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505A - Buckle apparatus for safety belt - Google Patents

Buckle apparatus for safety be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505A
KR20190076505A KR1020170178341A KR20170178341A KR20190076505A KR 20190076505 A KR20190076505 A KR 20190076505A KR 1020170178341 A KR1020170178341 A KR 1020170178341A KR 20170178341 A KR20170178341 A KR 20170178341A KR 20190076505 A KR20190076505 A KR 20190076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terminal
fixed
switch
e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7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6505A/en
Publication of KR2019007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5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device for a seat bel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 device (100) for the seat belt includes a buckle assembly (200) for locking or releasing a tongue (10), and an upper cover (110) and a lower cover (120) having the buckle assembly (200) therein. The buckle assembly (200) includes a switch (211) which detects whether the tongue is separated or not to detect the driver and passenger wearing of the seat belt. The switch (211) includes a fixed switch terminal (220) and a movable switch terminal (240) provided adjacent to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so that one end thereof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and a part is positioned to protrude from a movable slit (219) on which an ejector (400) moves.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is in contact with the ejector (400) and has one end separated from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etween a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and a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to more accurately detect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 product, reducing a resistance flow between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the movable switch terminal, and reducing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escription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Buckle apparatus for safety bel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apparatus for a safety belt,

본 발명은 안전벨트 용 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device for a seat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ckle device for a seatbelt configure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to a buck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안전벨트 장치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안전벨트 장치는 사고 시 시트에 앉아 있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신체 중 일부가 차내의 구조물과 접촉하거나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물과 신체 사이를 차단하고, 또한 신체가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Generally,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safety belt device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the occupant. The seatbelt device blocks the structure and the body and prevents the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 so as to prevent some of the body of the driver and the occupant sitting on the seat at the time of the accident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or colliding with the structure in the vehicle .

특히, 상기 안전벨트(시트벨트)는 추돌 사고 시에 운전자와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주행 중 충돌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체를 고정시킴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Particularly, the seat belt (seat belt) serves to secure the driver and passenger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y fixing the upper body when a collision occurs while driving, thereby preventing the collision against the instrument panel, do.

이와 같은 안전벨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플로워 패널의 일측에 케이블로 고정되는 버클, 센터필라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웨빙이 권치되어 있는 리트렉터, 리트렉터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풀려 있는 웨빙(Webbing) 상에 버클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텅(Tongue), 웨빙이 풀리거나 권취되면서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더, 및 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앵커로 이루어져 있다.The seatbelt device includes a buckle fixed to one side of a floor panel by a cable, a retractor to which a webbing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pillar is retracted, a webbing A tongue provided on the webbing to be engaged with the buckle, a guider for preventing the webbing from being twisted while being unwound or wound, and an anchor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lt.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안전벨트 장치는 벨트 착용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버클 내에 별도의 홀 스위치 및 경보 스위치가 설치된다. 이때, 벨트착용 여부 감지방법은 자석의 위치변화에 의해 형성되는 자장에 따라 동작하는 홀 센서를 이용하는 비접촉식 감지방법과, 경보스위치로써 마이크로스위치나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상기 홀 스위치 방식과 경보 스위치 방식은 각각 또는 동시에 이용될 수 있다.The seatbelt device thus constructed is provided with a separate hall switch and an alarm switch in the buck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belt is worn. At this time, the method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elt is worn is a non-contact type sensing method using a Hall sensor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magnetic field formed by a change in the position of a magnet, and a method of sensing by a micro switch or a reed switch as an alarm switch. The hall switch method and the alarm switch method can be us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이때,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위해 텅을 버클에 체결하게 되면, 텅에 의해 스위치 단자가 단락되어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고, 텅을 버클에 체결하지 않으면, 경고등이 계속 점등된 상태로 있게 함으로써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driver or the passenger fastens the tongue to the buckle in order to wear the seat belt, the switch terminal is short-circuited by the tongue so that the warning light does not light up. If the tongue is not fastened to the buckle, So that the state of wearing the seat belt can be know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버클에는 텅이 끼워지는 홀더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텅이 홀더공에 삽입되면, 버클 내에 설치된 래치 부재가 텅에 끼워지고, 래치 부재는 록킹 바에 의해 텅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벨트가 탑승자를 구속하도록 한다.The buck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with a holder hole into which a tongue is inserted. At this time, when the tongue is inserted into the holder hole, the latch member installed in the buckle is inserted into the tongue, and the latch member is retained in the tongue by the locking bar so that the seat belt can restrain the occupant.

그리고 상기 텅과 래치 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릴리스 버튼이 해제 방향으로 가압되면, 록킹 바는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텅 플레이트가 버클로부터 해지된다.When the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the release direction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tongue and the latch member, the locking bar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tongue plate is released from the buckle.

이때, 상기 배클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 단자들도 상기 래치 부재와 록킹 바의 결합 및 해제에 따라 서로 접촉 및 분리됨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감지한다.At this time, the switch terminals installed in the bake are also contacted with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latch member and the locking bar, there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worn.

그러나 상기 홀더공은 버클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홀더공을 통해 차량으로 먼지나 수분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이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버클 내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holder hole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state where the buckle is not inserte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moisture may be introduced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holder hole. In addition, foreign mat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buckle by the buckle while the buckle is engaged or disengaged.

특히, 상기 버클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버클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 단자 등이 오작동을 일으켜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가 제대로 감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동이 불완전하여 안전벨트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못하는 문제점도 있다.Particularly, when a foreign matter enters the buckle, a switch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buckle causes a malfunction, so that it is not properly detected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or a function of the seat belt is not properly performed due to incomplete operation.

따라서, 버클 내부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가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buckle device for a safety belt that is configured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nd moistur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buckl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클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 스위치 단자 및 이동 스위치 단자 사이를 통해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ckle capable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nd moisture from flowing into between a fixed switch terminal and a movable switch terminal, And a buckle for a seat bel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에 따르면, 텅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버클 어셈블리; 내부에 상기 버클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커버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삽입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텅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래치부재, 상기 삽입슬릿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래치부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이젝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텅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슬릿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이젝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위치 몸체, 상기 스위치 몸체에 설치되는 고정 스위치 단자, 및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의 일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일부가 상기 이동슬릿으로부터 돌출되게 위치되는 이동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는 상기 이젝터와 접촉되는 것과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의 일단부와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의 일단부 중 어느 일측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ckle for a seatbelt, comprising: a buckle assembly for locking or unlocking a tongue; And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in which the buckle assembly is embedded; The buckle assembly includes a base frame that is seated on the lower cover and is engaged with the base cover, a base frame on which the insertion slit is formed, a latch member rotatably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to selectively engage the tongue, And a swit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tongue is detached and detecting whether the occupant wears a seat belt or not, A switch body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moving slit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sertion slit so that the ejector is selectively inserted, a fixed switch terminal provided on the switch body, and a fixed switch terminal provided adjacent to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selectively contacts one end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Wherein the movable switch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ejector and at the same time one end is separated from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one end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a protruding foreign matter inflow protrus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one end of the movable switch terminal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ovable switch terminal.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는,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이동슬릿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이젝터와 접촉하는 이젝터 접촉부, 상기 이젝터 접촉부로부터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이동단자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vable switch terminal includes a body portion forming a skeleton, an ejector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ward the moving slit and contacting the ejector, and an ejector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ejector contact portion toward the fixed switch terminal, A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and a barrel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ire.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는,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이젝터 접촉부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간섭방지 슬릿이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정단자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에는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를 향해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ed switch terminal includes a body portion forming a skelet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body portion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n interference preventing slit through which the ejector contact portion is inserted, And a barrel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ire, wherei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is protruded toward the moving terminal contacting portion from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는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로부터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에는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와 어긋나는 위치에 보조 유입 방지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에 따르면, 고정 스위치 단자의 고정 접촉부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가 형성되므로, 고정 스위치 단자의 고정단자 접촉부와 이동단자 스위치 단자의 이동단자 접촉부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단자 접촉부와 이동단자 접촉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uckle device for a seat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xed contact portion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the interval between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switch terminal Can be minimized. Therefor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etween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and 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worn,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에 따르면, 고정 스위치 단자의 고정 접촉부와 이동 스위치 단자의 이동 접촉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버클 어셈블리의 양측에 힘이 가압되더라도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에 의해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스위치 단자와 이동 스위치 단자 사이의 저항 유동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오작동 가능성도 줄어들어 제품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uckle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buckle assembly in a state where the fixed contact portion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contacts the moving contact portion of the moving switch terminal, The contact state can be maintained. Accordingly, not only the resistance flow between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the movable switch terminal is reduced, but also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스위치 단자 및 이동 스위치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스위치 단자 및 이동 스위치 단자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위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uckle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ed switch terminal and a movable switch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configuration of a fixed switch terminal and a movable switch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and 7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operation of a switch constituting a part of a buckle device for a seat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que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스위치 단자 및 이동 스위치 단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buckle device for a seat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fixed switch terminal and a movable switch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용 버틀 장치(100)는 텅(10)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버클 어셈블리(200), 내부에 상기 버클 어셈블리(200)가 내장되는 상부 커버(110) 및 하부 커버(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seat belt buckl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ckle assembly 200 for locking or unlocking a tongue 10, And an upper cover 110 and a lower cover 120. [

상기 상부 커버(1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릴리스 버튼(500)이 결합되고, 상기 릴리스 버튼(500)의 하부로 상기 텅(10)이 삽입된다.A release button 500 to be described below is coupled to the upper cover 110 and the tongue 10 is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release button 500.

상기 하부 커버(120)는 내부에 상기 버클 어셈블리(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커버(110)와 결합된다.The lower cover 120 is coupled to the upper cover 110 in a state where the buckle assembly 200 is mounted therein.

한편, 상기 버클 어셈블리(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양측벽과 바닥판을 포함하여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uckle assembly 200 includes a base frame 210 as shown in FIG. The base frame 210 includes both side walls and a bottom plate, and has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젝터(400)의 양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슬릿(미도시)이 형성된다. A pair of insertion slits (not shown)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210 to insert both ends of the ejecto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양측에는 래치부재(3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래치부재(300)는 상기 텅(10)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텅(10)을 잠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래치부재(300)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버클에 적용되는 것으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e end of the latch member 300 is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10. The latch member 300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tongue 10 to lock the tongue 10. The configuration of the latch member 300 is conventionally applied to the buck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는 상기 삽입슬릿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래치부재(30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이젝터(4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젝터(400)의 몸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바닥판을 따라 이동되며, 양단은 상기 삽입슬릿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이젝터(400)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버클에 적용되는 것으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n ejector 400, which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and locks or unlocks the latch member 300,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base frame 210. At this time, the body of the ejector 400 is moved along the bottom plate of the base frame 210, and both ends are moved along the insertion slit. The structure of the ejector 400 is generally applied to a buck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텅(10)이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전방에는 릴리스 버튼(50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릴리스 버튼(500)은 상기 이젝터(400)와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릴리스 버튼(500)은 착용자가 텅(10)의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때 가압되어 상기 이젝터(400)를 이동시켜 상기 텅(10)과 래치부재(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릴리스 버튼(500)은 통상적으로 버클에 적용되는 것으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210, a release button 50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ongue 10 is inserted. The release button 500 is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ejector 400. The release button 500 is pressed when the wearer tries to unlock the tongue 10 and moves the ejector 400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tongue 10 and the latch member 300 . The release button 500 is normally applied to the buck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스위치(211)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211)는 텅(10)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1, a switch 211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frame 210. The switch 211 senses whether or not the tongue 10 is detached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occupant wears the seat bel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211)는, 스위치 몸체(212), 고정 스위치 단자(220) 및 이동 스위치 단자(240)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witch 211 includes a switch body 212, a fixed switch terminal 220, and a movable switch terminal 240.

상기 스위치 몸체(21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스위치 몸체(212)는 걸이후크 및 결합공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과 결합되거나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witch body 21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210. The switch body 212 may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21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frame 210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hooking hook and a coupling hol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몸체(212)에는 고정 스위치 공간(213) 및 이동 스위치 공간(21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 스위치 공간(213) 및 이동 스위치 공간(215)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 스위치 단자(220) 및 이동 스위치 단자(240)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6 and 7, a fixed switch space 213 and a movable switch space 215 are formed in the switch body 212, respectively. The fixed switch space 213 and the movable switch space 215 are portions where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and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are located, respectively,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이동 스위치 공간(215)은 상기 고정 스위치 공간(213)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 스위치 공간(213) 및 이동 스위치 공간(215)은 서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된다.The movable switch space 215 is formed on the fixed switch space 213. The fixed switch space 213 and the movable switch space 215 exten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상기스위치 몸체(212)에는 접점공간(217)이 형성된다. 상기 접점공간(217)은 고정 스위치 단자(220)의 일단부 및 이동 스위치 단자(240)의 일단부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점공간(217)은 각각 상기 고정 스위치 공간(213) 및 이동 스위치 공간(215)과 연통된다.A contact space 217 is formed in the switch body 212. The contact space 217 is a portion where one end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and one end of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are located. The contact space 217 communicates with the fixed switch space 213 and the movable switch space 215, respectively.

상기 스위치 몸체(212)에는 이동슬릿(219)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슬릿(219)은 상기 이젝터(4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이동 슬릿(219)은 상기 접점공간(217)과 연통된다. A movable slit 219 is formed in the switch body 212. The moving slit 219 is a portion where the ejector 400 is selectively inserted. The moving slit 219 communicates with the contact space 217.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몸체(212)에는 고정 스위치 단자(220) 및 이동 스위치 단자(240)가 설치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switch body 212 is provided with a fixed switch terminal 220 and a movable switch terminal 240.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2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몸체(212)의 고정 스위치 공간(213)에 설치된다.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is installed in the fixed switch space 213 of the switch body 212, as shown in FIG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220)는 도전성 금속 재질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타발 및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골격은 몸체부(2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21)는 대략 판 형상이다. 상기 몸체부(221)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장부(223), 고정단자 접촉부(226), 및 바렐부(227)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연장부(223), 고정단자 접촉부(226), 및 바렐부(227)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As shown in FIG. 2,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conductive metal material in a progressive metal, and the skeleton is formed by a body portion 221. The body portion 221 has a substantially plate shape. The body portion 22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223,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and the barrel portion 227 to be described below and includes an extended portion 223, a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And the barrel portion 227 and the region can not be separated.

상기 연장부(223)는 상기 몸체부(221)의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223)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extension portion 223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21. The extension portion 22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상기 연장부(223)에는 간섭방지 슬릿(224)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 슬릿(224)은 상기 연장부(223)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 슬릿(2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젝터 접촉부(244)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간섭방지 슬릿(224)은 이젝터 접촉부(244)와 대응되게 형성된다.An interference preventing slit 224 is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223. The interference preventing slit 224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extending portion 223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terference prevention slit 224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positioned. The interference preventing slit 22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23)에는 고정단자 접촉부(22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는 상기 연장부(223)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단자 접촉부(245)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는 상기 접점공간(217)에 위치된다.2, a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is formed on the extension portion 223. As shown in FIG.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ed portion 223.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is a portion which is in selective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to be described below. 6 and 7,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is located in the contact space 217.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21)의 타측에는 바렐부(227)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27)는 와이어바렐(228)과 인슐레이션바렐(229)로 구성되는데, 상기 와이어바렐(228)은 와이어(W1)의 심선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W1)와 고정 스위치 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29)은 와이어(W1)의 피복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W1)가 고정 스위치 단자(220)와 물리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a barrel 227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21. The barrel 227 is composed of a wire barrel 228 and an insulation barrel 229. The wire barrel 228 is wrapped around the wire of the wire W1 so as to be pressed and connected to the wire W1 and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And the insulation barrel 229 is surrounded by the cover of the wire W1 so that the wire W1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

본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의 저면으로부터 이동단자 접촉부(245)를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는 이동단자 접촉부(245)의 선단보다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의 선단을 향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단자 접촉부(245)와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가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to 5,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3, the foreign object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26 toward the moving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45. In this case, 4,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may be longer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26 than the distal end of the moving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45. This is to ensure stable contact between 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and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는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타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26 and may be formed by punching.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s 230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interval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s 226 extend.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는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 및 이동단자 접촉부(245) 사이로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prevent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nd moisture from flowing between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26 and the moving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45.

또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는 상기 버클 어셈블리(200)의 양측에 힘이 가압되더라도 상기 고정 단자 접촉부(226)와 이동단자 접촉부(245)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also maintains contact between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26 and the moving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45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buckle assembly 200.

한편,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2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몸체(212)의 이동 스위치 공간(213)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240)는 상기 이젝터(400)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6 and 7, the movement switch terminal 240 is installed in the movement switch space 213 of the switch body 212.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while being moved by the contact with the ejector 4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240)는 도전성 금속 재질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타발 및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골격은 몸체부(2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41)는 대략 판 형상이다. 상기 몸체부(241)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젝터 접촉부(244), 이동단자 접촉부(245) 및 바렐부(247)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이젝터 접촉부(244), 이동단자 접촉부(245) 및 바렐부(247)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As shown in FIG. 2,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conductive metal material in a progressive metal, and the skeleton is formed by the body portion 241. The body portion 241 has a substantially plate shape. The body portion 24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and the barrel portion 247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And the barrel portion 247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 접촉부(244)는 상기 몸체부(24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이동슬릿(219)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젝터 접촉부(244)는 상기 이젝터(400)가 접촉되는 부분이다. 6 and 7,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41 toward the moving slit 219. As shown in FIG.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is a portion where the ejector 400 contact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젝터 접촉부(244)에는 절곡부(244')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44')는 상기 이젝터(400)와 면접촉 하도록 상기 이젝터 접촉부(244) 일부가 상기 이젝터(400)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244 '. The bent portion 244 'is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toward the ejector 400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jector 4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 접촉부(244)에는 이동단자 접촉부(245)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245)는 상기 이젝터 접촉부(244)로부터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245)는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의 저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24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에 직접 접촉된다. As shown in FIG. 2,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is provided with a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The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extends from the ejector contact portion 244 toward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The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is a portion that makes selectiv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as shown in Figs.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245)에는 보조 유입 방지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유입 방지 돌기는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와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245)와 고정단자 접촉부(226)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this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the movable terminal abutment portion 245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At this time, the auxiliary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This is to further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between the moving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45 and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26.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41)의 타측에는 바렐부(247)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47)는 와이어바렐(248)과 인슐레이션바렐(249)로 구성되는데, 상기 와이어바렐(248)은 와이어(W2)의 심선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W2)와 이동 스위치 단자(2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49)은 와이어(W2)의 피복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W2)가 이동 스위치 단자(240)와 물리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a barrel portion 247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241. The barrel 247 is composed of a wire barrel 248 and an insulation barrel 249. The wire barrel 248 is wrapped around the wire of the wire W2 so as to be pressed to the wire W2 and the movement switch terminal 240 And the insulation barrel 249 is wrapped around the wire W2 so that the wire W2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movement switch terminal 240. [

본 발명에서는 고정 스위치 단자(220)에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가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는 이동 스위치 단자(240)의 이동단자 접촉부(245)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is formed on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on 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of the moving switch terminal 240.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위치가 작동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 switch constituting a part of the buckle device for a seat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10)이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100)에 잠긴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220)의 고정 접촉부(226)에 형성된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와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240)의 이동 접촉부(245)는 서로 밀착된 상태에다. 6, when the tongue 10 is locked to the buckle device 100 for the seatbelt, as shown in FIG. 6, the fixed contact portion 226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The formed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and the moving contact portion 245 of the moving switch terminal 24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버클 어셈블리(200)의 양측에 힘이 가압되더라도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에 의해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220)와 이동 스위치 단자(240) 사이의 저항 유동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오작동 가능성도 줄어든다.At this time,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buckle assembly 200, they can b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Accordingly, not only the resistance flow between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and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is reduced, but also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is reduc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릴리스 버튼(500)을 눌러 상기 텅(10)의 잠금을 해제 시키면, 상기 릴리스 버튼(500)과 연결된 이젝터(400)가 이동되면서 상기 텅(10)에 끼워진 래치부재(300)의 잠금을 해제 시킨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leases the lock of the tongue 10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500, the ejector 400 connected to the release button 500 is moved and the latch member 500 inserted into the tongue 10 (300).

이때, 상기 이젝터(400)의 양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슬릿과 연통되는 이동슬릿(219)을 따라 이동된다.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ejector 400 are moved along the moving slit 219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lit,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이동슬릿(219)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240)의 절곡부(244')가 상기 이젝터(400)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240)를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2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bent portion 244 'of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protruding from the movable slit 219 contacts the surface of the ejector 400 and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is moved to the fixed switch terminal 240. [ (Not shown).

이와 같이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240)의 이동단자 접촉부(245)와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220)의 고정단자 접촉부(226) 사이가 이격되면, 그 사이로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of the movable switch terminal 240 and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2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st and foreign matter may enter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2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와 이동단자 접촉부(245)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226)와 이동단자 접촉부(245)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7,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26 and the moving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45 is minimized because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30 is formed on the fixed terminal contacting portion 226 . Therefor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etween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6 and 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245,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wor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텅 100: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
110: 상부 커버 120: 하부 커버
200: 버클 어셈블리 210: 베이스 프레임
211: 스위치 212: 스위치 몸체
213: 고정 스위치 공간 215: 이동 스위치 공간
217: 접점공간 219: 이동슬릿
220: 고정 스위치 단자 221: 몸체부
223: 연장부 224: 간섭 방지 슬릿
226: 고정단자 접촉부 227: 바렐부
228: 와이어바렐 229: 인슐레이션바렐
230: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 240: 이동 스위치 단자
241: 몸체부 244: 이젝터 접촉부
244': 절곡부 245: 이동단자 접촉부
247: 바렐부 248: 와이어바렐
249: 인슐레이션바렐 300: 래치부재
400: 이젝터 500: 릴리스 버튼

10: Tongue 100: Belt buckle for seat belt
110: upper cover 120: lower cover
200: buckle assembly 210: base frame
211: switch 212: switch body
213: fixed switch space 215: movable switch space
217: contact space 219: moving slit
220: fixed switch terminal 221:
223: extension part 224: interference prevention slit
226: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227: barrel portion
228: Wire Barrel 229: Insulation Barrel
230: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240: moving switch terminal
241: Body part 244: Ejector contact part
244 ': bent portion 245: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247: Barrel part 248: Wire barrel
249: Insulation barrel 300: Latch member
400: Ejector 500: Release button

Claims (5)

텅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버클 어셈블리;
내부에 상기 버클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커버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삽입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텅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래치부재, 상기 삽입슬릿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래치부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이젝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텅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슬릿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이젝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위치 몸체, 상기 스위치 몸체에 설치되는 고정 스위치 단자, 및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의 일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일부가 상기 이동슬릿으로부터 돌출되게 위치되는 이동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는 상기 이젝터와 접촉되는 것과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의 일단부와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의 일단부 중 어느 일측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
A buckle assembly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tongue;
And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in which the buckle assembly is embedded;
The buckle assembly includes:
A base frame which is seated on the lower cover and is formed with insertion slits,
A latch member rotatably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to selectively engage the tongue; an ejector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to lock or unlock the latch member; And a switch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tongue is separated and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occupant wears the seatbelt,
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switch body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se frame and having a moving sli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sertion slit so that the ejector is selectively inserted; a fixed switch terminal provided on the switch body; And a movable switch terminal, one end of which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a part of which is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movable slit, wherein the movable switch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ejector, And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is protruded on one side of one end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one end of the movable switch terminal contacting the one end of the fixed switch termin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스위치 단자는,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이동슬릿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이젝터와 접촉하는 이젝터 접촉부,
상기 이젝터 접촉부로부터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이동단자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switch terminal comprises:
A body part forming a skeleton,
An ejector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ward the moving slit and contacting the ejector,
A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ejector contact portion toward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fixed switch terminal,
And a barrel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i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위치 단자는,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이젝터 접촉부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간섭방지 슬릿이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정단자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에는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를 향해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ed switch terminal includes:
A body part forming a skelet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body por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n interference preventing slit through which the ejector contact portion is positioned,
A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portion and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moving terminal contacting portion,
And a barrel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ire,
Wherein the fixed terminal abut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moving terminal abutting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는 상기 고정단자 접촉부로부터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s ar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ixed terminal abutt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자 접촉부에는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돌기와 어긋나는 위치에 보조 유입 방지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ving terminal contact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protrusion.
KR1020170178341A 2017-12-22 2017-12-22 Buckle apparatus for safety belt KR201900765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341A KR20190076505A (en) 2017-12-22 2017-12-22 Buckle apparatus for safety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341A KR20190076505A (en) 2017-12-22 2017-12-22 Buckle apparatus for safety bel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505A true KR20190076505A (en) 2019-07-02

Family

ID=6725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341A KR20190076505A (en) 2017-12-22 2017-12-22 Buckle apparatus for safety bel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650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9500B2 (en) Seat belt equipment
KR101552659B1 (en) Buckle apparatus for seat belt
EP1400419A1 (en) Seatbelt buckle
EP1400420B1 (en) Multi-purpose buckle sensor assembly
US7296825B1 (en) Multiple output buckle switch
CN111196190A (en) Buckle assembly for child seats and other personal restraint systems
CN108501860B (en) Buckle device
US5014401A (en) Seat belt system
JP2015013565A (en) Seat belt device
CN109421654B (en) Seat belt device for vehicle
KR101925845B1 (en) Safety belt buckle
JP4301476B2 (en) buckle
CN112168511B (en) Restraint device for wheelchair occupant
KR20190076505A (en) Buckle apparatus for safety belt
KR101148166B1 (en) Buckle Hall Switch For Seat-Belt of Vehicle
US5781971A (en) Seat belt buckle with inertia locking mechanism
EP3868246B1 (en) Seatbelt buckle device and seatbelt device
KR101347264B1 (en) Seat belt buckle device
EP2653353B1 (en) Buckle and seatbelt device with same
CN113682260A (en) Belt guide device for a passenger-restraining safety belt of a motor vehicle
KR102225412B1 (en) Seat belt buckle
KR100452781B1 (en) Buckle switch of safety belt
CN112168509B (en) Restraint device for wheelchair occupant
KR101383230B1 (en) Seat belt buckle device
KR101383231B1 (en) Seat belt buck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