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669A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669A
KR20190076669A KR1020170178651A KR20170178651A KR20190076669A KR 20190076669 A KR20190076669 A KR 20190076669A KR 1020170178651 A KR1020170178651 A KR 1020170178651A KR 20170178651 A KR20170178651 A KR 20170178651A KR 20190076669 A KR20190076669 A KR 2019007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ircuit board
input
unit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777B1 (ko
Inventor
백영진
김지웅
박귀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7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3Suppression of common mode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H02M2001/0064
    • H02M2001/1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입력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접속부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노이즈 필터부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과,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전원 접속부와 제1 회로 기판은 절연된다. 이에 따라, 커몬 모드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몬 모드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해, 압축기 모터 구동장치가 사용된다.
한편, 국제 서지 보호 표준인 IEC 61000에 따르면, 고조파 저감을 위한 규격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 내의 입력 교류 전류에 의한 고조파 저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몬 모드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입력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접속부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노이즈 필터부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과,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전원 접속부와 제1 회로 기판은 절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입력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접속부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노이즈 필터부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과,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전원 접속부와 제1 회로 기판은 절연됨으로써, 커몬 모드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케이스 중 전원 접속부가 위치하는 영역과, 제1 회로 기판이 위치하는 영역 사이에 절연체가 배치됨으로써, 제1 회로 기판과 전원 접속부가 절연되어, 커몬 모드 노이즈가, 전원 접속부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원 접속부 상에 절연체가 배치되며, 절연체 상에 제1 회로 기판이 배치됨으로써, 커몬 모드 노이즈가, 전원 접속부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노이즈 필터부가, 입력 교류 전원을 필터링하는 제1 커패시터부와, 제1 커패시터부로부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제1 트랜스포머와, 제1 트랜스포머에서 감지된 전류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증폭기로부터의 전류를 변환하는 제2 트랜스포머와, 제2 트랜스포머로부터의 전류를 필터링하는 제2 커패시터부를 포함함으로써, 커몬 모드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커몬 모드 노이즈를 감지하고, 제2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커몬 모드 노이즈를 보상함으로써, 서지 등의 왜란에 대한 신뢰성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증폭기가, dc단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에 의해 동작하므로,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제1 커패시터부를 통해, 레벨이 작은 커몬 모드 노이즈를 출력함으로써, 간단하게 커몬 모드 노이즈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몬 모드 노이즈의 보상을 위해, 별도의 스위치 소자가 필요 없으므로, 제조 비용이 저감된 노이즈 필터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4는 도 3의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커몬 모드 노이즈의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전원 접속부와 노이즈 필터부 사이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전원 접속부와 노이즈 필터부 사이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노이즈 필터부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의 공기조화기(50)로서, 복수의 실내기(31 내지 35),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외기(21, 22), 복수의 실내기 각각과 연결되는 리모컨(41 내지 45), 그리고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원격제어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복수의 실내기(31 내지 36) 및 복수의 실외기(21, 22)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이때, 원격제어기(10)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 22)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외기(21, 22)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 내지 35)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1,22)는 원격제어기(10) 또는 실내기(31 내지 35)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 된다.
이때, 실외기(21, 22)는 복수의 실외기가, 각각 연결된 실내기로 각각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실외기 및 실내기의 연결구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실내기(31 내지 35)는 복수의 실외기(21, 2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31 내지 35)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21, 22) 및 실내기(31 내지 35)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10)와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리모컨(41 내지 45)는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에 하나의 리모컨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 입력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41 내지 45)은 내부에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50)는, 크게 실내기(31)와 실외기(21)로 구분된다.
실외기(21)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
실내기(31)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9)와, 실내측 열교환기(109)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9)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5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서는 실내기(31)와 실외기(21)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한 개의 실내기와 복수개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의 실외기(21) 내의 압축기(102)는, 압축기 모터(250)를 구동하는 압축기 고둥을 위한 모터 구동장치(2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하고, 도 4는 도 3의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220)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 구동장치라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220)는, 노이즈 필터부(450)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PCBa)과, 컨버터(410),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 dc 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출력전류 검출부(E)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PCB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장치(220)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220)는, dc단 커패시터와 인버터 사이에 배치되는 1개의 dc단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상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인버터 제어부(430)는, 공간 벡터 기반의 펄스폭 가변 제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1개의 dc단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상전류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공간 벡터 기반의 펄스폭 가변 제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1개의 dc단 저항 소자(Rdc)를 이용하여, 시분할로, 상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저감되며, 설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의 전력변환장치(220) 내의 각 구성 유닛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버터(410)는,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평활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부분을 위주로 기술한다.
한편,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되게 된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센서리스 방식을 기반으로,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 인버터 제어부(430) 내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의 출력에 대한 상세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삼상 모터(23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즉,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모터(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션트 저항이, 인버터(420)와 동기 모터(230) 사이에 위치하거나, 인버터(42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2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1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커패시터(C)와 인버터(420) 사이에서 해당 션트 저항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류(io)가 삼상의 출력 전류(ia,ib,ic)인 것으로 병행하여 기술할 수도 있다.
한편, 삼상 모터(230)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230)는, 예를 들어,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220)는, 입력 교류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고조파, 특히 커몬 모드 노이즈(900)를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전력변환장치(220) 내의 전원 접속부와 노이즈 필터부(450)를 절연하여, 노이즈 필터부(450)에서의 커몬 모드 노이즈가, 전원 접속부(9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220)는, 케이스(CAS)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입력 교류 전원(Vs)이 입력되는 전원 접속부(900)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노이즈 필터부(450)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PCBa)과,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입력 교류 전원(Vs)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410), 컨버터(4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420)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PCBb)을 포함하고, 전원 접속부(900)와 제1 회로 기판(PCBa)은 절연된다. 이에 따라, 커몬 모드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도 5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310), 속도 연산부(320), 전류 지령 생성부(330), 전압 지령 생성부(340), 축변환부(3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변환부(3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삼상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로 변환한다.
한편, 축변환부(310)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를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속도 연산부(320)는, 축변환부(310)에서 축변화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에 기초하여,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1
)와 연산된 속도(
Figure pat00002
)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3
)와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4
)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 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 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전류 지령치(i*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3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 d,i* 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 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 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d축 전류(id)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 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는, 축변환부(350)에 입력된다.
축변환부(350)는, 속도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5
)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
먼저, 축변환부(3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6
)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변환부(3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3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 구동장치(100)는, 인버터(420) 제어를 통하여, 모터(230)를 구동하는 벡터(vector) 제어를 하기 위해서, 모터(motor)에 흐르는 츨력 전류(io), 특히, 상전류(Phase current)를 감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감지된 상전류를 이용하여, 전류 지령 생성부(330), 전압 지령 생성부(340)를 이용하여, 모터(230)를, 원하는 속도와 토크(torque)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커몬 모드 노이즈의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의 노이즈 필터부(450)에, 도면과 같은 입력 교류 전원(Vsa)가 입력될 수 있다.
도 4의 전력변환장치(220) 내의 인버터(430) 등의 스위칭 동작 등에 따라, 입력 교류 전원(Vsa)에, 고조파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커몬 모드 노이즈(common noise noise)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커몬 모드 노이즈(common noise noise)로 인하여, 내부 회로 소자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며, 전력 변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도 7은 전원 접속부와 노이즈 필터부 사이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7의 전력변환장치(220x)는, 노이즈 필터부(450)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PCBa)과, 입력 교류 전원(Vs)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410), 컨버터(4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420)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PCBb)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7의 전력변환장치(220x)는, 입력 교류 전원(Vs)이 입력되는 전원 접속부(900)와, 제1 회로 기판(PCBa) 사이가, 케이블(CAB1,CAB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케이블(CAB1,CAB2)로 인하여, 노이즈 필터부(450)의 효과가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도 8a와 같이, 전력변환장치(220x)의 케이스(CAS) 내에 제1 회로 기판(PCBa)과, 제2 회로 기판(PCBb)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 모터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nse)가, 제2 회로 기판(PCBb)을 거쳐, 케이스(CAS)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nse)로 인하여, 결국, 노이즈 필터부(450)에서 커몬 모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b과 같이, 전력변환장치(220x)의 케이스(CAS) 내에 제1 회로 기판(PCBa)과, 제2 회로 기판(PCBb)이 이격되어 배치하되, 제1 회로 기판(PCBa)과, 제2 회로 기판(PCBb)이, 각각 케이스(CAS)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8b의 경우, 제1 회로 기판(PCBa)과, 제2 회로 기판(PCBb)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원 접속부(900)와 노이즈 필터부(450)가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근접하게 배치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9는 전원 접속부와 노이즈 필터부 사이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9의 전력변환장치(220b)는, 노이즈 필터부(450)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PCBa)과, 입력 교류 전원(Vs)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410), 컨버터(4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420)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PCBb)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9의 전력변환장치(220b)는, 전원 접속부(900) 상에 노이즈 필터부(450)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하면, 도 7의 설명에서 기술한, 케이블(CAB1,CAB2)이 제거되므로, 노이즈 필터부(450)의 효과가 커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전력변환장치(220b)에 대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의 전력변환장치(220a)는, 케이스(CAS) 내에, 특히, 케이스(CAS) 상에, 노이즈 필터부(450)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PCBa)과, 입력 교류 전원(Vs)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410), 컨버터(4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420)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PCB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10의 전력변환장치(220a)는, 케이스(CAS) 내에, 특히, 케이스(CAS) 상에, 전원 접속부(900a)가, 제1 회로 기판(PCBa)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의 전력변환장치(220a)는, 전원 접속부(900)와 제1 회로 기판(PCBa) 사이에 접속되어, 입력 교류 전원(Vs)을 제1 회로 기판(PCBa)으로 전송하는 케이블(CAB1,CAB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전력변환장치(220a)는, 전원 접속부(900)와 제1 회로 기판(PCBa)은 절연되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CAS) 중 전원 접속부(900)가 위치하는 영역과, 제1 회로 기판(PCBa)이 위치하는 영역 사이에 절연체(ISO)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2 회로 기판(PCBb) 또는 제1 회로 기판(PCBa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전원 접속부(900a)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게되며, 따라서, 커먼 모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의 전력변환장치(220a)는, 제1 회로 기판(PCBa)과 케이스(CAS) 사이에 그라운드 접속을 위한 제2 케이블(Cg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제2 케이블(Cgn)이, 케이스(CAS)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이즈 필터부(450)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PCBa)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상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1a 및 도 11b의 전력변환장치(220b)는, 케이스(CAS) 내에, 특히, 케이스(CAS) 상에, 노이즈 필터부(450)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PCBa)과, 입력 교류 전원(Vs)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410), 컨버터(4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420)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PCB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11a 및 도 11b의 전력변환장치(220b)는, 케이스(CAS) 내에, 특히, 케이스(CAS) 상에, 전원 접속부(900)가 배치되고, 전원 접속부(900) 상에 노이즈 필터부(450)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접속부(900) 상에 절연체가 배치되며, 이 절연체 상에 제1 회로 기판(PCBa)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회로 기판(PCBb) 또는 제1 회로 기판(PCBa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전원 접속부(900b)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게되며, 따라서, 커먼 모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도 10의 설명에서 기술한, 케이블(CAB1,CAB2)이 제거되므로, 노이즈 필터부(450)의 효과가 커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접속부(900)는, 입력 교류 전원(Vs)이 입력되는 전원 단자(910a~910d)를 포함하고, 전원 단자(910a~910d)와 제1 회로 기판(PCBa)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a 및 도 11b의 전력변환장치(220b)는, 전원 단자(910a~910d)와 제1 회로 기판(PCBa) 사이에 접속되어, 입력 교류 전원(Vs)을 제1 회로 기판(PCBa)으로 전송하는 케이블(cca~cc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의 전력변환장치(220b)는, 제1 회로 기판(PCBa)과 케이스(CAS) 사이에 그라운드 접속을 위한 제2 케이블(Cgn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제2 케이블(Cgnb)이, 케이스(CAS)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이즈 필터부(450)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PCBa)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몬 모드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노이즈 필터부(450)가, 입력 교류 전원(Vsa)의 전류 검출을 위한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사용하는 경우, 높은 레벨의 교류 전원으로 인하여, 트랜스포머의 특성에 제약이 있으며, 특히, 보상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커먼 모드 노이즈를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저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노이즈 필터부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노이즈 필터부(420)는, 액티브 필터링을 수행하는 액티브 필터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노이즈 필터부(420)는, 커먼 모드 노이즈 감지부(453), 커먼 모드 노이즈 보상부(459), 및 커먼 모드 노이즈 감지부(453)와 커먼 모드 노이즈 보상부(459)의 절연을 위한 트랜스포머(45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스포머(454)는, 제1 커패시터부(451)와 제2 커패시터부(456) 사이에 절연할 수 있다.
커먼 모드 노이즈 감지부(453)는, 제1 커패시터부(451), 제1 트랜스포머(4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부(451)는, 입력 교류 전원(Vs)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커패시터부(451)는, 입력단의 양단(a-b단)에, 각각 접속되는 커패시터들(Caa,Ca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커패시터들(Caa,Cab)은, Y 자 형태로, 입력단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Y 커패시터라 명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패시터부(451)는, 하이패스 필터링을 수행하여, 저주파의 입력 교류 전원은 차단하고, 고주파의 커몬 모드 노이즈(ina)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패시터부(451)는, 입력 교류 전원(Vs) 중 커먼 모드 노이즈(ina)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커패시터부(451)를 통해, 레벨이 작은 커몬 모드 노이즈를 출력함으로써, 간단하게 커몬 모드 노이즈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제1 트랜스포머(452)는, 제1 커패시터부(451)로부터의 전류(ina)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랜스포머(452)는, 입력 교류 전원(Vs)의 커몬 모드 노이즈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트랜스포머(452)는, 소형의 트랜스포머일 수 있다.
한편, 노이즈 필터부(450)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 보다, 제1 트랜스포머(452)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증폭기(455)는, 제1 트랜스포머(452)에서 감지된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폭기(455)는, 제1 트랜스포머(452)에서 감지된 커몬 모드 노이즈를 증폭할 수 있다.
한편, 증폭기(455)는, dc단 커패시터(C)의 양단의 전압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증폭기(455)를 위한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 커먼 모드 노이즈 보상부(459)는, 제2 트랜스포머(458), 제2 커패시터부(45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트랜스포머(458)는, 증폭기(455)로부터의 전류를 변환할 수 있다.
특히, 제2 트랜스포머(458)는, 제1 트랜스포머(452)에 인가되는 전류와, 제2 트랜스포머(458)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위상이 반대가 되도록, 증폭기(455)로부터의 전류를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트랜스포머(458)는, 증폭기(455)로부터의 커몬 모드 노이즈의 위상을 변환하여,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보상 신호(inb)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패시터부(456)는, 제2 트랜스포머(458)로부터의 전류를 필터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커패시터부(456)는, 노이즈 필터부(450)의 출력단의 양단(c-d단)에, 각각 접속되는 커패시터들(Cba,Cb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커패시터들(Cba,Cbb)은, Y 자 형태로,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Y 커패시터라 명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패시터부(456)는, 하이패스 필터링을 수행하여, 저주파 신회는 차단하고, 고주파의 커몬 모드 노이즈(ina)와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보상 신호(inb)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이즈 필터부(450)의 출력단의 양단(c-d단)에, 출력되는 보상 신호(inb)에 의해, 입력 교류 전원(Vs)에 포함되는 커먼 모드 노이즈(ina)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폭 넓은 주파수 대역의 커먼 모드 노이즈(ina)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트랜스포머(452)를 이용하여, 커몬 모드 노이즈를 감지하고, 제2 트랜스포머(458)를 이용하여, 커몬 모드 노이즈를 보상함으로써, 서지 등의 왜란에 대한 신뢰성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커몬 모드 노이즈의 보상을 위해, 별도의 스위치 소자가 필요 없으므로, 제조 비용이 저감된 노이즈 필터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 12의 노이즈 필터부(450)는, 상술한 도 4 내지 도 11b에 적용이 모두 가능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12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220)는, 도 1의 공기조화기(100) 외에 다양한 홈 어플라이언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세탁기, 건조기 등), 냉장고, 정수기, 로봇 청소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3의 공기조화기(100b)는, 도 1의 시스템형 공기조화기와 달리, 하나의 실외기(31b)를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31b), 실내기(31b)에 연결되는 실외기(21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31b)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스탠드형 실내기(31b)를 예시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b)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b)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외기(21b)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b)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1b)는 원격제어기(미도시) 또는 실내기(31b)의 요구(dema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외기(21b)는, 연결된 실내기(310b)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한다.
실내기(31b)는, 실외기(21b)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31b)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21b) 및 실내기(31b)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리모컨(미도시)은 실내기(31b)에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b)는, 크게 실내기(31b)와 실외기(21b)로 구분된다.
실외기(21b)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b)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b)와, 실외 열교환기(104b)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b)과 실외팬(105ab)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b)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b)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b)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b) 등을 포함한다.
실내기(31b)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9b)와, 실내측 열교환기(109b)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b)과 실내팬(109ab)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b)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9b)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b)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b)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의 실외기(21b) 내의 압축기(102b)는, 압축기 모터(250b)를 구동하는, 도 3과 같은, 전력변환장치(2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실내팬(109ab) 또는 실외팬(105ab)은, 각각 실내팬 모터(109bb), 실외 팬 모터(150bb)를 구동하는, 도 3과 같은, 전력변환장치(2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력변환장치 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전력변환장치 또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입력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접속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노이즈 필터부를 구비하는 제1 회로 기판;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접속부와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와 상기 제1 회로 기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으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중 상기 전원 접속부가 위치하는 영역과,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위치하는 영역 사이에 절연체가 배치되는 전력변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그라운드 접속을 위한 제2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 상에 절연체가 배치되며, 상기 절연체 상에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전력변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는,
    상기 입력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력변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와 상기 제1 회로 기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회로 기판으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그라운드 접속을 위한 제2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부는,
    상기 입력 교류 전원을 필터링하는 제1 커패시터부;
    상기 제1 커패시터부로부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제1 트랜스포머;
    상기 제1 트랜스포머에서 감지된 전류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로부터의 전류를 변환하는 제2 트랜스포머;
    상기 제2 트랜스포머로부터의 전류를 필터링하는 제2 커패시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스포머에 인가되는 전류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위상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부는,
    상기 입력 교류 전원 중 커먼 모드 노이즈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와 상기 인버터 사이에 배치되는 dc단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dc단 커패시터의 양단의 전압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부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 보다, 상기 제1 트랜스포머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부는,
    상기 입력 교류 전원의 커몬 모드 노이즈를 감지하는 제1 트랜스포머;
    상기 제1 트랜스포머에서 감지된 상기 커몬 모드 노이즈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로부터의 상기 커몬 모드 노이즈의 위상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178651A 2017-12-22 2017-12-22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07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651A KR102074777B1 (ko) 2017-12-22 2017-12-22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651A KR102074777B1 (ko) 2017-12-22 2017-12-22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669A true KR20190076669A (ko) 2019-07-02
KR102074777B1 KR102074777B1 (ko) 2020-02-07

Family

ID=6725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651A KR102074777B1 (ko) 2017-12-22 2017-12-22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250A (ko) * 2019-10-09 2021-04-19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CN114208007A (zh) * 2019-09-09 2022-03-18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电路体和制冷循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0037A (ja) * 2008-03-26 2009-10-15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電力変換装置
KR20120087733A (ko) * 2011-01-28 2012-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2017041920A (ja) * 2015-08-17 2017-02-23 東芝シュネデール・インバータ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JP2017224796A (ja) * 2016-06-14 2017-12-21 台達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Delta Electronics,Inc. 電子装置の電磁波障害防止手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0037A (ja) * 2008-03-26 2009-10-15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電力変換装置
KR20120087733A (ko) * 2011-01-28 2012-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2017041920A (ja) * 2015-08-17 2017-02-23 東芝シュネデール・インバータ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JP2017224796A (ja) * 2016-06-14 2017-12-21 台達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Delta Electronics,Inc. 電子装置の電磁波障害防止手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8007A (zh) * 2019-09-09 2022-03-18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电路体和制冷循环装置
KR20210042250A (ko) * 2019-10-09 2021-04-19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US11489547B2 (en) 2019-10-09 2022-11-0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757478B2 (en) 2019-10-09 2023-09-1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777B1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727B1 (ko) 공기조화기
EP3093584B1 (en) Outdoor fan mot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10344998B2 (en) Air conditioner
KR101482101B1 (ko) 공기조화기
US8120299B2 (en) 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KR20100012077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WO2009082068A2 (en) Method for controlling motor of air conditioner
KR102074777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478880B1 (ko) 모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70004487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90051331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50074754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20220205673A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2010388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0940097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WO2009064050A2 (en) 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KR20190076668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90005644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0445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90108000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150B1 (ko)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080519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20220220966A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20200013501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90107997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