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970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970A
KR20190074970A KR1020180162789A KR20180162789A KR20190074970A KR 20190074970 A KR20190074970 A KR 20190074970A KR 1020180162789 A KR1020180162789 A KR 1020180162789A KR 20180162789 A KR20180162789 A KR 20180162789A KR 20190074970 A KR20190074970 A KR 20190074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ower input
power
input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석
이승준
박유진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8214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14686B1/en
Priority to CN201880072065.3A priority patent/CN111316660B/zh
Priority to PCT/KR2018/016333 priority patent/WO2019125007A1/en
Priority to US16/227,637 priority patent/US10978020B2/en
Publication of KR2019007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파워 입력 수신 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에러 복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도중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에러 발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에러 복구를 위해 온/오프 키를 누를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이나 인스턴트 온 부팅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는 파워 키 입력에 의해서도 에러 복구가 어려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에러 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에러를 복구할 수 있도록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파워 입력 수신 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및 제2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2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2파워 입력 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1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에 대응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에 대응하는 입력일 때, 상기 제1시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기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1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에 대응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에 대응하는 입력일 때, 상기 제1시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제1 임계값 보다 작을 때,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상기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임계값은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 가능하거나 또는 머신 러닝에 의해 결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제2파워 입력, 제3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2파워 입력 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1시간 정보 및 상기 제2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3파워 입력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2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시간 정보 및/또는 상기 제2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제1패턴 및/또는 미리 정한 제2패턴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제1임계치 보다 작고, 상기 제2시간 정보가 제2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제1임계치 보다 작거나, 상기 제2시간 정보가 제2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및 제2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파워 입력에 응답해서, 제1 파워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도록 설정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2파워 입력에 응답해서 제1 파워 입력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이었던 어플리케이션이 계속 동작하는 일반 모드(normal mode)로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일반 모드에서,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방송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일반 모드로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 상기 제1 파워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하고, 상기 제1 파워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도록 설정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을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파워 입력 수신 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휘발성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파워 온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파워 온 입력과 상기 파워 온 입력 이전의 파워 오프 입력 사이의 시간 듀레이션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시간 듀레이션에 따라 콜드 부팅 제어 또는 웜 부팅 제어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CPU와 마이콤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파워 온 입력과 상기 파워 온 입력 이전의 파워 오프 입력 사이의 상기 시간 듀레이션을 카운팅 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 듀레이션이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 듀레이션이 상기 임계치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휘발성 메모리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CPU로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기 콜드 부팅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시간 듀레이션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CPU로 웜 부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기 웜 부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인스턴트 온 부팅 기술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작 중 문제가 발생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파워 키를 눌러서 끄고 켜는 것을 반복하여 문제가 해결되기를 원할 대, 사용자가 파워 키를 누르는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스스로 사용자의 콜드 부팅 의도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오류 문제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복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복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입력 전 대기 시간과 동작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파워 키 입력이 수신되었을 때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인식하는 다양한 사용자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 T2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 T2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 T2, T3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정보 표시 모드/방송 표시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파워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 표시 모드/방송 표시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시된 실시예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 표시 모드/방송 표시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시된 실시예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파워 입력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오프 입력 수신시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9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전자 장치 19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TV를 사용하는 도중 동작 에러가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파워 키를 눌러서 TV를 파워 오프하고 다시 파워 키를 눌러서 파워 온을 시키면 TV가 재부팅하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또는 TV의 AC 전원을 착탈하여 재부팅할 경우 정상적으로 다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TV에 인스턴트 온 (Instant On) 기능 또는 서스펜드 투 램 (Suspend To RAM)기능이 적용되면서 사용자가 파워 키로 TV를 파워 오프 했다가 다시 파워 온 시켜도 동작 에러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TV 자체에서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의 경우에, TV 자체의 에러 복구 시스템으로 에러 복구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인스턴트 온 기능 또는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은, TV가 동작 중 파워 키를 수신하면,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는 휘발성 메모리(RAM)에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스템 클럭의 동작을 중지하여 RAM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등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나머지 하드웨어 구성요소는 오프 되었다가, 이후 파워 키가 수신되면 시스템 클럭의 동작을 재개하여 휘발성 메모리에 보관된 소프트웨어 코드가 그대로 동작하도록 하여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부팅방법이다. 소프트웨어가 휘발성 메모리에 그대로 유지되는 기술은 DRAM에서 제공하는 셀프-리프레시(Self-Refresh) 기술을 활용한다. 서스펜드 투 램 기술은 S3 또는 딥 슬립(Deep Sleep) 기술로 불린다.
인스턴트 온 기능 또는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시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내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지만, 실행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던 휘발성 메모리에는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휘발성 메모리에는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도, 파워 오프 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중이었던 어플리케이션을 휘발성 메모리에 유지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도 휘발성 메모리에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을 유지하게 하는 것을 서스펜드 투 램 (suspend to RAM) 모드라고 불리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온 입력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시 휘발성 메모리에 유지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전에 실행하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전에 실행하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과 함께 바로 실행상태로 됨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중에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10). 이때 사용자는 동작 복구를 위해 제1파워 입력을 수행(11)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워 오프 (12) 하고, 다시 제2파워 입력을 수행(13)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워 온(14)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스턴트 온 기능이나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시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상태를 그대로 유지(100a, 100b, 100c)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 시에 이러한 에러 있는 소프트웨어 상태로 그대로 실행이 되므로 에러가 그대로 유지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사용자가 에러 복구를 위해 다시 제3파워 입력을 수행하여(15),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16)하고, 다시 제4파워 입력을 수행하여(17),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18)한다고 하여도 여전히 인스턴트 온 기능이나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에러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이 그대로 유지(100d, 100e)되기 때문에 동작 오류가 복구되지 않은 상태로 켜질 수 밖에 없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가 반복되는 경우에 최종적으로는 AC 전원을 착탈하여 재부팅을 진행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들은 인스턴트 온 기능 또는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파워 키 입력 동작 패턴을 판단하여 다음 부팅시 콜드 부팅 을 해야 하는지 판단하여 시스템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복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중에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20).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는 에러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200a). 이때 사용자는 동작 복구를 위해 제1파워 입력을 수행(21)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워 오프 (22) 하고, 다시 제2파워 입력을 수행(23)할 수 있다. 인스턴트 온 부팅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21)에 의해서도 휘발성 메모리의 저장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여전히 에러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200b). 이때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21)로부터 제2파워 입력 (22) 까지의 시간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후 대기 시간 T1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파워 입력 (22)이 수신되면, 모니터링한 대기 시간 T1이 미리 정한 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대기 시간 T1이 미리 정한 패턴에 대응하는지는, 예를 들어, T1이 미리 정한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시간 T1 이 미리 정한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복구를 위해 콜드 부팅 (24)을 할 수 있다. 콜드 부팅 (24)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은 지워지므로(200c), 휘발성 메모리의 소프트웨어 에러 상태는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콜드 부팅 (24)후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25),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정상적으로 실행(200d)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에 정상적으로 표시(26)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복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중에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30). 이때 사용자는 동작 복구를 위해 제1파워 입력을 수행(31)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워 오프 (32) 하고, 다시 제2파워 입력을 수행(33)할 수 있다. 제2파워 입력 (33)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스턴트 온 부팅을 함으로써 (34)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전히 어플리케이션이 오동작하는 상태로 켜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동작 상태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워 오프하기 위해 다시 제3파워 입력을 수행(35) 할 수 있다. 제3파워 입력(35) 시 까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는 에러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300a, 300b, 300c).
이때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31)로부터 제2파워 입력 (33) 까지의 시간 즉, 파워 오프후 대기 시간 T1 및 제2파워 입력 (33)으로부터 제3 파워 입력 (35) 까지의 시간 즉, 파워 온후 사용 시간 T2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파워 입력 (35)이 수신되면, 모니터링한 대기 시간 T1 및 T2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정한 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 시간 T1 및 T2가 각각 미리 정한 제1 패턴 및 미리 정한 제2 패턴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 시간 T1가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하는지 또는 또는 대기 시간 T2가 미리 정한 패턴 T2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 시간 T2가 미리 정한 제2 패턴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시간 T1/T2가 미리 정한 제1패턴/제2패턴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복구를 위해 콜드 부팅 (36)을 할 수 있다. 콜드 부팅 (36)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의 소프트웨어 에러 상태는 제거될 수 있으므로(300d),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을 요청하면(37), 디스플레이 장치는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하여(300e), 정상적으로 실행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38)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100은 제어부 110, 전원부 120, 메모리 150, 감지부 18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텔레비전, 데스크 탑 PC, 핸드헬드 PA, 개인 정보 단말기 등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전원 관리 기능의 한 기술로 절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전원 관리 기능의 한 기술로 서스펜드 투 램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서스펜드 투 램 모드는, 시스템이 저전력 상태로 들어갈 때,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대부분은 전원공급이 중단되지만, 시스템 구성에 관한 정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액티브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는 휘발성 메모리인 메인 메모리에 대한 전원공급은 유지되는 모드를 말한다. 서스펜드 투 램 모드에서, 시스템은 최 저전력으로 유지될 수 있고, 이 때 요구되는 전력은 대부분 휘발성 메모리인 메인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를 위해 이용된다. 서스펜드 투 램 모드에서는 어느 때라도 깨어나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시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리부팅(rebooting)은, 장치를 파워 오프 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처음 상태로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처음 디스플레이 장치를 켜면 시스템을 검사하는 자기진단시험(Power On Self Test)을 한 후에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휘발성 메모리인 램으로 읽어들인다. 이상 없이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을 램으로 읽어들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 경우 부팅이 되었다고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기본적으로 서스펜드 투 램 기능 또는 인스턴트 온 부팅 기능이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리부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워 오프 한 후 다시 파워 온하는 것을 말하는 데, 파워 오프시에 적어도 휘발성 메모리에 전력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감지부 185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은 파워 온을 나타내는 입력 및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입력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은 토글 형태로 구현되며, 제1파워 입력이 파워 온을 나타내면 다음 제2파워 입력은 파워 오프를 나타낼 수 있다.
전원부 120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각 기능 블록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전원부 120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전원부 120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이나 인스턴트 온 부팅 기능이 적용된 경우, 전원부 120는 이러한 기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시에도 메모리 150에 포함된 휘발성 메모리에는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 150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Volatile memory)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를 요구하는 컴퓨터 메모리로서, 동적 램(DRAM), 정적 램(SRAM)을 포함하여 일반 목적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말한다. 휘발성 메모리는 서스펜드 투 램 기능에 따라 작업중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 11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구성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을 수신하고, 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파워 입력 수신 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1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파워 입력 수신 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및 제2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제어부 110은, 제2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2파워 입력 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1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에 대응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에 대응하는 입력일 때, 상기 제1시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기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1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에 대응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에 대응하는 입력일 때, 상기 제1시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10은,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제1 임계값 보다 작을 때,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상기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임계값은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 가능하거나 또는 머신 러닝에 의해 결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제2파워 입력, 제3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제어부 110은, 상기 제3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2파워 입력 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1시간 정보 및 상기 제2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3파워 입력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2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시간 정보 및/또는 상기 제2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제1패턴 및/또는 미리 정한 제2패턴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10은, 제1시간 정보가 제1임계치 보다 작고, 상기 제2시간 정보가 제2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10은,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제1임계치 보다 작거나, 상기 제2시간 정보가 제2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및 제2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제어부 110은 제1파워 입력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2파워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일반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100은, 제어부 110, 전원부 120, 휘발성 메모리 130 및 비휘발성 메모리 140를 포함하는 메모리 150, 비디오 처리부 160, 디스플레이부 165, 오디오 처리/출력부 170, 튜너부 175, 통신부 180, 감지부 185, 입/출력부 190을 포함한다.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6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75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5는 통신부180 또는 입/출력부19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5는, 제어부11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5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5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처리/출력부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출력부 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출력부170는 처리된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7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도록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통신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도록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8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80은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BLE 인터페이스, NFC 인터페이스, 유선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85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 카메라 및 광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수신부는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 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광 수신부는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파워 온 입력 또는 파워 오프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 190는 제어부 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 190는 HDMI 포트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컴포넌트 잭 (component jack), PC 포트, 및 USB 포트 중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50는 제어부 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50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150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150는 휘발성 메모리 130과 비휘발성 메모리 140를 포함한다.
휘발성 메모리 130는 전원공급이 유지된 상태에서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는 메모리를 말하며, 휘발성 메모리 130는 DRAM, S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Non-volatile memory, NVM, NVRAM) 140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컴퓨터 메모리로서, 롬,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130는 시스템 부팅시 로딩되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실행중인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관련된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에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이 적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파워 오프시에 휘발성 메모리 130에는 전원공급이 유지되기 때문에 휘발성 메모리 130의 내용은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파워 오프 동안에도 계속 유지되어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시에 프로세서는 휘발성 메모리 130에 저장된 내용을 그대로 가져와서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가 콜드 파워 오프되거나 콜드 부팅 동작 수행하는 경우에는 휘발성 메모리 130에도 전원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콜드 파워 오프 후 파워 온 될 때 또는 리부팅시에 휘발성 메모리 130에는 이전 저장된 내용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만약 이전 저장된 내용에 에러가 있었다면 이러한 에러 있는 내용도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50는 전원 관리 모듈 및 대기시간/동작 시간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 모듈은, 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파워 입력 수신 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관리 모듈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 110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대기시간/동작 시간 관리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으로부터 파워 오프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로부터 파워 온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대기 시간 정보를 관리하고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1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 15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10는 메모리 150에 저장될 전원 관리 모듈 및 대기 시간/동작 시간 관리 모듈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S6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입력을 수신한다.
파워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을 나타내는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입력 중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동작 S6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파워 입력 수신 전에 있었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동작 시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온되어 파워 오프까지의 시간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켜진 상태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대기 시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되고 나서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온 되기 까지의 시간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꺼진 상태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동작 시간이나 대기 시간은 어떤 파워 입력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다음 파워 입력을 수신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입력 전 대기 시간과 동작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S610에서 수신한 파워 입력이 현재 파워 입력 740이라고 할 때, 이러한 현재 파워 입력 740 수신 이전에 이전 제1파워 입력 710, 이전 제2파워 입력 720, 이전 제3파워 입력 730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이전 제1파워 입력 710과 이전 제2파워 입력 720 사이의 시간은 대기 시간 750, 이전 제2파워 입력 720과 이전 제3파워 입력 730 사이의 시간은 동작 시간 760, 이전 제3파워 입력 730과 현재 파워 입력 740 사이의 시간은 대기 시간 770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파워 입력 740이 수신되면, 현재 파워 입력 740 수신 전에 있었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76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750, 770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현재 파워 입력 740 수신 전에 있었던 동작 시간 정보와 대기 시간 정보 중에 몇 개의 정보를 획득할 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책에 따라 적절히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파워 입력 740 수신 전의 대기 시간 정보 770 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동작 시간 정보 760 및 대기 시간 정보 770을 이용하거나, 또한 대기 시간 정보 750 및 770 및 동작 시간 정보 760을 모두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보다 이전의 동작 시간정보나 대기 시간 정보를 더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6의 동작 S6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한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한 동작 시간 정보/대기 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패턴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콜드 부팅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한 동작 시간 정보/대기 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획득한 동작 시간 정보/대기 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패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동작 시간 정보/대기 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패턴에 대응한다는 것은, 동작 시간/대기 시간이 미리 정한 임계값보다 작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현재 파워 입력 전에 있었던 동작 시간이나 대기 시간이 어떤 임계값보다 작다면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어떠한 에러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껐다 켰다를 짧은 시간안에 반복하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미리 정한 패턴은 비교할 동작 시간 정보/대기 시간 정보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한 패턴에서 이용하는 임계값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업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또는 기계 학습에 의해 다양하게 결정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동작 S64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작 S630에서의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파워 오프에 의해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에 있는 에러가능성 있는 소프트웨어나 어플리케이션이 더 이상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파워 키 입력이 수신되었을 때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인식하는 다양한 사용자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의 8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제1파워 입력과 파워 온을 나타내는 제2파워 입력 사이의 시간 T1, 파워 온을 나타내는 제2파워 입력과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제3파워 입력 사이의 시간 T2,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제3파워 입력과 파워 온을 나타내는 제4파워 입력 사이의 시간 T3가 표시되어 있다. 710에서, T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후 다음 파워 온 까지의 대기 시간을 나타내고, T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후 다음 파워 오프까지의 사용 시간을 나타내고, T3는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후 다음 파워 온까지의 대기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시간 T1, T2는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TV 오프 동작 중에도 리모콘 입력을 받기 위해 항상 대기하고 있는 마이콤이 존재한다. TV 오프 진입시 마이콤에서 내부 시간 정보 또는 내부 카운터를 활용하여 TV 오프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이후 TV가 파워 온 되면 파워 오프 후 대기 시간을 마이콤을 통해 체크하는 모듈에서 해당 대기 시간을 마이콤에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시간 T1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TV 오프 동작시 패널만 꺼지고 메인 CPU 등은 꺼지지 않는 동작이 추가된다면 이러한 동작도 고려하여 시간 T1에 포함되어 계산되어 질 수 있다. TV 가 오프 상태에서 온으로 켜진 후에는 CPU가 동작하기 때문에 마이콤의 도움 없이도 OS에서 제공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TV가 온되어 있는 시간 T2를 계산할 수 있다.
도 8의 810에서는 제1파워 입력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입력으로 도시되었지만, 도 8의 820에서와 같이 제1파워 입력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을 나타내는 입력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V 온 상태에서 시스템 에러 등이 발생하였지만 사용자가 에러 복구를 위해 파워 오프 입력을 하지 않고 그냥 TV의 파워가 오프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나중에 사용자가 파워 온 입력을 하는 경우 여전히 TV는 에러 상태를 갖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황에서 TV는 에러를 복구할 필요성이 생길 수 있다.
도 8의 8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을 나타내는 제1파워 입력과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제2파워 입력 사이의 시간 T1,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제2파워 입력과 파워 온을 나타내는 제3파워 입력 사이의 시간 T2, 파워 온을 나타내는 제3파워 입력과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제4파워 입력 사이의 시간 T3가 표시되어 있다. 720에서, T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후 다음 파워 오프 까지의 사용 시간을 나타내고, T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후 다음 파워 온까지의 대기 시간을 나타내고, T3는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후 다음 파워 오프까지의 사용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정보인 T1, T2, T3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이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2가 미리 정한 제2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3가 미리 정한 제3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 및 시간 정보 T2가 각각 미리 정한 제1 패턴 및 미리 정한 제2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 이 미리 정한 제1 패턴에 대응하거나 또는 시간 정보 T2가 미리 정한 제2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2 및 시간 정보 T3가 각각 미리 정한 제2 패턴 및 미리 정한 제3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2 이 미리 정한 제2 패턴에 대응하거나 또는 시간 정보 T3가 미리 정한 제3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 T2, 및 T3 가 미리 정한 제1패턴, 제2패턴, 제3패턴에 각각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패턴, 제2패턴, 제3패턴은 실험에 의해 결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제품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정된 제1패턴, 제2패턴, 제3패턴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 값을 수신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정된 제1패턴, 제2패턴, 제3패턴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학습함으로써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패턴, 제2패턴, 제3패턴은 인공지능 기술에 기반한 기계 학습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휘발성 메모리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되어 있을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에러 상태 일 수 있다(900a).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파워 오프를 위한 제1파워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오프를 수행한다. 이때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제1파워 오프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도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기간 동안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어플케이션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900b).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을 위한 제2파워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온을 수행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제2파워 입력까지의 시간인 T1을 확인하고, T1 이 미리 정해진 제1패턴에 대응하는 경우에 리부팅(93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T1이 미리 정한 제1임계치 이하인 경우,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기 시간이 미리 정한 제1임계치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기 시간이 짧다는 것은 사용자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형태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어떠한 에러가 발견되어 이러한 에러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껐다가 켜는 동작을 한 것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콜드 부팅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를 오프하는데 이때는 휘발성 메모리의 초기화를 위해 휘발성 메모리의 전력 공급도 중단함으로서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도 모두 제거한다(900c).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부팅을 수행함으로써 만약에 있을 수 있는 에러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리부팅(930)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165에 일반적인 TV 모드에 따른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콜드 부팅 동작(930)에 의해 휘발성 메모리에 이전에 저장되었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제거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콜드 부팅 후에 이전에 실행했던 에러 가능성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에러 상태 일 수 있다(1000a). 예를 들어, 이전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중 에러가 발생했지만 사용자는 에러 복구를 위한 어떠한 조처도 취하지 않고 그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에러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을 위한 제1파워 입력 1010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온을 수행한다. 이때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온 명령에 따라 휘발성 메모리에 유지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1000b).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제2파워 입력(1020)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오프를 수행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파워 입력 1020의 수신에 따라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제2파워 입력까지의 시간인 T1을 확인하고, T1 이 미리 정해진 제1패턴에 대응하는 경우에 리부팅(103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T1이 미리 정한 제1임계치 이하인 경우,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시간이 미리 정한 제1임계치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시간이 짧다는 것은 사용자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형태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어떠한 에러가 발견되어 이러한 에러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끄는 동작을 한 것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콜드 부팅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를 오프하는데 이때는 휘발성 메모리의 초기화를 위해 휘발성 메모리의 전력 공급도 중단함으로서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도 모두 제거한다(1000c).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부팅을 수행함으로써 만약에 있을 수 있는 에러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부팅(1030)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165에 일반적인 TV 모드에 따른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콜드 부팅 동작(1030)에 의해 휘발성 메모리에 이전에 저장되었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제거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콜드 부팅 후에 이전에 실행했던 에러 가능성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콜드 부팅(1030)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바이 리부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탠바이 리부팅(Standby rebooting)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 상태와 동일하며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만 오프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스탠바이 리부팅 상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만 오프 상태이고 프로세서나 휘발성 메모리 등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온 상태이므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빠르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 T2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휘발성 메모리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되어 있을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에러 상태 일 수 있다(1100a).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파워 오프를 위한 제1파워 입력 1110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오프를 수행한다. 이때 서스펜드 투 램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오프를 나타내는 제1파워 오프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도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기간 동안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어플케이션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1100b).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을 위한 제2파워 입력 1120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온을 수행한다.
제2파워 입력 1120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후 제3파워 입력 1130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110으로부터 제2파워 입력 1120까지의 시간인 T1 및 제2파워 입력 1120으로부터 제3파워 입력 1130까지의 시간인 T2를 확인하고, T1/T2가 미리 정해진 제1패턴/제2패턴에 대응하는 경우에 리부팅(114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정보 T1 및 T2가 미리 정해진 제1패턴 및 제2패턴에 각각 대응하는지를 판단하여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T1이 미리 정한 제1임계치 이하이고, T2가 미리 정한 제2임계치 이하인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기 시간 T1 및 대기시간 T1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시간 T2가 짧다는 것은 사용자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형태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어떠한 에러가 발견되어 이러한 에러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껐다가 켜는 동작을 반복한 것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다른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정보 T1 및 T2 중에 어느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제1패턴 및 제2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여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T1이 미리 정한 제1임계치 이하를 만족하거나, 또는 T2가 미리 정한 제2임계치 이하를 만족하거나,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콜드 부팅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를 오프하는데 이때는 휘발성 메모리의 초기화를 위해 휘발성 메모리의 전력 공급도 중단함으로서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도 모두 제거한다(1100c).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부팅을 수행함으로써 만약에 있을 수 있는 에러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리부팅(1140)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165에 일반적인 TV 모드에 따른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콜드 부팅 동작(1140)에 의해 휘발성 메모리에 이전에 저장되었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제거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콜드 부팅 후에 이전에 실행했던 에러 가능성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콜드 부팅(1140)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바이 리부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제1파워 입력을 수신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T1/T2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도 10에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우 오프 상태에서 제1파워 입력을 수신한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 T2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예는 도 11에 도시된 예와 동일하며 다만, 리부팅을 판단하는 시점에서 차이가 난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210, 제2파워 입력 1220, 제3파워 입력 1230을 수신한다. 제3파워 입력 1230을 수신하기 까지 휘발성 메모리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 (1200a, 1200b)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파워 입력을 수신하고 나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여부를 결정하였지만,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파워 입력 1230을 수신하고 나서가 아니라 제4파워 입력 1240을 수신하고 나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210으로부터 제2파워 입력 1220까지의 시간인 T1 및 제2파워 입력 1220으로부터 제3파워 입력 1230까지의 시간인 T2를 확인하고, T1/T2가 미리 정해진 제1패턴/제2패턴에 대응하는 경우에 리부팅(1250)을 수행할 수 있다. T1/T2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도 11에서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 정보 T1, T2, T3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예는 도 12에 도시된 예와 동일하며 다만, T1, T2 외에 T3를 더 고려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310, 제2파워 입력 1320, 제3파워 입력 1330, 제4파워 입력 1340을 수신한다. 제4파워 입력 1340을 수신하기 까지 휘발성 메모리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 (1300a, 1300b)일 수 있다.
제4파워 입력 1340을 수신하면,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310으로부터 제2파워 입력 1320까지의 시간인 T1, 제2파워 입력 1320으로부터 제3파워 입력 1330까지의 시간인 T2, 제3파워 입력 1330으로부터 제4파워 입력 1340 까지의 시간인 T3를 확인하고, T1/T2/T3가 미리 정해진 제1패턴/제2패턴/제3패턴에 대응하는 경우에 리부팅(135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정보 T1, T2, 및 T3가 미리 정해진 제1패턴, 제2패턴, 및 제3패턴에 각각 대응하는지를 판단하여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정보 T1, T2, T3 중에 하나 이상의 조합이 각 제1패턴,제2패턴, 제3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여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리부팅(1350)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165에 일반적인 TV 모드에 따른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콜드 부팅 동작(1350)에 의해 휘발성 메모리에 이전에 저장되었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제거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콜드 부팅 후에 이전에 실행했던 에러 가능성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콜드 부팅(1350)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바이 리부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정보 모드/일반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파워 입력 버튼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프가 토글되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 상태에서 파워 입력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가 진행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 다시 파워 입력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이 진행될 수 있다.
"정보 모드/일반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파워 입력 버튼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오프가 토글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모드/일반 모드 가 스위칭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모드인 일반 모드 (normal mode) 상태에서 파워 입력 버튼을 누르면, 파워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도록 설정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모드 (information mode)로 스위칭된다. 정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날씨 등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갤러리 등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모드에서 파워 입력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 모드로 스위칭된다. 일반 모드에서는,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방송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반 모드로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다시 파워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하고, 파워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도록 설정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보 모드/일반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입력 버튼에 의해서도 꺼지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에러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에러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복구하기 힘들 수 있다.
도 14는 정보 모드/일반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파워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 모드 1410에서 방송 신호를 표시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중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휘발성 메모리에는 에러가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1460을 저장하는 상태 (1400a)가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에러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에러 상태를 복구하기 위해 제1파워 입력 버튼을 누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420을 수신할 수 있다. 제1파워 입력 1420의 수신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모드를 일반 모드에서 정보 모드 1430로 스위칭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 모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1470을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하고 로딩된 정보 모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에러 있는 어플리케이션 1460 및 정보 모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1470을 저장하는 상태(1400b)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제2파워 입력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파워 입력 1440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모드를 정보 모드 1430에서 일반 모드 1450으로 스위칭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발성 메모리 상태 1400c에서 정보 모드 이전의 방송 표시 모드 에서 실행되었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1460을 실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의 일반 모드에서 실행되었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1460은 에러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전히 에러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정보 모드/일반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입력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꺼지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하던 어플리케이션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러한 에러를 복구하기 용이하지 않게 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 모드/일반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시된 실시예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은 제2파워 입력 1440을 수신하기 전까지 도 14에 도시된 예와 동일하다.
정보 모드 상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파워 입력 1440은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420로부터 제2파워 입력 1440 까지의 시간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보 모드에 있었던 시간을 확인하고, 이 시간이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이 예를 들어 제1 임계 시간 보다 짧다면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형태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440의 수신에 따라 제1파워 입력 1420로부터 제2파워 입력 1440 까지의 시간이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콜드 부팅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쿨 파워 오프 하고 다시 부팅할 수 있다. 쿨 파워 오프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도 모두 제거되어 리부팅후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는 초기화 상태 1500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에러 있는 어플리케이션 1460이 삭제되었으므로, 콜드 부팅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1460)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 모드/일반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시된 실시예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여부를 결정할 때 T1 만을 이용했지만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여부를 결정할 때 T1 및 T2를 고려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 모드 1610에서 방송 신호를 표시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중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휘발성 메모리에는 에러가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1680을 저장하는 상태 (1600a)가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에러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에러 상태를 복구하기 위해 제1파워 입력 버튼을 누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620을 수신할 수 있다. 제1파워 입력 1620의 수신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모드를 일반 모드에서 정보 모드 1630로 스위칭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 모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1690을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하고 로딩된 정보 모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에러 있는 어플리케이션 1680 및 정보 모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1690을 저장하는 상태(160b)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제2파워 입력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파워 입력 160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모드를 정보 모드 1630에서 일반 모드 1650으로 스위칭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발성 메모리 상태 1600c에서 정보 모드 이전의 일반 모드 에서 실행되었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1680을 실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의 일반 모드에서 실행되었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1680은 에러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전히 에러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일반 모드 상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3파워 입력 1660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파워 입력 1620로부터 제2파워 입력 1640 까지의 시간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보 모드에 있었던 시간 T1, 및 제2파워 입력 1640으로부터 제3파워 입력 1660 까지의 시간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반 모드에 있었던 시간 T2를 확인하고, 이 시간 정보 T1/T2가 각각 미리 정한 제1패턴/제2패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시간 정보 T1/T2가 미리 정한 제1패턴/제2패턴에 대응하는 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 T1/ 일반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 T2가 각각 제1 임계시간/제2 임계시간 보다 짧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형태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을 결정할 수 있다. 콜드 부팅 결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쿨 파워 오프 하고 다시 부팅할 수 있다. 쿨 파워 오프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도 모두 제거되어 리부팅후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는 초기화 상태 1600d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에러 있는 어플리케이션 1680 정보 모드 어플리케이션 1690이 모두 삭제되었으므로, 콜드 부팅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 모드 어플리케이션 1690을 휘발성 메모리에 다시 로딩하여(1600e) 실행하고 이 실행된 정보 모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에 표시 (1670)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파워 입력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파워 입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여부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로 콜드 부팅 동작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콜드 부팅 동작을 희망하는 지를 문의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700는 <파워 입력이 감지되었습니다. 시스템 에러 복구를 위해서는 재부팅 모드, 이후 파워 온시에 빠른 시작을 위해서는 빠른 모드를 선택하세요.> 라는 포함하고, 또한 재부팅 모드 아이템 1710과 빠른 모드 아이템 1720를 포함한다. 재부팅 모드 아이템 1710의 선택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을 제거하고, 빠른 모드 아이템 1720의 선택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스펜드 투 램 기능에 따라 휘발성 메모리의 전원공급은 유지하면서 파워 오프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입력 전의 대기 시간이나 동작 시간의 길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그런데, 어떠한 원인 등에 의해 파워 입력 전의 대기 시간이나 동작 시간의 길이가 짧아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콜드 부팅 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지만, 실제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 상태가 발생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 조작 문제 등으로 대기 시간이나 동작 시간이 짧게 나타났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까지 감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제 리부팅을 시작하기 전에 도 17에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의도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는 콜드 부팅 동작 시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동작 S18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중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동작 S1811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 복구를 위해 AC 전원을 탈착할 수 있다.
동작 S1812에서, AC 전원 탈착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콜드 부팅 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켜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초기 상태로 만드는 일을 부팅이라고 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를 켜서 시스템을 검사하는 자기진단시험(Power On Self Test)을 한 후에 운영체제를 램으로 읽어들여, 이상 없이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램으로 읽어들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럴 경우 '부팅이 되었다'고 말한다. 전원 스위치나 리셋에 의해 부팅하는 것을 콜드 부팅이라고 한다. 콜드 부팅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은 모두 제거되므로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의 에러는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는 복구될 수 있다.
동작 S18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파워 키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서 파워 오프 입력을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통신부 180 또는 감지부 185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파워 오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1830에서, 파워 키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동작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소정 시간, 예를 들어 몇 초 내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키를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제1 파워 입력과 제2파워 입력 사이의 시간이 짧다면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에러가 발생해서 사용자가 파워 키를 눌렀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에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패턴을 설정해놓고,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동작이 이러한 설정해놓은 패턴에 대응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에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패턴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패턴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동작 S18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패턴을 인식한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지 않으면, 동작 S1840으로 진행한다.
동작 S184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스템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시스템 안정성 판단을 위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시스템 내부적인 메모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시스템 드라이버 등이 오동작 하는지,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들간에 충돌(크래쉬(crash)) 등이 발생하는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발생으로 재부팅이 필요한지 등을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가 동작하는 동안 특정한 메모리 또는 메모리의 특정한 부분을 이용하여 시스템 안정성에 관련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나타내는 값, 시스템 드라이버 등이 오동작 하는지를 나타내는 값,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들간에 충돌(크래쉬(crash))이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값,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발생으로 재부팅이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값 등을 특정한 메모리나 메모리의 특정한 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이와 같이 저장된 시스템 안정성에 관련된 값을 읽어서 시스템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184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시스템 안정성 판단 결과 시스템 불안정 상태에 응답하여, 콜드 파워 오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동작 S184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파워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184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콜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콜드 파워 오프와 콜드 부팅을 수행하였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에러 코드는 제거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는 복구될 수 있다.
동작 S185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시스템 안정성 판단 결과 시스템이 안정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서스펜드 투 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동작 S185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185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스펜드 투 램 모드에 있었으므로 파워 키 입력에 응답해서 인스턴트 온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S18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패턴을 인식한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부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동작 S1831로 진행한다.
동작 S183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리부팅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는 복구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동작 방법의 과정은 도 18에서 S1830 및 S1831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 동작 S1830에서 리부팅이 필요한 사용자 패턴을 인식하고 리부팅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로 S1831에서 리부팅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콜드 부팅 시작 전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의향을 문의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오프 입력 수신시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9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1900는 CPU 1910, 마이콤 1920, 감지부 1930, 휘발성 메모리 1940, 비휘발성 메모리 1950를 포함한다.
CPU 1910는 전자 장치 1900의 구성요소들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마이콤 1920의 지시에 따라 콜드 부팅 또는 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콜드 부팅은 비휘발성 메모리 1950에 저장된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 초기화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휘발성 메모리 1940에 로딩하여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웜 부팅은 휘발성 메모리 1940에 저장된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 초기화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초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콤 1920는 전자 장치 1900의 파워오프 시에도 전원의 차단 없이 계속적으로 동작하는 CPU 1910과는 별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마이콤 1920는 전자 장치 1900의 파워오프 입력으로부터 다음 파워 온 입력까지의 대기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 1900의 파워 온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 마이콤 1920는 카운트한 대기 시간을 체크하여, 이 대기 시간이 소정 임계치를 넘는지 비교한다.
비교결과, 대기 시간이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 마이콤 1920은 전자 장치 1900에 어떤 에러 발생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콤 1920는 CPU 1910에 통상적인 부팅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마이콤 1920는 CPU 1910에 인스턴트 온 부팅 또는 웜 부팅을 지시할 수 있다.
비교결과, 대기 시간이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경우에, 마이콤 1920는 전자 장치 1900에 어떤 에러 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콤 1920는 휘발성 메모리 1940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휘발성 메모리 194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휘발성 메모리 1940에 유지되었던 내용은 제거될 수 있어서, 에러 상태가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콤 1920는 CPU 1910에 콜드 부팅을 지시할 수 있다.
감지부 1930는 전자 장치의 파워 온 또는 파워 오프 와 같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휘발성 메모리 1940는 램과 같은 메모리로서, 휘발성 메모리 1940으로의 전력 공급이 유지되는 한 휘발성 메모리 1940에 기억된 내용을 유지하고, 휘발성 메모리 1940으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휘발성 메모리 1940에 기억된 내용은 제거된다.
비휘발성 메모리 1950는 휘발성 메모리 1940과 달리 전력 공급 중단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기억된 내용을 유지하고 있는 메모리로서,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전자 장치 19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900가 파워 오프 입력 2010을 수신한 경우에, CPU 1910는 파워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마이콤 1920는 전자 장치 1900의 파워 오프 에서도, 계속 파워 온 상태를 유지하여 대기 시간 T를 카운팅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 1900는 인스턴트 온 부팅 기능 실현을 위해 전자 장치 1900의 램 1940으로의 전원 공급은 유지되어, 램 1940에 저장된 내용은 지워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다음, 전자 장치 1900가 파워 온 입력 2020을 수신한 경우에, 먼저 마이콤 1920는 파워 오프 입력 2010으로부터 파워 온 입력 2020까지의 시간 T1을 체크하여 T1이 임계치를 넘는지를 판단한다. T1인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경우 즉, 대기시간이 짧다고 판단한 경우, 마이콤 1920는 전자 장치 1900에 에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콜드 부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콤 1920은 램 1940에 기억된 내용을 지우기 위해서 먼저 램 1940으로의 전원 차단 2030 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램으로의 파워 차단을 함으로써 램 1940에 저장된 내용은 제거됨으로써, 혹시 있을 지도 모르는 에러 가능성 있는 내용을 램 194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다음, 마이콤 1920는 CPU 1910으로 콜드 부팅 지시 2040를 보낼 수 있다. 콜드 부팅 지시 2040를 받은 CPU 1910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의 초기화 프로그램을 램 1940에 로딩시킴으로써 부팅 동작을 수행한다.
T1이 임계치를 넘는 경우, 즉, 대기 시간이 짧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마이콤 1920은 전자 장치 1900에 에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웜 부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콤 1920은 CPU 1910에 웜 부팅 지시 2050를 보내면, CPU 1910은 램 1940에 기억된 내용을 바탕으로 부팅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감지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파워 입력 수신 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및 제2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2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2파워 입력 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1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에 대응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에 대응하는 입력일 때, 상기 제1시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기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1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에 대응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에 대응하는 입력일 때, 상기 제1시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제1 임계값 보다 작을 때,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상기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 가능하거나 또는 머신 러닝에 의해 결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제2파워 입력, 제3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2파워 입력 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1시간 정보 및 상기 제2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3파워 입력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2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시간 정보 및/또는 상기 제2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제1패턴 및/또는 미리 정한 제2패턴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제1임계치 보다 작고, 상기 제2시간 정보가 제2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제1임계치 보다 작거나, 상기 제2시간 정보가 제2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및 제2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파워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도록 설정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2파워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중이었던 어플리케이션이 계속 동작하는 일반 모드(normal mode)로 스위칭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파워 입력 수신 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시간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따라,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및 제2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2파워 입력 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1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에 대응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에 대응하는 입력일 때, 상기 제1시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기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1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에 대응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파워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에 대응하는 입력일 때, 상기 제1시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제1 임계값 보다 작을 때,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상기 미리 정한 제1패턴에 대응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 가능하거나 또는 머신 러닝에 의해 결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입력은 제1파워 입력, 제2파워 입력, 제3파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3파워 입력의 수신에 응답해서, 상기 제1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2파워 입력 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1시간 정보 및 상기 제2파워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3파워 입력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제2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시간 정보 및/또는 상기 제2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제1패턴 및/또는 미리 정한 제2패턴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콜드 부팅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제1임계치 보다 작고, 상기 제2시간 정보가 제2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정보가 제1임계치 보다 작거나, 상기 제2시간 정보가 제2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0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파워 온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파워 온 입력과 상기 파워 온 입력 이전의 파워 오프 입력 사이의 시간 듀레이션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시간 듀레이션에 따라 콜드 부팅 제어 또는 웜 부팅 제어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CPU와 마이콤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파워 온 입력과 상기 파워 온 입력 이전의 파워 오프 입력 사이의 상기 시간 듀레이션을 카운팅 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 듀레이션이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 듀레이션이 상기 임계치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휘발성 메모리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CPU로 콜드 부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기 콜드 부팅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시간 듀레이션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CPU로 웜 부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기 웜 부팅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162789A 2017-12-20 2018-12-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74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14717.3A EP3514686B1 (en) 2017-12-20 2018-12-2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1880072065.3A CN111316660B (zh) 2017-12-20 2018-12-20 显示设备以及对显示设备进行操作的方法
PCT/KR2018/016333 WO2019125007A1 (en) 2017-12-20 2018-12-2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6/227,637 US10978020B2 (en) 2017-12-20 2018-12-2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6477 2017-12-20
KR1020170176477 2017-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970A true KR20190074970A (ko) 2019-06-28

Family

ID=6706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789A KR20190074970A (ko) 2017-12-20 2018-12-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74970A (ko)
CN (1) CN111316660B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723A (ko) * 2009-08-14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재생 장치 및 영상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CN103182996B (zh) * 2011-12-31 2015-07-15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识别系统冷热启动的装置以及汽车
JP6335063B2 (ja) * 2013-08-05 2018-05-30 ハーマ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載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70091436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6660B (zh) 2022-11-22
CN111316660A (zh)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2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quick activ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4596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EP3514686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543164B2 (en) Sleep method, wake method and mobile terminal device
CN109542744B (zh) 检测终端开机异常问题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8040292B (zh) 电视待机开机方法、电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20040432A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하이버네이션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3015904A1 (en) Television with energy saving and quick start modes
KR2017009143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1004353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CN104252203B (zh) 电子装置、用于控制电子装置的方法及程序
CN107766218B (zh) 系统优化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US7383469B2 (en)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2988246A (zh) 系统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434117B (zh) 图像显示装置及操作图像显示装置的方法
KR201900749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720140B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78218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KR20130116599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2202296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901224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4610349A (zh) 一种显示设备及升级的方法
CN115242991A (zh) 智能电视的待机方法、装置、智能电视及计算机介质
JP2003271411A (ja) プログラム暴走検知機能を有する制御回路を具えた電子機器
CN115344283A (zh) 显示设备、播放器升级方法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