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557A - 무선 핸드오버의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빔 식별 - Google Patents

무선 핸드오버의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빔 식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557A
KR20190073557A KR1020197016102A KR20197016102A KR20190073557A KR 20190073557 A KR20190073557 A KR 20190073557A KR 1020197016102 A KR1020197016102 A KR 1020197016102A KR 20197016102 A KR20197016102 A KR 20197016102A KR 20190073557 A KR20190073557 A KR 20190073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cell
access
wireless device
network node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550B1 (ko
Inventor
잔느 페이사
이카로 엘. 제이. 다 실바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2684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7355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9007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7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access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36/085Reselecting an access point involving beams of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핸드오버를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방법은 소스 셀과 연관된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615)를 포함한다.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 및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타겟 셀은 소스 셀과 상이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는 단계(62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빔은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타겟 셀의 식별 및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방법은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625)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핸드오버의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빔 식별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들은 무선 핸드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들, 네트워크 노드들, 무선 디바이스들,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에 관한 것이다.
5G 무선 통신을 위한 뉴 라디오(New Radio)(NR)의 설계 목표들 중 하나는 고주파수들(예를 들어, 28GHz)에서의 동작을 지원하는 것이며, 여기서 적절한 라디오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데에는 대규모 빔포밍이 필요하다. 이것은 핸드오버(handover)(HO)와 같은 이동성 절차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시스템 기능들에 영향을 미친다. 레거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예를 들어, 4G 무선 통신)에 사용된 HO 절차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레거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는 이벤트 기반 리포트 트리거링 기준으로 구성된다. 일단 트리거링 기준이 충족되었으면, UE는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를 통해 소스 eNB(UE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 eNB)에 측정 리포트를 전송한다.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은 핑-퐁뿐만 아니라 핸드오버 장애들 모두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트라-주파수 이동성의 경우, 이것은 통상적으로 이웃 셀이 서빙 셀보다 몇 dB 더 양호한 것이 발견될 때 리포트가 트리거링되도록 A3 측정 이벤트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나쁜 라디오 조건들에서의 측정 에러들 및 필요한 필터링으로 인해, 신호 강도의 실제 차이는 구성된 이벤트 임계값에 의해 예상되는 것보다 나쁠 수 있다. 그 결과, 직면한 라디오 조건들에서 많은 측정 리포트들 및 후속하는 이동성 관련 RRC 시그널링이 교환되고, 따라서 에러가 발생하기 쉽다.
이동성을 위해 LTE에서 설계된 메커니즘들은 빔 기반 시스템들에서의 이동성을 위한 충분한 메커니즘들을 제공하지 않는다. 특히, NR과 같은 빔-기반 시스템, 특히 고주파 대역들에서는, UE로의 서빙 라디오 링크가 종래의 LTE 배치들에서보다 훨씬 빠르게 손상될 수 있다. UE가 현재의 서빙 빔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함에 따라, HO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서빙 노드를 통해 RRC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빔 기반 시스템들을 지원하는 핸드오버와 같은 이동성 메커니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핸드오버를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소스 셀과 연관된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identification) 및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타겟 셀은 소스 셀과 상이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한다. 액세스 정보는 빔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타겟 셀의 식별 및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겟 셀은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상이한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RACH) 정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타겟 셀은 적어도 2개의 빔을 갖고,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타겟 셀과 연관된 허용된 빔들의 지시를 포함한다. 허용된 빔들은 타겟 셀의 빔들 전부보다 적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타겟 셀의 허용된 빔들 각각에 매핑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허용된 빔들에 대한 공통 랜덤 액세스 구성 정보 및 전용 랜덤 액세스 자원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타겟 셀과 연관된 시스템 정보를 먼저 판독하지 않고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는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소스 네트워크 노드는 소스 셀과 연관된다.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 및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타겟 셀은 소스 셀과 상이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타겟 셀의 식별 및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세싱 회로 및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원을 추가로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노드 중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노드 중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될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준비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핸드오버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식별 및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 및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는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명령어들이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는 소스 셀과 연관된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 및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타겟 셀은 소스 셀과 상이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타겟 셀의 식별 및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무선 디바이스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는 소스 셀과 연관된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유닛을 포함한다.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 및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타겟 셀은 소스 셀과 상이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타겟 셀의 식별 및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식별 유닛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이웃 셀들에서의 타겟 빔들과 관련된 핸드오버 커맨드의 컨텐츠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타겟 셀에서 빔의 선택을 허용하기 위해 동기화 및 랜덤 액세스 절차의 확장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은 핸드오버 커맨드를 조건과 연관시키는 능력을 추가로 제공한다(예를 들어, RRCConnectionReconfiguration과 mobilityControlInfo). UE는 충족될 조건을 결정하자 마자, 핸드오버 커맨드에 따라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기술분야에서의 그들의 일반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참조들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를 참조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특징은, 적절한 경우,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이점은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첨부된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개시내용,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1은 레거시 LTE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활성 모드 이동성에 대한 시그널링도를 예시한다.
도 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핸드오버의 시그널링도를 예시한다.
도 5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다운링크 수신 신호 측정들에 기초한 조건부 핸드오버 실행의 시그널링도를 예시한다.
도 6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7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 유닛들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이하, 청구범위에 의해 고려되는 실시예들 중 일부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제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도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고, 청구범위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유사한 번호들은 설명 전반에 걸쳐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이 임의의 적절한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은 도 2에 예시된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 및 다른 타입들의 서비스들을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210)의 액세스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 노드들(220 및 220a)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디바이스들 간,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유선 전화와 같은 다른 통신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지원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추가적인 엘리먼트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50)는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백본 네트워크, IP 네트워크, 공중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광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대도시 지역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임의의 타입의 통신, 전기 통신, 데이터, 셀룰러 및/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또는 다른 타입의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특정 표준들 또는 다른 타입들의 사전 정의된 규칙들 또는 절차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특정 실시예들은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SM),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UMT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및/또는 다른 적절한 2G, 3G, 4G 또는 5G 표준들; IEEE 802.11 표준들과 같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표준들; 및/또는 월드와이드 인터오퍼러빌리티 포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지그비(ZigBee) 표준들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무선 통신 표준과 같은 통신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220) 및 무선 디바이스(WD)(210)의 보다 상세한 도면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간략화를 위해, 도 2는 네트워크(250), 네트워크 노드들(220 및 220a) 및 WD(210)만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노드(220)의 상세한 도면은 인터페이스(221), 안테나(221a)(집합적으로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음), 프로세서(222) 및 스토리지(223)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WD(210)의 상세한 도면은 인터페이스(211) 및 안테나(211a)(집합적으로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음), 프로세서(212) 및 스토리지(213)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연결들을 제공하는 것 및/또는 빔 기반 네트워크에서 무선 연결들의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는 것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 네트워크 노드들, 기지국들, 제어기들, 무선 디바이스들, 중계국들, 및/또는 유선 연결을 통하든 무선 연결을 통하든 간에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이에 참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하거나 제공하는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했던 무선 디바이스에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비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하도록 배치된 및/또는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장비를 지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들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들, 특히 라디오 액세스 포인트들, 및 라디오 기지국들과 같은 기지국(base station)(BS)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라디오 기지국들의 특정 예들은 노드 B들 및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eNB)들을 포함한다. 기지국들은 그들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양(또는, 다르게 말하자면, 그들의 송신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고, 이후 펨토 기지국들, 피코 기지국들, 마이크로 기지국들 또는 매크로 기지국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집중식 디지털 유닛들, 및/또는 때때로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RRH)로도 지칭되는 원격 라디오 유닛(remote radio unit)(RRU)과 같은 분산형 라디오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또는 전체) 부분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라디오 유닛들은 안테나 일체형 라디오로서 안테나와 통합될 수도 있고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분산형 라디오 기지국들의 일부들은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DAS)에서 노드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특정 비제한적인 예로서, 기지국은 중계 노드 또는 중계 노드를 제어하는 중계 도너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추가적인 예들은 멀티-표준 라디오(multi-standard radio)(MSR) 라디오 장비(MSR BS들 등),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들 또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들과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들,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BTS)들, 송신 포인트들, 송신 노드들,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MCE)들,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MSC들, MME들), O&M 노드들, OSS 노드들, SON 노드들, 위치결정 노드들(예를 들어, E-SMLC들), 및/또는 MDT들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네트워크 노드(220)의 컴포넌트들은 단일의 더 큰 박스 내에 위치한 단일 박스들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실제로, 네트워크 노드는 단일 예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21)는 유선 연결을 위한 와이어들 및 무선 연결을 위한 라디오 송수신기를 위한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노드(220)는 네트워크 노드(220)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컴포넌트들이 상호 작용하는 가상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예를 들어, 프로세서(222)는 3개의 개별 인클로저에 위치하는 3개의 개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노드(220)의 특정 인스턴스에 대해 상이한 기능을 담당한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220)는 다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NodeB 컴포넌트 및 RNC 컴포넌트, BTS 컴포넌트 및 BSC 컴포넌트 등)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자신들 각각의 프로세서, 스토리지 및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20)가 다수의 분리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BTS 및 BSC 컴포넌트)을 포함하는 특정 시나리오들에서, 개별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여러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RNC는 다수의 NodeB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유일한 NodeB 및 RNC 쌍은 개별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220)는 다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부 컴포넌트들은 복제될 수 있고(예를 들어, 상이한 RAT들에 대한 개별 스토리지(223)), 일부 컴포넌트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221a)는 RAT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중앙 처리 장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조합, 자원, 또는 하드웨어와, 단독으로 또는 스토리지(223)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220) 컴포넌트들과 함께 네트워크 노드(22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는 스토리지(223)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또는 이점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WD(21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무선 특징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223)는 영구 스토리지, 고상 메모리, 원격 장착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이동식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로컬 또는 원격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형태의 비일시적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223)는 네트워크 노드(220)에 의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인코딩된 로직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명령어들,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223)는 프로세서(222)에 의해 이루어진 임의의 계산들 및/또는 인터페이스(221)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20)는 또한 네트워크 노드(220), 네트워크(250) 및/또는 WD(210) 간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221)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21)는 네트워크 노드(220)가 유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25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데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포맷팅, 코딩 또는 번역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21)는 또한 안테나(221a) 또는 그 일부에 커플링될 수 있는 라디오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는 무선 연결들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WD들로 전송될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는 디지털 데이터를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들을 갖는 라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라디오 신호는 그 후 안테나(221a)를 통해 적절한 수신자(예를 들어, WD(210))에게 송신될 수 있다. 라디오 신호는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21a)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21a)는, 예를 들어, 1GHz와 100GHz 사이에서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지향성 안테나는 임의의 방향으로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섹터 안테나는 특정 영역 내의 디바이스들로부터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패널 안테나는 상대적으로 직선으로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가시선 안테나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WD)는 네트워크 노드들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하도록 배치된 및/또는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은 전자기 신호들, 전파들, 적외선 신호들 및/또는 대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데 적절한 다른 타입들의 신호들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직접적인 인간 상호 작용 없이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사전 결정된 스케줄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링될 때,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네트워크에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스마트폰들과 같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예들은 무선 카메라들, 무선 가능형 태블릿 컴퓨터들, 랩톱-임베디드형 장비(laptop-embedded equipment)(LEE), 랩톱-마운팅형 장비(laptop-mounted equipment)(LME), USB 동글들 및/또는 무선 고객 댁내 장비(customer-premises equipment)(CPE)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3GPP 표준을 구현함으로써 디바이스-대-디바이스(device-to-device)(D2D)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D2D 통신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의 GSM, UMTS, LTE 및/또는 5G 표준들과 같은 3GPP에 의해 공표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UE를 나타낼 수 있다. UE는 관련 디바이스를 소유 및/또는 동작시키는 인간 사용자의 의미에서의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그 대신에, UE는 인간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그 사용자에 의한 동작을 위해 의도되지만, 스마트 센서들 또는 스마트 미터들과 같이 특정 인간 사용자와 초기에 연관될 수 없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WD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기능, 단계들 및 이점들은 UE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 다른 특정 예로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시나리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들을 수행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들의 결과들을 다른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머신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머신-대-머신(machine-to-machine)(M2M)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는 3GPP 컨텍스트에서는 머신-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MTC)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무선 디바이스는 3GPP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NB-IoT) 표준을 구현하는 UE일 수 있다. 이러한 머신들 또는 디바이스들의 특정 예들은 센서들, 전력 계량기들과 같은 계량 디바이스들, 산업용 머신, 또는 예를 들어, 냉장고들, 텔레비전들, 시계들과 같은 개인용 웨어러블들 등과 같은 가정용 또는 개인용 기기들이다.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자신의 동작 상태 또는 그 동작과 연관된 다른 기능들을 모니터링 및/또는 보고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다른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의 엔드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경우, 디바이스는 무선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단말로도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D(210)는 위에서 설명된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 모바일폰, 무선 로컬 루프 폰, 스마트폰, 사용자 장비, 데스크톱 컴퓨터, PDA, 셀폰, 태블릿, 랩톱, 네트워크 노드들(220 또는 220a) 및/또는 다른 WD들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으로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전송하고 이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VoIP 전화 또는 핸드셋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220)와 마찬가지로, WD(210)의 컴포넌트들은 단일의 더 큰 박스 내에 위치한 단일 박스들로서 도시되지만, 실제로, 무선 디바이스는 단일 예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토리지(213)는 다수의 분리된 마이크로칩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마이크로칩은 총 저장 용량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부 컴포넌트들은 WD(210)로부터 원격일 수 있다(예를 들어, 스토리지(213)는 일부 로컬 스토리지 및 일부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중앙 처리 장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조합, 자원, 또는 하드웨어와, 단독으로 또는 스토리지(213)와 같은 다른 WD(210) 컴포넌트들과 함께 WD(21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또는 이점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특징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213)는 영구 스토리지, 고상 메모리, 원격 장착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이동식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로컬 또는 원격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213)는 WD(210)에 의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인코딩된 로직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명령어들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213)는 프로세서(212)에 의해 이루어진 임의의 계산들 및/또는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1)는 WD(210)와 네트워크 노드(220) 간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11)는 WD(210)가 무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22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데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포맷팅, 코딩 또는 번역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1)는 또한 안테나(211a) 또는 그 일부에 커플링될 수 있는 라디오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는 무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220)에 전송될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는 디지털 데이터를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들을 갖는 라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라디오 신호는 안테나(211a)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220)에 송신될 수 있다.
안테나(211a)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11a)는, 예를 들어, 1GHz와 100GHz 사이에서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안테나(211a)는 무선 신호가 사용되는 정도까지 인터페이스(211)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도 3은 UE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300)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이다. UE(300)는 안테나(305),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프로세싱 회로(315), 입력 인터페이스(320), 출력 인터페이스(325), 컴퓨터 판독 가능 스토리지(330) 및 전원(335)을 포함한다. 안테나(305)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에 연결된다. 특정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UE(300)는 안테나(30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안테나(305)는 대신에 UE(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 UE(300)에 연결될 수 있다.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는 다양한 필터들 및 증폭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305) 및 프로세싱 회로(315)에 연결되며, 안테나(305)와 프로세싱 회로(315) 간에 통신되는 신호들을 컨디셔닝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UE(300)는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프로세싱 회로(315)는 대신에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없이 안테나(305)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5)는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RF) 송수신기 회로,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 송수신기 회로,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는 개별 칩들 또는 칩들의 세트들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하나의 칩 또는 칩들의 세트로 결합될 수 있고, RF 송수신기 회로는 개별 칩들 또는 칩들의 세트들 상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RF 송수신기 회로 및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칩 또는 칩들의 세트들 상에 존재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는 개별 칩 또는 칩들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RF 송수신기 회로,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칩 또는 칩들의 세트 내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5)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 와이어 방식에서와 같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지 않고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해당 특정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프로세싱 회로가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들은 프로세싱 회로(315) 단독 또는 UE(3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고, 전체로서의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일반적으로 최종 사용자들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활용된다.
안테나(305),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315)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수신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5)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결정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결정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고,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상기 프로세싱의 결과로서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05),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315)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송신 또는 수신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로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의 송신 또는 수신에서 사용될 때, 집합적으로 인터페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코드, 테이블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어들과 같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의 예들은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이동식 저장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DVD)),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315) 및 스토리지(330)는 통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만,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입력 인터페이스(320) 및 출력 인터페이스(325)가 있다. 이들은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D(210)와 연관된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320)를 사용하여 출력 인터페이스(325) 상에서의 재생을 위해 WD(210)로 스트리밍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WD(210)가 소스 셀 내지 타겟 셀과 연관된 지리적 영역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 스트리밍되는 컨텐츠는 WD(210)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UE(300)는 입력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320)는 UE(300)에 대한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싱 회로(315)에 연결되어 프로세싱 회로(315)가 입력 정보를 프로세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320)는 마이크로폰, 근접 또는 기타 센서, 키들/버튼들, 터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 USB 포트 또는 기타 입력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325)는 UE(300)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싱 회로(315)에 연결되어 프로세싱 회로(315)가 UE(300)로부터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315)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 회로, USB 포트, 헤드폰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출력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입력 인터페이스(320) 및 출력 인터페이스(325)를 사용하여, UE(300)는 최종 사용자들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WD(210)는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만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335)은 무선 인터페이스(211), 프로세싱 회로(212), 스토리지(213), 입력 인터페이스(320), 출력 인터페이스(325) 및 동작하기 위해 전력에 의존하는 WD(210)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같이 WD(21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UE(300)는 전원(335)을 포함한다. 전원(335)은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335)은 전원(335)에 포함되거나 또는 전원(335) 외부에 있을 수 있는 전력 공급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300)는 전원(335)에 연결되거나 이에 통합되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의 형태로 전력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전지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른 타입들의 전원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UE(300)는 입력 회로 또는 전기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 콘센트와 같은) 외부 전력 공급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외부 전력 공급기가 전원(335)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335)은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프로세싱 회로(315)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프로세싱 회로(315)를 포함하여 UE(300)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300)는 또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들과 같이 무선 디바이스(300)에 통합된 상이한 무선 기술들에 대한 다수의 세트들의 프로세싱 회로(315),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 라디오 회로(310) 및/또는 안테나(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기술들은 무선 디바이스(300) 내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칩들 또는 칩들의 세트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에 통합될 수 있다.
UE(300)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도 3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것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솔루션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하여 UE의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도 2 및 도 3의 컴포넌트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의 무선 핸드오버의 특징들 및 이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어떻게 동작할 수 있는지를 예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이하의 설명은 도 2의 컴포넌들에 초점을 맞추지만, 도 3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노드(220)는 무선 액세스를 위한 WD(210)의 현재의 소스이기 때문에,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소스 네트워크 노드(220)는 하나 이상의 셀과 연관될 수 있다. 각각의 셀은 특정 지리적 영역과 연관되며, 이를 위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WD(210)에 의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셀은 소스 셀로서 지칭될 수 있고, WD(210)가 핸드오버될 셀은 타겟 셀로서 지칭될 수 있다. 소스 셀과 타겟 셀 모두가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소스 셀은 네트워크 노드(220)와 연관되고, 타겟 셀은 네트워크 노드(220a)와 연관된다고 가정될 수 있다. 또한, 타겟 네트워크 노드(220a)는 타겟 셀 내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데 복수의 빔들을 사용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1)는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 시그널링 및/또는 다른 정보(집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에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인터페이스(211)는 네트워크 노드(220)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 시에 WD(2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에 타겟 네트워크 노드(220a)에 의해 제공되는 빔들과 관련된 정보와 같이 타겟 셀의 식별(identification) 및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된 빔은 타겟 셀과 관련된 모든 빔들 또는 그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세트는 사전 결정된 서브세트(예를 들어, 핸드오버를 위해 예약된 특정 빔들)일 수도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조건(예를 들어, 타겟 셀과 연관됨 빔들의 현재 부하)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타겟 셀과 연관된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RACH) 정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타겟 셀의 허용된 빔들 각각에 매핑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허용된 빔들에 대한 공통 랜덤 액세스 구성 정보 및 전용 랜덤 액세스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허용된 빔들은 WD(210)가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하도록 허용되는 해당 빔들일 수 있다. 허용된 빔들은 타겟 셀과 연관된 빔들의 서브세트 또는 타겟 셀과 연관된 가용 빔들일 수 있다.
핸드오버 메시지는 소스 네트워크 노드(220)에 의해 결정되고 송신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스 네트워크 노드(220)의 인터페이스(221)는 타겟 네트워크 노드(220a)로부터 특정 정보(예를 들어, 가용 빔들, 허용된 빔들, 빔들에 대한 구성/동기화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222)는 이 정보를 WD(210)로부터의 정보와 함께 사용하여, WD(210)에 제공되는 핸드오버 메시지에 포함될 액세스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10)의 프로세싱 회로(212)는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빔만이 제공되는 경우, 이것은 식별된 빔일 수 있고, 2개 이상의 빔이 제공되는 경우, 프로세서(212)는 WD(210)에 가장 적합한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빔(들)은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타겟 셀의 식별 및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빔(들)은 타겟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빔들로 이루어진 측정들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측정들은 인터페이스(211)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모든 빔들 또는 특정한 특정 빔들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빔들은 WD(210)에 제공되거나, 사전 구성되어 스토리지(213)에 저장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WD(210)에 제공되는 메시지에서와 같이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 중 임의의 것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정된 빔들은 타겟 셀의 빔들 전부보다 적을 수도 있고, 또는 WD(210)에 의해 검출 가능한 빔들보다 적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WD(210)는 타겟 셀의 빔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측정한 후,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소스 네트워크 노드(220)에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리포트로부터의 정보는 빔들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212)가 적절한 빔을 선택하였고, 임의의 다른 핸드오버 사전-필요조건들이 충족되었으면, 무선 인터페이스(211)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인터페이스(211)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 액세스는 핸드오버 메시지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인터페이스(211)는 타겟 셀과 연관된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들 또는 RACH)를 먼저 판독할 필요 없이 타겟 셀에 액세스할 수 있다. 즉, 소스 노드(220)는 WD(210)가 타겟 노드(220a)로부터의 해당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고 타겟 셀에 액세스할 수 있을 정도로 액세스 정보에 충분한 상세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은 (도 1에 예시된) 레거시 이동성 절차를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의 시그널링도를 예시한다. 신호들의 순서는 레거시 절차와 유사하지만, 정보 및 이것이 결정 및 사용되는 방법이 상이하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차이들은 핸드오버 커맨드(430) 및 대응하는 동기화 및 랜덤 액세스 절차(440)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논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에 예시된 디바이스들은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UE(410)는 WD(210)에 대응할 수 있고, 서빙 gNB(420)는 네트워크 노드(220)에 대응할 수 있고, 타겟 gNB(420a)는 네트워크 노드(220a)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410)에 타겟 gNB(420a)의 아이덴티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HO 커맨드(430)는 타겟 gNB(420a)와 연관된 셀 아이덴티티만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아이덴티티는, 예를 들어, 이동성 기준 신호(mobility reference signal)(MRS) 구성을 통해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HO 커맨드(430)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및 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아이덴티티가 UE(410)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되어 프로세싱되면, 그 내부의 프로세서는 UE(410)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검출된 정확한 셀 아이덴티티를 갖는 임의의 빔을 선택할 수 있다. UE(410)는 그 후 시스템 정보로부터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들을 판독하고, 선택된 빔을 통한 초기 동기화 및 랜덤 액세스(440)를 위해 이들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랜덤 액세스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HO 커맨드(430)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시그널링 및 네트워크 구성을 필요로 한다는 이점을 갖지만, 동시에 랜덤 액세스를 위해 경쟁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있는 경우, 핸드오버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겟 gNB(420a)의 셀 아이덴티티에 추가하여, HO 커맨드(430)는 타겟 셀에 대한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 구성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HO 커맨드(430)에서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고, 또는 이동성 기준 신호들의 구성 등을 통해 다른 파라미터들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시나리오 및/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빔들 또는 빔 그룹들에 대한 상이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RA) 파라미터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PRACH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UE(410)의 인터페이스는 HO 커맨드(430)를 수신할 수 있고, UE(410)의 프로세서는 정확한 셀 아이덴티티와 연관된 빔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UE(410)는 선택된 빔을 통한 초기 동기화 및 랜덤 액세스(440)를 위해 HO 커맨드(430)로부터 제공된 PRACH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 이는 네트워크가 UE(410)에 대한 전용 핸드오버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지만, HO 커맨드(430)의 일부로서 일부 추가적인 구성 및 시그널링을 필요로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겟 gNB(420a)의 셀 아이덴티티 및 PRACH 구성 정보에 추가하여, HO 커맨드(430)는 타겟 gNB(420a)로부터 허용된 빔들의 리스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허용된 빔들의 리스트는 빔 ID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빔 ID들의 리스트는 타겟 gNB(420a)와 연관된 빔들 전부보다 적을 수 있다. 이 타겟 셀 정보(빔들의 리스트 포함)는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고, 또는 이동성 기준 신호들의 구성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시나리오 및/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빔들 또는 빔 그룹들에 대한 상이한 RA 파라미터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PRACH 구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HO 커맨드(430)는 UE(410)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되고, UE(410)의 프로세서는 정확한 셀 아이덴티티와 연관된 허용된 빔들의 리스트로부터 빔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UE(410)는 그 후 HO 커맨드(430)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고, 선택된 빔을 통한 초기 동기화 및 랜덤 액세스(440)를 위해 이들을 사용한다. 이는 네트워크가 UE(410)에 대한 전용 핸드오버 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UE(410)가 선택할 수 있는 가능한 빔들의 수를 제한한다는 이점을 갖지만, 또다시 추가적인 구성 및 시그널링을 필요로 한다. 추가적으로,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HO 커맨드(430)에서 제공되는 허용된 빔들의 리스트 상에 최적의 빔이 있지 않은 경우, UE(410)는 결국 최적이 아닌 빔을 사용하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겟 gNB(420a)의 셀 아이덴티티 및 PRACH 구성 정보에 추가하여, HO 커맨드(430)는 단일 허용된 빔의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타겟 셀 정보는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고, 또는 이동성 기준 신호들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UE(410)의 인터페이스는 HO 커맨드(430)를 수신할 수 있다. 단 하나의 허용된 빔이 있기 때문에, UE(410)의 프로세서는 빔의 선택을 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UE(410)의 프로세서는 HO 커맨드(430)에서 제공되는 빔 ID에 기초하여 정확한 셀 아이덴티티를 갖는 제공된 빔에 동기화된다. UE(410)는 그 후 초기 동기화 및 랜덤 액세스(440)를 위해 HO 커맨드(430)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 이는 네트워크가 UE(410)에 대한 전용 핸드오버 구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를 특정 빔에 명시적으로 할당한다는 이점을 갖지만, 추가적인 구성 및 시그널링을 필요로 하고, UE가 최적이 아닌 빔으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 아이덴티티, PRACH 구성 정보 및 허용된 빔들의 리스트에 추가하여, HO 커맨드(430)는 또한 허용된 빔들과 RA 프리앰블(또는 액세스 구성의 일부 다른 부분) 간의 매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고, 또는 MRS의 구성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UE(410)의 인터페이스는 HO 커맨드(430)를 수신할 수 있고, UE(410)의 프로세서는 허용된 빔 ID들의 리스트로부터 정확한 셀 아이덴티티를 갖는 빔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값을 선택된 빔 식별자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UE(410)는 초기 동기화 및 랜덤 액세스(440)에서 선택된 빔에 대응하는 PRACH 구성 정보 및 RA 프리앰블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가 UE(410)에 대한 전용 핸드오버 구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UE(410)가 선택할 수 있는 가능한 빔들의 수를 제한하고, 네트워크가 UE가 어느 빔을 선택했는지를 즉시 검출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을 갖지만, 또다시 추가적인 구성 및 시그널링을 필요로 하고, UE(410)가 최적이 아닌 빔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다운링크 수신 신호 측정들에 기초한 조건부 핸드오버 실행의 시그널링도를 예시한다. 레거시 시스템들과 관련된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UE가 이미 타겟 셀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소스 셀로부터의 RRC 시그널링 송신들에 대한 의존성으로 인해, 핸드오버 장애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 UE가 핸드오버를 실행해야 하는 시간(및 라디오 조건들)에서의 서빙 라디오 링크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의존성을 피하기 위해, 특정 실시예들은 RRC 시그널링(530)을 UE(510)에 더 일찍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530)은 레거시 시스템들에서 RRC 시그널링 전송을 트리거링하는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 이전에 전송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핸드오버를 조건과 연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조건이 충족될 때, UE(510)는 HO 커맨드(53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다.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수 있는 하나의 이러한 조건은 타겟 셀 또는 빔의 기준 신호가 서빙 셀 또는 빔의 기준 신호보다 "x"dB 강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면, 이전의 측정 보고 이벤트에서 사용된 임계값은 핸드오버 실행 조건에서의 것보다 낮게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서빙 셀이 조기 측정 리포트의 수신시 핸드오버를 준비하게 하고,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UE 간의 라디오 링크가 여전히 안정적일 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과 mobilityControlInfo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핸드오버의 실행은 핸드오버 실행에 대해 최적인 것으로 고려되는 나중 시점(및 임계값)에서 수행된다.
도 5는 단지 서빙 노드(520) 및 단일 타겟 노드(520a)를 갖는 예를 도시하지만, 실제로, UE(510)가 그 이전의 RRM 측정들에 기초하여 가능한 후보들로서 보고했을 수 있는 많은 노드들로부터의 많은 셀들 또는 빔들이 종종 있을 수 있다. 그 후, RAN은 몇몇 후보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한 조건부 핸드오버 지시들을 발행할 자유를 가질 수 있다. 해당 후보들 각각에 대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O 실행 조건(측정할 RS와 초과되는 임계값)의 측면뿐만 아니라, 조건이 충족될 때 전송되는 RA 프리앰블(업링크 서명 신호(Uplink Signature Signal)로 표시됨)의 측면에서, 이것은 예를 들어, UE가 상이한 RA 프리앰블들에 의해 후보 타겟 빔들 중 어느 것을 선택하였는지(예를 들어, 어떤 빔이 HO 실행 조건을 충족하였는지)를 지시하는 경우, HO 성공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기 HO 커맨드에 대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은, 예를 들어, 서빙 노드뿐만 아니라 이웃 노드들 모두가 수신하려고 시도하는 (RA 프리앰블들과 유사한) UL 기준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관찰된 업링크 신호들에 기초하여 가장 적절한 셀을 결정할 수 있고,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발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UE는 사전 컨디셔닝된 HO 커맨드를 실행한다. 매우 짧은 HO 인터럽션을 갖는 URLLC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UE는 소스 노드와의 데이터 교환을 유지하면서 타겟 노드와의 데이터 교환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전의 연구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는 UE 내의 추가적인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을 요구할 수 있고, 따라서 모든 UE들에 의해서는 지원될 수 없다.
도 6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방법은 단계(600)에서 시작한다. 각각의 단계는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의 단계를 수행하는 디바이스의 지시를 포함할 것이다. 지시된 디바이스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특정 디바이스가 지시된 단계를 수행할 필요는 없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디바이스들이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서 언급된 디바이스들은 무선 디바이스, 소스 네트워크 노드 및 타겟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소스 네트워크 노드는 방법의 시작시 무선 디바이스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이다. 이 서비스는 소스 셀에서 제공된다. 타겟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가 핸드오버될 네트워크 노드이다. 타겟 네트워크 노드는 타겟 셀에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소스 셀 및 타겟 셀은 동일한 물리적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SR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소스 네트워크 노드는 타겟 셀에 대한 관련 액세스 정보를 결정한다. 타겟 셀은 소스 셀과 상이하며,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한다. 액세스 정보는 타겟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특정 UE에 특정적일 수도 있고, 또는 임의의 UE에 적용 가능하도록 포괄적일 수도 있다(또는 UE 특정 액세스 정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정보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허용된 빔들의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타겟 셀의 허용된 빔들 각각에 매핑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허용된 빔들에 대한 공통 랜덤 액세스 구성 정보 및 전용 랜덤 액세스 자원들을 포함한다.
단계(610)에서, 소스 네트워크 노드는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핸드오버 메시지는 또한 타겟 셀과 연관된 빔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빔 관련 정보는 타겟 셀의 사용 가능한 빔들 전부보다 적은 수의 것과 관련될 수 있다.
단계(615)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핸드오버 메시지는 트리거링 이벤트(예를 들어, 소스 신호 품질이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거나, 타겟 신호 품질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등)에 응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 타이밍은 핸드오버 메시지가 전송될 때의 측면에서 레거시 타이밍과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핸드오버 메시지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수신될 수 있다. 이것은 소스 네트워크 노드가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무선 디바이스 간의 신호 품질이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기를 대기하는 것과 비교하여) 더 양호한 때에 타겟 셀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단계(62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핸드오버 메시지의 정보(예를 들어, 타겟 셀의 식별 및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타겟 셀과 연관된 가용/허용된 빔들의 하나 이상의 품질 특성에 기초하여 빔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는, 단지 하나의 빔만이 제공되었을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는 단순히 제공된 빔을 선택한다.
단계(625)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한다. 타겟 셀은 단계(615)에서 수신된 핸드오버 메시지에서 수신된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타겟 셀은 무선 디바이스가 타겟 셀과 연관된 시스템 정보를 먼저 판독할 필요 없이 액세스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단계들은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다. 모든 실시예들이 상기 모든 단계들을 포함할 필요도 없고, 단계들이 도 6에 도시된 정확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도 없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들은 도 6에 예시되지 않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타겟 노드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과 연관된 신호 품질의 지시를 소스 네트워크 노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 유닛들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특히, 특정 무선 디바이스(710) 및 네트워크 노드(720)의 기능 유닛들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더 많은, 더 적은 또는 상이한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도시된 유닛은 다수의 유사한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유닛(722)은 상이한 결정들을 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결정 유닛들을 나타낼 수 있다. 유닛들은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램들, 서브-루틴들, 라이브러리들, 소스 코드, 또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도 7에서, 무선 디바이스(710)는 수신기 유닛(712), 식별 유닛(714) 및 액세스 유닛(716)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노드(720)는 결정 유닛(722), 준비 유닛(724), 송신 유닛(726) 및 수신 유닛(728)을 포함한다.
WD(710)의 컴포넌트들에서 시작하자면, 수신기 유닛(712)은 소스 셀과 연관된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 및 타겟 셀과 관련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3개 이상의 잠재적인 타겟 셀이 있을 수 있다. 타겟 셀은 소스 셀과 상이하며,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겟 셀은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다른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정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타겟 셀은 적어도 2개의 빔을 갖고, 액세스 정보는 타겟 셀과 연관된 허용된 빔들의 지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허용된 빔들은 타겟 셀의 빔들 전부보다 적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타겟 셀의 허용된 빔들 각각에 매핑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정보는 허용된 빔들에 대한 공통 랜덤 액세스 구성 정보 및 전용 랜덤 액세스 자원들을 포함한다.
식별 유닛(714)은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타겟 셀의 식별 및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유닛(716)은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유닛(716)은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유닛(716)은 타겟 셀과 연관된 시스템 정보를 먼저 판독하지 않고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제 네트워크 노드(720)를 보자면, 결정 유닛(722)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정보는 타겟 셀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겟 셀로부터의 정보는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720)에 의해 저장된 정보와 결합될 수 있다.
준비 유닛(724)은 무선 디바이스(71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될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준비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유닛(726)은 액세스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유닛(728)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액세스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720)에 의해 만들어진 액세스 정보에 수정을 하든 수정을 하지 않든 간에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된다(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타겟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정보를 단순히 포워딩할 수도 있고, 또는 타겟 셀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임의의 적절한 단계들, 방법들 또는 기능들은, 예를 들어, 위의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예시된 컴포넌트들 및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223)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222)(및 인터페이스(221) 및 스토리지(223)와 같은 임의의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엔티티들 및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특정 양태들이 몇 개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위에서 개시된 것들 이외의 실시예들도 동일하게 가능하고, 본 발명의 개념의 범주 내에 있다. 유사하게, 다수의 상이한 조합들이 논의되었지만, 모든 가능한 조합들이 개시된 것은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개념의 범주 내에 다른 조합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른 표준들 및 통신 시스템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며, 다른 특징들과 관련하여 개시된 특정 도면으로부터의 임의의 특징은 임의의 다른 도면에 적용될 수도 있고, 및/또는 상이한 특징들과 결합될 수도 있다.

Claims (33)

  1. 핸드오버를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소스 셀과 연관된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615) - 상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identification) 및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셀은 상기 소스 셀과 상이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정보는 빔 관련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상기 타겟 셀의 식별 및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는 단계(620);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625)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은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상이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RACH)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은 적어도 2개의 빔을 갖고,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허용된 빔들의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허용된 빔들은 상기 타겟 셀의 빔들 전부보다 적은 수의 빔들을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상기 허용된 빔들 각각에 매핑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허용된 빔들에 대한 공통 랜덤 액세스 구성 정보 및 전용 랜덤 액세스 자원들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625)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625)는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시스템 정보를 먼저 판독하지 않고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로서,
    소스 셀과 연관된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인터페이스(211, 310) - 상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 및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셀은 상기 소스 셀과 상이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함 -;
    상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상기 타겟 셀의 식별 및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회로(212, 315);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320, 325);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싱 회로 및 상기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원(335)
    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211, 310)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은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은 적어도 2개의 빔을 갖고,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허용된 빔들의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허용된 빔들은 상기 타겟 셀의 빔들 전부보다 적은 수의 빔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상기 허용된 빔들 각각에 매핑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허용된 빔들에 대한 공통 랜덤 액세스 구성 정보 및 전용 랜덤 액세스 자원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211, 310)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211, 310)는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시스템 정보를 먼저 판독하지 않고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7.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노드(220, 220a);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노드 중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21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2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노드 중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상기 액세스 정보를 준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210)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핸드오버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식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상기 액세스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 및 선택하고,
    상기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프로세서(212)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3)를 포함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210)로서 -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함 -,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소스 셀과 연관된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고(430) - 상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 및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셀은 상기 소스 셀과 상이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함 -,
    상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상기 타겟 셀의 식별 및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440)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은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은 적어도 2개의 빔을 갖고,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허용된 빔들의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허용된 빔들은 상기 타겟 셀의 빔들 전부보다 적은 수의 빔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상기 허용된 빔들 각각에 매핑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허용된 빔들에 대한 공통 랜덤 액세스 구성 정보 및 전용 랜덤 액세스 자원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시스템 정보를 먼저 판독하지 않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6.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로서,
    소스 셀과 연관된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유닛(712) - 상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셀의 식별 및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셀은 상기 소스 셀과 상이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함 -;
    상기 제1 핸드오버 메시지로부터의 상기 타겟 셀의 식별 및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셀의 하나 이상의 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식별 유닛(714);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유닛(716)
    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은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은 적어도 2개의 빔을 갖고,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허용된 빔들의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허용된 빔들은 상기 타겟 셀의 빔들 전부보다 적은 수의 빔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상기 허용된 빔들 각각에 매핑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허용된 빔들에 대한 공통 랜덤 액세스 구성 정보 및 전용 랜덤 액세스 자원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32. 제26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유닛(716)은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33. 제2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유닛(716)은 상기 타겟 셀과 연관된 시스템 정보를 먼저 판독하지 않고 상기 타겟 셀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KR1020197016102A 2016-11-04 2017-11-03 무선 핸드오버의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빔 식별 KR102223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7714P 2016-11-04 2016-11-04
US62/417,714 2016-11-04
PCT/IB2017/056880 WO2018083649A1 (en) 2016-11-04 2017-11-03 Identifying a beam for accessing a target cell of a wireless hand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557A true KR20190073557A (ko) 2019-06-26
KR102223550B1 KR102223550B1 (ko) 2021-03-08

Family

ID=6026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102A KR102223550B1 (ko) 2016-11-04 2017-11-03 무선 핸드오버의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빔 식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10484915B2 (ko)
EP (2) EP3739954B1 (ko)
JP (2) JP6872013B2 (ko)
KR (1) KR102223550B1 (ko)
CN (1) CN110115064B (ko)
AR (1) AR110116A1 (ko)
BR (1) BR112019008951A2 (ko)
CO (1) CO2019004594A2 (ko)
DK (1) DK3536025T3 (ko)
ES (2) ES2959852T3 (ko)
HU (1) HUE052465T2 (ko)
PL (1) PL3739954T3 (ko)
PT (1) PT3536025T (ko)
WO (1) WO2018083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2093B (zh) * 2017-06-16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09792660B (zh) 2017-09-27 2020-08-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指示方法及装置、网络设备、终端设备
US10602418B2 (en) * 2018-06-11 2020-03-24 Google Llc Handover of a wireless connection based on uplink and downlink signal qualities
US11991571B2 (en) 2018-09-20 2024-05-21 Apple Inc. Conditional handover in wireless networks
CN111132247B (zh) * 2018-11-01 2024-05-28 夏普株式会社 切换控制方法以及通信装置
CN111200847A (zh) * 2018-11-16 2020-05-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WO2020118480A1 (en) 2018-12-10 2020-06-18 Qualcomm Incorporated Cell and beam selection for conditional handover procedure
JP7240502B2 (ja) * 2018-12-18 2023-03-1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条件付きモビリティ選択
EP4072036A1 (en) * 2018-12-21 2022-10-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 and machine-readable mediums related to wireless access in communication networks
US20220078686A1 (en) * 2019-01-17 2022-03-1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to avoid user equipment triggering a measurement report after exit of conditional handover
EP3918838A1 (en) * 2019-01-30 2021-1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ditional mobility triggering based on beam information
WO2020188829A1 (ja) * 2019-03-20 2020-09-2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KR20220019774A (ko) * 2019-06-17 2022-02-17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랜덤 액세스 지시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JP7470719B2 (ja) 2019-06-24 2024-04-1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無線通信に関連した方法、装置、および機械可読媒体
CN112235837B (zh) * 2019-07-15 202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以及通信装置
CN111083751A (zh) * 2019-08-16 2020-04-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116671171A (zh) * 2020-12-23 2023-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的方法及装置
WO2024101933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827A (ko) * 2011-09-29 201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핸드오버 지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120250A (ko) * 2015-04-07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2070365T (lt) * 2006-09-27 2017-02-10 Nokia Technologies Oy Aparatas, būdas ir kompiuterinės programos produktas, leidžiantis nesinchronizuotą laisvosios kreipties perdavimą
KR101642517B1 (ko) * 2009-03-13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중에 상향 링크 동기 타이머를 조작하는 방법
CN101883406B (zh) * 2009-05-07 2015-04-08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切换方法、移动终端及基站
CN103118404B (zh) * 2009-07-23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语音呼叫回退到电路交换域的方法、装置及系统
US9402255B2 (en) * 2010-09-30 2016-07-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for multiple uplink component carriers
US9344985B2 (en) * 2011-03-08 2016-05-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opagation delay difference reporting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s
WO2013055071A2 (ko) * 2011-10-09 201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271169B2 (en) * 2012-02-23 2016-02-23 Ace Incorporated Method of reporting link failure
CN106332198B (zh) * 2012-05-18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转发的方法、设备及通讯系统
US9882950B2 (en) * 2012-06-13 2018-01-30 All Purpose Networks LLC Methods and systems of an all purpose broadband network
US9084143B2 (en) * 2012-06-13 2015-07-14 All Purpose Networks LLC Network migration queuing service in a wireless network
WO2014022970A1 (zh) * 2012-08-07 2014-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处理方法及基站
CN104584633B (zh) * 2012-08-23 2018-12-1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在无线系统中采用多个调度器进行操作
EP2891362A1 (en) 2012-08-28 2015-07-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handover of a communication link using a primary beam
JP2015537475A (ja) 2012-11-15 2015-12-2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的共有スペクトルに配備される無線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チャネル明け渡し手順
CN104919735B (zh) * 2013-01-16 2018-07-2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指示的方法和设备
US9763151B2 (en) * 2013-07-04 2017-09-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trol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connection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connections
EP2833669B1 (en) * 2013-07-31 2022-06-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Handoff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95503A (ko) * 2014-02-13 2015-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171561B1 (ko) * 2014-04-07 2020-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2201599B1 (ko) * 2014-07-01 202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KR102206789B1 (ko) * 2014-09-15 2021-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1810633B1 (ko) * 2014-12-19 2017-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운용 방법 및 장치
US10236951B2 (en) * 2015-04-10 2019-03-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564318B1 (ko) * 2015-08-21 202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연결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70230869A1 (en) * 2016-02-10 2017-08-10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for uplink and downlink based mobility
US10278160B2 (en) 2016-02-26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beam-formed system
WO2017171952A1 (en) * 2016-04-01 2017-10-05 Intel IP Corporation Dual beam operation for mobility
WO2017185231A1 (en) * 2016-04-26 2017-11-02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signaling of xprach
US10367677B2 (en) *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630410B2 (en) * 2016-05-13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7666342B (zh) * 2016-07-28 2021-01-1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在无线通信系统中操作用户设备波束成形的方法和设备
JP2018019403A (ja) * 2016-07-28 2018-02-01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のmsg3送信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1722960B2 (en) * 2016-08-10 2023-08-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 power saving in wireless networks
JP6980758B2 (ja) * 2016-08-12 2021-12-1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二つのレベルのモビリティリファレンス信号設定
US10432387B2 (en) * 2016-09-26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ime division duplexing
WO2018062845A1 (ko) * 2016-09-27 2018-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172071B2 (en) 2016-10-21 2019-01-01 Qualcomm Incorporated Directional synchronization in assisted millimeter wave systems
US10757754B2 (en) * 2016-10-27 2020-08-2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ecuring PDCP control PDU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827A (ko) * 2011-09-29 201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핸드오버 지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120250A (ko) * 2015-04-07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6466B2 (en) 2023-12-26
US20220038967A1 (en) 2022-02-03
CN110115064B (zh) 2021-12-07
US20200068458A1 (en) 2020-02-27
BR112019008951A2 (pt) 2019-07-09
ES2959852T3 (es) 2024-02-28
JP6872013B2 (ja) 2021-05-19
EP3536025A1 (en) 2019-09-11
PT3536025T (pt) 2020-09-22
PL3739954T3 (pl) 2024-03-11
JP2021119681A (ja) 2021-08-12
EP3536025B1 (en) 2020-08-19
CO2019004594A2 (es) 2019-07-31
JP2020502883A (ja) 2020-01-23
AR110116A1 (es) 2019-02-27
ES2817542T3 (es) 2021-04-07
KR102223550B1 (ko) 2021-03-08
US20240129815A1 (en) 2024-04-18
DK3536025T3 (da) 2020-09-07
EP3739954C0 (en) 2023-09-27
JP7189261B2 (ja) 2022-12-13
US20190110234A1 (en) 2019-04-11
WO2018083649A1 (en) 2018-05-11
CN110115064A (zh) 2019-08-09
US10484915B2 (en) 2019-11-19
US11178587B2 (en) 2021-11-16
EP3739954B1 (en) 2023-09-27
EP3739954A1 (en) 2020-11-18
HUE052465T2 (hu)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6466B2 (en) Wireless handover
KR102202995B1 (ko) 사이드링크 동작을 위한 자원 감지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7190539B2 (ja) アクティブモードモビリティ測定のための測定設定
US11895520B2 (en) SFTD and ANR specific reporting
US11223983B2 (en) Automatic neighbour relation (ANR) based on detection and reporting of unknown cell based on measurement triggering criterion
CN110089047B (zh) 无线电网络节点、无线设备及其中执行的用于通信的方法
EP3607668B1 (en) Cell quality derivation based on filtered beam measurements
EP3536068B1 (en) Network node and method for enabling matching paging occasions for a lightly connected wireless device
US11218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asurement gap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10720180B (zh) 波束级测量滤波的管理
WO2015020641A1 (en) Distributed small-cell search
US11432210B2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mobility support for enhanced coverage of wireless devices
US10320639B2 (en) Method of controlling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with a network and correspond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104587B2 (en) First network node, a second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handover
WO2018060903A1 (en) Enhanced index based system information distribution
US11251830B2 (en) Measurements for frequency hopp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