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154B1 -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 Google Patents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154B1
KR102091154B1 KR1020170181226A KR20170181226A KR102091154B1 KR 102091154 B1 KR102091154 B1 KR 102091154B1 KR 1020170181226 A KR1020170181226 A KR 1020170181226A KR 20170181226 A KR20170181226 A KR 20170181226A KR 102091154 B1 KR102091154 B1 KR 10209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ase
base unit
cradle
portable electronic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9192A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7018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154B1/en
Publication of KR2019007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1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와 다양한 종류의 그 주변기기를 제품 컨셉 또는 매장 분위기에 따라 배치를 변경하여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를 전시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that can displa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various types of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 product concept or store atmosphere.

Description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아이폰과 같이 DMB, 동영상 플레이어, 인터넷 등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폰,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전자기기 즉 휴대단말기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iPhones, mobile phones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DMB, video player, and Internet, MP3 player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such as mobile terminals, are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매년 다양한 종류의 휴대전자기기가 출시되며, 휴대전자기기와 관련된 여러 주변기기들이 함께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경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카메라키트,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기기, 무선 충전기, 또는 케이스 등도 함께 출시된다. 휴대전자기기 판매 매장에서는 휴대전자기기와 그 주변기기들을 함께 전시 판매한다. 휴대전자기기와 관련된 주변기기들은 휴대전자기기에 따라 제품의 종류와 수가 다양하다. 새롭게 휴대전자기기와 그 주변기기들이 출시되면 이를 전시하기 위해서 전시 대상이 되는 휴대전자기기와 그 주변기기들의 크기나 제품 디자인 컨셉에 맞도록 거치대를 새로 제작한다.Various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released every year, and several peripheral devices rela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released toge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martphone, a camera kit that works with a smartphone,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a wireless charger, or a case are also released. The mobile electronics sales store displays and sells mobile electronics and peripherals together. Peripheral devices related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vary in type and number of products depending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n new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re released, a new cradle is created to fit the size and product design concept of the targe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신제품 출시와 함께 그 제품의 디지인 컨셉에 맞게 거치대가 새롭게 만들어져도, 판매 매장마다 전시 공간이 상이하고 전시하는 제품의 종류나 수도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제작된 휴대전자기기와 그 주변기기의 거치대는 판매 매장의 전시 환경에 따라서는 일률적으로 제작된 거치대로는 전시가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매장을 찾는 주 수요층에 따라 주력 판매 제품이 다를 수 있어서 주력 판매 제품의 높은 노출을 위해 전시를 형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매장별 기획 판촉을 위해 제품의 전시를 새롭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의 거치대는 일정한 크기와 디자인으로 제조되어 각 매장의 환경이나 요구에 따라 휴대전자기기와 주변기기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Even when a new cradle is created to meet the design concept of the product with the launch of a new product, the display space is different for each store and the type or number of products displaye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xhibition environment, the exhibition may not be possible with uniformly manufactured cradles. In addition, the main selling product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in demand for the store, so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form of the exhibition for high exposure of the main selling products, and there is a need to renew the display of products for planning promotion by store. 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holders are manufactured in a certain size and design,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r needs of each store.

새로 출시되는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마다 새롭게 전시대를 제작하는 것은 제조 단가나 판매 단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의 전시대는 다른 용도로의 전용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차세대 제품의 출시와 함께 폐기처분 해야 하므로 폐기 비용이 발생하고 폐기 과정 중에 환경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Producing a new display stand for each newly launch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s peripheral devices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r the selling cost.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stand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re almost impossible to be used for other purposes, they must be disposed of with the release of next-generation products, which incurs disposal costs and may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during the disposal process.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자기기와 다양한 종류의 그 주변기기를 제품 컨셉 또는 매장 분위기에 따라 배치를 변경하여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를 전시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that can displa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various types of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the product concept or store atmospher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는,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에서, 상하로 층층이 쌓이거나 좌우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을 덮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크래들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또는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를 덮을 수 있다.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ar cradle for peripheral devices for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main base unit is stacked up and down o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A cover member covering the main base unit; And a cradle memb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and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provided, it may cover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on top of the main base unit or the stacked main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 측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수용되는 안착부; 상기 일 측에 대향하여 외부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 및 상기 일 측에 상기 타측을 향하여 관통하는 개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ase unit comprises: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A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facing the one side; And an opening penetrating the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Including, the seat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may be stacked with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by accommodating protrusions of other main base units.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서로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ase uni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ding portion of another main base unit to the main When a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stacked, the first fastening part of the main base uni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stacked on each other. The unit can be fix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는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을 갖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have an uneven shape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or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커버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크래들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includes a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cradle member is one side facing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t includes a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or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can be fixed to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on the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이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or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may be a concave-convex shap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r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이 서로 인접하여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는 경우,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main base unit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djacent to each other,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of each of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to fix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is further provided. It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하나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다른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와 결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the body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toward the protrus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of one of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the other main base of the other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t can be combined with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면적과 동일하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보다 높이가 작은 서브 베이스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ub-base unit that is the same as the upper area of the main base unit but has a smaller height than the main base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서, 상기 서브 베이스 유닛은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안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base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seated.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 상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제품 사양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 specifica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displayed on the cover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는,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에서,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을 덮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크래들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또는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를 덮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includes: a main base unit stacked up and down or disposed to the left or right in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that mount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cover member covering the main base unit; And a cradle memb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and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provided, it may cover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on top of the main base unit or the stacked main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수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형성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측과 상기 일 측에 대향하는 타측을 관통하는 개구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ase unit,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receiving portion is received; And an opening penetrating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o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It may include.

본 발명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상하로 위치하는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main base units are stacked, a fixing member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of each of the main base units positioned up and down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서로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을 고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ase uni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by being disposed on the seat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is one side facing the sea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It includes a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ing portion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to fix the main base units stack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 각각은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을 갖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ing part has an uneven shape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or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커버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되는 크래들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includes a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cradle member is one side facing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t includes a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or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can be fixed to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on the bas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을 갖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fastening part or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art has an uneven shap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or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측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본 발명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이 서로 인접하여 동일 평면 상에 배열되는 경우,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main base unit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djacent to each other, a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of each of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to fix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It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여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하나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베이스 유닛 체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다른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toward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base unit fasten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of one of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the other main base of the other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t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면적과 동일하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보다 높이가 작은 서브 베이스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ub-base unit that is the same as the upper area of the main base unit but has a smaller height than the main base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서, 상기 서브 베이스 유닛은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안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base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seated.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 상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제품 사양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 specifica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displayed on the cover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휴대전자기기 및 다양한 종류의 그 주변기기를 제품 컨셉이나 매장 환경에 따라 배치를 달리하여 전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various modul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various types of peripheral devices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arrangements according to a product concept or a stor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메인 베이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메인 베이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커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커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7a는 크래들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크래들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의 메인 베이스 유닛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의 메인 베이스 유닛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shown in FIG. 1.
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base unit.
3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base unit.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ain base unit.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main base unit.
6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member.
6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ver member.
7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adle member.
7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adle member.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ng member.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ase unit and a fixing member of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ase unit and a fixing member of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the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have,"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part in the middle.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a film, a region, a plate, etc. is formed on another part, the formed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upper direction, and includes a side or lower direction. . Conversely,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said to be “under” another por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underneath” another portion, but also another portion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shown in FIG. to b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커버 부재(120), 크래들 부재(130), 연결부재(140), 및 서브 베이스 유닛(150)을 구비할 수 있다. 1 and 2, the modular cradle 1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ase unit 110, a cover member 120, a cradle member 130, and a connecting member 140, and a sub-base unit 150.

메인 베이스 유닛(110, 110', 110")은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고, 그 위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는 쌓아 올리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100', 100")의 개수를 조절하여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놓이는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거치대 전체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대해 평면상으로 상하좌우 측면에 인접하여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전시 면적을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는 복수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을 수직 또는/및 수평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시대의 최종 높이나 전시 넓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The main base units 110, 110 ', and 110 "may be stacked up or down or disposed left and right. That is, another main base unit is stacked on one main base unit 110", and another main base unit is disposed thereon. This can be stacked. The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 i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main base unit 110 "is plac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stacked main base units 110, 100 ', 100" The overall height of the cradle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may be changed by arranging other main base units adjacent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in a plane with respect to one main base unit 110. As described above, the modular cradle 1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final height or exhibition width of a plurality of main base units 110 by vertically and / or horizontally arranged. have.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전자기기는 그에 딸린 여러 주변기기가 있을 수 있다. 주변기기에는 휴대전자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기기, 유무선 충전기, 케이스, 및 카메라키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휴대전자기기와 그의 주변기기를 함께 전시할 때 메인 베이스 유닛(110, 110', 110")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전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자기기는 다른 주변기기와는 달리 주된 판매 대상 제품이므로 고객의 시선이 집중되도록 메인 베이스 유닛(110)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고 그 위에 휴대전자기기를 전시함으로써 제품 노출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may have several peripheral devices attached to it. There are various types of peripheral devices, such a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 watches that work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red and wireless chargers, cases, and camera kits.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s peripheral devices are displayed together, the main base units 110, 110 'and 110 "can be horizontally arranged to secure the exhibition area. In addition, unlike other peripheral device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the main selling target Since it is a product, the main base unit 110 is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 customer's eyes are focused,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displayed thereon to increase product exposure,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effect.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일예로서 외형상 육면체일 수 있다. 육면체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수직 적층이나 수평 배열이 용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육면체 형상뿐만 아니라 다면체, 원통형 등 수직 적층과 수평 배열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for example, an external hexahedron. The hexahedral main base unit 110 is easy to vertically stack or horizontal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apable of vertical stacking and horizontal arrangement, such as a polyhedron, a cylinder, as well as the hexahedral shapes shown in FIGS.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도 1 및 2와 같이 육면체인 경우 그 높이(z)가 그 밑면의 가로 변(x) 또는 세로 변(y)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육면체의 높이가 육면체의 밑면의 가로 변 또는 세로 변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육면체를 수직으로 적층할 때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육면체의 높이, 가로 변, 및 세로 변의 길이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main base unit 110 is a hexahedron as shown in Figs. 1 and 2, its height z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x or vertical side y of the base. When the height of the hexahedron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lateral or vertical sides of the base of the hexahedron,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ncreased when the hexahedron is vertically stack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height of the hexahedron, the horizontal side,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side may be variously made.

상단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는 커버 부재(120) 또는 크래들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 cover member 120 or a cradle memb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ase unit 110 located at the top.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a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base unit shown in FIGS. 1 and 2, and FIG. 3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base unit shown in FIGS. 1 and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안착부(111), 돌출부(112), 및 개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3A and 3B, the main base unit 11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11, a protrusion 112, and an opening 113.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측에는 안착부(11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측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는 측면이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타측은 그 일 측에 대향하는 측면이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측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이고,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타측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면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2 can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a side where other main base units 110 are stacked,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a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안착부(111)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내부로 단차(111a)가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12)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면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되며, 이로써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111 may be formed by forming a step 111a inside the main base unit 11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protruding port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may be formed to mesh with each other.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112 of one main base unit 11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whereby the one main base unit 110 on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 May be stacked.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육면체인 경우, 돌출부(112)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면의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112)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의 모서리부분에 수용됨으로써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When the main base unit 110 is a hexahedron, the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protruding portion 112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so that the main base units 110 can be stably stacked.

안착부(111)에는 제1 체결부(114a)가 형성되고, 돌출부(112)에는 제2 체결부(114b)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과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메인 메이스 유닛의 제1 체결부(114a)는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를 향하도록 안착부(111) 상에 형성되며,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제2 체결부(114b)는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를 향하도록 돌출부(1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의 제2 체결부(114b)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는 경우에 이들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서로 적층되는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과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에 형성된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A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112. When on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stacke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of the one main mace unit faces the seating portion 111 so as to face the protrusion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may be formed on the protrusion 112 to face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one main base unit 110. hav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of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f the protrusion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one main base unit 110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are stacked, they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The main fastening unit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unit 114b formed on each of the main base units and the other main base units stacked on each other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stably fixed. Can be.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는 일예로서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12)가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경우 돌출부(112)의 제2 체결부(114b)와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는 서로 접하게 되고,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의 자기력에 의해 적층되는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4b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That is,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4b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hen the protruding portion 112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of the seating portion 11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 One main base unit 110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stack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fixed to each other.

제1 체결부(114a)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매립될 수 있다. 안착부(111)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을 향하도록 오목형 단차(111a)가 형성됨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단차(111a)에 수직한 안착면(111b)을 가질 수 있다. 안착면(111b)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면을 향하는 그루브(11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면(111b) 상에 형성된 그루브(115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embedded in the main base unit 110. Since the seating portion 111 is formed as the concave step 111a is formed to face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it may have a seating surface 111b perpendicular to the step 111a. A groove 115a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111b,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located in the groove 115a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111b. You can.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에 매립될 수 있다. 돌출부(112)는 그 표면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측을 향하는 그루브(115b)를 가질 수 있다.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의 그루브(115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embedded in the protruding portion 112. The protrusion 112 may have a groove 115b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at its surfac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15b of the protrusion 112.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는 서로 대응되도록 안착부(111)와 돌출부(112)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면(111b) 상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112)가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면(111b) 상의 제1 체결부(114a)와 돌출부(112) 상의 제2 체결부(114b)는 자기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맞붙게 되며, 적층된 메인 베이스 유닛들은 자기력에 의해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4b may be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11 and the protrusion 112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main base unit is stacked, the protruding portion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may contact the seating surface 111b of one main base unit. In this case,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on the seating surface 111b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4b on the protruding part 112 are attracted by each other by an attractive force, and the stacked main base units are fixed by the magnetic force. This can be strengthened.

제1 체결부(114a)의 노출면과 안착면(111b)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제2 체결부(114b)의 노출면이 돌출부(112)의 외측면(112a)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111)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112)가 수용되면,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과 돌출부(112)의 외측면(112a)이 접하고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 역시 접하게 된다. The exposed surface and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form the same plane,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112a of the protrusion 112. . In this case, when the protruding portion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one main base unit,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and the outer surface 112a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 are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4b.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체결부(114a)와 제2 체결부(114b)는 서로 요철 형성으로 맞물릴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114a)가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대해 높게 배치되면,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의 외측면(112a)에 대해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면(111b)에 대해 볼록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114b)는 외측면(112a)에 대해 오목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체결부(114a)가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대해 낮게 배치되면,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의 외측면(112a)에 대해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면(111b)에 대해 오목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114b)는 외측면(112a)에 대해 볼록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forming irregularities. That is, wh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is disposed high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disposed low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112a of the protrusion 112. have. That i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is convex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111b, and correspondingly,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can be concave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112a. Conversely, wh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is disposed low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disposed high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112a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 hav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is concav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111b, and correspondingly,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can be convex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112a.

개구부(113)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측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타측을 향하여 관통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거나 한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놓인 경우 개구부(113)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3)에 의한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리코일러와 같은 휴대전자기기 잠금장치나 도난 방지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적층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 상에는 커버 부재(120)나 크래들 부재(130)가 안착될 수 있다. 크래들 부재(130)가 안착되는 경우, 개구부(113)와 크래들 부재(1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잠금장치가 배치되어 크래들 부재(130)에 놓이는 휴대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The opening 113 may penetrate from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When the main base unit 110 is stacked or when one main base unit 110 is placed,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y the opening 113. In the space formed by the opening 113, a lock or a theft prevention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recoiler may be disposed. The cover member 120 or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positioned on the top layer among the stacked main base units 110. When the cradle member 130 is seated, a locking device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opening 113 and the cradle member 130 to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laced on the cradle member 130.

개구부(113)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내부의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는 커버 부재(120)나 크래들 부재(130)가 안착될 수 있다. 특히 커버 부재(120)는 상부면이 돌출부 없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면이 평평한 커버 부재(120)가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경우 커버 부재(120)의 상부면과 안착부(111)의 단차(111a)의 상부면이 굴곡 없이 마감되는바, 커버 부재(120)를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서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개구부(113)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므로 개구부(113)를 통해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120)를 밀어냄으로써 용이하게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커버 부재(120)를 분리할 수 있다.The opening 113 may not only provide a space inside the main base unit 110 but also facilitate separation between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 cover member 120 or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In particular, the cover member 120 may be formed flat without an upper surface. When the cover member 120 having a flat upper surface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111a of the seating portion 111 are closed without bending, the cover member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120 from the main base unit 110. Since the opening 113 penetrat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main base unit 110 is easily moved by pushing the cover member 120 disposed on the main base unit 110 through the opening 113 And the cover member 120 can be separated.

도 4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크기에서 도 3a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보다 2배 클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육면체로서, 높이(z)는 가로 변(x)과 세로 변(y)에 비해 작고,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4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높이(z')는 가로 변(x')과 세로 변(y')에 비해 작다는 점에서 도 3a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동일하나, 가로 변(x')의 길이가 세로 변(y')의 길이가 더 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3a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그 밑면이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이나, 도 4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그 밑면이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상이한 직사각형일 수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ain base unit 110 '. Referring to FIG. 4, the main base unit 110 ′ may be twice as large as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 3A in size.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ure 3a is a hexahedron, the height (z)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side (x) and the vertical side (y),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x) and the vertical side (y) is the same can do. In contrast,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 4 has a height z' small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side x 'and the vertical side y', and thus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3A. The same, but differs in tha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x ') is larger than that of the vertical side (y'). That is,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3A has a square whose bottom side has the same length of a horizontal side (x) and a vertical side (y), but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4 has a horizontal side (x ')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side (y') may be different rectangles.

일예로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높이(z') 및 세로 변(y')의 길이를 도 3a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높이(z) 및 세로 변(y)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그 가로 변(x')의 길이를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가로 변(x)의 길이의 2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높이는 동일하나 밑면의 넓이가 두 배가 되어, 메인 베이스 유닛(110) 두 개를 수평으로 배치한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ength of the height z 'and the vertical side y' of the main base unit 110 'are the same as the height z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side y of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3A. It is possible to make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x ') twice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x) of the main base unit (110). In this case, the main base unit 110 'has the same height as the main base unit 110, but the area of the bottom is doubled, and may be the same as the size in which two main base units 110 are horizontally arranged.

다른 예로서, 메인 베이스 유닛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높이와 세로 변의 길이는 동일하나 가로 변의 길이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가로 변의 길이에 3배 이상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height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side are the same, bu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may be three or more times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of the main base unit 110.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그 내부에 격벽(117')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17')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내부를 구분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격벽(117')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개구부(113')와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에 대향하여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도 3의 110)의 돌출부(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는 메인 베이스 유닛(도 3의 110)의 안착부(111)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에는 제1 체결부(114a')가 배치되며, 돌출부(112')에는 제2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부(111') 상에 형성된 그루브(115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는 돌출부 상에 형성된 그루브(미도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base unit 11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117' therein. The partition wall 117 'may divide the interior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main base unit 110 'may have openings 113' and seating portions 1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117'. The protrusion 112 ′ may be formed to face the seating portion 111 ′. The seating portion 111 ′ of one main base unit 110 ′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110 of FIG. 3), and the protrusion 112 ′ of the main base unit 110 ′. )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3). A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is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112 '.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located in the groove 115a'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protrusion.

따라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가 수용되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의 제2 체결부(114b)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는 것은 물론이다.Therefore, the protruding port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 114a ') may be stacked with the main base unit 110 on the main base unit 110' by fasten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114b of the protrusions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to each oth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ther main base units 110 'are stacked on the main base unit 110'.

도 5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크기에서 도 3a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보다 4배 클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육면체로서, 높이(z)는 가로 변(x)과 세로 변(y)에 비해 작고,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5에 도시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높이(z")는 가로 변(x")과 세로 변(y")에 비해 작다는 점 그리고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가 같다는 점에서 도 3a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동일하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 각각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가로 변(x)과 세로 변(y)의 길이의 2배일 수 있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main base unit 110 ". Referring to Fig. 5, the main base unit 110" is 4 in size than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 3A. It can be big.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ure 3a is a hexahedron, the height (z)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side (x) and the vertical side (y),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x) and the vertical side (y) is the same can do. On the other hand, the main base unit 110 'shown in FIG. 5 has a height (z ") small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side (x") and the vertical side (y "), and the horizontal side (x") and the vertical side ( The length of y ") is the same as that of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3A, but each of the lengths of the horizontal side (x") and the vertical side (y ")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the main base unit. It may be twice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x) and the vertical side (y) of (110).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그 내부에 격벽(117")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17")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내부를 구분할 수 있다. 2개의 격벽(117")이 메인 베이스 유닛(110") 내에서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격벽(117")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개구부(113")와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에 대향하여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대응되도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11")에는 제1 체결부(114a")가 배치되며, 돌출부(112")에는 제2 체결부(114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14a")는 안착부(111") 상에 형성된 그루브(115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는 돌출부 상에 형성된 그루브(미도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base unit 11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117" therein. The partition 117 "may divide the interior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two partition walls 117 "may be formed to cross each other vertically within the main base unit 110". The main base unit 110 "may have openings 113" and seating portions 1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117". A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opposite the seating portion 111".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protrus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the main base unit ( Even if it corresponds to the seating portion 111 of 110) it may be formed. 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disposed on the protruding portion 112".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may be located in the groove 115a"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protrusion.

따라서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가 수용되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돌출부(112)의 제2 체결부(114b)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 또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적층되는 것은 물론이다.Therefore, the protruding portion 112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 114a "),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f the protrusion 112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is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stacked on the main base unit 110". Of course, other main base units 110 "or main base units 110 'are stacked on the main base unit 110".

커버 부재(120) 및 크래들 부재(130)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수직으로 적층되거나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개구부(113)에 의해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바 필요한 수만큼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을 적층하고 배열한 후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를 매울 필요가 있으며, 커버 부재(120) 및 크래들 부재(130)는 최상층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 상에 배치되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개방된 상부를 매울 수 있다. The cover member 120 and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ase unit 110.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vertically stacked or horizontally disposed. The main base unit 110 is opened on the upper side by the opening 113, so as to stack and arrange as many main base units 110 as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fill the top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cover The member 120 and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most main base unit 110 to fill the open top of the main base unit 110.

도 6a 및 6b는 커버 부재(12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a 및 7b는 크래들 부재(13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는 커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커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7a는 크래들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b는 크래들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cover member 120, and FIGS.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cradle member 130. Specifically,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ver member, and FIG. 6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ver member. 7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adle member, and FIG. 7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adle member.

도 6 a 내지 7b를 참조하면, 커버 부재(120)의 하부면(122)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을 향하며 그에 대향하는 상부면(121)은 평활면일 수 있다. 평활면인 상부면(121) 상에는 거치되는 휴대전자기기의 사양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20) 상에는 여러 종류의 주변기기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무선 충전기, 휴대전자기기의 케이스, 카메라키트, 웨어러블기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20)에는 제품을 소개하는 사이니지(Signage)가 배치될 수 있다.6A to 7B,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cover member 120 faces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upper surface 121 opposite thereto may be a smooth surface. The specifica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smooth surface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121.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peripheral devices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120.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charger, a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camera kit, and a wearable device may be disposed. Also, a signage for introducing a product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120.

커버 부재(120)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부재(120)의 하부면(122)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을 향하여 수용되며, 상기 하부면(122)이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접할 수 있다. The cover member 1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cover member 120 is accommodated toward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lower surface 122 can contact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have.

커버 부재(120)는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에 대응하여 그 하부면(122)에 형성된 그루브(124) 내에 커버 부재 체결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120)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경우 커버 부재(120)의 하부면(122)은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닿으며 커버 부재 체결부(123)는 제1 체결부(114a)와 체결되어 커버 부재(120)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member fastening part 123 in a groove 124 formed in the lower surface 122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of the seating part 111. When the cover member 12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cover member 120 contacts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and the cover member The fastening part 123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so that the cover member 120 can be fixed to the main base unit 110.

커버 부재 체결부(123)는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부재 체결부(123)와 제1 체결부(114a)는 자기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맞붙게 되며, 커버 부재(120)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자기력에 의해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123 may have magnetism.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123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4a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attractive force by a magnetic force, and the fixing force of the cover member 120 and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enhanced by the magnetic force.

크래들 부재(130)의 하부면(132)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를 향하며, 그에 대향하는 상부면(131) 상에는 휴대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홀더부(134)를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132 of the cradle member 130 faces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holder portion 134 on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131 opposite to it. Can be formed.

크래들 부재(130)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될 수 있다. 크래들 부재(130)의 하부면(132)이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을 향하여 수용되며, 상기 하부면(132)이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접할 수 있다. The cradle member 1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lower surface 132 of the cradle member 130 is accommodated toward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the lower surface 132 can contact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have.

크래들 부재(130)는 안착부(111)의 제1 체결부(114a)에 대응하여 그 하부면(132)에 형성된 그루브(134) 내에 크래들 부재 체결부(133)가 배치될 수 있다. 크래들 부재(130)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수용되는 경우 크래들 부재(130)의 하부면(132)은 안착부(111)의 안착면(111b)에 닿으며 크래들 부재 체결부(133)는 제1 체결부(114a)와 체결되어 크래들 부재(130)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cradle member 130 may be provided with a cradle member fastening part 133 in the groove 13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32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of the seating part 111. When the cradle member 13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ase unit 110, the lower surface 132 of the cradle member 130 contacts the seating surface 111b of the seating portion 111 and the cradle member The fastening part 133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so that the cradle member 130 can be fixed to the main base unit 110.

크래들 부재 체결부(133)는 자성을 가질 수 있다. 크래들 부재 체결부(133)와 제1 체결부(114a)는 자기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맞붙게 되며, 크래들 부재(130)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은 자기력에 의해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133 may have magnetism.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art 133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114a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attractive force by a magnetic force, and the cradle member 130 and the main base unit 110 may be strengthened by a magnetic force.

연결부재(140)는 서로 인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을 연결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측면을 접하며 배치되는 경우 연결부재(140)는 서로 인접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 각각의 안착부(111)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110)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140 may connect the main base units 110 horizontally adjacent to each other. When at least two main base units 110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the connecting member 140 is disposed on the seat 111 of each of the main base units 110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main base unit (110) can be fixed.

도 8은 연결부재(140)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40)는 몸체부(141), 제1 연결부(142), 및 제2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onnection member 14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41, a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몸체부(141)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41)는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The body portion 141 may have a sheet shape.

몸체부(141)의 상부면 상에는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몸체부(141)의 상부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41)의 일면에는 그루브(141a, 141b)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루브(141a, 141b) 내에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가 배치될 수 있다.A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41.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41. Grooves 141a and 141b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4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s 141a and 141b.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서로 인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제2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가 서로 인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 연결부재(140)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연결부(142)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제2 체결부(114b)에 대응되도록 몸체부(14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연결부(143)는 상기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에 인접한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제2 체결부(114b)에 대응되도록 몸체부(14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서로 인접한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제2 체결부(114b)와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each of the main base units disposed horizontally adjacent to each other. In detail, when the two main base units 110 are horizontal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140 is disposed between the two main base units,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2 is the two main base units One of the main base unit 11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41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43 is adjacent to the one main base unit 110 It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41 to correspon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f the other main base unit (11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engaged with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of each of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2 체결부(114b)와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with a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de of a magnetic material.

자성체인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몸체부(141)에 형성된 그루브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41)의 상부면과 제1 연결부(142) 및 제2 연결부(143)의 상부 노출면은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which are magnetic,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41.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41 and the upper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placed on the same plane.

다른 예로서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제2 체결부(114b)의 형상에 따라 요철 형상일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114b)는 돌출부(112)에 대해 볼록 또는 오목일 수 있다.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제2 체결부(114b)와 체결하기 위해 제2 체결부(114b)가 볼록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몸체부(141)의 상부면에 대해 오목하게 들어갈 수 있으며, 제2 체결부(114b)가 오목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제1 연결부(142)와 제2 연결부(143)는 몸체부(141)의 상부면에 대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may have an uneven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That is,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may be convex or concave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112.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b is convex for fastening wit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4b) 143) may be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41, and i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4b is concav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43 are body portions ( 141) may be convex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는 서브 베이스 유닛(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서브 베이스 유닛(150)은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 밑면의 크기는 동일하나, 그 높이가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높이보다 작으며, 개구부를 가지지 않는다. The modular cradle 1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may further include a sub-base unit 150. The sub-base unit 150 has the same size as the main base unit 110 and a bottom surface, but its height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ase unit 110 and has no opening.

서브 베이스 유닛(150)은 그 상부측에 수용부(151)를 가질 수 있다. 수용부(151)는 커버 부재(120)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151)는 커버 부재(120)의 커버 부재 체결부(123)에 대응하여 수용부 체결부(152)를 가질 수 있다. 커버 부재(120)가 수용부(151)에 안착되는 경우 커버 부재 체결부(123)와 수용부 체결부(152)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수용부 체결부(152)는 자성체일 수 있으며, 자기력에 의해 커버 부재 체결부(123)와 자기력에 의해 서로 맞불을 수 있다. The sub-base unit 150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151 on its upper side. The cover portion 1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51. The receiving portion 151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fastening portion 152 corresponding to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123 of the cover member 120. When the cover member 120 is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51,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123 and the receiving portion fastening portion 152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The receiving portion fastening portion 152 may be a magnetic body, and may be engaged with the cover member fastening portion 123 by a magnetic force and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의 메인 베이스 유닛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ase unit and a fixing member of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는 고정부재(260)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와 차이가 있다. 도 1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는 하나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의 안착부(111)에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112)가 수용되어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이 수직으로 적층되나, 도 9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들 사이에 고정부재(260)에 의해 메인 베이스 유닛들이 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modular cradle 200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mber 260, so that the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of FIG. 1 There is a difference from (100). The modular cradle 1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of FIG. 1 includes two main base units 110 in which protrusions 112 of other main base units ar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one main base unit 110. ) Is stacked vertically, but the modular base 2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of FIG. 9 is that the main base units are fixed by a fixing member 260 between the main base units 210 vertically stacked. There is a difference.

이하에서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와 도 1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1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dular cradle 2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nd the modular cradle 1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of FIG. 1 will be mainly described.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의 메인 베이스 유닛(210)은 도 1의 메인 베이스 유닛(110)과는 달리 상부면과 하부면에 모두 안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상부면에서는 하부면을 향하여 단차(2111a)가 형성되어 상부 안착부(211a)를 이루며, 그 하부면에서는 상부면을 향하여 단차(2111a)가 형성되어 하부 안착부(211b)를 이룰 수 있다.Unlike the main base unit 110 of FIG. 1, the main base unit 210 of the modular cradle 2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may have seating portions 211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210, a step 2111a is formed toward the lower surface to form an upper seating portion 211a, and on the lower surface, a step 2111a is formed toward the upper surface to form a lower seating portion 211b ).

상부 안착부(211a)는 단차(2111a)에 수직한 상부 안착면(2112a)를 가지며, 하부 안착부(211b)는 단차(2111b)에 수직한 하부 안착면(2112b)를 가질 수 있다. The upper seating portion 211a may have an upper seating surface 2112a perpendicular to the step 2111a, and the lower seating portion 211b may have a lower seating surface 2112b perpendicular to the step 2111b.

상부 안착면(2112a)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하부면을 향하는 그루브(2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부(214a)는 상부 안착면(2112a) 상에 형성된 그루브(11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A groove 215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eating surface 2112a,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214a may be formed in the groove 115 formed on the upper seating surface 2112a. Can be located.

하부 안착면(2112b)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상부면을 향하는 그루브(2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214b)는 하부 안착면(2112b) 상에 형성된 그루브(21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A groove 215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2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eating surface 2112b,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14b may be formed in the groove 215 formed on the lower seating surface 2112b. Can be located.

고정부재(260)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210)들의 안착부(211a, 211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210)들 사이에서 고정부재(260)는 그 상부면(261a)이 위쪽에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하부 안착부(2112b)의 하부 안착면(2112b)에 접하게 되며, 그 하부면(261b)이 아래쪽에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안착부(2112a)의 상부 안착면(2112a)에 접하게 된다. The fixing member 260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seating portions 211a and 211b of the two main base units 210 vertically stacked. That is, the fixing member 260 between the two main base units 2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eating surface 2112b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2112b of the main base unit whose upper surface 261a is disposed above, The lower surface 261b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eating surface 2112a of the upper seating portion 2112a of the main base unit disposed below.

고정부재(260)의 상부면(261a)과 하부면(261b) 각각에는 고정부재 체결부(264a, 264b)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 체결부(264a)는 고정부재(260)의 상부면(261a) 상에서 하부면(261b)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그루브(265)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 체결부(264b)는 고정부재(260)의 하부면(261b) 상에서 상부면(261a)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서오디는 그루브(265)에 배치될 수 있다.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s 264a and 264b may be disposed on each of the upper surface 261a and the lower surface 261b of the fixing member 260.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 264a may be disposed on the groove 265 that is concavely formed toward the lower surface 261b on the upper surface 261a of the fixing member 260, and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 264b is fixed On the lower surface 261b of the member 260, the concave shape audio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265 toward the upper surface 261a.

고정부재(260)가 수직으로 적층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들 사이의 하부 안착부(2112b)와 상부 안착부(211a)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재 체결부(264a)는 위쪽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하부 안착부(2112b)의 제2 체결부(214b)와 체결되며, 고정부재 체결부(264b)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210)의 상부 안착부(211a)의 제1 체결부(214a)와 체결될 수 있다. When the fixing member 26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eating portion 2112b and the upper seating portion 211a between the main base units 210 that are vertically stacked,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 264a is the main located above The second fastening part 214b of the lower seating part 2112b of the base unit 210 is fastened,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ing part 264b of the upper seating part 211a of the main base unit 210 located below. It can be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214a).

고정부재 체결부(264a, 264b)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 체결부(264a, 264b)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1 체결부(214a) 및 제2 체결부(214b)와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arts 264a and 264b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ccordingly,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arts 264a and 264b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214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14b made of a magnetic material.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의 메인 베이스 유닛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ase unit and a fixing member of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300)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과 고정부재(360)의 체결방식에 있어서 도 9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와 차이가 있다. 도 9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는 자기력에 의해 메인 베이스 유닛(210)과 고정부재(260)가 체결되어 고정되나, 도 10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300)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과 고정부재(360)가 요철 형태로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modular cradle 300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FIG. 9 in the fastening method of the main base unit 310 and the fixing member 360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modular cradle 200 for devices and peripherals. The modular cradle 2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of FIG. 9 is fixed by fastening the main base unit 210 and the fixing member 260 by magnetic force, but the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of FIG. 10 ( 300) is different in that the main base unit 310 and the fixing member 360 are fixed by being fastened to each other in an uneven shape.

이하에서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300)와 도 9의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2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dular cradle 3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and the modular cradle 2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of FIG. 9 will be mainly described.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300)의 메인 베이스 유닛(310)은 도 9의 메인 베이스 유닛(210)과 같이 상부면과 하부면에 모두 안착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상부면에서는 하부면을 향하여 단차(3111a)가 형성되어 상부 안착부(311a)를 이루며, 그 하부면에서는 상부면을 향하여 단차(3111a)가 형성되어 하부 안착부(311b)를 이룰 수 있다.The main base unit 310 of the modular cradle 300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may be provided with seating portions 311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ase unit 210 of FIG. 9.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310, a step 3111a is formed toward the lower surface to form an upper seating portion 311a, and on the lower surface, a step 3111a is formed toward the upper surface to form a lower seating portion 311b ).

상부 안착부(311a)는 단차(3111a)에 수직한 상부 안착면(3112a)를 가지며, 하부 안착부(311b)는 단차(3111b)에 수직한 하부 안착면(3112b)를 가질 수 있다. The upper seating portion 311a may have an upper seating surface 3112a perpendicular to the step 3111a, and the lower seating portion 311b may have a lower seating surface 3112b perpendicular to the step 3111b.

상부 안착면(3112a)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하부면을 향하는 그루브(315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안착면(3112b)에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상부면을 향하는 그루브(315b)가 형성될 수 있다. A groove 315a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3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eating surface 3112a. A groove 315b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unit 3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eating surface 3112b.

고정부재(360)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310)들의 안착부(311a, 311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310)들 사이에서 고정부재(360)는 그 상부면(361a)이 위쪽에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하부 안착부(311b)의 하부 안착면(3112b)에 접하게 되며, 그 하부면(361b)이 아래쪽에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안착부(311a)의 상부 안착면(3112a)에 접하게 된다. The fixing member 360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seating portions 311a and 311b of the two main base units 310 vertically stacked. That is, the fixing member 360 between the two main base units 31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eating surface 3112b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311b of the main base unit whose upper surface 361a is disposed above, The lower surface 361b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eating surface 3112a of the upper seating portion 311a of the main base unit disposed below.

고정부재(360)의 상부면(361a)과 하부면(361b) 각각에는 고정부재 체결부(364a, 364b)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 체결부(364a)는 고정부재(360)의 상부면(361a) 상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310)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부재 체결부(364b)는 고정부재(360)의 하부면(361b) 상에서 메인 베이스 유닛(310)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s 364a and 364b may be disposed on each of the upper surface 361a and the lower surface 361b of the fixing member 360. The fastening member fastening part 364a may have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main base unit 310 on the upper surface 361a of the fastening member 360,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ing part 364b of the fastening member 360 It may have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main base unit 310 on the lower surface 361b.

고정부재(360)가 수직으로 적층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들 사이의 하부 안착부(311b)와 상부 안착부(311a)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재 체결부(364a)는 위쪽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하부 안착부(311b)의 그루브(315b)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고정부재 체결부(364b)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상부 안착부(311a)의 그루브(315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When the fixing member 36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eating portion 311b and the upper seating portion 311a between the main base units 310 vertically stacked,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 364a is a main positioned above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15b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311b of the base unit 310 and fastened, and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 364b is grooved in the upper seating portion 311a of the main base unit 310 located below. It can be inserted into the (315a) and fastened.

고정부재 체결부(364a, 364b)의 측면에는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는 요철부(3641a, 364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메인 베이스 유닛(310)의 그루브(315a, 315b)의 내측면에도 그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는 요철부(3151a, 3151b)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 체결부(364a, 364b)가 그루브(315a, 315b)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 이들의 요철부 또한 맞물리면서 메인 베이스 유닛(310)와 고정부재(360) 사이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arts 364a, 364b, uneven parts 3641a, 3641b facing toward the outside or inside may be formed, and correspondingly,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grooves 315a, 315b of the main base unit 310. The uneven portions 3151a and 3151b facing the outside or the inside may be formed. When the fixing member fastening portions 364a and 364b are inserted and fastened with grooves 315a and 315b, the uneven portions may also be engaged while increasing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main base unit 310 and the fixing member 3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 공간이 협소할 경우 최소한의 메인 베이스 유닛과 크래들 부재(또는 커버 부재)를 이용하여 전시하고 전시 공간이 넓은 경우 복수 개의 메인 베이스 유닛과 커버 부재 및 크래들 부재를 이용하여 전시함으로써 다양한 매장 환경에 따른 전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hibition space is narrow, a minimum main base unit and a cradle member (or cover member) are exhibited, and when the exhibition space is wide, a plurality of main base units, a cover member, and a cradle member are displayed. By using it, you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exhibition according to various store environments.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주요 제품의 경우 메인 베이스 유닛을 높게 쌓아 올려 그 주변기기에 비해 돋보이도록 거치대를 구성하여 제품 중요도에 따른 차별화된 전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ajor products such as smartphones, the main base unit is stacked high to form a stand so that it stands out from its peripherals, so it is possible to displa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

아울러 여러 메인 베이스 유닛, 커버 부재, 크래들 부재, 서브 베이스 유닛을 자유롭게 구성하여 개성 넘치는 전시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main base units, cover members, cradle members, and sub-base units can be freely configured to realize an exhibition full of personalit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depart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110: 메인 베이스 유닛
120: 커버 부재
130: 크래들 부재
140: 연결부재
150: 서브 베이스 유닛
100: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s
110: main base unit
120: cover member
130: no cradle
140: connecting member
150: sub base unit

Claims (11)

휴대전자기기 및 그 주변기기를 거치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에 있어서,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로 배치되는 메인 베이스 유닛;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을 덮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는 크래들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또는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를 덮으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수용되는 안착부;
상기 일측에 대향하여 외부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 및
상기 일측에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타측을 향하여 관통하는 개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는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안착부가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돌출부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서로 적층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과 상기 다른 메인 베이스 유닛을 고정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 main base unit stacked up and down or disposed left and right;
A cover member covering the main base unit; And
A cradle memb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and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Covering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on top of the main base unit or on the stacked main base unit,
The main base unit,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ase unit;
A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facing the one side; And
An opening penetrating from the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se unit; It includes,
The main base unit and the main base unit are stacked by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ther main base unit,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The main base uni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formed in the seat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formed in the protruding part,
When the seat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is accommodated in a protrusion of another main base unit and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stacke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and the agent of the other main base unit are stacked. 2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that secures the main base unit and the other main base units, which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stacked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는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modular cradl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커버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 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를 향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크래들 부재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 고정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member includes a cover member fastening part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ea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The cradle member includes a cradle member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toward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The cover member fastening part or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art is fastened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so that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fixed on the base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 체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서로 체결 가능한 요철 형상을 갖거나, 자기력에 의해 서로 체결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5,
The cover member fastening part or the cradle member fastening part has a concave-convex shap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or is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이 서로 인접하여 동일 평면 상에 배열되는 경우,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각각의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Whe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main base unit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djacent to each other, the portable electronics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of each of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to fix the adjacent main base units Modular mount for devices and periphera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대응하여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하나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들 중 다른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기 제2 체결부와 결합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ng member,
Body parts disposed between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toward the protrus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t include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main base unit of one of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other main base unit among the main base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의 상부 면적과 동일하나 상기 메인 베이스 유닛보다 높이가 작은 서브 베이스 유닛을 더 구비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s that further has a sub-base unit that is the same as the upper area of the main base unit, but has a smaller height than the main base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베이스 유닛은 상기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크래들 부재가 안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9,
The sub-base unit is a modular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cover member or the cradle member is s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 상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 또는 상기 주변기기의 제품 사양을 표시하거나 상기 주변기기가 배치되는 휴대전자기기 및 주변기기용 모듈형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modular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on which the product specifica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eripheral devices are displayed or the peripheral devices are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KR1020170181226A 2017-12-27 2017-12-27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KR102091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26A KR102091154B1 (en) 2017-12-27 2017-12-27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26A KR102091154B1 (en) 2017-12-27 2017-12-27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92A KR20190079192A (en) 2019-07-05
KR102091154B1 true KR102091154B1 (en) 2020-03-19

Family

ID=6722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226A KR102091154B1 (en) 2017-12-27 2017-12-27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1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057Y1 (en) * 2021-02-15 2022-02-23 주식회사 썸코리아 Prefabricated monitor supporter
KR102432362B1 (en) 2021-09-03 2022-08-1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디지텍 Connector for mobile phon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148Y1 (en) 2000-12-18 2001-06-01 주식회사한화 Multistage file up case
KR100673577B1 (en)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Mult-function cradle
JP2007037725A (en) * 2005-08-02 2007-02-15 Masahiro Matsubara Multifunctional cube display unit
KR101612065B1 (en) 2014-11-03 2016-04-26 주식회사 이노윅스 Stack type documentary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2837Y2 (en) * 1993-12-16 1998-02-16 株式会社橘 Jewelry display 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148Y1 (en) 2000-12-18 2001-06-01 주식회사한화 Multistage file up case
JP2007037725A (en) * 2005-08-02 2007-02-15 Masahiro Matsubara Multifunctional cube display unit
KR100673577B1 (en)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Mult-function cradle
KR101612065B1 (en) 2014-11-03 2016-04-26 주식회사 이노윅스 Stack type documentary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92A (en)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154B1 (en) Cra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ies
US10842237B2 (en) Electronics stand
US9997932B2 (en) Charge cabinet and storage device thereof
TW201305021A (en) Carrying device and manufacturing and re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3062594B (en) Bearing and the method utilizing bearing support portable terminal
CN102982736A (en) Display device
JP2015090370A (en) Case for portable type information device and case for video image display device
KR101848353B1 (en) Hologram projecting apparatus for smart phone
WO2013166740A1 (en) Mould for plastic products and method for using same, as well as a liquid crystal glass package box
US9910409B2 (en) Exhibition device and video picture exhibition method
CN102972103A (en) Set-top box having rubber feet
US20180003997A1 (en) Exhibition device and video picture exhibition method
TWI485477B (en) Display device
TWI589249B (en) Flat panel electronic device shell
WO2022134695A1 (en) Keyboard protective sleeve
US20210337948A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0823295U (en) Bearing disc assembly and bearing disc stacking assembly
TWI713135B (en) Carrier tray assembly and tray stack using the same
KR102334690B1 (en) Stereoscopic frame
KR101921623B1 (en) Mobile phone case with virture reality function
JP3174922U (e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6060200A (en) Mobile phon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6215689B2 (en) Packing structure
KR102255370B1 (en) A stand for smart device
CN218974845U (en) Tablet personal computer protective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