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057A - 휴대용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057A
KR20190080057A KR1020170182237A KR20170182237A KR20190080057A KR 20190080057 A KR20190080057 A KR 20190080057A KR 1020170182237 A KR1020170182237 A KR 1020170182237A KR 20170182237 A KR20170182237 A KR 20170182237A KR 20190080057 A KR20190080057 A KR 20190080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lothes
dehumidifying agent
dehumidifi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우
Original Assignee
강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우 filed Critical 강현우
Priority to KR102017018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057A/ko
Publication of KR2019008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옷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나 가방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제습장치로서, 그물망(12a)을 구비한 봉지 형상의 파우치(12)와, 상기 파우치(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습제(14)와, 상기 파우치(12)를 의류나 가방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제습장치{PORTABLE DEHUMID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올라이트 제습제가 내장된 파우치형 제습장치에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는 고온 다습한 날씨로 인해 습도가 높아지게 된다. 특히 장마철에는 집안에 습기가 많이 차게 되어 빨래가 잘 마르지 않고, 장롱 속에 보관된 의류에 곰팡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안에 제습기를 설치하기도 한다.
상기 제습기는, 팬을 구동시켜 공기를 흡입한 후 습기를 제거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대기중의 습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한 제습기는, 제습방식에 따라 건조식과 냉각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건조식 제습기는, 습기를 흡수하는 물질(이하 '제습제'라 한다)을 사용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는 방식이다.
상기 제습제로는 황산과 규산나트륨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실리카겔, 알루미나겔 등의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한 건조식 제습기는 통상 용기 형태로 제조되어 습기가 많은 장소나 장롱 속에 넣어 사용한다.
상기 건조식 제습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물이 차게 되어 재사용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물에 의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냉각식 제습기는,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이하로 낮추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냉각식 제습기는 냉각부에서 제습한 저온의 공기를 가열한 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한 냉각식 제습기는, 제습효과는 우수하지만, 송풍기, 히터, 냉각기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장치가 커지게 되고,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제습기에 의하면, 의복을 착용한 상태로는 제습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옷이나 가방 등에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격이 저렴하고, 제습제를 재사용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습장치를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옷을 착용하고 가방을 휴대한 상태에서도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옷이나 가방 등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물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나 가방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제습장치로서, 그물망을 구비한 봉지 형상의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습제와, 상기 파우치를 의류나 가방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제는, 다공성 광물질인 제올라이트(Zeolit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제는 기다란 스틱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의 상단에 제습제를 투입 및 반출하기 위한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파우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클립 또는 접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습장치를 옷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습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옷을 착용하고 가방을 휴대한 상태에서도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습장치가 소형 파우치 형태이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결합부재에 의해 옷이나 벨트, 가방의 내면에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습기를 함유한 제습제를 말려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습제가 인체에 무해한 천연 광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속옷에도 안심하고 부착할 수 있고, 시원함을 느낄 수 있으며, 탈취효과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습장치는, 의류나 가방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물망(12a)을 구비한 봉지 형상의 파우치(12)와, 상기 파우치(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습제(14)와, 상기 파우치(12)를 의류나 가방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우치(12)는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습제(14)는, 다공성 광물질인 제올라이트(Zeoli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을 함유하는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미세한 구멍을 보유하고 있으며, 강한 흡착력에 의해 습기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가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천연 광물질로 이루어진 친환경 제품이므로, 화학제품인 일반 제습제와 달리 인체에 무해하며, 탈취효과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미세한 구멍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습기를 흡수하여도 물이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여도 곰팡이가 생길 염려가 없고, 화학 반응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습기를 함유한 제올라이트는 햇빛에 말려서 다시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제습제(14)는 기다란 스틱(Stick)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올라이트 제습제(14)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 제습제(14)는 굵은 입자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그물망(12a)을 상기 제습제 입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촘촘하게 형성한다.
상기 파우치(12)의 상단에는 제습제(14)를 투입 및 반출하기 위한 개폐부(16)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16)의 구조는 비닐 지퍼백에 사용되는 밀폐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지퍼, 벨크로 테입 등 제습제(14)가 파우치(1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 구조면 어느 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파우치(12)의 상부에 구비되는 클립(Clip)(1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일정 폭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클립에 의해, 양복의 안쪽 포켓이나, 허리 벨트 등에 손쉽게 탈부착하여 습기를 제거할 수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습장치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결합부재를 접착패드(2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접착패드(20)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통상적인 접착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클립을 걸기 어려운 의류에서 의류의 안감에 제습장치를 바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겨드랑이 부위와 같이 땀이 많이 나는 부분이나 원하는 부위의 속옷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를 겨드랑이 부분에 부착하게 되면,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물질인 제올라이트에 의해 시원함도 느낄 수가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종래의 건조식 제습기는, 대부분 일정한 크기의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휴대를 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장롱 속과 같이 고정된 위치에서만 제습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의 건조식 제습기는, 제습제가 수분을 흡수하여 물을 생성하는 방식이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물이 생성되어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건조식 제습기는, 한 번 사용하고 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새 제품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습장치에 의하면, 의류가 가방 등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의류를 착용하고 가방을 휴대한 상태에서도 제습을 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제습제가 습기를 흡수하더라도 물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제습을 할 수가 있고, 휴대한 가방 내부에서도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도가 높은 여름철, 특히 장마철에 눅눅해진 옷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습제가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천연 광물인 제올라이트로 제조되므로, 속옷에도 안심하고 부착할 수가 있다.
즉 겨드랑이 부분 등 땀이 많이 나는 부위의 속옷에 제습장치를 부착하면, 습기가 제거되어 땀이 차지 않고, 광물질인 제올라이트에 의해 시원한 느낌도 받을 을 수 있으며, 제올라이트가 지닌 탈취효과에 의해 냄새도 제거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습도가 높은 여름철, 특히 장마철에 의류가 눅눅해져 느끼게 되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습기를 흡수한 제올라이트는 햇빛에 말려 다시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제습기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습장치
12: 파우치(Pouch)
12a: 그물망
14: 제습제
16: 개폐부
18: 클립(Clip)
20: 접착패드

Claims (6)

  1. 의류나 가방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제습장치로서,
    그물망(12a)을 구비한 봉지 형상의 파우치(12)와,
    상기 파우치(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습제(14)와,
    상기 파우치(12)를 의류나 가방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14)는, 다공성 광물질인 제올라이트(Zeolit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14)는 기다란 스틱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2)의 상단에 제습제(14)를 투입 및 반출하기 위한 개폐부(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파우치(12)의 상부에 구비되는 클립(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파우치(12)의 후면에 구비되는 접착패드(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습장치.



KR1020170182237A 2017-12-28 2017-12-28 휴대용 제습장치 KR20190080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37A KR20190080057A (ko) 2017-12-28 2017-12-28 휴대용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37A KR20190080057A (ko) 2017-12-28 2017-12-28 휴대용 제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057A true KR20190080057A (ko) 2019-07-08

Family

ID=6725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237A KR20190080057A (ko) 2017-12-28 2017-12-28 휴대용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0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534B2 (en) Ventilated portable container for sports equipment
US6675421B1 (en) Regeneratively dehumidifying and deodorizing shoe insert
US7749401B2 (en) Self-steaming benefit composition
KR20190080057A (ko) 휴대용 제습장치
WO20000190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d refreshing fabrics with a supplemental heat source
CN206875922U (zh) 一种除湿循环设备
US8935858B2 (en) Rolled garment storage
CN106659967A (zh) 除湿装置
US4815219A (en) Disposable attachment for portable hair dryers for drying delicate items of wearing apparel
CN113243584A (zh) 防护服内温湿度控制系统
US2919494A (en) Hair drier
KR20110000612A (ko) 휴대용 의복 건조기
JP2003265300A (ja) 多目的機能ハンガー
RU2005110185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влажности во внутренней полости сушильного барабана
CN110279232A (zh) 鞋柜
JP3014017U (ja) 装着用除湿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除湿性衣服
CN201062917Y (zh) 带有湿度显示贴的除湿除臭包
CN205226659U (zh) 可防潮的消音软管
JP2000024100A (ja) 安全ヘルメットの抗菌吸湿脱臭冷却具
JP2015150523A (ja) 除湿具
CN220633693U (zh) 一种缝隙除湿袋
US11761143B2 (en) Water reactive materials for drying articles
KR20130076909A (ko) 실리카겔을 이용한 재활용이 가능한 제습장치
KR20230108433A (ko) 제습 고무장갑
JPH09296346A (ja) 吸湿マットおよびその乾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