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715A - Buoy monitoring terminal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 Google Patents

Buoy monitoring terminal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715A
KR20190073715A KR1020170174821A KR20170174821A KR20190073715A KR 20190073715 A KR20190073715 A KR 20190073715A KR 1020170174821 A KR1020170174821 A KR 1020170174821A KR 20170174821 A KR20170174821 A KR 20170174821A KR 20190073715 A KR20190073715 A KR 20190073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uoy
information
rotation angle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5020B1 (en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Priority to KR102017017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020B1/en
Publication of KR2019007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0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veniently and quickly grasping a location of a buoy with augmented reality, and a terminal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method of a buoy using augmented reality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reading meta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buoy matched with a buoy detection region in the read metadata; and displaying a buoy image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buo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oy with a photograph image from the terminal.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 모니터링 방법 및 단말기{BUOY MONITORING TERMINAL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 monitoring method and a terminal using a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부표 모니터링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부표를 위치를 파악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onitoring a sub-table and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 terminal for monitoring a state of a sub-table using augmented reality.

해양교통시설 중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등대는 1903년 인천 팔미도에 설치되었고 부표는 1908년 압록강 서수도에 설치된 것이 시초이다. 그 이후 100여년에 걸쳐 산업의 현대화를 거듭하면서 무역항에 수많은 등대와 (등)부표류 등과 같은 항로표지시설이 설치 및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 해양수산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약 4천개 이상의 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특히 (등)부표는 국유와 사설을 포함하여 약 1,776여기가 전 해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등)부표의 종류도 다양해져 18종의 표준형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설치용도도 다양해져 대형유도 등부표(LANBY), 스파부이 등도 주요 항만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The first lighthouse in Korea was installed in 1903 in Palmi Island, Incheon, and the buoy was installed in 1908 in the Yalu River. Over the next 100 years, modernization of industry has been carried out, and a number of lighthouses and lighthouses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in trade ports, and more than 4,000 location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recent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n particular, about 1,776 buoys, including state and editorials, are operating in the area. (Etc.) The types of buoys have been diversified and 18 standard types have been established and managed. The installation usage has also diversified, and large induction light buoys (LANBY) and spa boats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major ports.

물론 이러한 (등)부표를 관리 운영하기 위하여 400~500톤급의 부표 정비선을 보유하여 동서 남해권역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등)부표를 유지관리하고 국내외의 항로표지 동향에 따라 항로표지법의 제정 및 개정을 시행함으로써 항로표지 시설물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해상 악천후 등의 영향으로 현장 점검에 애로사항이 많은 해양표지시설(등대, 등표, 등부표 등의 항로표지)에 대해 실시간 상태감시가 쉽지 않고, 우리나라 연안 해역은 매우 긴 해안선과 크고 작은 도서가 많고,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며 협수로가 많은 지형으로 구성되어 해양표지시설에 대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빈번한 해무로 인하여 해양표지시설이 잘 시인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선박의 안전운항에 상당한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단말기 상에 해양표지시설에 대한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해상과 같이 파도와 바람 등의 원인으로 단말기 상에 해양표지시설이 정확하고 편리하게 검출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Of course, in order to manage such buoys, we have to maintain 400 to 500 ton buoy maintenance lines and maintain and manage buoys systematically in the East-West and South Sea regions. The management of the traffic sign facilities is being carried out. However, real-time monitoring of marine marking facilities (lighthouses, signposts, light buoy signs, etc.), which have a lot of difficulties on site inspection due to the effects of marine bad weather, is not easy and coastal waters in Korea are very long, ,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marine marking facilities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e and the tide is large and there is a lot of shorelines. In addition, due to frequent seaways, marine marking facilities are not well recognized, which is a serious impediment to safe operation of ships. Recently, there has been developed a technology that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n a marine marking facility on a terminal, but there is a limit in that marine marking facilities can not be accurately and conveniently detected on a terminal due to waves and winds.

또한, 해양표지시설에 각종 전자장치와 통신장치를 설치하여 해양표지시설로부터 해양표지시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해양표지시설들의 개수가 아주 많아 모든 해양표지시설들에 장치를 적용하는 데는 경제적인 문제가 있고, 해양표지시설 내의 장치의 노후화와 해상이라는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장치의 잦은 고장이나 불량 등으로 인하여 해양표지시설에 대한 유지관리의 지속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In addition, technologies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f marine labeling facilities from marine labeling facilities by insta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communication devices in marine labeling facilities have been developed, but the number of marine labeling facilities is so large that devices are applied to all marine labeling facilities There is an economical problem in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of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is weakened due to frequent breakdown or failure of the device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ging of the device in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and marine environment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677039 B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77039 B1

본 발명의 목적은, 부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 모니터링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oy monitoring method and terminal using an augmented reality capable of monitoring the state of a buoy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로 부표의 위치를 편리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terminal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grasping the position of a buoy with an augmented realit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과 같이 파도나 바람에 의하여 유동이 심한 환경에서도 편리하고 정확하게 해상의 부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terminal which can conveniently and accurately monitor floating buoys in an environment where the flow is severe due to waves or winds like a ship.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표에 별도의 전자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부표의 위치 정보와 상태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부표의 유지 관리의 지속성을 강화하고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nitoring method of a buoy which can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buoy maintenance and economical efficiency by registe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buoy in advance without using a separate electronic device in the buoy,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부표에 근접하여 점검할 필요 없이 원거리에서도 부표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고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terminal capable of quickly ascertaining the position of a buoy and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at a long distance without requiring the user to check it close to the buoy.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읽어 드리는 단계; 상기 읽어 드린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과 정합하는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표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부표 이미지 및 부표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촬영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ding meta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 sub-tag matched with the sub-area detection area on the read meta data; And displa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uoy image and the buo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uoy with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terminal.

다른 측면에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기준 각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기준 각도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회전 각도 및 고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tep of det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at a reference angle; Guiding the terminal to be located at a reference angle; And detecting rotation angle an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method of monitoring a buoy using the augmented reality may also be provided.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회전 각도는 제1 회전 각도 및 제2 회전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고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각도와 상기 제1 회전 각도는 해수면에 수직한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의 회전 각도이고, 상기 제2 회전 각도는 상기 해수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의 회전 각도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rotation angle includes a first rotation angle and a second rotation angle, and the step of det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detecting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rein the angle and the first rotation angle are rotation angles of the terminal about a first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 level and the second rotation angle is a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about the second axi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monitoring a buoy using an augmented reality which is a rotation angl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부표의 상태 정보는 부표의 위치 정보, 부표의 설치일, 부표의 종류, 부표의 도색 정보, 부표의 조명장치의 점멸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buoy is a monitoring method of the buoy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uoy, the installation date of the buoy, the type of the buoy, the coloring information of the buoy, .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단말기는 선박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onitoring a buoy using an augmented reality, wherein the terminal is located on a vessel.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2 회전 각도 또는 고도가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지속적인 변화량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량이 검출되면 상기 부표 검출 영역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metho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change in rotation angle or altitude of the terminal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fixing the buoy detection area when the change amount is detected.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buoy using the augmented reality may further comprise:

또 다른 측면에서, 명령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동작들은: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읽어 드리고; 상기 읽어 드린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과 정합하는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부표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부표 이미지 및 부표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촬영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단말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yet another aspect,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t least one processor, wherein the instructions are executable by the processor to cause the processor to perform operations, the operations comprising: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ad metadata stored in advance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 sub-table matching the sub-table detection area on the read meta data; Display state information of the buoy image and the buo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buoy with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terminal; And a monitoring terminal of the buoy using the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촬영되는 영상 내에서 해양표지시설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촬영 영역을 변동시키는 것만으로도 해양표지시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해양표지시설의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monitor the marine marking facility i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terminal and to check the marine marking facility in real time merely by changing the photographing area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marine marking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무나 파도의 고저 등의 해상의 각종 환경 요인이나 해양표지시설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관계 없이 실시간으로 해양표지시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해양표지시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of the position of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in real time regardless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awater and wave height and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being located far from the user's current position And to monitor status information of marine label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관심 영역 내의 해양표지시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ntly reflect a user's area of interest and monitor marine labeling facilities within the area of intere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 자체의 위치 좌표가 아닌 단말기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관심 영역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ecisely define a region of interest that is required to be monitored us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erminal, not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hip itsel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로 하여금 해양표지시설의 유실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a user to quickly identify whether a marine labeling facility is lost or no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상의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촬영 영역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경우라도 이러한 환경적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해양표지시설을 정확하고 빠르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and quickly monitor the marine marking facility by eliminating environmental factors even if the photographing area continuously changes according to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단말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 상에서의 촬영 영상과 기준라인에 현재라인을 매칭시켜 기준 각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단말기의 제2 회전 각도에 따른 촬영 범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촬영 범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전방의 영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촬영 영상에 표시되는 부표 이미지와 부표의 상태 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해상의 파도 등의 원인으로 선박이 지속적으로 유동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메타 데이터 상의 복수의 부표의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부표 검출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고도의 상승 또는 제2 회전 각도의 변경에 따른 복수의 부표의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부표 검출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고도의 하강 또는 제2 회전 각도의 변경에 따른 복수의 부표의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부표 검출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uoy monitoring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terminal.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a buoy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setting a reference angle by matching a current line to a photographed image and a reference line on a display devic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range according to a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 front imag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range of FIG. 5;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tate information of a buoy image and a buoy displayed on a photographed imag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a buoy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a ship continuously flows due to a sea wave or the like.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buoy detection area including position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buoys on the meta data.
11 is an exemplary view of a buoy detection area including position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buoys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altitude rise or second rotation angle.
12 is an exemplary view of a buoy detection area including position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buoys according to a change of a second descent angle or a second rotation ang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he terms include, including, etc. mean that there is a feature, or element, recit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Also,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 모니터링 단말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uoy monitoring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buoy monitoring terminal using an augmented reality.

도 1에는 해상(1)과 해상에서 운항하는 선박(2)과 선박(2)에 탑승한 사용자(3)가 도시되어 있고, 사용자(3)는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1 shows a marine vessel 1 and a marine vessel 2 and a user 3 aboard a marine vessel 2. The user 3 has a terminal 100. Also, the terminal 100 can detect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system.

GNSS 시스템은 위성측위시스템으로, 우주궤도를 돌고 있는 GNSS 위성(4)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GNSS system is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can provid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using the GNSS satellite 4 which is orbiting the space orbit.

또한, 해상(1)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표(200)가 설치될 수 있다. 부표(200)는 항로표지시설물이다. 일반적으로 항만의 내항진입을 위한 항로를 지나는 선박(2)이나 수심이 낮은 특수해역의 수로를 지나는 선박(2)은 좁고 구불구불하게 이어지는 항로 또는 수로를 따라 항해해야 하므로 자칫하면 좌초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야간 에는 항로나 수로의 식별이 더욱 곤란해지므로 위험이 커진다. 더구나 항만의 도시화로 인해 네온사인 등의 현란한 불빛이 선원들 시야를 어지럽힘으로써 항로나 수로의 식별이 방해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야간에도 항로나 수로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박(2)의 안전항해를 돕고 항로나 수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항로표지시설물(200)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부표(200)는 등부표(lighted buoy)가 대표적인 예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least one buoy 200 may be installed in the sea 1. The buoy (200) is a navigation sign facility. Generally, a vessel (2) passing through a route for entry into a port of the port or a vessel (2) passing through a channel of a special watershed with a low depth must be sailing along a narrow and winding road or channel, , Especially at night, the risk becomes greater because the identification of routes and waterways becomes more difficult. Moreover, due to the urbanization of the port, dazzling lights such as neon signs can disturb seafarers' visibility, which can impede the identification of routes and waterways. In order to prevent such a risk, navigation marking facilities 20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routes or waterways are used to facilitate safe navigation of the ship 2 by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marine route and the waterway at night. The buoy 200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lighted buoy, but not limited thereto.

부표(200)는 조명장치, GPS를 통해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정보감지장치, 조명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상태 감지 장치, 태양관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발전장치와 배터리 그리고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buoy 200 includes a lighting device, a position information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the position through GPS, an operation state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device, a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through solar cell power gene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부표(200)의 동작 상태 감지 장치는 부표(200)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출 및/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검출한 정보를 단말기(100) 및/또는 미리 등록된 해양표지시설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tate detecting device of the buoy 200 periodically detects the state of the buoy 200 and / or periodically detects its own posi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0 and /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선박(2) 주변에 부표(200)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고, 선박(2)이 항해하는 위치에 따라서 부표(200)는 선박(2)으로부터 상당히 먼거리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선박(2)에 탑승한 사용자(3)의 시야에 부표(200)가 확인되지 않을 수 있고, 파도의 고저에 따라서 부표(200)가 시인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1, the buoy 200 is provided around the ship 2,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hip 2, the buoy 200 is connected to the ship 2, The buoy 200 may not be identified in the field of view of the user 3 aboard the vessel 2 and the buoy 200 may or may not be visibl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wave .

또한, 도 1의 가상의 x축은 해상(1)의 해수면과 평행한 축이되고, Y축은 x축에 수직한 축이 된다. 그리고 Z축은 X 및 Y축에 수직한 축으로써, 해수면과 평행한 또 다른 축이된다.1 is an axis parallel to the sea surface of the sea (1), and the Y axis is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x axis. And the Z axis is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X and Y axes, which is another axis parallel to the sea surface.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주문형 집적회로들 (ASIC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개별 로직 회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2, a terminal 100 may include one or more memories and one or more microprocessor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O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separate logic circuits, software, hardware, firmware, or any combination thereof.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 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명령들과 같은 명령들(예를 들어,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한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각각에 의해서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mory includes instructions (e.g., executable instructions)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or processor readable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computer, such as by each of the one or more processors.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분석 및 촬영된 영상과 부표 이미지를 합성한 증강현실 비디오 처리 등을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be used by one or more processors to perform operations, including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processing the augmented reality video processing, etc., Lt; / RTI >

또한, 단말기(100)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3)가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 장치이다. 예컨대,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 폰, 모바일 전화기, PDA, 태블릿 PC, 혹은 웹 서버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기(100)는 다양한 머신들 상에서 실행되고, 다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해석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싱 로직을 포함하고, 외부 입력/출력 디바이스상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위한 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들과 같이 다양한 기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100)는 입력 장치(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터치 감지 표면 등) 및 출력 장치(예를 들면 모니터, 스크린 등)에 접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0 is one or more comput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used by the user 3 to execute applications that perform various tasks. For example, a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DA, a tablet PC, or any other device operable to communicate with a web server. But not limited to, the terminal 100 includes processing logic that executes on various machines and interprets and executes instructions stored in the plurality of memories, and includes instructions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n an external input / And various other elements such as processes for displaying graphic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device (e.g., a mouse, a keyboard, a touch sensitive surface, etc.) and an output device (e.g., a monitor, a screen, etc.).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디스플레이장치(130), 촬영장치(140), 통신장치(150) 및 센싱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 display device 130, a photographing device 140, a communication device 150, and a sensing device 160.

디스플레이장치(130)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방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방식,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방식, 전기영동 표시 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 방식 에 따라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3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3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luminescence device ) Method, an electrophoretic display metho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meth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30 may include a touch screen.

통신장치(150)는 무선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서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50 may be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standards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to each oth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a long term evolution (LTE), a long term evolution (LTE)

또한, 통신장치(150)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로라(LoRa) 통신 등의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50 may be a wireless LAN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fidelity (WiFi), a digital living network (DLNA), a wireless broadband (WiBro) for Microwave Access), and LoRa communication, for example.

또한, 통신장치(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50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a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 Ultra Wideband (UWB), a ZigBee, a Near Field Communication -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또한, 센서장치(16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고도 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나침반 센서, 중력 센서, 각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device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 altitude sensor, a pressur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compass sensor, a gravity sensor, and an angular velocity senso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 상에서의 촬영 영상과 기준라인에 현재라인을 매칭시켜 기준 각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단말기의 제2 회전 각도에 따른 촬영 범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촬영 범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전방의 영상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7은 촬영 영상에 표시되는 부표 이미지와 부표의 상태 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a buoy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of setting a reference angle by matching a current line to a photographed image and a reference line on a display device.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range according to the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 forward imag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hooting range of FIG. 5, and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a buoy image and a state information of a buoy displayed on the captured imag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은 단말기 위치 정보 검출 단계(S110), 단말기가 기준 각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기준 각도 위치를 유도하는 단계(S130), 단말기의 제1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S140), 단말기의 고도 정보 및 제2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S150),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과 정합하는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160) 및 촬영 영상 내에 부표 이미지 및 부표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monitoring a buoy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cting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S110),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at a reference angle (S120) (S140) of detecting a first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S140), detecting altitude information and a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S150) Det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S160), and displa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uoy image and the buoy in the shot image (S170).

단말기 위치 정보 검출 단계(S110)에서 단말기(100)의 통신장치(150)는 GNSS 위성(4)과 통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1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50 of the terminal 100 communicates with the GNSS satellite 4 to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NSS satellite 4 in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step S110 and the processor 11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Can be detected.

단말기가 기준 각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에서 단말기(100)는 촬영장치(140)를 구동하고, 촬영장치(14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130)에 표시하고, 촬영 영상 내에 기 설정된 기준 라인(9)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센싱장치(16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제1 회전 각도 정보를 검출하여 제1 회전 각도를 현재 라인(8) 형태로 디스플레이장치(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drive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to display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on the display device 130 and judges whether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preset reference line 9 in the image. The terminal 100 detects the first ro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160 and displays the first rotation angle on the display device 130 in the form of the current line 8 can do.

여기서의 제1 회전 각도는 도 1의 Y 축을 중심으로 단말기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기 설정된 기준 라인은 Y축을 중심으로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장치(130)의 전면의 가상의 법선(7)이 X축 또는 Z축 상에서의 이루는 각도로써, 미리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first rotation angle indicates the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about the Y axis in Fig. The preset reference line may be set as an angle formed by the virtual normal 7 on the X axis or the Z axi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30 of the terminal 100 around the Y axis.

기준 각도 위치를 유도하는 단계(S130)에서 단말기(100)는 센싱장치(160)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라인(8)의 위치와 기준 라인(9)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라인(8)을 이동을 유도하는 화살표 형태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장치(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If the position of the current line 8 and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line 9 do not match on the basis of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device 160 in step S130 of deriving the reference angle position, An image in the form of an arrow indicating the movement of the line 8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0. [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현재 라인(8)의 위치가 기준 라인(9)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현재 라인(8)의 위치와 기준 라인(9)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면 단말기(100)는 기준 각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현재 라인(8)과 기준 라인(9)들 각각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면 단말기의 기준 각도 설정 완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장치(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can rotate the terminal 100 about the Y axi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rrent line 8 is positioned on the reference line 9 and the position of the current line 8 and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line 9 The terminal 100 is positioned at the reference angle. If the positions of the current line 8 and the reference line 9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processor 110 may display a message on the display device 130 indicating that the reference angle of the terminal has been set.

단말기의 제1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S140)에서, 사용자는 단말기(100) 상에서 표시되는 기준 각도 설정 완료라는 메시지를 확인한 후 모니터링이 필요한 부표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을 촬영하기 위하여 단말기(100)의 위치 변경하여 촬영장치(140)로부터 촬영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In step S140 of detecting the first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the user confirms the message of the completion of the reference angle setting displayed on the terminal 100, and then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100 To change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0064]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센싱장치(160)의 지속적인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제1 회전 각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10 may detect the first ro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continuous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160.

단말기의 고도 정보 및 제2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S150)에서, 프로세서(110)는 센싱장치(160)의 지속적인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고도 정보 및 제2 회전 각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detects the altitud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continuous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160 in step S150 of detecting the altitud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can do.

여기서의 제2 회전 각도는 도 1의 X축을 중심으로 단말기의 회전 각도로써,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의 가상의 법선이 Y축 또는 Z축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Here, the second rotation angle means an angle of rotation of the terminal about the X axis in FIG. 1, and an angle formed by a virtual normal lin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terminal with the Y axis or the Z axis.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과 정합하는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160)에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읽어 드릴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read the metadata stored in the memory 120 in step S160 of detect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ub-table matching the sub-table detection area on the meta data.

메타 데이터는 기준 좌표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의 영역 내의 부표들의 위치 좌표 정보를 가지는 지도 정보가 될 수 있다.The metadata may be map information having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ub-pixel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range around the reference coordinates.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 중에서 제1 및 제2 회전 각도 정보와 고도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장치(140) 상에서 촬영되는 영역에 매칭되는 메타 데이터를 읽어드릴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read metadata matched with an area photographed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ngle information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among the metadata stored in the memory 120. [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110)는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와 제1 및 제2 회전 각도 정보와 고도 정보를 통신장치(150)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검출된 정보에 매칭되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10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ngle information,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50, Metadata matching the information may also be received.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제2 회전 각도에 따라서 촬영장치(140)의 촬영 범위가 달라진다. 뿐만 아니라, 단말기(100)의 제1 회전 각도 및 고도 정보에 따라서 촬영장치(140)의 촬영 범위가 달라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varies depending on the first rotation angle an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그리고, 도 5에서 표시된 촬영 범위에 따라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30) 상에 표시되는 촬영 영상은 달라질 수 있다.The photographe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range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단말기(100)의 제1 회전 각도와 제2 회전 각도 그리고 고도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장치(140)의 촬영 영역을 검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촬영장치(140)의 촬영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지도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메모리(120) 상에서 읽어드리고, 읽어 드린 메타 데이터 상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부표들의 위치 좌표 정보를 검출한다.Therefore, the processor 110 detects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based on the first rotation angle, the second rotation angle,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 The processor 110 reads the metadata including the map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on the memory 120 and stores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redetermined set of buoys on the read meta data .

촬영 영상 내에 부표 이미지 및 부표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70)에서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메타 데이터 상에서 검출되는 위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촬영 영상 내에 가상의 부표 이미지(201: 2차원 또는 3차원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단말기(10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표시되는 부표 이미지(201)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부표 이미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작게 표시하고 근거리에 위치하는 부표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step S170 of displa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uoy image and the buoy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processor 110 generates a virtual buoy in the currently displayed photographed image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detected on the meta data An image 201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form) can be displayed. The processor 110 may adjust the size of the buoy image 201 display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erminal 100 to display the buoy image 201. For example, a buoy image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from the terminal 100 may be relatively small, and a buoy imag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may be relatively large.

또한, 프로세서(110)는 부표 이미지와 함께 해당 부표의 상태 정보(202)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부표 이미지를 선택(터치 감지 등을 통해)하면 선택된 부표 이미지에 해당하는 부표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may display the status information 202 of the corresponding buoy with the buoy imag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user selects a buoy image (through touch detection or the like), the buoy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oy image may be displayed.

여기서의 부표의 상태 정보는, 부표의 위치 정보, 부표의 설치일, 부표의 종류, 부표의 도색 정보, 부표의 조명장치의 점멸방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uoy may inclu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uoy, date of installation of the buoy, type of buoy, coloring information of the buoy, information on the blinking method of the illumination device of the buoy, and the like.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기(100) 상에서 표시되는 촬영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관심 영역의 변경이나 확인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는 단순히 촬영장치(140)를 통해 촬영되는 촬영 영역을 변동시키는 것 만으로도 촬영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해양표지시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해양표지시설의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다.In this way, the user can confirm the photographed image displayed on the terminal 100 to quickly change or confirm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user can simply change the photographed region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It is possible to confirm and maintain the marine marking facilities in the real time.

또한, 해무나 파도의 고저 등의 해상의 각종 환경 요인에 따라서 부표(200)와 같은 해양표지시설의 시인이 어려운 경우나, 해양표지시설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관계 없이 실시간으로 해양표지시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해양표지시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ea such as sea level and wave heigh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recognize a marine labeling facility such as the buoy 200, or even if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is located remotely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The location of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can be monitored.

또한, 단말기(100)의 위치 좌표 만으로는 단말기(100)의 전방위 영역 상의 모든 해양표지시설이나 소정의 범위 내의 전방위 영역 내의 모든 해양표지시설 중 어느 영역의 해양표지시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것인지 특정하기 어렵고, 선박(2)의 진행 방향이나 사용자의 관심 영역과 무관한 해양표지시설을 표시하게되어 복잡하고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해양표지시설을 모니터링 하는데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0)의 위치 좌표 정보뿐만 아니라 단말기(100)의 회전 각도 정보와 고도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촬영 영역 내의 해양표지시설에 한정하여 이들의 이미지와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위치한 해양표지시설을 즉각적이고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monitor the status information of all marine marking facilities on all omnidirectional areas of the terminal 100 or all the marine marking facilities within the omnidirectional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only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terminal 100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of the ship 2 or the user's area of interest, which is complicated and hinders the user from promptly monitoring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but also the rotation angle information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are limited to the marine marking facilities in the photographing area,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located in the user's area of interest conveniently and in real time.

또한, 단말기(100)가 위치한 선박(2)의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선박(2)의 위치 정보를 단말기(100)가 수신한다면, 선박(2)의 형상이나 크기 그리고 선박(2)의 통신 장치의 위치에 따라서 단말기(100)의 정확한 위치가 검출되지 않게 되고, 촬영 영역이 정확하게 정의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영역이 아닌 비 관심 영역에 대한 해양표지시설의 모니터링이 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GNS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검출함으로써 촬영 영역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대한 해양표지시설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terminal 100 receiv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hip 2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ship 2 on which the terminal 100 is located, the shape and size of the ship 2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accurat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is not detec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and the shooting region is not accurately defined. Therefore,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marine labeling facility is monitored for the non-interest area, which is not the area to be monitored by the user. Therefore,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t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GNSS satellite, thereby enabling accurate definition of the photographing area, thereby enabling monitoring of the marine marking facility for the user's area of interest.

또한, 실시예는 단말기(100)의 제1 및 제2 회전 각도뿐만 아니라 고도 정보를 검출하여 단말기(100)의 고도에 따른 촬영 영역이 변경되는 것을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는 해양과 같이 매우 넓은 영역의 경우 촬영 영역이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모니터링 영역이 크게 변화하게 되므로 실시예는 환경적 요소를 빠르고 정확하게 반영하여 모니터링 영역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검출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detect not only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ngles of the terminal 100 but also the altitude information, so that the change in the photographing area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terminal 100 can be reflected immediately. In the case of a very wide area such as the ocean, the monitoring area is greatly changed depending on where the shooting area is located, so that the embodiment can accurately and accurately reflect environmental factors to enable accurate definition and detection of the monitoring area.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증강현실 형태로 부표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상 내에 실제 부표에 대한 영상이 포함된 경우, 실제의 부표 영상과 증강현실 형태의 부표의 이미지는 중첩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원인으로 부표가 유실된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위치와 인접한 부표의 이미지 중에서 실제 부표의 촬영 영상과 중첩하지 않는 부표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부표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실제 부표가 유실된 것으로 빠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ser can confirm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30 and the image of the buoy in the form of an augmented reality. Also, when the image of the actual buoy is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actual buoy image and the image of the augmented reality type buoy can be displayed as the overlapped image.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oy is lost due to various reasons, the user immediately recognizes that the image of the buoy not overlapped with the actual image of the buoy among the images of the buoy adjacent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is displayed . This allows the user to quickly determine that the actual buoy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buoy is missin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9는 해상의 파도 등의 원인으로 선박이 지속적으로 유동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메타 데이터 상의 복수의 부표의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부표 검출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고도의 상승 또는 제2 회전 각도의 변경에 따른 복수의 부표의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부표 검출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12는 고도의 하강 또는 제2 회전 각도의 변경에 따른 복수의 부표의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부표 검출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a buoy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ship continuously flows due to a sea wave or the like.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buoy detection area including position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buoys on the meta data, and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uoy detection area including position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buoys FIG. 12 is an exemplary view of a buoy detection area including position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buoys according to a change of the second descent angle or the second rotation angl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은 단말기 위치 정보 검출 단계(S210), 단말기가 기준 각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기준 각도 위치를 유도하는 단계(S230), 단말기의 제1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S240), 단말기의 고도 정보 및 제2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S250), 고도 또는 제2 회전 각도가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지속적인 변화량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60),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을 고정하는 단계(S270),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과 정합하는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280) 및 촬영 영상 내에 부표 이미지 및 부표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2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method of monitoring a buoy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cting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S210),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at a reference angle (S220) A step S230 of detecting a first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a step S250 of detecting the altitude information and a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A step S260 of detecting whether a continuous change amount is detected within the sub region of the meta data, a step S270 of fixing the sub region detection region on the meta data, a step S280 of dete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b-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buoy image and the buoy in the video (S290).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위치 정보 검출 단계(S210)에서, 프로세서(110)는 센싱장치(160)의 센싱 정보 및 GNSS 위성(4)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step S210, the processor 110 may detec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160 and the GNSS satellite 4. [

단말기가 기준 각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에서, 프로세서(110)는 단말기(100)가 기준 각도에 위치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step S2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at the reference angle, the processo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100 is located at the reference angle.

만약, 단말기가 기준 각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기준 각도 위치를 유도하는 단계(S230)에서 프로세서(110)는 기준 각도에 따른 기준 라인과 현재의 단말기(100)의 제2 회전 각도에 따른 현재 라인을 디스플레이장치(130) 상에 표시되고 있는 현재 촬영 영상 내에 이들 라인을 각각 표시함과 동시에 현재 라인의 이동을 위한 화살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100)의 제1 회전 각도를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is not located at the reference angle,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line according to the reference angle and the current line according to the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current terminal 100 Each of these lines is displayed in the current capture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0 and an arrow image for movement of the current line is displayed to induce the user to change the first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100 .

또한, 프로세서(110)는 단말기(100)의 제1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와 일치하는 경우 제1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에 일치한다는 기준 각도 설정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장치(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해양표지시설 중 하나인 부표에 대한 증강현실이 나타나길 원하는 영역을 향해 촬영장치(140)로 해당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may display on the display device 130 a reference angle setting completion message that the first rotation angle matches the reference angle when the first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100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angle . Then, the user can photograph the corresponding area wit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40 toward an area where the augmented reality with respect to the buoy, which is one of marine marking facilities, is desired to appear.

이 경우,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영역에 따라서 단말기(100)는 제1 회전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의 제1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S240)에서, 프로세서(110)는 단말기(110)의 제1 회전 각도를 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고도 정보 및 제2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S250)에서, 프로세서(110)는 단말기(110)의 센싱장치(16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10)의 고도 정보와 제2 회전 각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area the user wants to monitor. In step S240, the processor 110 may detect the first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110 again. In step S250,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whether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160 of the terminal 110, 2 rotation angle information can be detected.

또한, 고도 또는 제2 회전 각도가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지속적인 변화량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60)에서, 프로세서(110)는 센싱장치(16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고도 또는 제2 회전 각도가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ltitude or the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100 is higher or lowe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16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cond rotation angle continuously changes within the preset range.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를 참조하면, 선박(2)이 파도 등의 원인으로 지속적으로 유도하는 경우, 예를 들어 화살표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선박(2)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경우 선박(2)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100)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파도 등의 원인으로 선박(2)이 유동하는 경우 이러한 유동은 매우 불규칙적이라기 보다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고 일정 범위의 오차를 가지고 주기적인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센싱장치(16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선박(2)의 움직임에 따른 단말기(100)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when the ship 2 is continuously guided due to a wave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ship 2 repeatedly ascends and descends in the arrow direction, i.e., the Y axis direction, The terminal 100 held by the user who boarded the terminal 2 can also be repeatedly raised and lowered. In addition, when the ship 2 flows due to a wave or the like, such a flow is not very irregular but rather it repeatedly ascends and descends within a certain range and periodically raises and lowers with a certain error. Accordingly, the processor 110 can sens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hip 2 within the preset rang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160. [

또한,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을 고정하는 단계(S270)에서, 프로세서(110)는 선박(2)의 상승 및 하강 운동에 따른 단말기(100)의 고도 또는 제2 회전 각도의 지속적인 변화량에 기초하여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6)을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270 of fixing the buoy detection area on the meta data,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uoy detection area on the meta data has been changed based on the continuous change amount of the altitude or the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100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hip 2. [ The tag detection area 6 on the meta data can be fixed.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촬영 영역과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의 지도 상에는 복수의 부표의 위치 좌표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고도의 상승이나 제2 회전각도의 변화에 따라 촬영 영역이 상승하면 도 10의 촬영 영역에서 나타난 부표의 위치 좌표 중 일부(6a)가 검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고도의 하강이나 제2 회전각도의 변화에 따라 촬영 영역이 하강하면 도 10의 촬영영역에서 나타난 부표의 위치 좌표 중 일부(6a)가 검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도 10의 촬영영역에서 나타나지 않은 부표의 위치 좌표가 검출(6b)될 수도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0, position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buoys may be detected on a map of meta data corresponding to a shooting region. When the photographing area rises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or the change of the second rotation angle as shown in Fig. 11, part 6a of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buoy shown in the photographing area of Fig. 10 is not detected. As shown in Fig. 12, when the photographing area is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descent of the altitude or the second rotation angle, not only part 6a of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buoy shown in the photographing area of Fig. 10 is detected,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unexamined buoy may be detected (6b).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촬영 영역의 Y축으로의 변동량에서 평균 값을 계산하여 평균 값으로 설정된 촬영 영역(예를 들어, 도 10의 촬영 영역)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을 고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10 calculates an average value in the amount of variation in the Y axis of the photographing area, and fixes the bucket detection area on the meta data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area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area in Fig. 10) can do.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과 정합하는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280)에서, 프로세서(110)는 고정된 부표 검출 영역과 정합하는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촬영 영상 내에 부표 이미지 및 부표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290)에서, 프로세서(110)는 현재 촬영 영상 내에 부표 이미지와 부표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step S280, the processor 110 dete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ub-board matching the fixed sub-block detection area and detects the sub-image in the captured image and the sub- In step S290, the processor 110 may display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uoy image and the buoy in the current captured ima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0)는 고도나 제2 회전 각도의 지속적인 변화량을 검출하고, 변화량의 평균값으로 촬영 영역을 고정시킨다. 이는 고도나 제2 회전 각도의 지속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촬영 영역이 지속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촬영 영역 내에 해양표지시설이 계속 바뀌는 현상은 사용자가 원하는 현상이 아니라 파도나 바람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선박의 유동에 기인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현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촬영 영역을 고정하여 사용자에게 촬영 영역 내의 해양표지시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상의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최대한 벗어나 해양표지시설을 정확하고 빠르게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0 detects the continuous change amount of the altitude or the second rotation angle, and fixes the photographing area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amount. This is because, as the shooting area continuously changes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change of the altitude or the second rotation angl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marine marking facility is continuously changed within the shooting area is not a phenomenon desired by the user but is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ves and wind. It is a phenomenon that users do not want due to flow.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monitor the marine marking facility in the photographing area by fixing the photographing area,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ccurately and quickly monitor the marine marking facility ou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arine environ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은 현재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위치하는 부표에 대한 메시지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onitoring a buoy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ssage display step for a buoy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current position.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10)는 전술한 S160 단계에서 메모리(120)로부터 읽어 드린 메타 데이터 내에서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좌표로부터 기 설정거리 내에 있는 부표들의 좌표 정보들 중에서 촬영 영역에 대응하는 부표들의 좌표 정보를 검출하고, 해당 부표들에 대한 부표의 근접 메시지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160,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in the metadata read from the memory 120,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buoy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buoys and display the proximity message information of the buoy for the buoys on the display device 130. [

부표가 선박에 근접한 경우라도 하여도 해무나 파도의 높이나 선박의 형상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영역의 주변 영역에 따라서 선박에 인접한 부표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110)가 읽어드린 메타 데이터 내에서도 선박에 근접한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근접 메시지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선박에 근접한 부표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Even if the buoy is close to the vessel, the buoy adjacent to the vessel may not be recognized depending on the sea level, the shape of the vessel, and the surrounding area of the area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b-board close to the ship even in the metadata read by the processor 110 and displays the proximity messag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grasp information on the sub-board close to the ship.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fic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ac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way of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such systems may be omitted. Also,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laced or additionally provided by a variety of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Also, unless explicitly mentioned, such as " essential ", " importantly ",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7)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읽어 드리는 단계;
상기 읽어 드린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과 정합하는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표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부표 이미지 및 부표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촬영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ading meta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 sub-tag matched with the sub-area detection area on the read meta data; And
And displa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uoy image and the buo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uoy with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terminal
A Monitoring Method of Buoys Using Augmented Reality.
제1 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기준 각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기준 각도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회전 각도 및 고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omprises:
Detecting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at a reference angle;
Guiding the terminal to be located at a reference angle; And
And detecting rotation angle an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 Monitoring Method of Buoys Using Augmented Realit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도는 제1 회전 각도 및 제2 회전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고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각도와 상기 제1 회전 각도는 해수면에 수직한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의 회전 각도이고,
상기 제2 회전 각도는 상기 해수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의 회전 각도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on angle includes a first rotation angle and a second rotation angle,
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omprises:
Detecting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rein the reference angle and the first rotation angle are rotation angles of the terminal about a first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 surface,
Wherein the second rotation angle is a rotation angle of the terminal about a second axis that is horizontal to the sea level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 Monitoring Method of Buoys Using Augmented Real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의 상태 정보는 부표의 위치 정보, 부표의 설치일, 부표의 종류, 부표의 도색 정보, 부표의 조명장치의 점멸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buo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buoy, the installation date of the buoy, the type of the buoy, the coloring information of the buoy,
A Monitoring Method of Buoys Using Augmented Real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선박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on a ship
A Monitoring Method of Buoys Using Augmented Realit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제2 회전 각도 또는 고도가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지속적인 변화량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량이 검출되면 상기 부표 검출 영역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rotation angle or altitude of the terminal is continuously detected within a preset range; And
And fixing the buoy detection area when the amount of change is detected
A Monitoring Method of Buoys Using Augmented Reality.
명령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동작들은: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읽어 드리고;
상기 읽어 드린 메타 데이터 상의 부표 검출 영역과 정합하는 부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부표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부표 이미지 및 부표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촬영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표의 모니터링 단말기.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11. A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The instructions being executable by the processor to cause the processor to perform operations,
The operations include: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ad metadata stored in advance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ct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 sub-table matching the sub-table detection area on the read meta data;
Display state information of the buoy image and the buo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buoy with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terminal; Containing
Monitoring terminal of buoy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0170174821A 2017-12-19 2017-12-19 Buoy monitoring terminal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102115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821A KR102115020B1 (en) 2017-12-19 2017-12-19 Buoy monitoring terminal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821A KR102115020B1 (en) 2017-12-19 2017-12-19 Buoy monitoring terminal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715A true KR20190073715A (en) 2019-06-27
KR102115020B1 KR102115020B1 (en) 2020-05-26

Family

ID=6705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821A KR102115020B1 (en) 2017-12-19 2017-12-19 Buoy monitoring terminal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02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735A (en) * 2010-07-09 2012-01-17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ugmented reality
KR20120015803A (en) * 2010-08-13 201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supplies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20026239A (en) * 2010-09-09 2012-03-19 (주)넥스챌 System of managing power distributing equipment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033188A (en) * 2010-09-29 2012-04-06 한국전력공사 Watt hour me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echnology of augmented reality
KR20140082610A (en) * 2014-05-20 2014-07-02 (주)비투지 Method and apaaratus for augmented exhibition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KR101677039B1 (en) 2015-08-28 2016-1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Monitoring system of lighted buo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735A (en) * 2010-07-09 2012-01-17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ugmented reality
KR20120015803A (en) * 2010-08-13 201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supplies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20026239A (en) * 2010-09-09 2012-03-19 (주)넥스챌 System of managing power distributing equipment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033188A (en) * 2010-09-29 2012-04-06 한국전력공사 Watt hour me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echnology of augmented reality
KR20140082610A (en) * 2014-05-20 2014-07-02 (주)비투지 Method and apaaratus for augmented exhibition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KR101677039B1 (en) 2015-08-28 2016-1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Monitoring system of lighted bu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020B1 (en)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000B1 (en) A System Preventing Plundering Fishing Gear Installed On The Sea
CN111373283A (en) Real-time monitoring of the surroundings of a marine vessel
JP6319785B2 (en) Abnormal tide level fluctuation detection device, abnormal tide level fluctuation detection method, and abnormal tide level fluctuation detection program
KR101603166B1 (en) Auto tracking system of ice breaking model ship
KR101288953B1 (en) Black box system for leisure vessel
US201403099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route
CN106015944B (en) Deep seafloor pipeline cruising inspection system and its working method
KR20110116842A (e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display method of vessels navig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N103529466A (en) Ship self-positioning method for two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reference points
CN110045669A (en) A kind of monitoring of ship navigation state and alarm system
US9727670B2 (en) Horizon night view simulation
CN104221070A (en) Electronic sea chart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sea chart information
Ranjith et al. Automatic border alert system for fishermen using GPS and GSM techniques
KR102238421B1 (en) Buoy monitoring terminal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101380250B1 (en) Robot and method for position recognition
CN113920447A (en) Ship harbor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765596A (en) A kind of underwater navigation detection mobile terminal
US9772403B2 (en) Vehicle position validation
KR20190073715A (en) Buoy monitoring terminal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Xu et al. Hydrographic data inspection and disaster monitoring using shipborne radar small range images with electronic navigation chart
KR101134627B1 (en) Searching system for vessels sank using position sensor and oil detection sensor
KR1018132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Maritime transport facilities
CN116312062A (en) Ship navigation early war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EP3006322A1 (en) Navigation assistance device, navigation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KR20210115665A (en) A Method for Providing a Safety Supervising Service Based on a Next Generation Electronic Cha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63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517

Effective date: 202004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