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192A -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 Google Patents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192A
KR20190079192A KR1020170181226A KR20170181226A KR20190079192A KR 20190079192 A KR20190079192 A KR 20190079192A KR 1020170181226 A KR1020170181226 A KR 1020170181226A KR 20170181226 A KR20170181226 A KR 20170181226A KR 20190079192 A KR20190079192 A KR 20190079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ase
base unit
cradle
cover member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1154B1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7018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154B1/en
Publication of KR2019007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1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ipheral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ipheral device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various types of peripheral device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product concepts or store atmosphere.

Description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thereof.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아이폰과 같이 DMB, 동영상 플레이어, 인터넷 등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폰,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전자기기 즉 휴대단말기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MP3 player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DMB,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매년 다양한 종류의 휴대전자기기가 출시되며, 휴대전자기기와 관련된 여러 주변기기들이 함께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경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카메라키트,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기기, 무선 충전기, 또는 케이스 등도 함께 출시된다. 휴대전자기기 판매 매장에서는 휴대전자기기와 그 주변기기들을 함께 전시 판매한다. 휴대전자기기와 관련된 주변기기들은 휴대전자기기에 따라 제품의 종류와 수가 다양하다. 새롭게 휴대전자기기와 그 주변기기들이 출시되면 이를 전시하기 위해서 전시 대상이 되는 휴대전자기기와 그 주변기기들의 크기나 제품 디자인 컨셉에 맞도록 거치대를 새로 제작한다.Various kind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released every year, and various peripherals related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released toge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smartphones, camera kits that are linked to smart phone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 watches, wireless chargers, or cases are also releas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ell and sel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peripheral devices. Peripheral devices related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vary in the type and number of products depending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hen new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peripheral devices are released, a new cradle is created to suit the size and product design concep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to be displayed.

신제품 출시와 함께 그 제품의 디지인 컨셉에 맞게 거치대가 새롭게 만들어져도, 판매 매장마다 전시 공간이 상이하고 전시하는 제품의 종류나 수도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제작된 휴대전자기기와 그 주변기기의 거치대는 판매 매장의 전시 환경에 따라서는 일률적으로 제작된 거치대로는 전시가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매장을 찾는 주 수요층에 따라 주력 판매 제품이 다를 수 있어서 주력 판매 제품의 높은 노출을 위해 전시를 형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매장별 기획 판촉을 위해 제품의 전시를 새롭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의 거치대는 일정한 크기와 디자인으로 제조되어 각 매장의 환경이나 요구에 따라 휴대전자기기와 주변기기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Even if a cradle is newly created to meet the design concept of the product together with the launch of a new product, since the exhibition space differs for each sales shop and the kinds and the products of the products displayed differ, the cradl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Depending on the display environment of the museum, it may not be possible to exhibit it in a uniformly constructed cradle. In addition, the main sales target produc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in demanding customers, so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splay format for the high exposure of the main sales product and to renew the display of the product in order to promote the promotion of each store. However,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peripheral devices are manufactured with a certain size and design,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r demand of each store.

새로 출시되는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마다 새롭게 전시대를 제작하는 것은 제조 단가나 판매 단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의 전시대는 다른 용도로의 전용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차세대 제품의 출시와 함께 폐기처분 해야 하므로 폐기 비용이 발생하고 폐기 과정 중에 환경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Making new exhibition stands for new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peripheral devices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selling price.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s peripheral devices can not be used for other purposes, it is necessary to dispo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together with the next generation product. Therefore, the disposal cost may be incurred and environmental problems may occur during the disposal process.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자기기와 다양한 종류의 그 주변기기를 제품 컨셉 또는 매장 분위기에 따라 배치를 변경하여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를 전시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stand for peripheral devices that can displa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peripheral device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various types of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 product concept or a store atmospher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는,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에서, 상하로 층층이 쌓이거나 좌우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을 덮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크래들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또는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를 덮을 수 있다.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stand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main base unit in which a vertically stacked layer is stacked or left and right in a modular shelf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that hous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cover member covering the main base unit; A cradle memb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and recei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may be cove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o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cked main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 측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수용되는 안착부; 상기 일 측에 대향하여 외부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 및 상기 일 측에 상기 타측을 향하여 관통하는 개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ase unit may include: a seating part on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i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received; A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facing the one side; And an opening penetrating the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Wherein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stacked by receiving the projections of the other main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서로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ase uni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projection, and the seat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is accommodated in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other main base unit, The main fastening part of the main base uni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The unit can be fix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는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을 갖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concavo-convex shape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or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커버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크래들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 cover member coupl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member facing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cradle memb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or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so that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can be fixed on the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이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or the cradle member engaging portion may have a concave-convex shap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or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본 발명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이 서로 인접하여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는 경우,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wo of the main base unit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of each of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and fixing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하나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다른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와 결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body disposed between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one of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engaged with another main base unit And can engage with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면적과 동일하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보다 높이가 작은 서브 베이스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ub base unit which is the same as the top area of the main base unit but is smaller in height than the main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서브 베이스 유닛은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안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 base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seated.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 상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제품 사양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specific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displayed on the cover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는,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에서,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을 덮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크래들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또는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를 덮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dular shelf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comprising: a main base unit stack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rranged in a modular shelf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that hous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cover member covering the main base unit; A cradle memb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and recei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may be cove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o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cked main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수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형성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측과 상기 일 측에 대향하는 타측을 관통하는 개구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ase unit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received; And an opening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o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 ≪ / RTI >

본 발명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상하로 위치하는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wo of the main base units are stacked,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of each of the main base units positioned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서로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을 고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ase uni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by the fastening member being disposed o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has a first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ing portion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ix the main base uni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are lamina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 각각은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을 갖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concave / convex shape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or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커버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크래들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 cover member coupl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member facing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cradle memb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or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so that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can be fixed on the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을 갖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or the cradle member engaging portion may have a concavo-convex shap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or they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측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an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본 발명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이 서로 인접하여 동일 평면 상에 배열되는 경우,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wo of the main base unit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of each of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and fixing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여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하나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베이스 유닛 체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다른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body part toward the sea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base unit engaging portion of one of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base unit engaging portion of one of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can engage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면적과 동일하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보다 높이가 작은 서브 베이스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ub base unit which is the same as the top area of the main base unit but is smaller in height than the main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서브 베이스 유닛은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안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 base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seated.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 상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제품 사양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specific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displayed on the cover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휴대전자기기 및 다양한 종류의 그 주변기기를 제품 컨셉이나 매장 환경에 따라 배치를 달리하여 전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various kinds of peripheral devices thereof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 product concept or the store environment by combining various modu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메인 베이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메인 베이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커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커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7a는 크래들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크래들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의 메인 베이스 유닛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의 메인 베이스 유닛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stand for a peripheral device shown in FIG. 1.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base unit.
3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base unit.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ain base unit.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main base unit.
6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member.
6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ver member.
7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adle member.
7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adle member.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ng member;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base unit and a fixing member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base unit and a fixing member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from the actual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include," or "having"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are st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where a portion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or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ortion,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ortion in betwee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of a layer, a film, an area, a plate, or the like is formed on another part image on, the forming direction is not limited to an upper part but includes a part formed in a side or a lower direction . On the contrary, where a section such as a layer, a film, an area, a plate, etc. is referred to as being "under" another sec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section is "directly underneat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to b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커버 부재(120), 크래들 부재(130), 연결부재(140), 및 서브 베이스 유닛(150)을 구비할 수 있다. 1 and 2,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100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ase unit 110, a cover member 120, a cradle member 130, (140), and a sub-base unit (150).

메인 베이스 유닛(110, 110', 110")은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고, 그 위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는 쌓아 올리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100', 100")의 개수를 조절하여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놓이는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거치대 전체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대해 평면상으로 상하좌우 측면에 인접하여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전시 면적을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는 복수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을 수직 또는/및 수평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시대의 최종 높이나 전시 넓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The main base units 110, 110 ', 110 "may be stack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at is, another main base unit may be stacked on one main base unit 110 " Can be stacke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modular cradle for peripher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number of stacked main base units 110, 100 ', 100 "to adjust the number of vertically stacked main base units 110" The height of the whole cradle can be made different. In addition, by arranging other main base units adjacent to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in a plane with respect to one main base unit 110, the exhibition area can be differen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r cradle 1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s can freely adjust the final height and the display width of the cradle by vertically and / or horizontally arranging the plurality of main base units 110 have.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전자기기는 그에 딸린 여러 주변기기가 있을 수 있다. 주변기기에는 휴대전자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기기, 유무선 충전기, 케이스, 및 카메라키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휴대전자기기와 그의 주변기기를 함께 전시할 때 메인 베이스 유닛(110, 110', 110")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전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자기기는 다른 주변기기와는 달리 주된 판매 대상 제품이므로 고객의 시선이 집중되도록 메인 베이스 유닛(110)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고 그 위에 휴대전자기기를 전시함으로써 제품 노출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may have a number of peripherals associated therewith. There are various kinds of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interlock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wired / wireless charger, a case, and a camera kit.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s peripheral devices are displayed together, the main base units 110, 110 ', and 110 "can be horizontally arranged to secure an exhibition area. The main base unit 110 can be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 user's attention can be focused,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n be displayed on the main base unit 110 to enhance the product exposure,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effect.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일예로서 외형상 육면체일 수 있다. 육면체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수직 적층이나 수평 배열이 용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육면체 형상뿐만 아니라 다면체, 원통형 등 수직 적층과 수평 배열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for example, an outer cube. The main base unit 110, which is a hexahedron, is easily stack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rran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in base unit 1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vertical lamination such as a polyhedron and a cylindrical shape as well as the hexahedron shape shown in Figs.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도 1 및 2와 같이 육면체인 경우 그 높이(z)가 그 밑면의 가로 변(x) 또는 세로 변(y)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육면체의 높이가 육면체의 밑면의 가로 변 또는 세로 변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육면체를 수직으로 적층할 때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육면체의 높이, 가로 변, 및 세로 변의 길이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main base unit 110 is a hexahedr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eight z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side x or the longitudinal side y of the bottom surface. When the height of the hexahedron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lateral sides or the longitudinal sides of the bottom face of the hexahedron,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hexahedron is vertically stack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ight, width, and length of the hexahedron can be variously varied.

상단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는 커버 부재(120) 또는 크래들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 cover member 120 or a cradle memb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ase unit 110 positioned at the top.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a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base unit shown in FIGS. 1 and 2, and FIG. 3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base unit shown in FIGS.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안착부(111), 돌출부(112), 및 개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3A and 3B, the main base unit 110 may include a seating part 111, a projection part 112, and an opening part 113. As shown in FIG.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측에는 안착부(11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측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는 측면이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타측은 그 일 측에 대향하는 측면이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측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이고,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타측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면이라고 할 수 있다. The main base unit 110 has a seating part 111 formed on one side and a protrusion 112 on the other side.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a side where the other main base units 110 are stacked,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a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

안착부(111)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내부로 단차(111a)가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12)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면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되며, 이로써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될 수 있다. The seating part 111 may be formed by forming a step 111a into the main base unit 11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 The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projecting port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protrusion 112 of one main base unit 11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whereby the one main base unit 110 Can be stacked.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육면체인 경우, 돌출부(112)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면의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112)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의 모서리부분에 수용됨으로써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When the main base unit 110 is a hexahedron, the protruding portions 112 may be formed at four corner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protrusions 112 formed at the corner portions are accommodated in the corner portions of the seating portions 111 of the other main base units 110 so that the main base units 110 can be stably stacked.

안착부(111)에는 제1 체결부(114a)가 형성되고, 돌출부(112)에는 제2 체결부(114b)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과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메인 메이스 유닛의 제1 체결부(114a)는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를 향하도록 안착부(111) 상에 형성되며,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제2 체결부(114b)는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를 향하도록 돌출부(1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의 제2 체결부(114b)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는 경우에 이들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서로 적층되는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과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에 형성된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may be formed on the seating part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4b may be formed on the projection 112. [ When one main base unit and another main base unit are stacke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of one main mace un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may be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112 so as to face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one main base unit 110 have.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114a of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one main base unit 110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114b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one main base unit 110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are stacked, they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4b formed on each of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s stacked on each other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stably fixed .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는 일예로서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12)가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경우 돌출부(112)의 제2 체결부(114b)와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는 서로 접하게 되고,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의 자기력에 의해 적층되는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as an example. That is,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4b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f the protrusion 112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of the seating portion 11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protrusion 112 is receiv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ne main base unit 110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stacked by the magnetic force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14a and 114b can be fixed to each other.

제1 체결부(114a)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매립될 수 있다. 안착부(111)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을 향하도록 오목형 단차(111a)가 형성됨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단차(111a)에 수직한 안착면(111b)을 가질 수 있다. 안착면(111b)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면을 향하는 그루브(11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면(111b) 상에 형성된 그루브(115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embedded in the main base unit 110. [ The seating part 111 is formed by forming the concave step 111a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to the lower surface so that it can have the seating surface 111b perpendicular to the step 111a. The seating surface 111b may be formed with a groove 115a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4a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groove 115a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111b .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에 매립될 수 있다. 돌출부(112)는 그 표면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측을 향하는 그루브(115b)를 가질 수 있다.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의 그루브(115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can be embedded in the protruding portion 112. [ The protruding portion 112 may have a groove 115b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on the surface there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15b of the projection 112. [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는 서로 대응되도록 안착부(111)와 돌출부(112)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면(111b) 상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112)가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면(111b) 상의 제1 체결부(114a)와 돌출부(112) 상의 제2 체결부(114b)는 자기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맞붙게 되며, 적층된 메인 베이스 유닛들은 자기력에 의해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4b may be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11 and the protruding part 112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main base unit is stacked, the projecting portion 112 of another main base uni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11b of one main base unit. In this cas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on the seating surface 111b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n the protruding portion 112 are attract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and the stacked main base units are fixed Can be strengthened.

제1 체결부(114a)의 노출면과 안착면(111b)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제2 체결부(114b)의 노출면이 돌출부(112)의 외측면(112a)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111)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112)가 수용되면,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과 돌출부(112)의 외측면(112a)이 접하고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 역시 접하게 된다.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and the seating surface 111b are flush with each other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flush with the outer surface 112a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 . In this case, when the projecting port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is receiv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one main base unit,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and the outer surface 112a of the projecting portion 112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are also in contact with each other.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는 서로 요철 형성으로 맞물릴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114a)가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대해 높게 배치되면,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의 외측면(112a)에 대해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면(111b)에 대해 볼록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114b)는 외측면(112a)에 대해 오목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체결부(114a)가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대해 낮게 배치되면,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의 외측면(112a)에 대해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면(111b)에 대해 오목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114b)는 외측면(112a)에 대해 볼록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concave and convex formatio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112a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 wh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is disposed higher than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mounting portion 111 have. That i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is convex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111b,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can be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112a. Conversely, i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is disposed lower than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can be disposed higher than the outer surface 112a of the projection 112 hav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is concav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111b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can be convex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112a.

개구부(113)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측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타측을 향하여 관통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거나 한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놓인 경우 개구부(113)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3)에 의한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리코일러와 같은 휴대전자기기 잠금장치나 도난 방지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적층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 상에는 커버 부재(120)나 크래들 부재(130)가 안착될 수 있다. 크래들 부재(130)가 안착되는 경우, 개구부(113)와 크래들 부재(1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잠금장치가 배치되어 크래들 부재(130)에 놓이는 휴대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The opening 113 can penetrate from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y the opening 113 when the main base unit 110 is stacked or one main base unit 110 is place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ock device such as a recoiler or a security device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opening 113. [ The cover member 120 or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positioned on the uppermost layer among the stacked main base units 110. [ When the cradle member 130 is seated, a locking device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opening 113 and the cradle member 130 to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laced on the cradle member 130.

개구부(113)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내부의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는 커버 부재(120)나 크래들 부재(130)가 안착될 수 있다. 특히 커버 부재(120)는 상부면이 돌출부 없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면이 평평한 커버 부재(120)가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경우 커버 부재(120)의 상부면과 안착부(111)의 단차(111a)의 상부면이 굴곡 없이 마감되는바, 커버 부재(120)를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서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개구부(113)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므로 개구부(113)를 통해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120)를 밀어냄으로써 용이하게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커버 부재(120)를 분리할 수 있다.The opening 113 not only provides space inside the main base unit 110, but also facilitates separation between the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 cover member 120 or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Particularly, the cover member 120 may be formed such that its upper surface is flat without protrusions. When the cover member 120 having the flat top surface is receiv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portion 111a of the seating portion 1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20 are finished without bending. It is not easy to detach the main body unit 120 from the main base unit 110. The opening 113 penetrat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so that the opening 113 can easily push the cover member 120 disposed on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cover member 12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4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크기에서 도 3a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보다 2배 클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육면체로서, 높이(z)는 가로 변(x)과 세로 변(y)에 비해 작고,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4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높이(z')는 가로 변(x')과 세로 변(y')에 비해 작다는 점에서 도 3a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동일하나, 가로 변(x')의 길이가 세로 변(y')의 길이가 더 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3a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그 밑면이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이나, 도 4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그 밑면이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상이한 직사각형일 수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ain base unit 110 '. Referring to FIG. 4,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two times larger in size than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 3A.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 3A is a hexahedron in which the height z is smaller than the lateral sides x and y and the lengths of the lateral sides x and y are the same can do. In contrast,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 4 is different from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3A in that the height z' is smaller than the lateral sides x 'and y' But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side (x ') is larger than that of the longitudinal side (y').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3A is a square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lateral side x and the longitudinal side y 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 'And the longitudinal side 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일예로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높이(z') 및 세로 변(y')의 길이를 도 3a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높이(z) 및 세로 변(y)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그 가로 변(x')의 길이를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가로 변(x)의 길이의 2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높이는 동일하나 밑면의 넓이가 두 배가 되어, 메인 베이스 유닛(110) 두 개를 수평으로 배치한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height z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side y' of the main base unit 110 'are the same as the height z and the length y of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 And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side (x ') can be made twice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side (x) of the main base unit (110).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main base unit 110, but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is doubled, and the size of two main base units 110 may be the same.

다른 예로서, 메인 베이스 유닛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높이와 세로 변의 길이는 동일하나 가로 변의 길이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가로 변의 길이에 3배 이상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height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sides of the main base unit 110 are the same, but the length of the lateral sides of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three times or more the length of the lateral sides of the main base unit 110.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그 내부에 격벽(117')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17')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내부를 구분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격벽(117')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개구부(113')와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에 대향하여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도 3의 110)의 돌출부(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는 메인 베이스 유닛(도 3의 110)의 안착부(111)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에는 제1 체결부(114a')가 배치되며, 돌출부(112')에는 제2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부(111') 상에 형성된 그루브(115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는 돌출부 상에 형성된 그루브(미도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base unit 110 'may include a partition 117' inside thereof. The partition 117 'can divide the in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main base unit 110 'may have an opening 113' and a seating portion 111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117'. A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opposite to the seating part 111'. The seating portion 111 'of one main base unit 1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jection 112 of another main base unit 110 of FIG. 3, and the protrus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FIG. 3).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may be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projection 112 '.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located in a groove 115a'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in a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projection.

따라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가 수용되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의 제2 체결부(114b)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는 것은 물론이다.The protrus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received in the seating part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1 'of the seating part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 The main base unit 110 can be stacked on the main base unit 110 'by fasten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114b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to each oth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other main base unit 110 'is stacked on the main base unit 110'.

도 5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크기에서 도 3a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보다 4배 클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육면체로서, 높이(z)는 가로 변(x)과 세로 변(y)에 비해 작고,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5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높이(z")는 가로 변(x")과 세로 변(y")에 비해 작다는 점 그리고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같다는 점에서 도 3a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동일하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 각각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의 2배일 수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main base unit 110 ". Referring to Fig. 5, the main base unit 110 " has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 It can be multiplied.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 3A is a hexahedron in which the height z is smaller than the lateral sides x and y and the lengths of the lateral sides x and y are the same can do. 5, the height (z ")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smaller than the width (x") and the length (y "), and the width (x" 3A and the lengths of the lateral sides x "and y" of the main base unit 110 "are the same as the lengths of the main base unit 110" (X)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side (y) of the optical fiber 110.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그 내부에 격벽(117")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17")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내부를 구분할 수 있다. 2개의 격벽(117")이 메인 베이스 유닛(110") 내에서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격벽(117")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개구부(113")와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에 대향하여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대응되도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11")에는 제1 체결부(114a")가 배치되며, 돌출부(112")에는 제2 체결부(114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부(111") 상에 형성된 그루브(115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는 돌출부 상에 형성된 그루브(미도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base unit 110 "may include a partition 117 '' therein. The partition 117 '' can distinguish the interior of the main base unit 110 ''. Two partition walls 117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main base unit 110 ". The main base unit 110 "may have openings 113 " and seating portions 111"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117 ''. A protruding portion 112 "may be formed facing the seating portion 111 ".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ject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project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110, respectively.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disposed on the seat portion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disposed on the projection portion 112 ".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located in a groove 115a"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in a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projection.

따라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가 수용되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의 제2 체결부(114b)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 또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는 것은 물론이다.The protruding port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receiv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of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 The main base unit 110 can be stacked on the main base unit 110 "by fasten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114b of the protruding portions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to each oth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other main base unit 110 '' or a main base unit 110 'is stacked on the main base unit 110' '.

커버 부재(120) 및 크래들 부재(130)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수직으로 적층되거나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개구부(113)에 의해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바 필요한 수만큼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을 적층하고 배열한 후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를 매울 필요가 있으며, 커버 부재(120) 및 크래들 부재(130)는 최상층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배치되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개방된 상부를 매울 수 있다. The cover member 120 and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ase unit 110. [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vertically stacked or horizontally disposed. The main base unit 110 needs to stack and arrange the required number of main base units 110 on the upper side opened by the opening 113 and then to sprea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member 120 and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most main base unit 110 to sprinkle the open top of the main base unit 110. [

도 6a 및 6b는 커버 부재(12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a 및 7b는 크래들 부재(13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는 커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커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7a는 크래들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b는 크래들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FIGS.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cover member 120, and FIGS.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cradle member 130. FIG. Specifically,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member, and Fig. 6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member.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adle member, and Fig. 7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adle member.

도 6 a 내지 7b를 참조하면, 커버 부재(120)의 하부면(122)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을 향하며 그에 대향하는 상부면(121)은 평활면일 수 있다. 평활면인 상부면(121) 상에는 거치되는 휴대전자기기의 사양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20) 상에는 여러 종류의 주변기기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무선 충전기, 휴대전자기기의 케이스, 카메라키트, 웨어러블기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20)에는 제품을 소개하는 사이니지(Signage)가 배치될 수 있다.6A to 7B,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cover member 120 faces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upper surface 121 facing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a smooth surface. The specific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mounted can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121 which is a smooth surface.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peripheral devices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120.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charge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camera kit, and a wearable device. The cover member 12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ignage for introducing the product.

커버 부재(120)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부재(120)의 하부면(122)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을 향하여 수용되며, 상기 하부면(122)이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접할 수 있다. The cover member 120 can be receiv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cover member 120 is received toward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lower surface 122 is in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have.

커버 부재(120)는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에 대응하여 그 하부면(122)에 형성된 그루브(124) 내에 커버 부재 체결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120)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경우 커버 부재(120)의 하부면(122)은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닿으며 커버 부재 체결부(123)는 제1 체결부(114a)와 체결되어 커버 부재(120)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2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24 formed in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seating portion 1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4a.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cover member 120 contacts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when the cover member 120 is receiv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fastening part 123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and the cover member 120 can be fastened to the main base unit 110. [

커버 부재 체결부(123)는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부재 체결부(123)와 제1 체결부(114a)는 자기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맞붙게 되며, 커버 부재(120)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자기력에 의해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The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123 may have magnetism. The cover member 120 and the main base unit 110 can be strengthened in fixing force by the magnetic force because the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123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a are attracted by the magnetic force.

크래들 부재(130)의 하부면(132)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를 향하며, 그에 대향하는 상부면(131) 상에는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홀더부(134)를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132 of the cradle member 130 faces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a holder portion 134 on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31 opposed thereto .

크래들 부재(130)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될 수 있다. 크래들 부재(130)의 하부면(132)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을 향하여 수용되며, 상기 하부면(132)이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접할 수 있다.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receiv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lower surface 132 of the cradle member 130 is received toward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lower surface 132 is in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have.

크래들 부재(130)는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에 대응하여 그 하부면(132)에 형성된 그루브(134) 내에 크래들 부재 체결부(133)가 배치될 수 있다. 크래들 부재(130)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경우 크래들 부재(130)의 하부면(132)은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닿으며 크래들 부재 체결부(133)는 제1 체결부(114a)와 체결되어 크래들 부재(130)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cradle member 13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34 formed in the lower surface 132 of the cradle member 1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cradle 114a of the cradle 111. [ When the cradle member 13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lower surface 132 of the cradle member 130 contacts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The fastening portion 133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so that the cradle member 130 can be fixed to the main base unit 110. [

크래들 부재 체결부(133)는 자성을 가질 수 있다. 크래들 부재 체결부(133)와 제1 체결부(114a)는 자기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맞붙게 되며, 크래들 부재(130)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자기력에 의해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The cradle member coupling portion 133 may have magnetism. The cradle member coupling portion 133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4a are attract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and the cradle member 130 and the main base unit 110 can be strengthened by magnetic force.

연결부재(140)는 서로 인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을 연결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측면을 접하며 배치되는 경우 연결부재(140)는 서로 인접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 각각의 안착부(111)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140 may connect the main base units 110 arranged horizontally adjacent to each other. When at least two main base units 110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so as to be in sid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140 is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each of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110, (Not shown).

도 8은 연결부재(140)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As shown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40)는 몸체부(141), 제1 연결부(142), 및 제2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onnection member 14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41, a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몸체부(141)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41)는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The body portion 141 may have a sheet shape.

몸체부(141)의 상부면 상에는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몸체부(141)의 상부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41)의 일면에는 그루브(141a, 141b)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루브(141a, 141b) 내에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가 배치될 수 있다.A first connection part 142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4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41.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41. Grooves 141a and 141b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41.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42 and 143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s 141a and 141b.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서로 인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제2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가 서로 인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 연결부재(140)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연결부(142)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제2 체결부(114b)에 대응되도록 몸체부(14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연결부(143)는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인접한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제2 체결부(114b)에 대응되도록 몸체부(14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서로 인접한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제2 체결부(114b)와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of the main base units disposed horizontally adjacent to each other. Specifically, when two main base units 110 are horizontal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140 is disposed between the two main base units,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2 includes two main base units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41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4b of one of the main base units 110, And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41 to correspon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b of each of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2 체결부(114b)와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3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wit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b made of a magnetic material.

자성체인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몸체부(141)에 형성된 그루브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41)의 상부면과 제1 연결부(142) 및 제2 연결부(143)의 상부 노출면은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which are magnetic bodies, may be disposed in a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41.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41 and the upper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3 may be on the same plane.

다른 예로서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제2 체결부(114b)의 형상에 따라 요철 형상일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에 대해 볼록 또는 오목일 수 있다.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제2 체결부(114b)와 체결하기 위해 제2 체결부(114b)가 볼록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몸체부(141)의 상부면에 대해 오목하게 들어갈 수 있으며, 제2 체결부(114b)가 오목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몸체부(141)의 상부면에 대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have a concavo-convex shap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4b. That is,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convex or concave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portion 112. The first connection part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3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2 wh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4b is convex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4b, The first connecting part 142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143 may be concavely inserted into the body part 141. In this case, 141).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는 서브 베이스 유닛(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서브 베이스 유닛(150)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밑면의 크기는 동일하나, 그 높이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높이보다 작으며, 개구부를 가지지 않는다. The modular cradle 100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b-base unit 150. The sub base unit 150 has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main base unit 110 but the height thereof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does not have an opening.

서브 베이스 유닛(150)은 그 상부측에 수용부(151)를 가질 수 있다. 수용부(151)는 커버 부재(120)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151)는 커버 부재(120)의 커버 부재 체결부(123)에 대응하여 수용부 체결부(152)를 가질 수 있다. 커버 부재(120)가 수용부(151)에 안착되는 경우 커버 부재 체결부(123)와 수용부 체결부(152)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수용부 체결부(152)는 자성체일 수 있으며, 자기력에 의해 커버 부재 체결부(123)와 자기력에 의해 서로 맞불을 수 있다. The sub-base unit 150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151 on its upper side. The receiving portion 151 can receive the cover member 120. The receiving portion 151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engaging portion 152 corresponding to the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123 of the cover member 120. When the cover member 120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51, the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123 and the receiving portion engaging portion 152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The receiving portion fastening portion 152 may be a magnetic body and may be struck against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123 by a magnetic force due to a magnetic forc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의 메인 베이스 유닛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base unit and a fixing member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는 고정부재(260)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와 차이가 있다. 도 1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는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112)가 수용되어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수직으로 적층되나, 도 9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들 사이에 고정부재(260)에 의해 메인 베이스 유닛들이 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9,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200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26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modular cradle 200 for a peripheral device of FIG. (100). 1, a modular base 100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includes a main base unit 110 and a main base unit 110. The main base unit 110 includes a main base unit 110, 9, the modular shelves 2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s of FIG. 9 are arranged such that the main base units are fixed by the fixing members 260 between the vertically stacked main base units 210 .

이하에서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와 도 1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ular shelf 200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nd the modular shelf 100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in FIG. 1 will be described.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의 메인 베이스 유닛(210)은 도 1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는 달리 상부면과 하부면에 모두 안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상부면에서는 하부면을 향하여 단차(2111a)가 형성되어 상부 안착부(211a)를 이루며, 그 하부면에서는 상부면을 향하여 단차(2111a)가 형성되어 하부 안착부(211b)를 이룰 수 있다.Unlike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1, the main base unit 210 of the modular base 2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s may have a seating portion 21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 step 2111a is form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210 toward the lower surface to form an upper seating portion 211a and a step 2111a is formed at the lower surface thereof toward the upper surface to form a lower seating portion 211b ).

상부 안착부(211a)는 단차(2111a)에 수직한 상부 안착면(2112a)를 가지며, 하부 안착부(211b)는 단차(2111b)에 수직한 하부 안착면(2112b)를 가질 수 있다. The upper seating part 211a has an upper seating surface 2112a perpendicular to the step 2111a and the lower seating part 211b can have a lower seating surface 2112b perpendicular to the step 2111b.

상부 안착면(2112a)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하부면을 향하는 그루브(2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부(214a)는 상부 안착면(2112a) 상에 형성된 그루브(11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upper seating surface 2112a may be formed with a groove 215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210.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4a may be formed in the groove 115 formed on the upper seating surface 2112a Can be located.

하부 안착면(2112b)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상부면을 향하는 그루브(2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214b)는 하부 안착면(2112b) 상에 형성된 그루브(21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A groove 215 may be formed in the lower seating surface 2112b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21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14b may be formed in the groove 215 formed on the lower seating surface 2112b Can be located.

고정부재(260)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210)들의 안착부(211a, 211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210)들 사이에서 고정부재(260)는 그 상부면(261a)이 위쪽에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하부 안착부(2112b)의 하부 안착면(2112b)에 접하게 되며, 그 하부면(261b)이 아래쪽에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안착부(2112a)의 상부 안착면(2112a)에 접하게 된다. The fixing member 260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seating portions 211a and 211b of the two main base units 210 stacked vertically. That is, between the two main base units 210, the fixing member 26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eating surface 2112b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2112b of the main base unit in which the upper surface 261a is disposed, The lower surface 261b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eating surface 2112a of the upper seating portion 2112a of the main base unit disposed at the lower side.

고정부재(260)의 상부면(261a)과 하부면(261b) 각각에는 고정부재 체결부(264a, 264b)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 체결부(264a)는 고정부재(260)의 상부면(261a) 상에서 하부면(261b)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그루브(265)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 체결부(264b)는 고정부재(260)의 하부면(261b) 상에서 상부면(261a)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서오디는 그루브(265)에 배치될 수 있다.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s 264a and 264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61a and the lower surface 261b of the fixing member 260, respectively. The fixing member coupling portion 264a may be disposed on a groove 265 recessed toward the lower surface 261b on the upper surface 261a of the fixing member 260 and the fixing member coupling portion 264b may be fixed May be disposed on the groove 265 to recess on the lower surface 261b of the member 260 toward the upper surface 261a.

고정부재(260)가 수직으로 적층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들 사이의 하부 안착부(2112b)와 상부 안착부(211a)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재 체결부(264a)는 위쪽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하부 안착부(2112b)의 제2 체결부(214b)와 체결되며, 고정부재 체결부(264b)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상부 안착부(211a)의 제1 체결부(214a)와 체결될 수 있다. When the fixing member 26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eating portion 2112b and the upper seating portion 211a between the vertically stacked main base units 210, the fixing member coupling portion 264a is positioned at the upper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14b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2112b of the base unit 210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ing portion 264b is fastened to the upper seating portion 211a of the lower main base unit 210 And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214a.

고정부재 체결부(264a, 264b)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 체결부(264a, 264b)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1 체결부(214a) 및 제2 체결부(214b)와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s 264a and 264b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us, the fixing member coupling portions 264a and 264b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4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4b, which ar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의 메인 베이스 유닛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base unit and a fixing member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300)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과 고정부재(360)의 체결방식에 있어서 도 9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와 차이가 있다. 도 9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는 자기력에 의해 메인 베이스 유닛(210)과 고정부재(260)가 체결되어 고정되나, 도 10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300)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과 고정부재(360)가 요철 형태로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1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modular cradle 300 for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the manner of fastening the main base unit 310 and the fixing member 36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odular cradle 200 for devices and peripherals. 9, the main base unit 210 and the fixing member 260 are fastened and fixed by the magnetic force. However, the portable base unit 210 and the modular cradle (not shown) for the peripheral device 300 are different in that the main base unit 310 and the fixing member 360 are fastened and fixed to each other in a concavo-convex form.

이하에서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300)와 도 9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ular shelf 300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nd the modular shelf 200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in FIG. 9 will be described.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300)의 메인 베이스 유닛(310)은 도 9의 메인 베이스 유닛(210)과 같이 상부면과 하부면에 모두 안착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상부면에서는 하부면을 향하여 단차(3111a)가 형성되어 상부 안착부(311a)를 이루며, 그 하부면에서는 상부면을 향하여 단차(3111a)가 형성되어 하부 안착부(311b)를 이룰 수 있다.The main base unit 310 of the modular base 3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may have a seating portion 311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s in the main base unit 210 of FIG. A step 3111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310 toward the lower surface to form an upper seating portion 311a and a step 3111a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oward the upper surface to form a lower seating portion 311b ).

상부 안착부(311a)는 단차(3111a)에 수직한 상부 안착면(3112a)를 가지며, 하부 안착부(311b)는 단차(3111b)에 수직한 하부 안착면(3112b)를 가질 수 있다. The upper seating portion 311a may have an upper seating surface 3112a perpendicular to the step 3111a and the lower seating portion 311b may have a lower seating surface 3112b perpendicular to the step 3111b.

상부 안착면(3112a)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하부면을 향하는 그루브(315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안착면(3112b)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상부면을 향하는 그루브(315b)가 형성될 수 있다. A groove 315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eating surface 3112a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310. [ A groove 315b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3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eating surface 3112b.

고정부재(360)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310)들의 안착부(311a, 311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310)들 사이에서 고정부재(360)는 그 상부면(361a)이 위쪽에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하부 안착부(311b)의 하부 안착면(3112b)에 접하게 되며, 그 하부면(361b)이 아래쪽에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안착부(311a)의 상부 안착면(3112a)에 접하게 된다. The fixing member 360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seating portions 311a and 311b of two vertically stacked main base units 310. [ That is, between the two main base units 310, the fixing member 36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eating surface 3112b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311b of the main base unit in which the upper surface 361a thereof is disposed above, And the lower surface 361b thereof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eating surface 3112a of the upper seating portion 311a of the main base unit disposed at the lower side.

고정부재(360)의 상부면(361a)과 하부면(361b) 각각에는 고정부재 체결부(364a, 364b)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 체결부(364a)는 고정부재(360)의 상부면(361a) 상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310)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부재 체결부(364b)는 고정부재(360)의 하부면(361b) 상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310)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s 364a and 364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361a and the lower surface 361b of the fixing member 360, respectively. The fixing member engaging portion 364a may have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main base unit 310 on the upper surface 361a of the fixing member 360 and the fixing member engaging portion 364b may have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main base unit 310, And may have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main base unit 310 on the lower surface 361b.

고정부재(360)가 수직으로 적층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들 사이의 하부 안착부(311b)와 상부 안착부(311a)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재 체결부(364a)는 위쪽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하부 안착부(311b)의 그루브(315b)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고정부재 체결부(364b)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상부 안착부(311a)의 그루브(315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When the fixing member 36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eating portion 311b and the upper seating portion 311a between the vertically stacked main base units 310, the fixing member engaging portion 364a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The fixing member coupling portion 364b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15b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311b of the base unit 310 and the fixing member coupling portion 364b is engaged with the groove 315b of the upper seating portion 311a of the main base unit 310,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base 315a.

고정부재 체결부(364a, 364b)의 측면에는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는 요철부(3641a, 364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그루브(315a, 315b)의 내측면에도 그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는 요철부(3151a, 3151b)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 체결부(364a, 364b)가 그루브(315a, 315b)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 이들의 요철부 또한 맞물리면서 메인 베이스 유닛(310)와 고정부재(360) 사이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The side surfaces of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s 364a and 364b may be provided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3641a and 3641b facing outward or inwardly an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grooves 315a and 315b of the main base unit 310 Irregular portions 3151a and 3151b facing toward the outside or inside can be formed. When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s 364a and 364b are inserted and fastened with the grooves 315a and 315b,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main base unit 310 and the fixing member 360 can be increased while the concave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 공간이 협소할 경우 최소한의 메인 베이스 유닛과 크래들 부재(또는 커버 부재)를 이용하여 전시하고 전시 공간이 넓은 경우 복수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과 커버 부재 및 크래들 부재를 이용하여 전시함으로써 다양한 매장 환경에 따른 전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hibition space is narrow, the main base unit and the cradle member (or the cover member) are used to display at least the main base unit, the cover memb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play utilization according to various store environments.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주요 제품의 경우 메인 베이스 유닛을 높게 쌓아 올려 그 주변기기에 비해 돋보이도록 거치대를 구성하여 제품 중요도에 따른 차별화된 전시가 가능하다.In the case of major products such as smart phones, the main base unit can be stacked high, and the stand can be configured to stand out compared to its peripheral devices.

아울러 여러 메인 베이스 유닛, 커버 부재, 크래들 부재, 서브 베이스 유닛을 자유롭게 구성하여 개성 넘치는 전시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ase unit, the cover member, the cradle member, and the sub base unit can be freely configured to realize a display full of personalit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110: 메인 베이스 유닛
120: 커버 부재
130: 크래들 부재
140: 연결부재
150: 서브 베이스 유닛
100: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s and peripherals
110: main base unit
120: cover member
130: cradle member
140:
150: Sub-base unit

Claims (11)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를 거치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에 있어서,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을 덮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크래들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또는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를 덮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which hol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s peripheral devices,
A main base unit stacked vertically or arranged laterally;
A cover member covering the main base unit; And
A cradle memb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and recei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nd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disposed on the main base unit o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cked main base unit,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수용되는 안착부;
상기 일측에 대향하여 외부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 및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향하여 관통하는 개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ase unit includes:
A seating part for receiving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at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A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facing the one side; And
An opening penetrating from the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 RTI >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accommodates protrusions of another main base unit, thereby stacking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and a modular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서로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을 고정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ase uni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projection,
When the seat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ding portion of another main base unit and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stacke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and the second fastener of the other main base unit 2 fastening portions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ix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stacked to each other,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는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and a modular holder for a peripheral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커버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크래들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 고정되는 모듈형 휴대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ver member includes a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member facing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cradle member includes a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radle member facing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Wherein the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or the cradle member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fixed on the base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을 갖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or the cradle member engaging portion has a concavo-convex shap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or is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and a modular holder for a peripheral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이 서로 인접하여 동일 평면 상에 배열되는 경우,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of each of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to fix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when the at least two main base unit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on the same plane, Modular stand for instrument and periphera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하나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다른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와 결합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between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 RTI >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one of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another main base unit among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면적과 동일하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보다 높이가 작은 서브 베이스 유닛을 더 구비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ub base unit which is the same as the top area of said main base unit but which is smaller in height than said main base unit,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베이스 유닛은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안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b base unit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seated; and a modular cradle for a peripher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 상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 또는 상기 주변기기의 제품 사양을 표시하거나 상기 주변기기가 배치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dular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in which a product specific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eripheral device is displayed or the peripheral device is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KR1020170181226A 2017-12-27 2017-12-27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KR102091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26A KR102091154B1 (en) 2017-12-27 2017-12-27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26A KR102091154B1 (en) 2017-12-27 2017-12-27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92A true KR20190079192A (en) 2019-07-05
KR102091154B1 KR102091154B1 (en) 2020-03-19

Family

ID=6722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226A KR102091154B1 (en) 2017-12-27 2017-12-27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15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057Y1 (en) * 2021-02-15 2022-02-23 주식회사 썸코리아 Prefabricated monitor supporter
KR102432362B1 (en) 2021-09-03 2022-08-1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디지텍 Connector for mobile phon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709U (en) * 1993-12-16 1995-06-27 株式会社橘 Jewelry display case
KR200226148Y1 (en) * 2000-12-18 2001-06-01 주식회사한화 Multistage file up case
KR100673577B1 (en)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Mult-function cradle
JP2007037725A (en) * 2005-08-02 2007-02-15 Masahiro Matsubara Multifunctional cube display unit
KR101612065B1 (en) * 2014-11-03 2016-04-26 주식회사 이노윅스 Stack type documentary storag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709U (en) * 1993-12-16 1995-06-27 株式会社橘 Jewelry display case
KR200226148Y1 (en) * 2000-12-18 2001-06-01 주식회사한화 Multistage file up case
JP2007037725A (en) * 2005-08-02 2007-02-15 Masahiro Matsubara Multifunctional cube display unit
KR100673577B1 (en)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Mult-function cradle
KR101612065B1 (en) * 2014-11-03 2016-04-26 주식회사 이노윅스 Stack type documentary storag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057Y1 (en) * 2021-02-15 2022-02-23 주식회사 썸코리아 Prefabricated monitor supporter
KR102432362B1 (en) 2021-09-03 2022-08-1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디지텍 Connector for mobile phon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154B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966B2 (en) Interlocking panels, modules with interlocking panels, and a modular display case with interlocking modules with interlocking panels
KR20190079192A (en)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US10842237B2 (en) Electronics stand
CN202914461U (en) Board-to-board fast positioning deivce
TW202202703A (en) Magnetically-attracted assembled structure capable of being assembled into various three-dimensional structures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exposed assembly members
JP2015090370A (en) Case for portable type information device and case for video image display device
CN104443852A (en) Packaging structur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230333608A1 (en) Casing structure
CN108520689B (en) Model component for scene demonstration and scene demonstration method
CN109932843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6055032B1 (en) Management box, cabinet and management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M542165U (en) Base for computer device
CN210823295U (en) Bearing disc assembly and bearing disc stacking assembly
WO2022134695A1 (en) Keyboard protective sleeve
TWI713135B (en) Carrier tray assembly and tray stack using the same
CN209679505U (en) Multifunctional building block table
CN106952565A (en) The model component and its demenstration method of scene presentation
KR101921623B1 (en) Mobile phone case with virture reality function
CN210853357U (en) Display box
TWI790115B (en) Model displaying device
CN220105408U (en) Expanding base for microscope support
CN204722667U (en) Showcase device
CN215493902U (en) Stackable small-size electronic product reliability test fixture
CN220623326U (en) Tablet computer base and tablet computer assembly
JP6738361B2 (en) Electronic equipment installation fix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