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723A -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723A
KR20190074723A KR1020170176294A KR20170176294A KR20190074723A KR 20190074723 A KR20190074723 A KR 20190074723A KR 1020170176294 A KR1020170176294 A KR 1020170176294A KR 20170176294 A KR20170176294 A KR 20170176294A KR 20190074723 A KR20190074723 A KR 20190074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mputing
storage
computing device
file service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749B1 (ko
Inventor
이미애
황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7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7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의 접속 및 구동 없이 파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직접 스토리지에 접속하여 파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원격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에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한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는 원격 컴퓨팅 장치와,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과 원격 컴퓨팅 장치가 접속되도록 원격 컴퓨팅 장치를 사용자 단말에 할당하는 관리 서버와,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에 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일 서비스 서버와, 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Providing Remote Comput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컴퓨팅 서비스(Remote Computing Service)는 원거리에 위치한 서비스 제공자의 원격 컴퓨팅 장치에서 서비스 가입자의 데이터를 가공, 처리, 저장 및 편집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즉, 원격 컴퓨팅 서비스는 단순한 입출력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고 사양의 컴퓨팅 장치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게 하는 서비스이다.
최근, 각 개인의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처리 및 저장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들이 대용량화 및 고사양화 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을 보완함은 물론 개인용 컴퓨터를 대체할 수 있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기술에 대한 관심과 요청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원격 컴퓨팅 서비스 기술은 원격 컴퓨팅 장치가 개인용 컴퓨터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격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면서 생성된 파일들은 서비스 제공자의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이후 사용자는 이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들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기술은 사용자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원격 컴퓨팅 장치의 구동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원격 컴퓨팅 장치의 자원 요구량이 많아지고, 사용자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의 접속 및 구동 없이 파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직접 스토리지에 접속하여 파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 서비스 제공 시 접속 및 구동되지 않는 원격 컴퓨팅 장치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컴퓨팅 장치의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의 우선 순위 또는 휴면 상태 여부에 따라 스토리지의 권한 부여 및 회수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스토리지의 활용도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격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에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한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는 원격 컴퓨팅 장치와,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과 원격 컴퓨팅 장치가 접속되도록 원격 컴퓨팅 장치를 사용자 단말에 할당하는 관리 서버와,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에 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일 서비스 서버와, 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는 스토리지의 이용 상태를 관리하고,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스토리지의 이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는 관리 서버에 스토리지와 접속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는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스토리지의 접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는 스토리지의 접속 정보를 이용해 스토리지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는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 시 관리 서버에 스토리지 이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는 스토리지의 이용 정보를 저장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는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로부터 각각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우선 순위에 따라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스토리지의 이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는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스토리지와 접속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스토리지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그 우선 순위에 따라 스토리지와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부여된 스토리지의 이용 권한을 회수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는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스토리지와 접속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스토리지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스토리지와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가 휴면 상태이면,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다른 하나에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의 이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는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스토리지와 접속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하는 경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 중 다른 하나에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격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컴퓨팅 장치와 연동하여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원격 컴퓨팅 장치와 접속하거나, 사용자 단말이 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가 관리 서버에 스토리지의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스토리지가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접속 중인지 판단하고, 미 접속 중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의 접속을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스토리지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스토리지가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접속 중으로 판단되면,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 이용 권한의 반환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 이용 권한의 반환 요청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에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의 스토리지 이용 권한을 회수하고,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스토리지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 이용 권한의 반환 미요청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에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가 휴면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휴면 상태로 판단되면,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 이용 권한 부여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 이용 권한 부여 가능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 이용 권한 부여 불가능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의 접속 및 구동 없이 파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직접 스토리지에 접속하여 파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파일 서비스 제공 시 접속 및 구동되지 않는 원격 컴퓨팅 장치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컴퓨팅 장치의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팅 장치 및 파일 서비스 서버의 우선 순위 또는 휴면 상태 여부에 따라 스토리지의 권한 부여 및 회수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스토리지의 활용도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원격 컴퓨팅 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파일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원격 컴퓨팅 장치(200), 관리 서버(300), 파일 서비스 서버(400) 및 스토리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원격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원격 컴퓨팅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한 컴퓨팅 작업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이 원격 컴퓨팅 장치(200)와 연동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CPU 및 메모리 등의 컴퓨팅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컴퓨팅 장치(200)를 이용하여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면서 생성된 파일들은 스토리지(500)에 저장되고, 이후 사용자는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들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접속 요청 즉, 로그인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과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접속되도록 원격 컴퓨팅 장치(200)를 사용자 단말(100)에 할당한다.
여기서, 원격 컴퓨팅 장치(20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원격 컴퓨팅 장치(200) 중 유휴 상태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를 검색하고 그 중 임의로 사용자 단말(100)에 할당할 수 있다.
파일 서비스 서버(400)는 사용자의 접속 요청 즉, 로그인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과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파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파일 서비스 서버(400)는 복수의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복수 사용자 단말(100)에 복수의 파일 서비스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하여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파일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파일 서비스 서버로(400)부터 파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여기서, 파일 서비스란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에 관한 관리 서비스로서 파일 검색, 파일 목록 정보 제공, 파일 다운로드 및 업로드 처리, 바이러스 감염 유무 탐지 및 불필요한 파일 제거 등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컴퓨팅 작업에는 파일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파일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다.
스토리지(500)는 관리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된다.
여기서, 스토리지(500)는 복수 개로 각 사용자 별로 지정 즉, 고정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사용자에게 두 개 이상의 스토리지가 고정 할당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접속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원격 컴퓨팅 장치(200)를 사용자 단말(100)에 할당하고, 사용자의 스토리지(500) 접속 정보를 할당된 원격 컴퓨팅 장치(200)에 제공한다. 원격 컴퓨팅 장치(200)는 스토리지(500) 접속 정보를 이용해 스토리지(500)에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원격 컴퓨팅 장치(200)로부터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 받아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물인 파일들은 스토리지(500)에 저장 및 업데이트 된다.
그리고, 작업 수행이 완료되면, 즉,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접속 해지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 단말(100)은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스토리지(500)의 접속이 해지된다.
파일 서비스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접속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스토리지(500) 접속 정보를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제공한다. 파일 서비스 서버(400)는 스토리지(500) 접속 정보를 이용해 스토리지(500)에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파일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파일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작업 수행이 완료되면, 즉,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접속 해지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 단말(100)은 파일 서비스 서버(400) 및 스토리지(500)의 접속이 해지된다.
관리 서버(300)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상태를 관리하고,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에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부여한다.
즉,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동시에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거나,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가 이미 스토리지(500)에 접속 중인데 다른 하나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을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관리 서버(300)가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파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접속 및 구동 없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직접 스토리지(500)에 접속하여 파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파일 서비스 제공 시 접속 및 구동되지 않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컴퓨팅 장치(200)의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각각 접속되면,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는 관리 서버(200)에 스토리지(500)와 접속되도록 요청한다.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는 스토리지(500)의 접속 요청 시 스토리지 이용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스토리지 이용 정보는 이용할 파일의 종류(실행 파일 및 데이터 파일), 파일 이용 시간 및 파일 이용 권한 종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스토리지(500)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스토리지(500)의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스토리지(500)의 접속 정보는 접속 경로 및 접속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는 제공 받은 스토리지(500)의 접속 정보를 이용해 스토리지(500)에 접속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제공 받은 스토리지(500)의 이용 정보를 저장 또는 업데이트한다.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각각 스토리지(500)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우선 순위에 따라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에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동시에 스토리지(500)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컴퓨팅 작업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서 수행되는 컴퓨팅 작업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에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원격 컴퓨팅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컴퓨팅 작업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서 수행되는 컴퓨팅 작업 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경우 관리 서버(300)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는 컴퓨팅 작업의 중요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원격 컴퓨팅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컴퓨팅 작업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서 수행되는 컴퓨팅 작업 즉, 파일 관리 보다 우선 순위가 높지만, 경우에 따라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우선 순위는 컴퓨팅 작업 종류마다 중요도를 미리 설정하여 관리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가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그 우선 순위에 따라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에 부여된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회수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이미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인데,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수행하는 컴퓨팅 작업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서 수행하는 컴퓨팅 작업 보다 우선 순위가 높으면, 관리 서버(300)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스토리지(500)의 접속 요청은 거절하고,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갖고 있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은 유지할 수 있다. 즉, 기존 원격 컴퓨팅 장치(200)와 스토리지(500)의 접속은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수행하는 컴퓨팅 작업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서 수행하는 컴퓨팅 작업 보다 우선 순위가 낮으면, 관리 서버(300)는 기존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갖고 있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회수할 수 있다. 즉, 기존 원격 컴퓨팅 장치(200)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해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컴퓨팅 장치(200)로부터 회수한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부여할 수 있다. 즉, 파일 서비스 서버(400)와 스토리지(500)를 접속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이미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인데,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가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가 휴면 상태이면,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다른 하나에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휴면 상태라 함은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와 스토리지(500)가 접속하고 있기는 하지만,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스토리지(500)를 일정 기간 이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한 조건이라 함은 이용 제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부여 한다는 의미는 일정 제한 시간 동안만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부여 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관리 서버(300)에 의해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휴면 상태로 판단되면,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일시적으로 회수하여 이를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부여할 수 있다. 즉, 원격 컴퓨팅 장치(200)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일시적으로 해지하고, 파일 서비스 서버(400)와 스토리지(500)를 일시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300)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컴퓨팅 작업이 종료되거나 제한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부여했던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다시 회수하여 원격 컴퓨팅 장치(200)에 반환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휴면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컴퓨팅 작업이 종료되지 않았거나 제한 조건이 만족 되지 않았더라도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부여했던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을 다시 회수하여 원격 컴퓨팅 장치(200)에 반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휴면 상태이면 이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 부여 적합도는,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스토리지(500) 반환 요구 수용도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이용할 스토리지(500) 요구 수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지(500) 반환 요구 수용도는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이 데이터 파일(데이터 보관용 파일)인 경우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 부여 적합도가 적합하고,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이 실행 파일(OS 및 응용 프로그램 구동용 파일)인 경우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 부여 적합도가 부적합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500) 요구 수준은, 스토리지(500) 접속을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컴퓨팅 작업의 소요 시간인 접속 요구 시간과, 스토리지(500)에 접속하여 컴퓨팅 작업을 수행 중 중단 요청 시 연결 해제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작업 중단 소요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요구 시간이 비교적 단기인 경우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 부여 적합도가 적합하고, 접속 요구 시간이 비교적 장기인 경우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 부여 적합도가 부적합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중단 소요 시간이 거의 없어 컴퓨팅 작업을 바로 중단할 수 있는 경우 접속 요구 시간이 비교적 단기인 경우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 부여 적합도가 적합하고, 작업 중단 소요 시간이 비교적 장기여서 컴퓨팅 작업을 완료할 때가지 중단할 수 없는 경우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의 이용 권한 부여 적합도가 부적합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중단 소요 시간이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서비스 요구 사항에 따라 이용 권한 부여 적합도를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가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다른 하나에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 중 어느 하나가 스토리지(500)와 접속을 요청한 나머지 다른 하나 보다 우선 순위가 높거나, 또는, 휴면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 서버(300)가 스토리지(500)와 접속을 요청한 나머지 다른 하나에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토리지(500)와 접속을 요청한 나머지 다른 하나가 일정 대기 시간 경과 후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재요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관리 서버(30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파일 서비스 서버(400) 보다 우선 순위가 높다고 판단하거나,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휴면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관리 서버(300)는 대기 시간 정보를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스토리지(500)와 접속 중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이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시간 정보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수행하는 컴퓨팅 작업의 예상 종료 시간에 해당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작업의 종류에 따라 대기 시간 정보가 설정되어 관리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파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접속 및 구동 없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직접 스토리지(500)에 접속하여 파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파일 서비스 제공 시 접속 및 구동되지 않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컴퓨팅 장치의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우선 순위 또는 휴면 상태 여부에 따라 스토리지(500)의 권한 부여 및 회수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스토리지(500)의 활용도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원격 컴퓨팅 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원격 컴퓨팅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연동부(210), 스토리지 접속 관리부(220) 및 이용 상태 수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연동부(21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한 컴퓨팅 작업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이 원격 컴퓨팅 장치(200)와 연동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CPU 및 메모리 등의 컴퓨팅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스토리지 접속 관리부(220)는, 인증된 사용자의 스토리지(500) 접속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 서버(300)로부터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을 부여 받아 스토리지(500) 접속 정보를 통해 스토리지(500)와 접속하며, 관리 서버(300)로부터 우선 순위에 따른 스토리지(500) 접속 해지 요청을 받아 스토리지(500) 접속을 해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접속 관리부(22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가 휴면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 관리 서버(300)에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 반환 요청하고, 반환 받은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에 따라 스토리지(500)와 재접속할 수 있다.
이용 상태 수집부(23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휴면 상태, 스토리지(500) 이용(Access) 상태 및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의 종류 정보(데이터 파일 및 실행 파일)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휴면 상태 정보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CPU 및 프로세서의 이용률을 이용해 수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리 서버(300)는, 인증 관리부(310), 사용자 단말 관리부(320), 원격 컴퓨팅 장치 관리부(330), 스토리지 관리부(340) 및 이용 상태 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접속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사용자 단말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상태를 관리한다. 그리고, 원격 컴퓨팅 장치 관리부(330)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상태를 관리하고, 복수의 원격 컴퓨팅 장치(200) 중 유휴 상태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를 검색하고 그 중 임의로 사용자 단말(100)에 할당한다.
스토리지 관리부(340)는 각 사용자 별로 고정 할당된 스토리지(500)의 맵핑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이용 상태 관리부(350)는 스토리지의 이용 상태 즉, 스토리지(500) 사용 여부, 스토리지(500)와 접속된 장치의 종류,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 부여 일시 등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와 같은 정보를 바탕으로 스토리지 이용 권한을 부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파일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파일 서비스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부(410), 스토리지 접속 관리부(420), 파일 이용부(430) 및 이용 상태 수집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4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접속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스토리지 접속 관리부(420)는, 인증된 사용자의 스토리지(500) 접속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 서버(300)로부터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을 부여 받아 스토리지(500) 접속 정보를 통해 스토리지(500)와 접속하며, 관리 서버(300)로부터 우선 순위에 따른 스토리지(500) 접속 해지 요청을 받아 스토리지(500) 접속을 해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접속 관리부(420)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휴면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 관리 서버(300)에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 반환 요청하고, 반환 받은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에 따라 스토리지(500)와 재접속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접속 관리부(420)는, 복수의 스토리지(500) 연결 시 각 스토리지(500) 연결이 논리적으로 격리되도록 스토리지(500)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파일 이용부(430)는 사용자 단말(100)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파일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따.
여기서, 파일 관리 작업이란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에 관한 관리 서비스로서 파일 검색, 파일 목록 정보 제공, 파일 다운로드 및 업로드 처리, 바이러스 감염 유무 탐지 및 불필요한 파일 제거 등의 컴퓨팅 작업을 의미한다.
이용 상태 수집부(430)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휴면 상태, 스토리지(500) 이용(Access) 상태 및 스토리지(500)에 저장된 파일의 종류 정보(데이터 파일 및 실행 파일)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휴면 상태 정보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CPU 및 프로세서의 이용률을 이용해 수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파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접속 및 구동 없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직접 스토리지(500)에 접속하여 파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파일 서비스 제공 시 접속 및 구동되지 않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컴퓨팅 장치의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우선 순위 또는 휴면 상태 여부에 따라 스토리지(500)의 권한 부여 및 회수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스토리지(500)의 활용도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시스템과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격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컴퓨팅 장치와 연동하여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다.
한편, 도 5에는 스토리지(500)에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를 접속 장치로 정의하였고,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를 요청 장치로 정의하였고,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을 임시 이용 권한으로 정의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10) 내지 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이 원격 컴퓨팅 장치(200)와 접속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이 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한다.
다음,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관리 서버(300)에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한다(S10).
다음, 스토리지(500)가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 중인지 판단하고(S20), 미 접속 중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을 부여한다(S30).
다음, 스토리지(500)가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 중으로 판단되면,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의 반환 요청인지 판단한다(S40).
다음,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의 반환 요청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500)에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을 회수하고, 스토리지(500)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을 부여한다(S50).
다음,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의 반환 미요청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500)에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휴면 상태인지 판단한다(S60).
다음, 휴면 상태로 판단되면, 스토리지(500)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 부여 가능한지 판단한다(S70).
다음,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 부여 가능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500)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을 부여한다(S80).
다음, 접속 중인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가 미휴면 상태로 판단되거나 제한 조건을 갖는 스토리지(500) 이용 권한 부여 불가능으로 판단되면, 스토리지(500)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에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S90).
다음, 스토리지(500)의 접속 요청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또는 파일 서비스 서버(400)는 대기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시가 경과 후 관리 서버(300)에 스토리지(500)의 접속을 재요청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파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200)의 접속 및 구동 없이 파일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직접 스토리지(500)에 접속하여 파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파일 서비스 제공 시 접속 및 구동되지 않는 원격 컴퓨팅 장치(200)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컴퓨팅 장치의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팅 장치(200) 및 파일 서비스 서버(400)의 우선 순위 또는 휴면 상태 여부에 따라 스토리지(500)의 권한 부여 및 회수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스토리지(500)의 활용도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원격 컴퓨팅 장치
300: 관리 서버
400: 파일 서비스 서버
500: 스토리지

Claims (16)

  1. 원격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한 상기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는 원격 컴퓨팅 장치;
    상기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가 접속되도록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하는 관리 서버;
    상기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일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스토리지
    를 포함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파일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토리지의 이용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스토리지의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스토리지와 접속되도록 요청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접속 요청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에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정보를 이용해 상기 스토리지에 접속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 시 상기 관리 서버에 스토리지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토리지의 이용 정보를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로부터 각각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스토리지의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스토리지와 접속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그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와 접속 중인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부여된 상기 스토리지의 이용 권한을 회수 또는 유지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스토리지와 접속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스토리지와 접속 중인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가 휴면 상태이면,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다른 하나에 제한 조건을 갖는 상기 스토리지의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스토리지와 접속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하는 경우,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및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 중 다른 하나에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사용자 단말에 상기 원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격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컴퓨팅 장치와 연동하여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와 접속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가 관리 서버에 스토리지의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스토리지가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접속 중인지 판단하고, 미 접속 중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을 요청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에 스토리지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가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에 접속 중으로 판단되면, 제한 조건을 갖는 상기 스토리지 이용 권한의 반환 요청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 조건을 갖는 상기 스토리지 이용 권한의 반환 요청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토리지에 접속 중인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의 상기 스토리지 이용 권한을 회수하고,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에 상기 스토리지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조건을 갖는 상기 스토리지 이용 권한의 반환 미요청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토리지에 접속 중인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가 휴면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면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에 상기 제한 조건을 갖는 상기 스토리지 이용 권한 부여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 조건을 갖는 상기 스토리지 이용 권한 부여 가능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에 상기 제한 조건을 갖는 상기 스토리지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조건을 갖는 상기 스토리지 이용 권한 부여 불가능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토리지의 접속 요청한 상기 원격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파일 서비스 서버에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176294A 2017-12-20 2017-12-20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50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94A KR102450749B1 (ko) 2017-12-20 2017-12-20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94A KR102450749B1 (ko) 2017-12-20 2017-12-20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723A true KR20190074723A (ko) 2019-06-28
KR102450749B1 KR102450749B1 (ko) 2022-10-05

Family

ID=6706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294A KR102450749B1 (ko) 2017-12-20 2017-12-20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5458A (zh) * 2020-12-25 2021-03-26 北京安华金和科技有限公司 平台远程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433B1 (ko) * 2003-03-27 2006-10-09 서광영 컴퓨터 네트웍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원격제어방법 및원격제어시스템
JP2008204120A (ja) * 2007-02-20 2008-09-04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9053955A (ja) * 2007-08-27 2009-03-12 Nec Corp 計算機システム、ストレージ、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アクセス制御用プログラム
KR20170084851A (ko) * 2016-01-13 2017-07-21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방송용 셋톱 박스와 이를 이용한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단말과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63904B1 (ko) * 2016-12-30 2017-08-14 (주)엠더블유스토리 파일 동기화 및 중앙화 시스템 및 파일 동기화 및 중앙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433B1 (ko) * 2003-03-27 2006-10-09 서광영 컴퓨터 네트웍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원격제어방법 및원격제어시스템
JP2008204120A (ja) * 2007-02-20 2008-09-04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9053955A (ja) * 2007-08-27 2009-03-12 Nec Corp 計算機システム、ストレージ、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アクセス制御用プログラム
KR20170084851A (ko) * 2016-01-13 2017-07-21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방송용 셋톱 박스와 이를 이용한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단말과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63904B1 (ko) * 2016-12-30 2017-08-14 (주)엠더블유스토리 파일 동기화 및 중앙화 시스템 및 파일 동기화 및 중앙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5458A (zh) * 2020-12-25 2021-03-26 北京安华金和科技有限公司 平台远程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749B1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6583B2 (en) Background processes in update load balancers of an auto scaling group
US69227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rver load
US68266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mong a network of servers
RU2598324C2 (ru) Средства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к онлайновой служб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немасштабных признаков каталога
US67857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local and remote server events in a similar fashion
US67891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 server having a subsystem in communication with an event channel
US8667578B2 (en) Web management authorization and delegation framework
US20150339464A1 (en) Restricted accounts on a mobile platform
US11216414B2 (en) Computer-implemented object management via tags
US8108907B2 (en) Authentication of user database access
US10038640B2 (en) Managing state for updates to load balancers of an auto scaling group
US7886053B1 (en) Self-management of access control policy
KR20090106541A (ko) 시간 기반 권한부여
US20190377507A1 (en) Predictive forecasting and data growth trend in cloud services
US20150095973A1 (en) Cloud database lockdown
KR20080077120A (ko) 운영 체제 배포 동안의 자동화된 상태를 마이그레이션하는서버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로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
US20090222565A1 (en) Centralized Publishing of Network Resources
US11057479B1 (en) Contextual routing configuration and service naming for multi-cluster service mesh
US20190306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stored objects
US11934548B2 (en) Centralized access control for cloud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esources
US20090254982A1 (en) Methods, programs and a system of providing remote access
US8725887B2 (en) License management system and function providing device
US11449241B2 (en) Customizable lock management for distributed resources
CA2984191C (en) Managing load balancers associated with auto-scaling groups
KR20190074723A (ko)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