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070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070A
KR20190080070A KR1020170182267A KR20170182267A KR20190080070A KR 20190080070 A KR20190080070 A KR 20190080070A KR 1020170182267 A KR1020170182267 A KR 1020170182267A KR 20170182267 A KR20170182267 A KR 20170182267A KR 20190080070 A KR20190080070 A KR 20190080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washing
locking member
laundry
wash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6381B1 (en
Inventor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381B1/en
Priority to PCT/KR2018/016890 priority patent/WO2019132602A1/en
Priority to US16/958,815 priority patent/US11718947B2/en
Priority to AU2018395018A priority patent/AU2018395018B2/en
Priority to CN201880090338.7A priority patent/CN111819319B/en
Publication of KR2019008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0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3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storage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 first washing tank rotationally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accommodate a first laundry, and rotated around a vertical shaft; a second washing tank accommodating a second laundry, and separ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ank to be integrally rotated along with the first washing tank; and a locker provided at the second washing tank to fixate the second washing tank to prevent the same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first washing tank during rotation thereof. Here, the locker comprises: a locking member located at a first loc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ank is stopped, and moved to a second location from the first location by centrifugal force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is rotated, and fixating the second washing tank at the first washing tank by being linked with the first washing tank at the second location; and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locking member is at the second location, before being recovered to the original shape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ank is stopped to return the locking member to the first location.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ING APPARATUS}{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econd washing tub detachably installed in a first washing tub.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 젖은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세탁물을 탈수시기는 탈수기,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 내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건조 기능과 세탁 기능을 함께 갖춘 건조 겸용 세탁기 등이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a device that processes laundry through various operations such as washing, dehydrating and / or drying.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a washing machine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laundr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loth") using water and detergent, a drum for wet laundry being rotated at a high speed, a dehydrator for dehydrating the laundry, A dryer for drying the laundry by supplying dry air into the loaded drum, and a drying and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and a washing function.

최근에는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세탁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세탁조와 작은 용량의 세탁조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세탁조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의 세?조가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세탁조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상기 두 개의 세탁조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세탁조들을 각각 수용하는 공간들로 인해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될 수 밖에 없고, 세탁조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들, 급수를 위한 급수기구들, 배수를 위한 배수기구들이 각각 두 개씩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품의 가격 또한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Recently,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two washing tanks is provided. Such a washing machine has a large-capacity washing tank and a small-capacity washing tank, and each washing tank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Such a washing machine is convenient because each washing machine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urther, if a small washing amount is required, only a small capacity washing machine can be used, which is very economical.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since the two washing tank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verall size of the product can not be increased due to the spaces accommodating the washing tanks, and the driving units for driving the washing tanks, Because of the need for utensils and two drainage devices for drainage, the price of the product also ro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which are capable of preventing laundr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washing tub are integrally rotated, Thereby providing a device.

둘째, 제 1 세탁조와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세탁조의 상하 방향으로의 거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 세착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eco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agent treatment apparatus which preven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washing tank while the first washing tank and the second washing tank are integrally rotated.

셋째, 회전 중에는 상기 제 2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가 자동으로 락되고, 회전이 정지되면, 락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rd, during the rotation, the second washing tub and the first washing tub are automatically locked, and when the rotation is stopped, the laundry is automatically released.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이 담기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세탁물을 수용하고,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와, 제 2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와, 상기 제 2 세탁조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세탁조가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를 포함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water; a first washing tank rotatably insta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for receiving the first laundry and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A second washing tub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integrally rotated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 second washing tub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ub and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is rotated Includes lockers.

상기 락커는, 상기 제 2 세탁조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세탁조가 회전될 시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세탁조와 맞물려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제 1 세탁조에 고정하는 락킹부재와,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시 탄성 변형되었다가, 상기 제 2 세탁조의 회전이 정지되면, 원상 복원되어 상기 락킹부재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Wherein the locker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entrifugal force when the second washing tub is rotated and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when the second washing tub is stopped, A locking member for fixing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first washing tub by engaging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 locking member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locking member when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an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lock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다르게는,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이 담기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세탁물을 수용하고,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와, 제 2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 중 다른 하나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를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torage tank for containing water, a first washing tub rotatably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tank for receiving the first laundry and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A second washing tub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 second washing tub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1 < / RTI > washing tub and the other of the second washing tub.

상기 락커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 중 다른 하나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에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다른 하나와 맞물려,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제 1 세탁조에 고정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한다.Wherein the locker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second washing tub is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is installed in the first washing tub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ar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interference with the other of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and when the second washing tub is mount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a locking member for returning to the first position to engage with the other one in the first position and fixing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first washing tub.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econd washing tu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are integrally rotated.

특히, 제 1 세탁조와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세탁조의 상하 방향으로의 거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2 세탁조의 상측에 위치한 도어를 충격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기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while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tanks are integrally ro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washing tub from occurring, so that the second washing tub impacts the door positioned above the second washing tub The phenomenon does not occu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apparatus from occurring,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또한, 회전 중에는 상기 제 2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가 자동으로 락되고, 회전이 정지되면, 락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락 과정이 별도의 전동력을 이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회전에 의해 자연발생하는 원심력, 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락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의 낮다.Also, during the rotation, the second washing tub and the first washing tub are automatically locked, and when the rotation is stopped, the locked state is automatically canceled,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Particularly, this locking process is not a method using a separate electric power but a centrifugal force naturally generated by rotation or an elastic force of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structure for locking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전이 종료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락이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락 해제 여부를 의식할 필요 없이 상기 제 2 세탁조를 탈거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lock is released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by the user in the state that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finished, the user can remove the second washing tub without needing to be aware that the lock is released,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써, 락킹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락킹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락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disassembled.
4 is a top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mounted on the balancer.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4,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disassembled. 4 is a top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mounted on the balance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캐비닛(2)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관을 이루며, 내측으로 저수조(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캐비닛(2)은 평평한 캐비닛 베이스(5)에 의해 지지되며, 상면은 개방되고, 전면,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cabinet 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water storage tank 4 is housed inside. The cabinet 2 is supported by a flat cabinet base 5, the top surface is open, and may include front, left, right, and rear surfaces.

캐비닛(2)의 개방된 상단에는 탑 커버(3)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top cover 3 may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end of the cabinet 2. [ The top cover 3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laundry (or " capsule "). A doo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3.

저수조(4)는 세탁수를 담기 위한 것으로, 지지로드(15)에 의해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 지지로드(15)는 캐비닛(2)의 네 군데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로드(15)의 일단은 탑 커버(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27)에 의해 저수조(4)와 연결된다.The water storage tank 4 is for storing wash water, and can be suspended in the cabinet 2 by the support rod 15. The support rods 15 may b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cabinet 2, one end of each support rod 15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top cover 3,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4) by the water supply pipe (27).

저수조(4)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저수조 커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 커버(14)는 중앙부에 대략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이 투입된다.The water storage tank 4 is ope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water storage tank cover 14 is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The reservoir cover (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opening at its center, and laundry is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저수조(4)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 O, 도 4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수직선에 대해 소정 각도(바람직하게는, 5도 이하)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제 1 세탁조(6)에는 물이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공을 통해 제 1 세탁조(6)와 저수조(4) 간에 물이 교류될 수 있다.In the water storage tank 4, a first washing tub 6 accommodating laundry and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O (see FIG. 4) may be disposed. The vertical axis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may be accurately align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paper surface, but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referably, 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he first washing tub 6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water may pass and water may be exchanged between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water storage tank 4 through the through holes.

제 1 세탁조(6)는, 상측이 개구된 드럼(61)과, 드럼(61)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형의 밸런서(6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61)의 하측은 허브(29)에 의해 구동부(8)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드럼(61)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ashing tub 6 may include a drum 61 having an opened upper side and a ring balancer 62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um 61. The lower side of the drum 61 can b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driving unit 8 by the hub 29.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drum 61.

밸런서(62)는 드럼(61)의 회전시 유발되는 편심을 보상하는 것이다. 밸런서(62)의 내측에는 환형의 공동(62a, 62b,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공동(62a, 62b) 내에는 유체(예를 들어, 소금물) 또는 복수의 중량체(예를 들어, 금속구)가 삽입될 수 있다. 환형이 공동(62a, 62b)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나, 동심을 갖도록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lancer 62 compensates for the eccentricity caused when the drum 61 rotates. Annular cavities 62a and 62b (see Fig. 5)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lancer 62. Fig. Fluids (e.g., brine) or a plurality of weights (e.g., metal spheres) may be inserted into the cavities 62a, 62b. The annular cavities 62a and 62b have different diameters, but a plurality of annular cavities may be formed.

드럼(61)이 회전되는 중에 한쪽으로 치우지면, 드럼(61)이 치우친 방향과 반대로 유체 또는 중량체들이 이동됨으로써 편심이 보정된다. 세탁물 처리기기에 적용되는 링형의 밸런서(62)는 이미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drum 61 is rotated to one side, the fluid or the weight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um 61 is displaced, thereby correcting the eccentricity. Since the ring-shaped balancer 62 applied to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s already been known in various forms, the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1 세탁조(6)에 착탈되는 제 2 세탁조(100)가 구비된다. 제 2 세탁조(100)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제 1 세탁조(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세탁조(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되면, 제 2 세탁조(100)도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된다.And a second washing tub 100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is provid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receives the laundry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install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also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제 2 세탁조(100)가 미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에만 제 1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제 2 세탁조(100)를 설치하여, 제 2 세탁조(100)에 제 2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The user may insert the first laundry into the first washing tub 6 or install the second washing tub 100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not yet installed, 2 Laundry can be put in.

제 1 세탁조(6)의 내측 하부에는 펄세이터(9)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펄세이터(9)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9)가 회전될 시, 상기 리브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A pulsator (9) can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first washing tub (6). The pulsator 9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wardly projecting radial ribs. When the pulsator 9 is rotated, water flow can be formed by the ribs.

캐비닛(2) 내에는 제 1 세탁조(6)와 펄세이터(9)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8)는 저수조(4)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수조(4)와 함께 캐비닛(2) 내에 매달리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8)의 회전축은 펄세이터(9)와는 항시 결합되어 있으며, 제 1 세탁조(6)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8)의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결합된 상태로, 구동부(8)가 운전될 시에는, 펄세이터(9)와 제 1 세탁조(6)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분리된 상태로 동작할 시에는, 제 1 세탁조(6)는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9)만 회전된다.In the cabinet 2, a first washing tub 6 and a driving unit 8 for providing power for rotating the pulsator 9 may be disposed. The driving unit 8 may be provided below the water storage tank 4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hanging in the cabinet 2 together with the water storage tank 4. The rotary shaft of the driving unit 8 is always engaged with the pulsator 9 and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lutch (not shown). The pulsator 9 and the first washing tub 6 are integrally rotated when the driving unit 8 is operated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8 engaged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When the rotary shaft is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only the pulsator 9 is rotat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washing tub 6 is stopped.

구동부(8)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세탁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는 직접 구동 방식의 인버터 모터(Inverter Direct Drive Motor)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세탁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세탁 모터의 회전수(또는,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또는, 목표 회전속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8 may include a washing motor capable of speed control. The washing motor may be an inverter direct drive motor.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PI controller), a 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controller (PID controller), and the like. The controller receives an output value (e.g., an output current) of the washing motor as an input, and based on the output value, determines whether the rotational speed (or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motor follows a predetermined target rotational speed Can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는 세탁 모터뿐만 아니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 구성들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not only the washing motor but also the entire oper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that the control of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냉수관(미도시)과,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faucet.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may include a cold water pipe (not shown) for receiving cold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hot water pipe (not shown) for receiving hot water.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 1 세탁조(6) 및/또는 제 2 세탁조(100)로 급수하는 급수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1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급수부(13)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밸브가 개방되면, 개방된 급수 밸브와 대응하는 급수관을 통해 디스펜서(16)로 급수가 이루어진다.A water supply unit 13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o the first washing tank 6 and / or the second washing tank 100 may be provided. The water supply unit (13) can selectively intermittently control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To this end, the water supply section 13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supply valve. When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ater is supplied to the dispenser 16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corresponding to the opened water supply valve.

디스펜서(16)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급수관(11)을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공급한다. 디스펜서(16)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로는 세탁용 세제와 헹굼용 섬유 유연제 등이 있다.The dispenser 16 supplies the additive acting on the laundry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The additives supplied by the dispenser 16 include a detergent for laundry and a fabric softener for rinsing.

제 2 세탁조(100)는, 링형태의 밸런서(62)에 의해 규정된 공간(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밸런서(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요철(114)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washing tub 100 can be inserted into a space defined by the ring-shaped balancer 62 (or an approximately circular opening), and can be supported by the balancer 62 in this inserted st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be provid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14 that extend obliquely upward and downward.

밸런서(62)는, 중앙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내주면에, 요철(114)과 대응하는 고정 홈(62d)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114)이 고정 홈(62d)을 따라 삽입되며, 따라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될 시, 제 2 세탁조(100)가 헛돌지 않고,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The balancer 62 may have a fixing groove 62d corresponding to the unevenness 114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efining the central opening. The concavity and convexity 114 is inserted along the fixing groove 62d so that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not loosened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

도 4를 참조하면,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제 2 세탁조(100)의 외형은, 밸런서(62)의 내주면(또는, 중앙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면)과 접촉되는 제 1 구간(S1)과, 밸런서(62)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제 2 구간(S2)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S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62 (or a surface defining the central opening) And a second section S2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62.

제 1 구간(S1)은 수직축(O)을 지나는 제 1 축(IV-IV) 상에 위치하고, 제 2 구간(S2)은 수직축(O)을 지나고 제 1 축(IV-IV)과 직교하는 제 2 축(Y)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구간(S1)은 제 2 축(Y)에 대해 대칭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 2 구간(S2)은 제 1 축(IV-IV)에 대해 대칭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ction S1 is located on the first axis IV-IV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axis O and the second section S2 is located on the second axis IV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axis O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IV- And may be positioned on the two axes Y. The first section S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Y and the second section S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IV- have.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은, 제어부에 의한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1 세탁조(6)(또는, 제 2 세탁조(100))가 제 1 회전 위치에 있을 시, 제 2 구간(S2)과 밸런서(62)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제 1 세탁조(6)로 공급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section 13 is supplied to the second sec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6 (or the second washing tub 100)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section 8 by the control section,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washing tank 6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6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62.

제어부에 의한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된 제 2 회전 위치에 있을 시,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은 제 2 세탁조(100)로 급수된다. 제 2 세탁조(100)에는,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37)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유입구(137)가 급수부(13)와 정렬된다. 유입구(137)는 제 2 세탁조(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137(1)과 137(2)는 양쪽 유입구를 지시한 것임.), 바람직하게는, 제 2 축(Y)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제 1 축(IV-I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in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rotated from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8 by the control uni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3, (100). 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port 137 through which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ing section 13 flows and the inlet port 137 is aligned with the water supplying section 13 in the second rotating position . The inlet 137 can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and 137 (1) and 137 (2) indicate both inlets. Preferably, May be disposed along the first axis (IV-IV) to be symmetrical.

상기 제 2 회전 위치는,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된 위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모터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상기 세탁 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제 1 세탁조(6)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rotation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90 degrees from the first rotation pos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shing motor is capable of speed contro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al angle of the first washing tub 6 or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6 based on the speed of the washing motor It is possible.

구체적으로, 저수조 커버(14)에 제 1 홀 센서(hall sensor, 미도시)가 구비되고, 제 2 세탁조(100)에 제 1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의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홀 센서가 상기 제 1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제 2 세탁조(100)의 회전 속도, 회전 위치(또는, 제 1 자석의 위치), 회전 각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 또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a first hall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reservoir cover 14, and a first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ank 100. During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the first hall sensor may sense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first magnet and send signals to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sensed magnetic fiel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rotational speed, the rotational position (or the position of the first magnet), the rotational angle, and the like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The washing motor can be controlled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rotation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한편, 세탁 모터의 로터에 제 2 자석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 2 홀 센서가 상기 제 2 자석 인근의 고정된 구조에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저수조(4)의 저면).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제 1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제 2 세탁조(100)가 제 1 회전 위치 또는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magne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rotor of the washing motor, and a second hall sensor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second magnet may be disposed in a fixed structure near the second magnet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4). The plurality of second magnets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or.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washing motor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hall sensor. At this time, by consider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hall sensor, the second washing bath 100 The first rotation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세탁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상기 세탁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can be sensed without a separate sensor. That is,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can be sensed by a sensorless sensorless method. This sensorless method can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washing motor based on an output current detected while a current of a certain frequency flows to the washing motor after allowing a phase current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flow to the washing motor. Such a sensorless system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세탁조(100)는, 컨테이너(110), 제 1 커버(120) 및 제 2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세탁물과 물을 담는 것으로, 상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상측에 제 1 커버(120)가 결합된다. 제 1 커버(120)는 컨테이너(11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커버(120)와 컨테이너(110)는 각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바람직하게는 용착, 더 바람직하게는 열 용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include a container 110, a first cover 120, and a second cover 130. The container 110 is filled with laundry and water. The container 110 is ope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cover 120 is coupled to the opened upper side. The first cover 120 may be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10. The first cover 120 and the container 110 are each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re preferably connected by welding, more preferably by heat welding,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컨테이너(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 리브(126)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수류가 가이드 리브(126)와의 충돌에 의해 상승한 후, 컨테이너(110)의 중심부로 낙하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의 외측면에는 요철(114)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내측에 수용된 세탁물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guide rib 126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provided.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can be raised by the collision with the guide rib 126 and then dropped to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 [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4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The container 1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insid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제 1 커버(120)는 컨테이너(110)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대략 중앙에 개구부(121)가 형성되고, 세제박스(140, 도 5 내지 도 6 참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세제박스(140)는 제 1 커버(120)에 착탈될 수 있다. 세제박스(140)는 제 1 커버(12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12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21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thereof for allowing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10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detergent box 140 (see FIGS. 5 to 6) . The detergent box 140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cover 120. The detergent boxes 14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ver 120, respectively.

제 2 세탁조(100)가 회전되면, 컨테이너(110) 내에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발달된 수류가, 컨테이너(110)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제 1 커버(120)는, 상기 상승된 수류를 배출구(124)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컨테이너(110) 내의 물이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 2 세탁조(100)의 속도(또는, 구동부(8)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된 물은 저수조(4)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 2 세탁조(100) 내의 세탁물을 세탁한 후, 세탁에 사용된 물을 배수할 시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ed, the water stream developed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ris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in the container 110. The first cover 120 may be formed with a flow path for guiding the ascended water flow to the discharge port 124.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speed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or the speed of the driving unit 8) so that water in the container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4, And the collected water is collected in the water storage tank 4.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when washing the laundry in the second washing tub 100 and draining the water used for washing.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로를 단속하는 체크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밸브는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원심력에 의해 개폐되거나, 수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check valve for interrupting the flow path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check valve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or by a water pressure .

제 2 커버(130)는 제 1 커버(1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략 중앙에 개구부(131)가 형성된다. 제 2 커버(130)는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을 세제박스(140, 도 5 참조.)로 안내하는 급수 가이드(133)를 포함한다. 급수 가이드(133)는,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이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물이 급수구(141, 도 4 참조. )를 통해 세제박스(140)로 급수된다. 급수 가이드(133)는 제 1 커버(12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양쪽 급수 가이드(133(1), 133(2))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축(Y)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제 1 축(IV-I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ver 120, and an opening 131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thereof. The second cover 130 includes a water supply guide 133 for guid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13 to the detergent box 140 (see Fig. 5). The water supply guide 133 forms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3 is guided downward and water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flows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41 ). The water supply guide 133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ver 120, respectively. Both of the water supply guides 133 (1) and 133 (2) are preferably arranged along the first axis IV-IV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Y. [

세제박스(140)는 세제, 표백제 또는 섬유 유연제를 담기 위한 것으로,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이 세제박스(140)를 경유함으로써, 세제와 함께 제 2 세탁조(100) 내로 공급된다.The detergent box 140 is for containing a detergent, a bleach or a fabric softener.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section 13 is supplied into the second washing tank 100 together with the detergent, via the detergent box 140.

제 1 커버(120)에는 세제박스(140)가 수용되는 하우징(128)이 형성될 수 있고, 세제박스(140)는 하우징(128)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액체 세제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세제박스(140)의 바닥(142)으로부터 상측으로 사이폰 관(143)이 연장될 수 있으며, 사이폰 관(143)을 덮는 사이폰 커버(1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 참조.)The first cover 120 may be formed with a housing 128 in which the detergent box 140 is received and the detergent box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28. A siphon tube 143 may be extended upward from the bottom 142 of the detergent box 140 and a siphon cover 145 covering the siphon tube 143 may be provided for smooth supply of the liquid detergent. . (See Figs. 5 to 6).

사이폰 관(143)은, 하단은 바닥(142)과 연통되고, 상단은 개구된 관이고, 사이폰 커버(145)는 사이폰 관(14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횡단면이 환형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급수가 이루어져, 세제박스(140) 내의 수위가 상기 유로를 따라 점점 상승되면, 물이 사이폰 관(143)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 사이폰 관(143) 내로 유입된 후, 사이폰 관(143)의 개구된 하단을 통해 제 2 세탁조(100) 내로 배출된다.The siphon pipe 143 is connected to the bottom 142 and the upper end is opened. The siphon cover 145 has an annular cross-sectional flow path between the siphon pipe 14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phon pipe 143 Respectively. When water is supplied and water level in the detergent box 140 gradually rises along the flow path, water flows into the siphon tube 143 through the opened upper end of the siphon tube 143, 143 to the second washing tub 100 through the lower open end of the washing tub 100. [

세제박스(140)는 제 2 커버(1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세제박스(140)는 한 쌍의 유입구(137(1), 137(2))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세제박스(140(1))에는 세제 또는 표백제가 투입될 수 있고, 제 2 세제박스(140(2))에는 섬유 유연제가 투입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의 회전 위치에 따라,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이 제 1 세제박스(140(1)) 또는 제 2 세제박스(140(2))로 선택적으로 급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시에는 제 1 세제박스(140(1))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헹굼 행정시에는 제 2 세제박스(140(2))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 2 세탁조(100)의 회전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The detergent boxes 14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ver 130, respectively. The detergent box 1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ir of inlets 137 (1) and 137 (2). The first detergent box 140 (1) may be filled with a detergent or bleach agent,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140 (2) may be supplied with a fabric softener. Depending o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3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detergent box 140 (1) or the second detergent box 140 (2) . For example,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detergent box 140 (1) during the washing cycle and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detergent box 140 (2) during the rinsing cycle,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100 can be controlled.

세탁물 처리기기는, 저수조(4)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21)와, 배수 밸로우즈(21)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21)는 펌프(24)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밸브(22)가 개방될 시 배수 밸로우즈(21)를 통해 펌프(24)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펌프(24)로 유입된 물은, 펌프(24)가 작동될 시 배수관(25)을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bellows 21 for drain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4 and a drain valve 22 for interrupting the drainage bellows 21. The drainage bellows 21 can be connected to the pump 24. When the drain valve 22 is open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pump 24 through the drainage bellows 21. The water thus introduced into the pump 2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the drain pipe 25 when the pump 24 is operated.

도 5는 도 4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써, 락킹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락킹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4,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제 2 세탁조(100)에 구비되어, 제 2 세탁조(100)가 회전되는 중에 제 1 세탁조(6)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150)를 포함한다. 락커(150)는 제 1 커버(120)에 구비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er 150 provided in a second washing tub 100 and fixing the first washing tub 6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ing . The locker 15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over 120.

락커(150)는 락킹부재(165)와 탄성부재(161)를 포함한다. 락킹부재(165)는, 제 2 세탁조(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 1 위치(도 5 참조.)에 위치하고, 제 2 세탁조(100)가 회전될 시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도 6 참조.)로 이동된다. 락커(150)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세탁조(6)와 맞물려 제 2 세탁조(100)를 제 1 세탁조(6)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은 제 2 구간(S2)을 가로지를 수 있다.The locker (150) includes a locking member (165) and an elastic member (161). The locking member 165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see Fig. 5) in a state wher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topped, and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ed, 2 position (see FIG. 6). The locker 150 is engaged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at the second position to fix the second washing tub 100 to the first washing tub 6.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may cross the second section S2.

밸런서(62)에는, 락킹부재(165)가 상기 제 2 위치에서 삽입되는 락킹 홈(62c)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가, 링형 밸런서(62)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기 설정된 회전 위치에 정렬된 상태에서 소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원심력에 락킹부재(165)가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제 2 위치에 이르게 되고, 이 과정에서, 락킹부재(165)가 락킹 홈(62c) 내로 삽입된다. 제 2 세탁조(100)가 회전 중에 흔들리거나 진동되더라고, 락킹부재(165)와 락킹 홈(62c)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0)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제 2 세탁조(100)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지되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0)가 도어를 충격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 2 세탁조(10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예를 들어, 탈수 행정)에도,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balancer 62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62c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165 is inserted at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ing-shaped balancer 62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or higher in a state of being align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position, the locking member 165 is moved to the out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in this process, the locking member 165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2c.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because the locking member 165 and the locking groove 62c are engaged with each other even i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haken or vibrated during rotation, 100 are prevented from moving upward,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second washing tub 100 impacts the door. Even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ed at a high speed (for example, a dewatering strok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apparatus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특히, 제 2 세탁조(100)의 락킹이, 별도의 동력기구(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원심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락을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락을 위한 특수한 제어를 강구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locking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not performed by a separate power mechanism (for example, a motor) but by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take special control for the lock as well 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gure the structure for the lock.

탄성부재(161)는 락킹부재(165)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시 탄성 변형되었다가,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이 정지되면, 원상 복원되어 락킹부재(165)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이 정지되면, 탄성부재(161)의 복원력에 의해 락킹부재(165)가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락이 자동으로 해제된다. 세탁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락이 해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락 해제를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 없이, 제 2 세탁조(100)를 쉽게 들어 낼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61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locking member 165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topped to return the locking member 165 to the first position Return.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topped, the locking member 165 is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61, whereby the lock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the washing is completed, the lock is automatically relea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ift the second washing tub 100 without having to perform any other operation for releasing the lock.

제 2 세탁조(100)에는, 락킹부재(165)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홈(127)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홈(127)은 제 1 커버(120)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61)는, 안내 홈(127) 내에 배치되고, 일단은 제 1 커버(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킹부재(165)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61)는 락킹부재(165)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될 시 인장되는 스프링(16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127 for guiding the locking member 165 to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guide groove 127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ver 120. The elastic member 161 is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127 and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cover 1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165. The elastic member 161 may include a spring 161 that is tensioned when the locking member 165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락킹부재(165)는 락킹 홈(62c)에 삽입되는 헤드(163)와, 헤드(163)로부터 길게 연장된 스템(162)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163)는 스프링(161)과 연결되고, 스템(162)이 스프링(161)을 통과한 후, 제 1 커버(120)에 형성된 지지 홈(129)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 홈(129)의 내경은, 스템(162)의 이동은 허용하면서도, 이동 간의 흔들림은 제지되도록, 스템(162)의 외경에 비해 미세하게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에서, 헤드(163)는 구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165 may include a head 163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2c and a stem 162 elongated from the head 163. The head 163 is connected to the spring 16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129 formed in the first cover 120 after the stem 162 has passed the spring 161. [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groove 129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m 162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tem 162 is permitted while the swinging motion is restrained. 5 to 7, the head 163 is shown as a spherical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락킹부재(165)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더라도, 스템(162)이 항시 지지 홈(129)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해, 락킹부재(165)가 이동 간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stem 162 is always configured to remain inserted in the support groove 129 even if the locking member 165 is located at any point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movable member 165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when moving.

도 7은 락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락커(150')는 제 1 세탁조(6) 및 제 2 세탁조(100) 중 어느 하나(실시예에서는, 제 2 세탁조(100))에 구비되어, 제 2 세탁조(100)가 제 1 세탁조(6)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한다.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er. Referring to FIG. 7, the lock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tanks 6 and 100 (in the embodiment, the second washing tank 100) 2 The washing tub 100 is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락커(150')는 탄성부재(161)와 락킹부재(165)를 포함한다. 락킹부재(165)는 탄성부재(161)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세탁조(100)가 제 1 세탁조(6)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제 1 위치(P1)에 위치된다. 락킹부재(165)는, 제 2 세탁조(100)가 제 1 세탁조(6)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 1 세탁조(6) 및 제 2 세탁조(100) 중 다른 하나와의 간섭에 의해 제 1 위치(P1)로부터 제 2 위치(P2)로 이동되었다가, 제 2 세탁조(100)가 제 1 세탁조(6)에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61)에 의해 제 1 위치(P1)로 복귀되어, 제 1 위치(P1)에서 상기 다른 하나(실시예에서는, 제 1 세탁조(6))와 맞물려, 제 2 세탁조(100)를 제 1 세탁조(6)에 고정한다.The locker 150 'includes an elastic member 161 and a locking member 165. The locking member 165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61 and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P1 while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The locking member 165 is moved in the first position by being interfered with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tanks 6 and 100 during the process of mounting the second washing tub 100 to the first washing tub 6 P1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P1 by the elastic member 161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mounted on the first washing tub 6,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fix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by engaging with the other one (in the embodiment, the first washing tub 6) at the first position P1.

상기 다른 하나에는, 락킹부재(165)가 제 1 위치(P1)에서 삽입되는 락킹 홈(62c)이 형성될 수 있다. 락킹 홈(62c)은 밸런서(62)의 내주면(즉, 환형에 의해 형성된 공간(즉, 밸런서의 중심부)을 한정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other one, a locking groove 62c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165 is inserted at the first position P1 may be formed. The locking groove 62c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62 (i.e., the surface defining the space defined by the annular shape (i.e., the center portion of the balancer)).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2 세탁조(100)가 회전될 시, 락킹부재(165)가 원심력에 의해 제 3 위치(P3)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위치(P3)는 제 1 위치(P1)보다 반경방향을 따라 더 외측에 위치한다. 락킹부재(165)는 제 3 위치(P3)에서 락킹 홈(62c) 내로 더 깊숙이 삽입되며, 따라서, 제 2 세탁조(100)가 제 1 세탁조(6)에 더 견고하게 락킹된다. 탄성부재(161)는 락킹부재(165)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이 정지되면, 늘어나 있던 탄성부재(161)가 원형태로 복원되며, 따라서, 락킹부재(165)도 제 3 위치(P3)로부터 제 1 위치(P1)로 복귀된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ed, the locking member 165 can be moved to the third position P3 by the centrifugal force. Here, the third position P3 is located further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an the first position P1. The locking member 165 is inserted deeper into the locking groove 62c at the third position P3 so that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more securely lock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The elastic member 161 can be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165. In this case,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topped, the extending elastic member 16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165 are also returned from the third position P3 to the first position P1.

Claims (11)

물이 담기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세탁물을 수용하고,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
제 2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세탁조가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를 포함하고,
상기 락커는,
상기 제 2 세탁조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세탁조가 회전될 시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세탁조와 맞물려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제 1 세탁조에 고정하는 락킹부재; 및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시 탄성 변형되었다가, 상기 제 2 세탁조의 회전이 정지되면, 원상 복원되어 상기 락킹부재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 water tank;
A first washing tub rotatably insta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receive the first laundry and rotate about a vertical axis;
A second washing tub accommodating the second laundr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nd a locker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ub to fix the second washing tub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is rotating,
The locker includes:
The second washing tub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is stopped and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entrifugal force when the second washing tub is rotated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washing tub at the second position, A locking member for fixing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And an elastic member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is stopped to return the lock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탁조는,
상측이 개구된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유발되는 편심을 보상하는 링형의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조는,
상기 링형에 의해 규정된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밸런서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밸런서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서 삽입되는 락킹 홈이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ashing tub comprises:
A drum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nd a ring-shaped balancer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um and compensates for eccentricity caused when the drum rotates,
Wherein the second washing tub comprises:
A ring-shaped member inser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ring-shaped member, supported by the balancer,
In the balancer,
And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t the second posi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location
And is located radially outward from the first posi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홈은,
상기 공간을 한정하는 상기 밸런서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king groove
Wherein the balancer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to define the sp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탁조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econd washing tub,
Wherein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guide the locking member to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내 홈 내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 2 세탁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락킹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될 시 인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lastic member
And a spring that is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and has one end fixed to the second washing tub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to be tensioned when the locking member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Processing equipment.
제 2 항에 있어서,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상기 제 2 세탁조의 외형은,
상기 밸런서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제 1 구간과, 상기 밸런서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제 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제 2 구간을 가로지르는 세탁물 처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washing tank,
A first section that is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and a second sec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econd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intersects the second s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한 축을 지나는 제 1 축 상에 상기 제 1 구간이 위치하고,
상기 수직한 축을 지나고 상기 제 1 축과 직교하는 제 2 축상에 상기 제 2 구간이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ection is located on a first axis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axis,
Wherein the second section is located on a second axis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axis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은,
제 2 축에 대해 대칭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간은,
상기 제 1 축에 대해 대칭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first section,
The first and second axes being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The second section may include:
And ar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xis.
물이 담기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세탁물을 수용하고,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
제 2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 및
상기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 중 다른 하나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를 포함하고,
상기 락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 중 다른 하나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에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다른 하나와 맞물려,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제 1 세탁조에 고정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 water tank;
A first washing tub rotatably insta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receive the first laundry and rotate about a vertical axis;
A second washing tub accommodating the second laundr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nd a locker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to fix one of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other,
The locker includes:
Elastic member; And
Wherein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are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are located at a first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second washing tub is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2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other of the two washing tubs, and the second washing tub is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when the second washing tub is installed in the first washing tub And a locking member engaging with the other one at the first position to fix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first washing tub.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삽입되는 락킹 홈을 구비한 세탁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other,
And the locking member has a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at the first position.
KR1020170182267A 2017-12-28 2017-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563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67A KR102456381B1 (en) 2017-12-28 2017-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8/016890 WO2019132602A1 (en) 2017-12-28 2018-12-28 Laundry processing device
US16/958,815 US11718947B2 (en) 2017-12-28 2018-12-28 Laundry treatment machine
AU2018395018A AU2018395018B2 (en) 2017-12-28 2018-12-28 Laundry processing device
CN201880090338.7A CN111819319B (en) 2017-12-28 2018-12-28 Laundry trea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67A KR102456381B1 (en) 2017-12-28 2017-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070A true KR20190080070A (en) 2019-07-08
KR102456381B1 KR102456381B1 (en) 2022-10-18

Family

ID=6725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267A KR102456381B1 (en) 2017-12-28 2017-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3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2155A (en) * 2021-07-30 2021-11-0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Barrel subassembly and washing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810A1 (en) * 2016-06-17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810A1 (en) * 2016-06-17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2155A (en) * 2021-07-30 2021-11-0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Barrel subassembly and washing equipment
CN113622155B (en) * 2021-07-30 2024-03-2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Barrel assembly and wash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381B1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007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718947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509990B1 (en) Washing machine
KR10245476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14803B2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2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2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78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79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3B1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4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0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0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5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46277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537142B1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5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1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4B1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0B1 (en) Washing machine
KR102548155B1 (en) Washing machine
KR102488372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20190080069A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9006504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