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514A - 폐유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유수 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4514A KR20190074514A KR1020170175933A KR20170175933A KR20190074514A KR 20190074514 A KR20190074514 A KR 20190074514A KR 1020170175933 A KR1020170175933 A KR 1020170175933A KR 20170175933 A KR20170175933 A KR 20170175933A KR 20190074514 A KR20190074514 A KR 201900745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oil
- waste water
- plate
- was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 B01F11/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유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 기름이 혼합되어 있는 폐유수를 다공성 판을 통과시키면서 압력변화와 비중의 차이를 발생시키고, 교반수단을 이용하여 물과 기름의 분리가 더 잘 되도록 하는 폐유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원심분리기 또는 화학적, 전기적 방식의 폐유수 분리기에 비해서 저비용으로 소형부터 대형까지 장치를 제작할 수 있으며, 가동에 필요한 동력의 사용을 최소로 하여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원심분리기 또는 화학적, 전기적 방식의 폐유수 분리기에 비해서 저비용으로 소형부터 대형까지 장치를 제작할 수 있으며, 가동에 필요한 동력의 사용을 최소로 하여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유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 기름이 혼합되어 있는 폐유수를 다공성 판을 통과시키면서 압력변화와 비중의 차이를 발생시키고, 교반수단을 이용하여 물과 기름의 분리가 더 잘 되도록 하는 폐유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기름이 혼재되어 있는 원수는 철강, 기계, 화학 등의 제조업 및 열병합발전소와 선박 등의 운수기관 등 석유제품을 사용하는 모든 산업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원수를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배출시에는 토양과 지하수, 하천, 해양 등에 심각한 오염을 유발시켜 환경보전상의 큰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그 인화성, 가연성은 더더욱 문제가 되어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폐유수를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물과 기름을 분리하여 각각 별개의 처리과정을 거쳐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폐유수에서 물과 기름을 분리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유수분리장치들은 복잡한 처리과정을 거쳐야 하는 특성상 각 단계별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들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음은 물론 차지하는 공간도 크다. 따라서 이러한 유수분리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는 별도의 큰 공간을 준비해야 함은 물론, 한 번 설치된 유수분리시스템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매우 번잡한 작업과 시간, 비용이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유수분리시스템은 여러 차례의 유수분리과정을 거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더라도 각 단계에서 분리된 기름을 그대로 배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수분리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수분리시스템을 거쳐 최종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도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분농도가 기준치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의 추가적인 처리 여부에 대해서는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유수를 낙하시키고 통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충격을 주거나 압력의 변화를 주고, 메쉬망을 통과시키면서 비중의 차이를 발생시켜 별도의 경로로 물과 기름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물과 기름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폐유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유수를 낙하시키면서 충격을 주어 물과 기름의 결합력을 약화시키도록 하는 폐유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폐유수에 압력 변화를 일으키는 압력변화판의 이동경로의 단면이 변화되도록 하여 분리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폐유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진동이나 회전 등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폐유수를 교반시키는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물과 기름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분리가 잘 되도록 하는 폐유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폐유수에 포함된 물과 기름을 이동시키면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폐유수 분리장치로서, 상기 폐유수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분리된 물과 기름을 서로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함체(102)와; 상기 폐유수가 상단을 넘어서 아래쪽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충격을 주는 낙하판(104)과; 여러 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아래쪽에서 유입된 폐유수를 위쪽으로 통과시키면서 물과 기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물과 기름을 각각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메쉬분리판(110)과; 상기 함체(10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102)의 내부를 이동하는 폐유수를 교반시키는 교반수단(114);을 포함한다.
상기 낙하판(104)은 상기 폐유수의 이동을 차단하여 폐유수의 수위를 높이는 차단판(104a)과; 상기 차단판(104a)의 최상단에서 상기 폐유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져서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104b)와; 상기 경사부()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요철부(104c);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폐유수에 포함된 물과 기름을 이동시키면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폐유수 분리장치로서, 상기 폐유수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분리된 물과 기름을 서로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함체(102)와; 상기 폐유수를 통과시키면서 압력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압력변화판(106)과; 여러 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아래쪽에서 유입된 폐유수를 위쪽으로 통과시키면서 물과 기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물과 기름을 각각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메쉬분리판(110)과; 상기 함체(10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102)의 내부를 이동하는 폐유수를 교반시키는 교반수단(114);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변화판(106)은 상기 폐유수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판(106a)과; 상기 차단판(106a)에 형성되어 상기 폐유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관통공(106b);을 포함한다.
상기 메쉬분리판(110)은 평판(110a)과; 상기 평판(110a)에 형성되어 상기 폐유수를 통과시키면서 물과 기름을 분리시키는 다수의 메쉬(110b);를 포함하며, 상기 메쉬분리판(110)은 복수개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수단(114)은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14a)와; 구동부(114a)에서 발생시키는 운동력에 의해 회전, 진동, 왕복운동 중 어느 하나의 운동을 하면서 상기 폐유수를 교반시키는 접촉부(114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원심분리기 또는 화학적, 전기적 방식의 폐유수 분리기에 비해서 저비용으로 소형부터 대형까지 장치를 제작할 수 있으며, 가동에 필요한 동력의 사용을 최소로 하여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분리장치 내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낙하판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압력변화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메쉬분리판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메쉬분리판을 통과하는 물과 기름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교반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교반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교반수단의 운동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분리장치 내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낙하판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압력변화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메쉬분리판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메쉬분리판을 통과하는 물과 기름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교반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교반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교반수단의 운동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유수 분리장치"(이하, '분리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분리장치 내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낙하판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압력변화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메쉬분리판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메쉬분리판을 통과하는 물과 기름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교반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교반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교반수단의 운동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분리장치(100)는 통상적인 폐유수 발생현장에 설치되며, 공장설비나 운송기관, 화학제품 제조설비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유수를 수집하여 물과 기름으로 분리한 후 별도의 저장시설 또는 처리시설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분리장치(100)는 폐유수를 수집하는 폐유수저장조(10)와 분리된 상태의 물과 기름을 각각 저장하는 기름저장조(50) 및 물저장조(60)의 사이에 설치된다.
폐유수저장조(10)에 저장된 폐유수는 폐유수이송관(20)을 통해 분리장치(100)로 이동한다. 그리고 분리장치(100)를 통과하면서 분리된 기름과 물은 각각 기름배출관(30)과 물배출관(40)을 따라 이동하여 기름저장조(50)와 물저장조(60)에 저장된다.
분리장치(100)는 유입된 폐유수의 이동경로에서 낙하시켜 충격을 주거나, 압력을 변화시키거나, 이동경로를 가로막아 충격을 가하거나, 비중의 차이로 인한 경로의 변동 등의 방법으로 물과 기름을 분리한다.
도 2에는 분리장치(100) 내부의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동경로를 따라 순서대로 구성요소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한다.
분리장치(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함체(102)는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 저장시설로 구성되지만, 분리처리할 폐유수의 양에 따라서는 철제 구조물이나 합성수지 탱크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함체(102)의 내부에는 적절한 양의 폐유수가 흘러가면서 처리되도록 하기 위해 임시적인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폐유수의 이동이 정체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적절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장치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폐유수 내부에 혼합된 기름의 발화나 화학적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체(102)의 내부에는 폐유수의 이동경로를 따라 낙하판(104), 압력변화판(106), 중간분리판(108), 메쉬분리판(110)이 순서대로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순서는 편의상 규정한 것일 뿐, 처리대상이 되는 폐유수의 종류나 양, 분리장치(100)의 설치 환경 등에 따라서 설치 순서나 환경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함체(102)의 내부에는 교반수단(114)이 설치되는데, 교반수단(114)은 한 개일 수도 있지만 효율적인 분리를 위해 여러 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수단(114)은 각각의 분리수단의 사이에 하나씩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폐유수이송관(20)을 통해 함체(102)의 내부로 들어온 폐유수는 먼저 낙하판(104)을 넘어서 통과한다. 낙하판(104)은 폐유수의 높이를 올렸다가 넘어가면서 낙하하도록 하여 충격을 주면서 물과 기름의 결합력을 약화시킨다.
낙하판(104)은 폐유수의 이동경로에 직각이거나 직각에 가깝게 설치되는 차단판(104a)과, 차단판(104a)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104b), 경사부(104b)의 말단에 형성되는 요철부(104c)로 이루어진다.
차단판(104a)에 의해 폐유수는 바로 다음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체된다. 정체된 폐유수는 차단판(104a)의 높이를 넘을 때까지 수위가 올라가는데, 수위가 차단판(104a)의 높이보다 더 높아졌을 때 차단판(104a)의 상단을 넘어서 흘러가게 된다.
경사부(104b)는 차단판(104a)의 최상단에서 폐유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져서 내려가도록 형성된다. 폐유수는 차단판(104a)을 넘고 경사부(104b)를 따라 흘러내려간다.
요철부(104c)는 경사부(104b)의 제일 아래쪽 끝부분에 형성되며, 낙하판(104)을 넘은 폐유수가 낙하할 때, 보다 많은 입자로 분리되도록 유체를 나눠주는 역할을 한다.
요철부(104c)가 형성되는 경사부(104b)의 끝은 낙하판(104)의 높이와 비슷하거나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경사부(104b)를 따라 흘러내려온 폐유수는 낙하판(104)의 높이와 비슷한 높이에서 자유낙하하게 된다. 아래로 떨어지는 폐유수는 낙하시의 충격으로 인해 물과 기름의 결합력이 낮아지게 된다.
낙하판(104)을 넘어온 폐유수는 압력변화판(106)을 통과하게 된다.
압력변화판(106)은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유수가 비교적 좁은 통로를 통과하면서 속도와 압력의 변화가 생기도록 하여 물과 기름이 1차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압력변화판(10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진 차단판(106a)에 다수의 관통공(106b)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폐유수의 이동경로를 가로막는 차단판(106a)으로 인해 폐유수는 관통공(106b)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공(106b)은 폐유수의 진행방향으로 내경이 작아지거나 커지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관통공(106b)의 내경이 작아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관통공(106b)이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거나 S자처럼 휘어진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내경을 갖지만 폐유수의 진행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폐유수의 진행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내려가거나 올라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경사를 번갈아가면서 또는 무작위로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폐유수의 이동속도에 변화를 줄 수 있다면 이러한 구조뿐만 아니라 다른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물과 기름은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좁은 통로를 이동하면서 유체의 속도와 압력의 변화가 생긴다. 이로 인해 물과 기름의 결합력이 떨어지면서 분리 효과가 커지게 된다.
압력변화판(106)은 비교적 작은 직경의 관통공(106b)을 거치면서 폐유수를 통과시키기 때문에 폐유수에 혼합되어 있는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압력변화판(106)은 차단판(106a)이 폐유수의 이동경로와 직각이 되거나 직각에 가까운 각도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압력변화판(106)을 통과하면서 결합력이 떨어진 폐유수는 중간분리판(108)을 지나면서 충격이 가해져서 물과 기름의 분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진다.
중간분리판(108)은 아래쪽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통로에 돌기나 격자망 등이 형성되어 있어서 폐유수에 충격을 가하거나 난류를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분리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중간분리판(108)을 통과한 폐유수는 메쉬분리판(110)을 통과하면서 다시 한 번 물과 기름으로 분리된다.
메쉬분리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유수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다수의 판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다.
메쉬분리판(110)은 평판(110a)에 다수의 메쉬(110b)를 형성하여 폐유수 또는 분리된 상태의 물과 기름이 통과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메쉬(110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일 수 있지만 이외에도 원형이나 타원형, 기타 다각형, 부정형 모양일 수도 있다.
평판(110a)은 평면이 지면과 평행이거나 평행에 가깝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러 개의 평판(110a)을 상하방향으로 겹쳐서 구성한다. 그리고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유수는 제일 아래쪽에 있는 유입구(112)를 통해 메쉬분리판(110)의 내부로 들어온다.
메쉬분리판(110)은 여러 개를 적층하여 구성하는데, 적층하는 가장자리에 돌출된 벽을 형성하여 적층된 메쉬분리판(110)의 내부와 외부가 격리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서 제일 아래쪽의 유입구(112)를 통해 들어온 폐유수는 물과 기름으로 분리되면서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중차이로 인해 메쉬분리판(110)을 통과하지 못하고 아래쪽에서 분리된 물은 아래쪽에 위치한 물배출관(40)을 통해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비중으로 인해 위로 이동하면서 메쉬(110b)를 통과한 기름은 위쪽에 위치한 기름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메쉬(110b)를 통과하면서 물과 기름이 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메쉬분리판(110)에 다양한 형태의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메쉬분리판(110)은 함체(102)의 가장 끝부분에 설치된다. 낙하판(104)과 압력변화판(106), 중간분리판(108)을 통과하면서 물과 기름이 어느 정도 분리된 상태의 폐유수는 메쉬분리판(110)을 통과하면서 물과 기름이 확실히 분리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중이 큰 물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물배출관(40)을 통해 배출되고, 비중이 작은 기름은 메쉬(110b)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기름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폐유수에 충격을 주거나 회전시켜 물과 기름의 분리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교반수단(114)을 포함한다.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수단(114)은 전기모터나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기타 구동수단에 의해 진동이나 회전을 일으켜서 폐유수에 힘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교반수단(114)은 전기나 공기, 기름 등의 힘으로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14a)와, 구동부(114a)의 운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114b)와, 실린더(114b)에서 전달되는 운동력에 의해 회전하거나 진동하거나 왕복운동을 하면서 폐유수를 교반시키는 접촉부(114c)로 이루어진다.
접촉부(114c)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빗과 같이 여러 개의 살이 나란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 외에도 원판이나 나선, 평판 등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폐유수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빗살이나 나선형 회전체 등으로 만든다.
교반수단(11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실린더(114b)의 왕복운동에 의해 진동을 주거나, (b) 실린더(114b)의 회전 왕복운동에 의해 회전시키거나, (c) 실린더(114b)의 좌우 왕복운동을 통해 충격을 주는 등의 방법으로 폐유수를 교반시킨다. 교반수단(114)의 운동 방식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교반수단(114)은 함체(102)의 내부에서 폐유수이송관(20)이 위치하는 곳이나 각 분리수단의 사이, 함체(102)의 바닥면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폐유수저장조
20 : 폐유수이송관
30 : 기름배출관 40 : 물배출관
50 : 기름저장조 60 : 물저장조
100 : 분리장치 102 : 함체
104 : 낙하판 106 : 압력변화판
108 : 중간분리판 110 : 메쉬분리판
112 : 유입구 114 : 교반수단
30 : 기름배출관 40 : 물배출관
50 : 기름저장조 60 : 물저장조
100 : 분리장치 102 : 함체
104 : 낙하판 106 : 압력변화판
108 : 중간분리판 110 : 메쉬분리판
112 : 유입구 114 : 교반수단
Claims (6)
- 폐유수에 포함된 물과 기름을 이동시키면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폐유수 분리장치로서,
상기 폐유수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분리된 물과 기름을 서로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함체(102)와;
상기 폐유수가 상단을 넘어서 아래쪽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충격을 주는 낙하판(104)과;
여러 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아래쪽에서 유입된 폐유수를 위쪽으로 통과시키면서 물과 기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물과 기름을 각각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메쉬분리판(110)과;
상기 함체(10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102)의 내부를 이동하는 폐유수를 교반시키는 교반수단(114);을 포함하는, 폐유수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판(104)은
상기 폐유수의 이동을 차단하여 폐유수의 수위를 높이는 차단판(104a)과;
상기 차단판(104a)의 최상단에서 상기 폐유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져서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104b)와;
상기 경사부()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요철부(104c);를 포함하는, 폐유수 분리장치. - 폐유수에 포함된 물과 기름을 이동시키면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폐유수 분리장치로서,
상기 폐유수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분리된 물과 기름을 서로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함체(102)와;
상기 폐유수를 통과시키면서 압력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압력변화판(106)과;
여러 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아래쪽에서 유입된 폐유수를 위쪽으로 통과시키면서 물과 기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물과 기름을 각각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메쉬분리판(110)과;
상기 함체(10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함체(102)의 내부를 이동하는 폐유수를 교반시키는 교반수단(114);을 포함하는, 폐유수 분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변화판(106)은
상기 폐유수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판(106a)과;
상기 차단판(106a)에 형성되어 상기 폐유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관통공(106b);을 포함하는, 폐유수 분리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분리판(110)은
평판(110a)과;
상기 평판(110a)에 형성되어 상기 폐유수를 통과시키면서 물과 기름을 분리시키는 다수의 메쉬(110b);를 포함하며,
상기 메쉬분리판(110)은 복수개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수 분리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114)은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14a)와;
구동부(114a)에서 발생시키는 운동력에 의해 회전, 진동, 왕복운동 중 어느 하나의 운동을 하면서 상기 폐유수를 교반시키는 접촉부(114c);를 포함하는, 폐유수 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5933A KR101997481B1 (ko) | 2017-12-20 | 2017-12-20 | 폐유수 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5933A KR101997481B1 (ko) | 2017-12-20 | 2017-12-20 | 폐유수 분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4514A true KR20190074514A (ko) | 2019-06-28 |
KR101997481B1 KR101997481B1 (ko) | 2019-07-08 |
Family
ID=6706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5933A KR101997481B1 (ko) | 2017-12-20 | 2017-12-20 | 폐유수 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74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44926A (zh) * | 2020-05-14 | 2020-08-18 | 重庆工商大学 | 一种带自旋转搅拌叶轮的高压脉冲电场破乳喷射器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1087B1 (ko) | 2024-06-19 | 2024-08-05 | 주식회사 다인에스텍 | 유수분리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1594A (ko) * | 1997-08-30 | 1999-03-25 | 이희근 | 수면접촉식 유수분리장치 |
KR20000021329U (ko) | 1999-05-26 | 2000-12-26 | 정정환 | 유수 분리기 |
JP2005313058A (ja) * | 2004-04-28 | 2005-11-10 | Norimasa Ozaki | 油水分離機 |
KR20100121011A (ko) | 2009-05-07 | 2010-11-17 | 거림엔지니어링(주) | 유수분리시스템 |
WO2016023095A1 (en) * | 2014-08-11 | 2016-02-18 | Exterran Water Solutions Ulc | Phase separation tank |
-
2017
- 2017-12-20 KR KR1020170175933A patent/KR1019974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1594A (ko) * | 1997-08-30 | 1999-03-25 | 이희근 | 수면접촉식 유수분리장치 |
KR20000021329U (ko) | 1999-05-26 | 2000-12-26 | 정정환 | 유수 분리기 |
JP2005313058A (ja) * | 2004-04-28 | 2005-11-10 | Norimasa Ozaki | 油水分離機 |
KR20100121011A (ko) | 2009-05-07 | 2010-11-17 | 거림엔지니어링(주) | 유수분리시스템 |
WO2016023095A1 (en) * | 2014-08-11 | 2016-02-18 | Exterran Water Solutions Ulc | Phase separation tan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44926A (zh) * | 2020-05-14 | 2020-08-18 | 重庆工商大学 | 一种带自旋转搅拌叶轮的高压脉冲电场破乳喷射器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7481B1 (ko) | 2019-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7481B1 (ko) | 폐유수 분리장치 | |
WO2009042372A1 (en) | Foaming of liquids | |
CN202146643U (zh) | 一种带有梯度分布突触的聚结板 | |
JP2015083302A (ja) | 排出ノズ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排出ノズル装置を用いた流体の分配方法および処理方法 | |
US12006234B2 (en) | Passive gravity filter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US2009015951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ubmerged Particles From a Fluid | |
JP2001252503A (ja) | 油水分離装置 | |
CN102211061A (zh) | 一种全截面充气式浮选机 | |
JP2014018742A (ja) |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施設 | |
FI78400B (fi) | Foerfarande foer separering av ett vaetskeformigt medium genom tyngdkraften i olika komponenter. | |
KR101997488B1 (ko) | 폐유수 분리장치 | |
KR101460958B1 (ko) |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 |
JP5787573B2 (ja) | 気液分離装置 | |
EP4081486B1 (en) | Circular parallel plate grit remover | |
US6656251B1 (en) | Process and a plant for purifying of a liquid | |
KR20190074507A (ko) | 폐유수 분리장치 | |
KR101989834B1 (ko) | 오폐수 처리장치 | |
JP2011251234A (ja) | 塗料廃水分離装置 | |
RU2688459C1 (ru) | Вихревой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го очищения от механического загрязнения примесями поверхностных и донных слоев водных объектов с применением вихревых сепараторов (сепараторов-конфузоров, циклонов-конфузоров) | |
RU117423U1 (ru) | Коалесцентный элемент фильтра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вод | |
RU2465944C2 (ru) |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еления фаз в водонефтяной смеси - наклонный отстойник | |
CN106554102B (zh) | 油水分离装置及油水分离系统 | |
RU2315653C1 (ru) | Вертикальный вихревой смеситель | |
KR102666455B1 (ko) | 마이크로버블 혼화율이 개선된 가압부상조 | |
KR101062966B1 (ko) | 마이크로버블 유수분리장치를 이용한 토양오염복원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