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505A -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 Google Patents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505A
KR20190079505A KR1020180149750A KR20180149750A KR20190079505A KR 20190079505 A KR20190079505 A KR 20190079505A KR 1020180149750 A KR1020180149750 A KR 1020180149750A KR 20180149750 A KR20180149750 A KR 20180149750A KR 20190079505 A KR20190079505 A KR 2019007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photoelectric sensor
type photoelectric
receiv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5688B1 (en
Inventor
마사시 카와다
마사히로 후지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73Phototransis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type photoelectric sensor which is able to simplify an adjustment of an optical axis of a light projector and a ligh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type photoelectric sensor comprises: the light projector fixa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on a light projector side by a fixing means to output a line light in a first-dimensional direction following the installation surface on the projector side; the light receiver fixa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on a light receiver side, which is extended and prepared in the same surface direction as the installation surface on the projector side to receive the line light outputted from the light projector by a light reception device which is able to receive the line light in the same first-dimensional direction as that of the line light; and a controller which detects a displacement of a subject to be tested placed between the light projector and the light receiver based on the light reception level of the lin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ption device. The light reception device (9) includes: a light projection width (A) of the line light (L) outputted from the light projector (1); and a light-receivable area (ARp) with a broader width than the light projection width.

Description

투과형 광전 센서{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0001]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0002]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레이저 광을 출력하는 투광기와, 투광기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기를 구비한 투과형 광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having, for example, a light emitter for outputting laser light and a light receiver for receiving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er.

투과형 광전 센서는, 센서 헤드로서, 레이저 광을 출력하는 투광기와, 레이저 광을 수신하는 수광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투광기와 수광기가 대향하여 설치되고, 수광기에서의 레이저 광의 수광 레벨을 컨트롤러로 검출하는 것에 의해, 피검사물의 변위를 검출한다.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er for outputting laser light and a light receiver for receiving laser light as a sensor head. Then,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light receiving level of the laser light in the light receiver is detected by the controller to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inspected object.

투광기에는, 레이저 광을 출력하는 투광 소자와, 투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라인 형태, 즉 1차원 방향으로 변환하는 렌즈가 탑재되고, 그 투광기의 케이스가 설치면에 나사로 고정된다. 수광기에는, 수광 소자로서 CMOS가 1차원 방향으로 탑재되고, 그 수광기의 케이스가 설치면에 나사로 고정된다. A light emitting element for outputting a laser beam and a lens for converting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to a line shape, that is, a one-dimensional direction, are mounted on the light projector, and the case of the light projector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with screws. In the light receiver, CMOS is mounted as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a one-dimensional direction, and the case of the light receiver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with screws.

이 때, 투광기 및 수광기는, 투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서로 대향하고, 또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면에 고정된다.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are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such that the light projec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그리고, 투광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수광기로 수광하고, 그 수광 레벨을 컨트롤러로 판정하는 것에 의해, 투광기와 수광기 사이에서 반송되는 피검사물의 변위가 검출된다. Then, the laser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er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and the light receiving level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so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inspected object conveyed between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is detected.

이와 같은 투과형 광전 센서에 유사한 선행 기술로서, 특허문헌 1, 2가 알려져 있다. As prior arts similar to such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Patent Documents 1 and 2 are known.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8-27546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27546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16-15154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151543

상기와 같은 투과형 광전 센서에서는, 투광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광의 투광 폭이 수광기의 수광 가능 영역 내, 즉 수광 셀의 설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투광기 및 수광기를 설치면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수광기의 수광 가능 영역이 투광 폭에서 벗어나면, 피검사물의 변위를 정상적으로 검출할 수 없다. In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it is necessary to fix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on the mounting surface so that the light projection width of the laser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er is within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light receiver, that is, within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light receiving cell. If the light-receivable area of the light-receiving device deviates from the projection light width, the displacement of the inspected object can not be normally detected.

투광기 및 수광기를 설치면에 고정할 때는, 투광기의 투광 폭이 수광기의 수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광축 조정을 한 상태에서, 투광기 및 수광기를 설치면에 나사로 고정한다. When fixing the light emitter and receiver on the mounting surface, fix the light emitter and receiver on the mounting surface with the optical axis adjusted so that the light projection width of the light emitter is within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light receiver.

하지만, 나사로 고정할 때, 투광기와 수광기의 광축이 1차원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광축 조정을 다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이 번잡했다. However, when fixing with screws, the optical axes of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are displaced in the one-dimensional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optical axis adjustment again.

특허문헌 1, 2에는, 투과형 광전 센서의 광축 어긋남을 검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광축 어긋남을 보정하는 기능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 structure for detecting the optical axis shift of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but the function of correcting the optical axis shift is not disclos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투광기와 수광기의 광축의 조정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는 투과형 광전 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capable of simplify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an optical axis of a light emitter and a light receiver.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투과형 광전 센서는, 투광기측 설치면에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고, 상기 투광기측 설치면을 따르는 1차원 방향의 라인 광을 출력하는 투광기; 상기 투광기측 설치면과 동일면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는 수광기측 설치면에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고, 상기 투광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라인 광을 해당 라인 광과 동일 방향의 1차원 방향으로 수광 가능한 복수의 수광 셀을 갖는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해당 수광 소자로 상기 라인 광을 수광하는 수광기; 및 상기 수광 소자로 수광한 상기 라인 광의 수광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투광기와 상기 수광기 사이에 위치하는 피검사물의 변위를 검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투과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투광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라인 광의 투광 폭을 포함하고, 해당 투광 폭보다 넓은 폭의 수광 가능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ransmissive type photoelectric sensor which solves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er which is fixed to a mounting surface of a light emitter side by a fixing means and outputs line light in a one-dimensional direction along the light emitter installation side;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cells which are fixed by a fixing means on a light receiving unit side surface provided to extend in the same plane as the light emitter side mounting surface and are capable of receiving the lin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er in a one- A photodetector receiving the line light with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of an object placed between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based on the light receiving level of the lin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area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width of the line light outputted from the light receiving area and being wider than the corresponding light transmitting area.

이 구성에 의해, 투광기와 수광기의 광축 어긋남에 대한 허용도가 향상한다. This configuration improves the tolerance to optical axis shift between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또한, 상기 투과형 광전 센서에서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가능 영역 중에서, 상기 라인 광을 기준 레벨 이상의 수광 레벨로 수광하는 수광 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수광 영역의 범위와 미리 설정된 범위에 기초하여 유효 영역을 설정하는 제1의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ransmissive type photoelectric sensor, the controller detects a light receiving area for receiving the line light at a light receiving level higher than a reference level in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first setting means for setting an effective region on the basis of the first setting means.

이 구성에 의해, 실행 모드시에, 유효 영역 이외의 수광 가능 영역에 입사하는 외란광의 영향이 억제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execution mode, the influence of the disturbance light incident on the light-receivable area other than the effective area is suppressed.

또한, 상기 투과형 광전 센서에서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효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는 제2의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mentioned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includes second setting means for adjusting the range of the effective region.

이 구성에 의해, 필요에 따라, 유효 영역(AR2)을 좁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투광기(1) 및 수광기(2)의 광축 어긋남에 대한 허용도가 향상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olerance to optical axis shift of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is improved by setting the effective area AR2 to be narrow as necessary.

또한, 상기 투과형 광전 센서에서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광 영역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 수단과, 검출된 상기 에지를 상기 유효 영역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하는 제3의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ransmissive-type photoelectric sens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includes edg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n edge of the light-receiving region, and third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detected edge to be excluded from the effective region.

이 구성에 의해, 수광 영역의 에지를 유효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edge of the light receiving area can be excluded from the effective area.

또한, 상기 투과형 광전 센서에서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효 영역이 상기 수광 영역의 범위 내에 수용되지 않을 때, 에러를 표시하는 에러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ransmissive-type photoelectric sens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includes error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 error when the effective region is not accommodated within the range of the light-receiving region.

이 구성에 의해, 유효 영역이 수광 가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표시 화면에 에러가 표시되기 때문에, 유효 영역의 오설정이 억제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effective area deviates from the light-receivable area, an err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erroneous setting of the valid area is suppressed.

또한, 상기 투과형 광전 센서에서는, 상기 수광기는, 상기 라인 광을 수광하여 상기 수광 소자에 공급하는 수광창을 구비하고, 상기 수광 소자의 상기 1차원 방향의 중심은, 상기 수광창의 상기 1차원 방향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광창의 단부와의 거리가 가까운 상기 수광 소자의 한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셀로부터 수광 신호를 차례로 판독한다. In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the light receiver includes a light receiving window for receiving the line light and supplying the received ligh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center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n the one- And the controller sequentially reads the light receiving signal from the light receiving cell located at one end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close to the end of the light receiving window.

이 구성에 의해, 실행 모드에 있어서, 수광 소자의 각 셀로부터 수광 레벨을 판독할 때, 수광창의 중심과의 거리가 가까운 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수광 셀로부터 수광 레벨이 차례로 판독되기 때문에, 유효 영역의 수신 레벨을 판독할 때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유효 영역의 수신 레벨을 판독한 후의 각 셀로부터의 수광 레벨의 판독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하여 판독할 때의 판독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light receiving level is read from each cel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n the execution mode, the light receiving level is sequentially read from the light receiving cell located at the end nearer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light receiving window, The time required to read out the reception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is shortened.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omit the reading of the light reception level from each cell after reading the reception level of the effective area,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reading time for repeated reading.

본 발명의 투과형 광전 센서에 의하면, 투광기와 수광기의 광축의 조정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operation of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can be simplified.

도 1은 투과형 광전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수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수광기 내의 수광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투과형 광전 센서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투과형 광전 센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수광 소자로 검출하는 수광 레벨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유효 영역의 설정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유효 영역의 설정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receive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a light receiving unit;
4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roller.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light receiving level detected by a light receiving element;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tting operation of a valid area;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tting operation of the valid area;

이하, 투과형 광전 센서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나타내는 투과형 광전 센서는, 투광기(1)와, 수광기(2)와, 컨트롤러(3)를 구비한다. 투광기(1) 및 수광기(2)는, 각각, 동일한 외형 크기를 구비한 케이스(4, 5)를 구비한다. 케이스(4, 5)는, 예를 들면 두께가 10mm의 직방체로 형성되고, 그 직방체의 메인 면의 대각 위치의 구석부에 있어서, 케이스(4, 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 구멍(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장착 구멍(6)에 삽통되는 나사에 의해, 케이스(4, 5)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측면(메인 면의 한쪽)(4a, 5a)이 장착면에 각각 고정된다. 케이스(4, 5)를 고정하는 투광기측 설치면 및 수광기측 설치면은, 동일면의 일부를 이루는 평면이다.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shown in Fig. 1 has a light emitter 1, a light receiver 2, and a controller 3. [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each have cases 4 and 5 having the same outer size. The case 4 and the case 5 are each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thickness of 10 mm and are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diagonal positions of the main 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 One side surface (one side of the main surface) 4a, 5a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ase 4, 5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by a screw threaded into the mounting hole 6, respectively. The light emitter sid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light receiver side installation surface for fixing the cases 4 and 5 are planes forming part of the same surface.

투광기(1)의 케이스(4)에는, 측면(4a)에 직교하는 측면 중, 장변 방향의 한쪽의 측면에 투광창(7)이 형성되어 있다. 투광창(7)은, 케이스(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사각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측면(4a)에 직교하는 측면 중, 단변 방향의 한쪽의 측면에서 케이블(4b)이 연장 마련되어, 컨트롤러(3)에 접속되어 있다. In the case 4 of the light projector 1, a light transmitting window 7 is formed on one lateral side in the long side direction among the side surfaces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4a. The light-transmitting window 7 is opened in a rectangular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4. A cable 4b is extended from one lateral side of the side surface orthogonal to the side surface 4a in the short sid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 [

투광기(1)의 케이스(4) 내에는, 레이저 광을 출력하는 투광 소자가 투광창(7)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차원 방향으로 배열되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투광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1차원 방향의 레이저 광(라인 광)(L)이 투광창(7)으로부터 출사된다. In the case 4 of the light projector 1, light projecting elements for outputting laser light are arranged in a one-dimensio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window 7. Then, the laser light (line light) L in the one-dimensional direction output from the light-transmitting element is emitted from the light-transmitting window 7.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광기(2)의 케이스(5)에는, 측면(5a)에 직교하는 측면 중, 장변 방향의 한쪽의 측면에 수광창(8)이 형성되어 있다. 수광창(8)은, 투광창(7)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이고, 케이스(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사각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측면(5a)에 직교하는 측면 중, 단변 방향의 한쪽의 측면에서 케이블(5b)이 연장 마련되어, 컨트롤러(3)에 접속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5 of the light receiver 2, a light receiving window 8 is formed on one lateral side in the long-side direction of the side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5a. The light receiving window 8 is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light transmitting window 7 and is opened in a rectangular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5. [ A cable 5b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orthogonal to the side surface 5a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 [

그리고, 투광기(1)와 수광기(2)는, 투광창(7)과 수광창(8)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면에 나사 혹은 다른 고정 수단으로 고정된다.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are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with screws or other fixing means so that the light transmitting window 7 and the light receiving window 8 are opposed to each other.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광기(2)의 케이스(5) 내에는,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9)가 수광창(8)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수광 소자(9)는, 예를 들면,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CMOS)에 의해 구성된다. 레이저 광을 수광 가능하게 한 수광 소자(9)의 수광 가능 영역(ARp)은, 수광창(8)의 길이 방향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그 수광 가능 영역(ARp)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X)는, 수광창(8)의 길이 방향의 중심(Y)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도 3에 있어서는, 수광 가능 영역(ARp)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X)가 수광창(8)의 길이 방향의 중심(Y)보다 하방으로 오프셋되고, 수광 소자(9)의 한쪽의 단부(9a)(도 3에 있어서는 상단)와 수광창(8)의 상단과의 거리(D1)가 수광 소자(9)의 다른 한쪽의 단부(9b)(도 3에 있어서는 하단)와 수광창(8)의 하단과의 거리(D2)보다 짧게 되어 있다. 3, a light receiving element 9 for receiving laser light is mounted along the light receiving window 8 in the case 5 of the light receiving device 2. [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The light receiving area ARp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capable of receiving laser light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receiving window 8 and the center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receiving area ARp X does not coincide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Y of the light receiving window 8. [ 3, the center position 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receivable area ARp is offset below the center 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receiving window 8, and one end of the light-receiving element 9 The distance D1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a (upper end in Fig. 3) and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window 8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9b (lower end in Fig.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D2)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2).

수광 소자(9)는, 도시하지 않는 수광 회로에 접속되고, 해당 수광 회로, 플렉시블 케이블(26), 커넥터(27)를 통해 케이블(5b)에 접속되어 있다. 수광 소자(9)의 수광 신호가 케이블(5b)을 통해 컨트롤러(3)에 출력된다.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is connected to a light receiving circuit not shown and connected to the cable 5b via the light receiving circuit, the flexible cable 26 and the connector 27. [ The light receiving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is outputted to the controller 3 through the cable 5b.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3)는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10)의 전면에, 표시 화면(11)과, left키(12), right키(13), up키(14), down키(15), enter키(16), exit키(17), 프리셋 키(18)와, 출력 표시등(19a~19c) 및 입력 표시등(20a), 프리셋 표시등(20b)이 마련되어 있다. 4, the controller 3 has a display screen 11, a left key 12, a right key 13, an up key 14, a down key 14, An input key 15, an enter key 16, an exit key 17, a preset key 18, output indicators 19a to 19c, an input indicator 20a, and a preset indicator 20b.

left키(12), right키(13), up키(14), down키(15), enter키(16), exit키(17), 프리셋 키(18)는, 각종 설정을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출력 표시등(19a~19c) 및 입력 표시등(20a), 프리셋 표시등(20b)은, 컨트롤러(3)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하고, 표시 화면(11)은, 설정 모드시의 설정 내용, 피검사물의 변위를 검출하는 실행 모드시의 측정 상황, 혹은 에러 표시 등이 표시된다. The left key 12, the right key 13, the up key 14, the down key 15, the enter key 16, the exit key 17 and the preset key 18 are used for various settings do. The output displays 19a to 19c, the input display 20a and the preset display 20b display the input and output status of the controller 3 and the display screen 11 displays the setting contents in the setting mode, A measurement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execution mode for detecting the displacement of an object, or an error display is displayed.

컨트롤러(3)의 케이스(10)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측면에는 케이블(28)이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28)은, 투광기(1) 및 수광기(2)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케이블(4b, 5b)를 모아 컨트롤러(3)에 접속하는 것이고, 투광기(1) 및 수광기(2)가 컨트롤러(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 cable 28 is connect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controller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0. The cable 28 collects the cables 4b and 5b extending from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and connects them to the controller 3.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 3).

도 5는, 투광기(1), 수광기(2) 및 컨트롤러(3)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다. 투광기(1)의 투광 수단(21)은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구동부를 구비하고, 수광기(2)의 수광 수단(22)은 수광 소자(9)로서의 CMOS와, 수광 소자(9)의 수신 신호를 CPU(23)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5 shows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light emitter 1, the light receiver 2 and the controller 3. Fig. The light emitting means 21 of the light projector 1 includes a laser diode and a driving unit thereof and the light receiving means 22 of the light receiving device 2 is composed of a CMOS a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and a receiving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o the CPU 23.

컨트롤러(3)에는, CPU(23)가 내장되는 한편, 표시부(24) 및 조작부(25)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4)는, 표시 화면(11) 및 각 표시등(19a~19c, 20) 및 그것들의 구동부를 포함하고, 조작부(25)는, 각 키(12~18)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3 is provided with a CPU 23 and a display unit 24 and an operating unit 25. The display section 24 includes a display screen 11 and respective indicators 19a to 19c and 20 and a drive section thereof and the operation section 25 includes respective keys 12 to 18. [

CPU(23)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여, 설정 모드에서는 조작부(25)에서 설정된 설정 내용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키고, 투광 수단(21)을 구동하여 레이저 광(L)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수광 수단(22)의 수광 신호에 따라 설정 동작을 한다. The CPU 23 operates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and displays the set contents set on the operation unit 25 on the display unit 24 in the setting mode and drives the light emitting means 21 to output the laser light L . Then, the sett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light receiving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means 22. [

또한, 실행 모드에서는 투광 수단(21)을 구동하여 레이저 광(L)을 출력시키고, 수광 수단(22)의 수광 신호에 따라, 피검사물의 측정 결과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표시부(24)에 표시한다. In the execution mode, the light emitting means 21 is driven to output the laser light L,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inspected objec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ight receiving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means 22, .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투과형 광전 센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6은, 투과형 광전 센서를 설치 위치에 설치하여 측정 동작을 시작할 때까지의 순서를 나타낸다. Fig. 6 shows the procedure up to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operation by installing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투광기(1) 및 수광기(2)가 설치 위치에 나사로 고정되는 한편 컨트롤러(3)에 접속된 후, 투과형 광전 센서의 전원이 투입되면, 먼저 광축 조정 처리를 한다(스텝 1). 광축 조정 처리는, 투광기(1) 및 수광기(2)의 각 광축이 적정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적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광축의 위치가 적정해지도록 조정하는 작업을 한다. When the power of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is turned on after the light projector 1 and the light receiver 2 are screw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 the optical axis adjustment processing is first performed (step 1). The optical axis adjustment processing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ptical axes of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are appropriate, and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optical axes to be appropriate when the optical axes are not appropriate.

다음으로, 기준 파형 등록 처리가 진행된다(스텝 2). 기준 파형 등록 처리는, 투광기(1) 및 수광기(2)의 설치시, 혹은 재설치시에 수광 레벨의 한계값이나 필터의 설정 등을 진행한다. Next, the reference waveform registration process proceeds (step 2). The reference waveform registration process proceeds to the setting of the limit value of the light receiving level or the setting of the filter at the time of installing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or at the time of reinstallation.

다음으로, 실행 모드(측정 모드)의 선택이 이루어지고(스텝 3), 측정 방향의 선택이 이루어진 후(스텝 4), 피검사물의 변위를 측정하는 측정 동작이 개시된다. Next, a selection of the execution mode (measurement mode) is made (step 3), a measurement operation is started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inspected object after the measurement direction is selected (step 4).

다음으로, 스텝 1의 광축 조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optical axis adjusting process in step 1 will be described.

도 7에 있어서, 투광기(1)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L)은, 투광창(7) 및 수광창(8)을 거쳐, 수광 소자(9)에서 수광된다. 레이저 광(L)은, 투광 폭(A)의 1차원 방향의 레이저 광으로서 수광 소자(9)에서 수광된다. 7, the laser light L emitted from the light projector 1 is received by the light-receiving element 9 via the light-transmitting window 7 and the light-receiving window 8. The laser light L is received by the light-receiving element 9 as laser light in the one-dimensional direction of the light-transmitting width A.

수광 소자(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광창(8)의 길이 방향의 폭보다 넓은 수광 가능 영역(ARp)에서, 1차원 방향의 레이저 광(L)을 수광 가능하게 하도록, CMOS(다수의 셀이 일렬로 배치)를 구비한다.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is a CMOS (a plurality of (for example,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9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receive laser light L in a one-dimensional direction in a light receiving area ARp that is wider than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light receiving window 8, Cells are arranged in a line).

수광 소자(9)에 의한 레이저 광(L)의 수광 레벨(RL)은, 투광 폭(A)의 양단부, 즉 에지(EG)에서 프레넬 회절에 기인하는 노이즈(NRL)가 발생한다. 수광 레벨(RL)에 노이즈(NRL)가 포함되면, 피검사물의 변위를 검출할 때, 정상적으로 검출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of the laser light L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generates noise NRL due to Fresnel diffraction at both ends of the light transmitting width A, that is, at the edge EG. When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includes the noise NR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etection can not normally be performed when the displacement of the inspected object is detected.

여기서, 수광 소자(9)의 수광 영역(AR1) 중, 노이즈(NRL)가 발생하지 않는 영역을 유효 영역(AR2)으로 설정하고, 그 유효 영역(AR2)의 수광 레벨(RL)에 기초하여 피검사물의 변위를 검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Here, an area in which the noise NRL does not occur in the light receiving area AR1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is set as the effective area AR2, and based on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of the effective area AR2,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object.

광축 조정 처리가 개시되면, CPU(23)는, 투광기(1)로부터 레이저 광(L)을 출력시켜, 수광기(2)의 수광 소자(9)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신호의 수광 레벨(RL)을 판정한다. 이 때, 수광 레벨(RL)은 수광 소자(9)의 일단측, 즉 도 3에 있어서는 상단측의 셀로부터 차례로 판독된다. The CPU 23 outputs the laser light L from the light emitter 1 and outputs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of the reception signal outputted from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of the light receiver 2 as . At this time,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is sequentially read from one end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that is, from the cell on the upper end in Fig.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어서, CPU(23)는 수광 소자(9)의 다수의 셀로부터 차례로 판독된 수신 신호의 수광 레벨(RL)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레벨(S)과 비교하고, 수광 레벨(RL)이 기준 레벨(S)보다 높을 때를 H 레벨로 하는 비교 결과 신호(CR)를 얻는다. 비교 결과 신호(CR)는, 수광 소자(9)의 수광 가능 영역(ARp)의 셀 중, 투광기(1)로부터의 레이저 광(L)을 수광하고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셀을 나타내고, CPU(23)는 이를 수광 영역(AR1)으로서 인식한다. As shown in Fig. 8, the CPU 23 then compares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of the received signal sequentially read from the plurality of cells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with a preset reference level S, And a comparison result signal CR for setting the level RL to the H level when the level R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S is obtained.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CR indicates a cell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laser light L from the floodlight 1 is received among the cells in the light-receivable area ARp of the light-receiving element 9, and the CPU 23 ) Recognizes it as the light receiving area AR1.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수광 레벨(RL)은, 수광 소자(9)로부터 차례로 판독된 수신 신호의 수광 레벨을 왼쪽에서 오른쪽을 향해 표시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shown in Fig. 8 indicates the light receiving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sequentially read from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from left to right.

다음으로, CPU(23)는 수광 레벨(RL)이 기준 레벨(S)을 넘는 셀 위치(P1)를 특정하고, 셀 위치(P1)로부터 미리 설정한 소정수(X1)의 셀을 사이에 둔 셀 위치(P2)를 특정한다. Next, the CPU 23 specifies the cell position P1 in which the light-receiving level RL exceeds the reference level S, and sets the predetermined number (X1) And specifies the cell position P2.

그리고, 셀 위치(P2)로부터 더욱 소정수(X2)의 셀을 사이에 둔 셀 위치(P3)를 특정하고, 셀 위치(P2)와 셀 위치(P3) 사이의 영역을, 유효 영역(AR2)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셀 위치(P3)의 비교 결과 신호(CR)가 H 레벨이라면, CPU(23)는 유효 영역(AR2)의 설정이 정상인 것으로 인식하여, 표시 화면(11)에 "OK"라고 표시한다. The cell position P3 between the cell position P2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X2 is specified and the area between the cell position P2 and the cell position P3 is defined as the effective area AR2. . If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CR of the cell position P3 is at the H level, the CPU 23 recognizes that the setting of the valid area AR2 is normal, and displays "OK" on the display screen 11.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 위치(P3)가 수광 가능 영역(ARp)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유효 영역(AR2)의 설정은 이상한 것으로 인식하여, 표시 화면(11)에 "ERR"이라고 표시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when the cell position P3 deviates from the light-receivable area ARp, the setting of the valid area AR2 is recognized as being abnormal and "ER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11 do.

또한, CPU(23)는 상기 광축 조정 처리에 앞서, 유효 영역(AR2)의 범위, 즉 셀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The CPU 23 has a function of arbitrarily setting the range of the effective area AR2, that is, the number of cells, prior to the optical axis adjustment processing.

컨트롤러(3)의 exit키(17)가 눌러지면, CPU(23)는 설정 모드로 이행하여, 표시 화면(11)에 "SET"라고 표시한다. When the exit key 17 of the controller 3 is pressed, the CPU 23 shifts to the setting mode and displays "SET" on the display screen 11.

다음으로, CPU(23)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유효 영역(AR2)의 셀수, 즉 상기 소정수(X2)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up키(14) 혹은 down키(15)가 조작되면, 소정수(X2)가 증감된다. Next, the CPU 23 displays the number of currently set valid areas AR2, i.e., the predetermined number X2. In this state, when the up key 14 or the down key 15 is operated, the predetermined number X2 is increased or decreased.

그리고, 소정수(X2)가 원하는 수로 설정된 후, enter키(16)가 눌러지면, CPU(23)는 새로 설정된 소정수(X2)를 유효 영역(AR2)으로 하고, 그 소정수(X2)를 몇초간 점멸시켜 소정수(X2)가 확정된 것을 표시 화면(11)에 표시한다. When the enter key 16 is pressed after the predetermined number X2 is set to the desired number, the CPU 23 sets the newly set predetermined number X2 as the valid area AR2 and sets the predetermined number X2 as And displays on the display screen 11 that the predetermined number X2 has been confirmed by blinking for a few seconds.

다음으로, CPU(23)는 표시 화면(11)에 "SET"의 표시를 다시 하고, 이 상태에서 exit키(17)를 누르면, 실행 모드로 복귀한다. 한편, enter키(16)를 누르면, 다시 설정 모드로 이행한다. Next, the CPU 23 displays "SET" again on the display screen 11, and when the exit key 17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CPU 23 returns to the execution mo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ter key 16 is pressed, the mode shifts to the setting mode again.

상기와 같은 투과형 광전 센서에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1) 수광 소자(9)의 수광 가능 영역(ARp)이, 투광기(1)의 투광 폭(A)보다 넓기 때문에, 투광기(1) 및 수광기(2)를 나사로 장착면에 고정할 때, 그 고정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투광 소자와 수광 소자(9)의 광축이, 투광 소자 및 수광 소자(9)의 연장되는 1차원 방향으로 어긋나도, 투광 폭(A)이 수광 소자(9)의 수광 가능 영역(ARp)의 범위 내에 수용되기 쉽다. 따라서, 투광기(1) 및 수광기(2)의 고정 위치의 재조정, 즉 광축의 재조정이 필요해지는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1) Since the light receiving area ARp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is wider than the light transmitting width A of the light emitter 1, when fixing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2 to the mounting surface with screws, Even if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9 deviates in the one-dimensional direction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9 due to the deviation of the fixing position, Is easily accommodated within the range of the light-receivable area (AR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re-adjustment of the fixed positions of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that is, re-adjustment of the optical axis.

(2) 설정 모드시에, 수광기(2)의 수광 소자(9)에 있어서, 투광기(1)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광(L)의 수광 레벨(RL)이 기준 레벨(S)보다 커지는 수광 영역(AR1)의 범위 내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유효 영역(AR2)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행 모드에서는 그 유효 영역(AR2)의 수광 레벨(RL)에 기초하여 피검사물의 변위를 검출하기 때문에, 유효 영역(AR2) 이외의 수광 가능 영역(ARp)에 입사하는 외란광의 영향에 의한 피검사물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2) In the setting mode, the light-receiving element 9 of the light-receiving device 2 receives the light-receiving region 9 in which the light-receiving level RL of the laser light L output from the light emitter 1 becomes larger than the reference level S, The predetermined range can be set as the effective area AR2 within the range of the effective area AR1. Since the displacement of the inspected object is detected based on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of the effective area AR2 in the execution mode, the influence of the disturbance light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area ARp other than the effective area AR2 So that erroneous detection of the inspected object can be prevented.

(3) 유효 영역(AR2)의 넓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유효 영역(AR2)을 좁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투광기(1) 및 수광기(2)의 고정 위치의 어긋남에 대한 허용도가 향상한다. 따라서, 투광기(1) 및 수광기(2)의 고정 위치의 재조정이 필요해지는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3) The area of the effective area AR2 can be arbitrarily set. By setting the effective area AR2 to be narrow as required, tolerance to the displacement of the fixing positions of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is impro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fixing positions of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need to be re-adjusted.

(4) 유효 영역(AR2)의 설정시에, 수광 레벨(RL)이 기준 레벨(S) 미만에서 기준 레벨(S)에 도달하는 셀 위치(P1)를 특정하고, 셀 위치(P1)로부터 미리 설정한 소정수(X1)의 셀을 사이에 둔 셀 위치(P2)로부터 더욱 소정수(X2)의 셀을 사이에 둔 셀 위치(P3)를 특정한다. 그리고, 셀 위치(P2)와 셀 위치(P3) 사이의 영역을, 유효 영역(AR2)으로서 설정하기 때문에, 수광 영역(AR1)의 에지(EG)를 유효 영역(AR2)에서 제외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 모드에서는, 에지(EG)에서 발생하는 노이즈(NRL)의 영향을 제외하여, 피검사물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4) The cell position P1 at which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reaches the reference level S at less than the reference level S is specified at the time of setting the effective area AR2, The cell position P3 between the cell of the predetermined number X1 and the cell of the predetermined number X2 is specified. Since the area between the cell position P2 and the cell position P3 is set as the effective area AR2, the edge EG of the light receiving area AR1 can be excluded from the effective area AR2. Therefore, in the execution mod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inspected object can be improved, except for the influence of the noise (NRL) generated at the edge (EG).

(5) 유효 영역(AR2)의 설정시에, 설정하고자 하는 유효 영역(AR2)에 수광 레벨(RL)이 기준 레벨(S)에 도달하지 않는 셀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혹은 유효 영역(AR2)이 수광 가능 영역(ARp)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표시 화면(11)에 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 영역(AR2)의 오설정을 억제할 수 있다. (5) When a cell position at which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level S exists in the effective area AR2 to be set or the valid area AR2 is present when the effective area AR2 is set, In the case where it is out of the light-receivable area ARp, an erro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11. Therefore, erroneous setting of the valid area AR2 can be suppressed.

(6) 수광 소자(9)의 수광 가능 영역(ARp)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X)는, 수광창(8)의 길이 방향의 중심(Y)와는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오프셋되고, 수광 소자(9)의 수광 가능 영역(ARp)의 한쪽의 단부(9a)와 수광창(8)의 단부(9a)측의 단부의 거리(D1)가 수광 소자(9)의 다른 한쪽의 단부(9b)와 수광창(8)의 단부(9b)측의 단부의 거리(D2)보다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행 모드에 있어서, 수광 소자(9)의 각 셀로부터 수광 레벨(RL)을 판독할 때, 수광창(8)의 중심(Y)과의 거리가 가까운 측의 단부(9a)로부터 수광 레벨(RL)이 차례로 판독되기 때문에, 유효 영역(AR2)의 수광 레벨(RL)을 판독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6) The center position 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receivable area ARp of the light-receiving element 9 is offset to a position that does not coincide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Y of the light-receiving window 8, The distance D1 between one end 9a of the light-receivable area ARp of the light-receiving element 9 and the end of the light-receiving window 8 on the side of the end 9a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other end 9b of the light-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end portion (9b) of the light receiving window (8) and the end portion (9b). Therefore, when the light receiving level RL is read from each cel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in the execution mode, the distance from the end 9a closer to the center Y of the light receiving window 8 to the light receiving level The light reception level RL of the effective area AR2 is sequentially read, and therefore the time until the light reception level RL of the effective area AR2 is read can be shortened.

한편,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좋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embodiment may be modified as follows.

·투광기(1) 및 수광기(2)를 나사 이외의 고정 수단으로 설치면에 고정해도 좋다.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by fixing means other than screws.

·투광기(1)로부터 출력되는 광은, 레이저 광 이외의 광으로 해도 좋다.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projector 1 may be light other than laser light.

·수광 소자(9)로서 CMOS를 2차원인 것을 사용해도 좋다. 그 경우에도, 라인 형태의 1차원 영역만 사용된다. A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 a two-dimensional CMOS may be used. Even in this case, only a one-dimensional area in the form of a line is used.

·투광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라인 형태의 광은, 1차원뿐만 아니라, 약간의 폭을 가진 띠 형태의 광도 포함된다. The line-shaped light output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includes not only one-dimensional light but also band-shaped light having a slight width.

·"OK" "ERR"의 표시는, 기타의 문자, 기호, 코드 등에 의한 표시여도 좋고, 표시등의 점등, 점멸, 표시색의 변화 등에 의한 표시여도 좋다. • "OK" The display of "ERR" may be displayed by other characters, symbols, codes, etc., or may be displayed by lighting of indicators, blinking, change of display color, and the like.

·투광기(1) 및 수광기(2)의 외형 크기는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The outer size of the light emitter 1 and the light receiver 2 may not be the same.

1: 투광기
2: 수광기
3: 컨트롤러(제1의 설정 수단, 제2의 설정 수단, 제3의 설정 수단, 에지 검출 수단, 에러 표시 수단)
8: 수광창
9: 수광 소자
11: 에러 표시 수단(표시 화면)
L: 라인 광(레이저 광)
ARp: 수광 가능 영역
AR1: 수광 영역
AR2: 유효 영역
A: 투광 폭
RL: 수광 레벨
S: 기준 레벨
EG: 에지
1: Floodlight
2: Receiver
3: controller (first setting means, second setting means, third setting means, edge detecting means, error display means)
8: Receiving window
9: Light receiving element
11: Error display means (display screen)
L: Line light (laser light)
ARp: Receiving area
AR1: Light receiving area
AR2: Effective area
A: Flood Width
RL: Light receiving level
S: Reference level
EG: Edge

Claims (6)

투광기측 설치면에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고, 상기 투광기측 설치면을 따르는 1차원 방향의 라인 광을 출력하는 투광기;
상기 투광기측 설치면과 동일면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는 수광기측 설치면에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고, 상기 투광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라인 광을 해당 라인 광과 동일 방향의 1차원 방향으로 수광 가능한 복수의 수광 셀을 갖는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해당 수광 소자로 상기 라인 광을 수광하는 수광기; 및
상기 수광 소자로 수광한 상기 라인 광의 수광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투광기와 상기 수광기 사이에 위치하는 피검사물의 변위를 검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투과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투광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라인 광의 투광 폭을 포함하고, 해당 투광 폭보다 넓은 폭의 수광 가능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광전 센서.
A light projector fixed to the projector side mounting surface by a fixing means and outputting line light in a one-dimensional direction along the light emitter installation surface;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cells which are fixed by a fixing means on a light receiving unit side surface provided to extend in the same plane as the light emitter side mounting surface and are capable of receiving the lin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er in a one- A photodetector receiving the line light with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of the inspected object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based on the light receiving level of the lin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Wherei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ncludes a light receiving area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width of the lin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er and a width larger than a width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제1항에 기재된 투과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가능 영역 중에서, 상기 라인 광을 기준 레벨 이상의 수광 레벨로 수광하는 수광 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수광 영역의 범위와 미리 설정된 범위에 기초하여 유효 영역을 설정하는 제1의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광전 센서.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comprising:
A first setting means for detecting a light receiving region for receiving the line light at a light receiving level equal to or higher than a reference level i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setting a valid region on the basis of the range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 and a predetermined range And a photoelectric sensor.
제2항에 기재된 투과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효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는 제2의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광전 센서.
3.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ler comprising:
And second setting means for adjusting the range of the effective region.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투과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광 영역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상기 에지를 상기 유효 영역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하는 제3의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광전 센서.
4.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ontroller comprising:
Edg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edge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 And
And third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detected edge to be excluded from the effective region.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투과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효 영역이 상기 수광 영역의 범위 내에 수용되지 않을 때, 에러를 표시하는 에러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광전 센서.
4.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ontroller comprising:
And error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 error when the effective region is not accommodated within the range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과형 광전 센서에 있어서,
상기 수광기는, 상기 라인 광을 수광하여 상기 수광 소자에 공급하는 수광창을 구비하고,
상기 수광 소자의 상기 1차원 방향의 중심은, 상기 수광창의 상기 1차원 방향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광창의 단부와의 거리가 가까운 상기 수광 소자의 한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셀로부터 수광 신호를 차례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광전 센서.
The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light receiver includes a light receiving window for receiving the line light and supplying the ligh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he center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n the one-dimensional direction is offse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ight receiving window in the one-dimensional direction,
Wherein the controller sequentially reads the light receiving signal from the light receiving cell located at one end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close to the end of the light receiving window.
KR1020180149750A 2017-12-27 2018-11-28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KR1020456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1636A JP2019117130A (en) 2017-12-27 2017-12-27 Translucent photoelectric sensor
JPJP-P-2017-251636 2017-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505A true KR20190079505A (en) 2019-07-05
KR102045688B1 KR102045688B1 (en) 2019-11-15

Family

ID=6707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750A KR102045688B1 (en) 2017-12-27 2018-11-28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117130A (en)
KR (1) KR102045688B1 (en)
CN (1) CN109974589B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981U (en) * 1992-04-20 1993-11-12 竹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Reflective photoelectric switch
JPH10239024A (en) * 1997-02-26 1998-09-11 Omron Corp Optical measuring device
JP2008275462A (en) 2007-04-27 2008-11-13 Omron Corp Position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JP2010237167A (en) * 2009-03-31 2010-10-21 Sunx Ltd Photoelectric sensor
JP2016151543A (en) 2015-02-19 2016-08-22 アズビル株式会社 Edge detec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1603A (en) * 1987-09-02 1989-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camber of beltlike body
JPH05296717A (en) * 1992-04-22 1993-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tecting device for two-dimensional position
JP2002335006A (en) * 2001-05-09 2002-11-22 Toshiba Corp Reflection optical sensor
JP2009002701A (en) * 2007-06-19 2009-01-08 Yamatake Corp Edge detector and line sensor for edge detector
JP5507879B2 (en) * 2009-04-24 2014-05-28 株式会社キーエンス Transmission type measuring device
JP5507895B2 (en) * 2009-06-09 2014-05-28 株式会社キーエンス Transmission type measuring device
CZ2010423A3 (en) * 2010-05-28 2010-08-18 Perner@Pet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detection of thickness and/or homogeneity of a linear configuration, especially textile fiber
CN205561758U (en) * 2016-02-19 2016-09-07 深圳市意普兴科技有限公司 Infrared measur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981U (en) * 1992-04-20 1993-11-12 竹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Reflective photoelectric switch
JPH10239024A (en) * 1997-02-26 1998-09-11 Omron Corp Optical measuring device
JP2008275462A (en) 2007-04-27 2008-11-13 Omron Corp Position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JP2010237167A (en) * 2009-03-31 2010-10-21 Sunx Ltd Photoelectric sensor
JP2016151543A (en) 2015-02-19 2016-08-22 アズビル株式会社 Edge det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74589A (en) 2019-07-05
KR102045688B1 (en) 2019-11-15
JP2019117130A (en) 2019-07-18
CN109974589B (en)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3931B2 (en) Modular light curtain and optical unit for a light curtain
JP5507879B2 (en) Transmission type measuring device
JP4995438B2 (en) Reflective photoelectric switch
US20130270423A1 (en) Multiple 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US10911632B2 (en) Image scanning device
US20120318957A1 (en) Optical touch device
KR20190079505A (en)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JP6409283B2 (en) Photoelectric sensor
US7084387B2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witch, mounting structure therefor, and fixture therefor
JP2009110815A (en) Multiple 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KR101799657B1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and sealing member
JP2009020763A (en) Extinction type sensor
JP5139049B2 (en) Photoelectric sensor
KR1020539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racks in an optical device of a beam projector module
JP2019139830A (en) Limited reflection type sensor
JP2005227121A (en) Countermeasures for preventing mutual interference in photoelectric switch
JP2003294415A (en) Optical curtain type safety sensor
JP3861969B2 (en) Light curtain creation device
EP1288688A3 (en) Optical waveguide module
JP4147130B2 (en) Photoelectric switch for wide range detection
CN109990979B (en) Detection jig and detection system
JP2014127455A (en) Multiple 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JP2005157439A (en) Invasion detecting device
JP2022125594A (en) Optical sensor device
JP2005164300A (en) Color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