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349A -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6349A KR20190076349A KR1020170178079A KR20170178079A KR20190076349A KR 20190076349 A KR20190076349 A KR 20190076349A KR 1020170178079 A KR1020170178079 A KR 1020170178079A KR 20170178079 A KR20170178079 A KR 20170178079A KR 20190076349 A KR20190076349 A KR 201900763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rest
- seat body
- seat
- storage case
- str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3—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밭, 비닐하우스 또는 갯벌 등에서 쪼그린 채로 각종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있어서, 쪼그리지 않고 작업할 수 있게끔 하는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써 사출성형되는 것으로서 상판과 통형상의 측판을 포함하는 시트본체; 상기 시트본체의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등받이수납케이스; 상기 등받이수납케이스에 수납되는 것으로서 필요시 상방향으로 인출시켜 요추부분을 받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받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끼워지는 쿠션부재; 상기 시트본체의 전방에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핸드폰수납케이스; 상기 상판 또는 측판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트본체를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신체결속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밭, 비닐하우스 또는 갯벌 등에서 쪼그린 채로 각종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있어서, 쪼그리지 않고 작업할 수 있게끔 하는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농업이나 수산업을 영위함에 있어서, 밭, 비닐하우스 또는 갯벌 등에서 쪼그린 채로 오랜 시간을 일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쪼그린 자세는 인체의 건강에 매우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세는 특히 무릎관절에는 치명적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농업현장에서 작업연령이 고령화됨에 따라 무릎이 좋지 않은 작업자도 많게 되었다. 그러므로 쪼그린 채로 일을 하는 작업자 개인에게도 고통이 커질 수 있고 작업능률도 그만큼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근자에 작업용 방석 내지는 작업용 의자(stool)가 농촌에 보급되고 있다(이하, '작업용 의자'라 한다). 작업용 의자는 깔고 앉아 작업에 임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경량의 시트부와 시트부를 몸에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부를 포함한다. 이 밴브부에 의해 시트부를 항상 몸에 부착시킬 수 있어서 작업장소를 조금씩 옮길 때마다 시트부를 일일이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었다. 그러므로 이동시 작업용 의자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용 의자는 내구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경량화를 위하여 스티로폼을 사용한 결과 험한 작업에 의해 금방 못쓰게 되곤 하였다. 외부에 방치시 햇빛이나 우천에 의해서도 쉽게 오염 또는 손상되어 자주 새것으로 바꾸어야 했다. 또한 외피가 쉽게 찢어져 내부 소재가 겉으로 드러나 외관상 좋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10774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2015-0001011호 등과 같이 작업용 의자에 대한 개선과 제안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작업용 의자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안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용 의자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것에 있다. 더 나아가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사용의 편의성은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합성수지로써 사출성형되는 것으로서 상판과 통형상의 측판을 포함하는 시트본체; 상기 시트본체의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등받이수납케이스; 상기 등받이수납케이스에 수납되는 것으로서 필요시 상방향으로 인출시켜 요추부분을 받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받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끼워지는 쿠션부재; 상기 상판 또는 측판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트본체를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신체결속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 높이를 더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시트본체의 하단에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통형상의 받침대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시트본체의 상부에는 사각 형태의 보조시트가 결합되며, 상기 보조시트 중간에는 쿠션부재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쿠션안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조시트의 뒤에는 등받이가 통과하기 위한 등받이홈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시트의 앞쪽에는 상기 핸드폰수납케이스에 닿을 수 있게 하기 위한 핸드폰끼움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신체결속밴드는;
일단이 상기 시트본체의 양측 후방에 연결되는 2개의 측부끈부재와, 일단이 상기 시트본체의 전방에 연결되는 1개의 전방끈부재와,
허리춤에 받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측부끈부재의 중간 지점에는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연결되는 허리받침끈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측부끈부재의 끝부분과 전방끈부재의 상단에는 버클과 같은 체결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측부끈부재와 전방끈부재가 "T"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천이나 햇빛에 강하여 오랜 사용이 가능한 작업용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등받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오랜 사용시 피로가 적으며, 핸드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작업용 의자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본적 실실예를 설명하겠으며 이후 나머지 도면을 인용하면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의자는 주된 구성요소가 합성수지로써 사출성형된 시트본체(10)를 주된 구성요소로 한다. 시트본체(10)는 원통 또는 원뿔통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시트본체(10)는 밑이 넓고 위가 좁은 원뿔통 형태로 되어 있다.
시트본체(10)는 상판(11), 통형상의 측판(12) 및 바닥판(17)을 포함한다. 상판과(11) 측판(12)은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판(17)은 별도 성형한 다음 조립된다. 바닥판(17)은 나사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고 압박하여 끼운 상태에서 접착제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바닥판(17)은 시트본체(10)로 하여금 속이 빈 통의 형태로 하여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등받이삽입홈(13a)을 제공하는 등받이수납케이스(13)가 시트본체(10)의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마련된다.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받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받이(20)가 등받이수납케이스(13)의 등받이삽입홈(13a)에 수납된다. 등받이(20)는 필요시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필요없을 때는 아래로 밀어 등받이수납케이스(13)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등받이(20)는 작업시 엉덩이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받쳐주게 된다. 이는 오랜 작업시 허리의 부담을 크게 경감시켜준다. 등받이(20)는 정면에서 볼 때 "T"자 형태로 구성된다. 즉 등받이(20)는 기둥부재(22) 및 기둥부재(22)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가로대(21)로 구성된다. 등받이(20)의 설치 높이는 10 ~20cm 일 수 있으며 가로대(21)의 좌우폭은 12 ~ 20cm 일수 있다.
기둥부재(22)의 측면에는 화살표 방향(도 2의 확대도 참조)을 따라 탄성적으로 거동하는 높이고정구(23)가 마련된다. 등받이수납케이스(13)의 해당 위치, 즉 높이고정구(23)가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경로에는 높이고정구(23)가 돌출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고정홈(미도시됨)이 마련된다. 이로써 등받이(20)를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고정홈이 설치된 지점마다 '찰칵'하면서 높이고정구(23)가 끼워지고 해당 위치에서 등받이(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등받이(20)는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20)는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상단이 시트본체(10)의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5 ~10°)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본체(10)의 전방에는 핸드폰수납공간(14a)을 제공하기 위한 핸드폰수납케이스(14)가 세로방향으로 마련된다. 핸드폰수납케이스(14)는 작업시 핸드폰(또는 스마트폰)을 꽂아두기 위한 곳이다. 작업시 복장이 핸드폰을 보관하기가 어렵기 마련인데, 이에 의하면 편리하게 핸드폰을 보관하여 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걸려오는 전화를 편리하게 받을 수 있게 된다. 핸드폰수납케이스(14)에는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배수공(미도시됨)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드폰이 침수되는 문제를 없애기 위함이다.
시트본체(10)의 상판(11)은 측판(12)의 상단에서 아래로 약간 들어간 위치에 마련된다. 즉 상판(11)은 분지와 같이 마련되는데, 이에 의해 쿠션부재(50)를 안착시키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쿠션부재(50)는 상판(1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판(11)과 측판(12)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측벽에 쿠션부재(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미도시됨)을 마련할 수 있다. 쿠션부재(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시트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식, 홈과 돌기에 의한 결합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벨크로테잎(51,52)이 이용되고 있다. 즉 벨크로테잎(51,52)이 상판(11)의 상면 및 쿠션부재(50)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쿠션부재(50)는 솜, 스티로폼 등 쿠션을 갖는 각종의 소재가 이용되는 것으로서 완충효과 및 보온효과를 제공한다.
시트본체(10)를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신체결속밴드(40)가 상판(11) 또는 측판(12)의 상단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신체결속밴드(40)는 일단이 상기 시트본체(10)의 양측 후방에 연결되는 2개의 측부끈부재(41,42)와, 일단이 상기 시트본체(10)의 전방에 연결되는 1개의 전방끈부재(45)로 구성되고 있다. 측부끈부재(41,42)의 끝부분과 전방끈부재(45)의 상단에는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과 유사한 방식의 체결부재(43,44,46)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측부끈부재(41,42)와 전방끈부재(45)가 "T"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버클본체(46)에 마련된 해제버튼(47)을 누름으로써 버클본체(46)에서 고리(43,44)가 달린 측부끈부재(41,42)가 분리될 수 있다.
신체 고정을 위하여 허리벨트와 측부끈부재(41,42)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측부끈부재(41,42)의 중간 지점에는 허리춤에 받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허리받침끈부재(48)가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더 연결될 수 있다. 허리받침끈부재(48)는 허리벨트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신체에 국부적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넓은 폭(예를 들어, 50 ~100mm)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방식 이외의 다양한 방식의 체결수단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체결속밴드(40)에 의해 시트본체(10)를 항상 몸에 달라붙게 할 수 있다. 신체결속밴드(40)의 구조는 기존의 작업방석에 준하여 설계될 수 있다. 신체결속밴드(40)의 각 끈부재(41,42,45,48)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더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의자로서의 사용 높이를 더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시트본체(10)의 하단에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통형상의 받침대(6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키가 큰 사용자나 작업의 특성상 더 높은 의자가 필요한 경우에는 받침대(60)를 더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받침대(60)는 나사식으로 시트본체(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엘(L)자 형태의 홈을 만들고 이 홈에 돌기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받침대(60)는 통형상으로서 강성을 높이기 위한 강성보강부재(미도시됨)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본체(10)의 상부에는 사각 형태의 보조시트(70)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원형 시트가 좋으면 위에 설명된 대로 사용하면 되고, 사각시트가 더 좋으면 이하 설명되는 보조시트(70)를 시트본체(10) 위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보조시트(10)는 둔부의 형상과 유사하게 좌우로 기다란 장방형의 사각 형태의 사각판체(72)를 가진다. 사각판체(72)의 중간에는 쿠션부재(5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쿠션안착부(71)가 마련된다.
보조시트(70)의 뒤에는 등받이(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받이홈(72b)이 마련되고, 보조시트(70)의 앞쪽에는 전술한 핸드폰수납케이스(14)에 핸드폰을 넣을 수 있게 하기 위한 핸드폰끼움홈(72a)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드폰수납케이스(14)는 전방이 아닌 측방에 마련될 수도 있다.
쿠션부재(50)는 보조시트(70) 중간에 마련된 쿠션안착부(7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쿠션안착부(71)에는 쿠션부재(50)를 고정시키기 위한 벨크로테잎(51')이 마련될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당업자는 위에 개시된 실시예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모든 조합은 위에서 구체적 언급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시트본체
11 : 상판
12 : 측판 13 : 등받이수납케이스
14 : 핸드폰수납케이스 17 : 바닥판
20 : 등받이 21 : 가로대
22 : 기둥부재 40 : 신체결속밴드
41,42 : 측부끈부재 45 : 전방끈부재
48 : 허리받침끈부재 50 : 쿠션부재
51,51',52 : 벨크로테잎 60 : 받침대
70 : 보조시트 71 : 쿠션안착부
72 : 사각판체 72a : 핸드폰끼움홈
72b : 등받이홈
12 : 측판 13 : 등받이수납케이스
14 : 핸드폰수납케이스 17 : 바닥판
20 : 등받이 21 : 가로대
22 : 기둥부재 40 : 신체결속밴드
41,42 : 측부끈부재 45 : 전방끈부재
48 : 허리받침끈부재 50 : 쿠션부재
51,51',52 : 벨크로테잎 60 : 받침대
70 : 보조시트 71 : 쿠션안착부
72 : 사각판체 72a : 핸드폰끼움홈
72b : 등받이홈
Claims (5)
- 합성수지로써 사출성형되는 것으로서 상판과 통형상의 측판을 포함하는 시트본체;
상기 시트본체의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등받이수납케이스;
상기 등받이수납케이스에 수납되는 것으로서 필요시 상방향으로 인출시켜 요추부분을 받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받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끼워지는 쿠션부재;
상기 상판 또는 측판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트본체를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신체결속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사용 높이를 더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시트본체의 하단에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통형상의 받침대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의 상부에는 사각 형태의 보조시트가 결합되며, 상기 보조시트 중간에는 쿠션부재를 끼워넣을 수 있는 쿠션안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조시트의 뒤쪽에는 등받이가 통과하기 위한 등받이홈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시트의 앞쪽에는 상기 핸드폰수납케이스로 통하게 하기 위한 핸드폰끼움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결속밴드는;
일단이 상기 시트본체의 양측 후방에 연결되는 2개의 측부끈부재와, 일단이 상기 시트본체의 전방에 연결되는 1개의 전방끈부재와, 허리춤에 받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측부끈부재의 중간 지점에는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연결되는 허리받침끈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측부끈부재의 끝부분과 전방끈부재의 상단에는 버클과 같은 체결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측부끈부재와 전방끈부재가 "T"자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의 전방에는 핸드폰수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핸드폰수납케이스가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8079A KR20190076349A (ko) | 2017-12-22 | 2017-12-22 |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8079A KR20190076349A (ko) | 2017-12-22 | 2017-12-22 |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6349A true KR20190076349A (ko) | 2019-07-02 |
Family
ID=6725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8079A KR20190076349A (ko) | 2017-12-22 | 2017-12-22 |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634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4683B1 (ko) * | 2021-01-29 | 2021-08-30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KR102294679B1 (ko) * | 2021-01-29 | 2021-08-30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US20230397732A1 (en) * | 2022-06-13 | 2023-12-14 | Oxti Pte Ltd | Chair structure with electronics support fr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7749A (ko) | 2008-04-10 | 2009-10-14 | (주)위지트 | 원격 검침 시스템 |
KR20150001011U (ko) | 2013-08-28 | 2015-03-11 | 한창식 | 커버의 탈착이 용이한 엘이디조명등 |
-
2017
- 2017-12-22 KR KR1020170178079A patent/KR2019007634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7749A (ko) | 2008-04-10 | 2009-10-14 | (주)위지트 | 원격 검침 시스템 |
KR20150001011U (ko) | 2013-08-28 | 2015-03-11 | 한창식 | 커버의 탈착이 용이한 엘이디조명등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4683B1 (ko) * | 2021-01-29 | 2021-08-30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KR102294679B1 (ko) * | 2021-01-29 | 2021-08-30 | 주식회사 에덴뷰 | 작업용 의자 |
US20230397732A1 (en) * | 2022-06-13 | 2023-12-14 | Oxti Pte Ltd | Chair structure with electronics support frame |
US11882941B2 (en) * | 2022-06-13 | 2024-01-30 | Oxti Pte Ltd | Chair structure with electronics support fr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76349A (ko) | 등받이를 갖는 작업용 의자 | |
US11033004B2 (en) | Leash with variable anchor | |
US7344194B2 (en) | Device for lumbar support | |
US6209951B1 (en) | Portable, foldable chair | |
US9027808B2 (en) | Holders for mobile devices | |
US20170311723A1 (en) | Foldable chair | |
US7717503B1 (en) | Collapsible chair apparatus | |
US9962249B2 (en) | Mobility aid for quadrupeds | |
CA2506715A1 (en) | Lumbar support device | |
CA2541583A1 (en) | Seat structure with elastic suspension | |
KR20120059742A (ko) | 작업용 방석의자 | |
US20080148473A1 (en) | Bathing chair with fixing device | |
CN102711558A (zh) | 承载支撑表面 | |
US10166891B2 (en) | Vehicular seat | |
KR20200036289A (ko) | 의자용 등받이 조립구조 | |
US20090317600A1 (en) | Elastic fabric cushion structure | |
KR20180077119A (ko) |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 |
KR102565166B1 (ko) | 작업용 의자 | |
KR101010986B1 (ko) | 직립식 지지용 의자 | |
KR200205718Y1 (ko) | 착용벨트가 구비된 깔판 | |
KR20170133248A (ko) |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 |
JP6731035B2 (ja) | 携帯用椅子 | |
EP3956172B1 (en) | Armrest for vehicle seat | |
KR20230127770A (ko) | 메쉬 구조로 이루어진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 |
KR200287297Y1 (ko) | 등받이 방석이 부설된 가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