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959A -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959A
KR20190078959A KR1020170180785A KR20170180785A KR20190078959A KR 20190078959 A KR20190078959 A KR 20190078959A KR 1020170180785 A KR1020170180785 A KR 1020170180785A KR 20170180785 A KR20170180785 A KR 20170180785A KR 20190078959 A KR20190078959 A KR 20190078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liquid crystal
group
substr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127B1 (ko
Inventor
김영진
김지영
박균도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8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1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6Aligning ag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OPTICAL FILM AND POLARIZER PLATE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통 전극과 색 필터 등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기판, 그리고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 셀로 이루어진다.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하여 전계를 형성하고, 그 전계에 의해 액정 셀 내의 액정 분자들의 배열이 변경되어 이를 통해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를 사용하여 화면을 구현하기 때문에 시청각도에 따라 화면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비 변화가 심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에서 발생되는 빛은 시청자의 눈에 도달하기까지 여러 경로를 거치지 때문에, 눈에서 관찰할 수 있는 빛의 양은 백라이트에서 발산되는 빛의 일부로 한정될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백라이트 유닛의 광 이용 효율이 떨어지고, 화면의 휘도가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보상 필름, 위상차 필름 등 다양한 광학 필름들이 적층된 필름 적층체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광학 필름들로 경화 타입의 액정을 이용한 광학 필름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광학 필름의 경우, 액정의 기본 배향을 위한 액정 배향막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대형화 추세로, 효과적인 광시야각에 대한 요구도 커짐에 따라, 효과적인 광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광학 필름의 각종 배향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배향막상에 액정 재료를 도포하고, 액정 재료를 수직 배향하여 배향액정층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의 요구에 따라, 기재의 두께도 얇아지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재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면, 표면의 편평도(flatness)도 낮아지게 되므로, 기재와 배향액정층 사이의 접착력이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재의 두께를 얇게 유지하면서, 기재와 배향액정층 사이의 접착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2008-0102806
본 명세서는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기재;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는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의 기재가 접하는 면의 타면에 구비된 배향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이고, 상기 배향막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인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a1 및 a2는 각각 1 내지 6의 정수이고,
상기 a1 및 a2가 각각 2 이상일 때, 2 이상의 괄호 내의 구조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며,
L1 및 L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이고,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광학 필름은 종래보다 얇은 두께를 제공할 수 있음을 물론, 기재와 배향액정층 사이의 접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통 전극과 색 필터 등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기판, 그리고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 셀로 이루어진다.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하여 전계를 형성하고, 그 전계에 의해 액정 셀 내의 액정 분자들의 배열이 변경되어 이를 통해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광학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판을 설치한 기본 구성을 가지며, 구동회로의 전계 인가 여부에 따라 액정 셀의 배향이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편광판을 통해 나온 투과광의 특성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빛의 가시화가 이루어진다. 이 때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빛의 경로와 복굴절성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액정이 두 개의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이방성 물질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액정 표시 장치는 시야각(viewing angle)에 따라 상이 얼마나 뚜렷하게 보이는지를 가늠하는 척도인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달라지고 계조 반전(gray scale inversion) 현상이 발생하여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지닌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액정 셀에서 발생하는 광학 위상차를 발현시켜 주는 광학 위상차 필름(Compensation Film) 또는 액정 셀에서 발생한 시야각 특성을 광학적으로 보상해주는 시야각 보상 필름(Compensation Film)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선명한 화질 및 넓은 광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액정 모드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Double Domain TN(Twisted Nematic), ASM(axially sy㎜etric aligned microcell), OCB(optically compensated blend), VA(vertical alig㎚ent), MVA(multidomain VA), SE(surrounding electrode), PVA(patterned VA), IPS(in-plane switching), FFS(fringe-field switching) 모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모드는 고유한 액정 배열을 하고 있으며, 고유한 광학 이방성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광학 필름들로 경화 타입의 액정을 이용한 광학 필름들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광학 필름의 경우, 액정의 기본 배향을 위한 배향막이 필요하다. 배향막은 특정 모드에 대하여 구동되는 액정의 기본 배향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액정 셀의 액정 배향을 위해 주로 사용되었다.
또한,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효과적인 광시야각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효과적인 광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광학 필름의 각종 배향방식이 검토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배향막상에 액정 재료를 도포하고, 액정 재료를 수직 배향하여 배향액정층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의 요구에 따라, 기재의 두께도 얇아지는 추세이다. 특히,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필름의 경우, 최근 박형화 추세에 따라, 두께가 종래의 40㎛에서 20㎛로 하향되고 있다. 그러나, 기재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면, 표면의 편평도(flatness)도 낮아지게 되므로, 기재와 배향액정층 사이의 접착력이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재의 두께를 얇게 유지하면서 배향액정층 사이의 접착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광학 필름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되는 배향막을 포함함으로써, 기재와 배향액정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기의 예시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Figure pat00002
는 연결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치환"이라는 용어는 화합물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다른 치환기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치환되는 위치는 수소 원자가 치환되는 위치 즉, 치환기가 치환 가능한 위치라면 한정하지 않으며, 2 이상 치환되는 경우, 2 이상의 치환기는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라는 용어는 중수소; 할로겐기; 니트릴기; 히드록시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및 N, O, S, Se 및 Si 원자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었거나 상기 예시된 치환기 중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또는 어떠한 치환기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할로겐기의 예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 내지 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1-메틸-부틸, 1-에틸-부틸, 펜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헥실,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4-메틸-2-펜틸, 3,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 헵틸, n-헵틸, 1-메틸헥실, 시클로펜틸메틸, 시클로헥실메틸, 옥틸, n-옥틸, tert-옥틸, 1-메틸헵틸, 2-에틸헥실, 2-프로필펜틸, n-노닐, 2,2-디메틸헵틸, 1-에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이소헥실, 4-메틸헥실, 5-메틸헥실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클로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3-메틸시클로펜틸, 2,3-디메틸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3-메틸시클로헥실, 4-메틸시클로헥실, 2,3-디메틸시클로헥실, 3,4,5-트리메틸시클로헥실, 4-tert-부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케닐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2 내지 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비닐, 1-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1-부테닐, 2-부테닐, 3-부테닐, 1-펜테닐, 2-펜테닐, 3-펜테닐, 3-메틸-1-부테닐, 1,3-부타디에닐, 알릴, 1-페닐비닐-1-일, 2-페닐비닐-1-일, 2,2-디페닐비닐-1-일, 2-페닐-2-(나프틸-1-일)비닐-1-일, 2,2-비스(디페닐-1-일)비닐-1-일, 스틸베닐기, 스티레닐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릴기는 단환식 아릴기 또는 다환식 아릴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아릴기가 단환식 아릴기인 경우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6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6 내지 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6 내지 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단환식 아릴기로는 페닐기, 비페닐기, 터페닐기, 쿼터페닐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릴기가 다환식 아릴기인 경우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내지 1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다환식 아릴기로는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릴기, 파이레닐기, 페릴레닐기, 크라이세닐기, 플루오레닐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헤테로고리기는 이종원자로 N, O, S, Si 및 Se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2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 내지 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헤테로고리기의 예로는 티오펜기, 퓨란기, 피롤기, 이미다졸기, 티아졸기, 옥사졸기, 옥사디아졸기, 트리아졸기, 피리딜기, 비피리딜기, 피리미딜기, 트리아진기, 아크리딘기, 피리다진기, 피라진기, 퀴놀리닐기, 퀴나졸린기, 퀴녹살리닐기, 프탈라지닐기, 피리도 피리미딘기, 피리도 피라진기, 피라지노 피라진기, 이소퀴놀린기, 인돌기, 카바졸기, 벤즈옥사졸기, 벤즈이미다졸기, 벤조티아졸기, 벤조카바졸기, 벤조티오펜기, 디벤조티오펜기, 벤조퓨란기, 페난쓰롤린기(phenanthroline), 프테리딘기(pteridine), 티아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및 디벤조퓨란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킬렌기는 알킬기에 결합 위치가 두 개 있는 것 즉 2가기를 의미한다. 이들은 각각 2가기인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알킬기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릴렌기는 아릴기에 결합 위치가 두 개 있는 것 즉 2가기를 의미한다. 이들은 각각 2가기인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아릴기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기재;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는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의 기재가 접하는 면의 타면에 구비된 배향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필름으로서, 상기 기재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이고, 상기 배향막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인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a1 및 a2는 각각 1 내지 6의 정수이고,
상기 a1 및 a2가 각각 2 이상일 때, 2 이상의 괄호 내의 구조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며,
L1 및 L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이고,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면방향 위상차(Rin), 두께방향 위상차(Rth) 및 굴절률비(Nz)는 하기 식 (1) 내지 식(3)으로 각각 정의된다.
식 (1): Rin = (nx - ny) x d
식 (2): Rth = (nx - nz) x d
식 (3): Nz = Rth / Rin
상기 식(1) 내지 식(3)에 있어서, nx는 플레이트의 평면방향에서 굴절률이 가장 큰 축의 굴절률이고, ny는 평면방향에서 nx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플레이트의 두께이다.
포지티브 C 플레이트는 nx, ny 및 nz가 nx = ny < nz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포지티브 C 플레이트로 사용 가능한 필름으로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Polymer; COP)필름이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필름, UV 경화형 수평 또는 수평배향 액정필름, 폴리스티렌(polystyrene)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가티브 B 플레이트는 nx, ny 및 nz가 nx > ny > nz(Nz>1.0)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되며, 상기 네가티브 B 플레이트는 광축이 nz와 nx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포지티브 B 플레이트는 nx, ny 및 nz가 nz > nx > ny 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네가티브 B 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B 플레이트로 사용 가능한 필름으로는, 일축 연신된 TAC(Triacetyl cellulose), 일축 연신된 PNB(Polynorbonene), 2축 연신된 PC(Polycarbonate), 2축 연신된 COP, 2축성 액정 필름 (biaxial LC film)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a1 및 a2는 각각 1 내지 6의 정수이고, 상기 a1 및 a2가 각각 2 이상일 때, 2 이상의 괄호 내의 구조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1 및 L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1 및 L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1 및 L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1은 메틸렌기,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1은 메틸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2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2는 메틸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메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에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로필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R1은 알케닐기로 치환된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메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에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로필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R2는 알케닐기로 치환된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4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은 250nm의 파장을 흡수하여 활성화되어, 활성 에너지 조사에 의해 양이온(cation)이나 루이스산을 만들어내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구체적으로, 아로마틱 구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들은, 대부분 300nm 내지 350nm의 흡수파장 영역을 가지고 있다. 상기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흡수파장 영역 범위는 서로 상이하므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300nm 이상의 흡수파장 영역을 갖는 화합물들에 비하여, 경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는 IRGACURE 184, DAROCUR 1173, IRGACURE 500, IRGACURE 2959 및 IRGACURE 127(상품명: 모두 BASF 사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IRGACURE 184가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 내지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상기 함량범위일 때, 가장 효과적으로 배향이 이루어지며, 상기 함량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배향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은 0.5 내지 2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이 상기 함량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잔류하는 미반응성 물질들로 인하여, 광학 필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혼합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는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및 자일렌 중 2 이상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혼합용매는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메틸에틸케톤이 혼합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혼합용매는 83 내지 93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가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메틸에틸케톤이 혼합된 것인 경우, 상기 혼합용매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톨루엔은 50 내지 70 중량부이고, 메틸이소부틸케톤은 20 내지 40 중량부이며, 메틸에틸케톤은 5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은 내화학성이 좋지 않으나, 상기 혼합용매에서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메틸에틸케톤이 상기 함량범위일 때, 위상차가 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외에도 광개시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레벨링제, 방오제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PMMA(Poly(methyl 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은 기재 상에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는 경화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 과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건조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경화형 조성물에 사용되는 혼합용매의 비등점 및 기재의 재료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하거나 실온 또는 저온에서 서서히 건조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 과정은 기재상에 도포된 경화형 조성물에 광선 조사 및/또는 열 처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화 과정에 사용되는 광선의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자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일 수 있다. 또한, 열 처리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10℃ 내지 200℃에서 3초 내지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상에 상기 경화형 조성물을 도포하고, 50℃ 내지 80℃에서 건조한 후, 광량 200mJ 내지 1,000mJ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상기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배향막 상에 수직 배향 액정 재료를 도포하고, 러빙(rubbing)공정 등을 통하여 상기 수직 배향 액정 재료를 수직 배향시켜 배향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하거나 실온 또는 저온에서 서서히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수직 배향 액정 재료를 배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직 배향 액정 재료는 수직 배향 후에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수직 배향 액정 재료가 액정 모노머인 경우에는, 자외선 등의 방사선 조사에 의한 경화에 의해 고정화할 수 있고, 상기 수직 배향 액정 재료가 액정 폴리머인 경우에는 유리전이온도 이하로 냉각함으로써 고정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있어서, 상기 경화된 배향막 상에 수직 배향 액정 재료를 도포하고, 50℃ 내지 80℃에서 건조한 후, 광량 200mJ 내지 1,000mJ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상기 배향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향 액정 재료로는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판되는 RMM 460(Merck 社)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향 액정 재료는 혼합용매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는 상기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혼합용매와 같거나 상이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향 액정 재료가 희석되는 혼합용매는, 톨루엔, 자일렌 및 디에틸렌글리콜다이메틸이서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에는 기재(10)의 일면에 배향막(20)이 구비되고, 상기 배향막의 기재가 접하는 타면에 배향액정층(30)이 구비된 광학 필름의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의 두께는 0.1㎛ 내지 1㎛가 바람직하고, 상기 배향액정층의 두께는 0㎛ 초과 2㎛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기계방향(MD)으로 1.2배 내지 2배, 폭방향(TD)으로 2.4배 내지 5배의 이축 연신으로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신은 기계방향으로 1.2배 내지 1.8배, 폭방향(TD)으로 3.5내지 5배의 이축 연신으로 수행된다. 연신비가 폭방향으로 2.4배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인성이 저하되어 편광판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폭방향으로 5배를 초과하는 경우는 연신 과정에서 필름의 파단으로 인해 안정적인 필름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 MD)"은 필름의 연속 제조시 진행방향에 해당하는 길이 방향이며,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은 MD방향의 수직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 중 어느 한 쪽을 먼저 연신한 후에 다른 방향으로 연신할 수도 있고, 두 방향을 동시에 연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신은 한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상기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를 Tg라 할 때, (Tg-20)℃ 내지 (Tg+3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Tg℃ 내지 (Tg+20)℃, 보다 바람직하게는 (Tg+5)℃ 내지 (Tg+2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신은 90℃ 내지 1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20℃ 내지 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Tg는 110℃ 내지 13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 속도는 일 방향으로 10%/min 내지 20,000%/min, 바람직하게는 100%/min 내지 10,000%/min의 범위에서 연신 조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속도가 10%/min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연신 배율을 얻기 위해 시간이 오려 소요되어, 제조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연신 속도가 20,000%/min을 초과하면 연신 필름의 파단 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롤 연신기 또는 텐더형 연신기와 같은 공지된 연신 장치를 비롯하여 필름의 연신을 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의 양면에 부착되어도 되고, 일면에만 부착되어도 된다.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자의 일면에만 부착될 경우, 타면에는 필요에 따라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보호 필름을 구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부착한 후, 그 보호필름 상에 상기 광학필름을 부착하여, 시야각 보상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하는 경우, 보호 필름/편광자/광학 필름, 보호 필름/편광자/보호 필름/광학 필름, 광학 필름/편광자/광학 필름, 광학 필름/편광자/보호 필름/광학 필름 또는 광학 필름/보호 필름/편광자/보호 필름/광학 필름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을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이하 '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PVA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편광자와 광학 필름의 부착은 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필름의 합지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롤코터, 그라비아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광학 필름 또는 편광자의 표면에 접착제를 코팅한 후,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합지 롤로 가열 합지하거나, 상온 압착하여 합지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는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이 사용도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편광판의 전체 두께는 45㎛이상, 예를 들어 45㎛ 내지 250㎛, 또는 50㎛ 내지 120㎛, 또는 5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IPS(In-Plane Switching), Super-IPS, 또는 FFS(Fringe Field Switching) 등의 수직배향모드용 편광판일 수 있으며, IPS(In-Plane Switching)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패널 또는 유기발광 패널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CD) 또는 전계 발광 장치(LED)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 및 이 액정 패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셀 및 상기 액정 셀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액정 셀과 상기 상부 편광판 및/또는 하부 편광판 사이에 시야각 보상 필름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 편광판과 액정 셀 사이, 하부 편광판과 액정 셀 사이에, 또는 상부 편광판과 액정 셀 사이와 하부 편광판과 액정 셀 사이 모두에 광학 필름이 하나 또는 2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예를 들어,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1>
(1) 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DCP-A, 공영사) 5 중량부,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로서, Irgacure 184(바스프 社) 1 중량부 및 혼합용매 89 중량부를 사용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용매는, 혼합용매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 50 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30 중량부 및 톨루엔 2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2) 배향막 및 배향액정층의 제조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기재상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700mJ 광량으로 조사하여,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이 후, 수직 배향 액정 재료로서, RMM 460(Merck 社)을 혼합용매에 희석한 후, 상기 배향막 상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800mJ 광량으로 조사하여, 배향액정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혼합용매는, 혼합용매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톨루엔 40 중량부, 자일렌 40 중량부 및 디에틸렌글리콜다이메틸이서 2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3) 광학 필름의 제조
상기 배향막 및 배향액정층을 형성한 후, 60℃에서 2분 동안 건조한 다음, 자외선을 500mJ 광량으로 조사하여 경화시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2>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3>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4>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Pentaerytritol Triacrylate, 산노프코 社)를 사용하고,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바스프 社)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2>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를 사용하고,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3>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를 사용하고,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4>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를 사용하고,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를 사용하고,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2>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3>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4>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PET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1>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2>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3>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4>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5>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 대신 Irgacure 90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 평가예 > - 크로스컷 테스트
상기 실험예 1-1 내지 1-5, 비교예 1-1 내지 1-5, 비교예 2-1 내지 2-5 및 비교예 3-1 내지 3-5에서 제작한 광학 필름의 표면에 1mm 간격으로 100개의 바둑판눈을 그려 넣고, 닛토 덴코제 NT 테이프를 접착한 후에, 100g의 추로 10 왕복하여 문질러 밀착시켜 10분 후에 박리하는 공정을 5회 반복하였다. 100칸 중에서, 박리되는 개수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크로스컷 테스트 결과
실험예 1-1 5
실험예 1-2 5
실험예 1-3 5
실험예 1-4 40
실험예 1-5 40
비교예 1-1 80
비교예 1-2 80
비교예 1-3 100
비교예 1-4 100
비교예 1-5 100
비교예 2-1 40
비교예 2-2 40
비교예 2-3 80
비교예 2-4 60
비교예 2-5 80
비교예 3-1 20
비교예 3-2 20
비교예 3-3 20
비교예 3-4 30
비교예 3-5 4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광학 필름은, 크로스컷 테스트 결과,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화성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 내지 15 중량부를 만족하는 실험예 1-1 내지 1-3은, 상기 함량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실험예 1-4 및 1-5에 비하여, 크로스컷 테스트 결과,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험예 1-1 내지 1-5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1 내지 1-5에 비하여, 크로스컷 테스트 결과,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험예 1-1 내지 1-3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1 내지 2-5에 비하여, 크로스컷 테스트 결과,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험예 1-1 내지 1-5는, 상기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1 내지 3-5에 비하여, 크로스컷 테스트 결과,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10: 기재
20: 배향막
30: 액정배향층

Claims (8)

  1. 기재;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는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의 기재가 접하는 면의 타면에 구비된 배향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필름으로서,
    상기 기재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이고,
    상기 배향막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인 광학 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a1 및 a2는 각각 1 내지 6의 정수이고,
    상기 a1 및 a2가 각각 2 이상일 때, 2 이상의 괄호 내의 구조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며,
    L1 및 L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이고,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광학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히드록시 알킬페논계 화합물은 0.5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광학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혼합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학 필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는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및 자일렌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 필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의 두께는 0.1 ㎛ 내지 1 ㎛인 것인 광학 필름.
  7.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8.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청구항 7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70180785A 2017-12-27 2017-12-27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21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785A KR102212127B1 (ko) 2017-12-27 2017-12-27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785A KR102212127B1 (ko) 2017-12-27 2017-12-27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959A true KR20190078959A (ko) 2019-07-05
KR102212127B1 KR102212127B1 (ko) 2021-02-03

Family

ID=6722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785A KR102212127B1 (ko) 2017-12-27 2017-12-27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1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806A (ko) 2007-05-22 2008-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성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광학 필름 및 장치
KR20090119285A (ko) * 2008-05-15 2009-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향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제조방법,배향막을 포함하는 광학 이방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표시장치 및 편광판
KR100955762B1 (ko) * 2008-08-26 2010-04-30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코팅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코팅형 편광판
JP2014224257A (ja) * 2013-05-09 2014-12-04 東洋合成工業株式会社 樹脂、樹脂の形成方法及び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806A (ko) 2007-05-22 2008-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성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광학 필름 및 장치
KR20090119285A (ko) * 2008-05-15 2009-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향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제조방법,배향막을 포함하는 광학 이방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표시장치 및 편광판
KR100955762B1 (ko) * 2008-08-26 2010-04-30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코팅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코팅형 편광판
JP2014224257A (ja) * 2013-05-09 2014-12-04 東洋合成工業株式会社 樹脂、樹脂の形成方法及び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127B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179B1 (ko) 중합성 액정 조성물, 광학 이방성막, 광학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JP6577979B2 (ja) 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US9358768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242224B1 (ko) 편광 소자, 원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60148653A (ko)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JP5723077B1 (ja) 位相差板、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6366277B2 (ja) 調光装置、調光窓、及び調光装置用の光学積層体
US10634834B2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808372B2 (ja)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WO2019131976A1 (ja) 光吸収異方性膜、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213582B1 (ko) 중합성 액정 조성물, 광학 이방성막, 광학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JP4413117B2 (ja)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274928B2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424213B1 (ko) 중합성 액정 조성물, 광학 이방성막, 광학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532379B1 (ko) 광학 이방성층의 제조 방법
TW202110620A (zh) 偏光板及包括其的光學顯示裝置
JP5204608B2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230408860A1 (en) Optical display device module and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102212127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TW202013028A (zh) 疊層以及包括其的液晶顯示器
WO2019203192A1 (ja) 偏光素子、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240004235A1 (en) Optical display device modul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4778718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負の略1軸性光学フィルム
TW201020315A (en) Nematic liquid crystal compounds, optical compensation film thereof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124043A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