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507A -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관리 유닛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관리 유닛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507A
KR20190073507A KR1020197015324A KR20197015324A KR20190073507A KR 20190073507 A KR20190073507 A KR 20190073507A KR 1020197015324 A KR1020197015324 A KR 1020197015324A KR 20197015324 A KR20197015324 A KR 20197015324A KR 20190073507 A KR20190073507 A KR 20190073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net
network slice
management unit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993B1 (ko
Inventor
루이웨 쉬
란 쩌우
옌 저우
옌 리
쥔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7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45Making service definitions prior to deplo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관리 유닛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방법은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고,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네트의 대응하는 요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관리 유닛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관리 유닛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요건들의 계속적인 성장으로, 전기통신 운영자는, 인프라구조를 공유하고, 특정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고, 파트너의 강력하고 풍부한 소프트웨어 능력들을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에 통합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상이한 고객들과 협력하기 위한 더 많은 기술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상이한 사용자들 및 상이한 산업들의 특수한 네트워크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기술적 수단이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운반되는 서비스가 서비스 레벨 동의(Service Level Agreement, 단축하여 SLA)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통신 자원들이다. 이러한 자원들은 상이한 요건들에 기초하여 서로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특정 서비스 또는 일부 서비스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기능들 및 자원들의 조합이고 완전한 로직 네트워크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이한 테넌트(tenant)들은 전기통신 운영자의 네트워크를 렌트(rent)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서비스들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회사는 전기통신 운영자의 네트워크를 렌트함으로써 자신의 검침 서비스를 배치할 수 있고, 전기통신 운영자는 자기 자신의 네트워크를, 상이한 테넌트들이 사용할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로 분리한다.
현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동안,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설계자는 서비스 요청을 충족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수동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수동으로 배치하는 이러한 방식은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 기술의 낮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관리 유닛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고,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도록 제1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서브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네트를 포함한다. 서브네트는 대안적으로 서브네트 슬라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는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서브네트 요건을 결정할 수 있고, 서브네트 요건은 복수의 서브네트들의 요건일 수 있다. 제1 관리 유닛은 대응하는 서브네트의 관리 유닛에 서브네트 요건을 전송하고, 대응하는 서브네트의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을 크게 개선한다.
방법은 제1 관리 유닛의 시점에서 설명된다. 제1 관리 유닛은 단-대-단 관리자 및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 유닛과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기능을 갖는 엔티티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추가로 할당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식별자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 후, 제1 유닛은 제2 관리 유닛에 제2 관리 요청을 추가로 전송하고, 여기서 제2 관리 요청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운반한다. 제2 관리 요청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네트를 관리하도록 제2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관리 유닛이 할당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가지면,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또한 제2 관리 요청에서 운반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관리 유닛으로부터 제2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에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에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추가로 연관시킬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관리 유닛이 제1 관리 유닛으로부터 제2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 인스턴스가 기존 네트워크에 이미 존재하면, 제2 관리 유닛은, 기존 네트워크로부터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 인스턴스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에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추가로 연관시킬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 인스턴스가 기존 네트워크에 이미 존재하면, 제1 관리 유닛은, 기존 네트워크로부터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 인스턴스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킬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수신된 제1 관리 요청이 표시 정보를 운반하면, 제1 관리 유닛은 먼저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를 획득하고, 그 다음,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템플릿 등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는 경우, 제1 관리 유닛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유닛으로부터 제2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제2 관리 요청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운반하고, 제2 관리 요청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네트를 관리하도록 제2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선택, 생성, 구성 또는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는 서브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1 관리 유닛으로부터 서브네트 요건을 수신한 후, 제2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서브네트 요건에 기초하여 서브네트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을 크게 개선한다.
방법은 제2 관리 유닛의 시점에서 설명된다. 예를 들어, 제2 관리 유닛은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오케스트레이터 및 관리자 유닛, 액세스 도메인 오케스트레이터 및 관리자 유닛, 또는 송신 도메인 오케스트레이터 및 관리자 유닛과 같은 엔티티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관리 유닛으로부터 제2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에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에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추가로 연관시킬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관리 유닛이 제1 관리 유닛으로부터 제2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 인스턴스가 기존 네트워크에 이미 존재하면, 제2 관리 유닛은, 기존 네트워크로부터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 인스턴스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에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추가로 연관시킬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 후, 제2 관리 유닛은 제3 관리 유닛에 제3 관리 요청을 전송하고, 여기서 제3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운반하고, 제3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관리 요청은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할당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추가로 운반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네트를 포함한다. 대응하여, 제2 관리 유닛이 제1 관리 유닛으로부터 제2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제2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서브네트 식별자라고 추가로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서브네트 식별자는 서브네트의 식별자이거나; 또는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 식별자를 서브네트에 추가로 할당하고, 서브네트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킬 수 있고, 여기서 서브네트 식별자는 서브네트의 식별자 또는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가 기존 네트워크에 존재하면,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 후, 제2 관리 유닛은 기존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관리 유닛이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는 경우,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네트 디스크립터를 결정하고, 그 다음, 서브네트 디스크립터에 기초하여,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관리 유닛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3 관리 유닛에 의해,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제3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제3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운반하고, 제3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및 그 다음, 제3 관리 유닛에 의해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선택, 배치, 구성 또는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에서,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전송되고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운반하는 제3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제3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자원 요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선택, 배치, 구성 또는 활성화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을 크게 개선한다.
방법은 제3 관리 유닛의 시점에서 설명된다. 예를 들어, 제3 관리 유닛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기능 제어기 유닛,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기능 제어기 유닛 또는 송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관리자 및 제어기 유닛과 같은 엔티티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가 네트워크 자원의 인스턴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선택, 배치, 구성 또는 활성화할 때, 제3 관리 유닛은 먼저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고, 그 다음,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선택, 배치, 구성 또는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들에서, 서브네트를 관리하는 것은 서브네트를 생성, 선택, 구성 또는 활성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타입,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배치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키 성능 표시자 KPI,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네트워크 특성,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사용자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서브네트의 타입, 서브네트의 SLA 정보, 서브네트의 배치 정보, 서브네트의 KPI 또는 서브네트의 기능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는 네트워크 자원의 타입, 네트워크 자원의 디스크립터 정보, 네트워크 자원의 인스턴스 정보, 네트워크 자원의 KPI, 또는 네트워크 자원의 기능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는 네트워크 기능, 네트워크 엘리먼트,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송신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네트 식별자", "서브네트의 식별자" 및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 모두는 서브네트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3개의 용어들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관리 유닛이 제공되고, 여기서 제1 관리 유닛은 전술한 방법 예들에서 제1 관리 유닛의 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들을 갖는다. 기능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관리 유닛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1 관리 유닛이 전술한 방법들에서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제1 관리 유닛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1 관리 유닛과 제2 관리 유닛 사이의 통신 또는 제1 관리 유닛과 다른 유닛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제1 관리 유닛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고 제1 관리 유닛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제2 관리 유닛이 제공되고, 여기서 제2 관리 유닛은 전술한 방법 예들에서 제2 관리 유닛의 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들을 갖는다. 기능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관리 유닛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2 관리 유닛이 전술한 방법들에서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제2 관리 유닛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 사이의 통신, 또는 제2 관리 유닛과 제3 관리 유닛 사이의 통신, 또는 제2 관리 유닛과 다른 유닛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제2 관리 유닛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고 제2 관리 유닛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제3 관리 유닛이 제공되고, 여기서 제3 관리 유닛은 전술한 방법 예들에서 제3 관리 유닛의 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들을 갖는다. 기능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3 관리 유닛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3 관리 유닛이 전술한 방법들에서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제3 관리 유닛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3 관리 유닛과 제2 관리 유닛 사이의 통신 또는 제3 관리 유닛과 다른 유닛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제3 관리 유닛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고 제3 관리 유닛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7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들에 따른 제1 관리 유닛을 포함하거나; 또는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들에 따른 제1 관리 유닛 및 제2 관리 유닛을 포함하거나; 또는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들에 따른 제1 관리 유닛, 제2 관리 유닛 및 제3 관리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전술한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전술한 양태들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9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전술한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전술한 양태들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10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전술한 제3 관리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전술한 양태들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솔루션들에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는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음은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첨부된 도면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명백하게, 하기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작적 노력들 없이 이러한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시스템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의 개략적 통신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의 개략적 통신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관리 유닛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1 관리 유닛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관리 유닛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2 관리 유닛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관리 유닛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3 관리 유닛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들, 기술적 솔루션들 및 이점들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서비스 시나리오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더 명확히 설명하도록 의도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솔루션들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진화 및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들의 등장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된 기술적 솔루션들이 또한 유사한 기술적 문제들에 적용가능함을 학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및/또는"은 단지 연관된 물체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를 설명하며, 3개의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을 표현함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하기 3가지 경우들, 즉, 오직 A만 존재, A 및 B 둘 모두가 존재, 및 오직 B만 존재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물체들 사이에서 "또는" 관계를 표시한다.
다음은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능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의 시스템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에 대응하는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하는 동작 지원 시스템 및 특정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1) 동작 지원 시스템(Operations Support System, 단축하여 OSS)
(2) 단-대-단 오케스트레이터(E2E Orchestrator, 단축하여 E2E-O) 유닛: E2E-O 유닛은 대안적으로 단-대-단 관리자 유닛 또는 단-대-단 오케스트레이터 및 관리자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고, 하기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단-대-단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라이프사이클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 템플릿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 오류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 성능 관리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관리); 단-대-단 서비스 관리(예를 들어,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템플릿 관리, 서비스 오류 관리, 서비스 성능 관리 및 서비스 구성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단-대-단 매핑, 서브네트 슬라이스들 및 네트워크 기능들; 상이한 서브도메인들(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및 송신 도메인)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자원들의 조정; 및 상이한 서브도메인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브네트 슬라이스들 또는 네트워크 기능들이 타겟 서비스의 요건(예를 들어, SLA 요건, 키 성능 표시자(Key Performance Indicator, 단축하여 KPI) 요건, 또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단축하여 QoS)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상이한 서브도메인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브네트 슬라이스들 및 네트워크 기능들의 단일화된 오케스트레이션.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하기 설명에서 E2E-O 유닛은 대안적으로 E2E-O로 표현될 수 있다.
E2E-O는 단-대-단 서비스 오케스트레이터(E2E Service Orchestrator, 단축하여 E2E-SO) 유닛 및 단-대-단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터(E2E Network Orchestrator, 단축하여 E2E-NO) 유닛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오직 E2E-SO 유닛 또는 E2E NO 유닛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하기 설명에서, E2E-SO 유닛은 대안적으로 E2E-SO로 표현될 수 있고, E2E-NO 유닛은 대안적으로 E2E-NO로 표현될 수 있다.
E2E-O의 기능들은 대안적으로, 크로스-도메인 오케스트레이터(Cross-Domain Orchestrator, 단축하여 CD-O) 유닛, 서비스 오케스트레이터(Service Orchestrator, 단축하여 SO) 유닛,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터(Network Orchestrator, 단축하여 NO) 유닛,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Network Manager, 단축하여 NM) 유닛과 같은 엔티티로 완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기 설명들 모두는 예로서 E2E-O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3)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오케스트레이터(Core Network Domain Orchestrator, 단축하여 CN-Domain-O) 유닛: CN-Domain-O 유닛은 대안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관리자 및 오케스트레이터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고, 하기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관리(네트워크 슬라이스 라이프사이클 관리(생성, 업데이트 및 삭제), 네트워크 슬라이스 오류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 성능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관리 등을 포함함);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서비스들의 관리(서비스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오류 관리, 서비스 성능 관리, 서비스 구성 관리 등을 포함함); 및 단일화된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네트워크 자원들의 조정.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하기 설명에서 CN-Domain-O 유닛은 대안적으로 CN-Domain-O로 표현될 수 있다.
CN-Domain-O는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서비스 오케스트레이터(Core Network Domain Service Orchestrator, 단축하여 CN-Domain-SO) 유닛 및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터(Core Network Domain Network Orchestrator, 단축하여 CN-Domain-NO) 유닛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CN-Domain-SO 유닛 또는 CN-Domain-NO 유닛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하기 설명에서, CN-Domain-SO 유닛은 대안적으로 CN-Domain-SO로 표현될 수 있고, CN-Domain-NO 유닛은 대안적으로 CN-Domain-NO로 표현될 수 있다.
CN-Domain-O의 기능들은 SO 유닛, NO 유닛, NM, 네트워크 제어기 유닛 또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및 오케스트레이터 유닛과 같은 엔티티에 의해 완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기 설명들 모두는 예로서 CN-Domain-O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4)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오케스트레이터(Radio Access Network Domain Orchestrator, 단축하여 RAN-Domain-O) 유닛: RAN-Domain-O 유닛은 대안적으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오케스트레이터 및 관리자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고, 하기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관리(네트워크 슬라이스 라이프사이클 관리(생성, 업데이트 및 삭제), 네트워크 슬라이스 오류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 성능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관리 등을 포함함);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서비스들의 관리(서비스 라이프사이클 관리, 서비스 오류 관리, 서비스 성능 관리, 서비스 구성 관리 등을 포함함); 및 단일화된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네트워크 자원들의 조정.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하기 설명에서 RAN-Domain-O 유닛은 대안적으로 RAN-Domain-O로 표현될 수 있다.
RAN-Domain-O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서비스 오케스트레이터(Radio Access Network Domain Service Orchestrator, 단축하여 RAN-Domain-SO) 유닛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터(Radio Access Network Domain Network Orchestrator, 단축하여 RAN-Domain-NO) 유닛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RAN-Domain-SO 유닛 또는 RAN-Domain-NO 유닛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하기 설명에서, RAN-Domain-SO 유닛은 대안적으로 RAN-Domain-SO로 표현될 수 있고, RAN-Domain-NO 유닛은 대안적으로 RAN-Domain-NO로 표현될 수 있다.
RAN-Domain-O의 기능들은 SO 유닛, NO 유닛, NM, 네트워크 제어기 유닛 또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및 오케스트레이터 유닛과 같은 엔티티에 의해 완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기 설명들 모두는 예로서 RAN-Domain-O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5) 코어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능 제어기(CN Network Function Controller, 단축하여 CN-NF-CTRL) 유닛: 이는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기능 관리자(Network Function Manager, 단축하여 NF-M) 유닛 및/또는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 관리자(Virtualized Network Function Manager, 단축하여 VNFM) 유닛을 포함하고,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기능들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구성 관리, 오류 관리, 성능 관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6)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능 제어기(RAN Network Function Controller, 단축하여 RAN-NF-CTRL) 유닛: 이는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NF-M 유닛 및/또는 VNFM 유닛을 포함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기능들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구성 관리, 오류 관리, 성능 관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OSS와 E2E-O, CN-Domain-O 및 RAN-Domain-O 각각 사이의 배치 관계는 하기 경우들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E2E-O는 OSS에 위치되지만, CN-Domain-O 및 RAN-Domain-O는 OSS에 위치되지 않거나; 또는 E2E-O, CN-Domain-O 및 RAN-Domain-O 중 어느 것도 OSS에 위치되지 않거나; 또는 E2E-O, CN-Domain-O 및 RAN-Domain-O 모두가 OSS에 위치된다.
추가로, CN-NF-CTRL 및 RAN-NF-CTRL은 OSS에 위치될 수 있거나, OSS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들은 모두 예로서 전술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방법들은 또한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기존의 솔루션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동안,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후,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설계자는 서비스 요청을 수동으로 파괴하고, 서비스 요청을 네트워크 자원 요청으로 전환하고, 네트워크 자원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설계자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설계자에게 별개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설계자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설계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별개로 배치하고, 그 다음,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은 네트워크 엘리먼트 관리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관리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수동으로 배치하는 이러한 방식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를 구현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하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들, 이 방법에 기초한 관리 유닛들 및 시스템들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솔루션들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의 개략적 통신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S101 및 S102를 포함한다.
S101. 제1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고,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도록 제1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관리 유닛은 E2E-O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동작가능 인터페이스 등을 사용함으로써 제1 관리 유닛에 제1 관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거나 BSS가 제1 관리 유닛에 제1 관리 요청을 전송하며, 여기서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고,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도록 제1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관리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템플릿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오류 관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성능 관리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 관리일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라이프사이클 관리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인스턴스 생성(instantia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생성,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수정,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업데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타입,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SLA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배치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KPI,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네트워크 특성,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사용자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LA 정보는 구체적으로, 레이턴시, 성공률, 대역폭, 커버리지, 트래픽 모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KPI는 구체적으로 최대 레이턴시 및/또는 최대 대역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리 요청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운반할 때, 제1 관리 유닛은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후속 동작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제1 관리 요청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직접 운반하지 않지만 표시 정보를 운반할 때, 제1 관리 유닛은 하기 프로세스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대응하는 요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먼저,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를 획득하고;
그 다음,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획득한다.
임의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의 이름,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의 타입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의 특성과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자일 수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템플릿, 네트워크 슬라이스 블루프린트 등일 수 있다.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즉,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의 이름, 타입 또는 특성과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를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2.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고, 여기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서브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네트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아마도 적어도 하나의 서브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네트는 구체적으로 서브네트 슬라이스일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즉,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서브네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브네트 슬라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서브네트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서브네트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요건 정보의 프로세싱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가 프로세싱되는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서브네트를 관리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서브네트를 생성, 선택, 구성 또는 활성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에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서브네트의 타입, 서브네트의 SLA 정보, 서브네트의 배치 정보, 서브네트의 KPI 또는 서브네트의 기능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네트의 SLA 정보는 구체적으로, 레이턴시, 성공률, 대역폭, 커버리지, 트래픽 모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네트의 KPI는 구체적으로 최대 레이턴시 및/또는 최대 대역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는 경우, 제1 관리 유닛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리 유닛은 미리 설정된 분해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N 도메인의 레이턴시 대 RAN 도메인의 레이턴시의 비가 분해 알고리즘에 따라 1:2이고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전술한 요건 정보에서 운반된 SLA-요구 레이턴시가 3 ms인 경우, 제1 관리 유닛은 분해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CN 도메인 내의 서브네트의 SLA 레이턴시가 1 ms이고 RAN 도메인 내의 서브네트의 SLA 레이턴시가 2 ms라고 결정할 수 있다.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결정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복수의 서브네트들의 요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관리 유닛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결정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의 요건 정보 및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의 요건 정보이다. 그 다음, 제1 관리 유닛은 2개의 서브네트들의 요건 정보를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별개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하기 단계(S104)는, 제1 관리 유닛이 제2 관리 유닛에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사용함으로써 설명된다. 제2 관리 유닛에 대한 나머지 동작들의 경우 단계(S104)를 참조한다. 여기서 세부사항들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임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하기 단계들(S103 내지 S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103.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식별자일 수 있고,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을 주목해야 한다.
임의적으로,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할당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하기 정보, 즉, 공개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식별자, 테넌트 식별자, 슬라이스 타입, 서비스 타입, 슬라이스 식별자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3) 및 단계(S102)에 대한 어떠한 실행 시퀀스도 없음을 주목해야 한다. 단계(S102)가 단계(S103) 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계(S103)가 단계(S102) 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계(S102) 및 단계(S103)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S104. 제1 관리 유닛은 제2 관리 유닛에 제2 관리 요청을 전송하고, 여기서 제2 관리 요청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운반한다.
제2 관리 요청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네트를 관리하도록 제2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관리 유닛은 CN-Domain-O, RAN-Domain-O, CN-NF-CTRL, RAN-NF-CTRL, 또는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단축하여 EMS)일 수 있다. 제2 관리 유닛이 EMS인 경우, EMS는 CN-Domain-O, RAN-Domain-O, CN-NF-CTRL, 또는 RAN-NF-CTRL의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에 추가로, 제2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운반할 수 있다.
제2 관리 요청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운반할 때, 제2 관리 유닛은 제2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하기 동작들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서브네트 식별자라고 결정하거나; 또는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에 서브네트 식별자를 할당하고, 서브네트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키며; 여기서
서브네트 식별자는 서브네트의 식별자이다.
S105.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다.
제1 관리 유닛으로부터 제2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선택, 생성, 구성 또는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는 서브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는 네트워크 자원의 타입, 네트워크 자원의 디스크립터 정보, 네트워크 자원의 인스턴스 정보, 네트워크 자원의 KPI, 또는 네트워크 자원의 기능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는 네트워크 기능, 네트워크 엘리먼트,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송신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2 관리 유닛은 하기 2가지 방식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방식 1: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네트 디스크립터를 결정하고, 서브네트 디스크립터에 기초하여,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다.
방식 2: 제2 관리 유닛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다.
임의적으로, 단계(S105)가 수행된 후,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하기 단계들(S106 및 S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106. 제2 관리 유닛은 제3 관리 유닛에 제3 관리 요청을 전송하고, 여기서 제3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운반한다.
제3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3 관리 유닛은 CN-NF-CTRL, CN-NF-Manager, RAN-NF-CTRL, 또는 RAN NF 관리자일 수 있다.
S107. 제3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선택, 배치, 구성 또는 활성화한다.
제3 관리 요청에서 운반되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가 네트워크 자원의 인스턴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3 관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하기 프로세스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선택, 배치, 구성 또는 활성화할 수 있다.
먼저, 제3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고;
그 다음, 제3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선택, 배치, 구성 또는 활성화한다.
임의적으로, 단계(S104)가 수행된 후,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하기 단계들(S108a, S108b, S109, 및 S11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S108a 또는 S108b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S108a.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서브네트에 할당한다.
S108b. 제2 관리 유닛은 기존의 네트워크에 이미 존재하는 서브네트 인스턴스를 사용한다.
S109.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에 서브네트의 식별자 또는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전송한다.
S110.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키거나, 또는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킨다.
S108b가 수행되면, S105 내지 S107이 수행될 필요가 없거나; 또는 S108a가 수행되면, S105 내지 S107이 수행될 수 있고 단계들(S108a, S109, 및 S110)의 실행과 단계들(S105 내지 S107)의 실행 사이에 어떠한 시간 시퀀스 연관도 없음을 주목해야 한다. 즉, 단계들(S108a, S109, 및 S110)은 단계들(S105 내지 S107) 이전에, 이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는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서브네트 요건을 결정할 수 있고, 서브네트 요건은 복수의 서브네트들의 요건일 수 있다. 제1 관리 유닛은 대응하는 서브네트의 관리 유닛에 서브네트 요건을 전송하고, 대응하는 서브네트의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을 크게 개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에서, 도 2의 콘텐츠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콘텐츠의 경우, 도 2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단계(S201) 및 단계(S202)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단계들(S203 내지 S2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201. 제1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고,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S201)는 도 1의 단계(S101)와 유사하다. 단계(S201)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의 경우, 단계(S101)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202.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고, 여기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서브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네트를 포함한다.
단계(S202)는 도 1의 단계(S102)와 유사하다. 단계(S202)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의 경우, 단계(S102)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203.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단계(S203)는 도 1의 단계(S103)와 유사하다. 단계(S203)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의 경우, 단계(S103)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단계(S203) 및 단계(S202)에 대한 어떠한 실행 시퀀스도 없음을 주목해야 한다. 단계(S202)가 단계(S203) 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계(S203)가 단계(S202) 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계(S202) 및 단계(S203)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S204. 제1 관리 유닛은 기존의 네트워크로부터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 인스턴스를 선택한다.
S205.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킨다.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는 서브네트 식별자의 가능한 구현일 수 있다.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는 현재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전에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결정되고 제1 관리 유닛에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전송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관리 유닛은, 제3 관리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획득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는 서브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의 식별자, 즉,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제1 관리 유닛에 리턴한다. 제1 관리 유닛이 도 2에 도시된 방법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경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브네트의 특성(예를 들어, 타입 또는 기능적 특성)에 기초하여, 서브네트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브네트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면,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를 직접 선택하고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할당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기존의 네트워크의 실제 상태에 기초하여,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를 직접 선택하고, 서브네트를 결정하기 위해 제2 관리 유닛에 요청 메시지를 더 이상 전송할 필요가 없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을 추가로 개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의 개략적 통신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에서, 도 2의 콘텐츠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콘텐츠의 경우, 도 2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단계(S301) 및 단계(S302)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단계들(S303 내지 S3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301. 제1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고,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S301)는 도 1의 단계(S101)와 유사하다. 단계(S301)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의 경우, 단계(S101)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302.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고, 여기서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서브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네트를 포함한다.
단계(S302)는 도 1의 단계(S102)와 유사하다. 단계(S302)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의 경우, 단계(S102)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303. 제1 관리 유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단계(S303)는 도 1의 단계(S103)와 유사하다. 단계(S303)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의 경우, 단계(S103)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단계(S303) 및 단계(S302)에 대한 어떠한 실행 시퀀스도 없음을 주목해야 한다. 단계(S302)가 단계(S303) 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계(S303)가 단계(S302) 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계(S302) 및 단계(S303)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S304. 제1 관리 유닛은 제2 관리 유닛에 제2 관리 요청을 전송하고, 여기서 제2 관리 요청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운반한다.
단계(S304)는 도 1의 단계(S104)와 유사하다. 단계(S304)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의 경우, 단계(S104)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305.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다.
단계(S305)는 도 1의 단계(S105)와 유사하다. 단계(S305)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의 경우, 단계(S105)의 상세한 구현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306. 제2 관리 유닛은 기존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선택한다.
임의적으로, 단계(S304)가 수행된 후,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하기 단계들(S307a, S307b, S308, 및 S309)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S307a 또는 S307b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S307a. 제2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서브네트에 할당한다.
S307b. 제2 관리 유닛은 기존의 네트워크에 이미 존재하는 서브네트 인스턴스를 사용한다.
S308.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에 서브네트의 식별자 또는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전송한다.
S309.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키거나, 또는 제1 관리 유닛은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킨다.
S307b가 수행되면, S305 및 S306이 수행될 필요가 없거나; 또는 S307a가 수행되면, S305 및 S306이 수행될 수 있고 단계들(S307a, S308, 및 S309)의 실행과 단계들(S305 및 S3)의 실행 사이에 어떠한 시간 시퀀스 연관도 없음을 주목해야 한다. 즉, 단계들(S307a, S308, 및 S309)은 단계들(S305 및 S306) 이전에, 이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결정한 후, 제2 관리 유닛은 기존의 네트워크의 실제 상태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자원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직접 선택하고, 네트워크 자원 인스턴스를 결정하기 위해 제3 관리 유닛에 요청 메시지를 더 이상 전송할 필요가 없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효율을 추가로 개선한다.
전술한 내용은 주로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솔루션들을 설명한다. 전술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 관리 유닛, 제2 관리 유닛 또는 제3 관리 유닛과 같은 각각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예들과 조합하여, 본 발명의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쉽게 인식할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로 수행되는지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들 및 기술적 솔루션들의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방법 예들에 따라 제1 관리 유닛, 제2 관리 유닛, 제3 관리 유닛 등 상에서 기능적 유닛들의 분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적 유닛들은 기능들에 기초하여 분할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기능들이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적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유닛 분할은 예이고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에서 다른 분할 방식이 존재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5는 통합된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 관리 유닛의 가능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제1 관리 유닛(1000)은 프로세싱 유닛(1002) 및 통신 유닛(1003)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002)은 제1 관리 유닛의 액션들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002)은 도 2의 S110 및 S101 내지 S104의 프로세스들, 도 3의 S201 내지 S205의 프로세스들, 도 4의 S309 및 S301 내지 S304의 프로세스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제1 관리 유닛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유닛(1003)은 제1 관리 유닛과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의 통신, 예를 들어, 제1 관리 유닛과 제2 관리 유닛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제1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10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002)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콘텐츠를 참조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들의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유닛(1003)은 통신 인터페이스, 트랜시버, 트랜시버 회로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일반적 용어이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제1 관리 유닛과 제2 관리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1001)은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0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유닛(1003)이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저장 유닛(1001)이 메모리인 경우,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제1 관리 유닛은 도 6에 도시된 제1 관리 유닛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리 유닛(1010)은 프로세서(1012), 통신 인터페이스(1013) 및 메모리(1011)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1 관리 유닛(1010)은 버스(10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13), 프로세서(1012) 및 메모리(1011)는 버스(1014)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버스(1014)는 주변 컴포넌트 상호접속(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단축하여 PCI) 버스, 또는 확장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단축하여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1014)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도 6에서 버스를 표현하기 위해 오직 하나의 두꺼운 선이 사용되지만, 이는 오직 하나의 버스 또는 오직 하나의 타입의 버스만이 존재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제1 관리 유닛은 E2E-O, CD-O, SO, NO, NM 등일 수 있다.
도 7는 통합된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2 관리 유닛의 가능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제2 관리 유닛(2000)은 프로세싱 유닛(2002) 및 통신 유닛(2003)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2002)은 제2 관리 유닛의 액션들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2002)은 도 2의 S105, S106, S108a, S108b 및 S109의 프로세스들, 도 4의 S305 및 S306 내지 S308의 프로세스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제2 관리 유닛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유닛(2003)은 제2 관리 유닛과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의 통신, 예를 들어,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 사이의 통신 또는 제2 관리 유닛과 제3 관리 유닛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제2 관리 유닛은 제2 관리 유닛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20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002)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PU,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콘텐츠를 참조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들의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유닛(2003)은 통신 인터페이스, 트랜시버, 트랜시버 회로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일반적 용어이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 또는 제2 관리 유닛과 제3 관리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2001)은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0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유닛(2003)이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저장 유닛(2001)이 메모리인 경우,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제2 관리 유닛은 도 8에 도시된 제2 관리 유닛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리 유닛(2010)은 프로세서(2012), 통신 인터페이스(2013) 및 메모리(2011)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1 관리 유닛(2010)은 버스(20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013), 프로세서(2012) 및 메모리(2011)는 버스(2014)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버스(2014) PCI 버스,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2014)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도 8에서 버스를 표현하기 위해 오직 하나의 두꺼운 선이 사용되지만, 이는 오직 하나의 버스 또는 오직 하나의 타입의 버스만이 존재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제2 관리 유닛은 CN-Domain-O, RAN-Domain-O, CN-NF-CTRL, RAN-NF-CTRL, EMS 등일 수 있다.
도 9는 통합된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3 관리 유닛의 가능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제3 관리 유닛(3000)은 프로세싱 유닛(3002) 및 통신 유닛(3003)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3002)은 제3 관리 유닛의 액션들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3002)은 도 2의 S107의 프로세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제3 관리 유닛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유닛(3003)은 제3 관리 유닛과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의 통신, 예를 들어, 제3 관리 유닛과 제2 관리 유닛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제3 관리 유닛은 제3 관리 유닛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30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3002)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PU,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콘텐츠를 참조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들의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유닛(3003)은 통신 인터페이스, 트랜시버, 트랜시버 회로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일반적 용어이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제3 관리 유닛과 제2 관리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3001)은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30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유닛(3003)이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저장 유닛(3001)이 메모리인 경우,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제3 관리 유닛은 도 10에 도시된 제3 관리 유닛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관리 유닛(3010)은 프로세서(3012), 통신 인터페이스(3013) 및 메모리(3011)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3 관리 유닛(3010)은 버스(30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013), 프로세서(3012) 및 메모리(3011)는 버스(3014)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버스(3014) PCI 버스,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3014)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면의 용이함을 위해, 도 8에서 버스를 표현하기 위해 오직 하나의 두꺼운 선이 사용되지만, 이는 오직 하나의 버스 또는 오직 하나의 타입의 버스만이 존재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제2 관리 유닛은 CN-NF-CTRL, CN-NF-Manager, RAN-NF-CTRL, RAN NF 관리자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콘텐츠와 조합하여 설명되는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은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하드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또는 본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분명히,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ASIC는 제1 관리 유닛, 제2 관리 유닛 또는 제3 관리 유닛에 위치될 수 있다. 분명히,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대안적으로 제1 관리 유닛, 제2 관리 유닛 또는 제3 관리 유닛에서 이산적 컴포넌트들로서 위치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예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또는 코드들로서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통신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송신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대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술한 특정 구현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들, 기술적 솔루션들 및 유리한 효과들은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다. 전술한 설명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단지 특정 구현들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솔루션들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임의의 수정, 등가적 대체, 개선 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Claims (26)

  1.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으로서,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기 요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관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기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도록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상기 서브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네트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제2 관리 유닛에 제2 관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관리 요청은 상기 서브네트의 상기 요건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2 관리 요청은 상기 서브네트의 상기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네트를 관리하도록 상기 제2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추가로 운반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상기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기존의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 인스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요청이 상기 표시 정보를 운반할 때,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서브네트의 상기 요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네트를 관리하는 것은 상기 서브네트를 생성, 선택, 구성, 또는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기 요건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타입,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레벨 동의 SLA 정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배치 정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키 성능 표시자 KPI,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네트워크 특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네트의 상기 요건 정보는 상기 서브네트의 타입, 상기 서브네트의 SLA 정보, 상기 서브네트의 배치 정보, 상기 서브네트의 KPI, 또는 상기 서브네트의 기능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4.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제1 관리 유닛으로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제1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 상기 제1 관리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요건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기 요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관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기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도록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는 상기 서브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네트를 포함하는, 제1 관리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1 관리 유닛.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제2 관리 유닛에 제2 관리 요청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관리 요청은 상기 서브네트의 상기 요건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2 관리 요청은 상기 서브네트의 상기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네트를 관리하도록 상기 제2 관리 유닛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관리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추가로 운반하는, 제1 관리 유닛.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상기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1 관리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서브네트의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1 관리 유닛.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기존의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브네트의 요건 정보를 충족시키는 서브네트 인스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1 관리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서브네트 인스턴스의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연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1 관리 유닛.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요청이 상기 표시 정보를 운반할 때,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를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디스크립터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기 요건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제1 관리 유닛.
  23. 제1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서브네트의 상기 요건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관리 유닛.
  24. 제1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네트를 관리하는 것은 상기 서브네트를 생성, 선택, 구성, 또는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관리 유닛.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상기 요건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타입,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레벨 동의 SLA 정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배치 정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키 성능 표시자 KPI,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네트워크 특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관리 유닛.
  26.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네트의 상기 요건 정보는 상기 서브네트의 타입, 상기 서브네트의 SLA 정보, 상기 서브네트의 배치 정보, 상기 서브네트의 KPI, 또는 상기 서브네트의 기능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관리 유닛.
KR1020197015324A 2016-10-31 2016-12-30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관리 유닛 및 시스템 KR102247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4159 2016-10-31
CNPCT/CN2016/104159 2016-10-31
PCT/CN2016/113867 WO2018076547A1 (zh) 2016-10-31 2016-12-30 网络切片的管理方法、管理单元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507A true KR20190073507A (ko) 2019-06-26
KR102247993B1 KR102247993B1 (ko) 2021-05-07

Family

ID=6202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324A KR102247993B1 (ko) 2016-10-31 2016-12-30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관리 유닛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694389B2 (ko)
EP (1) EP3534567B1 (ko)
JP (1) JP6843985B2 (ko)
KR (1) KR102247993B1 (ko)
CN (2) CN109906585B (ko)
AU (1) AU2016428185B2 (ko)
BR (1) BR112019008694A2 (ko)
ES (1) ES2903002T3 (ko)
WO (1) WO20180765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2109B2 (en) 2020-04-24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network slice resource allocation and visualiz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6585B (zh) * 2016-10-31 2021-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切片的管理方法、管理单元及系统
WO2018094667A1 (zh) 2016-11-24 2018-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管理方法、管理单元及系统
MX2019010719A (es) * 2017-03-23 2019-12-02 Sony Corp Dispositivo, metodo y medio de grabacion.
CN109120426B (zh) * 2017-06-26 2022-06-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084427B2 (ja) 2017-11-16 2022-06-14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の識別子割り当ておよび/または識別子マッピング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エンティティおよび方法
US11159935B2 (en) * 2018-05-16 2021-10-26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slicing on a sidelink interface
CN110661636B (zh) * 2018-06-30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获取网络切片的方法、装置和系统
JP7112322B2 (ja) * 2018-12-07 2022-08-03 Kddi株式会社 通信要件を提示する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66179B2 (en) 2019-10-11 2021-11-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slicing based on virtual routing and forwarding instances
US10708368B1 (en) * 2019-10-30 2020-07-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slice deployment description for a network slice instance
WO2021166250A1 (ja) * 2020-02-21 2021-08-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219232A1 (en) * 2020-04-30 2021-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manag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3302A1 (en) * 2009-09-18 2012-09-13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Virtual network controller
US20140269295A1 (en) * 2013-03-12 2014-09-1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virtual sub-networks
US20150358399A1 (en) * 2014-06-09 2015-12-10 Cisco Technology, Inc. Provisioning and managing slices of a consumer premises equip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0799B2 (en) * 2005-09-30 2014-11-04 Cleversafe, Inc. Rebuilding data on a dispersed storage network
US9172678B2 (en) * 2011-06-28 2015-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security of a virtual private mobile network
US10389595B2 (en) 2012-01-26 2019-08-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rvices for applications on a physical network
AU2013215198A1 (en) * 2012-01-31 2014-08-28 Vid Scale, Inc. Reference picture set (RPS) signaling for scalable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US9693366B2 (en) * 2012-09-27 2017-06-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nd-to-end architecture, API framework, discovery, and access in a virtualized network
US9584369B2 (en) * 2013-03-13 2017-02-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s of representing software defined networking-based multiple layer network topology views
CN104243196B (zh) 2013-06-21 2019-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sdn架构下的虚拟网络映射保护方法及系统
WO2014205786A1 (zh) 2013-06-28 2014-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任播服务注册、实现方法及装置、交换设备和系统
WO2015066313A1 (en) * 2013-10-30 2015-05-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nabling information centric networks specialization
WO2015094299A1 (en) 2013-12-19 2015-06-25 Intel Corporation Service template generation and deployment based on service level agreement requirements
CN103905523A (zh) * 2013-12-23 2014-07-02 浪潮(北京)电子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基于sdn的云计算网络虚拟化实现方法及系统
JP6133224B2 (ja) * 2014-02-28 2017-05-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仮想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構築システム
US9338094B2 (en) * 2014-03-31 2016-05-10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aware network
CN103997513B (zh) 2014-04-21 2017-08-01 北京邮电大学 一种可编程虚拟网络服务系统
CN105391568B (zh) * 2014-09-05 2019-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软件定义网络sdn的实现方法、装置和系统
CN105812217A (zh) * 2014-12-29 2016-07-2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虚拟网络划分方法及多控制器代理装置
CN104639653B (zh) * 2015-03-05 2019-04-09 北京掌中经纬技术有限公司 基于云架构的自适应方法及系统
EP3273647B1 (en) * 2015-03-20 2019-02-06 NTT DoCoMo, Inc. Service allocation determination based on the presence of an isolation requirement in the service requirements
CN107409339B (zh) * 2015-04-08 2020-12-1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在接入间切换的网络分区保存的方法和网络节点
CN104917809A (zh) * 2015-04-13 2015-09-16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计算和通信融合的5g无线网络虚拟化体系架构
US20160353367A1 (en) * 2015-06-01 2016-12-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ized Functions in Control and Data Planes
WO2017067599A1 (en) * 2015-10-22 2017-04-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use in a network, controller, network and method
CN105281955B (zh) 2015-10-27 2018-10-0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和资源编排的系统、方法及装置
US11044203B2 (en) * 2016-01-19 2021-06-2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hosting mobile packet core and value-added services using a software defined network and service chains
US10158568B2 (en) * 2016-02-12 2018-12-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function forwarding in a service domain
US9961713B2 (en) * 2016-02-23 2018-05-01 Motorola Mobility Llc Procedures to support network sli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884156B2 (ja) * 2016-02-29 2021-06-09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制御プレーンノードを判定する方法、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70289791A1 (en) * 2016-04-05 2017-10-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twork slice
CN105813195B (zh) 2016-05-13 2019-05-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按需为终端选择移动性管理机制的方法及装置
CN105939244A (zh) * 2016-06-14 2016-09-14 北京邮电大学 一种协同虚拟网络映射方法
EP3276518B1 (de) * 2016-07-29 2018-09-19 Deutsche Telekom AG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mit mehrzahl über eine pin freischaltbarer anwendungen
CN108307407B (zh) * 2016-09-30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180038716A (ko) * 2016-10-07 201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CN109906585B (zh) * 2016-10-31 2021-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切片的管理方法、管理单元及系统
CN110226308B (zh) 2017-01-25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的管理方法、管理单元和系统
WO2018170922A1 (zh) 2017-03-24 2018-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网络切片的方法、装置和系统
CN109327319B (zh) 2017-07-31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部署网络切片的方法、设备及系统
CN109474449A (zh) 2017-09-08 2019-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网络切片实例的方法及装置
CN109600768B (zh) 2017-09-30 2022-06-07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切片的管理方法、设备及系统
CN114745728A (zh) 2017-09-30 202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资源部署及评估的方法、和设备
CN109803281B (zh) 2017-11-16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业务的管理方法、设备及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3302A1 (en) * 2009-09-18 2012-09-13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Virtual network controller
US20140269295A1 (en) * 2013-03-12 2014-09-1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virtual sub-networks
US20150358399A1 (en) * 2014-06-09 2015-12-10 Cisco Technology, Inc. Provisioning and managing slices of a consumer premises equip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2109B2 (en) 2020-04-24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network slice resource allocation and visua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993B1 (ko) 2021-05-07
US10694389B2 (en) 2020-06-23
CN109906585B (zh) 2021-02-05
US20200359226A1 (en) 2020-11-12
ES2903002T3 (es) 2022-03-30
AU2016428185B2 (en) 2020-09-10
US20190261186A1 (en) 2019-08-22
CN112737866B (zh) 2022-12-13
AU2016428185A1 (en) 2019-05-23
EP3534567A1 (en) 2019-09-04
CN109906585A (zh) 2019-06-18
BR112019008694A2 (pt) 2019-10-08
EP3534567A4 (en) 2019-10-23
JP6843985B2 (ja) 2021-03-17
CN112737866A (zh) 2021-04-30
WO2018076547A1 (zh) 2018-05-03
US10999740B2 (en) 2021-05-04
JP2019534643A (ja) 2019-11-28
EP3534567B1 (en)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993B1 (ko)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관리 유닛 및 시스템
EP3595244B1 (en) Network slice management method, unit and system
US10924966B2 (en)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unit, and system
EP3657861B1 (en) Deploying a network slice
CN110896355B (zh) 一种网络切片的选择方法及装置
CN109391490B (zh) 网络切片的管理方法和装置
CN113300877B (zh) 一种网络切片管理方法及设备
KR20190057109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관리 유닛
WO2019056883A1 (zh) 一种网络切片的部署方法及相关设备
US11831509B2 (en) Network servic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EP364840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ploying network slice
CN109600760B (zh) 网络管理方法、设备及系统
EP32612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network service in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