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694A - Method for preparing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latex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paring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late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694A
KR20190073694A KR1020170174777A KR20170174777A KR20190073694A KR 20190073694 A KR20190073694 A KR 20190073694A KR 1020170174777 A KR1020170174777 A KR 1020170174777A KR 20170174777 A KR20170174777 A KR 20170174777A KR 20190073694 A KR20190073694 A KR 20190073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weight
carboxylic acid
based copolymer
modified nitr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9520B1 (en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7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520B1/en
Publication of KR2019007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6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520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nitr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6Reaction with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s or anhydrides thereof, e.g. malei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ing method of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producing method which includes: a step (S10) of polymerizing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based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a step (S20) of adding and polymeriz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when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is 60% or more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the step (S10); and a step (S30) of adding and stirring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on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which has pH 7.0 or more after the polymerization completion of the step (S20). In the producing method of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a formed product formed by the same, the content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dded in the step (S20) is more than 0 wt% to less than 3 wt%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and the content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added in the step (S30) is more than 0 parts by weight to less than 3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sticky feeling and improves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without using sulfur and vulcanization accelerators.

Description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로부터 성형된 성형품{METHOD FOR PREPARING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LATEX}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a molded article formed from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

본 발명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로부터 성형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prepared therefrom, .

고무 장갑은 가사, 식품 산업, 전자 산업, 의료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천연고무 라텍스를 딥 성형하여 만든 고무장갑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천연고무가 일부 사용자들에게 통증이나 발진 등의 심각한 단백질 알레르기(allergy)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여, 최근에는 합성 고무 라텍스에 황 및 가황촉진제를 배합한 라텍스 조성물을 딥 성형하여 만든 장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Rubber gloves are increasing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ousehold, food, electronics, and medical fields. In the past, rubber gloves made by deep molding of natural rubber latex were used in many cases. However, since natural rubber causes serious protein allergy such as pain and rash to some users, recently, Gloves made by dipping a latex composition containing a vulcanization accelerator are widely used.

하지만, 최근 합성 고무 라텍스를 딥 성형하여 만든 황 가교 장갑의 경우에도 황 가교 과정 중에 사용되는 가황 촉진제, 예를 들면 티우람(thiuram)계, 카바메이트(carbamate)계 등과 같은 가황 촉진제가 접촉성 피부염 등과 같은 제4 종 지연형 알러지 증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lfur crosslinked gloves made by dip-molding synthetic rubber latex in recent years, vulcanization accelerators used during sulfur crosslinking, for example, vulcanization accelerators such as thiuram-based, carbamate- And allergic rhinitis in the United States.

또한, 황 및 가황 촉진제와 함께 합성 고무 라텍스의 가교 시 사용하는 산화아연은 합성 고무 라텍스의 카르복실산과 이온 결합을 형성하여 딥 성형품의 강도를 내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온 결합의 특성 상 산성 용액에서 결합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산성 환경에서 작업 시, 장갑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고, 아연 이온이 용출되어 작업하는 대상 물질에 전이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특히, 주요 성분으로 전해질, 유레아, 시트릭산, 암모니아 등을 포함하는 사람의 땀은 약한 산성을 띄고 있는데, 이러한 땀의 산 성분에 의해 카르복실산과 아연 이온의 이온 결합은 약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장갑이 쉽게 찢어지는 등 내구성의 문제를 가져온다.The zinc oxide used in the crosslinking of the synthetic rubber latex together with the sulfur and the vulcanization accelerator plays the role of forming the ionic bond with the carboxylic acid of the synthetic rubber latex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dip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nding is weakened, which causes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glove to deteriorate when the user is working in an acidic environment,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zinc ions are eluted and transferred to the work material. Particularly, perspiration of a person including electrolytes, urea, citric acid, ammonia and the like as main components has a weak acidity. The ionic bond between the carboxylic acid and the zinc ion can be weakened by the acid component of such sweat, The glove tears easily, resulting in durability problems.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황, 가황 촉진제 및 산화아연을 사용하지 않고, 다가 금속 양이온 화합물을 이용하는 합성 고무 라텍스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 경우 황 가교 장갑만큼의 물성 및 내구성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여러 종류의 가교가 가능한 물질을 합성 고무 라텍스에 첨가하는 등의 비황 및 비가황 촉진제 장갑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수준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In recent years, a synthetic rubber latex using a polyvalent metal cationic compound has been proposed without using sulfur, a vulcanization accelerator and zinc oxi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ut in this cas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the sulfur bridging glove are not satisfied In fact. Various methods for producing non-sulfur and non-sulfur vulcanizing accelerator gloves such as adding various kinds of crosslinkable materials to synthetic rubber latex have been proposed, but the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satisfactory levels have not yet been secured .

이에, 비황 및 비가황 촉진제 장갑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to ensure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non-sulfur and non-sulfur accelerator gloves.

KRKR 2014-00538592014-0053859 AA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딥 성형품의 제조 시, 황 및 가황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제조된 딥 성형품의 끈적임을 줄이고,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rocess for producing a dip molded article which can reduce the tackiness of the produced dip molded article without using sulfur and a vulcanization accelerator,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즉,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황 및 가황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딥 성형품의 성형 시 가교가 가능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제조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로 딥 성형되어, 끈적임이 적고,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딥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cess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apable of crosslinking during molding of a dip molded article without using sulfur and a vulcanization accelerat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p molded article which is dip-formed with the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hus produced, has less tackiness, and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의 중합 중, 중합 전환율이 60 % 이상인 시점에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투입하고 중합시키는 단계(S20); 및 상기 (S20) 단계의 중합 완료 후, pH가 7.0 이상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에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투입하고 교반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S20) 단계에서 투입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내지 3 중량% 미만이고, 상기 (S30) 단계에서 투입되는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내지 3 중량부 미만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10) polymerizing a conjugated diene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A step (S20) of charging and polymeriz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60% or more during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And (S30) adding and stirring dicarboxylic acid dihydrides to the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having a pH of 7.0 or more after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20). The content of the monomer having a carbonyl group is not less than 0% by weight and less than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and the amount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added in the step (S3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having an amount of more than 0 parts by weight and less than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ixture.

또한, 본 발명은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및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및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표면 상에 분포되어 있고,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은, 각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전체 함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내지 3 중량% 미만이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함량은, 각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내지 3 중량부 미만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base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carbonyl- And a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wherein all or a part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 is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 The content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more than 0% by weight to less than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each monomer, And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an amount of more than 0 parts by weight to less than 3 parts by weigh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유래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derived layer.

본 발명에 따라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딥 성형품을 성형하는 경우, 황 및 가황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딥 성형품의 끈적임이 적고,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Whe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s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pped molded article is molded using the same, the dope-molded product is less tacky and excellent in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without using sulfur and a vulcanization accelerator .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을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용어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는 단량체로부터 기인한 성분, 구조 또는 그 물질 자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고, 중합체의 중합 시, 투입되는 단량체가 중합 반응에 참여하여 중합체 내에서 이루는 반복단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The term "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 "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omponent derived from a monomer, a structure thereof, or a substance itself, and when the polymer is polymerized, the introduced monomer means a repeating unit .

본 발명에서 용어 '라텍스'는 중합에 의해 중합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물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유화 중합에 의해 중합된 고무 상의 중합체 또는 고무 상의 공중합체의 미립자가 콜로이드 상태로 물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 latex "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that a polymer or a polymer polymerized by polymerization is present in a form dispersed in water.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rubber-like polymers polymeriz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r fine particles of a copolymer May be present in a form dispersed in water in a colloidal state.

본 발명에서 용어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를 비롯하여, 상기 라텍스 상에 딥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한 상태, 즉,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all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and additives for molding a dip-shaped article on the latex are contained, May refer to a cohesive latex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용어 '단량체 혼합물'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시 투입되는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및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의미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예로, 필요에 따라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경우,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monomer mix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that all of the monomers to be added in the produc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are includ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s,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based monomers, ethylenically unsaturated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an acid monomer and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nd more specifically, when it further include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as required, it may be a conjugated diene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ay mean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an acid monomer,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본 발명에서 용어 '가교부'는 화합물로부터 기인한 성분 또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고, 가교 반응에 의해 형성되어 중합체 내, 또는 중합체 간 가교(cross linking) 역할을 수행하는 가교부(cross linking part)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rosslinking moiety" may refer to a component or structure derived from a compound, and may be a cross linking moiety formed by a crosslinking reaction to perform a cross linking function in a polymer or between polymers. .

본 발명에서 용어 '유래층'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층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딥 성형품 제조 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딥 성형틀 상에서 부착, 고정, 및/또는 중합되어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층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The term " layer derived "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layer formed from a polymer or a copolymer, and specific examples include, in the production of a dip product, a polymer or copolymer is attached, fixed, and / But may be a layer formed from a copolymer.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은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의 중합 중, 중합 전환율이 60 % 이상인 시점에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투입하고 중합시키는 단계(S20); 및 상기 (S20) 단계의 중합 완료 후, pH가 7.0 이상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에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투입하고 교반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S20) 단계에서 투입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내지 3 중량% 미만이고, 상기 (S30) 단계에서 투입되는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내지 3 중량부 미만인 것일 수 있다.The process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10) polymerizing a conjugated diene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A step (S20) of charging and polymeriz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60% or more during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And (S30) adding and stirring dicarboxylic acid dihydrides to the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having a pH of 7.0 or more after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20). The content of the monomer having a carbonyl group is not less than 0% by weight and less than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and the amount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added in the step (S30) May be more than 0 parts by weight and less than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ix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10) 단계의 중합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계로,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를 동시에 공중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is a step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wherein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the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May be carried out by copolymerization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10) 단계의 중합은 유화 중합에 의해 실시될 수 있고, 각 단량체는 중합에 앞서 동시에 중합 반응기에 투입할 수도 있고, 단량체 중 일부를 중합 반응기에 1차 투입하고, 중합 개시 후 잔여 단량체를 투입하는 등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may be carried out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each monomer may be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polymerization reactor prior to polymerization, and a part of the monomers may be introduced into the polymerization reactor And adding the remaining monomer after the initiation of the polymeriz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로,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1,3-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 1,3-부타디엔일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40 중량% 내지 89 중량%, 45 중량% 내지 80 중량%, 또는 50 중량% 내지 78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성형된 딥 성형품이 유연하고, 착용감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유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is a monomer for form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conjugated diene monomer contained 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and includes 1,3-butadiene, 2,3- Butadiene, dimethyl-1,3-butadiene, 2-ethyl-1,3-butadiene, 1,3-pentadiene and isoprene. Specific examples thereof may be 1,3-butadiene or isoprene , More specifically, 1,3-butadiene. The content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may be 40 wt% to 89 wt%, 45 wt% to 80 wt%, or 50 wt% to 78 w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The dip-molded article molded from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ontaining the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is flexible, excellent in feeling of wearing, and excellent in oil resistance and tensile strength.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 에틸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 아크릴로니트릴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50 중량%, 15 중량% 내지 45 중량%, 또는 20 중량% 내지 4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성형된 딥 성형품이 유연하고, 착용감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유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is a monomer for form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contained 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and includes acrylonitrile,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fumaronitrile,? -Chloronitrile and? -Cyanoethyl acrylonitrile,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may include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and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t may be acrylonitrile.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may be from 10% by weight to 50% by weight, from 15% by weight to 45% by weight, or from 20% by weight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The dip-molded article molded from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ontaining the naturally-occurring denatured nitrile-based copolymer is flexible, excellent in wearing feeling, and excellent in oil resistance and tensile strength.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로,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산무수물기와 같은 산성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및 푸마르산 등과 같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본산 단량체; 무수말레산 및 무수 시트라콘산 등과 같은 폴리 카르본산 무수물; 스티렌 술폰산과 같은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푸마르산 모노부틸, 말레인산 모노부틸 및 말레인산 모노-2-히드록시 프로필 등과 같은 에틸렌성 불포화 폴리 카르본산 부분 에스테르(partial ester)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예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인 예로 메타크릴산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중합 시,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 등과 같은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 0.5 중량% 내지 9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8 중량%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성형된 딥 성형품이 유연하고, 착용감이 우수함과 동시에,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s a monomer for form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contained 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and may be a carboxyl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containing an acid group such as an anhydride group,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and fumaric acid; Polycarboxylic anhydrides such as maleic anhydride and citraconic anhydrid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s such as styre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 partial ester monomers such as monobutyl fumarate, monobutyl maleate and mono-2-hydroxypropyl maleate. Mor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 Itaconic acid, maleic acid, and fumaric acid, and more specific examples thereof may be methacrylic acid. The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salt such as an alkali metal salt or an ammonium salt at the time of polymerization. Also, the content of the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may be 0.1 wt% to 10 wt%, 0.5 wt% to 9 wt%, or 1 wt% to 8 w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The dip-molded article formed from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s flexible, has excellent wearing feeling, and has an excellent tensile strength.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10) 단계의 중합은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와, 이어서 기재될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로, 스티렌, 아릴 스티렌 및 비닐 나프탈렌 등과 같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 아미드, N,N-디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 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프로폭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과 같은 에틸렌성 불포화 아미드 단량체; 비닐 피리딘, 비닐 노보넨, 디시클로 펜타디엔 및 1,4-헥사디엔 등과 같은 비공액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트리 플루오로 에틸, (메트)아크릴산 테트라 플루오로 프로필, 말레인산 디부틸, 푸마르산 디부틸, 말레인산 디에틸, (메트)아크릴산 메톡시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시아노메틸, (메트)아크릴산 2-시아노에틸, (메트)아크릴산 1-시아노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에틸6-시아노헥실, (메트)아크릴산 3-시아노프로필,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 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10) 단계의 중합이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실시되는 경우,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딥 성형품의 인장강도와 부드러운 촉감의 균형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may be carried out by reacting a conjugated diene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an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with ethylene And may further include an unsaturated monomer.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is a monomer for form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ethylenic unsaturated monomer, and includes aromatic vinyl monomers such as styrene, arylstyrene, and vinylnaphthalene; (Meth) acrylamide, N-methylol (meth) acrylamide, N, N-dimethylol (meth) acrylamide, N-methoxymethyl The same ethylenically unsaturated amide monomers; Non-conjugated monomers such as vinyl pyridine, vinyl norbornene, dicyclopentadiene and 1,4-hexadiene; Acrylates such as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trifluoroethyl (meth) acrylate, tetrafluoropropyl (Meth) acrylate, dibutyl fumarate, diethyl maleate, methoxymethyl (meth) acrylate, ethoxyethyl (meth) acrylate, methoxyethoxyethyl (meth) acrylate, cyanomethyl Ethyl (meth) acrylate, 1-cyanopropyl (meth) acrylate, 2-ethyl 6-cyanooyl (meth) acrylate, 3-cyanopropyl (meth) acrylate, hydroxyethyl (meth) acrylate, hydroxypropyl ,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monomers such as glycidyl (meth) acrylate and 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When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is further carried out with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may be from 0.01% by weight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The balance between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soft touch of the dip molded article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10) 단계의 중합은 유화제, 중합 개시제 및 분자량 조절제 등의 존재 하에 실시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may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n emulsifi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molecular weight modifier, and the like.

상기 (S10) 단계의 중합이 유화제를 포함하여 실시되는 경우, 상기 유화제는 일례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알킬벤젠술폰산염, 지방족술폰산염,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α-올레핀 술폰산염 및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0.8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또는 1.5 중량부 내지 6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중합 한정성이 우수하고, 거품 발생량이 적어 성형품의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When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i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n emulsifier, the emulsifi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nionic surfactant, a nonionic surfactant, a cationic surfactant and a positive surfactant,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benzenesulfonic acid salts, aliphatic sulfonic acid salts, higher alcohol sulfuric acid ester salts,? -Olefin sulfonic acid salts and alkyl ether sulfuric acid ester salts. The emulsifi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3 to 10 parts by weight, 0.8 to 8 parts by weight, or 1.5 to 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Within this range, And the production of a molded article is easy because of the small amount of bubble generation.

또한, 상기 (S10) 단계의 중합이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여 실시되는 경우, 상기 중합 개시제는 일례로 라디칼 개시제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과황산나트륨, 과항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인산칼륨 및 과산화수소 등과 같은 무기과산화물; t-부틸 퍼옥사이드, 큐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p-멘탄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쿠밀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이소부틸 퍼옥사이드, 옥타노일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산올 퍼옥사이드 및 t-부틸 퍼옥시 이소부틸레이트 등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 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및 아조비스 이소낙산(부틸산) 메틸 등과 같은 질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무기과산화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 과황산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는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0.02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또는 0.0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중합 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고, 중합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When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i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 radical initiator,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sodium persulfate, potassium antacid, ammonium persulfate, potassium perphosphate and hydrogen peroxide Inorganic peroxides; t-butyl 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p-menthol hydroperoxide, di-t-butyl peroxide, t-butyl cumyl peroxide, acetyl peroxide, isobutyl peroxide, octanoyl peroxide, dibenzoyl peroxide Organic peroxides such as oxides, 3,5,5-trimethylhexanol peroxide and t-butyl peroxyisobutyrate; Nitrogen compounds such as azobisisobutyronitrile, 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and azobisisobutyronitrile (butyl acid) methyl, and the like,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be an inorganic peroxide,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persulfate.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2 parts by weight, 0.02 to 1.5 parts by weight, or 0.05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Within this range,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and the polymerization stability is excellent.

또한, 상기 (S10) 단계의 중합이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여 실시되는 경우,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일례로 α-메틸스티렌다이머; t-도데실머캅탄, n-도데실머캅탄 및 옥틸머캅탄 등과 같은 머캅탄류; 사염화탄소, 염화메틸렌 및 브롬화메틸렌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테트라에틸 티우람 다이설파이드,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다이설파이드 및 디이소프로필크산토겐 다이설파이드 등과 같은 황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t-도데실머캅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0.2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또는 0.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중합 안정성이 우수하고, 중합 후 성형품 제조 시, 성형품의 물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When the polymerization in step (S10) is carried out using a molecular weight modifier,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may be, for example,? -Methylstyrene dimer; mercaptans such as t-dodecylmercaptan, n-dodecylmercaptan and octylmercaptan;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carbon tetrachloride, methylene chloride and methylene bromide; Sulfur-containing compounds such as tetraethylthiuram disulfide, dipentamethylenethiuramdisulfide, and diisopropylxanthogen disulfide,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may be t-dodecylmercaptan.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1 part by weight to 2 parts by weight, 0.2 part by weight to 1.5 parts by weight, or 0.3 parts by weight to 1.0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ntire monomer mixture. Within this range, And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of a molded article at the time of producing a molded article after polymeriz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은 활성화제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고, 상기 활성화제는 일례로 소듐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소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 제1철, 덱스트로오스, 피롤린산나트륨 및 아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화제는 주단량체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with an activator, which may be, for example,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ferrous sulfat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and sodium sulfite. The activato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ain monom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은 매질로서 물, 구체적인 예로 탈이온수에서 실시될 수 있고, 중합 용이성 확보를 위해, 필요에 따라 킬레이트제, 분산제, pH 조절제, 탈산소제, 입경 조절제, 노화 방지제 및 산소 포착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화제, 중합 개시제, 분자량 조절제, 첨가제 등은 상기 주단량체와 같이 중합 반응기에 일괄 투입, 또는 분할 투입될 수 있고, 각 투입 시 연속적으로 투입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in water as a medium, specifically, deionized water. In order to ensure polymerization easiness, a chelating agent, a dispersant, a pH adjuster, a deoxidizer, , An antioxidant and an oxygen scavenger, and the lik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ulsifie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the additive, etc. may be added to the polymerization reactor as a batch or separately, as in the case of the main monom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은 10 ℃ 내지 90 ℃, 20 ℃ 내지 80 ℃, 또는 25 ℃ 내지 75 ℃의 중합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라텍스 안정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at a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10 ° C to 90 ° C, 20 ° C to 80 ° C, or 25 ° C to 75 ° C, and within this rang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20) 단계의 중합은 상기 (S10) 단계의 중합 중,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추가적으로 투입하여, 상기 (S10) 단계에서 투입된 단량체와,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함께 공중합시키기 위한 단계로, 상기 (S10) 단계의 중합 중, 중합 전환율이 60 % 이상인 시점에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투입하여,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와 동시에 공중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20) may be carried out by further add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during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and then adding the monomer charged in the step (S10) The step of polymerizing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the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B) in the presence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the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An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20) 단계에서 투입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로부터 딥 성형품의 성형 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자가 가교(self-crosslinking)가 가능하도록,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주쇄(back bone) 내에 포함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로,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일 수 있다.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내의 아크릴계 관능기가 중합 시 라디칼 반응에 참여하여 반복단위를 형성하고,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내의 카르보닐기와, 후첨될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하이드라자이드기의 반응을 통해,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내, 또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간 가교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가교제 없이도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자가 가교가 가능하여, 가교제로 인한 딥 성형품의 부작용을 방지하면서도,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charged in the step (S20) is a self-crosslinking (self-crosslinking) copolymer of a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a monomer for form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contained in a back bone of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so that cross-linking can be performed, and may be diacetone acrylamide, Amide. The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carbonyl group is a monomer having an acrylic functional group in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participating in a radical reaction upon polymerization to form a repeating unit, and a carbonyl group in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nd a hydrazide of a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t is possible to form a crosslinked par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or a crosslinked par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through the reaction of the carboxyl group-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side effects of the dip-formed article due to the cross-linking agent, while exhibiting excellent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20) 단계에서 투입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중합 전환율이 60 % 이상, 60 % 내지 90 %, 60 % 내지 80 %, 또는 61 % 내지 80 %인 시점에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중합 초기에, 즉, 상기 (S10) 단계에서 투입되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와 함께 투입하거나, 중합 전환율 60 % 미만인 시점에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중합이 완료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내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가 랜덤하게 분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내에 분포, 즉 라텍스 내부에 잠겨 있게 되어, 자가 가교 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상의 카르보닐기의 노출도가 저하되어, 가교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중합 전환율의 시점에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투입하는 경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표면 상에 집중 분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자가 가교 시, 가교 능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성형된 딥 성형품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charged in step (S20) has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60% or more, 60% to 90%, 60% to 80%, or 61% to 80% Can be injected at the point of time.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s added at the beginning of the polymerization, that is, with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the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to be charged in the step (S10) However, in this case,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n the polymerized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is randomly distributed, and accordingly,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 That is, in the latex,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carbonyl group on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may decrease during autogenous crosslinking, and the crosslinking ability may be lower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s introduced at the time of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onto the surface of the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he cross-linking ability is improved, and accordingly, the durability and the chemical resistance of the formed deep-molded product ar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 전환율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응 중인 조성물로부터 일정 양의 시료를 채취하고, 시료 내 고형분의 함량을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may be calculated by taking a certain amount of the sample from the composition under reac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measuring the content of the solid content in the sample, .

[수학식 1][Equation 1]

중합 전환율(%) = (Ms - Mo) / (Mp - M'o)Polymerization Conversion (%) = (Ms - Mo) / (Mp - M'o)

상기 수학식 1에서, Ms는 건조된 공중합체의 무게이고, Mo는 유화제 및 중합 개시제 무게의 합이며, Mp는 100% 중합된 공중합체의 무게이고, M'o는 유화제 및 중합 개시제 무게의 합이다.In the above formula (1), Ms is the weight of the dried copolymer, Mo is the sum of the weight of the emulsifier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p is the weight of the 100% polymerized copolymer, M'o is the sum of the weight of the emulsifier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20) 단계에서 투입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내지 3 중량% 미만, 0.01 중량% 내지 2.5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2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증가에 따른,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등의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 저하로 인한 인장 물성 등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dded in the step (S20) is more than 0 wt% to less than 3 wt%, 0.01 wt% to 2.5 wt% , Or 0.1% by weight to 2% by weight, and within this range,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 conjugated diene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accordance with increase in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carbonyl group There is an effect of remarkably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while preventing deterio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properties due to lowering of the content of the uni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은 (S10) 단계 및 (S20) 단계의 중합 반응을 종료하여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는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합 반응은 중합 전환율 85 % 이상, 88 % 내지 99.9 %, 또는 90 % 내지 99 %인 시점에서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은, 상기 반응 종료 후, 탈취 공정에 의한 미반응 단량체 제거 단계(S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epar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omprises the steps of: (S10) terminat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n step (S20) to obta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S21). At this tim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terminate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85% or more, 88% to 99.9%, or 90% to 99%. The method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ay further include a step (S22) of removing unreacted monomers by a deodorization proces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a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0) 단계의 교반은 상기 (S20) 단계의 중합 완료 후, 상기 (S20) 단계에서 제조된 pH가 7.0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에,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투입하고 교반시켜,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분산시키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는 상기 (S20) 단계의 투입에 의해 형성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에 존재하는 카르보닐기와의 자가 가교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내의 카르보닐기와,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하이드라자이드기의 반응을 통해,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내, 또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간 가교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in the step (S30) may be carried ou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20), o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 copolymer latex having the pH of 7.0 prepared in the step (S20) A step of adding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and stirring to disperse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s used to induce a self-crosslinking reaction with a carbonyl group present in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carbonyl group form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step (S20). As described above, The role of forming a crosslinked portion i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or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through reaction of the carbonyl group in the acrylic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 with the hydrazide group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0) 단계에서 투입되는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는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르보닐-하이드라자이드 반응에 의해 형성된 자가 가교부의 길이가 적절하여, 딥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ntroduced in the step (S30) may be adipic acid dihydrazide,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may include adipic acid dihydrazide,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elf-crosslinking portion formed by the carbonyl-hydrazide reaction is appropriate,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dip-molded article are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는 pH가 7.0 이상, 7.0 내지 10.0, 7.0 내지 9.0, 또는 7.2 내지 8.5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에 투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pH가 7.0 미만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에 투입하는 경우, 경화가 빠르게 발생하고, 외부 가교가 원활히 일어나지 않아, 끈적임, 내구성 및 내화학성 개선 효과가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pH가 7.0 이상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상에 상기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0),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may be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 compound having a pH of 7.0 or higher, 7.0 to 10.0, 7.0 to 9.0, or 7.2 to 8.5 May be injected onto the copolymer latex. When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s added to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having a pH of less than 7.0, hardening occurs rapidly, external crosslinking does not occur smoothly, and the effect of improving stickiness,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is improved , It may be preferable to add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to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having a pH of 7.0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0) 단계에서 투입되는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내지 3 중량부 미만, 0.01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또는 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딥 성형품의 끈적거림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딥 성형품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to be added in the step (S30) is in the range of more than 0 parts by weight to less than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0.01 part by weight to 2.5 parts by weight, or 0.1 part by weight to 2 parts by weight. Within this range, stickiness of the dip-molded article is remarkably lowered, and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dip-molded article are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한다.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및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및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표면 상에 분포되어 있고,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은, 각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전체 함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내지 3 중량% 미만이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함량은, 각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내지 3 중량부 미만인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ss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an be obtained by subject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o a carboxylic acid-modified repeating unit containing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conjugated dienic monomer,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s and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onitrile- Nitrile-based copolymers; And a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wherein all or a part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 is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 The content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more than 0% by weight to less than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each monomer, And more preferably 0 parts by weight to less than 3 parts by w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각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는 앞서 기재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제조방법에서 투입 가능한 단량체로 기재된 단량체로부터 중합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각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도, 앞서 기재한 투입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도 앞서 기재한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와 동일한 종류 및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s contained i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is formed by polymerization from a monomer described as a monomers which can be add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 And the content of each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 may be the same as the content of the above-mentioned input monomer. In addition,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may be the same kind and the same amount as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내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및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가 각각 분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내의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카르보닐기와,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하이드라자이드 간의 자가 가교 반응에 의해, 가교부가 형성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ay be prepared by copolymeriz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and a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 And at the same time, by the self-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the carbonyl group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and the hydrazide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Modified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는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표면 상에 분포되어 있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 초기 또는 중합 전환율 60 % 미만인 시점에서 투입된 경우에 형성된 카르보닐기 함유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게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보다 많은 함량으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표면 상에 분포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딥 성형품의 끈적거림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딥 성형품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와 함께 투입하거나, 중합 전환율 60 % 미만인 시점에 투입하여 제조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경우, 유화 중합의 특성 상, 중합이 완료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내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가 랜덤하게 분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내에 분포, 즉 라텍스 내부에 잠겨 있게 되어, 자가 가교 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상의 카르보닐기의 노출도가 저하되어, 가교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표면 상에 집중 분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자가 가교 시, 가교 능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성형된 딥 성형품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s may be all or part of those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crylic group- The content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s greater than the content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containing carbonyl group, which is formed when the monomer is introduced at the beginning of polymerization or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less than 60% . In this case, stickiness of the deep-formed product is remarkably lowered, and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deep-molded product are excellent.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prepared by charging the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carbonyl group together with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the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or by introducing the monomer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less than 60%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n the polymerized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is randomly distributed in the polymerized nitrile-based copolymer, Distribution, that is, in the latex,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carbonyl group on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carbonyl group is lowered during autogenous crosslinking, and the crosslinking ability may be lowered. However,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ss for produc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s concentrat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xylic acid- And the cross-linking ability is improved at the time of self-crosslinking. Thus, the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formed dip-molded article ar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50 ℃ 내지 -15 ℃, 또는 -45 ℃ 내지 -20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인장 강도가 우수하고, 딥 성형품의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0 ° C to -15 ° C or -45 ° C to -20 ° C And has an excellent tensile strength within this range,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cracking of the dip-formed articl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는 평균입경이 50 nm 이상, 50 nm 내지 500 nm, 50 nm 내지 300 nm, 또는 60 nm 내지 200 nm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점도 상승을 방지하여, 라텍스를 고농도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딥 성형품의 인장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은 레이저 분산 분석기(Laser Scattering Analyzer, Nicomp)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0 nm or more, 50 nm to 500 nm, 50 nm to 300 nm, or 60 nm to 200 nm. With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scosity increase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o produce latex at a high concentration, an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dip- have. The average particle size may be measured with a laser scattering analyzer (Nicomp).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티타늄 옥사이드 등과 같은 안료, 실리카 등과 같은 충진제, 증점제 및 암모니아 또는 알칼리 수산화물 등과 같은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가 상기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성분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조성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80 중량% 내지 99 중량%, 85 중량% 내지 98 중량%, 또는 88 중량% 내지 97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딥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igment such as titanium oxide, a filler such as silica, a thickener, and a pH adjuster such as ammonia or alkali hydroxide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additiv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further comprises the above-mentioned additives,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omponent not containing the additive may be added to the total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 And can be 80% by weight to 99% by weight, 85% by weight to 98% by weight, or 88% by weight to 97% by weight. Within this range, the mechanical properties,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di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즉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조성물은 고형분 농도가 5 중량% 내지 40 중량%, 8 중량% 내지 35 중량%, 또는 10 중량% 내지 33 중량%일 수 있고, pH가 7.0 내지 12.0, 7.5 내지 11.5, 또는 8 내지 11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딥 성형품의 성형 시,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hat is,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omposition containing the additive has a solid concentration of 5 wt% to 40 wt%, 8 wt% To 35% by weight, or from 10% by weight to 33% by weight, and the pH may be 7.0 to 12.0, 7.5 to 11.5, or 8 to 11. Within this range,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유래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딥 성형하여 제조된 딥 성형품일 수 있고, 딥 성형에 의해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로부터 형성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유래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품 제조방법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직접 침지법, 양극(anode) 응착 침지법, 티그(Teague) 응착 침지법 등에 의해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양극 응착 침지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균일한 두께의 딥 성형품을 수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layer derived from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he molded product may be a dip-formed product prepared by dip-molding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may include a layer derived from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formed from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by dip molding Or the like. The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article for molding the molded article may include a step of immersing the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by a direct dipping method, an anode adhesion dipping method, a Teague adhesion dipping method, or the like, As a specific example, it can be carried out by anodic adhesion dipping, an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ip-shaped article having a uniform thickness can be obtained.

구체적인 예로 상기 성형품 제조방법은 딥 성형틀에 응고제를 부착시키는 단계(S100); 상기 응고제가 부착된 딥 성형틀을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에 침지하여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유래층, 즉 딥 성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200); 및 상기 딥 성형층을 가열하여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자가 가교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a concrete exampl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lded article may include a step (S100) of attaching a coagulant to a dip forming mold; A step (S200) of immersing the dip-molding die with the coagulant attached thereto 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o form a layer derived from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hat is, a dip molding layer; And a step (S300) of self-crosslinking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by heating the dip-formed layer.

상기 (S100) 단계는 딥 성형틀에 응고제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딥 성형틀을 응고제 용액에 담가 딥 성형틀의 표면에 응고제를 부착시키는 단계로, 상기 응고제 용액은 응고제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응고제 용액 내의 응고제의 함량은 응고제 용액 전체 함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50 중량%, 또는 10 중량%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응고제는 일례로 바륨 클로라이드, 칼슘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아연 클로라이드 및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금속 할라이드; 바륨 나이트레이트, 칼슘 나이트레이트 및 아연 나이트레이트 등과 같은 질산염; 바륨 아세테이트, 칼슘 아세테이트 및 아연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아세트산염; 및 칼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및 알루미늄 설페이트 등과 같은 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칼슘 클로라이드 또는 칼슘 나이트레이트일 수 있다.The step (S100) comprises immersing a dip forming mold in a coagulating agent solution so as to form a coagulant in a dip forming mold, and attaching a coagulant to the surface of the dip forming mold, wherein the coagulant solution contains water, an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As a dissolved solution, the content of the coagulant in the coagulant solution may be from 5% by weight to 50% by weight, or from 10% by weight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coagulant solution. The coagulant may be, for example, a metal halide such as bar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zinc chloride, and aluminum chloride; Nitrates such as barium nitrate, calcium nitrate and zinc nitrate; Acetic acid salts such as barium acetate, calcium acetate and zinc acetate; And sulfates such as calcium sulfate, magnesium sulfate and aluminum sulfate,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may be calcium chloride or calcium nitrate.

또한, 상기 (S200) 단계는 딥 성형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응고제를 부착시킨 딥 성형틀을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에 침지하고, 꺼내어 딥 성형틀에 딥 성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step (S200), a dip molding frame having a coagulant attached thereto is immersed in the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dip molding layer, and a dip molding layer is formed in the dip molding frame Step.

또한, 상기 (S300) 단계는 딥 성형품을 수득하기 위하여 딥 성형틀에 형성된 딥 성형층을 가열하여 액체 성분을 증발시키고,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가교시켜 경화를 진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이용하는 경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내에 포함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카르보닐기와,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하이드라자이드 간의 자가 가교 반응에 의해, 자가 가교가 실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황 및 가황 촉진제에 의한 알러지 반응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step (S300) may be a step of heating the dip molding layer formed in the dip forming mold to evaporate the liquid component to crosslink the carboxylic acid denatur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o obtain a deep molded product have. In this case, whe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carbonyl group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containing repeating uni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contained in the carboxylic acid- The auto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hydrazide of the di-hydrazide of the dicarboxylic acid can be carried out so that there is no problem such as the allergic reaction caused by the sulfur and the vulcanization acceler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성형품은 수술용 장갑, 검사용 장갑, 산업용 장갑 및 가정용 장갑 등과 같은 장갑, 콘돔, 카테터, 또는 건강 관리용품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ed article can be a glove such as a surgical glove, an inspection glove, an industrial glove and a household glove, a condom, a catheter, or a health care product.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Production of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Copolymer Latex>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질소 가스의 인입구와 단량체, 유화제 및 중합 개시제를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구비된 10 L의 고압 중합 반응기를 질소로 치환한 후, 아크릴로니트릴 29 중량부, 1,3-부타디엔 65 중량부 및 메타크릴산 5 중량부, 알킬 벤젠 술폰산 나트륨 3 중량부, t-도데실 머캅탄 0.5 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140 중량부를 투입하고 38 ℃까지 승온시켰다. 승온이 완료된 후, 중합 개시제인 과황산칼륨 0.3 중량부를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였고, 중합 전환율이 62%인 시점에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 1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 후, 중합 전환율이 95%에 이르렀을 때 소디움 디메틸 디티오 카바메이트 0.1 중량부를 투입하여 중합을 정지시켰다. 이어서, 탈취 공정을 통해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7.2인 것을 확인하고,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 1 중량부를 투입한 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45 중량%, pH 8.5의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A 10 L high-pressure polymerization reactor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 condenser, an inlet of a nitrogen gas, and an inlet for continuously feeding monomers, an emulsifi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purged with nitrogen, and 29 parts by weight of acrylonitrile, 65 parts by weight of 3-butadiene, 5 parts by weight of methacrylic acid, 3 parts by weight of sodium alkylbenzenesulfonate, 0.5 part by weight of t-dodecyl mercaptan and 14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were charged and heated to 38 占 폚. After the temperature was elevated, 0.3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added to initiate polymerization.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was 62%, 1 part by weight of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Thereafter,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eached 95%, 0.1 part by weight of sodium dimethyldithiocarbamate was added to terminate the polymerization. Next, unreacted monomers were removed through a deodorization process,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n antifoaming agent were added. After confirming that the pH of the latex was 7.2, 1 part by weight of adip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and mixed To obta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having a solid concentration of 45% by weight and a pH of 8.5.

상기 수득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 중량부(고형분 기준)에 3중량% 농도의 수산화칼륨 용액 및 2차 증류수를 투입하여 고형분 농도 15 중량%, pH 10의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A potassium hydroxide solution and a second distill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3% by weight we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solid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obtained above to prepare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having a solid concentration of 15% A latex was obtained.

<딥 성형품 제조><Production of Dip Molded Parts>

13 중량부의 칼슘 나이트레이트, 82.5 중량부의 물, 0.5 중량부의 습윤제(Teric 320, Huntsman Corporation, Australia)를 혼합하여 응고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응고제 용액에 손 모양의 세라믹 몰드를 1 분간 담그고, 꺼낸 후 100 ℃에서 4 분간 건조하여 응고제를 손 모양의 몰드에 도포시켰다.13 parts by weight of calcium nitrate, 82.5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0.5 part by weight of a wetting agent (Teric 320, Huntsman Corporation, Australia) were mixed to prepare a coagulant solution. A hand-shaped ceramic mold was immersed in the prepared coagulant solution for 1 minute, and then taken out and dried at 100 ° C for 4 minutes to apply a coagulant to the hand mold.

그 후, 응고제가 도포된 몰드를 상기 수득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에 1 분간 담그고, 꺼낸 후 130 ℃에서 4 분간 건조한 후, 물에 3 분간 담가 리칭(leaching)하였고, 이어서 다시 몰드를 130 ℃에서 3 분간 건조한 후, 130 ℃에서 20 분간 가교시켰다. 가교된 딥 성형층을 손 모양의 몰드로부터 벗겨내어 장갑 형태의 딥 성형품을 수득하였다.Thereafter, the mold coated with the coagulant was immersed in the obtained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for 1 minute, taken out, dried at 130 캜 for 4 minutes, immersed in water for 3 minutes, leached, Dried at 130 DEG C for 3 minutes, and then crosslinked at 130 DEG C for 20 minutes. The crosslinked dip molding layer was peeled off from the hand mold to obtain a glove-shaped dip molded article.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아크릴로니트릴을 29 중량부 대신 29.9 중량부로 투입하고,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65 %인 시점에 0.1 중량부로 투입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7.5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0.1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acrylonitrile was added in an amount of 29.9 parts by weight instead of 29 parts by weight, and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0.1 part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65%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 defoaming agent, and then adding 0.1 part by weight of adipic acid dihydrazid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H of the latex was 7.5,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아크릴로니트릴을 29 중량부 대신 28 중량부로 투입하고,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61 %인 시점에 2 중량부로 투입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7.2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2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28 parts by weight of acrylonitrile was used instead of 29 parts by weight,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2 parts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61%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 defoamer, and then adding 2 parts by weight of adipic acid dihydrazid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H of the latex was 7.2.

실시예 4Example 4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80 %인 시점에 1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80% at the time of preparing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실시예 5Example 5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67 %인 시점에 1 중량부로 투입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7.3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0.5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67%,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 defoaming agent were added, Was 7.3, and adip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0.5 part by weight.

실시예 6Example 6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아크릴로니트릴을 29 중량부 대신 29.5 중량부로 투입하고,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61 %인 시점에 0.5 중량부로 투입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7.6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1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acrylonitrile was added in an amount of 29.5 parts by weight instead of 29 parts by weight, and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0.5 part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61%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 defoaming agent, and then adding 1 part by weight of adipic acid dihydrazid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H of the latex was 7.6.

실시예 7Example 7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63 %인 시점에 1 중량부로 투입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8.5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1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63%,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 defoaming agent were added, Was 8.5 and adip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adipic acid dihydrazide was not added to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아크릴로니트릴을 29 중량부 대신 30 중량부로 투입하고,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투입하지 않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7.3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1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acrylonitrile was added in an amount of 30 parts by weight instead of 29 parts by weight, and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n antifoaming agent were added after the addition of diacetone acrylamide , And 1 part by weight of adip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in a state where the pH of the latex was 7.3.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아크릴로니트릴을 29 중량부 대신 30 중량부로 투입하고,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 및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acrylonitrile was added in an amount of 30 parts by weight instead of 29 parts by weight, and diacetone acrylamide and adipic acid dihydrazide were not added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bove.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아크릴로니트릴을 29 중량부 대신 27 중량부로 투입하고,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62 %인 시점에 3 중량부로 투입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7.1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3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27 parts by weight of acrylonitrile was added instead of 29 parts by weight, and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3 parts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62%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 defoaming agent, and then adding 3 parts by weight of adipic acid dihydrazid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H of the latex was 7.1.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상기 실시예 1에서,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62 %인 시점이 아닌, 중합 개시 전, 아크릴로니트릴 29 중량부, 1,3-부타디엔 65 중량부 및 메타크릴산 5 중량부와 함께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Example 1,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62%, not before the initiation of polymerization, with 29 parts by weight of acrylonitrile, 65 parts by weight of 1,3-butadiene and 5 parts by weight of methacrylic aci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40 %인 시점에 1 중량부로 투입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7.0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1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40%,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 defoaming agent were added, Was 7.0 and adip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61 %인 시점에 1 중량부로 투입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6.5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1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61%,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 defoaming agent were added, Was 6.5, and adip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 시,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 전환율이 65 %인 시점에 1 중량부로 투입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를 첨가한 후, 라텍스의 pH가 4.5인 상태에서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1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n Example 1, diacetone acrylam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65%,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d a defoaming agent were added, Was 4.5 and adip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각각의 딥 성형품의 물성을 비교하기 위해, 끈적거림,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및 2에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투입 함량 및 투입 시점,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 투입 함량 및 투입 시 라텍스의 pH와 함께 나타내었다.In order to compa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pective dip-molded articles produc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8, stickiness,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were measured, and the contents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nd the amounts Point, the content of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feed and the pH of the latex at the time of addition Respectively.

* 끈적거림: 딥 성형품을 손 모양의 몰드로부터 벗겨낼 때, 손에 느껴지는 끈적거림을 감촉으로 10점법으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끈적거림이 가장 적어 딥 성형틀에서 쉽게 벗겨지는 경우 10점, 끈적거림이 가장 많아 딥 성형틀에서 벗겨낼 수 없는 경우 1 점으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Stickiness: The sticky feeling felt on the hand when the dip molded article was peeled off from the hand mold was divided into ten points by touch feeling. 10 points for easily peeled off from deep molds, and 1 point for peeled off from deep molds because stickiness is the least.

* 내구성: 인공으로 만든 땀 용액에 S자 형태의 시편을 담가 2초당 1회의 속도로 초기 길이 대비 200% 신장시키며 시편이 끊어질 때의 횟수를 측정하였다. 횟수가 높을수록 내구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Durability: The S-shaped specimen was immersed in the artificial sweat solution,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pecimen was broken was measured by stretching 200% of the initial length at a rate of once per 2 seconds. The higher the number, the better the durability.

* 내화학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성형품을 이용하여, EN374-3:2003에 의거하여 시험편을 각각 제조하였다. 각 시험편을 내화학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인 헥산(hexane)이 담긴 지름 51 mm, 깊이 35 mm의 실험 용기와 맞닿게 하고, 헥산이 1 ㎍/cm2/min의 속도로 시험편을 투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졍하였다. 시간이 길수록 내화학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Chemical resistance: Each of the molded article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used to prepare test pieces according to EN374-3: 2003. Each test specimen was placed in a test vessel of 51 mm in diameter and 35 mm in depth containing hexane, the substance to be tested for chemical resistance, and the time taken for hexane to permeate the specimen at a rate of 1 μg / cm 2 / min Respectively. The longer the time, the better the chemical resistance.

구분division 실시예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투입 함량(중량부)Charged amount (parts by weight) of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1One 0.10.1 22 1One 1One 0.50.5 1One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투입 시점(%, 중합 전환율)(%,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6262 6565 6161 8080 6767 6161 6363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 투입 함량(중량부)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feed content (parts by weight) 1One 0.10.1 22 1One 0.50.5 1One 1One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 투입 시 라텍스 pHLatex pH when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s added 7.27.2 7.57.5 7.27.2 7.27.2 7.37.3 7.67.6 8.58.5 끈적거림(10점법)Stickiness (10-point method) 99 66 1010 1010 99 88 1010 내구성(회)Durability (times) 310310 180180 335335 289289 295295 207207 310310 내화학성(분)Chemical resistance (minute) 1818 1111 2020 1919 1616 1212 1919

구분divis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88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투입 함량(중량부)Charged amount (parts by weight) of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1One 00 00 33 1One 1One 1One 1One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투입 시점(%, 중합 전환율)(%,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6262 -- -- 6262 00 4040 6161 6565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 투입 함량(중량부)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feed content (parts by weight) 00 1One 00 33 1One 1One 1One 1One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 투입 시 라텍스 pHLatex pH when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s added -- 7.37.3 -- 7.17.1 7.27.2 7.07.0 6.56.5 4.54.5 끈적거림(10점법)Stickiness (10-point method) 33 22 22 88 55 55 33 22 내구성(회)Durability (times) 9898 8787 101101 5050 8585 108108 8181 9898 내화학성(분)Chemical resistance (minute) 77 66 55 1010 2020 1818 1818 77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이용한 딥 성형품의 경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테 및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모두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3에 비해, 끈적거림,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모두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s 1 and 2, in the case of the dip-molded article using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cerebellum and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t was confirmed that stickiness,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3.

반면,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만을 투입한 비교예 1 및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만을 투입한 비교예 2의 경우, 끈적거림, 내구성 및 내화학성의 개선 효과가 극히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only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was added and in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only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stickiness,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was extremely small.

또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및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투입하더라도 과량으로 투입한 비교예 4의 경우, 내구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중합 초기에 다른 단량체와 동시에 투입한 비교예 5와, 중합 중에 투입하더라도, 중합 전환율이 40 %인 시점에 투입한 비교예 6의 경우도 끈적거림 및 내구성 개선 효과가 미미 정도에 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가 가교 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상의 카르보닐기의 노출도가 저하되어, 가교 능력이 저하된 것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urability of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an excess amount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nd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was lowered, and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was simultaneous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stickiness and durability was insignificant eve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5 which was added and Comparative Example 6 which was added at the time of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40% even during the polymerization.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carbonyl group on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carbonyl group is reduced during self crosslinking and the crosslinking ability is lowered.

또한,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pH가 6.5인 상태에서 투입한 비교예 7과, pH가 4.5인 상태에서 투입한 비교예 8의 경우, 끈적거림,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모두 열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투입 후, 경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자가 가교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가교 능력이 저하된 것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In addition, in Comparative Example 7 in which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was added in a pH of 6.5, and Comparative Example 8 in which the pH was 4.5, stickiness,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were all poor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the curing rapidly proceeded, the self-crosslinking was not smoothly performed, and the crosslinking ability was degraded.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딥 성형품을 성형하는 경우, 황 및 가황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딥 성형품의 끈적임이 적고,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the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s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p molded article is molded using the same, the stickiness of the dip molded article can be improved without using sulfur and vulcanization accelerator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Claims (10)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의 중합 중, 중합 전환율이 60 % 이상인 시점에서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투입하고 중합시키는 단계(S20); 및
상기 (S20) 단계의 중합 완료 후, pH가 7.0 이상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에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투입하고 교반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S20) 단계에서 투입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내지 3 중량% 미만이고,
상기 (S30) 단계에서 투입되는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내지 3 중량부 미만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
(S10) polymerizing a conjugated diene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A step (S20) of charging and polymeriz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60% or more during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10); And
(S30) of adding a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to the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having a pH of 7.0 or mor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in the step (S20)
The content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dded in the step (S20) is more than 0 wt% to less than 3 wt%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Wherein the content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to be added in the step (S30) is more than 0 parts by weight and less than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mix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투입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charged in step (S20) is diacetone acrylam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투입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중합 전환율이 61 % 내지 80 %인 시점에서 투입되는 것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charged in the step (S20) is introduced at a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61% to 8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투입되는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2 중량%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added in the step (S20) is 0.1 wt% to 2 wt%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에서 투입되는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는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to be added in the step (S30) is adipic acid dihydraz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는 pH가 7.2 내지 8.5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에 투입되는 것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s introduced onto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having a pH of 7.2 to 8.5 in the step (S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에서 투입되는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s 0.1 part by weight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mixture in the step (S30).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및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및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표면 상에 분포되어 있고,
상기 카르보닐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은, 각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전체 함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내지 3 중량% 미만이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의 함량은, 각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내지 3 중량부 미만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conjugated diene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carbonyl group; And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All or a part of the carbonyl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s are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The content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 carbonyl group is more than 0 wt% to less than 3 wt%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each monomer,
The content of the dicarboxylic acid dihydrazide is more than 0 parts by weight to less than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each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
제8항에 따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유래층을 포함하는 성형품.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latex-derived layer of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장갑, 콘돔, 카테터, 또는 건강 관리용품인 성형품.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olded article may be a glove, a condom, a catheter, or a health care article.
KR1020170174777A 2017-12-19 2017-12-19 Method for preparing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latex KR1023495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777A KR102349520B1 (en) 2017-12-19 2017-12-19 Method for preparing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late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777A KR102349520B1 (en) 2017-12-19 2017-12-19 Method for preparing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late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694A true KR20190073694A (en) 2019-06-27
KR102349520B1 KR102349520B1 (en) 2022-01-07

Family

ID=6705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777A KR102349520B1 (en) 2017-12-19 2017-12-19 Method for preparing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late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5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947A (en)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method for preparing the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copolymer latex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95A (en) * 1998-06-25 2000-01-15 황규억 Process for preparing foaming styrene polymer resin bead
KR20120100167A (en) * 2011-03-03 201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Latex resin composition for dip forming and a method for preparing dip formed articles using therof
KR20140053859A (en) 2011-03-31 2014-05-08 제온 코포레이션 Highly saturated nitrile rubber composition and crosslinked rubber
KR20150058000A (en)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Carboxylic acid modified-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the same
KR101692117B1 (en) * 2014-12-11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large paticle sized diene type rubber latex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comprising the same
JP2017137399A (en) * 2016-02-03 2017-08-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atex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95A (en) * 1998-06-25 2000-01-15 황규억 Process for preparing foaming styrene polymer resin bead
KR20120100167A (en) * 2011-03-03 201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Latex resin composition for dip forming and a method for preparing dip formed articles using therof
KR20140053859A (en) 2011-03-31 2014-05-08 제온 코포레이션 Highly saturated nitrile rubber composition and crosslinked rubber
KR20150058000A (en)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Carboxylic acid modified-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the same
KR101692117B1 (en) * 2014-12-11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large paticle sized diene type rubber latex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comprising the same
JP2017137399A (en) * 2016-02-03 2017-08-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atex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947A (en)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method for preparing the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copolymer late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520B1 (en)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383B1 (en)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method for preparing the copolymer latex,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the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composition
KR101795842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carboxylic acid modified-nitrile copolymer latex and dip-forming article produced by thereof
KR101920009B1 (en)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ompotision, method for preparing the copolymer latex compositio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the copolymer latex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by the composition
JP2010144163A (en)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 copolymer latex and latex composition for dip forming comprising the same
KR20180028606A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and the product prepared thereby
KR102601327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by the composition
KR20170060793A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and the product prepared thereby
KR101687866B1 (en) Carboxylic acid modified-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omposition and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thereof
US10669406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KR101779295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and dip-forming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2367422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by the composition
KR20190073694A (en) Method for preparing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latex
KR20180025673A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and the product prepared thereby
KR101570568B1 (en)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composition for dip molding
KR101720840B1 (en) Carboxylic acid modified-nitrile copolymer latex composition and composition for dip-forming latex comprising thereof
KR102274027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and article formed by the compositon
KR20200076262A (en)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ompotisio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the copolymer latex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by the composition
KR102600563B1 (en) Carboxylic acid modified 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the copolymer latex and article formed by the composition
KR102478106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dip art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p article using the same
CN113166497B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molded article molded from the latex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article
KR102524378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by the composition
KR20210039148A (en) Coagulant for manufacturing article form,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rticle formed using the same
KR20200136746A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dip art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p article using the same
KR20200073133A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by th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