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981A -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981A
KR20190077981A KR1020170179601A KR20170179601A KR20190077981A KR 20190077981 A KR20190077981 A KR 20190077981A KR 1020170179601 A KR1020170179601 A KR 1020170179601A KR 20170179601 A KR20170179601 A KR 20170179601A KR 20190077981 A KR20190077981 A KR 2019007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care
information
internet
platform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8664B1 (ko
Inventor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주)인더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더스웰 filed Critical (주)인더스웰
Priority to KR102017017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6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정보를 사물인터넷 기반 통신기술(LoRa, LTE-M, LWM2M)을 통해 전송하여 전송 거리의 제한을 해소하고, 게이트웨이의 사용에 따른 장치 구현의 복잡함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 및 헬스케어 디바이스부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전용망 또는 이더넷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전송해주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를 포함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Healthcare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of based things of interne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healthcare) 정보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정보를 사물인터넷 기반 통신기술(LoRa, LTE-M, LWM2M)을 통해 전송하여 전송 거리의 제한을 해소하고, 게이트웨이의 사용에 따른 장치 구현의 복잡함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전제품을 비롯한 집안의 모든 장치를 연결해 제어하는 기술인 스마트 홈(smart home)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스마트 홈 기술은 가전제품(TV, 에어컨, 냉장고 등)을 비롯해 에너지 소비장치(수도, 전기, 냉난방 등), 보안기기(도어-록, 감시카메라 등)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모든 것을 통신망으로 연결해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거나 원격에서 조종할 수 있다.
스마트 홈에서 집안의 모든 장치를 연결하여 제어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서버와 집안 내의 모든 제어기기들을 연결해주는 게이트웨이 또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헬스케어 스마트 홈 구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생체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 댁내 또는 주거 환경에 마련되어,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로부터 실시간으로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서비스 서버(30)로 전달해주며,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에 전달해주는 게이트웨이(20), 상기 게이트웨이(20)로부터 취합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취합하여 서비스 서버(40)에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요구되는 요청 정보를 해당하는 게이트웨이(20)로 전송하는 헬스케어 플랫폼(30),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30)을 통해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 처리하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후속 조치를 취하는 서비스 서버(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반적인 헬스케어 스마트 홈 구현 시스템은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와 게이트웨이(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송수신하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와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30)은 게이트웨이(20)라는 중계장치를 통해 상호 생체정보나 제어 명령 등을 인터페이스 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으로는 직렬 통신 모듈, USB 포트 인터페이스(I/F)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는 PAN(Personal Area Network) 또는 BAN(Body Area Network)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 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스마트 홈을 구현하는 종래 헬스케어 스마트 홈 시스템에 대한 종래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와이-파이(Wi-Fi) 등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 가능한 서버통신부, 디지털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가 구비된 IR 중계서버에서 사무실이나 집 등의 실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그에 대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기기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적합한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함으로써, 실외에서도 실내에 구비된 복수의 디지털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을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비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리모컨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스마트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전원의 on/off, 채널 및 음량 등이 조절되는 디지털 기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으로 연결되고, 디지털 기기와 다수개의 적외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며, 리모컨 대신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80278(2013.07.12.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0-1037397(2011, 05.30. 공고)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헬스케어 스마트 홈 구현 시스템 및 종래기술은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짧은 통신거리에 의해 거리 제한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헬스케어 스마트 홈 구현시스템이나 종래기술에 개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자체 통신 기능이 없는 경우도 있어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일반적인 헬스케어 스마트 홈 구현시스템이나 종래기술은 반드시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므로, 스마트 홈 구현시스템의 설치가 복잡하고, 게이트웨이의 사용으로 시스템 구현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다.
또한, 기존의 헬스케어 스마트 홈 구현 시스템이나 종래기술은 각각의 자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호환성이 없거나, 상호운용성이 배제된 채 개발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들로 구성되어, 기기별 또는 서비스별로 다비이스 또는 시스템을 새로 구입해야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헬스케어 표준을 도입한 디바이스 및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나, 디바이스 및 서비스의 수가 전세계적으로 보아도 미미한 숫자에 그치고 있으며, 복잡하고 개발비 및 단가가 상승하기만 하는 국제표준 프로토콜을 도입하려고 하는 제조업체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는 현실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 및 일반적인 헬스케어 스마트 홈 구현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정보를 사물인터넷 기반 통신기술(LoRa, LTE-M, LWM2M)을 통해 전송하여 전송 거리의 제한을 해소하고, 게이트웨이의 사용에 따른 장치 구현의 복잡함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는,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전용망 또는 이더넷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전송해주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는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oneM2M 플랫폼과 표준 정보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이나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헬스케어 플랫폼은 공통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통 기능 레이어; 상기 공통 기능 레이어를 통해 수신한 헬스케어 정보를 처리하는 헬스케어 정보처리모듈;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 엔진(Event Flow Engine); 정규적인 처리를 위한 정규처리모듈; 특별한 처리를 위한 특별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는,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에 장착 또는 내장되며,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에 전송해주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은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oneM2M 플랫폼과 표준 정보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이나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은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획득한 생체정보를 ISO/IEEE 11073 표준 포맷 또는 oneM2M 표준 포맷 또는 TCP/IP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헬스케어 플랫폼은 공통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통 기능 레이어; 상기 공통 기능 레이어를 통해 수신한 헬스케어 정보를 처리하는 헬스케어 정보처리모듈;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 엔진(Event Flow Engine); 정규적인 상황의 처리를 위한 정규처리모듈; 특별한 상황의 처리를 위한 특별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정보를 사물인터넷 기반 통신기술(LoRa, LTE-M, LWM2M)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에 전송하여 전송 거리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지 않고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모듈을 통해 직접적으로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에 전송할 수 있어, 게이트웨이의 사용에 따른 장치 구현의 복잡함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이용한 헬스케어 스마트 홈 구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 및 헬스케어 플랫폼의 실시 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기존 제작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 장착하거나 내장하여 구현하는 첫 번째 방법과,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을 기존 제작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결합하지 못하고 별도의 장치로 구현하여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연동하도록 하는 두 번째 방법으로 대별된다.
먼저, 첫 번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의 구성도로서,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혈압계, 혈당계, 체중계, 체온계, 체지방 측정기, 피트니스 장치, 기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전용망(IoT 전용망)(300) 또는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400) 또는 서비스 서버(500)에 전송해주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는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oneM2M 플랫폼과 표준 정보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이나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2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300)은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로부터 취합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취합하여 서비스 서버(400)에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요구되는 요청 정보를 해당하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헬스케어 플랫폼(3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통 기능 레이어(Common Function Layer)(410), 상기 공통 기능 레이어(410)를 통해 수신한 헬스케어 정보를 처리하는 헬스케어 정보처리모듈(420),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 엔진(Event Flow Engine)(430), 정규적인 처리를 위한 정규처리모듈(Normal Processing Module)(440), 특별한 처리를 위한 특별처리모듈(Specific Processing Module)(4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의 제1 실시 예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에 제작되어 설치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이 결합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해,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를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와 근거리 통신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와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 간에 통신을 구현한다.
여기서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혈압계, 혈당계, 체중계, 체온계, 체지방 측정기, 피트니스 장치, 기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와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와는 PAN(Personal Area Network) 또는 BAN(Body Area Network)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 내에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으로는 직렬 통신 모듈, USB 포트 인터페이스(I/F)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는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전용망(IoT 전용망)(300) 또는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400) 또는 서비스 서버(500)에 전송해준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는 기존과 같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직접적으로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400)에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LoRa, LTE-M, LWM2M)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여 기존 문제인 통신거리 제한 문제를 해소하고, 게이트웨이의 사용에 따른 설치의 복잡함과 과도한 설치 비용의 낭비를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는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oneM2M 플랫폼과 표준 정보 변환기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210)을 통해 수신한 생체정보를 알맞게 변환하고, 이를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400)이나 기존 레거시 시스템(700)과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210)은 헬스케어 디바이스, 센서, 측정 디바이스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매니저 속성과, 획득한 정보를 처리하여 사물인터넷 전용망(300)이나 사물인터넷 플랫폼(400)으로 송신하는 헬스케어 에이전트 속성을 동시에 갖는다. 생체정보는 개인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표준 포맷을 사용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비표준 헬스케어 디바이스, 기존 설치된 헬스케어 디바이스, 신규 설치된 헬스케어 디바이스든 어느 것이든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210)은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한 다양한 생체정보를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사물인터넷 전용망(300)이나 사물인터넷 플랫폼(400)에서 요구하는 포맷 형태로 변환한다. 예컨대, ISO11073 DIM, oneM2M,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표준 포맷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프로토콜인 oneM2M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따라서 생체정보도 oneM2M 통신 프로토콜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보안을 위해 생체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는 공개키 기반 암호화나 알려진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는 생체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암호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플랫폼(400)은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로부터 취합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 또는 사물인터넷 전용망(300)을 통해 취합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서비스 서버(500) 레거시 시스템(700)에 전달한다. 아울러 서비스 서버(500)나 레거시 시스템(700)으로부터 요구되는 요청 정보를 해당하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예컨대, 헬스케어 플랫폼(400)은 공통 기능 레이어(410)에서 공통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헬스케어 정보처리모듈(420)에서 상기 공통 기능 레이어(Common Function Layer)(410)를 통해 수신한 헬스케어 정보를 처리한다. 헬스케어 정보 처리 도중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처리 엔진(43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500)는 상기 사물인터넷 전용망(300) 또는 헬스케어 플랫폼(400)을 통해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 처리하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후속 조치를 취한다. 여기서 후속 조치는 사용자에게 건강 상태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 해당하는 관계 기관(의료기관, 공공기관)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는 기존에 제작되어 설치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이 결합하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를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간에 근거리 통신을 구현한 후,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에서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직접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해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두 번째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의 구성도로서,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에 장착 또는 내장되며,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400)에 전송해주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을 포함한다.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600)은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oneM2M 플랫폼과 표준 정보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400)이나 기존 레거시 시스템(500)과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600)은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획득한 생체정보를 ISO/IEEE 11073 표준 포맷 또는 oneM2M 표준 포맷 또는 TCP/IP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400)은 공통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통 기능 레이어(410), 상기 공통 기능 레이어를 통해 수신한 헬스케어 정보를 처리하는 헬스케어 정보처리모듈(420),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 엔진(Event Flow Engine)(430), 정규적인 상황의 처리를 위한 정규처리모듈(440), 특별한 상황의 처리를 위한 특별처리모듈(4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의 제2 실시 예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에 제작되어 설치된 헬스케어 디바이스 내부에 하드웨어적인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을 장착 또는 삽입하여 설치한다.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은 기존에 제작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 간단하게 결합(또는, 설치)하여 서비스해주는 모듈로서, 이미 생산된 디바이스에도 간단하게 결합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은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을 이용하여,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400)에 직접적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혈압계, 혈당계, 체중계, 체온계, 체지방 측정기, 피트니스 장치, 기타)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은 칩(Chip) 또는 보드(Board) 또는 소프트웨어(라이브러리)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은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100)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전용망(IoT 전용망)(300) 또는 oneM2M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400) 또는 서비스 서버(500)에 전송해준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은 기존과 같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직접적으로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400)에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LoRa, LTE-M, LWM2M)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여 기존 문제인 통신거리 제한 문제를 해소하고, 게이트웨이의 사용에 따른 설치의 복잡함과 과도한 설치 비용의 낭비를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은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oneM2M 플랫폼을 이용하여 수신한 생체정보를 알맞게 변환하고 이를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400)이나 기존 레거시 시스템(700)과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은 헬스케어 디바이스, 센서, 측정 디바이스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매니저 속성과, 획득한 정보를 처리하여 사물인터넷 전용망(300)이나 사물인터넷 플랫폼(400)으로 송신하는 헬스케어 에이전트 속성을 동시에 갖는다. 생체정보는 개인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표준 포맷을 사용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비표준 헬스케어 디바이스, 기존 설치된 헬스케어 디바이스, 신규 설치된 헬스케어 디바이스든 어느 것이든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은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한 다양한 생체정보를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사물인터넷 전용망(300)이나 사물인터넷 플랫폼(400)에서 요구하는 포맷 형태로 변환한다. 예컨대, ISO11073 DIM, oneM2M,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표준 포맷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프로토콜인 oneM2M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따라서 생체정보도 oneM2M 통신 프로토콜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보안을 위해 생체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는 공개키 기반 암호화나 알려진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는 생체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암호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플랫폼(400)은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로부터 취합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 또는 사물인터넷 전용망(300)을 통해 취합한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서비스 서버(500) 및 레거시 시스템(700)에 전달한다. 아울러 서비스 서버(500)나 레거시 시스템(700)으로부터 요구되는 요청 정보를 해당하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600)로 전송한다.
예컨대, 헬스케어 플랫폼(400)은 공통 기능 레이어(410)에서 공통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헬스케어 정보처리모듈(420)에서 상기 공통 기능 레이어(Common Function Layer)(410)를 통해 수신한 헬스케어 정보를 처리한다. 헬스케어 정보 처리 도중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처리 엔진(43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500)는 상기 사물인터넷 전용망(300) 또는 헬스케어 플랫폼(400)을 통해 사용자별 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 처리하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후속 조치를 취한다. 여기서 후속 조치는 사용자에게 건강 상태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 해당하는 관계 기관(의료기관, 공공기관)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는 기존에 제작되어 설치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이 결합하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을 헬스케어 디바이스에 장착 또는 결합(설치)하고,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직접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헬스케어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헬스케어 정보를 사물인터넷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에 전송하여 헬스케어 스마트 홈을 구현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0: 헬스케어 디바이스부
200: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
210, 600: 사물인터넷 헬스케어모듈
300: 사물인터넷 전용망
400: 헬스케어 플랫폼
410: 공통 기능 레이어
420: 헬스케어 정보처리모듈
430: 이벤트 처리 엔진
500: 서비스 서버

Claims (7)

  1.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헬스케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사물인터넷 전용망 또는 이더넷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전송해주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장치는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oneM2M 플랫폼과 표준 정보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이나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은 공통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통 기능 레이어; 상기 공통 기능 레이어를 통해 수신한 헬스케어 정보를 처리하는 헬스케어 정보처리모듈;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 엔진(Event Flow Engine); 정규적인 상황처리를 위한 정규처리모듈; 특별한 상황처리를 위한 특별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4.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헬스케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헬스케어 표준 또는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고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부;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부에 장착 또는 내장되며,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헬스케어 플랫폼에 전송해주는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은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oneM2M 플랫폼과 표준 정보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oneM2M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이나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모듈은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획득한 생체정보를 ISO/IEEE 11073 표준 포맷 또는 oneM2M 표준 포맷 또는 TCP/IP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7. 청구항 4에서, 상기 헬스케어 플랫폼은 공통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통 기능 레이어; 상기 공통 기능 레이어를 통해 수신한 헬스케어 정보를 처리하는 헬스케어 정보처리모듈;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 엔진(Event Flow Engine); 정규적인 상황의 처리를 위한 정규처리모듈; 특별한 상황의 처리를 위한 특별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KR1020170179601A 2017-12-26 2017-12-26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KR102028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601A KR102028664B1 (ko) 2017-12-26 2017-12-26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601A KR102028664B1 (ko) 2017-12-26 2017-12-26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981A true KR20190077981A (ko) 2019-07-04
KR102028664B1 KR102028664B1 (ko) 2019-10-07

Family

ID=6725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601A KR102028664B1 (ko) 2017-12-26 2017-12-26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6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6675A (zh) * 2020-05-22 2020-09-22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数据的用户数据分类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20210085518A (ko) * 2019-12-30 2021-07-08 (주)유비텍 개인 맞춤형 IoT 의료 시스템
KR20220033359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큐티티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20220033360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큐티티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97B1 (ko)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KR20130080278A (ko)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60123192A (ko) * 2015-04-15 2016-10-25 이기수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3240A (ko) * 2016-01-08 2017-07-18 디노플러스 (주)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97B1 (ko)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KR20130080278A (ko)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60123192A (ko) * 2015-04-15 2016-10-25 이기수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3240A (ko) * 2016-01-08 2017-07-18 디노플러스 (주)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518A (ko) * 2019-12-30 2021-07-08 (주)유비텍 개인 맞춤형 IoT 의료 시스템
CN111696675A (zh) * 2020-05-22 2020-09-22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数据的用户数据分类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1696675B (zh) * 2020-05-22 2023-09-19 深圳赛安特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物联网数据的用户数据分类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20220033359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큐티티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20220033360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큐티티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664B1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7981A (ko)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Santos et al. A personal connected health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based on the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CN108259551B (zh) 用于将装置配对到基于云的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TWI545920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US9339246B2 (en) Association of wireless detector with an imaging apparatus
US20140064738A1 (en) Smart gateway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WO2017000475A1 (zh) 一种体感控制方法与装置
CN104579857A (zh) 物联网通信方法、物联网应用平台、物联网平台及系统
KR101730180B1 (ko) 인티그레이션 매니저의 통합 연계를 활용한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
CN103957376A (zh) 基于移动智能终端控制红外热像探头的系统及方法
US9542837B2 (en) Ulifecare management service method and device using adaptive control protocol for USN interface
KR20170089146A (ko) 사물 인터넷 기기의 구동 시나리오 구축방법
Fürst et al. Leveraging physical locality to integrate smart appliances in non-residential buildings with ultrasound and bluetooth low energy
KR20140016460A (ko) 스마트폰 엔에프씨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9054A (ko)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20027B1 (ko) 음성 전달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음성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707633B1 (ko)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 장치
KR101359483B1 (ko) 확장형 통신 지원 통합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합 처리 방법
CN102594928B (zh) 一种协作上下文感知的框架模型
KR101725436B1 (ko) 폴더별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reeram et al. A novel architecture for IoT and smart community
KR101895254B1 (ko) 상황인지 기반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정보 전송장치
KR102319498B1 (ko)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시스템
KR2018007749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90075479A (ko) 플러그인 타입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