 제어 블록과,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압축 패널의 승강을 제어하는 샤프트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압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적설량의 고저에 따라 상기 보조제설모듈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보조제설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주변에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설모듈 및 상기 보조제설모듈에서 제설액 분사 시 상기 기립체 주변 바닥영역으로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제설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각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분사영역표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주변에 기립 설치되는 식별표지장치.
KR1020170182559A 2017-12-28 2017-12-28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 KR20190080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59A KR20190080225A (ko) 2017-12-28 2017-12-28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59A KR20190080225A (ko) 2017-12-28 2017-12-28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225A true KR20190080225A (ko) 2019-07-08

Family

ID=6725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559A KR20190080225A (ko) 2017-12-28 2017-12-28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2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22B1 (ko) * 2019-11-26 2020-11-20 주식회사 천운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 관리 시스템
CN112071099A (zh) * 2020-09-21 2020-12-11 南京立康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人行道的智能交通指示装置
KR102607352B1 (ko) * 2023-01-20 2023-11-29 이종윤 학교용 가로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22B1 (ko) * 2019-11-26 2020-11-20 주식회사 천운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 관리 시스템
CN112071099A (zh) * 2020-09-21 2020-12-11 南京立康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人行道的智能交通指示装置
CN112071099B (zh) * 2020-09-21 2022-03-08 南京立康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人行道的智能交通指示装置
KR102607352B1 (ko) * 2023-01-20 2023-11-29 이종윤 학교용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1520B1 (en) Automatic lighting system of the transversal marking for crossing of the pedestrian walkways
KR101825379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건축용 엘이디 설치형 가로등
KR20190080225A (ko) 횡단보도 주변에 지주 형상으로 기립 설치되는 제설기능을 포함하는 식별표지장치
US20100148989A1 (en) Safety or Alert Device
KR100655768B1 (ko)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200394955Y1 (ko)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볼라드
KR101197319B1 (ko) 도로의 조명장치
KR101250868B1 (ko)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US20050174776A1 (en) Apparatus having a light of illumination of a sign
KR20210098102A (ko) 매립 고정식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공법
KR20070101740A (ko) 불빛이 발광 되는 휀스용 안전캡
KR20100104184A (ko) 식별램프가 구비된 난간
KR20110082817A (ko) 도로의 차선식별장치
KR200413570Y1 (ko) 태양광 전지패널을 갖는 차선 유도등
KR200388818Y1 (ko) 이동식 임시 신호등 및 제어장치
KR101412035B1 (ko) 조명 장치
ES2678269A1 (es) Sistema de alerta de punto de conflicto y mejora de la visibilidad de peatones en pasos de cebra
KR20160113931A (ko) 고압 분사 장치를 갖는 가로등 시스템
KR20120001039U (ko) 가로등 지주용 보호커버
CN206130853U (zh) 一种具有警示功能的光伏路灯
KR101217023B1 (ko) 솔라셀과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 유도용 조명장치
CN220335752U (zh) 具有照明功能的道路警示装置
CN210262789U (zh) 山区公路路面安全预警装置
KR200353260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볼라드
KR200324414Y1 (ko) 쏠라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