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449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449A
KR20190073449A KR1020197014178A KR20197014178A KR20190073449A KR 20190073449 A KR20190073449 A KR 20190073449A KR 1020197014178 A KR1020197014178 A KR 1020197014178A KR 20197014178 A KR20197014178 A KR 20197014178A KR 20190073449 A KR20190073449 A KR 2019007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onvex
seat
absorbent artic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7750B1 (en
Inventor
다쿠야 미야마
사토루 사카구치
마사시 우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7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변이 배출되는 영역의 인입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여, 사용 시의 안심감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40)와, 흡수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에게 접하는 톱 시트(50)를 구비한다. 톱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51) 및 시트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54)를 갖는다. 톱 시트는, 적어도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R1)과,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R2)을 갖는다.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은 상이하다. 개구는, 적어도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bsorbent article which is easy to recognize the pulling-in property of the region where the sides are discharged, and can provide a sense of security in use.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s an absorbent body (40) and a top sheet (50) located on the 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nt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wearer. The top sheet has a sheet convex portion 51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an opening 54 formed between the sheet convex portions. The topsheet has a first region (R1) arranged at least in the rear wai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R2) arranged at least in the crotch regio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of the first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of the second region. The opening is formed at least in the first region.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소변 및 변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for absorbing urine and feces.

종래, 착용자의 소변 및 변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배설물을 인입하기 위한 개구(도액(導液) 오목부)를 톱 시트에 형성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톱 시트에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한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톱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Conventionally, in an absorbent article for absorbing urine and feces of a wearer, there is provided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an opening (a liquid recess) for introducing excreta is formed on a topsheet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 In the top sheet of Patent Document 1, there are forme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an opening dispos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nd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 sheet.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8996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9-89965

특허문헌 1의 톱 시트의 볼록부 및 개구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톱 시트의 전체에 걸쳐 동일한 배열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친 등의 장착 보조자는, 볼록부 및 개구를 모양과 같이 인식하여, 배설물을 인입하기 위한 개구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장착 보조자는, 톱 시트의 체액의 인입성을 파악할 수 없어, 안심하고 흡수성 물품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출원인이 여러 가지 조사를 행한 결과, 장착 보조자는, 변이 배출되는 영역의 인입성을 파악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 시의 안심감을 얻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The convex portion and the opening of the top sheet of Patent Document 1 are regularly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throughout the top shee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a mounting assistant such as a mother or the like may recognize the convex portion and the opening as shapes, and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opening for introducing the excrement. The attaching assistant could not grasp the entrained property of the body fluid of the topsheet and could not use the absorbent article safely in some cases. As a result of conducting various investigations by the applicant, it was found that the installation assistant is able to grasp the pulling-in property of the area to be discharged, so that it is easy to obtain a sense of security at the time of use.

그래서, 본 발명은 장착 보조자가, 변이 배출되는 영역의 인입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여, 사용 시의 안심감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a mounting assistant can easily recognize the pulling-in of a region where a side is discharged, and can obtain a relief in use.

본 개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일회용 기저귀(10))은, 앞 몸통 둘레 영역(앞 몸통 둘레 영역(20)), 뒤 몸통 둘레 영역(뒤 몸통 둘레 영역(30)), 및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가랑이 영역(25))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전후 방향(전후 방향(L)) 및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폭 방향(W))과, 상기 가랑이 영역을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흡수체(40))와, 상기 흡수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에게 접하는 톱 시트(톱 시트(50))를 구비하고, 상기 톱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시트 볼록부(51)) 및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개구(54))를 갖는다. 상기 톱 시트는, 적어도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제1 영역(R1))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제2 영역(R2))을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은, 상이하며, 상기 개구는,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The absorbent article (disposable dia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front waist region (front waist region 20), a rear waist region (rear waist region 30), and a front waist region A crotch region (crotch region 25) positioned between the rear waist regions and a front waist region extending from the front waist region to the back waist reg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Absorbent body (40)) extending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over the crotch region and the absorbent core (Top sheet 5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earer, and the top sheet has a sheet convex portion (sheet convex portion 51)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an opening (Opening 54) . The top sheet has a first region (first region (R1) arranged at least in the rear wai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econd region (R2)) arranged at least in the crotch regio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heet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opening is formed at least in the first region.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톱 시트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톱 시트의 제1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7은 톱 시트의 제2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8은 변형예 1에 따른 톱 시트 및 흡수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변형예 2에 따른 톱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3에 따른 톱 시트의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lan view of a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topsheet of the disposable diaper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BB line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region of the topsheet.
7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ond region of the topsheet.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sheet and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Modification 1.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sheet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sheet according to Modification 3. Fig.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앞 몸통 둘레 영역, 뒤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A front waist region, a rear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located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전후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과,A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front waist region to the rear waist reg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상기 가랑이 영역을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An absorbent body extending over the crotch region and exte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상기 흡수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에게 접하는 톱 시트를 구비하고,And a top sheet that is located on the skin-facing side of the absorbent body and is in contact with the wearer,

상기 톱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Wherein the top sheet has an opening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heet project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상기 톱 시트는, 적어도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갖고,Wherein the top sheet has a first region arranged at least in the rear wai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rranged at least in the crotch region,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은, 상이하며,The shape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상기 개구는,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And the opening is formed at least in the first region.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1 영역은, 적어도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고, 변이 배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제2 영역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고, 소변이 배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장착 보조자는,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제1 영역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장착 보조자는,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톱 시트의 성능과,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톱 시트의 성능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고, 소변과 변이 적절히 흡수된다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the first region is disposed at least in the rear waist region, and includes the region where the side is discharged. The second region includes at least a region disposed in the crotch region and discharging urine. Since the shape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hape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ounting assistant can easily recognize the first region. Further, since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belt in the first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belt in the second region, the performance of the top sheet disposed in the crotch reg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top sheet disposed in the rear waist region ,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sense of assurance that the urine and the diaphragm are properly absorbed.

제1 영역 상에 변이 배출되면, 변은, 시트 볼록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시트 볼록부 사이의 개구를 통해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이행한다. 또한, 변은, 시트 볼록부에 의한 벽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일단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된 변이 피부에 닿은 경우에, 시트 볼록부 사이로부터 변이 나와 착용자에게 재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edge is discharged on the first area, the edge is received in the space between the sheet convex portions, and moves to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through the opening between the sheet convex portions. In addition, since the side is sandwiched by the wall formed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it is possible to restrain the side from the convex portion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eat and reattached to the wearer once the side accommoda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eat touches the skin .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구비하고,And a pair of steric gathers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상기 각 입체 개더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수축하는 수축 영역을 가지며,Wherein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has a shrinkage region which contracts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by an elastic member,

상기 제1 영역의 굽힘 강성은, 상기 제2 영역의 굽힘 강성보다 높고,The bending rigidity of the first region is high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cond region,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first region is disposed across the trailing edge of the shrinkage reg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1 영역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쳐 있기 때문에, 입체 개더의 상승 기점이 되는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 근방의 강성이 높아진다. 입체 개더의 상승 기점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입체 개더의 높이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변의 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체 개더의 높이를 확보함으로써, 입체 개더에 의해 톱 시트가 덮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된 변을 제1 영역 시트 볼록부 사이로 유도하는 기능을 계속 발휘할 수 있다.The rigidity of the vicinity of the trailing edge of the shrinkage region, which is the rising point of the solid gathers, is increased because the first region covers the trailing edge of the shrinkage reg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rising point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t is easy to secure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Therefore, lateral leakage of the side in the rear waist region can be prevented. Further, by securing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t is possible to keep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top sheet from being covered by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and guiding the discharged sides between the first region sheet convex portions.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흡수체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절곡을 유도하는 절곡 유도부를 갖고 있고,The absorbent body has a bending guide portion that follows the width direction and induces bending of the absorbent article,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축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보다 전측(前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ending guide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region in a range in which the shrinkage region is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전후 방향에 있어서 수축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는, 수축 영역의 수축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수축된다. 수축 영역에 의해 수축하는 힘이 작용하면, 절곡 유도부를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이 변형한다. 제1 영역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절곡 유도부를 기점으로 변형함으로써, 수축 영역의 수축력이 흡수되어, 제1 영역을 플랫한 상태로 유지하여, 변을 인입하는 기능을 계속 발휘할 수 있다.The range in which the shrinking region is arrang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contrac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ue to the shrinkage of the shrinking region. When a force of contraction is applied by the contraction region, the absorbent article is deformed from the bending guide portion as a starting point. The shrinkage force of the shrinking region is absorbed by deforming the bending guide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first region from the starting point, and the function of keeping the first region flat and pulling the side can be continu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higher than a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가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변을 사이에 끼우는 시트 볼록부에 의한 벽을 비교적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변을 사이에 끼우는 시트 볼록부에 의한 벽이 높기 때문에, 일단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된 변을 벽에 의해 사이에 끼워, 상기 변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수용된 변의 표면에 착용자의 피부가 닿았을 때에, 변을 계속 유지하여, 변이 나와 착용자에게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in the first region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in the second region, so that the wall formed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sandwiching the sides can be formed relatively high. Since the wall formed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sandwiching the sides is high, once the sides accommoda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eat are sandwiched by the wall, the side can be easily held. As a result, when the skin of the wear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accommodated side, it is possible to keep the sides so as to prevent the sides from reattaching to the wearer.

또한,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가 비교적 높음으로써, 제1 영역에 있어서 피부와 흡수체의 간극이 커진다. 통기성이 높아지고, 흡수성 물품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기 쉬워져, 짓무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변이 수용되기 전에 있어서, 제1 영역에 체압이 가해져 시트 볼록부가 찌부러진 상태와, 제1 영역에 체압이 가해지지 않아 시트 볼록부가 기립한 상태로 톱 시트의 두께는 변화한다.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가 비교적 높음으로써, 체압의 유무에 의한 톱 시트의 두께의 변화량이 커지고, 공기가 보다 흐르기 쉬워, 짓무름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기 쉽다. 한편,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높이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시트 볼록부 사이의 수용 공간이 작아져, 제1 영역에 수용된 변이 제2 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많은 변을 수용할 수 있고, 자중에 의해 변이 개구를 통과하기 쉬워지며, 개구를 통해 흡수체로 유도하는 변의 양을 늘릴 수 있다.Further, since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in the first region is relatively high, the gap between the skin and the absorbent in the first region becomes large. The air permeability is increased and the air inside the absorbent article is liable to be leaked to the outside, thereby suppressing eros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body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region and the convexity of the sheet is crushed before the sides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tat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is standing up because the body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region,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changed. Since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in the first region is relatively hig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top sheet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ody pressure is increased, and the air is more easily flow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s relatively low, the accommodating space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is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ow of the side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gion to the second region.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sides can be accommoda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it becomes easy for the transition to pass through the opening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amount of the side guided to the absorber through the opening can be increas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is longer than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피치가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의 피치보다 길기 때문에, 제1 영역에 있어서의 시트 볼록부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 변의 수용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톱 시트 상에 배출된 변은,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되고, 시트 볼록부 상에 남기 어려워진다. 착용자의 피부에 변이 계속 닿는 것을 억제하고,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많은 변을 유지할 수 있고, 변의 자중이 증가한다. 섬유를 갖는 톱 시트에 있어서는, 변의 자중이 증가함으로써, 변 내에 포함되는 수분이 섬유 사이의 간극을 통해 흡수체에 투과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변 내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무른 대변이 피부에 계속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space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heet in the first region is widened because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is longer than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Therefore, the sides discharged on the top sheet are received between the sheet convex portions, and are hard to remain o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hee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tinuation of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wearer and to improve the feeling of wearing. Further, many sides can be maintain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eat in the first region, and the weight of the sides is increased. In the topsheet having fibers, the self-weight of the sides increases, so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ides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absorbent body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fib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transfer the water in the sides to the absorber, and to prevent the skin from adhering to the skin, which contains a lot of moisture.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톱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용착된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welded portion in which the fibers constituting the topsheet are welded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개구의 가장자리에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구의 강도가 높아져, 개구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설물의 인입성을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welded porti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the strength of the opening increases and the opening shape can be easily maintained. Therefore, the entrapment of the excrement can be maintain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흡수체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 및 상기 흡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를 갖고,Wherein the absorbent body has an absorbent convex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an absorbent conca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absorbent convex portion,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개구는, 상기 흡수 볼록부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opening of the first region is preferably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absorption convex portion.

흡수 볼록부와 개구가 겹쳐지는 영역에서는, 개구와 흡수체의 거리가 짧아, 개구를 통해 인입한 체액을 흡수체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물의 인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region where the absorbing convex portion and the opening overlap,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 and the absorbing body is short, and the body fluid drawn through the opening can be quickly absorbed by the absorbing body. Therefore, the entrapment of the excrement can be improv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흡수체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 및 상기 흡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를 갖고,Wherein the absorbent body has an absorbent convex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an absorbent conca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absorbent convex portion,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개구는, 상기 흡수 오목부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of the first region is preferably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absorption concavity.

흡수 오목부와 개구가 겹쳐지는 영역에서는, 개구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변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개구를 통해 인입한 배설물을 공간 내에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물의 인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region where the absorbing concave portion and the opening overlap each other,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ide can be formed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of the opening, and the excrement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can be drawn into the space. Therefore, the entrapment of the excrement can be improv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시트 볼록부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벽부를 갖고,The seat convex portion has a convex wall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on angle of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elevation angle of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제1 영역의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가 제2 영역의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보다 크고, 제1 영역의 볼록벽부는, 비교적 급한 경사가 된다. 그 때문에,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된 배설물을 사이에 끼워, 상기 변을 유지하고, 일단 수용한 배설물이 시트 볼록부 사이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영역의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가 제1 영역의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보다 작고, 제2 영역의 볼록벽부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가 된다. 제2 영역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 배치된다. 가랑이 영역은, 뒤 몸통 둘레 영역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있다. 제2 영역의 볼록벽부가 완만한 경사임으로써, 제2 영역이 피부에 밀착된 경우라도, 시트 볼록부에 의한 피부에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The elevation angle of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larger than the elevation angle of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first region becomes a relatively steep inclin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rement contained in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from intervening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heet. The rising angle of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s smaller than the rising angle of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s a relatively gentle slope. The second region is disposed at least in the crotch region. The crotch reg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as compared with the rear waist region.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has a gentle inclination, so that even when the second reg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kin, the contact with the skin due to the convexity of the sheet can be smooth.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톱 시트는, 섬유를 갖고 있고,The topsheet has fibers,

상기 시트 볼록부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and the absorbent body,

상기 볼록벽부에 있어서의 섬유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보다, 상기 톱 시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를 많이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bers in the convex wall portion preferably have a greater number of fibers orient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sheet than the fibers orien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시트 볼록부가 찌부러지기 어렵고, 시트 볼록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공간을 유지하며, 피부에 대한 접촉이 부드러워지고, 착용자가 푹신푹신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볼록벽부에 의한 섬유는, 두께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볼록벽부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체액을 유도하기 쉽다. 따라서, 시트 볼록부의 높이를 높게 구성한 경우라도, 볼록벽부 내의 체액을 흡수체측으로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다.The convexity of the seat convex portion is hardly crushed, the space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is maintained, the contact with the skin is smooth, and the wearer can obtain a fluffy texture. Further, since the fibers of the convex wall portion include many fibers orien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body fluid can be easily guid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by the convex wall portions. Therefore, even when the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is made high, the body fluid in the convex wall portion can be quickly guided toward the absorber side.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보다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고,A bottom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than the bottom portion are formed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상기 중간부의 정상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정상부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p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with respect to the top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in the first region.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시트 볼록부 사이의 공간 내의 배설물은,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 방향으로 확산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변을 흡수체측으로 신속하게 유도하고, 변이 피부에 부착되는 면적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intermediat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heet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the excre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sheet convex portions becomes difficult to diffuse in the planar direction includi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mptly guide the sides to the absorbent body side, and to prevent the areas where the mutations are attached to the skin from being increas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를 갖고,A waist-surrounding hold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holding the absorbent article on the wearer's body i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r end edge of the first region is preferably located forward of the waist-surrounding holding portion.

몸통 둘레 유지부는, 흡수성 물품을 신체에 유지하는 영역이고, 신체에 대해 밀착되기 쉽다. 제1 영역과 몸통 둘레 유지부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 사이에 수용된 변이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1 영역의 시트 볼록부가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보다 높은 구성에 있어서는,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가 피부에 밀착되기 어려워, 제2 영역의 시트 볼록부에 의한 가랑이 영역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The waist-surrounding holding portion is a region for holding the absorbent article on the body and is likely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Since the first region and the waist-surrounding hold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mutual accommodation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can be easily kept away from the wearer's skin. Further, when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higher than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s hard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kin, thereby suppressing the uncomfortable feeling of the crotch region by the convexity of the seat of the second region can do.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홈벽부를 갖고,And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a groove wall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상기 개구는, 상기 홈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groove wall portion.

개구가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홈벽부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톱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흡수체와 개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쉽다. 개구와 흡수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톱 시트를 통과한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인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groove wall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a space is likely to be formed between the absorbing body disposed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of the top sheet and the opening. B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opening and the absorbent body, excretio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opsheet can be temporarily held, and entrapment can be improv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시트 볼록부 사이의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거나, 폭 방향으로 연속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변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The space between the sheet convex portions is continuou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continuou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diffusion of sides in the planar direction can be suppress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르고 있고,Wherein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follows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분단하는 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a divided portion for dividing the spac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is preferably formed.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분단하는 분단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오목부 내에 수용된 변이 전후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divided portions for dividing the space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ffusion of the sides accommodated in the seat recess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는, 0.3 ㎜ 이상, 10.0 ㎜ 이하이고,The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is 0.3 mm or more and 10.0 mm or less,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는, 0.3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sheet is preferably 0.3 mm or more and 10.0 mm or less.

이와 같이 구성된 시트 볼록부에 의하면, 시트 볼록부가 지나치게 눈에 띄는 것에 의한 외관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장착 보조자가 안심감을 얻기 쉽다. 또한, 시트 볼록부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볼록부에 의한 흡수 성능에 대한 안심감을 얻기 쉽다.According to the seat convex por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comfort of the appearance due to the excessive convexity of the seat, and it is easy for the mounting assistant to obtain relief. In addition, since the convex portion of the sheet can be recognized with the naked eye, a relief against the absorption performance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sheet can be easily obtain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is locat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상기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An auxiliary sheet located on the skin-facing side of the absorbent body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상기 보조 시트 및 상기 톱 시트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Wherein the auxiliary sheet and the top sheet are constituted by a nonwoven fabric,

상기 보조 시트의 섬유 간 거리는, 상기 톱 시트의 섬유 간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fiber distance of the auxiliary sheet is preferably longer than the inter-fiber distance of the top sheet.

보조 시트의 섬유 간 거리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보조 시트에 의해 체액을 인입하기 쉽다.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보다 인입성이 높은 보조 시트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톱 시트를 넘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 확산된 배설물을 보조 시트에 의해 흡수체에 인입할 수 있고, 배설물의 누설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inter-fiber distance of the auxiliary sheet is relatively long, it is easy to draw the body fluid by the auxiliary sheet. Since the auxiliary sheet having higher penetrability is arrang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the excretion diffus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eyond the top sheet can be drawn into the absorber by the auxiliary sheet, Can be further suppress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As such an absorbent article,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구비하고,And a pair of steric gathers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상기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ate that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is preferably located outside the inner edge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n the width direction.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가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전역에 톱 시트가 배치된다. 장착 보조자는, 톱 시트의 시트 볼록부 및 개구를 시인함으로써, 흡수 성능에 대한 안심감을 얻고 있고, 톱 시트의 배치 영역을 넓게 느껴, 보다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Since 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edge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n the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in the state before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 The attachment aide obtains a sense of security against the absorbing performance by viewing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top and the opening of the top sheet, feels a wider arrangement region of the top sheet, and more relief can be obtain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Regarding th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에 한정되지 않고, 속옷 또는 기저귀에 장착되는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Next, an embodiment of a disposable diaper 10 as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n the other hand,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posable diaper but includes an absorbent pad attached to the undergarment or the diap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that the proportions of the dimensions and the lik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real world. Therefore, specific dimensions and the like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the drawings may also include mutually different portions or portions having different ratios.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개략 구성(1) Overall outline configuration of disposable diaper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톱 시트(50), 사이드 시트(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입체 개더 및 허리 신축부 등의 신축 부분을 신장시킨 신장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lan view of the disposable dia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 is a developed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rinkle such as the topsheet 50, the side sheet 70, etc. constituting the disposable diaper is not formed, a stretched state in which a stretchable portion such as a three-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영역(25)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 몸통 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뒤 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뒤 몸통 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영역(25)은,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 몸통 둘레 영역(30)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L)이라고 부르고,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W)이라고 부르며,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T1)과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두께 방향(T)이라고 부른다.The disposable diaper 10 has a front waist region 20, a crotch region 25, and a rear waist region 30. The front waist region 20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ront waist region (abdomen portion) of the wearer. The rear waist region 30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waist region (abdomen portion) of the wearer. The crotch region 25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20 and the rear waist region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waist region 20 to the rear waist region 30 is referred to as a back-and-forth direction L,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L is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W , And a direction extending to the skin-facing side T1 of the wearer and the skin-facing side T2 is referred to as the thickness direction T. [

일회용 기저귀(10)는, 흡수체(40)를 갖는다. 흡수체(40)는, 가랑이 영역(25)을 걸쳐,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4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영역(25),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걸쳐 배치된다. 흡수체(40)는, 흡수 코어(40a)와 코어 랩(40b)을 갖고 있다.The disposable diaper 10 has an absorbent body 40. The absorbent body 40 extends over the crotch region 25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waist region 20 and the rear waist region 30. The absorbent body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ver the front waist region 20, the crotch region 25, and the rear waist region 30. The absorbent body 40 has an absorbent core 40a and a core wrap 40b.

흡수체(40)의 가랑이 영역(25)에는, 흡수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폭 방향의 외측단)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저단위중량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흡수 코어(40a)의 양 외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흡수 코어(40a)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는, 흡수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폭 방향의 길이는, 전측으로 향함에 따라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저단위중량부(41) 및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주위의 흡수 코어보다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낮은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저단위중량부(41) 및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절결이다. 한편, 제1 저단위중량부(41) 및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A first low unit weight portion 41 is formed in the crotch region 25 of the absorbent core 40 so as to exten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core 40a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 The first low-unit weight portion 41 is disposed at both outer edges of the absorbent core 40a and is spaced apart in the back-and-forth direction L. As shown in Fig. The rear waist region 30 of the absorbent core 40a is formed with a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42 extending forward from the rear end edge of the absorbent core 40a. The length of the second low unit weight portion 42 in the width direction is shortened toward the front side. The first low-unit weight portion 41 and the second low-basis weight portion 42 are portions where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material is low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absorbent core. The first low-unit weight portion 41 and the second low-unit weight portion 42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ch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low-unit weight portion 41 and the second low-unit weight portion 42 may not be formed.

흡수체(40)의 피부 대향면측(T1)에는, 액 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된다. 톱 시트(5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접촉면을 구성하고, 착용자에게 접한다. 톱 시트(5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영역(25),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걸쳐 배치된다. 톱 시트(50)는, 섬유를 갖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톱 시트(50)의 외측 가장자리는, 흡수체(4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톱 시트(50)에 대해서는, 후술로 상세히 설명한다.A liquid permeable top sheet (50) is provided on the skin-facing side (T1) of the absorbent body (40). The topsheet (50) constitutes the skin-contacting surface of the disposable diaper (10) and contacts the wearer. The topsheet 50 is disposed over the front waist region 20, the crotch region 25, and the rear waist region 30. The topsheet 50 has fibers, and specifically, it can be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The outer edge of the topsheet 50 is position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r 40. The top sheet 5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톱 시트(50)와 흡수체(40) 사이에는, 보조 시트(45)가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보조 시트(45)의 외측 가장자리는, 톱 시트(5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한다. 보조 시트는, 톱 시트(50)보다 폭 방향의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40)의 피부 대향면측을 덮는다. 보조 시트(45)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보조 시트(45)의 섬유 간 거리는, 톱 시트(50)의 섬유 간 거리보다 길다. 보조 시트의 섬유 간 거리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보조 시트에 의해 체액을 인입하기 쉽다.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보다 인입성이 높은 보조 시트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톱 시트를 넘어 폭 방향의 외측으로 확산된 변을 보조 시트에 의해 흡수체측으로 인입할 수 있고, 변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시트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보조 시트를 갖지 않는 형태에 있어서는, 톱 시트가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설치된다.An auxiliary sheet 45 is provided between the topsheet 50 and the absorbent body 40 (see Fig. 2). The outer edge of the auxiliary sheet 45 is located outside the widthwise direction W of the top sheet 50 than the outer edge thereof. The auxiliary sheet covers the skin-facing side of the absorbent body 40 in the area outside the top sheet 50 in the width direction. The auxiliary sheet 45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The inter-fiber distance of the auxiliary sheet 45 is longer than the inter-fiber distance of the topsheet 50. Since the inter-fiber distance of the auxiliary sheet is relatively long, it is easy to draw the body fluid by the auxiliary sheet. Since the auxiliary sheet having higher penetrability is arrang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the side diffus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eyond the top sheet can be led to the absorbent side by the auxiliary sheet, Leakage can be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sheet may not be provided. In the form having no auxiliary sheet, the top sheet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섬유 간 거리는, 수은 압입법(JIS R 1655)에 준거하여, 수은 포로시미터(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수은 압입법은, 수은을 측정 대상물인 섬유 구조체(톱 시트 및 보조 시트)의 구성 섬유 사이에 압입했을 때의 수은에 가해진 압력과, 섬유 구조체의 구성 섬유 사이의 공간 내에 압입된 수은의 용적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섬유 구조체의 구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 interfiber distance can be measured using a mercury porosimeter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Co., Ltd.) according to the mercury intrusion method (JIS R 1655). This mercury infus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mercury is pressuriz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ercury when the mercury is pressed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fiber structure (the top sheet and the auxiliary sheet) to be measured and the volume of mercury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fiber structure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of the fiber structure can be obtained.

구체적으로는, 섬유 구조체의 섬유 간 거리는, 수은 포로시미터를 이용하여 이하의 순서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ber-to-fiber distance of the fiber structure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procedure using a mercury porosimeter.

1) 측정 대상물인 섬유 구조체를 24 ㎜×15 ㎜로 커트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작한다. 이 측정용 샘플은, 3장 제작한다.1) A fiber sample to be measured is cut into 24 mm 15 mm to prepare a sample for measurement. Three samples of this measurement sample are produced.

2) 3장의 측정용 샘플을,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수은 포로시미터(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의 샘플 셀에 세트한 후, 수은에 가하는 압력을 서서히 변화시키면서, 섬유 구조체의 구성 섬유 사이의 공간(즉, 세공(細孔)) 내에 압입된 수은의 체적(즉, 세공 용적)을 측정한다. 한편, 측정은, 22℃, 65% RH의 환경하에서 행한다.2) The three measurement samples were set in a sample cell of a mercury porosimeter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Co., Lt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e pressure to be applied to the mercury was gradually changed, (That is, the pore volume) of the pressurized mercury in the space (that is, the pore) between the electrodes. 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under the environment of 22 deg. C and 65% RH.

3) 하기의 식 (1)에 따라 상기 세공의 구멍 직경 D(㎛)(즉, 섬유 구조체의 섬유 간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구멍 직경 D와 상기 세공 용적의 관계를, 상기 구멍 직경 D의 분포 곡선(미분·적분 곡선)으로서 얻는다. 한편, 하기의 식 (1)에 있어서의 각종 측정 조건은, 수은의 표면 장력이 0.483 N/m, 접촉각이 130°, 수은 압력이 0∼414 ㎫(절대압)이다.3) The pore diameter D (μm) of the pores (that is, the inter-fiber distance (탆) of the fiber structur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e diameter D and the pore volume Is obtained as a distribution curve of the diameter D (differential integral curve). On the other hand, the various measurement conditions in the following formula (1) are as follows: the surface tension of mercury is 0.483 N / m, the contact angle is 130 deg., And the mercury pressure is 0-414 MPa (absolute pressure).

식 (1) D=-4γcosθ/PEquation (1) D = -4? Cos? / P

(식 중, D는 구멍 직경(섬유 간 거리), γ는 수은의 표면 장력, θ는 접촉각, P는 압력을 나타낸다.)(Where D is the pore diameter (inter-fiber distance),? Is the surface tension of mercury,? Is the contact angle, and P is the pressure.)

흡수체(4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는, 액 불투과성의 백 시트(60a)가 구비된다. 백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는, 외장 시트(60)가 구비된다.A liquid-impermeable back sheet 60a is provid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2 of the absorbent body 40. [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an external sheet 60 is provided.

일회용 기저귀(10)의 폭 방향의 중심보다 폭 방향의 양 외측에는, 한 쌍의 입체 개더(80)가 배치된다. 입체 개더(80)는,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성의 개더이다. 입체 개더(80)는, 사이드 시트(70)와, 탄성 부재로서의 사이드 탄성 부재(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A pair of solid gathers 80 are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10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80 are standers capable of standing on the wearer's side. The three-dimensional gatherer 80 is constituted by a side sheet 70 and a side elastic member 71 as an elastic member.

사이드 시트(70)의 내측 가장자리측에는, 전후 방향(L)으로 신축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배치된다. 한 쌍의 입체 개더(80)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의 중심을 대칭축으로 하여 거의 선대칭이다. 각 입체 개더(80)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71)를 갖고,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83)와, 기립부(83)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기립부(83)의 기립(상승)의 기점이 되는 제1 고정부(81)와, 기립부(83)보다 전후 방향(L)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기립부(83)의 상승의 기점이 되는 제2 고정부(82)를 갖는다. 기립부(83)의 전단 가장자리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82)의 후단 가장자리에 일치하고, 기립부(83)의 후단 가장자리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81)의 전단 가장자리에 일치한다.On the side of the inner edge of the side sheet 70, a side elastic member 71 that extends and retract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is disposed. The pair of steric gathers 80 are substantially line-symmetrical abou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osable diaper as symmetrical axes.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ers 80 includes a standing elastic member 71 having a side elastic member 71 extending and retrac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having an erecting portion 83 standing upright to the wearer's side and an erecting portion 83 located outside the erecting portion 83 in the width direction, 83 which are locat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rising section 8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and which are the starting points of the rise of the rising section 83, 2 fixing portion 82. [ The front end edge of the rising portion 83 coincides with the rear end edg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82 disposed in the front waist region 20 and the rear end edge of the rising portion 83 coincides with the rear waist region 30 Of the first fixing portion 81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81.

사이드 시트(70)는, 톱 시트(50)의 외측 가장자리 및 보조 시트(45)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는다.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사이드 시트(70)의 내측 가장자리)는,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가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전역에 톱 시트가 배치된다. 장착 보조자는, 톱 시트를 시인함으로써, 흡수 성능에 대한 안심감을 얻고 있고, 톱 시트의 배치 영역을 넓게 느껴, 보다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The side sheet 70 covers 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50 and the outer edge of the auxiliary sheet 45. [ The inner edge (the inner edge of the side sheet 70)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s locat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in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Since the outer edge of the top sheet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edge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n the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in the state before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 The attachment aide obtains a sense of security against the absorbing performance by viewing the topsheet, feels a wider arrangement area of the topsheet, and more relief can be obtained.

사이드 시트(70)는, 제1 고정부(81) 및 제2 고정부(82)에 있어서, 톱 시트(50) 또는 보조 시트(45) 상에 접합되어 있다. 기립부(83)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제2 고정부(8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톱 시트(50)에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톱 시트(50) 등으로부터 상승 가능하다. 기립부(83)는, 사이드 탄성 부재가 수축한 상태에서 착용자측으로 기립한다. 기립부(83)는,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측으로 기립한다. 기립부(83)는,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수축 가능하게 배치된 수축 영역(84)을 갖는다. 수축 영역(84)은, 일회용 기저귀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신장한 상태로 접합된 영역이다. 수축 영역(84)은, 기립부(83)에 있어서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고, 비신장 상태의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접합된 영역을 제외하며, 또한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사이드 시트(70)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입체 개더(80)는, 흡수체(40)의 외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측(T1)으로 상승하는 벽을 형성하여,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방지한다.The side sheet 70 is bonded on the top sheet 50 or the auxiliary sheet 45 in the first fixing portion 8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82. The rising portions 83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ortions 8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and can be lifted from the top sheet 50 or the like because they are not joined to the top sheet 50 . The standing portion 83 stands up to the wearer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The standing portion 83 stands up to the wearer in a state in which the disposable diaper is worn. The standing portion 83 has a shrinkage region 84 in which the side elastic members 71 are arranged to shrink. The shrinking region 84 is a region where the side elastic members 71 are stretched in a stretched state in which the disposable diaper is stretched. The shrinking region 84 is formed by excluding the region where the side elastic members 71 in the non-stretched state are joined except for the region where the side elastic members 71 are not disposed in the rising portions 83, And a reg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71 is not bonded to the side sheet 70 is excluded. The three-dimensional gatherer 80 forms a wall that rises to the skin-facing side T1 at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r 40, thereby preventing lateral leakage of the excreta.

일회용 기저귀(1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10)에는, 다리 둘레 개구부(13)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 쌍의 레그 신축부(75)가 구비된다. 레그 신축부(75)는, 좌우의 다리 둘레 개구부(13)보다 폭 방향 내측에 각각 배치된다.Around the outer edge of the disposable diaper 10, a leg-hole opening portion 13 disposed around the wearer's legs is formed. The disposable diaper 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g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s 75 which are disposed inside the leg-openings 13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 The leg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75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left and right leg-hole openings 13, respectively.

패스닝 테이프(90)는, 한 쌍이며,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70)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시트(70)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타겟부(95)에 고정하는 고정부(91)를 갖는다. 고정부(91)는, 예컨대, 결합 후크가 설치된 부분이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타겟부(95)에 고정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의 고정부(91) 사이의 영역은, 장착 시에 신체에 유지되는 영역이고, 몸통 둘레 유지부를 구성한다.The fastening tapes 90 are a pair and exten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from the side sheet 70 in the rear waist region 30. [ The fastening tape (90) is attached to the side sheet (70). The fastening tape 90 has a fixing portion 91 for fixing to the target portion 95 of the front waist region 20. The fixing portion 91 is, for example, a portion provided with a coupling hook. The fastening tape 90 is fixed to the target portion 95 of the front waist region 20 to thereby hold the disposable diaper 10 on the wearer's body. The region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s 91 of the pair of fastening tapes is an area held by the body at the time of mounting, and constitutes the waist holding portion.

타겟부(95)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타겟부(95)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결합 후크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후크와 루프의 걸림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한편, 일회용 기저귀는, 패스닝 테이프(90) 및 타겟부(95)를 갖지 않는 팬츠형의 기저귀여도 좋다. 팬츠형의 기저귀에 있어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을 접합하는 사이드 접합부 사이의 영역이 몸통 둘레 유지부를 구성한다.The target portion 95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kin sheet non-facing surface side T2 of the outer sheet 60 of the front waist region 20. The target portion 95 is configured to catch the coupling hook of the fastening tape 90 and functions as a loop of the hook and loop engagement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disposable diaper may be a pants-type diaper without the fastening tape 90 and the target portion 95. In the pants-type diaper, a region between the side joint portions joining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forms the waist-surrounding holding portion.

일회용 기저귀(10)는,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신축부(85)를 갖는다. 허리 신축부(85)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배치된다. 허리 신축부(85)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9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패스닝 테이프(90) 사이를 폭 방향으로 수축한다. 허리 신축부(85)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The disposable diaper 10 has a waist stretchable portion 85 which is stretchable in the width direction. The waist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85 is disposed in the rear waist region 30. The waist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85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tapes 90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tracts between the fastening tapes 90 in the width direction. The waist elastic portion 85 may not be formed.

(2) 톱 시트의 구성(2) Construction of the top sheet

계속해서, 톱 시트(5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톱 시트의 확대 평면도이다. 톱 시트(50)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51)와, 시트 볼록부(51) 사이에 형성된 시트 오목부(52)를 갖는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시트 볼록부(51) 및 시트 오목부(52)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시트 볼록부(51)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 돌출하고, 시트 오목부(52)는, 시트 볼록부(51) 사이의 공간이다. 시트 볼록부(51)는, 원뿔 형상이고, 피부 대향면측(T1)으로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시트 볼록부(51)의 정상부는,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다. 시트 볼록부(51)는,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의 지그재그형이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지 않고,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이다. 시트 볼록부(51)는, 두께 방향(T)으로 연장되는 볼록벽부(59)를 갖는다. 볼록벽부(59)는, 시트 볼록부(51)의 정상부로부터 바닥부(53)까지 연장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topsheet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topsheet. The top sheet 50 has a sheet convex portion 51 projecting toward the skin facing surface T1 and a sheet concave portion 52 formed between the sheet convex portion 51. [ On the other hand, in Fig. 1 and Fig. 2, the sheet convex portion 51 and the sheet concave portion 52 are omitted. The sheet convex portion 51 protrudes toward the skin-facing side T1 of the disposable diaper 10 and the sheet concave portion 52 is a space between the sheet convex portions 51. [ The seat convex portion 51 is conical in shape and tapered toward the end toward the skin-facing side T1. The top portion of the seat convex portion 51 has a rounded shape. The seat convex portions 51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the widthwise direction W, and are arranged in a staggered shape in plan view. The zigzag shape here is not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but is arranged to be shifted in at least one of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L and the widthwise direction W. The seat convex portion 51 has a convex wall portion 59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 The convex wall portion 59 extends from the top of the convex portion 51 to the bottom portion 53.

시트 오목부(52)는, 시트 볼록부(51)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공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오목부(52)는, 볼록벽부(59) 및 바닥부(5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시트 오목부(52)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면은, 바닥부(53)이고, 시트 오목부(52)의 피부 대향면은, 볼록벽부(59)의 정상부끼리를 연결한 가상면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시트 오목부(52)의 영역에 사선을 붙여 나타낸다.The seat concave portion 52 is a space sandwiched by the seat convex portion 51. More specifically, the seat concave portion 52 is a space surrounded by the convex wall portion 59 and the bottom portion 53. The surface of the sheet concave portion 52 on the side of the skin non-opposing face T2 is the bottom portion 53 and the skin facing surface of the sheet concave portion 52 is a virtual plane connecting the peak portions of the convex wall portion 59 to be. 4 and 5, the region of the sheet recess 52 is indicated by an oblique line.

바닥부(53)는,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으로 연장된다. 시트 볼록부(51) 사이에는, 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54)는, 바닥부(53)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시트 볼록부(51), 시트 오목부(52), 바닥부(53) 및 개구(54)는, 톱 시트(50)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시트 볼록부(51), 시트 오목부(52), 바닥부(53), 및 개구(54)는, 톱 시트(50)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bottom portion 53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and the widthwise direction W.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51, an opening 54 is formed. The opening 54 penetrates the bottom portion 53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eat convex portion 51, the seat recess 52, the bottom portion 53, and the opening 54 are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topsheet 50. The seat convex portion 51, the seat recess 52, the bottom portion 53 and the opening 54 may be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topsheet 50. [

톱 시트(50)는,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을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에 상이한 사선을 붙여 나타낸다. 제1 영역(R1)은, 적어도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영역(R1) 상에는, 주로 변이 배출된다. 제1 영역(R1) 상에 변이 배출되면, 변은, 시트 볼록부(51) 사이의 시트 오목부(52)에 수용된다. 제2 영역(R2)은, 제1 영역(R1)보다 전측이고, 적어도 가랑이 영역(25)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영역(R2) 상에는, 주로 소변이 배출된다. 제1 영역(R1) 상에 소변이 배출되면, 소변은, 시트 오목부(52)에 의해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으로 확산되면서, 흡수체(40)로 유도된다. 제2 영역(R2)은, 적어도 제1 영역(R1)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제2 영역(R2)은, 톱 시트(50)의 제1 영역(R1) 이외의 영역 전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영역(R1)은, 평면에서 보아 제2 영역(R2)에 둘러싸여 있다.The topsheet 50 has a first region R1 and a second region R2. In Fig. 1,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re indicated by different oblique lines. The first region (R1) is disposed at least in the rear waist region (30). Therefore, mainly the debris is discharged on the first region R1. The side is accommodated in the seat recess 52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51. In this case, The second region R2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region R1 and at least in the crotch region 25. [ Therefore, urine is mainly discharged onto the second region R2. When the urine is discharged onto the first region R1, the urine is guided to the absorbent body 40 while being diffu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and the widthwise directions W by the seat recesses 52. [ The second region R2 of the top sheet 50 may be arrang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first region R1 of the top sheet 50. The second region R2 may be disposed at least in front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first region R1 is surrounded by the second region R2 in plan view.

도 4 및 도 6은 제1 영역(R1)의 톱 시트(5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7은 제2 영역(R2)의 톱 시트(5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시트 볼록부(51)는, 제1 영역(R1)의 시트 볼록부(51)인 제1 볼록부(511)와, 제2 영역(R2)의 시트 볼록부(51)인 제2 볼록부(512)를 갖는다. 시트 오목부(52)는, 제1 영역(R1)의 시트 오목부(52)인 제1 오목부(521)와, 제2 영역(R2)의 시트 오목부(52)인 제2 오목부(522)를 갖는다. 바닥부(53)는, 제1 영역(R1)의 바닥부(53)인 제1 바닥부(531)와, 제2 영역(R2)의 바닥부(53)인 제2 바닥부(532)를 갖는다. 개구(54)는, 제1 영역(R1)의 개구(54)인 제1 개구(541)와, 제2 영역(R2)의 개구(54)인 제2 개구(542)를 갖는다. 개구(54)는, 적어도 제1 영역(R1)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Fig. 4 and Fig. 6 schematically show the top sheet 50 of the first region R1. 5 and 7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topsheet 50 of the second region R2. The sheet convex portion 51 is formed by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which is the convex portion 51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11 which is the convex portion 51 of the second region R2 512). The sheet recess 52 is formed by a first concave portion 521 which is a sheet concave portion 52 of the first region R1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521 which is a sheet concave portion 52 of the second region R2 522). The bottom portion 53 is formed by the first bottom portion 531 which is the bottom portion 53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bottom portion 532 which is the bottom portion 53 of the second region R2 . The opening 54 has a first opening 541 which is an opening 54 in the first region R1 and a second opening 542 which is an opening 54 in the second region R2. The opening 54 may be formed at least in the first region R1.

제1 영역(R1)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형상은, 제2 영역(R2)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형상과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제1 볼록부(511)의 형상과 제2 볼록부(512)의 형상은, 상이하다. 시트 볼록부(51)의 형상이 상이한 구성이란, 시트 볼록부(51)의 폭 방향의 길이, 시트 볼록부(51)의 전후 방향(L)의 길이, 시트 볼록부(51)의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 시트 볼록부(51)의 피치, 및 시트 볼록부(51)의 평면에서 본 형상(원형·직사각형 등)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의 톱 시트(50)는, 제1 볼록부(511)의 높이(511H)와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가 상이하고, 제1 볼록부(511)의 피치(P1)와 제2 볼록부(512)의 피치(P2)가 상이하다. 제1 볼록부(511)의 형상과 제2 볼록부(512)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제1 영역(R1)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장착 보조자는, 제1 볼록부(511)의 형상과 제2 볼록부(512)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톱 시트의 성능과,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톱 시트의 성능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고, 소변과 변이 적절히 흡수된다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The shape of the topsheet 50 in the first region R1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topsheet 50 in the second region R2. More specifically, at least the shap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and the shap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are differ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heet convex portions 51 are different in shape means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convex portion 51,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of the sheet convex portion 51, At least a part of the shape (circle, rectangle, etc.) seen from the plane of the sheet convex portion 51 is different. The top sheet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op sheet 50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height 511H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is different from the height 512H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and the pitch 511H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P1 and the pitch P2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hap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differs from the shap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so that the mounting assistant can easily recognize the first region R1. Since the shap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and the shap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ounting aids are different in performance between the topsheet disposed in the crotch reg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topsheet disposed in the rear waist region,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sense of assurance that the urine and the stool are properly absorbed.

또한, 제1 오목부(521)의 형상과 제2 오목부(522)의 형상이 상이해도 좋다. 시트 오목부(52)의 형상이 상이한 구성이란, 시트 오목부(52)의 폭 방향(W)의 길이, 시트 오목부(52)의 전후 방향(L)의 길이, 시트 오목부(52)에 형성된 개구(54)의 형상, 개구(54)의 위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구성이다.The shap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and the shape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52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at recesses 5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seat recess 52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length of the seat recess 5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At least a part of the shape of the formed opening 54 and the position of the opening 54 are different.

제1 영역(R1)의 톱 시트(50)에는, 제1 볼록부(511)와, 제1 오목부(521)와, 중간부(58)와, 제1 바닥부(531)와, 제1 개구(541)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58)는, 인접하는 제1 볼록부(51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58)의 높이는, 제1 볼록부(511)의 높이보다 낮다. 중간부(58)는, 제1 바닥부(531)보다 피부 대향면측(T1)으로 돌출한다. 중간부(58)의 정상부는,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위치한다. 중간부(58) 주위에는, 제1 바닥부(531)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부(58)가 형성된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4에 도시된 단면)에 있어서, 톱 시트(50)에는, 제1 볼록부(511), 제1 오목부(521), 제1 볼록부(511)의 순서로, 각 부분이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1 오목부(521) 내에 있어서, 제1 바닥부(531), 제1 개구(541), 제1 바닥부(531), 중간부(58), 제1 바닥부(531), 제1 개구(541), 제1 바닥부(531)의 순서로, 각 부분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부(58)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중간부(58) 대신에 제1 볼록부(511)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topsheet 50 of the first region R1 is provided with a first convex portion 511, a first concave portion 521, an intermediate portion 58, a first bottom portion 531, An opening 541 is formed. The intermediate portion 58 is formed between adjacent first convex portions 511. The height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8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The intermediate portion 58 protrudes from the first bottom portion 531 toward the skin facing surface T1. The top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8 is located on the skin non-opposed surface side T2 than the top portion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 Around the intermediate portion 58, a first bottom portion 531 is disposed.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511 are formed in the top sheet 50 in the cross section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4) The first bottom portion 531, the first bottom portion 531, the middle portion 531, the first bottom portion 531, the second bottom portion 531, The first bottom portion 531, the first opening 541, and the first bottom portion 531, in that order from the bottom.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portion 58 may not be formed, and instead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8,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may be formed.

제2 영역(R2)의 톱 시트(50)에는, 제2 볼록부(512)와, 제2 오목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톱 시트(50)에는,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2 볼록부(512)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단면(도 5에 도시된 단면)에 있어서, 톱 시트(50)에는, 제2 볼록부(512), 제2 오목부(522), 제2 볼록부(512)의 순서로, 각 부분이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오목부(522) 내에 있어서, 제2 바닥부(532), 제2 개구(542), 제2 바닥부(532)의 순서로, 각 부분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A second convex portion 512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522 are formed on the top sheet 50 of the second region R2. No intermediate portion is formed on the top sheet 50 of the second region R2. The second convex portions 512 are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The second concave portion 522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are formed on the top sheet 50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region R2 The second bottom portion 532, the second opening 542, and the second bottom portion 532 are arranged in this order in the order of the first recess portion 522, the second recess portion 522, Respectively.

톱 시트(50)에는, 복수의 시트 오목부(52) 및 시트 볼록부(5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톱 시트(50)와 흡수체(4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톱 시트(50)와 흡수체(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톱 시트(50)에 의해 인입한 체액을 상기 공간에 인입할 수 있고, 배설물을 신속하게 흡수체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톱 시트 상에 체액이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opsheet 50 and the absorbent body 40 because a plurality of the sheet recesses 52 and the sheet convexities 51 are formed in the topsheet 50. [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opsheet 50 and the absorbent body 40 so that the body fluid drawn by the topsheet 50 can be drawn into the space and the body fluid can be quickly absorbed by the absorbent body,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body fluid from remaining on the skin.

이와 같이 구성된 톱 시트(50)에 있어서, 제1 영역(R1) 상에 변이 배출되면, 변은, 제1 볼록부(511) 사이의 제1 오목부(521)에 수용된다. 변은, 제1 볼록부(511)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고, 제1 오목부(521) 내에 머무른다. 제1 오목부(521)에 변이 수용됨으로써, 착용자와 변의 접촉 면적이 적어진다. 변은, 제1 볼록부(511)에 의한 벽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일단 제1 볼록부(511) 사이에 수용된 변이 피부에 닿은 경우에, 제1 볼록부 사이로부터 변이 나와 착용자에게 재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변이 피부에 부착되는 면적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볼록부(511) 사이에 중간부(5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볼록부(511) 사이의 공간 내의 배설물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으로 확산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1 볼록부(511)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고, 제1 오목부(521)는,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따라 확산되기 어렵다.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무른 대변은, 제1 오목부(521)의 제1 개구(541)를 통해 흡수체(40)로 이행한다.In the topsheet 5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des are discharged on the first region R 1, the sides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sses 521 between the first projections 511. The sides are sandwiched by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and stay in the first concave portions 521. [ By accommodating the sides in the first recess 521,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earer and the sides is reduced. Since the sides are sandwiched by the walls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when the mutually accommodated one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dhes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area attached to the mutated skin. The provis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8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makes it difficult for the excrement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to diffus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and the width directions W .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are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s 521 are di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 Therefore, the side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is difficult to diffuse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 The fluff fece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ter shifts to the absorber 40 through the first opening 541 of the first recess 521.

이와 같이 구성된 톱 시트(50)에 있어서, 제2 영역(R2) 상에 소변이 배출되면, 소변은, 제2 볼록부(512) 사이의 제2 오목부(522)를 통해, 전후 방향(L)에 대해 경사지고, 또한 폭 방향(W)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 방향으로 확산된다. 소변은, 유동성이 높고, 제2 바닥부(532)를 따라 평면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제2 바닥부(532)에 형성된 제2 개구(542)를 통해 흡수체(40)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제2 영역(R2)에 있어서 소변을 확산시켜, 신속하게 소변을 흡수체로 이행시키고, 또한 제1 영역(R1)에 있어서 무른 대변 및 체액을 흡수체(40)로 이행시키면서, 고형의 변을 계속 유지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체액이나 무른 대변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톱 시트의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에 의해, 성질이 상이한 소변과 변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다.When the urine is discharged onto the second region R2 of the top sheet 50 thus configured, the urine is supplied to the back side of the second region R2 through the second concave portion 522 between the second convex portions 512, ,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 The urine flows into the absorber 40 through the second opening 542 formed in the second bottom portion 532 while being highly fluid and diffusing in the planar direction along the second bottom portion 532. As described above, the urine is diffused in the second region R2, the urine is quickly transferred to the absorbent body, and the stool and body fluids are transferred to the absorbent body 40 in the first region R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ttachment of body fluid or loose feces to the skin of the wearer and to improve the feeling of wearing.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of the topsheet can appropriately absorb the urine and the side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제1 영역(R1)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높이(제1 바닥부(531)로부터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까지의 길이이고, 제1 볼록부(511)의 높이(511H)에 상당함)(R1H)는, 제2 영역(R2)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높이(제2 바닥부(532)로부터 제2 볼록부(512)의 정상부까지의 길이이고,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에 상당함)(R2H)보다 높다. 제1 영역(R1)에 있어서의 톱 시트(50)의 높이가 비교적 높음으로써, 제1 영역(R1)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와 흡수체(40)를 분리할 수 있고, 흡수체(40)에 의해 흡수된 체액이 피부측으로 되돌아가기 어려워져, 착용자의 피부를 드라이한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진다.The height of the topsheet 50 in the first region R1 from the first bottom 531 to the top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and the height 511H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 R1H is a length of the topsheet 50 in the second region R2 from the second bottom 532 to the top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Corresponding to the height 512H of the two convex portions 512). The height of the topsheet 50 in the first region R1 is relatively high so that the skin of the wearer can be separated from the absorbent body 40 in the first region R1, The absorbed body fluid becomes difficult to return to the skin side, and the skin of the wearer can be easily maintained in a dry state.

제1 볼록부(511)의 높이(제1 바닥부(531)로부터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까지의 길이)(511H)는, 제2 볼록부(512)의 높이(제2 바닥부(532)로부터 제2 볼록부(512)의 정상부까지의 길이)(512H)보다 높다. 제1 영역(R1) 상에 배출된 변은, 제1 볼록부(511) 사이의 제1 오목부(521)에 수용된다. 이때, 제1 볼록부(511)의 높이(511H)가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보다 높기 때문에, 제1 볼록부(511)에 의한 벽을 비교적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변을 사이에 끼우는 벽이 높기 때문에, 일단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을 제1 볼록부(511)에 의해 유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의 표면에 착용자의 피부가 닿았을 때에, 제1 오목부(521) 내에 변을 계속 유지하여, 제1 오목부(521)로부터 변이 나와 착용자에게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eight 511H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the length from the first bottom 531 to the top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is the heigh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The length from the second convex portion 532 to the top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512H. The sides discharged onto the first region R1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 At this time, since the height 511H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is higher than the height 512H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the wall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can be formed relatively high. The side wall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can be easily held by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because the wall sandwiching the sides is high. As a result, when the wearer's skin touches the surface of the side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the side is continuously hel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dhered.

또한, 제1 볼록부(511)의 높이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제1 영역(R1)에 있어서 피부와 흡수체(40)의 간극이 커진다. 통기성이 높아지고, 기저귀 내부의 공기가 기저귀 외부로 유출되어, 짓무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11) 사이에 변이 수용되기 전에 있어서, 제1 영역(R1)에 체압이 가해져 제1 볼록부(511)가 찌부러진 상태와, 제1 영역(R1)에 체압이 가해지지 않아 제1 볼록부(511)가 기립한 상태로 톱 시트(50)의 두께는 변화한다. 제1 볼록부(511)의 높이가 비교적 높음으로써, 체압의 유무에 의한 톱 시트(50)의 두께차가 커지고, 공기가 보다 흐르기 쉬워져, 짓무름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기 쉽다. 덧붙여, 제1 볼록부(511) 사이에 많은 변을 수용할 수 있고, 자중에 의해 변이 개구(54)를 통과하기 쉬워지며, 개구(54)를 통해 흡수체(40)로 유도하는 변의 양을 늘릴 수 있다.Further, since the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is relatively high, the gap between the skin and the absorbent body 40 in the first region R1 becomes large. The air permeability is increased, and the air in the diaper flows out to the outside of the diaper, and the erosion can be suppress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a state in which the body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region R1 so that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is crush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body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region Rl before the side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is accommodated The thickness of the top sheet 50 change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stands up. Since the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is relatively high, the thickness difference of the topsheet 50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ody pressure is increased, and the air is more easily flowed, and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ridging is easily obtained.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sides can be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and the self-weight facilitates the passage of the transition through the opening 54, and the amount of the side guided to the absorber 40 through the opening 54 is increased .

한편,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가 제1 볼록부(511)의 높이(511H)보다 낮기 때문에, 제2 영역(R2)에 있어서의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랑이 영역(25)은, 착용자의 배설구에 접한다. 가랑이 영역(25)은, 뒤 몸통 둘레 영역(30)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25)에 닿는 제2 영역(R2)의 제2 볼록부(512)의 높이(512H)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영역(R2)이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이 피부에 밀착된 경우라도, 제2 볼록부(512)에 의한 피부에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촉감이 향상되고, 착용자의 장착감이 향상된다. 이러한 장착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2 영역(R2)의 면적은, 제1 영역(R1)의 면적보다 넓어도 좋다. 촉감이 적합한 제2 영역(R2)의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장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볼록부(512)의 높이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제2 오목부(522)의 수용 공간이 작아져, 제1 영역(R1)에 수용된 변이 제2 영역(R2)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height 512H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is lower than the height 511H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the touch in the second region R2 can be improved. The crotch region 25 is in contact with the excretion of the wearer. The crotch region 2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wearer as compared with the rear waist region 30. The height 512H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of the second region R2 contacting the crotch region 25 is suppressed so that even when the crotch region where the second region R2 is place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kin The contact with the skin by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can be made smooth. The feel is improved, and the feeling of wearing of the wearer is improved. The area of the second region R2 may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region R1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such mounting feeling. By providing a larger area of the second area R2 suitable for the touch,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mounting feeling. Since the heigh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is relatively low,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522 is reduced, and the flow of the side wall of the first region R1 into the second region R2 is suppressed .

제1 볼록부(511)의 피치(P1)는, 제2 볼록부(512)의 피치(P2)보다 길다. 제1 볼록부(511)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 변의 수용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톱 시트(50) 상에 배출된 변은, 제1 볼록부(511) 사이에 수용되고, 제1 볼록부(511) 상에 남기 어려워진다. 착용자의 피부에 변이 계속 닿는 것을 억제하고,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11) 사이에 많은 변을 유지할 수 있고, 변의 자중이 증가한다. 섬유를 갖는 톱 시트에 있어서는, 변의 자중이 증가함으로써, 변 내에 포함되는 수분이 섬유 사이의 간극을 통해 흡수체에 투과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변 내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무른 대변이 피부에 계속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주로 소변을 흡수하는 제2 영역은, 매끄러운 촉감으로 할 수 있고, 주로 변을 흡수하는 제1 영역은, 흡수를 확실히 하는 것과 같은 두께가 있는 촉감으로 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1장의 톱 시트에 있어서, 촉감이 상이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는, 피부에 대해 부드러운 기능과, 변을 확실히 흡수하는 기능을 지각할 수 있다.The pitch P1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is longer than the pitch P2 of the second convex portions 512. [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is widened, and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sides can be formed wider. Therefore, the sides discharged onto the topsheet 50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and become difficult to remain o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tinuation of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wearer and to improve the feeling of wearing. In addition, many sides can be maintain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and the weight of the sides is increased. In the topsheet having fibers, the self-weight of the sides increases, so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ides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absorbent body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fib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transfer the water in the sides to the absorber, and to prevent the skin from adhering to the skin, which contains a lot of moisture. In addition, the second region mainly absorbing urine can be made to have a smooth touch, and the first region that absorbs mainly the side can be made to have a thickness such as to ensure absorption. By forming a portion having a different tactile sensation in a single top sheet of the disposable diaper, the wearer can perceive a smooth function for the skin and a function for reliably absorbing the side.

한편, 제1 볼록부의 피치는, 일정하지 않고, 중간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볼록부 사이의 피치는, 중간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1 볼록부 사이의 피치보다 길다. 가장 긴 제1 볼록부의 피치가, 가장 긴 제2 볼록부의 피치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tch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is not constant, and the pitch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arranged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therebetween is longer than the pitch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not disposed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itch of the longest first convex portions may be longer than the pitch of the second longest convex portions.

시트 볼록부(511) 높이는, 0.3 ㎜ 이상, 10.0 ㎜ 이하이고, 보다 적합하게는, 0.4 ㎜ 이상, 6.0 ㎜ 이하이며, 더욱 적합하게는, 0.5 ㎜ 이상, 4.5 ㎜ 이하이다. 시트 볼록부(51)의 피치는, 0.3 ㎜ 이상, 10.0 ㎜ 이하이고, 보다 적합하게는, 0.5 ㎜ 이상, 5.0 ㎜ 이하이며, 더욱 적합하게는, 1.0 ㎜ 이상, 4.5 ㎜ 이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트 볼록부(51)에 의하면, 시트 볼록부(51)가 지나치게 눈에 띄는 것에 의한 외관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장착 보조자가 안심감을 얻기 쉽다. 또한, 시트 볼록부(51)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시트 볼록부(51)에 의한 흡수 성능에 대한 안심감을 얻기 쉽다.The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511 is 0.3 mm or more and 10.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4 mm or more and 6.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5 mm or more and 4.5 mm or less. The pitch of the sheet convex portions 51 is 0.3 mm or more and 10.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5 mm or more and 5.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0 mm or more and 4.5 mm or less. According to the seat convex portion 5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comfort of the appearance caused by the excessive convexity of the seat convex portion 51, and it is easy for the mounting assisting person to obtain a relief. In addition, since the seat convex portion 51 can be recognized visually, it is easy for the mounting assistant to have a sense of security about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seat convex portion 51. [

개구의 치수는, 1.0 ㎜ 이상, 8.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5.0 ㎜ 이하이다. 개구가 클수록, 변의 투과성은 좋아지는 한편, 흡수 후의 변이 개공부로부터 되돌아올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시트 볼록부의 간격 및 폭에 따라, 상기 시트 볼록부의 간격 및 폭에 가까운 사이즈(차가 2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볼록부의 간격 및 폭에 가까운 사이즈의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와 기능면에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dimension of the opening is 1.0 mm or more and 8.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 mm or more and 5.0 mm or less. The larger the opening, the better the permeability of the sides.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sheet convex portion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x portions (the difference is 2 mm or less) . By forming the openings of a size close to the interval and the width of the seat convex portions,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m compatible with the visual image in terms of function.

제2 오목부(522)는, 제1 영역(R1)의 전단 가장자리(R1F)로부터 톱 시트(50)의 전단 가장자리까지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2 오목부(522)가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R1)의 전단 가장자리(R1F)로부터 톱 시트(50)의 전단 가장자리까지 체액을 원활히 확산시킬 수 있고, 넓은 면적으로 신속하게 소변을 흡수체(40)로 이행시킬 수 있다.The second concave portion 522 is continuously arranged from the front edge R1F of the first region R1 to the front edge of the top sheet 50. [ The body fluid can be smoothly diffused from the front edge R1F of the first region R1 to the front edge of the topsheet 50 and the urine can be quickly spread over a large area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absorber 40.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의 경계에 있어서, 제1 오목부(521)와 제2 오목부(522)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연속해 있다. 제1 오목부(521) 내의 공간과 제2 오목부(522) 내의 공간은 연통(連通)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 사이에서 배설물을 원활히 확산시킬 수 있다. 예컨대, 흡수성 물품의 장착 위치가 어긋나, 제2 영역(R2)에 변이 배출된 경우라도, 상기 변을 제1 영역(R1)으로 유도하여, 제1 영역(R1)에 의해 변을 수용 및 흡수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522 are continuous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L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space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and the space in the second concave portion 522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xcrement can be smoothly diffused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 For example, even whe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s shifted and the side is discharged to the second region R2, the side is guided to the first region R1 to receive and absorb the side by the first region R1 .

제1 영역(R1)에 있어서, 제1 볼록벽부(591)의 상승 각도(α)(도 4 참조)는, 제2 볼록벽부(592)의 상승 각도(β)(도 5 참조)보다 크다. 제1 볼록벽부(591)의 상승 각도(α)가 제2 볼록벽부(592)의 상승 각도(β)보다 크고, 제1 볼록벽부(591)는, 비교적 급한 경사가 된다. 그 때문에, 제1 볼록부(511)에 의해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배설물을 유지하기 쉽고, 일단 수용한 배설물이 제1 오목부(521)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4) of the first convex wall portion 591 is larger than the rising angle beta (see Fig. 5) of the second convex wall portion 592 in the first region R1. The elevation angle alpha of the first convex wall portion 591 is larger than the elevation angle beta of the second convex wall portion 592 and the first convex wall portion 591 becomes a relatively steep slope. Therefore, the excrement contain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can be easily retained by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and the excrement once received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제2 볼록벽부(592)의 상승 각도(α)가 제1 볼록벽부(591)의 상승 각도(β)보다 작고, 제2 볼록벽부(592)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가 된다. 제2 영역(R2)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25)에 배치된다. 가랑이 영역(25)은, 뒤 몸통 둘레 영역(30)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볼록벽부가 완만한 경사임으로써, 제2 영역(R2)이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이 피부에 밀착된 경우라도, 제2 볼록부(512)에 의한 피부에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The elevation angle alpha of the second convex wall portion 592 is smaller than the elevation angle beta of the first convex wall portion 591 and the second convex wall portion 592 becomes a relatively gentle slope. The second region R2 is disposed at least in the crotch region 25. [ The crotch region 2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wearer as compared with the rear waist region 30. Even when the crotch region where the second region R2 is locate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kin due to the gentle inclination of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R2, contact with the skin by the second convex portion 512 can be smoothly can do.

한편, 볼록벽부(59)의 상승의 각도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콜드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측정 대상의 시트를 취출하고, 측정 개소의 볼록부와 그 주변을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절단한다. 절단은, 예리한 날붙이(예컨대, 커터의 면도날)에 의해, 가능한 한 볼록한 곳이 찌부러지지 않도록 행한다. 절단한 시트에 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톱 시트를 수평면에 둔 상태에서, 절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20배로 확대하여 단면을 촬영한다. 촬영 단면에 대해, 수평면에 대한 볼록벽부의 피부 대향면측 표면(보풀이 인 섬유를 제외한 표면)의 상승 각도를 측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rising angle of the convex wall portion 59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A sheet to be measured is taken out of the absorbent article using a cold spray or the like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measurement point and its periphery are cut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The cutting is carried out by a sharp blade (for example, a razor of a cutter) so as not to collapse as convex as possible. In order to prevent wrinkles from being formed on the cut sheet, the cut sheet is magnified 20 times with a microscope while the top sheet is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and a section is photographed. For the photographing section, the rising angle of the skin-facing side surface of the convex wal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surface excluding the fibers with fluff) is measured.

제1 볼록벽부(591)에 있어서의 섬유 및 제2 볼록벽부(592)에 있어서의 섬유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보다, 톱 시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를 많이 갖는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시트 볼록부(51)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공간을 유지하기 쉽고, 시트 볼록부(51)의 피부에의 접촉이 부드러워지며, 착용자가 푹신푹신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T)으로 배향된 섬유에 의해, 두께 방향(T)으로 체액을 유도하기 쉽다. 따라서, 시트 볼록부(51)의 높이를 높게 구성한 경우라도, 볼록벽부(59) 내의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체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The fibers in the first convex wall portion 591 and the fibers in the second convex wall portion 592 have a large number of fibers orient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sheet than the fibers orient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 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the space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of the seat convex portion 51 is easily retained, the contact of the seat convex portion 51 to the skin is smooth, and the wearer can obtain a fluffy feel. In addition, it is easy to induce the body flui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by the fibers orien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 Therefore, even when the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51 is set high, the body fluid in the convex wall portion 59 can be quickly guided to the absorber side.

한편, 볼록벽부의 섬유 배향이 두께 방향으로 배향된다는 것은, 시트 볼록부 및 시트 오목부가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섬유가 두께 방향(시트의 피부면측으로부터 비피부면측의 방향)에 대해, +45도 내지 -45도의 범위 내에 배향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섬유 배향의 측정은, 가부시키가이샤 기엔스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을 이용하여 행하고, 이하의 측정 방법으로 행하였다. (1) 샘플을 관찰대 상에 볼록벽부 표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세트하고, (2) 불규칙하게 전방으로 튀어나온 섬유를 제외하고 샘플의 가장 전방의 섬유에 렌즈의 핀트를 맞춰, (3) 샘플의 3D 화상을 PC 화면상에 작성. 다음으로 (4) 3D 화상을 2D 화상으로 변환하고, (5) 측정 범위에 있어서 볼록벽부의 두께 방향을 적시 등분하는 평행선을 화면상에 복수 그린다. (6) 평행선을 그려 세분화한 각 셀에 있어서, 각각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섬유 개수를 측정하고, 그리고 (7) 설정 범위 내에 있어서의 전체 섬유 개수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향하는 섬유 배향의 섬유 개수의 비율과,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섬유 배향의 섬유 개수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측정·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the fiber orientation of the convex wall portion is orien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means that the fibers are orien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direction from the skin surface side to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sheet) in the state where the sheet convex portion and the sheet concave portion are formed, And is oriented in the range of 45 degrees. The fiber orientation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microscope VHX-100 manufactured by Gensen Kabushiki Kaisha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1) setting the sample so that the surface of the convex wall portion can be observed on the observation target, (2) aligning the lens at the frontmost fiber of the sample except the irregularly protruding fibers, (3) 3D image on the PC screen. Next, (4) the 3D image is converted into a 2D image, and (5) a plurality of parallel lines are equally divided on the screen so as to equally divide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vex wall portion in the measuring range. (6) measuring the number of fibers oriented in each direction in each cell in which parallel lines are drawn and subdivided; and (7) measuring the number of fibers orien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ratio of the number of fibers in the fiber orientation orient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ickness direction can be calculated and calculated.

제1 영역(R1)의 굽힘 강성은, 제2 영역(R2)의 굽힘 강성보다 높다. 굽힘 강성은, 가토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ES FB-2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치수 50 ㎜×100 ㎜가 되는 시험편을 준비하고, 한 쌍의 척의 한쪽에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끼우고, 다른쪽의 척에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타단을 끼운다. 한쪽의 척이 다른쪽의 척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절곡된 시험편의 굽힘 강성을 토크 검출기로 측정한다. 시험편은, 5세트 준비하고, 측정값의 평균값을 굽힘 강성으로 한다.The bending stiffness of the first region R1 is higher than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second region R2. The bending stiffness is measured using KES FB-2 manufactured by Kato Tech Co., Ltd. A specimen having a size of 50 mm x 100 mm is prepared, one longitudinal end of the test piece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air of chucks,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test piece is inserted into the other chuck. One of the chucks rotates about the other chuck, and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bent test piece is measured by a torque detector. Five sets of test specimens are prepar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is defined as bending stiffness.

제1 영역(R1)의 전단 가장자리(R1F)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흡수체(40)의 절곡 유도부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절곡 유도부는, 흡수체(40)의 폭 방향을 따르는 접음선을 기점으로 한 절곡을 유도하는 것이며, 흡수체(40)의 절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엠보스선, 폭 방향(W)을 따라 배치된 엠보스의 집합체를 예시할 수 있고, 상기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흡수체가 절곡되도록 강성차를 마련한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절곡 유도부는, 한 쌍의 제1 저단위중량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곡 유도부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수축 영역(84)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수축 영역(84)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는, 수축 영역(84)의 수축에 의해 전후 방향(L)으로 수축되기 쉽다. 수축 영역에 의해 수축하는 힘이 작용하면, 절곡 유도부를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이 변형한다. 제1 영역(R1)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절곡 유도부를 기점으로 변형함으로써, 수축 영역(84)의 수축력이 흡수되어, 제1 영역(R1)을 플랫한 상태로 유지하여, 변을 인입하는 기능을 계속 발휘할 수 있다.The front edge R1F of the first region R1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of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L of the disposable diaper 10 and is located behind the bending guide portion of the absorbent body 40. [ The bending guide portion induces bending with the folding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r 40 as a starting point. The bending guide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the absorber 40, the emboss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a stiffness difference is provided so that the absorber is bent from the above portion as a starting point. The bending guide por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a pair of first low-unit weight portions 41. [ The bending guide portion is dispos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shrinkage region 84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s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ange in which the shrinkage area 84 is dispo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is likely to shrink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due to shrinkage of the shrinkage area 84. [ When a force of contraction is applied by the contraction region, the absorbent article is deformed from the bending guide portion as a starting point. The shrinkage force of the shrinkage region 84 is absorbed by deforming the bending guide portion located forward of the first region R1 as a starting point to hold the first region R1 in a flat state to draw the side I can continue to exercise.

제1 영역(R1)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1 고정부(8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영역(R1)의 외측 가장자리는, 제1 고정부(81)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81) 사이의 톱 시트(50)의 강성이 높아져, 기립부(83)의 높이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의 변의 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립부(83)가 상승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입체 개더(80)에 의해 톱 시트(50)가 덮여지기 어려워지고, 배출된 변을 제1 오목부(521) 내로 유도하기 쉬워진다.The first region R1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ing portions 81 in the width direction W. [ The outer edge of the first region R1 is locat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first fixing portion 81. [ The rigidity of the top sheet 50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s 81 in the rear waist region 30 is increased and the height of the rising portions 83 can be easily secu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lateral leakage of the sides of the rear waist region 30. Further, since the standing portion 83 is easy to rise, the top sheet 50 is hardly covered by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80, and the discharged side can be easily guided into the first recess portion 521.

제1 영역(R1)의 후단 가장자리(R1R)는, 수축 영역(84)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제1 영역(R1)은,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수축 영역(84)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쳐 배치되어 있다. 입체 개더의 상승 기점이 되는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 근방의 강성은, 높아진다. 입체 개더의 상승 기점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입체 개더의 높이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립부(83)의 제2 고정부(82)측은, 상승 기점과 가깝기 때문에, 기립부(83)의 전후 방향의 중앙과 비교하여, 상승 높이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수축 영역(84)보다 후측의 영역은, 사이드 탄성 부재(71)에 의해 수축되지 않기 때문에, 기립부(83)의 상승 높이를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수축 영역(84)보다 후측에는, 제1 영역(R1)이 배치되고,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의 제2 고정부(82)측의 톱 시트(50)의 강성이 높아진다. 톱 시트(50)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기립부(83)가 상승하기 쉬워지고, 기립부(83)의 높이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변의 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체 개더의 높이를 확보함으로써, 입체 개더에 의해 톱 시트가 덮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된 변을 제1 오목부(521) 내로 유도하는 기능을 계속 발휘할 수 있다.The rear edge R1R of the first area R1 is positioned behind the rear edge of the contraction area 84. [ The first region R1 is disposed so as to extend over the rear edge of the shrinkage region 84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 The stiffness near the trailing edge of the shrinkage region which is the rising point of the solid gathers becomes high.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rising point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t is easy to secure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More specifically, since the sid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82 of the rising portion 83 is close to the rising starting poin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ising height compared with the center of the rising portion 8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ddition, since the region on the rear side of the shrinking region 84 is not contracted by the side elastic members 71,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ising height of the rising portions 83. [ The first region R1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hrinkage region 84 and the rigidity of the top sheet 50 on the side of the second fixing unit 82 in the rear waist region 30 is increased. As the rigidity of the topsheet 50 is increased, the rising portions 83 are easy to rise and the height of the rising portions 83 can be easily ensured. Therefore, lateral leakage of the side in the rear waist region can be prevented. By securing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t is possible to keep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top sheet from being covered by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and guiding the discharged sides into the first recesses 521.

제1 영역(R1)의 후단 가장자리(R1R)는,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몸통 둘레 유지부와 이격되어 있다. 몸통 둘레 유지부는, 한 쌍의 고정부(91) 사이의 영역이다. 몸통 둘레 유지부는, 고정부(91)가 앞 몸통 둘레 영역(20)에 고정된 장착 상태에서 신체에 대해 밀착되는 영역이다. 한 쌍의 고정부(91) 사이의 영역과 제1 영역(R1)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이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실현하기 쉽다.The rear edge R1R of the first region R1 is located forward of the waist-surrounding holding por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waist surrounding holding portion. The waist-hole holding portion is a region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91. [ The waist-hole holding portion is a region in which the fixing portion 91 is fixed to the front waist region 20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in a mounted state. Since the region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91 and the first region R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easy to realize a state in which the muta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is away from the wearer's skin.

제1 영역(R1)의 후단 가장자리(R1R)는, 허리 신축부(85)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허리 신축부(85)가 배치된 영역과 이격되어 있다. 허리 신축부(85)가 배치된 영역은, 장착 상태에서 신체에 대해 밀착되는 영역이다. 제1 영역(R1)과 허리 신축부(85)가 배치된 영역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이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실현하기 쉬워진다.The rear edge R1R of the first region R1 is located forward of the waist expanding and contracting portion 85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region where the waist expanding and contracting portion 85 is disposed. The region where the waist expanding / contracting portion 85 is disposed is a reg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in the mounted state. The region in which the first region R1 and the waist expanding / contracting portion 85 are dispose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muta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is away from the skin of the wearer can be realized easily.

(3) 톱 시트의 제조 방법(3) Manufacturing method of top sheet

계속해서, 톱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톱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제조는, 부직포를 연신하는 부형 가공에 의해 시트 볼록부 및 시트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부형 가공은, 제1 부형 가공과, 제2 부형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제1 부형 가공은, 톱 시트(50)의 폭 방향의 전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제2 볼록부(512), 제2 오목부(522), 제2 바닥부(532) 및 제2 개구(542)를 형성한다.Next,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will be described. The production o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 sheet can be carried out by forming the sheet convex portion and the sheet concave portion by a forming process of stretching the nonwoven fabric. In the case of the embossing, the first embossing and the second embossing can be performed. The first concave portion 522, the second concave portion 522, the second concave portion 522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532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widthwise direction of the topsheet 50, (542).

제2 부형 가공은, 제1 부형 가공 후에 행한다. 제2 부형 가공은, 제1 영역(R1)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제1 볼록부(511)를 형성하고, 그 외의 영역에는, 가공을 행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일부의 제2 볼록부(512)를 더욱 연신하여, 제1 볼록부(511)를 형성한다. 제1 부형 가공에 의해 형성된 제2 볼록부(512) 중, 제2 부형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제2 볼록부(512)는, 중간부(58)를 구성한다. 제1 부형 가공에 의해 형성된 제2 바닥부(532) 및 제2 개구(542) 중,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바닥부(532) 및 제2 개구(542)는, 제1 바닥부(531) 및 제1 개구(541)를 구성한다. 즉, 제2 바닥부(532) 및 제2 개구(542)는, 제1 바닥부(531) 및 제1 개구(541)와 동일한 구성이다.The second type of machining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machining. In the second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is form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R1, and the other regions are not processed. Specifically,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a par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s 512 is further drawn to form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 Of the second convex portions 512 formed by the first-round machining, the second convex portions 512, which have not been subjected to the second machining operation, constitute the intermediate portion 58. The second bottom portion 532 and the second opening 542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out of the second bottom portion 532 and the second opening 542 formed by the first package processing are formed in the first bottom portion 532 531 and a first opening 541. [ That is, the second bottom portion 532 and the second opening 542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bottom portion 531 and the first opening 541.

또한, 부형 처리를 행할 때에, 개구의 가장자리에 용착부를 형성해도 좋다. 용착부는, 톱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용착된 부분이다. 개구의 가장자리에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의 강도가 높아져, 개구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설물의 인입성을 유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carrying out the embedding treatment, the bonded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The bonded portion is a portion to which the fibers constituting the top sheet are welded. Since the welded porti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the strength of the opening increases and the opening shape can be easily maintained. Therefore, the entrapment of the excrement can be maintained.

(4) 그 외의 실시형태(4) Other Embodiments

계속해서, 변형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50) 및 흡수체(40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변형예에 따른 흡수체(400)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401)와, 흡수 볼록부(401)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402)를 갖는다. 흡수 오목부(402)는, 흡수 볼록부(401)보다 움푹 들어가 있으면 된다. 흡수 오목부(402)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은, 흡수 볼록부(401)보다 낮은 단위중량이면 되고, 제로여도 좋다.Subsequently,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mod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is omitted.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opsheet 50 and the absorbent article 400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Modification 1. Fig. The absorbent body 4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has an absorbent convex portion 401 projecting toward the skin facing surface T1 and an absorbent concave portion 402 formed between the absorbent convex portion 401. [ The absorbing concave portion 402 may be recessed from the absorbing convex portion 401.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ing material of the absorbing concave portion 402 may be lower than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ing convex portion 401 or may be zero.

제1 개구(541)는, 흡수 볼록부(401)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흡수 오목부(402)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 볼록부(401)와 제1 개구(541)가 겹쳐짐으로써, 제1 개구(541)와 흡수체(40)의 거리가 짧아, 제1 개구(541)를 통해 인입한 체액을 흡수체(40)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오목부(402)와 제1 개구(541)가 겹쳐짐으로써, 제1 개구(541)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변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개구(541)를 통해 인입한 배설물을 공간 내에 인입할 수 있다. 한편, 제1 개구(541)는, 흡수 볼록부(401)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 오목부(402)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개구(542)도, 흡수 볼록부(401) 및 흡수 오목부(402)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The first opening 541 is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absorption convex portion 401 and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absorption concave portion 402.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pening 541 and the absorber 40 is shortened by overlapping the absorbing convex portion 401 and the first opening 541. The body fluid drawn through the first opening 541 is absorbed by the absorber 40, So that it can be absorbed quickly. In addition, by overlapping the absorbing concave portion 402 and the first opening 541,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ide can be formed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T2 of the first opening 541, 541 can be drawn into the space. On the other hand, the first opening 541 may be disposed in an area not overlapping with the absorbing convex part 401, or may be disposed in an area not overlapping with the absorbing concave part 402. The second opening 542 may also be dispos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absorbing convex portion 401 and the absorbing concave portion 402.

도 9는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톱 시트(500)의 단면도이다. 변형예 2에 따른 톱 시트(500)는, 바닥부(53)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되는 홈벽부(55)와, 홈벽부(55)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위치하고,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바닥부(56)를 갖는다. 개구(54)는, 홈벽부(55)에 형성되어 있다. 홈벽부(55)에 개구(5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40)와 개구(5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쉽다. 개구(54)와 흡수체(40) 사이의 공간에 의해, 톱 시트(50)를 통과한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인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9 is a sectional view of the topsheet 500 i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The topsheet 500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2 has the groove wall portion 55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53 to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T2 and the skin portion non-facing surface side T2 more than the groove wall portion 55 And a groove bottom portion 56 extending in the planar direction. The opening 54 is formed in the groove wall portion 55. A space is likely to be formed between the absorber 40 and the opening 54 because the opening 54 is formed in the groove wall 55. [ The space between the opening 54 and the absorbent body 40 can temporarily keep the excretio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opsheet 50 and improve the pull-in performance.

도 10은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톱 시트(501)의 단면도이다. 변형예 3에 따른 톱 시트(501)는, 제1 볼록부(511), 중간부(58), 및 제1 오목부(521)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제1 볼록부(511) 사이에는, 분단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분단부(57)는, 제1 오목부(52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단부(57)의 정상부는,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위치하고, 중간부(58)의 정상부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오목부(521)의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공간의 피부 대향면측(T1)의 영역(분단부(57)보다 피부 대향면측(T1)의 영역)은, 전후 방향(L)으로 분단되지 않고, 전후 방향(L)으로 연속해 있다. 한편, 제1 오목부(521)의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공간의 피부 비대향면측(T2)의 영역(분단부(57)가 배치된 영역)은, 전후 방향(L)으로 분단되어 있고, 전후 방향(L)으로 비연속이다. 분단부(57)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오목부(521)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L)으로 비연속이다. 제1 영역(R1) 상에 변이 배출되면, 변은, 제1 볼록부(511) 사이의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다. 제1 오목부(521)가 전후 방향(L)으로 비연속인 부분에 의해, 제1 오목부(521) 내에 수용된 변이 전후 방향(L)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11)의 정상부가 분단부(57)의 정상부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오목부(521) 내의 배설물은, 전후 방향(L)을 따라 확산되기 쉽고, 폭 방향(W)을 따라 확산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변의 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topsheet 501 i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Modification 3. Fig. The topsheet 501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3 has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the intermediate portion 58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dividing portion 57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511 in the width direction W. [ The dividing section 57 is configured to divide a spac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rst recess 521. The top of the dividing portion 57 is located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T2 of the top portion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and is located on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T1 than the top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8. [ More specifically, the area of the skin-facing side T1 of the space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the area of the skin-facing side T1 than the divided portion 57) But is not divided in the direction L and continu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 On the other hand, the region of the skin non-opposing face side T2 (the region where the divided portions 57 are disposed) of the spac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is divi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And is discontinuou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The dividing portions 57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 Therefore,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is discontinuous in at least a 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When the edge is discharged on the first area R1, the edg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ss 521 between the first projections 511. The portion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can be prevented from diffusing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L by the portion that is discontinuou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L. [ Since the top portion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11 is located on the skin facing side T1 of the top portion of the dividing portion 57, the excrement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521 spreads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L , And it becomes difficult to diffuse along the width direction (W). Therefore, lateral leakage of the sides can be prevented.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란,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를 갖는 구성이면 되고, 전후 방향에 대한 각도가 45도 미만이 되도록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란, 적어도 폭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를 갖는 구성이면 되고, 폭 방향에 대한 각도가 45도 미만이 되도록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 means a structure having at least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ck- And the like. The term "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 also means a configuration having at least a constant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it extend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being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is less than 45 degrees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하였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constituting a part of this disclosure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isclosure, various alternative embodiments, embodiments and operational technique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inventive subject matter according to the proper patent claims from the above description.

한편, 2016년 10월 24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208164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208164, filed on October 24, 2016,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장착 보조자는, 변이 배출되는 영역을 다른 영역에 대해 인식하여, 사용 시의 안심감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The attachment aide can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recognizing the area where the sides are discharged with respect to other areas and obtaining a relief in use.

10: 일회용 기저귀 20: 앞 몸통 둘레 영역
25: 가랑이 영역 30: 뒤 몸통 둘레 영역
40, 400: 흡수체 401: 흡수 볼록부
402: 흡수 오목부 45: 보조 시트
50, 500, 501: 톱 시트 51: 시트 볼록부
511: 제1 볼록부 512: 제2 볼록부
52: 시트 오목부 521: 제1 오목부
522: 제2 오목부 53: 바닥부
54: 개구 541: 제1 개구
542: 제2 개구 55: 홈벽부
56: 홈바닥부 57: 분단부
58: 중간부 59: 볼록벽부
80: 입체 개더 84: 수축 영역
L: 전후 방향 R1: 제1 영역
R2: 제2 영역 T1: 피부 대향면측
T2: 피부 비대향면측 W: 폭 방향
10: disposable diaper 20: front waist region
25: crotch region 30: rear waist region
40, 400: absorber 401: absorbing convex portion
402: absorbing recess 45: auxiliary sheet
50, 500, 501: top sheet 51: sheet convex portion
511: first convex portion 512: second convex portion
52: seat concave portion 521: first concave portion
522: second concave portion 53: bottom portion
54: opening 541: first opening
542: second opening 55: groove wall portion
56: groove bottom 57:
58: intermediate portion 59: convex wall portion
80: steric gathers 84: shrinkage area
L: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R1: first region
R2: second region T1: skin-facing side
T2: skin non-opposing surface side W: width direction

Claims (18)

앞 몸통 둘레 영역, 뒤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전후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과,
상기 가랑이 영역을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에게 접하는 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톱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시트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톱 시트는, 적어도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형상은, 상이하며,
상기 개구는,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A front waist region, a rear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located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A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front waist region to the rear waist reg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An absorbent body extending over the crotch region and exte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And a top sheet that is located on the skin-facing side of the absorbent body and is in contact with the wearer,
Wherein the top sheet has an opening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heet project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Wherein the top sheet has a first region arranged at least in the rear wai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rranged at least in the crotch region,
The shape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opening is formed at least in the firs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구비하고,
상기 각 입체 개더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수축하는 수축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의 굽힘 강성은, 상기 제2 영역의 굽힘 강성보다 높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축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teric gathers arranged on both out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has a shrinkage region which contracts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by an elastic member,
The bending rigidity of the first region is high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is disposed across the trailing edge of the shrinkage region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절곡을 유도하는 절곡 유도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축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보다 전측(前側)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bsorbent body has a bending guide portion that follows the width direction and induces bending of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bending guide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region in a range in which the shrinkage region is dispos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or 2, wherein a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higher than a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보다 긴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or 2, wherein a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is longer than a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톱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용착된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or 2, wherein a welded portion in which fibers constituting the topsheet are welded is formed at an edge of the open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 및 상기 흡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개구는, 상기 흡수 볼록부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bsorbent body has an absorbent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an absorbent conca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absorbent convex portion,
And the opening of the first region is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ption convex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흡수 볼록부 및 상기 흡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개구는, 상기 흡수 오목부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bsorbent body has an absorbent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an absorbent conca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absorbent convex portion,
And the opening of the first region is dispos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absorbing concave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볼록부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벽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볼록벽부의 상승 각도보다 큰 흡수성 물품.
The sea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at convex portion has a convex wall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Wherein a rising angle of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larger than a rising angle of the convex wall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는, 섬유를 갖고 있고,
상기 시트 볼록부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벽부에 있어서의 섬유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보다, 상기 톱 시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향된 섬유를 많이 갖는 흡수성 물품.
10.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9, wherein the topsheet has fibers,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and the absorbent body,
Wherein the fibers in the convex wall portion have a greater number of fibers orient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sheet than the fibers orien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보다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는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부의 정상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의 정상부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The sea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bottom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bottom portion are formed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However,
And the top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located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than the top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at in the first reg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3.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waist-surrounding hold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rear waist region and holding the absorbent article on the wearer's body,
And the rear edge of the first region is located forward of the waist-surrounding hold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연장되는 홈벽부를 갖고,
상기 개구는, 상기 홈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seat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groove wall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seat convex portions toward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And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groove wall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or 2, wherein said seat convex portions of said first region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시트 볼록부 사이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분단하는 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sea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a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shee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provided with a dividing portion for dividing a space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she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볼록부의 높이는, 0.3 ㎜ 이상, 10.0 ㎜ 이하이고,
상기 시트 볼록부의 피치는, 0.3 ㎜ 이상, 10.0 ㎜ 이하인 흡수성 물품.
The sea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eight of the seat convex portion is 0.3 mm or more and 10.0 mm or less,
And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sheet is 0.3 mm or more and 10.0 mm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시트 및 상기 톱 시트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시트의 섬유 간 거리는, 상기 톱 시트의 섬유 간 거리보다 긴 흡수성 물품.
3.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uter edge of the topsheet is locat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An auxiliary sheet located on the skin-facing side of the absorbent body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Wherein the auxiliary sheet and the top sheet are constituted by a nonwoven fabric,
Wherein the inter-fiber distance of the auxiliary sheet is longer than the inter-fiber distance of the top she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입체 개더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olid gathers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an outer edge of the topsheet is located on an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an inner edge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in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KR1020197014178A 2016-10-24 2017-10-13 absorbent article KR10253775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08164 2016-10-24
JP2016208164A JP6668217B2 (en) 2016-10-24 2016-10-24 Absorbent articles
PCT/JP2017/037136 WO2018079302A1 (en) 2016-10-24 2017-10-13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449A true KR20190073449A (en) 2019-06-26
KR102537750B1 KR102537750B1 (en) 2023-05-26

Family

ID=6202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178A KR102537750B1 (en) 2016-10-24 2017-10-13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68217B2 (en)
KR (1) KR102537750B1 (en)
CN (1) CN109862859B (en)
AU (1) AU2017349535B2 (en)
WO (1) WO201807930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7870B2 (en) * 2018-06-27 2024-02-26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2020162934A (en) * 2019-03-29 2020-10-08 Jnc株式会社 Top sheet for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8162A2 (en) * 1997-10-08 1999-04-14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H11318976A (en) * 1998-05-08 1999-11-24 Uni Charm Corp Disposable diaper
JP2009089965A (en) 2007-10-10 2009-04-30 Kao Corp Surface sheet of absorbent article and its manufacture process
JP2009136349A (en) * 2007-12-03 2009-06-25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2009148445A (en) * 2007-12-21 2009-07-09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2016123653A (en) * 2014-12-26 2016-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Nonwoven fabric for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8743B2 (en) * 1999-10-04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482191B1 (en) * 2000-10-23 2002-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ated topsheet with an elongate slit opening
US20040126519A1 (en) * 2002-12-31 2004-07-01 Odorzynski Thomas W. Solids-entrapping secondary article
US8211078B2 (en) * 2005-02-17 2012-07-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JP5497987B2 (en) * 2007-06-22 2014-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90070B2 (en) * 2007-08-29 2012-08-01 王子ネピア株式会社 Disposable diapers
JP2009101091A (en) * 2007-10-25 2009-05-14 Kao Corp Disposable diaper
KR20130050934A (en) * 2010-03-23 2013-05-1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Absorbent article
JP5780731B2 (en) * 2010-09-30 2015-09-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diapers
TR201820492T4 (en) * 2011-12-13 2019-01-21 Daio Seishi Kk Absorbent product.
EP2762116A1 (en) * 2013-02-01 2014-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with separator sheet
JP6151968B2 (en) * 2013-05-23 2017-06-21 ピジョン株式会社 Auxiliary sheet for diapers
CN105636566B (en) * 2014-12-26 2017-10-10 尤妮佳股份有限公司 Absorbent commodity non-woven fabrics
JP6087462B1 (en) * 2016-05-13 2017-03-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CN105919732A (en) * 2016-05-25 2016-09-07 杭州千芝雅卫生用品有限公司 3D embossed baby di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urine absorption core bod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8162A2 (en) * 1997-10-08 1999-04-14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H11318976A (en) * 1998-05-08 1999-11-24 Uni Charm Corp Disposable diaper
JP2009089965A (en) 2007-10-10 2009-04-30 Kao Corp Surface sheet of absorbent article and its manufacture process
JP2009136349A (en) * 2007-12-03 2009-06-25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2009148445A (en) * 2007-12-21 2009-07-09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2016123653A (en) * 2014-12-26 2016-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Nonwoven fabric for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62859B (en) 2021-07-20
WO2018079302A1 (en) 2018-05-03
AU2017349535B2 (en) 2023-05-04
JP6668217B2 (en) 2020-03-18
JP2018068382A (en) 2018-05-10
AU2017349535A1 (en) 2019-05-09
KR102537750B1 (en) 2023-05-26
CN109862859A (en)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5383B2 (en) Disposable wearing items
JP5575543B2 (en) Absorbent articles
KR101579186B1 (en) Absorbent article
AU2011241735B2 (en) Absorbent product
US10888468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102545688B1 (en) Disposable panty-type absorbent article especially suitable for male users
EP2842532A1 (en) Absorptive article
US9149395B2 (en) Liner for incontinence
JP2013255776A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EP3603593A1 (en) Absorbent pad
KR20190073449A (en) Absorbent article
JP5711491B2 (en) Absorbent articles
KR20170066509A (en) Absorbent article
JP2014104147A (en) Disposable diaper
WO2019130910A1 (en) Wearable article
KR101717203B1 (en) Novel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leg gathers
EP2464323B1 (en) Pants-type disposable diaper
CN113873977B (en) Underpants type disposable diaper
JP2005192814A (en) Disposable article to wear
KR20170062496A (en) Absorbent article
KR101758161B1 (en) Disposable diaper
JP6645818B2 (en) Absorbent pad
JP2021000236A (en)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for absorber,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bsorber
JP6973160B2 (en) Absorbent article
EP4275666A1 (en) Pants-type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