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384A -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384A
KR20190074384A KR1020170175685A KR20170175685A KR20190074384A KR 20190074384 A KR20190074384 A KR 20190074384A KR 1020170175685 A KR1020170175685 A KR 1020170175685A KR 20170175685 A KR20170175685 A KR 20170175685A KR 20190074384 A KR20190074384 A KR 2019007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plate
fluid
buffering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075B1 (ko
Inventor
김상범
이정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0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화구부에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복수의 돌기 통과공을 천공하고,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면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가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내열 불소수지나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성형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을 상기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되,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를 상단부 일부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게 상기 상판의 돌기 통과공에 삽입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화구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진동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화구부에 올려놓을 때 가해지거나 조리물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상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판의 수명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이 워킹 코일에 부착하는 마이카 기능을 대신하여 워킹 코일에 전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range with top plate for preventing movement of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덕션 레인지의 상판 화구부에 별도의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을 추가하여 조리용기의 화구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조리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화구부에 올려놓을 때 가해지거나 조리물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상판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이 워킹 코일에 부착하는 마이카 기능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여 워킹 코일에 전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한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조리기인 인덕션 조리기 또는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range) 또는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는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면 자력선이 발생하고, 자력선 중심에 무수한 와류전류(Eddy current)가 생성되어, 전기 저항을 갖는 도전성 자성체 금속제로 형성된 조리용기 또는 피가열판이 유도(induction) 가열에 의하여 발열하여 짐으로써 용기 또는 피가열판에 담겨진 각종 조리물이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덕션 레인지는 불꽃이나 불완전 연소로 인한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할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발생이 없고, 실내 산소의 소모가 적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도중에 그릴에 손이 닿아도 화상의 우려가 없고, 또 불꽃이 없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인덕션 레인지 상판은 대략 사각 프레임 형태로 사출 성형한 상부커버 상면에 강화유리나 대리석, 세라믹 및 플러스틱 등을 포함하는 부도체 재질로 된 상판을 부착 설치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부도체 재질의 상판을 설치한 경우 가격이 저렴하고 외관이 미려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판커버의 상면에 부도체 재질로 된 상판을 부착 설치한 인덕션 레인지의 경우, 상판 상면에 화구의 위치를 알리는 인쇄 이외에 아무런 구조물이 없다.
즉, 별도의 충격 완충기능과 소음방지기능 및 미끄럼 방지기능이 없어 조리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상판 위에 올려놓을 때 발생되는 충격력 및 진동을 완화시킬 수 없어 상판의 수명이 짧고, 또 조리용기를 올려놓는 과정 및 조리물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청각이 예민한 사용자는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중 조리용기가 상판에서 미끄러져 이동하는 현상(즉, 조리용기가 화구측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필요한 동작이 추가되어 인덕션 레인지의 사용성이 저하되고, 상판의 상면에 국물이나 물기 등이 있을 경우 표면 장력에 의해 평평한 형태를 갖는 용기의 바닥면이 부착되어 용기를 드는 데 힘들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를 억지로 드는 과정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내용물을 쏟아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본체 내에 설치된 각종 구성 부품보다 상판의 수명이 짧고, 장기간 사용시 유리의 표면에 흠집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82005호(2014년 07월 0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76099호(2016년 06월 30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부도체 재질로 된 인덕션 레인지의 상판 화구부에 별도의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을 추가로 설치하여, 조리용기의 화구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진동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화구부에 올려놓을 때 가해지거나 조리물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상판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판의 수명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이 워킹 코일에 부착하는 마이카 기능을 대신하여 워킹 코일에 전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 내에는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부와 송풍팬 및 워킹 코일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에는 부도체 재질로 된 상판 및 조작부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화구부에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복수의 돌기 통과공을 천공하고,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면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가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내열 불소수지나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성형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을 상기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되,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를 상단부 일부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게 상기 상판의 돌기 통과공에 삽입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에 돌출 성형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 상단부에는 버섯 머리 형상을 갖고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들이 돌기 통과공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걸림부재를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화구부에 천공되는 복수의 돌기 통과공 및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에 돌출 성형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는 각각 평면이 원형 및 원봉 형상 또는 장방형의 형태를 갖고 상판 화구부 및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중심점을 중심으로 각각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천공 및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돌기 통과공 및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를 평면이 장방형 형상을 갖게 방사형으로 성형할 때, 상판의 화구부 및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 중 최소 사용권장 용기의 지름에 대응하는 위치의 원형 경계부를 기점으로 하여 내측에는 최소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를 형성하고, 외측에는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를 형성하되, 상기 원형 경계부를 기점으로 내,외측으로 구분되게 형성된 상기 최소 및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에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돌기 통과공 및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를 각각 서로 엇갈리는 각도를 갖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에는 상기 상판의 돌기 통과공의 내면과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 외면 사이를 통해 유입되거나 또는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에서 온도차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를 포집하여 외측을 향해 사방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유체 유도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체 유도홈은 평면이 "
Figure pat00001
" 또는 "
Figure pat00002
"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외면에서 저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몸체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유체가 워킹 코일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 띠 형상의 유체 차단판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되, 상기 유체 차단판의 내면이 워킹 코일 설치판의 외면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성형하여 유체 차단판의 내면과 워킹 코일 설치판의 외면 사이에 열기 차단용 공간부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외측에서 저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원형 띠 형상의 유체 차단판 외측에는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유체 포집로를 일체로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체 차단판 또는 유체 포집로를 일체로 구비한 상기 유체 차단판은, 그 내면이 워킹 코일 설치판의 외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결합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면, 부도체 재질로 된 인덕션 레인지의 상판 화구부에 별도의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을 추가로 설치하여, 조리용기의 화구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진동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화구부에 올려놓을 때 가해지거나 조리물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상판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판의 수명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이 워킹 코일에 부착하는 마이카 기능을 대신하여 워킹 코일에 전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인덕션 레인지 자체의 상품성과 사용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인덕션 레인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3의 (a)~(d)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들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
도 4의 (a)~(c) 및 도 5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들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인덕션 레인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및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의 (a)~(d)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들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c) 및 도 5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들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1) 내에는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부(6)와 송풍팬(7) 및 워킹 코일(5)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2)에는 부도체 재질로 된 상판(3) 및 조작부(4)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3)의 화구부(31)에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복수의 돌기 통과공(32)을 천공하고,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81)의 상면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가 상기 돌기 통과공(32)들에 대응하여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내열 불소수지나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성형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을 상기 상판(3)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되,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를 상단부 일부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게 상기 상판(3)의 돌기 통과공(32)에 삽입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 돌출 성형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 상단부에는 버섯 머리 형상을 갖고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들이 돌기 통과공(32)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걸림부재(83)를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3)의 화구부(31)에 천공되는 복수의 돌기 통과공(32) 및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 돌출 성형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는 각각 평면이 원형 및 원봉 형상 또는 장방형의 형태를 갖고 상판(3) 화구부(31) 및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 중심점을 중심으로 각각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천공 및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돌기 통과공(32) 및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를 평면이 장방형 형상을 갖게 방사형으로 성형할 때,
상판(3)의 화구부(31) 및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 중 최소 사용권장 용기의 지름에 대응하는 위치의 원형 경계부를 기점으로 하여 내측에는 최소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84)를 형성하고, 외측에는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85)를 형성하되, 상기 원형 경계부를 기점으로 내,외측으로 구분되게 형성된 상기 최소 및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84)(85)에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돌기 통과공(32) 및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를 각각 서로 엇갈리는 각도를 갖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는 상기 상판의 돌기 통과공(32)의 내면과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 외면 사이 틈새를 통해 유입되거나 또는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서 온도차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를 포집하여 외측을 향해 사방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유체 유도홈(86)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체 유도홈(86)은, 평면이 "
Figure pat00003
" 또는 "
Figure pat00004
"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외면에서 저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몸체(81)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유체가 워킹 코일(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 띠 형상의 유체 차단판(87)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되,
상기 유체 차단판(87)의 내면이 워킹 코일 설치판(51)의 외면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성형하여 유체 차단판(87)의 내면과 워킹 코일 설치판(51)의 외면 사이에 열기 차단용 공간부(89)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외측에서 저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원형 띠 형상의 유체 차단판(87) 외측에는,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유체 포집로(88)를 일체로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체 차단판(87) 또는 유체 포집로(88)를 일체로 구비한 상기 유체 차단판(87)은, 그 내면이 워킹 코일 설치판(51)의 외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결합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9는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이 상판(3)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81)의 저면과 워킹 코일(5) 사이의 간격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저면에 일체로 성형시킨 간격유지돌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인덕션 레인지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1) 내에는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부(6)와 송풍팬(7) 및 워킹 코일(5)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2)에는 부도체 재질로 된 상판(3) 및 조작부(4)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지된 인덕션 레인지의 구성요소 중 도시 및 상기에서 언급은 생략하였으나 조리용기와 워킹 코일(5) 사이의 열 차단을 위해 상판(3)의 저면에 설치하던 운모 즉, 마이카(mica)의 설치를 생략하고, 내열 불소수지나 실리콘 또는 고무재 등으로 성형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을 설치하되,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 돌출 성형시킨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들이 상판(3)의 화구부(31)에 천공시킨 돌기 통과공(32)을 통해 억지로 끼워진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판(3)의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 요소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2의 (a)(b)와 같이, 강화유리나 대리석, 세라김 및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부도체 재질로 된 인덕션 레인지의 상판(3) 화구부(31)에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복수의 돌기 통과공(32)을 천공하고,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81)의 상면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가 상기 돌기 통과공(32)들에 대응하여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내열 불소수지나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성형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을 상기 상판(3)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되,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를 상단부 일부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게 상기 상판(3)의 돌기 통과공(32)에 삽입 고정되게 한 것을 기본적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상판(3)의 화구부(31)에 천공되는 복수의 돌기 통과공(32) 및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 돌출 성형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는, 각각 도 1 내지 도 4의 (a)~(c)와 같이 평면이 원형 및 원봉 형상 또는 도 5의 (a)(b)와 같이 장방형의 형태를 갖고 상판(3) 화구부(31) 및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 중심점을 중심으로 각각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천공 및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몸체(81)의 상면에 돌출 성형된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들이 상판(3)의 화구부(31)에 천공시킨 돌기 통과공(32)을 통해 억지로 끼워지게 하여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을 상판(3)의 저면에 설치하게 되면,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부도체 재질로 된 상판(3)의 상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들의 상단부에 올려진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들에 의해 조리용기가 화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진동으로 인해 발생되던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화구부에 올려놓을 때 가해지거나 조리물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상판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판 자체의 수명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이 워킹 코일에 부착하는 마이카 기능을 대신하므로 워킹 코일에 전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a)~(d) 및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 돌출 성형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 상단부에는 버섯 머리 형상을 갖는 이탈 방지용 걸림부재(83)를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또 다른 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와 같이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들의 상단부에 버섯 머리 형상을 갖는 이탈 방지용 걸림부재(83)들을 더 성형해 주게 되면, 상기 상판(3)에 천공된 돌기 통과공(32)들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상기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들이 상기 돌기 통과공(32)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 평면이 도 4의 (a)~(c)와 같이 "
Figure pat00005
" 또는 도 5의 (a)와 같이 "
Figure pat00006
" 형상을 갖는 유체 유도홈(86)을 더 형성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상판의 돌기 통과공(32)의 내면과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 외면 사이 틈새를 통해 유입되거나 또는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서 온도차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를 상기 유체 유도홈(86)을 통해 포집하여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의 외측을 향해 사방으로 흘려보낼 수 있어 유체에 의해 워킹 코일(5)이 오염되거나 단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돌기 통과공(32) 및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를 평면이 장방형 형상을 갖게 방사형으로 성형할 때, 도 5의 (b)와 같이 상판(3)의 화구부(31) 및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 중 최소 사용권장 용기의 지름에 대응하는 위치의 원형 경계부를 기점으로 하여 내측에는 최소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84)를 형성하고, 외측에는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85)를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형 경계부를 기점으로 내,외측으로 구분되게 형성된 상기 최소 및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84)(85)에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돌기 통과공(32) 및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82)를 각각 서로 엇갈리는 각도를 갖게 성형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최소 및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84)(85)를 확연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b) 및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외면에서 저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원형 띠 형상을 갖는 유체 차단판(87)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 형성된 상기 유체 유도홈(86)을 따라 외측으로 흘러내린 유체가 유체 차단판(87)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므로 유체에 의해 워킹 코일(5)이 오염되거나 단락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 차단판(87)의 내면이 워킹 코일 설치판(51)의 외면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성형하여 줌으로써 상기 유체 차단판(87)의 내면과 워킹 코일 설치판(51)의 외면 사이에 열기 차단용 공간부(89)가 형성되어 상판을 통해 전달되는 조리용기의 열기가 워킹코일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c) 및 도 4의 (c)와 같이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외측에서 저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원형 띠 형상의 유체 차단판(87) 외측에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유체 포집로(88)를 일체로 더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의 몸체(81) 상면에 형성된 상기 유체 유도홈(86) 및 상기 유체 차단판(87)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유체를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유체 포집로(88)를 통해 포집할 수 있어 인덕션 레인지의 본체(1) 바닥을 포함하여 본체(1) 내에 설치되는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부(6) 및 송풍팬(7) 등이 유체에 의해 오염되거나 전기적인 안전사고 발생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체 차단판(87) 또는 유체 포집로(88)를 일체로 구비한 상기 유체 차단판(87)을 성형할 때, 도 4의 (d)와 같이 그 내면이 워킹 코일 설치판(51)의 외면에 밀착되게 성형하여 줌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8)을 상판(3)의 저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본체 2 : 상부커버
3 : 상판
31 : 화구부 32 : 돌기 통과공
4 : 조작부
5 : 워킹 코일 51 : 워킹 코일 설치판
6 :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부 7 : 송풍팬
8 :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
81 : 몸체 82 :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
83 : 이탈 방지용 걸림부재 84 : 최소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
85 :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 86 : 유체 유도홈
87 : 유체 차단판 88 : 유체 포집로
89 : 간격유지돌기
S : 열기 차단용 공간부

Claims (9)

  1. 상면이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 내에는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부와 송풍팬 및 워킹 코일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에는 상판 및 조작부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화구부에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복수의 돌기 통과공을 천공하고,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면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가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내열 불소수지나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성형한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을 상기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되,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를 상단부 일부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게 상기 상판의 돌기 통과공에 삽입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에 돌출 성형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 상단부에는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들이 돌기 통과공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걸림부재를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화구부에 천공되는 복수의 돌기 통과공 및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에 돌출 성형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는,
    각각 평면이 원형 및 원봉 형상 또는 장방형의 형태를 갖고 상판 화구부 및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중심점을 중심으로 각각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천공 및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통과공 및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를 평면이 장방형 형상을 갖게 방사형으로 성형할 때,
    상판의 화구부 및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 중 최소 사용권장 용기의 지름에 대응하는 위치의 원형 경계부를 기점으로 하여 내측에는 최소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를 형성하고, 외측에는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를 형성하되, 상기 원형 경계부를 기점으로 내,외측으로 구분되게 형성된 상기 최소 및 최대 사용권장 용기 안착부에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돌기 통과공 및 복수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를 각각 서로 엇갈리는 각도를 갖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에는 상기 상판의 돌기 통과공의 내면과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미끄럼 방지 및 완충돌기 외면 사이를 통해 유입되거나 또는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상면에서 온도차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를 포집하여 외측을 향해 사방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유체 유도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도홈은 평면이 "
    Figure pat00007
    " 또는 "
    Figure pat00008
    "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외면에서 저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몸체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유체가 워킹 코일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 띠 형상의 유체 차단판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되, 상기 유체 차단판의 내면이 워킹 코일 설치판의 외면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성형하여 유체 차단판의 내면과 워킹 코일 설치판의 외면 사이에 열기 차단용 공간부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겸 미끄럼 방지 및 완충수단의 몸체 외측에서 저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원형 띠 형상의 유체 차단판 외측에는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유체 포집로를 일체로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차단판 또는 유체 포집로를 일체로 구비한 상기 유체 차단판은,
    그 내면이 워킹 코일 설치판의 외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결합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KR1020170175685A 2017-12-20 2017-12-20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KR102014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85A KR102014075B1 (ko) 2017-12-20 2017-12-20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85A KR102014075B1 (ko) 2017-12-20 2017-12-20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384A true KR20190074384A (ko) 2019-06-28
KR102014075B1 KR102014075B1 (ko) 2019-08-26

Family

ID=6706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685A KR102014075B1 (ko) 2017-12-20 2017-12-20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229A (ko) * 2020-10-12 2022-04-19 (주)세고스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조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139Y1 (ko) * 2004-12-31 2005-03-28 박덕수 휴대용 가스 렌지에 사용되는 조리기구
KR20100134482A (ko) * 2009-06-15 2010-12-23 이창민 자동차 스티어링 휠 회전보조기구
KR20140082005A (ko) 2012-12-21 2014-07-02 주식회사 리홈쿠첸 인덕션 레인지의 용기 이탈방지 구조체
KR20160076099A (ko) 2014-12-22 2016-06-30 이진성 조리의 편리성이 향상된 인덕션 레인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139Y1 (ko) * 2004-12-31 2005-03-28 박덕수 휴대용 가스 렌지에 사용되는 조리기구
KR20100134482A (ko) * 2009-06-15 2010-12-23 이창민 자동차 스티어링 휠 회전보조기구
KR20140082005A (ko) 2012-12-21 2014-07-02 주식회사 리홈쿠첸 인덕션 레인지의 용기 이탈방지 구조체
KR20160076099A (ko) 2014-12-22 2016-06-30 이진성 조리의 편리성이 향상된 인덕션 레인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229A (ko) * 2020-10-12 2022-04-19 (주)세고스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075B1 (ko) 201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863B1 (ko) 전기 구이기
KR101534514B1 (ko) 거리 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 렌지
US7667161B2 (en) Magnetic safety feature for cookware and cooking stoves
KR101637918B1 (ko) 인덕션 레인지 및 인덕션 레인지 유니트
KR101247844B1 (ko) 가스레인지
KR20190074384A (ko) 조리용기 이동 방지형 상판을 갖는 인덕션 레인지
KR101534513B1 (ko) 넘침 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 렌지
KR200442696Y1 (ko) 인덕션레인지용 구이판 설치대
KR20110002948U (ko) 레인지의 높낮이 조절가능한 냄비 지지체
ATE513168T1 (de) Backofen mit einem backwagen mit integriertem heizelement und grillrosten
KR20160025171A (ko) 인덕션 렌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KR101627817B1 (ko) 전기레인지용 패드
US5041720A (en) Stove-top safety grate for electric stoves
KR20110133171A (ko) 인덕션 렌지용 보호시트
KR101599056B1 (ko) 내장형 무연 조리기
KR200441266Y1 (ko) 그리들의 케이스 구조
KR100556802B1 (ko) 가정용 전기 쿡탑
KR200474619Y1 (ko) 화상방지 전기쿡탑
CN213488409U (zh) 加热装置和烹饪器具
JP2016061448A (ja) トッププレート保護具、及び、そ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101304962B1 (ko) 외부 공기 유입형 빌트인 가스 레인지
CN216591850U (zh) 一种新型防偏锅结构的电磁炉
CN216346441U (zh) 一种嵌入式电磁炉
KR20150063224A (ko) 조작부에 탄동부재가 구비된 핫 플레이트 장치
CN108143246B (zh) 电磁加热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