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260A - Emg measuring band for optimizing electrode position - Google Patents

Emg measuring band for optimizing electrode 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260A
KR20190075260A KR1020170176711A KR20170176711A KR20190075260A KR 20190075260 A KR20190075260 A KR 20190075260A KR 1020170176711 A KR1020170176711 A KR 1020170176711A KR 20170176711 A KR20170176711 A KR 20170176711A KR 20190075260 A KR20190075260 A KR 20190075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b
electromyogram
electrode pai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3348B1 (en
Inventor
황정진
서영대
Original Assignee
(주) 로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임시스템 filed Critical (주) 로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76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348B1/en
Publication of KR2019007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3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61B5/04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61B5/7207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yogram band with an optimized electrode position which uses a small number of electrodes if possible even when relativ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muscles existing in a wearing body portion are unspecified to accurately detect desired electromyograms of the plurality of muscles, operates at low power as a wearable device, and obtains and transmits optimal electromyograms within a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The electromyogram band with an optimized electrode position includes a main electrode pair (11) for a first target muscle, and a plurality of pairs (12) of sub electrodes for second target muscles existing on unspecified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target muscle. An optimal pair among the plurality of pairs (12) of sub electrodes is used. Research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was carried out by receiving support for the design global expert corporation support project (bio-signal composite monitoring wireless wearable b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sign capacity enhancement, project number: 10077813) of the Korea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Description

전극 위치를 최적화한 근전도 밴드{EMG MEASURING BAND FOR OPTIMIZING ELECTRODE POSITION}EMG MEASURING BAND FOR OPTIMIZING ELECTRODE POSITION "

본 발명은 착용한 신체 부위에 존재하는 복수 근육의 상대적 위치 불특정에도 불구하고, 가능하면 적은 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원하는 복수 근육의 근전도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웨어러블 기기로서 저전력 운전하면서 무선 전송 능력의 한계 내에서 최적의 근전도를 얻어 전송할 수 있게 구성 가능한 전극 위치를 최적화한 근전도 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detects electromyograms of desired multiple muscles using as few electrodes as possible, despite the relative location indefinite of multiple muscles present in the body part of the wearer, and as a wearabl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yogram band in which an electrode position that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n optimal electromyogram in an optimal position is optimized.

본 발명과 관련된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글로벌 디자인 전문기업 육성사업(생체신호 복합 모니터링 무선 웨어러블 밴드 기술개발 및 디자인 역량강화, Bio-signal composite monitoring Wireless wearable b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sign capacity enhancement, 과제번호 : 10077813) 을 지원받아 수행하였다.The research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in the promotion of a global design specialized enterprise (bio-signal composite monitoring, wireless wearable b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sign capability enhancement, bio-signal composite monitoring wireless wearable b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sign capacity enhancement, ).

근전도는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전류 변화를 검출하여 얻는 신호로서, 적어도 이격 배치한 2개 전극을 근육 부위의 피부에 접촉시켜, 각 전극에서 검출되는 전위 신호 사이의 차 신호로 얻는다.The electromyogram is a signal obtained by detecting the current chang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muscles. The electromyogram is obtained as a difference signal between potential signals detected at each electrode by bringing at least two spaced apart electrod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muscular region.

이러한 근전도는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 중에 얻어야 하므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에 전극을 설치하여 얻고, 운동 상황을 분석하는 데 이용한다.Since these electromyograms must be obtained during exercise using muscles, they are obtained by installing electrodes in a wearable band type wearable body and are used for analyzing the exercise situation.

그런데, 운동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운동에 사용하는 모든 근육의 근전도를 얻어 분석하여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근육의 근전도를 얻기 어렵다.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exercise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obtain the electromyogram of all the muscles used in the exercise, bu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electromyogram of all the muscles practically.

이에, 가능하면 많은 근육의 근전도를 운동 중에 얻기 위한 등록특허 제10-1501661호는 복수의 근전도 센서를 밴드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게 하였다.Thus, in order to obtain as many EMGs as possible during exercis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501661 allows a plurality of EMG sensors to b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nd.

하지만, 근육의 위치는 사람마다 신체 조건이 달라 특정할 수 없어서, 등록특허 제10-1501661호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근전도 센서를 배치하게 된다.However, the position of the muscles can not be specified because the physical conditions vary from person to person, so that the number of electromyography sensors is more than necessary in the registration number 10-1501661.

또한, 웨어러블 기기는 불편함 없이 착용할 수 있도록 슬림화하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저전력 운전이 가능하여야만 하므로, 분석 프로그램을 설치 운용하는 스마트폰에게 근전도를 무선 전송하게 구성하고, 전력 소비가 많은 무선 전송 동작을 저전력으로 수행하게 구성하여야 한다. 이에, 저전력 무선 전송을 위해 제한된 전송 속도를 갖게 하여야 하는 데, 등록특허 제10-1501661호는 이에 대한 대책이 결여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earable device must be slim to be worn without inconvenience and operate at low power so as to be able to be used for a long time, the EMG is configured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in which the analysis program is installed and operated, Should be configured to perform with low power. Therefore, a limited transmission rate must be provided for low power wireless transmission, and Patent No. 10-1501661 lacks measures for this.

KR 10-1501661 B1 2015.03.05.KR 10-1501661 B1 2015.03.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을 최소한도로 구비하면서 위치 특정되지 않는 복수 근육의 근전도를 얻을 수 있고, 웨어러블 기기로서 저전력 운전에 따른 제한된 전송 능력의 한계 내에서 최적의 전극을 선별하여 타겟으로 정한 복수 근육의 근전도를 정확하게 얻어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전극 위치를 최적화한 근전도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myogram of a plurality of muscles which are provided with an electrode at a minimum position but which are not positionally specified, and which can be used as a wearable device, And to provide an electromyogram band in which an electromyogram of a muscle can be accurately obtained and an electrode position capable of wireless transmission can be optimiz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밴드는 감싸게 하며 착용할 신체 부위(1)의 제1 타겟 근육(2)에 접촉되도록 표지(16)에 의해 위치 표시되어 있는 메인 전극 쌍(11)과, 착용할 신체 부위(1)에서 제1 타겟 근육을 기준점으로 위치 불특정되는 제2 타겟 근육이 존재하는 영역에 분산되어 접촉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한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을 구비하여서, 제1 타겟 근육(2) 및 제2 타겟 근육(3)을 통해 검출되는 근전도 신호를 신호처리부(13)로 획득한 후 무선 통신모듈(14)을 통해 송신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omyogram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main electrodes 11 and a pair of main electrodes 11, which are positioned by a mark 1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first target muscle 2 of a body part 1 to be worn, , A plurality of sub electrode pairs (12)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dispersed and contacted in a region where second target muscles having a position and a specific position are present with a first target muscle as a reference point in a body part (1) And acquires an electromyogram signal detected through the first target muscle 2 and the second target muscle 3 by the signal processor 13 and transmits the electromyogram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상기 신호처리부(13)는 상기 무선 통신모듈(14)의 제한된 실시간 무선 전송 능력의 한계 내에서 제1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와 함께 실시간 전송할 제2 타겟 근육(3)의 근전도 신호를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중에서 검출되는 근전도 신호의 크기에 따라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을 통해 획득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to be transmitted in real time together with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first target muscle 2 within the limit of the limited real time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Electrode pair 12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MG signal detected in the sub-electrode pair 12 of the first sub-electrode pair 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처리부(13)는 서브 전극 쌍(12)을 선택할 시에 메인 전극 쌍(11)을 동상신호 인가를 위한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활용하고, 메인 전극 쌍(11) 및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으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할 시에는 선택받지 못한 서브 전극 쌍을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활용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or 13 uses the main electrode pair 11 as an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for applying the in-phase signal when the sub electrode pair 12 is selected, and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the selected sub-electrode pair 12 is used as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when the electromotive force signal is det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처리부(13)는 메인 전극 쌍(11) 및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으로 신호를 검출하는 중에 서브 전극 쌍(12)의 선택 과정을 간헐적으로 수행하여, 선택하는 서브 전극 쌍(12) 및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intermittently performs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sub-electrode pair 12 while detecting a signal with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the selected sub electrode pair 12, The sub electrode pair 12 to be selected and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can be chang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처리부(13)는 서브 전극 쌍을 선택하기 이전에 서브 전극 쌍을 통해 검출되는 상용 전기의 주파수 성분이 미리 정한 하한치 미만이면, 메인 전극 쌍(11)으로 정한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통해 인위적인 동상신호를 인가한 후, 각 서브 전극 쌍에 대해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 불평형을 해소하기 위한 보정을 전극별로 검출되는 동상신호의 크기에 따라 수행하고, 메인 전극 쌍(11) 및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으로 근전도 신호를 얻기 이전에 서브 전극 쌍 중에 정한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통해 인위적인 동상신호를 인가한 후, 메인 전극 쌍(11)에 대해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 불평형의 해소를 위한 보정을 전극별로 검출되는 동상신호의 크기에 따라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commercial electricity detected through the sub-electrode pairs before the selection of the sub-electrode pair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Phase signal to the main electrode pair 11, the correction i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in-phase signal detected for each electrode to eliminate the impedance unbalance between the electrodes for each sub-electrode pair, And an inphase in-phase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defined in the sub-electrode pair before the electromotive force signal is obtained by the selected sub-electrode pair 12, and then the impedance unbal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corrected with respect to the main electrode pair 11 Corre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phase signal detected for each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처리부(13)는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중에 검출한 근전도 신호에 잔류하는 동상신호가 미리 정한 상한치를 초과하는 것을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excludes, from the selection target, those in which the in-phase signal remaining in the electromyogram signal detected in the plurality of sub electrode pairs 12 exceeds the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전극 쌍(11) 및 각각의 서브 전극 쌍(12)이 설치된 위치에는, 설치 위치의 2개 전극으로 검출한 신호를 불평등하게 개별 증폭한 후 차동 연산하며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단을 2개조로 구비하여, 2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처리부(113, 123)를 배치하되, 2개조 수단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증폭하는 검출 신호를 상이하게 하고, 상기 신호처리부(13)는 2채널 디지털 데이터에 대해 동상잡음 파워를 동일하게 되도록 정규화한 후 동상잡음이 제거되도록 합성하여 근전도 신호를 얻는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s detected by the two electrodes at the mounting position are individually amplified in the positions where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the sub electrode pairs 12 are installed, Processing means (113, 123) for acquiring two-channel digital data, wherein the means for amplifying relatively large amplified detection signal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ignal processing means 13) normalize the two-channel digital data so that the same-phase noise power is equalized, and then combine the same so that the common-mode noise is removed to obtain an EMG signal.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근전도를 검출할 복수의 근육 중에 가장 중요한 제1 타겟 근육(2)에 맞춰 착용함으로써 제1 타겟 근육(2)의 근전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하고, 위치 특정되지 않는 제2 타겟 근육(3)이 존재하는 영역에 배치한 복수 서브 전극 쌍(13) 중에 선별하여 제2 타겟 근육(3)의 근전도를 검출하므로, 위치 특정되지 않는 복수 근육을 위해 설치하여야 할 전극 쌍의 수를 최소한도로 줄일 수 있고, 실시간 검출 능력의 한계 내에서 최적 위치의 전극 쌍만 사용하게 되어서, 저전력 운전 및 슬림화가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nables precise detection of the electromyogram of the first target muscle (2) by wearing the first target muscle (2) most important among the plurality of muscles to detect the electromyogram, Electromyograms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are detected in a plurality of the sub-electrode pairs 13 arranged in the region where the second target muscle 3 is present. Therefore, The number of pairs can be reduced to a minimum, and only the electrode pair at the optimum position is used within the limit of the real-time detection cap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as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low-power operation and slimnes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밴드(1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밴드(10)를 스마트폰으로 구성한 수신단(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한 후 신체 부위(1)에 착용한 상태로 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3은 근전도 밴드(10)를 착용한 신체 부위(1)의 근육 종류 및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밴드(10)의 전기 회로적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신호처리부(13)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6은 신호처리부(13)에 의해 이행되는 근전도 계측 방법의 순서도.
도 7은 제1 검출부(1331)의 변형된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밴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밴드에 있어서, 전처리부(113, 123)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밴드에 있어서, 신호처리부(13)의 상세 블록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yogram band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omyogram band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body part 1 after connected to a receiving terminal 20 composed of a smart phon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of use.
Fig. 3 schematically shows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muscles of the body part 1 wearing the electromyogram band 10; Fig.
4 is an electric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electromyogram band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shown in Fig.
6 is a flowchart of an electromyogram measur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Fig.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yogram ban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preprocessing sections 113 and 123 in an electromyogram b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in the electromyogram b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밴드(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근전도 밴드(10)에 매립시킨 전기신호선(111, 121)과, 근전도 밴드(10)의 일 구간에 공간을 조성하여 수용한 신호처리부(13), 무선 통신모듈(14) 및 배터리(15)와, 근전도 밴드(10)의 겉면 중 메인 전극 쌍(11)에 대응되는 면에 조성하여 메인 전극 쌍(11)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지(16)와, 안쪽면에 설치한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 12a, 12b, 12c, 12d) 중에 가려져 보이지 아니하는 일부 서브 전극 쌍(12c, 12d)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yogram band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electric signal lines 111 and 121 embedded in the electromyogram band 10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battery (not shown) accommodated in a space in a section of the electromyogram band 10, A cover 16 for forming a surface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myogram band 10 corresponding to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electrode pair 11, Some of the sub electrode pairs 12c and 12d, which are hidden and hidden from the sub electrode pairs 12 (12a, 12b, 12c, and 12d),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근전도 밴드(10)를 신체 부위(1)에 착용한 상태로 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에 예시한 사용 상태도에 의하면, 근전도 밴드(10)를 착용하는 신체 부위(1)는 위팔이고, 아령 운동하는 중에 근전도 밴드(10)에서 위팔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한 후, 스마트폰으로 구성한 수신단(20)에게 송신함으로써, 수신단(20)에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게 하는 상황을 보여준다.Fig.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walks the electromyogram band 10 shown in Fig. 1 while wearing the body part 1. Fig. According to the use state diagram shown in Fig. 2, the body part 1 wearing the EMG band 10 is upper arm, and EMG signals of the upper arm muscles are detected in the EMG band 10 during dumbbell exercise, To the receiver 20, thereby allowing the receiver 20 to analyze the EMG signal.

도 3은 근전도 밴드(10)를 착용한 신체 부위(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근전도 밴드(10)를 착용한 신체 부위(1)가 위팔이므로, 도 3에는 위팔에 존재하는 복수의 근육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tion of the body part 1 wearing the electromyogram band 10. Since the body part 1 wearing the electromyogram band 10 is a upper arm, a plurality of muscles present in the upper arm are schematically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전도 밴드(10)는 양 단부를 갖는 밴드 형태로 구성되어, 근전도를 측정할 신체 부위(1)를 둥글게 감싸게 한 후 양 단부에 구비한 체결 수단(17)을 상호 이어지게 하여 신체 부위(1)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일부 구간을 신축 가능한 탄성 밴드(17)로 구성하여서 상이한 굵기의 신체 부위(1)에도 착용할 수 있다.The electromyogram band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band shape having both ends so that the body part 1 to be measured for electromyogram is wrapped roundly and then the fastening means 17 provided at both ends are mutually connected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body part 1, and the elastic band 17 can be partly stretched and stretched,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body part 1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양 단부의 체결 수단(17)은 돌기와 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호 이어지게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쉽게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호 붙어 있으면 자기력을 갖는 자석으로 구성하여서,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도 있으며, 공지된 상이한 체결 수단으로 대체하여도 좋다.Although the fastening means 17 at both ends are shown to be mutually engaged by the engagement of the projections and the grooves, in order to prevent easy disengagement, the fastening means 17 is composed of a magnet having a magnetic force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engagement state Or may be replaced with a different fastening means known in the art.

탄성 밴드(17)는 전기신호선(111, 121)을 매립하지 아니한 구간에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기신호선(111, 121)을 신축 가능하게 하고, 신축에 의한 임피던스 변동이 근전도 검출에 영향을 주지 아니하게 구성하는 경우, 전기신호선(111, 121)을 매립하는 구간에도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elastic band 17 is shown to be provided in a section where the electric signal lines 111 and 121 are not embedded, the electric signal lines 111 and 121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t is also applicable to a period in which the electric signal lines 111 and 121 are buried.

근전도 밴드(10)의 어느 한 부위에는 내부 공간을 조성하여 신호처리부(13), 무선 통신모듈(14) 및 배터리(15)을 수용하게 하였다. An internal space is formed in one portion of the electromyogram band 10 to accommodat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battery 15. [

착용하는 신체 부위(1)의 피부에 접촉되는 안쪽 면에는 겉면에 표기한 표지(16)에 의해 위치를 가시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 메인 전극 쌍(11)과, 별도 표지을 두지 아니하고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한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을 구비한다.A main electrode pair (11)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earer's body part (1) to be visually recognizable by a mark (16) on the surface, and a pair of main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ub electrode pairs 12 arranged at intervals.

상기 메인 전극 쌍(11)은 근전도 밴드(10)에 둘레방향으로 따라 매립한 전기신호선(111)에 의해 개별적으로 신호처리부(13)에 연결되는 2개 전극(112)으로 구성된다. 근전도 밴드(10)로 감쌀 신체 부위(1)의 근육은 감싼 근전도 밴드(10)의 내부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존재하므로, 상기 메인 전극 쌍(11)의 2개 전극(112)은 관통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서, 근육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놓이게 한다. The main electrode pair 11 is composed of two electrodes 112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by electric signal lines 111 embedded in the electromyogram band 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muscles of the body part 1 wrapped by the electromyogram band 10 exist in a direc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electromyogram band 10 wrapped around the electromyogram band 10 so that the two electrodes 112 of the main electrode pair 11 are spaced apart To place the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scles.

여기서, 상기 메인 전극 쌍(11)이 설치된 위치의 겉면에는 상기 메인 전극 쌍(11)의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표지(16)를 구비함으로써, 근전도 밴드(10)로 감쌀 신체 부위(1)의 여러 근육 중에 원하는 특정 근육의 위치에 맞춰 상기 메인 전극 쌍(11)을 접촉시킬 수 있다.Here, the mark 16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electrode pair 1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ition where the main electrode pair 11 is provided, so that the number of the body parts 1 covered with the electromyogram band 10 The main electrode pair 1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uscle in accordance with a desired specific muscle position.

도 3을 참조하며 설명하면, 아령 운동할 시의 운동 상황을 분석하는 데 가장 중요한 위팔두갈래근을 제1 타겟 근육(2)으로 정하고, 상기 메인 전극 쌍(11)이 제1 타겟 근육(2)을 덮는 피부에 정확히 접촉되도록 상기 표지(16)를 활용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ain biceps twin muscle is most important for analyzing the exercise situation at the time of dumbbell exercise, and the main electrode pair 11 is divided into the first target muscle 2 (1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covering the skin (16).

이에 따라, 제1 타겟 근육(2)에서 발생하는 근전도 신호를 상기 메인 전극 쌍(11)을 통해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electromyogram signal generated in the first target muscle 2 can be accurately detected through the main electrode pair 11.

제1 타겟 근육(2)은 운동의 종류 및 착용할 신체 부위에 따라 상이하므로, 운동의 종류 및 착용할 신체 부위에 따라 정한 제1 타겟 근육(2)을 사용 설명서로 작성하여, 근전도 밴드(10)의 사용자가 사용 설명서를 보고 운동의 종류 및 착용 부위에 맞게 사용하게 하는 것이 좋다.Since the first target muscle 2 differs depending on the kind of exercise and the body part to be worn, the first target muscle 2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exercise and the body part to be worn is prepared in the manual and the EMG band 10 ) Users should refer to the instruction manual and make sure that they are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exercise and the area of wear.

그런데, 운동에 따른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운동 중에 사용되는 많은 수의 근육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얻어 제1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와 함께 종합 분석하는 것이 좋다. 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physic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exercise, it is preferable to obtain an electromyogram signal for a large number of muscles used in the exercise, if possible, and perform a comprehensive analysis together with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first target muscle (2).

이러한 이유로, 근전도 밴드(10)로 감싼 신체 부위(1)에 존재하는 근육 중에 제1 타겟 근육(2)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을 제2 타겟 근육(3)으로 정하고, 제2 타겟 근육(3)의 근전도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 12a, 12b, 12c, 12d)로 얻게 한다. For this reason, in the muscles present in the body part 1 wrapped with the electromyogram band 10, the remaining muscles other than the first target muscle 2 are defined as the second target muscles 3, And an electromyogram signal is obtained by the plurality of sub-electrode pairs (12: 12a, 12b, 12c, 12d).

각각의 서브 전극 쌍(12 : 12a, 12b, 12c, 12d)도 메인 전극 쌍(11)과 마찬가지로 매립한 전기신호선(121)에 의해 신호처리부(13)에 연결되는 2개 전극(122)을 관통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한 구성이지만, 메인 전극 쌍(11)과는 설치 위치가 상이하고, 인위적으로 제2 타겟 근육(3)의 위치에 맞추려는 것이 아닌 점에서도 차이 난다.Each of the sub electrode pairs 12 (12a, 12b, 12c, 12d) also penetrates two electrodes 122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by the embedded electric signal line 121 like the main electrode pair 11 But is different from the main electrode pair 11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is not intended to be match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artificially.

제1 타겟 근육(2)을 기준점으로 한 제2 타겟 근육(3)의 위치는 개인별 및 신체 부위별로 상이하므로, 제1 타겟 근육(2)의 위치를 특정하더라도 제2 타겟 근육(3)의 위치를 특정하기란 어렵다. Since the position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with the first target muscle 2 as a reference point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and the body part, even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target muscle 2 is specified, the position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Is difficult to specify.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착용한 신체 부위(1)가 위팔인 경우, 제1 타겟 근육(2)으로 정한 위팔두갈래근을 제외하고 위팔세갈래근 긴갈래, 위팔세갈래근 가쪽갈래, 위팔근, 위팔세갈개근 안쪽갈래 등의 근육이 존재한다. 이들 근육들 중에 제2 타겟 근육(3)을 1개 또는 2개 이상 정할 수 있지만, 제2 타겟 근육(3)의 위치는 개인별 위팔 굵기의 차이에 의해 상이하다.In the case where the body part 1 worn as shown in FIG. 3 is upper-arm, except for the upper-arm two-legged muscle defined by the first target muscle 2, the upper arm is divided into three upper arms, Muscles such as muscles inside the muscles, muscles inside the upper arm and the upper arm are present. Of these muscles, one or more second target muscles 3 can be defined, but the position of the second target muscles 3 differ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upper arm thickness.

예시적으로 위팔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아래팔, 위다리, 아래다리 등의 신체 부위에 착용하여 근전도를 검출하는 경우에도, 제1 타겟 근육(2)을 기준점으로 한 제2 타겟 근육(3)의 위치를 특정하기 어렵고, 신체 부위별로 제2 타겟 근육(3)으로 정할 근육이 1개일 수도 있고 2개 이상일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detecting the electromyogram by wearing on the body parts such as the lower arm, the upper leg, and the lower leg, the second target muscle 3 with the first target muscle 2 as the reference point It is difficult to specify the position, and there may be one muscle or two or more muscles to be determined as the second target muscle 3 for each body part.

이에 따라,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 12a, 12b, 12c, 12d)은 메인 전극 쌍(11)과 이격시키면서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서, 위치 불특정되는 제2 타겟 근육(3)에 근접하여 정확한 근전도 신호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us, the plurality of sub electrode pairs 12 (12a, 12b, 12c, and 12d) are spaced apart from the main electrode pairs 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possibility to obtain an accurate EMG signal in close proximity.

이때, 제2 타겟 근육(3)이 존재하는 영역(또는 감싼 부위의 일부 구간)은 제1 타겟 근육(2)을 기준점으로 하여 대략적으로 정할 수 있으므로, 제2 타겟 근육(3)이 존재하는 영역(또는 감싼 부위의 일부 구간)에 집중하여 분산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since the region in which the second target muscle 3 exists (or a part of the wrapped portion) can be roughly determined with the first target muscle 2 as a reference point, (Or a part of the wrapping portion) of the sub-electrode pairs 12 in a distributed manner.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13)는 상기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 12a, 12b, 12c, 12d) 중에 실시간 무선 전송 능력의 한계 내에서 근전도 신호를 최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을 선택하고, 상기 메인 전극 쌍(11)에 의한 제1 타겟 근육(2) 및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에 의한 제2 타겟 근육(3)의 근전도 신호를 실시간 획득한 후 무선 통신모듈(14)을 통해 송신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selects among the plurality of sub-electrode pairs 12 (12a, 12b, 12c, and 12d) capable of obtaining the electromyogram signal within the limits of the real-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by the first target muscle 2 and the selected sub electrode pair 12 by the main electrode pair 11 is acquired in real time and the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do.

이와 같이, 메인 전극 쌍(11)의 접촉 위치를 특정한 후 서브 전극 쌍(12)을 선택하여, 복수 근육의 근전도를 동시 검출하게 함으로써, 메인 전극 쌍(11)의 접촉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경우보다 서브 전극 쌍의 개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그만큼 근전도 밴드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로서 저전력 운전 및 무선 통신 능력 한계라는 제한된 조건 하에 최적의 근전도 신호를 얻어 분석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ct position of the main electrode pair 11 is specified and then the sub electrode pair 12 is selected to simultaneously detect the electromyograms of a plurality of muscles,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sub-electrode pairs and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EMG band and to obtain and analyze an optimal electromyogram signal under a limited condition of low power oper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y limit as a wearable device.

한편, 제1 타겟 근육(2)을 기준점으로 정한 제2 타겟 근육(3)이 존재하는 영역은 신체 부위별로 상이하므로, 복수 서브 전극 쌍(12)이 제2 타겟 근육(3)의 존재 영역에 맞게 배치되도록, 착용할 신체 부위별로 근전도 밴드(10)를 별도 제작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만, 서로 다른 착용 부위의 제2 타겟 근육(3)을 고려하여 복수 서브 전극 쌍(12)을 배치한 1 종류의 근전도 밴드(10)를 제작하여 여러 신체 부위에 사용하게 함으로써, 보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제품 구입비도 절감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gion where the second target muscle 3 is set as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target muscle 2 differs for each body part, the plurality of sub electrode pairs 12 are located in the existing region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It is also conceivable to separately manufacture the electromyogram bands 10 for the parts of the body to be worn so that they are arranged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However, one type of electromyogram band 10 in which the plurality of sub electrode pairs 12 are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at different wearing positions is manufactured and used for various body parts, It is convenient to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the product.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위팔의 경우에 위팔세갈래근 긴 갈래 및 위팔 세갈래근 가쪽갈래를 제2 타겟 근육(3)으로 선정하여, 이들 근육이 존재하는 구간을 통계적으로 정한 후 해당 구간에 집중되도록 복수 서브 전극 쌍(12)을 설치함으로써, 서브 전극 쌍(12)이 제2 타겟 근육(3)의 근전도 신호를 충분히 큰 파워로 검출할 수 위치에 놓이게 할 확률을 높인다. 아울러, 메인 전극 쌍(11)을 설치한 영역의 경계와 복수 서브 전극 쌍(12)이 설치된 영역의 경계 사이의 구간에는 서브 전극 쌍을 설치하더라도 사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해당 구간에는 서브 전극 쌍을 설치하지 아니하여서, 그만큼 서브 전극 쌍(12)의 설치 개수를 줄인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upper arm shown in FIG. 3, the second target muscle (3) is selected as the second target muscle (3) for the upper limb and the upper limb and the upper limb for the upper limb and the upper limb is statistically determined Electrode pairs 12 are provided so as to concentrate on the second target muscle 3 and the sub-electrode pairs 12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electromotive force signals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can be detected at a sufficiently large power. In addition, sub-electrode pairs are not us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boundary of the area where the main electrode pairs 11 are provided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areas where the plural sub-electrode pairs 12 are provided. Therefore, And the number of the sub-electrode pairs 12 is reduced accordingly.

상기 신호처리부(13)는 배터리(15)의 전기로 가동되며, 상기 메인 전극 쌍(11)에 의한 1개 채널의 근전도 신호 및 개별적으로 연결된 복수 서브 전극 쌍(12)에 의한 복수 채널의 근전도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14)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is operated by the electric power of the battery 15.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receives the one channel electrophoresis signal by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the plurality of channel electromyogram signals by the plural pairs of sub-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그런데, 상기 배터리(15)는 웨어러블 기기인 근전도 밴드(10)에 내장되어 소요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한정된 전력 공급 능력을 갖출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근전도 밴드(10)는 저전력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battery 15 is built in the electromyogram band 10, which is a wearable device, and has a limited power supply capability as means for supplying required powe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myogram band 10 is constructed so as to be capable of low-power operation.

또한, 근전도 밴드(10)에서 검출한 복수 채널의 근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야만, 운동 중의 근육 상태를 수신단(20)에서 실시간 분석할 수 있는 데, 이를 위한 상기 무선 통신모듈(14)은 제한된 실시간 무선 전송 능력을 갖고 있으며, 특히,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을 채용하는 경우 더욱 제한된 실시간 무선 전송 능력을 갖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MG signal of a plurality of channels detected by the EMG band 10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he receiving terminal 20 can analyze the muscle state during exercise in real time, And has a more limited real-time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when employing a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에서 운동 중에 획득한 근전도를 전달할 수신단(20)은 근전도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스마트폰으로 하므로, 수신단(20)과는 블루투스로 근거리 무선 연결하게 되는 데, 이때, 저전력 운전을 위해서 블루투스 4.0 (BLE : 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Generally, the receiving terminal 20, which transmits EMGs acquired during a workout in the wearable device, uses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EMG analysis application,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20 by Bluetooth over a short distance. At this time, It uses Bluetooth 4.0 (BLE: Bluetooth Low Energy, low power Bluetooth) the most.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4.0 표준에 의하면 20 byte 크기의 4~6 패킷을 connection interval 주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구체적 예로서 아이폰5는 30ms connection interval 및 6패킷 전송에 의해 32kbps 전송 속도를 갖출 수 있고, 안드로이드폰은 7.5ms connection interval 및 4패킷 전송에 의해 84kbps 전송 속도를 갖출 수 있다. 실제로는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16kbps~24kbps 전송 속도를 갖게 사용한다. In general, according to Bluetooth 4.0 standard, 4 ~ 6 packets of 20 bytes size can be transmitted in a connection interval period. As a concrete example, the iPhone 5 can provide a transmission speed of 32 kbps by 30 ms connection interval and 6 packet transmission, ms connection interval and 4-packet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speed can be 84kbps. Actually, it is used with a transmission speed of 16kbps ~ 24kbps for stable operation.

또한, 전송 속도는 근전도 신호를 충분한 정밀도의 디지털 데이터로 획득하기 위해 적용하는 샘플링 주기 및 데이터 비트수에 의해서도 제한을 받는다. The transmission rate is also limited by the number of data bits and the sampling period applied to acquire the electromyogram signal with sufficiently precise digital data.

결국, 저전력 운전, 실시간 전송 및 데이터 정밀도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2~4 개의 근육에 대한 근전도 신호, 즉, 2~4채널 무선 전송으로 제한하는 것이 적합하다.Consequently, in order to meet low power operation, real-time transmission and data precision, it is preferable to limit EMG signals for two to four muscles, i.e., two to four channel wireless transmissions.

또한, 근전도 이외의 생체 신호 또는 모션 신호(가속도/속도/위치 신호)를 근전도와 함께 획득하여 실시간 전송하도록 근전도 밴드(1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속도에 제약을 더욱 크게 받는다. 이러한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서, 비록 전력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많지만 수백 Kbps 이상의 전송 속도가 가능한 블루투스 4.2 이상의 버전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여전히 전송 속도에 제한이 있고, 전력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저전력 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더욱 전송 속도를 줄여야 한다.Further, when the electromyogram band 10 is configured to acquire a living body signal other than the EMG signal or a motion signal (acceleration / velocity / position signal) together with the EMG and transmit it in real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peed is further restric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Bluetooth 4.2 or later versions can be used, though th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large, but the transmission speed is more than several hundred Kbps. However, there is still a limitation in the transmission speed. In the case of operating in the low power mod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The transmission speed must be further reduced.

이러한 실시간 무선 전송 능력의 한계에 의해서, 비록 제2 타겟 근육(3)의 근전도 신호를 얻기 위해 서브 전극 쌍(12)을 복수 개 설치하더라도 메인 전극 쌍(11)에서 얻은 제1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와 함께 전송할 제2 타겟 근육(3)의 근전도 신호를 복수 서브 전극 쌍(12) 중에 선별한 것으로만 얻어야 한다. Even if a plurality of sub-electrode pairs 12 are provided to obtain an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the first target muscle 2 obtained from the main electrode pair 11,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to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ub-electrode pair 12 should be obtained.

이를 위한 전반 제어 동작을 신호처리부(13)에서 수행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performs a general control operation for this purpose.

상기 신호처리부(13)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한 전기 회로적 블록 구성도 및 도 5에 도시한 신호처리부(13)에 상세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lectric circuit block diagram shown in Fig. 4 and the signal processor 13 shown in Fig. 5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block diagram.

상기 신호처리부(13)는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 12a, 12b, 12c, 12d)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스위치부(131)와, 메인 전극 쌍(11) 및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 12a, 12b, 12c, 12d)을 포함한 전체 전극 쌍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스위치부(132)와, 메인 전극 쌍(11) 및 제1 스위치부(131)에 의해 선택된 서브 전극 쌍(12)을 통해 각각 근전도 신호를 획득하여 무선 통신모듈(14)을 통해 송신되게 하는 근전도 신호 획득부(133)와, 근전도 신호 획득부(133)를 통해서 동상신호 또는 동상신호의 파워를 획득하는 동상신호 획득부(134)와, 제2 스위치부(132)에 의해 선택된 전극 쌍을 통해 동상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한 동상신호 인가부(135)와, 제1 스위치부(131) 및 제2 스위치부(132)의 선택 동작을 제어하고 근전도 획득과정 및 동상신호 인가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includes a first switch unit 131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ub electrode pairs 12a, 12b, 12c and 12d, A second switch portion 132 for selecting any one of all electrode pairs including the main electrode pair 12 (12a, 12b, 12c, 12d) And acquires the power of the inphase signal or the inphase signal through the electromyogram signal acquiring section 133 and the electromyogram signal acquiring section 133 for acquiring the electromyogram signals through the pair 12 and transmitting them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An in-phase signal applying unit 135 for applying an in-phase signal through an electrode pair selected by the second switch unit 132, 2 switch 132, and controls the electromyogram acquisition process and the in-phase signal application process. It is configured to.

상기 근전도 신호 획득부(13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전극 쌍(11)에 직접 연결되어 제1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1331)과, 제2 스위치부(132)에 의해 선택된 서브 전극 쌍(12)에 연결되어 제2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1332)와, 검출한 제1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 및 제2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통신모듈(14)을 통해 송신되게 하는 패킷 생성부(1333)를 포함한다.5, the electromyogram signal acquisition unit 133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1331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electrode pair 11 to detect an EMG signal of the first target muscle 2, A second detection unit 1332 connected to the selected sub electrode pair 12 to detect an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econd target muscle 2 and an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first target muscle 2 detected, And a packet generating unit 1333 for generating a packe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econd target muscle 2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

상기 제1 검출부(1331) 및 제2 검출부(1332)는 각각 2개 전극으로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기(G)를 이용하여 개별 증폭한 후 차동 연산 컨버터(ADC)를 이용하여 차동 연산하며 디지털화함으로써 근전도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얻는다. 여기서, 증폭기(G)는 전극 간의 임피던스 불평형 해소를 위해서 증폭도를 제어부(136)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차동 연산 컨버터(ADC)는 잡음으로 유입되는 동상신호를 차동 연산하여 억제하고 차동 신호인 근전도 신호를 얻으며, 차동 연산기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일체화하여 구성하였다.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individually amplify the analog signals input through the two electrodes using the amplifiers G and then perform a differential operation using a differential operation converter (ADC) Thereby obtaining an electromyogram signal as digital data. Here, the amplifier G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mplification degree by the control unit 136 in order to eliminate the impedance imbalance between the electrodes. The differential operation converter (ADC) is constructed by integrating the differential operator and the analog - to - digital converter.

상기 동상신호 획득부(134)는 제1 검출부(1331) 및 제2 검출부(1332)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에서 동상 신호 또는 동상 신호의 파워를 검출하는 기능과, 제1 검출부(1331) 및 제2 검출부(133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화 근전도 신호에서 잔류 동상 신호의 파워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검출하는 아날로그 신호는 동상신호 인가부(135)에 넘겨지고, 검출한 동상 신호의 파워는 제어부(136)에 전달된다.The inphase signal acquisition unit 134 ha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power of the in-phase signal or the inphase signal in the analog signal input to 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and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power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And a function of detecting the power of the residual in-phase signal in the digitized EMG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unit 1332. [ The analog signal to be detected is delivered to the in-phase signal applying unit 135, and the power of the detected in-pha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6.

상기 제2 스위치부(132)는 각 전극 쌍의 2개 전극 중에 어느 하나만 연결하여도 좋지만, 2개 전극에 동시 연결하여도 좋다.The second switch unit 132 may be connected to only one of the two electrodes of each electrode pair, but may be connected to two electrodes at the same time.

상기 제어부(136)에 의해 제어되어 신호처리부(13)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한 근전도 계측 방법의 순서도를 참조하며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 chart of the EMG measurement method shown in Fig.

먼저, 제1 스위치부(131)를 제어하여 복수 서브 전극 쌍(12) 중에 어느 하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제2 검출부(1332)로 처리하기 이전 신호의 동상신호 파워(P)를 검출한다(S10). First, the first switch unit 131 is controlled to receive a signal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 electrode pairs 12 to detect the in-phase signal power P of the signal before being process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step S10 ).

이때 검출한 동상신호 파워(P)가 미리 정한 하한값(PLOW) 미만이면(S11), 60Hz(또는 50Hz)의 주파수를 갖는 상용전기에 의한 동상신호가 인체에 충분히 미치지 못하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인위적으로 생성하는 동상신호를 메인 전극 쌍(11)을 통해 인체에 인가한다(S12). 이를 위해서, 제2 스위치부(132)를 제어하여 동상신호 인가부(135)를 메인 전극 쌍(11)에 연결함으로써, 동상신호 인가부(135)가 메인 전극 쌍(11)을 통해 동상신호를 인가하도록 한다.If the detected in-phase signal power P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lower limit value P LOW (S11),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hase signal by commercial electric power having a frequency of 60 Hz (or 50 Hz) Phase signal to the human body via the main electrode pair 11 (S12). To this end, the in-phase signal applying unit 135 applies the in-phase signal through the main electrode pair 11 by connecting the in-phase signal applying unit 135 to the main electrode pair 11 by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 unit 132 .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은 인위적으로 동상신호를 자체 생성하여 인가하는 전극을 의미한다. 여기서, 인위적인 동상신호는 반드시 상용전기 주파수를 갖게 할 필요는 없다.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refers to an electrode that artificially generates and applies in-phase signals by itself. Here, an artificial in-phase signal does not necessarily have a commercial electric frequency.

한편,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은 동상신호 획득부(134)를 통해 검출할 수 있는 동상신호를 증폭하여 인가하는 오른다리 구동회로(RLD : Right Leg Drive)를 위한 전극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용전기 주파수 성분의 동상신호가 상기 하한값(PLOW) 이상으로 충분히 클 경우에는 하기에서 근전도 신호를 얻는 중에 오른다리 구동회로로 활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may be an electrode for a right leg drive (RLD) that amplifies and applies in-phase signals tha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in-phase signal acquisition unit 134, When the in-phase signal of the component is sufficiently high above the lower limit value (P LOW ), it is used as a right-hand drive circuit in obtaining the EMG signal in the following.

이와 같이 동상신호를 서브 전극 쌍(12)에서 검출되게 하는 중에는 제1 검출부(1331)를 가동시키지 아니하고, 제2 검출부(1332)만 가동시키며, 제1 스위치부(131)를 제어하여 서브 전극 쌍(12)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임피던스 불평형을 해소하기 위한 보정 동작을 수행한다(S20). While the in-phase signal is detected in the sub-electrode pair 12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is not activated, only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is activated, and the first switch unit 131 is controlled, (12)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to perform a correction operation for eliminating the impedance unbalance (S20).

임피던스 불평형은 2개 전극의 접촉 임피던스 불평형과 2개 전극을 제2 검출부(1332)에 연결한 2가닥 전기신호선의 임피던스 불평형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에, 2개 전극을 통해 각각 입력되는 동상신호의 크기를 동상신호 획득부(134)로 검출하여 양측 동상신호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도록 제2 검출부(1332)의 증폭기(G) 증폭도를 조절하는 방식, 또는 제2 검출부(133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근전도 신호에 잔류하는 동상신호 파워가 미리 정한 크기 이하로 작아지도록 제2 검출부(1332)의 증폭기(G) 증폭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임피던스 불평형 해소를 위상 보정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서브 전극 쌍(12) 별로 얻는 증폭기(G)의 증폭도는 기억하여 두어서, 하기에서 서브 전극 쌍(12)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Impedance imbalance is caused by the impedance imbalance of the two electrodes and the impedance imbalance of the two electrical signal lines connecting the two electrodes to the second detector 1332. The gain of the amplifier (G) of the second detector 1332 is adjusted by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in-phase signal input through the two electrodes by the in-phase signal obtaining unit 134 and by using the same size of the in- Or the impedance of the amplifier (G) of the second detector 1332 is adjusted so that the in-phase signal power remaining in the digital EM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etector 1332 become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performs a correction operation. Here,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amplifier G obtained for each of the sub electrode pairs 12 is stored so as to be applicable to the sub electrode pairs 12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다음으로, 서브 전극 쌍(12) 별로 임피던스 불평형 해소를 위한 보정 정보를 적용하면서, 제1 스위치부(131)를 제어하여 서브 전극 쌍(12)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서브 전극 쌍(12) 별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한 후(S30), 검출한 근전도 신호에 따라 서브 전극 쌍(12)을 선택한다(S31). 이 과정에서는 예비 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별도의 안내수단에 의해서 예비 운동하게 함으로써, 예비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근전도 신호를 얻게 한다. Next, while applying the correction information for eliminating the impedance unbalance to each of the sub-electrode pairs 12, the first switch unit 131 is controlled to sequentially select the sub-electrode pairs 12 one by one, After detecting the electromyogram signal (S30), the sub electrode pair 12 i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electromyogram signal (S31). In this process, a preliminary exercise is performed by a separate guide means for guiding the preliminary exercise, thereby obtaining an electromyogram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exercise.

선택 기준은 상기 무선 통신모듈(14)의 제한된 실시간 무선 전송 능력의 범위 내에서 메인 전극 쌍(11)에 할당할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 수를 최대치로 하고, 최대치 채널 수에 맞게 서브 전극 쌍(12)의 개수를 선택하되, 검출한 근전도 신호의 크기(즉, 파워 또는 에너지)의 순서에 따라 큰 순서로 선택하는 제1 선택 기준, 임피던스 불평형 해소를 위한 보정을 수행하였음에도 검출한 근전도 신호에 잔류하는 동상신호의 크기가 미리 정한 상한치를 초과하는 것을 선택에서 제외하는 제2 선택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 선택 기준을 적용하여 제외한 것들 중에 제1 선택 기준을 적용하여 서브 전극 쌍을 선택한다.The selection criterion is set such that the number of remaining channels excluding the channel to be allocated to the main electrode pair 11 is maximized within the limited real time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The first selection criterion for selecting the number of the electromyogram signals in a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electromyogram signal (i.e., power or energy), and the first selection criterion for selecting the number of the remaining electromyogram signals And a second selection criterion for excluding from the selection that the size of the in-phase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Of course, a sub-electrode pair is selected by applying a first selection criterion among those excluded by applying a second selection criterion.

즉, 메인 전극 쌍(11)을 한시적으로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활용하여, 각 서브 전극 쌍의 임피던스 불평형 문제를 해결하고, 이후, 각 서브 전극 쌍을 통해 근전도를 정확하게 얻은 후 선택 기준에 부합하는 최적의 서브 전극 쌍을 선택한다.That is, the main electrode pair 11 is temporarily used as an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to solve the impedance unbalance problem of each sub-electrode pair, and after obtaining an electromyogram accurately through each sub-electrode pair, Of the sub-electrode pairs.

이와 같은 선택 기준에 따라 서브 전극 쌍을 선택함으로써, 전극 접촉상태가 불량하여 근전도 신호를 정확하게 얻기 어려운 서브 전극 쌍을 제외할 수 있고, 제2 타겟 근육(3)에 가장 근접하여 근전도 신호를 강하면서 정확한 패턴의 신호로 얻을 수 있는 서브 전극 쌍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By selecting the sub-electrode pairs according to such a selection criterion,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sub-electrode pairs in which the electrode contact state is poor and the electromyogram signal is difficult to obtain accurately, and the electromyogram signal is strongest nearest to the second target muscle 3 It is possible to select a sub electrode pair that can be obtained with a signal of an accurate pattern.

서브 전극 쌍을 선택한 이후에는 제1 스위치부(131)를 제어하여 선택한 서브 전극 쌍을 제2 검출부(1332)에 연결되게 하고, 이후에는 앞서 확인한 바와 같이 동상신호가 미약하게 검출되는 경우(S40), 선택받지 못한 서브 전극 쌍 중에 어느 하나를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지정하도록 제2 스위치부(132)를 제어하고, 지정한 서브 전극 쌍을 통해 동상신호를 인가하도록 동상신호 인가부(135)를 가동시킨다. After the sub-electrode pair is selected, the selected sub-electrode pair is connected to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by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unit 131. If the in-phase signal is weakly detected (S40) , Controls the second switch unit 132 to designate any one of the unselected sub-electrode pairs as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and activates the in-phase signal applying unit 135 to apply the in-phase signal through the designated sub-electrode pair .

여기서,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지정하는 서브 전극 쌍은 복수 서브 전극 쌍 중에 근전도 신호가 가장 미약한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물론, 검출하는 근전도 신호의 잔류 동상신호가 큰 것은 제외하고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지정하는 것이 좋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electrode pair designated as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has the weakest electromyogram signal among a plurality of sub-electrode pairs. Of course, it is better to designate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except that the residual in-phase signal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to be detected is large.

이후, 메인 전극 쌍(11)에 대해 임피던스 불평형 해소를 위한 보정 동작을 수행한다(S50). 즉, 서브 전극 쌍을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활용함으로써, 메인 전극 쌍(11)에 구비된 2개 전극 간의 임피던스 불평형을 해소하기 위한 제1 검출부(1331)의 증폭기(G) 증폭도를 얻을 수 있다.Thereafter, a correction operation for eliminating the impedance unbalance is performed on the main electrode pair 11 (S50). That is, by using the sub-electrode pair as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mplification of the amplifier G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for eliminating the impedance unbal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provided in the main electrode pair 11.

이후, 본격적인 운동을 시작하게 될 시에, 제1 검출부(1331)는 메인 전극 쌍(11)을 통해 제1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를 얻게 되고, 제2 검출부(1332)는 선택받은 서브 전극 쌍(12)을 통해 제2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를 얻게 되므로, 이들의 근전도 신호를 획득하여 패킷 생성하고 무선 전송한다(S60).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obtains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first target muscle 2 through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obtains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elected target muscle 2 Since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econd target muscle 2 is obtained through the electrode pair 12, these electromyogram signals are acquired, packets are generated, and wireless transmission is performed (S60).

즉, 본격적인 운동을 하는 중에는 제2 타겟 근육(3)에 가장 근접한 서브 전극 쌍(12)을 선택한 상태에서, 선택받지 못한 서브 전극 쌍을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활용하여 제2 타겟 근육(3)의 근전도를 정확한 패턴의 신호로 얻을 수 있게 된다.That is, while the sub-electrode pair 12 closest to the second target muscle 3 is selected during the full-scale exercise, the unselected sub-electrode pairs are used as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s, The electromyogram can be obtained with a signal of an accurate pattern.

그런데, 운동 중에는 근전도 밴드(10)가 요동치게 되어 전극의 접촉 위치 및 접촉 상태가 변동될 수 있으며, 이에, 제어부(136)는 서브 전극 쌍별로 임피던스 불평형을 해소하기 위한 보정 과정(S20), 근전도 신호의 크기 순서에 따라 서브 전극 쌍을 선택하는 과정(S30, S31),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지정하는 과정(S51) 또는 메인 전극 쌍의 임피던스 불평형 해소를 위한 보정 과정(S50)을 운동 중에도 간헐적으로 수행하여서, 선택하는 서브 전극 쌍(12) 및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변경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변동하는 임피던스 불평형에 적응하여 보정한다.The controller 136 may perform a calibration process (S20) for eliminating the impedance unbalance for each sub-electrode pair, and a calibration process (S2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myogram band 10, A step S51 of designating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or a step S50 of correcting the impedance unbalance of the main electrode pair is performed intermittently during the exercise (steps S30 and S31) Thereby enabling to change the sub electrode pair 12 to be selected and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as well as to compensate for fluctuating impedance unbalance.

한편, 첨부한 도면에는 서브 전극 쌍(12)을 한 개만 선택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무선 통신모듈(14)의 실시간 무선 전송 능력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2개 이상의 서브 전극 쌍(12)을 선택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 스위치부(131)가 2개 이상의 서브 전극 쌍(12)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제2 검출부(1332)도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의 개수만큼 구비하여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과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되게 한다. 도 3에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타겟 근육(2)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들 중에 위팔세갈개근 긴갈래 및 위팔세갈래근을 제2 타겟 근육(3)으로 정하고, 4개의 서브 전극 쌍(12 : 12a, 12b, 12c, 12d) 중에 1개만 선택할 수 있다면, 위팔세갈래근 긴갈래에 근접하여 가장 큰 세기로 근전도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서브 전극 쌍(12a)을 선택하게 되고, 위팔세갈래근 가쪽갈래에 근접하여 차순위 크기의 근전도 신호를 얻는 수 있는 서브 전극 쌍(12c)를 차순위로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2개를 선택할 수 있다면 차순위를 포함한 2개 서브 전극 쌍(12a, 12c)를 모두 선택한다.In the meantime, although only one sub electrode pair 12 i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o select two or more sub electrode pairs 12 within a range allowed by the real time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In this case, the first switch unit 131 allows two or more sub-electrode pairs 12 to be sele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second detecting unit 1332 is also provided with the number of the selected sub-electrode pairs 12 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selected sub electrode pairs 12. 3, among the remaining muscles except for the first target muscle 2, a long-forked and a long-forearmed limb are defined as a second target muscle 3, and four sub-electrode pairs 12a, 12b, 12c, and 12d,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ub-electrode pair 12a that can obtain the electromyogram signal with the greatest intensity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arm and the longer arm,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ub electrode pair 12c which can obtain the EM wave signal of the next order magnitude close to the proximal branch. If the two sub electrode pairs 12a and 12c including the subordinate can be selected, Select.

도 7은 상기 제1 검출부(1331)의 변형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As shown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검출부(1331)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579517호에 개시한 바와 같이 2개 전극의 검출 신호를 불평등하게 개별 증폭하는 2개 증폭기(GH, GL) 및 차동 연산하며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1개의 차동 연산 컨버터(ADC)로 구성되는 전처리 수단(13313, 13314)을 2개 구비하되, 2개 전처리 수단(13313, 13314)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증폭하는 검출 신호를 상이하게 하여 2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게 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includes two amplifiers G (1, 2, 3, 4, and 5) for unequally amplifying the detection signals of two electrodes individually as disclosed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0-1579517 H and G L and two pre-processing means 13313 and 13314 constituted by one differential operation converter (ADC) for differential calculation and digital data acquisition, and two preprocessing means 13313 and 13314 relatively The detection signals to be greatly amplified ar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generate digital data of two channels.

즉, 하이 게인 증폭기(GH)를 차동 연산 컨버터(ADC)의 + 입력단에 연결하고 로우 게인 증폭기(GL)를 차동 연산 컨버터(ADC)의 - 입력단에 연결한 전처리 수단(13313, 13314)를 2개 구비하여서, 2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한다.That is, the preprocessing means 13313 and 13314 which connect the high gain amplifier G H to the + in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operation converter ADC and the low gain amplifier G L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operation converter ADC And two digital data of two channels are generated.

여기서, 각 전극의 검출 신호는 2개의 전처리 수단(13313, 13314)에 각각 공급되되, 어느 한쪽에는 하이 게인 증폭기(GH)에 공급되고 다른 한쪽에는 로우 게인 증폭기(GL)에 공급된다.Here,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respective electrodes are supplied to the two preprocessing units 13313 and 13314, respectively, and are supplied to the high gain amplifier G H on one side and to the low gain amplifier G L on the other side.

전극 간의 임피던스 불평형에 의해 2개 전극 검출 신호의 동상 잡음 파워가 상이하게 되는 데, 이때 낮은 파워의 동상 잡음을 하이 게인 증폭기(GH)로 증폭하여 얻는 동상 잡음이 높은 파워의 동상 잡음을 로우 게인 증폭기(GL)로 증폭하여 얻는 동상 잡음보다 크게 된다면, 2개 전처리 수단(13313, 13314)으로 각각 얻는 신호의 잡음도 동상이 된다. 이에, 2개 전극을 통해 유입되는 잡음이 동상 잡음으로 나타나고, 동일하게, 2개 전처리 수단(13313, 13314)으로 처리하여 얻는 신호에도 잡음이 동상 잡음으로 나타나게 한다.The common noise power of the two electrode detection signals becomes different due to the impedance unbalance between the electrodes. At this time, the common-mode noise obtained by amplifying the low-power common-mode noise by the high gain amplifier (G H ) The noise of the signals obtained by the two preprocessing units 13313 and 13314 becomes the same phase if they are larger than the in-phase noise obtained by amplification by the amplifier G L. Thus, the noise introduced through the two electrodes appears as in-phase noise, and the noise also appears as a common-mode noise in a signal obtained by the two preprocessing units 13313 and 13314.

이를 위해서, 하이 게인 증폭기(GH)와 로우 게인 증폭기(GL)의 게인(또는 증폭도)은 임피던스 불평형의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미리 설정하여야 한다. 아니면, 등록특허 제10-1579517호에 개시한 바와 같이 하기의 합성기(13312)로 얻는 신호에 동상 잡음이 큰 파워로 나타나는 경우에, 전처리 수단(13313, 13314)으로 처리하여 얻는 신호의 잡음이 동상 잡음으로 나타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동상 잡음이 합성기(13312)로 얻는 신호에 나타나지 아니할 때까지 게인을 조금씩 변경하여 적절한 값을 갖게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하이 게인 증폭기(GH)와 로우 게인 증폭기(GL) 사이의 게인 차이를 점차 늘려가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gains (or amplification degrees) of the high gain amplifier G H and the low gain amplifier G L should be appropriate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the impedance unbalance. Alternatively, in the case where the in-phase noise appears as a large power in the signal obtained by the synthesizer 13312 as described in the Japanese Patent No. 10-1579517, the noise of the signal obtained by the processing by the preprocessing means 13313 and 13314 becomes a phas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gain little by little until the in-phase noise does not appear in the signal obtained by the synthesizer 13312 so as to have an appropriate value. For example, the gain difference between the high gain amplifier (G H ) and the low gain amplifier (G L ) can be increased gradually.

그리고, 상기 제1 검출부(1331)는 생성한 2채널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해 동상잡음 파워를 동일하게 되도록 정규화하는 파워 정규화부(13311)와 정규화한 이후 동상잡음이 제거되도록 2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기(13312)에 의해서, 동상잡음을 억제한 근전도 신호를 얻는다.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includes a power normalization unit 13311 for normalizing the generated two-channel digital data so that the in-phase noise power is equalized, and a second normalization unit 13311 for synthesizing two-channel digital data , Thereby obtaining an electromyogram signal in which the common-mode noise is suppressed.

즉, 2개 전극에서 검출되는 전위 신호를 인위적으로 불평등하게 증폭한 후 차동 연산하는 2개 전처리 수단(13313, 13314)에서 각각 동상신호를 일부 억제하고 근전도 신호를 부각시킨 디지털 신호를 얻고, 이후 2개 전처리 수단(13313, 13314)에서 얻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영역에서 파워 정규화한 후 합성하여 동상신호를 제거한 근전도 신호를 얻는다.That is, two preprocessing units 13313 and 13314 for performing differential arithmetic after artificially amplifying the potential signals detected by the two electrodes are amplified to obtain a digital signal in which the in-phase signal is partially suppressed and the EMG signal is raised, The digital signals obtained by the preprocessing means 13313 and 13314 are subjected to power normalization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region and then synthesized to obtain an EMG signal from which the inphase signal is removed.

도 7의 구성도에 대해서는 등록특허 제10-1579517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7 is described in detail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579517, so that further explanation is omitted.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검출부(1332)도 도 7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at shown in FIG.

한편, 파워 정규화부(13311) 및 합성기(13312)를 제1 검출부(1331) 및 제2 검출부(1332)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대신에 수신단(20)에 설치하고, 2개조 전처리 수단에서 생성한 2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게 함으로써, 수신단(20)에서 파워 정규화부(13311) 및 합성기(13312)로 근전도 신호를 얻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무선 통신모듈(14)의 제한된 실시간 무선 전송 능력의 한계 내로 제한되므로, 서브 전극 쌍(12)의 선택 수는 절반으로 줄어든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normalization unit 13311 and the combiner 13312 are not provided in 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but instead are provided in the receiving end 20, and 2 Channel digital data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20 to obtain the EMG signal from the power normalization unit 13311 and the synthesizer 13312. [ In this case, too, the number of choices of the sub-electrode pairs 12 is reduced to half because it is limited to the limited real-time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근전도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메인 전극 쌍(11)의 설치 위치에 배치한 전처리부(113, 123)의 구성도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고, 도 10은 신호처리부(13)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한 전처리부(113, 123)는 도 9의 블록 구성도에서 알 수 있듯이, 작고 얇은 크기로 제작 가능하므로, 밴드의 바깥면에 설치하고, 투시도로 보이게 하였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yogram band,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processing unit 113, 123 (see Fig. And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9, the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shown in FIG. 8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and thin size, so that the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nd so as to have a perspective view.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메인 전극 쌍(11)은 물론이고 각각의 서브 전극 쌍(12)의 설치 위치마다 전처리부(113, 123)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8,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sub-electrode pairs 12 as well as the main electrode pair 11.

상기 전처리부(113, 12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설치 위치의 전극 쌍에 구비된 2개 전극에 연결되며, 2개 전극에서 검출되는 전위 신호를 불평등하게 개별 증폭한 후 차동 연산하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처리 수단을 2개조로 구비하되, 각 조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증폭하는 검출 신호를 상이하게 한다. As shown in FIG. 9, the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electrodes provided at the electrode pair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individually amplify the potential signals detected at the two electrodes unequally and then perform differential computation The preprocessing means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into digital data is provided in two sets.

신호처리부(13)와의 연결을 위한 전기신호선(111, 121)은 2개 전처리 수단에서 얻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검출선(111a, 121a) 이외에 어느 한 전극을 신호처리부(13)에 직접 연결하기 위한 신호 인가선(111b, 121b)을 구비하여서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The electric signal lines 111 and 121 for connection with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are connected directly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in addition to the signal detection lines 111a and 121a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data obtained by the two pre- And signal application lines 111b and 121b are provided for use as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s.

그리고, 신호처리부(13)에 있어서, 제2 스위치부(132)는 신호 인가선(111b, 121b)에 연결되어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선택 사용하게 한다. 신호 검출선(111a, 121a)의 연결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the second switch unit 132 is connected to the signal applying lines 111b and 121b to selectively use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The connection of the signal detection lines 111a and 121a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제1 검출부(1331) 및 제2 검출부(1332)는 각각 신호 인가선(111b, 121b)의 2경로를 통해 입력받는 디지털 데이터를 동상잡음 파워가 동일하게 되도록 정규화하는 파워 정규화부(13311, 13321) 및 정규화한 디지털 데이터를 합성하여 동상잡음이 제거된 근전도 신호를 얻는 합성기(13312, 13332)를 구비한다.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are provided with a power normalization unit 13311 for normaliz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through the two paths of the signal application lines 111b and 121b so that the in- And synthesizers 13312 and 13332 for synthesizing the normalized digital data to obtain an electromyogram signal with no in-phase noise removed.

즉, 각각의 전처리부(113, 123)는 근전도 신호를 얻지는 아니하지만, 2개 전극을 통해 얻는 2채널의 전극 신호와 마찬가지로 디지털화한 2채널의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신호선(111, 121)을 통해 신호처리부(13)에 전달한다. That is, each of the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does not obtain an EMG signal, but generates a digitized two-channel signal in the same manner as the two-channel electrode signal obtained through the two electrodes, thereby generating the electric signal lines 111 and 121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이에, 전기신호선(111, 121)에서 신호 왜곡이 발생하더라도 신호처리부(13)에서 오류 없이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3)의 제1 검출부(1331) 및 제2 검출부(1332)는 2채널 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정확한 근전도 신호를 얻는다. Thus, even if signal distortion occurs in the electric signal lines 111 and 121,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can receive the signal without error. The first detection unit 1331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332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digitally process the two-channel signal to obtain an accurate EMG signal.

이러한 구성은, 도 7에 도시한 구성요소를 2채널 디지털 신호를 얻는 부분과 정규화 및 근전도 신호를 얻는 부분으로 나누어 배치한 것에 해당된다.This constitution corresponds to a constituent element shown in Fig. 7 divided into a portion for obtaining a two-channel digital signal and a portion for obtaining a normalization and an EMG signal.

물론, 파워 정규화부(13311, 13321)는 동상신호 획득부(134)에서 얻는 동상신호 파워를 받아 정규화한다.Of course, the power normalization units 13311 and 13321 receive the in-phase signal power obtained from the in-phase signal acquisition unit 134 and normalize them.

한편, 각각의 전처리부(113, 123)에 구비되는 증폭기(GH, GL)는 동일하게 하여서, 신호처리부(13)에서 신호 크기에 따라 서브 전극 쌍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실시 예에서는 증폭기(GH, GL)의 증폭도를 고정된 값으로 적절하게 선택하면, 전극 간의 임피던스 불평형에 강건하게 대응하며 동상잡음을 억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처리부(113, 123)의 증폭기(GH, GL) 증폭도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선을 전기신호선(111, 121)에 추가함으로써, 제1,2 검출부(1131, 1332)에서 얻는 근전도 신호의 잔류 동상신호가 작아지도록 제어부(136)에서 전처리부(113, 123)의 증폭기(GH, GL) 증폭도를 조절하는 것도 좋다.The amplifiers G H and G L provided in the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are ident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signal processor 13 can select a sub electrode pair according to the signal amplitude. In the second embodiment, if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amplifiers (G H , G L ) is appropriately selected as a fixed value, it is possible to firmly cope with the impedance imbalance between the electrodes and suppress the common-mode noise. However, by adding signal lines to the electric signal lines 111 and 121 for adjusting amplification of the amplifiers G H and G L of the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the electromyogram signals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amplifiers G H and G L of the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6 so that the residual in-phase signal of the pre-processing units 113 and 123 becomes smaller.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메인 전극 쌍(11)의 전극 및 서브 전극 쌍(12)의 전극에 탈착 가능한 전도성 패드(19)를 부착한다. 이때의 전도성 패드(19)는 전극 및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으면서 피부에서 떼어내기도 용이하도록 점착성 양면을 갖게 하고, 양면 사이의 전기 전도성이 양호하면서 형태 변형을 허용하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탈착 가능하게 하여 교체 사용하게 하고, 운동 중 근전도 밴드(10)의 요동에 의해 전극 위치가 바뀌더라도, 형태 변형하여 근전도를 검출하는 피부 상의 위치는 그대로 있게 함으로써, 근전도 신호의 왜곡을 줄인다. 8, a detachable conductive pad 19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of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the electrode of the sub electrode pair 12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ad 19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adhered to the electrode and the skin, has adhesive both surfaces for easy removal from the skin, and has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the both surfaces and permits deformation. That is, even if the electrode position changes due to the swinging motion of the electromyogram band 10 during exercise, the position of the skin on which the electromyogram is detected is kept intact, thereby reducing the distortion of the electromyogram signal.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 / RTI >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 신체 부위 2 : 제1 타겟 근육 3 : 제2 타겟 근육
10 : 근전도 밴드
11 : 메인 전극 쌍
111 : 전기신호선 112 : 전극
113 : 전처리부
12, 12a, 12b, 12c, 12d : 서브 전극 쌍
121 : 전기신호선 122 : 전극
123 : 전처리부
13 : 신호처리부
131 : 제1 스위치부 132 : 제2 스위치부
133 : 근전도 신호 획득부 1331 : 제1 검출부
1332 : 제2 검출부 1333 : 패킷 생성부
134 : 동상신호 획득부 135 : 동상신호 인가부
136 : 제어부
14 : 무선 통신모듈 15 : 배터리
16 : 표지 17 : 체결 수단
18 : 탄성 밴드 19 : 전도성 패드
20 : 수신단
1: body part 2: first target muscle 3: second target muscle
10: EMG band
11: main electrode pair
111: electric signal line 112: electrode
113:
12, 12a, 12b, 12c, 12d: sub-electrode pairs
121: electric signal line 122: electrode
123:
13: Signal processor
131: first switch unit 132: second switch unit
133 EMG signal acquisition unit 1331 first detection unit
1332: second detection unit 1333: packet generation unit
134: In-phase signal acquisition unit 135: In-phase signal application unit
136:
14: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 Battery
16: cover 17: fastening means
18: Elastic band 19: Conductive pad
20: Receiver

Claims (6)

감싸게 하며 착용할 신체 부위(1)의 제1 타겟 근육(2)에 접촉되도록 표지(16)에 의해 위치 표시되어 있는 메인 전극 쌍(11)과, 착용할 신체 부위(1)에서 제1 타겟 근육을 기준점으로 위치 불특정되는 제2 타겟 근육이 존재하는 영역에 분산되어 접촉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한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을 구비하여서, 제1 타겟 근육(2) 및 제2 타겟 근육(3)을 통해 검출되는 근전도 신호를 신호처리부(13)로 획득한 후 무선 통신모듈(14)을 통해 송신하되,
상기 신호처리부(13)는 상기 무선 통신모듈(14)의 제한된 실시간 무선 전송 능력의 한계 내에서 제1 타겟 근육(2)의 근전도 신호와 함께 실시간 전송할 제2 타겟 근육(3)의 근전도 신호를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중에서 검출되는 근전도 신호의 크기에 따라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을 통해 획득하는 근전도 밴드.
The main electrode pair 11 being positioned by the mark 16 so as to contact the first target muscle 2 of the body part 1 to be worn and wrapped and the first target muscle 1 to be worn on the body part 1 to be worn, And a plurality of sub-electrode pairs (12)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dispers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gion where the second target muscle is located, An electromyogram signal detected through the target muscle 3 is acquir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and the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second target muscle 3 to be transmitted in real time together with the electromyogram signal of the first target muscle 2 within the limit of the limited real time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Electrode band obtained through the selected sub-electrode pair 12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MG signal detected in the sub electrode pair 12 of the EMG b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13)는 서브 전극 쌍(12)을 선택할 시에 메인 전극 쌍(11)을 동상신호 인가를 위한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활용하고, 메인 전극 쌍(11) 및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으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할 시에는 선택받지 못한 서브 전극 쌍을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으로 활용하는 근전도 밴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uses the main electrode pair 11 as an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for applying the in-phase signal when selecting the sub electrode pairs 12 and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the selected sub electrode pairs 12 ) Is used to detect electromyogram signals, the electromyogram band that uses unselected sub-electrode pairs as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13)는 메인 전극 쌍(11) 및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으로 신호를 검출하는 중에 서브 전극 쌍(12)의 선택 과정을 간헐적으로 수행하여, 선택하는 서브 전극 쌍(12) 및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변경할 수 있는 근전도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intermittently performs a selection process of the sub electrode pairs 12 while detecting a signal with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the selected sub electrode pair 12 to select the sub electrode pair 12 to be selected, And an electromyogram band that can change the coincidence signal drive electr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13)는 서브 전극 쌍을 선택하기 이전에 서브 전극 쌍을 통해 검출되는 상용 전기의 주파수 성분이 미리 정한 하한치 미만이면, 메인 전극 쌍(11)으로 정한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통해 인위적인 동상신호를 인가한 후, 각 서브 전극 쌍에 대해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 불평형을 해소하기 위한 보정을 전극별로 검출되는 동상신호의 크기에 따라 수행하고,
메인 전극 쌍(11) 및 선택한 서브 전극 쌍(12)으로 근전도 신호를 얻기 이전에 서브 전극 쌍 중에 정한 동상신호 드라이브 전극을 통해 인위적인 동상신호를 인가한 후, 메인 전극 쌍(11)에 대해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 불평형의 해소를 위한 보정을 전극별로 검출되는 동상신호의 크기에 따라 수행하는 근전도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If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commercial electricity detected through the sub-electrode pair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before the sub-electrode pair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generates an artificial phase signal through the in- After the signal is applied, the correction for eliminating the impedance imbalance between the electrodes for each sub-electrode pair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phase signal detected for each electrode,
An inphase in-phase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in-phase signal drive electrode defined in the sub-electrode pair before the electromotive force signal is obtained by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the selected sub electrode pair 12, Wherein the compensation for impedance imbalanc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herent signal detected for each electr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13)는 복수의 서브 전극 쌍(12) 중에 검출한 근전도 신호에 잔류하는 동상신호가 미리 정한 상한치를 초과하는 것을 선택 대상에서 제외하는 근전도 밴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excludes, from the selection target, those whose coincidence signal remaining in the electromyogram signal detected in the plurality of sub electrode pairs (12) exceeds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제 1항에 있어서,
메인 전극 쌍(11) 및 각각의 서브 전극 쌍(12)이 설치된 위치에는, 설치 위치의 2개 전극으로 검출한 신호를 불평등하게 개별 증폭한 후 차동 연산하며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단을 2개조로 구비하여, 2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처리부(113, 123)를 배치하되, 2개조 수단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증폭하는 검출 신호를 상이하게 하고,
상기 신호처리부(13)는 2채널 디지털 데이터에 대해 동상잡음 파워를 동일하게 되도록 정규화한 후 동상잡음이 제거되도록 합성하여 근전도 신호를 얻는 근전도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osition where the main electrode pair 11 and each sub electrode pair 12 are installed, the means for separately amplifying the signals detected by the two electrodes at the mounting position separately, And preprocessing sections (113, 123) for acquiring two-channel digital data are arranged so that detection signals amplified by relatively large amplitudes are made different in the tw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normalizes the two-channel digital data so that the same-phase noise power is equalized, and then synthesizes the same so that the common-mode noise is removed, thereby obtaining an EMG signal.
KR1020170176711A 2017-12-21 2017-12-21 Emg measuring band for optimizing electrode position KR1020033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11A KR102003348B1 (en) 2017-12-21 2017-12-21 Emg measuring band for optimizing electrode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11A KR102003348B1 (en) 2017-12-21 2017-12-21 Emg measuring band for optimizing electrode 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260A true KR20190075260A (en) 2019-07-01
KR102003348B1 KR102003348B1 (en) 2019-07-24

Family

ID=6725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711A KR102003348B1 (en) 2017-12-21 2017-12-21 Emg measuring band for optimizing electrode 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3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806A (en) 2019-11-26 2021-06-03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Wearable body motion input apparatus
KR102184141B1 (en) * 2020-06-29 2020-11-30 옥현태 Body-attach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assembly for the elderly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089A (en)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비솔 A wireless electromyogram system
KR20140143922A (en) * 2013-06-10 2014-1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earable electromyogram sensor system
KR20150130057A (en) * 2014-05-13 2015-11-23 (주) 로임시스템 Apparatus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KR20160144620A (en) * 2015-06-09 2016-12-19 (주) 로임시스템 Biological signal measuring module, wearable emg measuring band, and biological signal measuring mobile device
KR20160144621A (en) * 2015-06-09 2016-12-19 (주) 로임시스템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JP2017518845A (en) * 2014-04-15 2017-07-13 マーカス, ノーマンMarcus, Norman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s of muscle pain
JP2017526469A (en) * 2014-09-12 2017-09-14 ブレイン センティネ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rain Sentinel,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sensor and a management device
KR20170137069A (en) * 2015-02-26 2017-12-12 알비 페이턴츠 에스에이알엘 A device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measurement of EMG comprising a pair of electrodes and means for shorting and grounding the associated percutaneous electrod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089A (en)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비솔 A wireless electromyogram system
KR20140143922A (en) * 2013-06-10 2014-1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earable electromyogram sensor system
KR101501661B1 (en) 2013-06-10 2015-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earable electromyogram sensor system
JP2017518845A (en) * 2014-04-15 2017-07-13 マーカス, ノーマンMarcus, Norman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s of muscle pain
KR20150130057A (en) * 2014-05-13 2015-11-23 (주) 로임시스템 Apparatus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JP2017526469A (en) * 2014-09-12 2017-09-14 ブレイン センティネ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rain Sentinel,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sensor and a management device
KR20170137069A (en) * 2015-02-26 2017-12-12 알비 페이턴츠 에스에이알엘 A device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measurement of EMG comprising a pair of electrodes and means for shorting and grounding the associated percutaneous electrode
KR20160144620A (en) * 2015-06-09 2016-12-19 (주) 로임시스템 Biological signal measuring module, wearable emg measuring band, and biological signal measuring mobile device
KR20160144621A (en) * 2015-06-09 2016-12-19 (주) 로임시스템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348B1 (en)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484B1 (en) Biological signal measuring module, wearable emg measuring band, and biological signal measuring mobile device
US20170180882A1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 sensor for picking up electromagnetic signals from the body
KR20120094870A (en) System for measure of electromyogram by suit type electromyogram sensors and analisys method of rehabilitation using thereof
CN104287872B (en) Including the auditory prosthesis for inducing the implantation piece of nerves reaction for measuring and handling electricity
KR102003348B1 (en) Emg measuring band for optimizing electrode position
US7450994B1 (en) Estimating flap thickness for cochlear implants
CN108348188B (en) Port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omyographic signals of a user
GB2422200B (en) Method for recognizing heartbeat and for calculating quantities acquired from that
JP2018527972A5 (en)
US11134898B2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268498B1 (en) Biological electric 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biological electric signal measuring method
KR101290172B1 (en) Muscle activation measuring apparatus
US8554312B2 (en) Interference mitigation in biometric measurements
JP2005237569A (en) Portable measuring equipment,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health management method
CN106562783B (e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and device
FI123360B (en) Procedures and equipment for measuring heart rate
CN209154394U (en) Muscle force recovering training system
CN209421932U (en) A kind of checking with EMG method device
CN115119123A (en) Hearing aid with ear EEG recording
WO2024052977A1 (en)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system
JP2011072452A (en) Potential difference measuring device
KR20130027679A (en) Apparatus for measuring pulse and method for acquiring pulse information thereof
KR101848752B1 (en)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having multi-channel for phase separation and common mode noise removal
US10470675B2 (en) Wireless vibrometer with antenna array
CN109077726A (en) A kind of checking with EMG method device and myoelectricity recognition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