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267A - 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 - Google Patents

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267A
KR20190073267A KR1020180153370A KR20180153370A KR20190073267A KR 20190073267 A KR20190073267 A KR 20190073267A KR 1020180153370 A KR1020180153370 A KR 1020180153370A KR 20180153370 A KR20180153370 A KR 20180153370A KR 20190073267 A KR20190073267 A KR 20190073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ulfurization
sodium bicarbonate
waste
gypsum
heavy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3633B1 (en
Inventor
오수현
이시무
Original Assignee
(주)청해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해소재 filed Critical (주)청해소재
Publication of KR2019007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suppressing leaching of heavy metals in leachate discharged from desulfurized dust wast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uppressing leaching of heavy metals of desulfurized wastes, comprising the steps of: introducing sodium bicarbonate into a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introducing exhaust gas containing sulfur dioxide in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performing a desulfurization process of the exhaust gas by reaction sodium bicarbonate with sulfur dioxide in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and mixing calcium sulfide with the desulfurized wastes discharged from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The amount of heavy metals leaching can be drastically reduced.

Description

탈황 분진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탈황제{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hibiting the elution of heavy metals in desulfurized dust wastes and a desulfurizing agent used therefor,

본 발명은 탈황 분진 폐기물 중의 중금속 용출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 공장의 철광석 소결 공정 중에 발생하는 분진 폐기물 중의 중금속을 물에 용해되지 않는 침전물 형태로 변화시킴으로써, 탈황 분진 폐기물에서 배출되는 침출수 중의 중금속 용출을 억제하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탈황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hibiting heavy metal leaching in desulfurized dust wast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uppressing leaching of heavy metals in desulfurized dust wastes by changing heavy metals in dust wastes generated during an iron ore sintering process of a steel mill to water- To a method for inhibiting leaching of heavy metals in discharged leachate and a desulfurizing agent used therefor.

제철 공장에서 철광석을 소결하는 공정 중에 사용되는 원료들 내에 포함된 황 화합물 및 중금속류들이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배기 가스의 탈황 공정은 필수 불가결하다. 탈황 공정은 적절한 탈황제를 배기 가스 중에 투입하여 반응시키고 황화물 형태의 반응 결과물을 포집 수거하여 폐기 처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The desulfurization process of exhaust gas is indispensable in order to prevent sulfur compounds and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s used in the sintering process of iron ores at steel mills from being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In the desulfurization step, an appropriate desulfurizing agent is put into the exhaust gas and reacted, and the reaction product of the sulfide form is collected, collected, and disposed of.

2 NaHCO3(탈황제)+ SO2 + 1/2 O2 → Na2SO4(폐기물)+ 2 CO2 + H2O2 NaHCO 3 (desulfurizer) + SO 2 + 1/2 O 2 - > Na 2 SO 4 (waste) + 2 CO 2 + H 2 O

제철 공장의 철광석 소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탈황제로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주어진 배기 가스 온도에서 한정된 시간 내에 신속히 반응을 완결하여야 하는데, 중탄산나트륨은 95℃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부터 탄산나트륨으로 열분해 되기 때문에 최적의 탈황제로 사용되고 있다.Although there are various kinds of desulfurization agents that can be used in the iron ore sintering process at steel mills, the reaction must be completed quickly within a limited time at a given exhaust gas temperature. Since sodium bicarbonate is pyrolyzed from sodium carbonate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of 95 ° C, It is used as a desulfurizing agent.

2 NaHCO3 → Na2CO3 + CO2 + H2O2 NaHCO 3 → Na 2 CO 3 + CO 2 + H 2 O

이러한 열분해 과정 중에 발생하는 CO2 및 H2O 가스는 중탄산나트륨의 입자를 더욱 미세하게 쪼개면서 전체적인 비표면적을 급격히 증가시켜 배기 가스 중의 황 성분과의 반응 속도를 상승시킴과 더불어 배기 가스 중의 유해한 중금속류들을 유효하게 흡착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청정하게 유지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CO 2 and H 2 O gases generated during the pyrolysis process break down the particles of sodium bicarbonate finely to increase the overall specific surface area so as to increase the rate of reaction with the sulfur component in the exhaust gas. In addition, the harmful heavy metals So that the exhaust ga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can be cleanly maintained and managed.

이와 같은 탈황제로서의 중탄산나트륨은 폐기물로 생성되는 Na2SO4(망초) 중의 중금속류의 함량을 증가시키게 되며, 페기물 망초를 매립 처리하면 침출수의 중금속 함량을 증가시킨다는 문제를 야기한다.Sodium bicarbonate as a desulfurizing agent increases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Na 2 SO 4 (manganese dioxide) produced from the waste, and the landfill treatment of the wastewater cause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heavy metal content of the leachate.

폐기물의 침출수 내 중금속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pH를 높이는 방법과 킬레이트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pH를 높이는 방법은 가장 보편적이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방법으로서, 주위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등의 알카리 성분의 물질을 폐기물에 혼합하여 폐기물 중의 중금속을 PbOH 등 수산화물 형태의 침전물로 변환시켜서 침출수 중의 중금속 함량을 줄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의 중탄산나트륨 탈황 공정에서 발생되는 망초 폐기물의 pH는 이미 10 이상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그 효과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As a representative method for reducing the heavy metal content in the leachate of waste, there are a method of increasing pH and a method of using chelating agent.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pH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costly methods. It is a method of mixing alkaline substances such as calcium oxide, calci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and magnesium oxide, which are commonly found in the surroundings, into waste, Type leachate to reduce the heavy metal content in the leachate. However, since the pH of the manganese waste generated in the above sodium bicarbonate desulfurization process is already over 10, the effect of this method is limited.

킬레이트제 방법은 폴리염화알루미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에틸렌디아민 4초산(EDTA), 니트릴로3초산(NTA),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틱산(DTPA), S,S에틸렌이아민이수츠닉산(EDDS) 등의 킬레이트제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이다. 그 일례로서, 한국 특허 등록 번호 10-1573002에서는 잔데이트 화합물계의 중금속 안정제를 사용하여 폐기물 중의 중금속을 안정화시켜 용출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The chelating agent process may be carried out in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hlorinated aluminum, polyacrylamide,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nitrilo triacetic acid (NTA),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DTPA), S, ) Is used to stabilize the heavy metal. As an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3002 proposes a method for stabilizing heavy metals in waste by using a heavy metal stabilizer based on azodate compound to inhibit the elution.

그러나, 킬레이트제는 주로 수처리제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물에 혼합하기 쉬운 액체 형태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고체 형태의 킬레이트제라 할지라도 상기의 제철소 소결 공장 탈황 과정 중에 어떤 식으로 이러한 킬레이트를 투입할지에 대한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또한 아무리 성능이 우수한 킬레이트제라 할지라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할 수 있어야 하며, 탈황제인 중탄산나트륨의 고유한 분체 특성에 맞게 설계되어 구축된 분체 이송, 저장, 분쇄 설비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킬레이트제는 그 적용 가능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However, the chelating agent is mainly used as a water treatment agent, and is not only present in a liquid form which is easy to mix with water, but also a solid chelating agent, The challenge for this should be solved. Even chelating agents with the best performance should be available at a reasonable price and if they do not meet the powder transport, storage, and grinding equipment designed to the unique powder properties of desulfurizing sodium bicarbonate, The applicability is inevitable.

이와 관련하여, 위 한국등록특허 제10-1573002호는 중금속 안정화제로 잔데이트 화합물과 중화제를 포함하는 탈황제를 제안하면서 중화제로 배가스 중의 산성 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탄산염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일부에 마치 황산칼슘이 중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처럼 기재하고 있지만, 황산칼슘(CaSO4)은 황화물이므로 배기 가스 중의 산성 성분(황산, H2SO4)과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으므로 기재 오류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0-1573002 proposes a desulfurizing agent containing a azodate compound and a neutralizing agent as a heavy metal stabilizer, and neutralizes an acidic component in the exhaust gas with a neutralizing agent, and uses a hydroxide or carbonate of an alkali or an alkaline earth metal Calcium sulfate (CaSO 4 ) is a sulfide, so it does not react with acidic components (sulfuric acid, H 2 SO 4 ) in the exhaust gas. It is reasonable to regard it as a description error.

KRKR 15730021573002 BB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황 폐기물 특히 제철 공장의 철광석 소결 공장에서 중탄산나트륨에 의한 탈황의 결과물로 발생되는 망초 폐기물이 물과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침출수 중의 중금속 함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중금속 억제 방법, 이에 사용되게 적합한 탈황제 및 이를 이용한 탈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the heavy metal content in leachate which may be generated when sulfuric acid waste generated from desulfurization by sodium bicarbonate in a sintering plant of iron ores, A desulfurizing agent suitable for use in the method, and a desulfur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탈황 공정에 적용되기에 적합하고 탈황 폐기물로부터 배출되는 침출수 중의 중금속 함량을 감소시키는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inhibiting heavy metal leaching which is suitable for use in a desulfurization process and which reduces the heavy metal content in leachate discharged from the desulfurization waste.

또한, 본 발명은 중금속 용출 억제에 효과적인 탈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sulfurization method effective for suppressing heavy metal leaching.

또한, 본 발명은 중금속 용출 억제에 효과적인 탈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sulfurizing agent which is effective for suppressing heavy metal leaching.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황 반응조에 중탄산나트륨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탈황 반응조에 이산화황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유입하는 단계; 상기 탈황 반응조에서 중탄산나트륨과 이산화황을 반응하여 상기 배기가스의 탈황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탈황 반응조로부터 배출된 탈황 폐기물에 칼슘 황화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황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sulfurization apparatus including: a step of introducing sodium bicarbonate into a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Introducing an exhaust gas containing sulfur dioxide in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Performing a desulfurization process of the exhaust gas by reacting sodium bicarbonate with sulfur dioxide in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And mixing calcium sulfide with the desulfurized waste discharged from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이 때, 상기 칼슘 황화물 혼합 단계의 탈황 폐기물은 망초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는 중탄산나트륨 및/또는 그 분해물인 탄산나트륨이 잔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sulfurization waste in the calcium sulfide mixing step is mainly composed of gangue, and sodium bicarbonate and / or its decomposition product sodium carbonate may remain.

또, 상기 칼슘 황화물은, 수분의 존재하에서 상기 탈황 폐기물과 반응하여 탄산칼슘을 형성하면서 침전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탄산칼슘 침전물은 중금속을 함유한다. In addition, the calcium sulfide can be precipitated in the presence of moisture in reaction with the desulfurization waste to form calcium carbonate, wherein the calcium carbonate precipitate contains a heavy metal.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칼슘 황화물과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는 단계; 탈황 반응조에 상기 석고와 중탄산 나트륨의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탈황 반응조에 이산화황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단계; 상기 탈황 반응조에서 상기 중탄산 나트륨과 이산화황을 반응하여 배기 가스의 탈황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탈황 공정을 거친 망초 폐기물과 칼슘 황화물을 포함하는 탈황 폐기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황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ixing calcium sulfide and sodium bicarbonate; Introducing a mixture of the gypsum and sodium bicarbonate into a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Introducing an exhaust gas containing sulfur dioxide in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Performing a desulfurization process of the exhaust gas by reacting the sodium bicarbonate with sulfur dioxide in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And discharging the desulfurization waste containing the gravel waste and the calcium sulfide through the desulfurization step.

이 때, 상기 혼합 단계의 혼합물 중의 칼슘 황화물의 함량은 2 내지 6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ntent of calcium sulfide in the mixture in the mixing step is preferably 2 to 6% by weight.

또, 상기 배출 단계의 탈황 폐기물은 수분의 존재하에서 상기 칼슘 황화물이 상기 망초 폐기물과 반응하여 탄산칼슘을 형성하면서 침전될 수 있다. The desulfurization waste in the discharge step may be precipitated in the presence of moisture while the calcium sulfide reacts with the molasses waste to form calcium carbonate.

또한, 상기 혼합 단계에서 상기 칼슘 황화물의 평균 입도는 상기 중탄산나트륨의 평균 입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ixing step,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calcium sulfide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sodium bicarbonat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단계에는 황산제일철이 추가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errous sulfate may be added to the mixing step.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탄산나트륨과 칼슘 황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칼슘 황화물은 2 ~ 6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제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칼슘 황화물은 무수석고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5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sulfurizing agent comprising sodium bicarbonate and calcium sulfide, wherein the calcium sulfide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2 to 6 wt%. At this time, the calcium sulfide is preferably anhydrous gypsum, and preferably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 to 50 μm.

본 발명의 탈황제는 탈황 분진 폐기물 중의 중금속을 물에 녹지 않는 침전물 형태로 변환시켜서 중금속 용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The desulfuriz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matically reduce the amount of heavy metal leaching by converting heavy metals in desulfurized dust wastes into a water-insoluble precipitate form.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서, 탈황 폐기물 중 중금속의 용출 억제 방법에 따르면, 탈황 단계에서 중탄산나트륨과 석고의 혼합물을 첨가한 후 탈황 폐기물을 제조하거나, 탈황 페기물 제조 후 석고를 투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탈황 폐기물 중의 중금속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inhibiting the elution of heavy metals in the desulfurization waste, the desulfurization waste may be produced by adding a mixture of sodium bicarbonate and gypsum in the desulfurization step, or after the desulfurization waste is produc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heavy metal content in the desulfurization waste can be obtained.

도 1은 pH 에 따른 중금속 수산화침전물의 용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황 공정에서의 중금속 억제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철소 소결 공장의 탈황 반응조에서 칼슘 황화물 분말을 중탄산나트륨에 혼합하여 탈황제로 사용하는 공정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억제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사용된 탈황제를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과 EDS 맵핑사진이고, 도 6은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탈황제를 사용하여 배출된 탈황 폐기물을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과 EDS 맵핑사진이고, 도 8은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탈황 폐기물을 물에 용해한 수용액의 침전물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과 EDS 맵핑 사진이고 도 10는 침전물에 대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황제를 물에 용해한 후의 침전물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과 EDS 맵핑 사진이고 도 12는 침전물에 대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howing the solubility of heavy metal hydroxide precipitate according to pH.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suppressing heavy metals in a desulfuriz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procedure of using a calcium sulfide powder as a desulfurizing agent in a desulfurization reactor of a sinter plant of a steelworks by mixing it with sodium bicarbonat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eavy metal suppress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lectron micrograph and an EDS mapping image of a desulfurizing agent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graph showing an XRD analysis result.
FIG. 7 is an electron micrograph and an EDS mapping image of a desulfurized waste discharged using a desulfurizing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graph showing an XRD analysis result.
FIG. 9 is an electron micrograph and an EDS mapping picture of a precipitate of an aqueous solution of a desulfurization wast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XRD analysis results of the precipitate.
FIG. 11 is an electron micrograph and an EDS mapping picture of the precipitate after dissolving the desulfurizing agent in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XRD analysis results of the precipitat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are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20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배기 가스 탈황 공정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탈황제는 중탄산나트륨(NaHCO3)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탄산나트륨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Na2CO3로 분해되어 높은 반응성의 새로운 표면을 제공하여 반응 효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운송이나 저장시 분체의 흐름성이 잘 유지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It is known that the most suitable desulfurizing agent used in the exhaust gas desulfurization process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s below 200 ° C is sodium bicarbonate (NaHCO 3 ). Sodium bicarbonate is decomposed into Na 2 CO 3 at a temperature of 100 ° C or lower to provide a new surface with high reactivity,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reaction efficiency is good and the flowability of the powder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is well maintained.

아래 화학식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탈황제에 포함된 중탄산나트륨은 배기 가스 중의 이산화황과 같은 가스와 반응하여 탈황 공정의 결과물로 망초(Na2SO4)가 주성분인 탈황 폐기물을 생성한다. 이 폐기물은 법적 처리 기준에 맞게 처리되어야 하며 통상 분진 폐기물로 매립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As shown in Formula 1 below, the sodium bicarbonate contained in the desulfurizing agent reacts with a gas such as sulfur dioxide in the exhaust gas to produce a desulfurized waste which is mainly composed of Na 2 SO 4 as a result of the desulfurization process. These wastes are to be t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standard and generally are landfilled with dust wastes.

(화학식 1)(Formula 1)

2 NaHCO3 + SO2 + 1/2 O2 → Na2SO4 + 2 CO2 + H2O 2 NaHCO 3 + SO 2 + 1/2 O 2 - > Na 2 SO 4 + 2 CO 2 + H 2 O

탈황 폐기물은 매립 처리되므로, 장기간에 걸쳐 물과 접촉 시 수용액 내에 중금속류가 용출되지 않아야 한다. 철광석 소결 공정 중에 발생하는 금속류는 대개 금속으로 환원되기 이전의 산화물, 황화물 또는 수화물 등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는 데, 수용액의 pH가 부적절하여 수화물의 용해도가 높아지거나, 이들 금속 화합물을 유효하게 응집(flocculation)시키지 못하게 되면 금속들이 물에 이온으로 용해되어 침출수의 중금속 함량을 법적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칼슘(Ca) 황화물인 석고(CaSO4)가 탈황 폐기물 수용액 즉 폐기물 침출수 중의 중금속 함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Since the desulfurization waste is landfilled, heavy metals should not be eluted in the aqueous solution upon contact with wate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metals generated during the iron ore sintering process are usually present in the form of oxides, sulfides or hydrates before being reduced to metals. However, since the pH of the aqueous solution is improper and the solubility of the hydrates is increased, flocculation, the metals will dissolve into water and increase the heavy metal content of the leachate to above the legal threshol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gypsum (CaSO 4 ) which is a calcium (Ca) sulfide can drastically reduce the heavy metal content in a desulfurized waste aqueous solution, that is, waste leachate.

석고는 주로 시멘트 제조 시 응결지연제로 사용되며, 수용액 중의 중금속 용출을 억제시키는 용도로 사용된 예는 보고된 바 없었다. 다음에 설명하는 메커니즘이 석고의 중금속 용출 억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Gypsum is mainly used as a coagulation retardant in the manufacture of cement, and no example has been reported that is used for the purpose of inhibiting the leaching of heavy metals in an aqueous solution. It can be deduced that the mechanism described below contributes to the suppression of heavy metal leaching of gypsum.

첫째로, 석고는 중성 물질로서 탈황 폐기물 수용액의 pH를 증가시키지 않음으로써, 중금속 수화물의 용해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배기 가스 중의 황(S) 성분을 제거하는 탈황 시스템에 있어, 정해진 시간 내에 법적 황 배출 기준을 맞추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당량(stoichiometry)비 이상으로 탈황제가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탈황 폐기물에는 잉여로 투입된 중탄산나트륨이 잔존하게 되며 이로 인해 탈황 폐기물의 수용액은 항상 pH 10 이상의 높은 알카리 특성을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금속 수산화물은 대부분 pH 10 이상에서는 용해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 바, 석고와 같은 중성 물질의 첨가는 수용액의 pH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First, gypsum is a neutral substance, and by not increasing the pH of the aqueous solution of the desulfurization waste, the solubility of the heavy metal hydrate can be kept low. In the desulfurization system for removing the sulfur (S) component in the exhaust gas, in order to meet the legal sulfur emission standar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desulfurizing agent must be added at a theoretical stoichiometry ratio or more. Therefore, the desulfurization waste contains sodium bicarbonate So that the aqueous solution of the desulfurized waste always has a high alkali property of pH 10 or more. 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solubility of the heavy metal hydroxides increases at a pH higher than 10, and the addition of a neutral substance such as gypsum does not affect the pH of the aqueous solution.

둘째로, 석고에서 제공되는 Ca 이온은 금속 화합물에 대한 강한 응집력(flocculating power)을 제공할 수 있다. Ca 이온(+2가)은 Na 이온(+1가)에 비해 대략 43배의 응집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탈황 폐기물 중의 망초(Na2SO4)가 낮은 응집 특성을 나타내는 Na 이온으로만 구성된 것에 비하여, 석고의 혼합은 Ca 이온을 제공함으로써 산화물 등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는 금속 화합물을 강하게 응집(flocculation)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금속이 수용액 중에 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수용액 중의 중금속 이온의 농도는 낮아질 수 있다. Second, the Ca ions provided in the gypsum can provide a strong flocculating power to the metal compound. The Ca ion (+2 valence) shows a cohesive force of about 43 times that of Na ion (+1 valence). Therefore, the mixing of gypsum with Ca ions provides stronger flocculation of metal compounds existing in the form of oxides and other compounds, compared to the case where Na 2 SO 4 in the desulfurized waste is composed only of Na ions exhibiting low aggregation characteristics. ),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heavy metal from dissolving in the aqueous solution, and consequently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ions in the aqueous solution can be lowered.

셋째로, 석고는 수용액 중에서 중탄산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의 탄산(CO3) 성분과 반응하여 탄산칼슘(CaCO3)과 같은 탄산염을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황 폐기물 수용액 내에 중조의 존재하에서 석고는 반응 생성물로 탄산칼슘을 생성한다. 즉, 생성된 탄산칼슘은 침전되는데, 이 때 중금속류를 흡착 또는 응집하여 침전시켜 수용액 중의 중금속 이온의 농도를 낮출 수 있다. Third, the gypsum can react with carbonic acid (CO 3 ) components of sodium bicarbonate or sodium carbonate in an aqueous solution to form a carbonate such as calcium carbonate (CaCO 3 ). As described below, gypsum in the presence of a blanket in a desulfurized waste aqueous solution produces calcium carbonate as a reaction product. That is, the generated calcium carbonate is precipitated. At this time, heavy metals can be adsorbed or aggregated and precipitated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ions in the aqueous solution.

이상 상술한 개별 메커니즘이 단독 또는 조합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다른 메커니즘과 함께 본 발명에서 탈황 폐기물 수용액 내의 중금속 농도를 낮출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individual mechanism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mechanisms not described herein can lower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aqueous solution of the desulfurization waste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석고는 탈황 과정에서 중조나 탈황 생성물인 망초(Na2SO4)와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며, 또한 석고는 황화물이므로 배기 가스 중의 산성 성분(H2SO4)와도 반응하지 않아, 탈황 폐기물 내에 온전한 형태로 잔류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ypsum does not substantially react with gypsum (Na 2 SO 4 ), which is a seawater or a desulfurization product, in the desulfurization process, and the gypsum is a sulfide and does not react with the acid component (H 2 SO 4 ) in the exhaust gas. In a complete form.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탈황 폐기물은 망초, NaCl, 잔류 중탄산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 및 칼슘 황화물을 포함하게 된다.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desulfurized waste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comprise gangue, NaCl, residual sodium bicarbonate or sodium carbonate and calcium sulphi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중금속 억제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heavy metal suppr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황 공정에서의 중금속 억제를 위한 탈황제 및 이를 이용한 탈황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sulfurizing agent for suppressing heavy metals in a desulfuriz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ulfur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2를 참조하면, 탈황제는 중탄산나트륨과 칼슘 황화물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desulfurizing agent comprises sodium bicarbonate and calcium sulphide.

전술한 바와 같이, 중탄산나트륨은 20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배기 가스 탈황 공정에 적합한 탈황제이며, 100℃ 이하의 온도에서 Na2CO3로 분해되어 높은 반응성의 새로운 표면을 제공하여 반응 효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운송이나 저장시 분체의 흐름성이 잘 유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sodium bicarbonate is a desulfurizing agent suitable for an exhaust gas desulfurization process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of 200 ° C or lower and is decomposed into Na 2 CO 3 at a temperature of 100 ° C or lower to provide a highly reactive new surface, But also has an advantage that the flowability of the powder is well maintained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한편, 본 발명에서 탈황제 성분으로서 칼슘 황화물은 미반응 상태로 망초 폐기물 중에 잔존하며, 이후 수성 성분과 접촉 시 망초 폐기물 수용액 중의 중금속 농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calcium sulfide as a desulfurizing agent component remains in unreacted manganese waste and then functions to lower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aqueous solution of the manganese waste upon contact with the aqueous component.

망초 폐기물은 매립 처리되므로, 장기간에 걸쳐 물과 접촉시 수용액을 통하여 중금속류가 용출되지 않아야 한다. 철광석 소결 공정 중에 발생하는 금속류는 금속으로 환원되기 이전의 산화물 또는 황화물 등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는데, 칼슘 황화물은 이들 금속 화합물을 유효하게 흡착하거나 응집(flocculation)시켜 침전됨으로써 침출수 중의 중금속 함량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Na 이온에 비해 응집력(flocculating power)이 높은 이온을 Ca 이온 성분을 함유하는 석고를 탈황제로 혼합함으로써 침출수 중의 중금속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Ca 이온(+2가)은 Na 이온(+1가)에 비해 대략 43배의 응집력(flocculating power)을 갖는다.Since municipal waste is landfilled, heavy metals should not be eluted through aqueous solution when contacted with wate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metals generated during the iron ore sintering process exist in the form of oxides or sulphides before being reduced to metals. Calcium sulfides effectively adsorb or flocculate these metal compounds and precipitate, thereby reducing the heavy metal content in the leachate .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vy metal content in the leachate by mixing ions having a higher flocculating power than Na ions with a gypsum containing a Ca ion component as a desulfurizing agent. Ca ion (+2) has about 43 times flocculating power compared to Na ion (+1).

본 발명에서 Ca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Ca 화합물로서 무수석고(CaSO4)가 가장 좋다. 이수석고(CaSO4 2H2O)도 사용 가능하지만, 단위 무게당 공급 가능한 Ca 이온 수를 고려할 때에는 무수석고가 더 유리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hydrous gypsum (CaSO 4 ) is the best Ca compound capable of providing Ca ions. (CaSO 4 2H 2 O) can also be used, but anhydrous gypsum is more advantageous when considering the number of Ca ions available per unit weight.

다시 도 2의 탈황 절차를 참조하면, 먼저 중탄산나트륨과 칼슘 황화물로 이루어진 탈황제를 혼합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탈황제는 중탄산나트륨과 칼슘 황화물을 제외하고는 탈황이나 중금속 억제를 위한 유효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부가적인 첨가제의 사용은 전체 탈황제 중 중탄산나트륨과 칼슘 황화물의 상대적인 비율을 낮추게 되며 비용이나 효율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Referring again to the desulfurization procedure of FIG. 2, a desulfurizing agent consisting of sodium bicarbonate and calcium sulfide is firstly mixed (S110). Preferably, the desulfuriz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free of active ingredients for desulfurization or heavy metal inhibition except sodium bicarbonate and calcium sulfide. The use of additional additives lowers the relative proportions of sodium bicarbonate and calcium sulphide in the total desulfurizer and is undesirable in terms of cost and efficiency.

본 발명에서 탈황제 중 중탄산나트륨과 칼슘 화합물의 배합 비율은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ratio of sodium bicarbonate to calcium compound in the desulfurizing agent is selected as follows.

칼슘 황화물의 함량은 중탄산나트륨을 포함하는 탈황제 총량에 대하여 2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다 낮은 함량의 칼슘 황화물은 중금속 용출량 저감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못한다. 또한, 함량 10 중량% 초과의 칼슘 황화물은 추가적 중금속 제거 효과가 미미하다. 칼슘 황화물이 탈황 공정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게는 6 중량% 이하의 칼슘 황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The content of calcium sulfide is preferably 2%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desulfurizing agent including sodium bicarbonate. Lower contents of calcium sulfide do not contribute substantially to the reduction of heavy metal flux. Further, the calcium sulfide having a content of more than 10% by weight has only a small effect of removing additional heavy metals. Since calcium sulfide does not contribute to the desulfurization process, it is economical to use calcium sulfide of preferably 6% by weight or less.

본 발명에서 탈황제의 혼합은 예컨대 무중력 혼합기와 같은 혼합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중력 혼합기는 혼합되는 분말들의 비중 차이에 의한 입자 분리를 방지하는데 매우 유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of the desulfurizing agent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a mixing means such as a non-gravity mixer. The zero gravity mixer is very useful for preventing particle separation due to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of the powders to be mix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을 마친 탈황제 분말은 적절히 분쇄된다(S120). 이 때, 투입된 칼슘 황화물 분말이 중탄산나트륨 분말과 잘 혼합되어 입자 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혼합되는 분체들의 입자 크기가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중탄산나트륨 분말은 석고 분말에 비해 양호한 분쇄성을 가지므로, 분쇄 과정에 투입되는 석고 분말은 중탄산나트륨에 비해 낮은 평균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석고는 적절한 입도로 사전 분쇄되어 중탄산나트륨과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황 반응조에서의 상기 석고의 평균입경(d50)은 5 ~ 50 ㎛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분말의 입도는 분말을 5분간 초음파 분산한 후, 에탄올을 분산 용매로 하여 호리바(HORIBA)사의 Partica LA-950V2 레이저 입도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mixed desulfurizing agent powder is appropriately pulverized (S12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s to be mixed be simi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calcium sulfide powder is mixed well with the sodium bicarbonate powder so that the particle separation phenomenon does not occur. Since the sodium bicarbonate powder has better grindability than the gypsum powder, it is preferable that the gypsum powder to be introduced into the pulverizing process has a lower average particle diameter than sodium bicarbonate. For this purpose, the gypsum can be pre-milled to the appropriate particle size and mixed with sodium bicarbonate. Preferably, the average particle size (d50) of the gypsum in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is in the range of 5 to 50 mu 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 can be measured by ultrasonically dispersing the powder for 5 minutes and then using Partica LA-950V2 laser particle size analyzer of HORIBA using ethanol as a dispersion solvent.

다음, 분쇄를 거친 탈황제는 탈황 반응조에 투입된다(S130). 탈황제 중의 중탄산나트륨은 전술한 화학식의 반응 메커니즘에 따라 황 성분을 포착하여 망초 화합물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생성한다. 이 때, 탈황제 중의 황산칼슘은 대부분 실질적인 반응없이 폐기물 내에 혼입되어 존재하게 된다. Next, the pulverized desulfurizing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S130). The sodium bicarbonate in the desulfurizing agent captures the sulfur component according to the reaction mechanism of the above-mentioned formula to produce a waste containing the gum compound. At this time, calcium sulfate in the desulfurizing agent is mixed and present in the waste without substantial reaction.

이어서, 탈황 반응을 거친 탈황 폐기물이 폐기되면 수분에 노출된다. 수용액 내에서 탈황 폐기물 중의 황산칼슘은 탈황 폐기물 중에 잔류하는 중조 또는 탄산나트륨과 반응하여 탄산칼슘을 생성한다(S140). 이 반응에 의해 생성된 탄산칼슘은 침전되는데, 이 때 중금속류를 흡착 등의 방식으로 함께 침전시킨다. 이에 따라, 탈황제로 추가된 황산칼슘은 매립 환경에서 수분에 노출되었을 때, 폐기물을 응집시켜 폐기물 중의 중금속이 수분에 노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Then, when the desulfurized waste subjected 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is discarded, it is exposed to moisture. In the aqueous solution, the calcium sulfate in the desulfurization waste reacts with the sodium hydroxide or sodium carbonate remaining in the desulfurization waste to produce calcium carbonate (S140). The calcium carbonate produced by this reaction is precipitated, and the heavy metals are precipitated together by adsorption or the like. Accordingly, when calcium sulfate added as a desulfurizing agent is exposed to water in a reclamation environment, the waste can be agglomerated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heavy metals in the waste are exposed to moisture.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예로서, 도 3은 제철소 소결 공장의 탈황 반응조에서 칼슘 황화물 분말을 중탄산나트륨에 혼합하여 탈황제로 사용하는 공정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procedure of using a calcium sulfide powder as a desulfurizing agent in a desulfurization reactor of a steelworks sintering plant by mixing it with sodium bicarbonate.

탈황제로서 황산칼슘(CaSO4) 분말과 중탄산나트륨(중조) 분말을 혼합하고 혼합된 탈황제가 중조 사일로(10)에 투입된다. 중조 사일로(10)는 밀(20)로 사전 설정된 량의 탈황제를 공급한다. 공급되는 탈황제의 량은 배기 가스의 유량, 황 함량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밀(mill)은 상기 탈황제를 소정 크기 예컨대 평균 입경(d50) 5 ~ 50 ㎛ 범위의 탈황제로 분쇄한다. 이어서, 탈황 반응조에 상기 탈황제를 투입하면서 상기 탈황 반응조에 배기가스를 도입하여, 상기 혼합 분말로 탈황 반응조에서 도입된 배기 가스의 탈황 공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혼합 분말 유입과 배기 가스의 도입 간의 상대적인 순서는 중요하지 않으며, 동시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As a desulfurizing agent, calcium sulfate (CaSO 4 ) powder and sod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powder are mixed, and the mixed desulfurizing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silicate silo 10. The silos 10 feed a predetermined amount of desulfurizing agent to the mill 20. The amount of the desulfurizing agent to be supplied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the sulfur content, and the like. The mill is pulverized with a desulfurizing agen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an average particle size (d50) in the range of 5 to 50 mu m. Subsequently, an exhaust gas is introduced in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while the desulfurization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and the desulfurization process of the exhaust gas introduced from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is performed with the mixed powder.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lative order of introduction of the mixed powder and the introduction of the exhaust gas is not important and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이, 중조와 칼슘 황화물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탈황제로 사용하는 경우, 중탄산나트륨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대비하여, 탈황 반응의 결과물로 발생되는 망초 폐기물 중의 중금속이 침출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a mixed powder containing a calcium carbonate and a calcium sulfide is used as a desulfurizing ag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hibit the leaching of heavy metals in the gravel wast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in contrast to the case of using sodium bicarbonate alone Do.

다만, 중탄산나트륨에의 혼합에서부터 배기 가스 투입에 이르는 과정에서 공정상의 문제점을 야기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적절한 가공이 필요한데, 중탄산나트륨이 공장 입고, 저장, 투입에 이르는 모든 공정이 공기압으로 이루어지는 바, 분체로서의 흐름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첨가제의 첨가로 인하여 흐름성이 저하되면 관(pipe) 내에서 막히거나 저장 사일로에서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취출부에서 취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ause any problems in the process from the mixing with sodium bicarbonate to the introduction of exhaust gas, proper processing is required, and all processes from sodium bicarbonate to factory stocking, storage, and input are performed by air pressure, The sex should not be damaged. If the flowability is lowered due to the addition of the additive, a problem may occur that it is clogged in a pipe or aggregation occurs in the storage silo, so that it can not be taken out from the take-out part.

일반적으로 분체의 흐름성은 분체의 입자 크기 및 형상에 의해 결정되지만, 중탄산나트륨의 경우에는 이보다는 주위의 수분을 흡수하여 응집함으로써 분말이 덩어리화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Generally, the flowability of the powder is determined by the particle size and shape of the powder, but in the case of sodium bicarbonate, it is most important to prevent the powder from agglomerating by absorbing the surrounding moisture and aggregating.

무수석고는 물 분자가 결합되어 있지 않아서 물 분자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석고가 혼합된 중탄산나트륨의 운송, 저장, 배기 가스 투입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물 분자에 의한 중탄산나트륨의 응집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The anhydrous gypsum does not cause water molecules to be discharged due to the absence of water molecules, and thus does not cause aggregation of sodium bicarbonate by water molecules in the entire process from transportation of gypsum-mixed sodium bicarbonate to storage and introduction of exhaust gas .

황산칼슘 분말은 중탄산나트륨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그 입자 크기가 조정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체의 혼합에 있어 혼합되는 양쪽 분체의 입자 크기가 비슷할수록 균일한 혼합에 유리하다. 소결 공장에 입고되는 중탄산나트륨은 d50가 85㎛ 정도의 입도를 갖지만, 배기 가스에 투입되기 전에 분쇄 밀(mill)을 통과하면서 d50가 5 ~ 50㎛ 정도로 분쇄된다. 황산칼슘 분말은 배기 가스에 투입되는 시점의 중탄산나트륨 입도에 그 입도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탄산나트륨의 경도(hardness)에 맞게 설계된 분쇄 밀의 분쇄 부하를 줄여주는 효과 또한 있다.The calcium sulfate powder is preferably adjusted and controlled in its particle size for uniform mixing with sodium bicarbonate. The more uniform the particle size of both powders to be mixed in the mixing of powders, the better the uniform mixing. The sodium bicarbonate to be loaded on the sintering plant has a d50 of about 85 탆, but the d50 is pulverized to about 5 to 50 탆 while passing through a mill before being injected into the exhaust gas.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particle size of the calcium sulfate powder to the particle size of sodium bicarbonate at the time when it is put into the exhaust gas. This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rushing load of the crushed mill designed for the hardness of sodium bicarbonate.

한편, 전술한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에서 황산칼슘(석고)은 탈황제와 혼합하여 투입되는 방식(선투입)를 설명하였다. 이 때 투입된 황산칼슘은 중조나 탈황 반응 생성물과 반응 없이 온전히 그 형태를 유지한다. 황산칼슘이 중조와 함께 투입되는 경우, 중조 함량은 탈황 반응에 영향을 미치며 황산칼슘은 중금속 용출 억제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대적인 함량이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forementioned method for inhibiting the elution of heavy metals, calcium sulfate (gypsum) is mixed with a desulfurizing agent and introduced (pre-charging). At this time, the calcium sulfate added remains completely in its form without reacting with the sulfuric acid or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product. When calcium sulfate is added together with sodium bicarbonate, the content of sodium bicarbonate influences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and calcium sulfate influences the inhibition of heavy metal leaching, so the relative content should be carefully determined.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은 중조 탈황제에 의해 전술한 탈황 반응을 거친 탈황 폐기물에 황산칼슘을 부가하는 방식(후투입)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eavy metal leaching suppres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a method of adding calcium sulfate to the desulfurization waste subjected 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described above (post-feed) by means of a desulfurizing agen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중조에 의해 탈황을 거친 탈황 폐기물이 사일로에 저장된다. 다른 사일로에는 황산칼슘(석고) 분말이 저장되어 있다. 각 사일로로부터 적정량의 탈황 폐기물과 황산칼슘이 계량되어 혼련기에서 혼합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거친 탈황 폐기물은 황산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함유된 황산칼슘은 탈황 폐기물이 수분과 접촉 시 과잉의 중조 또는 탄산나트륨과 반응하여 탄산칼슘을 생성하면서 침전된다. 이 침전 반응 중에 중금속 화합물은 침전물 내에 흡착 또는 응집되어 수용액에 용출되지 않게 된다. The desulfurized waste which has been desulfurized by the tank is stored in the silos. Other silos contain calcium sulfate (gypsum) powder. Appropriate amounts of desulfurized waste and calcium sulfate are metered from each silo and mixed in a kneader. The desulfurized waste that has undergone this treatment contains calcium sulfate, and the contained calcium sulfate is precipitated when the desulfurized waste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in excess of the reaction with sodium bicarbonate or sodium carbonate to produce calcium carbonate. During this precipitation reaction, the heavy metal compound is not adsorbed or aggregated in the precipitate and is not eluted into the aqueous solution.

이상, 제철소 철광석 소결 공장의 중탄산나트륨 탈황제에의 응용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칼슘 황화물 혼합 중탄산나트륨 탈황제는 바이오 매쓰 발전소, 도시 쓰레기 소각장, 그린 코크스 소결로 등 등 Na계 환경제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폐기물 분진에 적용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application to sodium bicarbonate desulfurization agent of iron ore sintering plant of ironwork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lcium sulfide mixed sodium bicarbonate desulfuriz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waste dust generated when a Na-based environmental agent such as a biomass power plant, an urban waste incinerator, a green coke sintering furnace, etc. is used,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실시예 1>&Lt; Example 1 >

제철 공장의 소결 공정 배기 가스를 중조로 탈황 반응 처리한 망초 폐기물에 하기 표 1의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 비율로 첨가하였다. 첨가제가 첨가된 망초 폐기물의 용출 시험은 "환경분야 시험 검사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지정, 고시한 폐기물에 관한 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시행하였다. 아래 표 1은 탈황 반응에 사용된 첨가제 및 Pb 용출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표 1에서 첨가 비율은 망초 폐기물과 첨가제의 총량을 100 중량%로 할 때 첨가된 첨가제 비율을 의미한다. Sintering process of steel mill The various additives shown in Table 1 were added to the sludge wastes treated with desulfurization reaction in an atmosphere of sulfur. The elution test of additives with added additives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test standards for waste designated and notifi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Article 6 of the "Act on Environmental Tests, etc.". 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additive and Pb elution used in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In Table 1, the addition ratio means the proportion of the additive added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molasses waste and the additive is 100 wt%.

구분division 첨가 비율Addition ratio 용출액 pHEluent pH Pb 용출량(mg/l)Pb elution amount (mg / l) 망초 폐기물 단독Manganese waste alone -- 10.310.3 2020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5%5% 10.410.4 55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5%5% 12.812.8 2020 무수석고Anhydrous plaster 5%5% 10.410.4 1One 칠수 황산제일철Folic acid ferrous sulfate 5%5% 9.99.9 22

분진 폐기물에서 중금속의 용출을 억제하기 위해서 중금속을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 즉 수산화물(~OH), 탄산화물(~CO3), 황화물(~S) 등의 침전물 형태로 변환시켜야 한다. 분진 폐기물에 알카리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게 되면, 수용액 중의 OH 기가 많아지면서 형성되는 수산화물의 양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은 쉽게 추정할 수 있다. 그런데, 잉여로 투입된 중탄산나트륨으로 인하여 pH가 높을 수 밖에 없는 탈황 폐기물의 수용액에 있어서, 도 2에서 보듯이, pH가 어느 특정 값 이상이 되면 오히려 pH 증가에 따라 그 용해도가 다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는 바, 수산화칼슘 등과 같은 강알카리 물질보다는 석고 및 칠수 황산제일철 등의 황화물을 첨가하여 pH를 낮은 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중금속 용출량이 억제되는 효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상술한 실시예에서 무수석고는 이수석고로 대체하거나, 칠수황산제일철을 일수황산제일철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It must be converted into the form of precipitates of heavy metals, such as a low solubility in water compound, i.e., hydroxide (OH ~), carbonate to suppress the leaching of heavy metals from waste dust (~ CO 3), sulfide (~ S). It can be easily presumed that when the alkaline component is added to the dust wastes and mixed, the amount of hydroxide formed increases as the OH group in the aqueous solution increases. As can be seen from FIG. 2, in the aqueous solution of the desulfurization waste, which has a high pH due to the sodium bicarbonate added to the residue, the solubility increases again as the pH increases over a certain specific value It is found that when the pH is lowered by adding a sulfide such as gypsum and ferric sulfate to the lower alkaline substance such as bar, calcium hydroxide, etc.,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amount of heavy metal elution occurs. In the above- It will be apprecia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it may be possible to replace it with a high-sulfur or a ferrous sulfate-based ferrous sulfate.

<실시예 2>&Lt; Example 2 >

제철 공장 소결 공정 배기 가스 탈황반응에 중조와 무수석고의 함량(중조:무수석고=90:10~100:0))을 달리하면서 탈황제를 투입하여, 생성된 폐망초 폐기물의 Pb 용출량을 측정하였다. 석고 사용량에 따른 용출액 중의 Pb 용출량 시험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표 2에서 첨가된 무수석고 함량은 중조와 석고의 총량을 100%로 했을 때 첨가제의 비율을 표시하였다.The desulfurizing agent was added to the waste sludge waste produced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of the steel mill, while the contents of the sludge and the anhydrite in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were changed (aq: anhydrous gypsum = 90: 10 ~ 100: 0).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Pb dissolution amount test in the efflu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gypsum used. The anhydrous gypsum content added in Table 2 indicates the ratio of additive when the total amount of gypsum and gypsum is taken as 100%.

번호number 탈황제 중
무수석고 함량
Among the desulfurizers
Anhydrous gypsum content
Pb 용출량(mg/l)Pb elution amount (mg / l)
#1#One 0 중량%0 wt% 2020 #2#2 1 중량%1 wt% 44 #3# 3 2 중량%2 wt% 0.50.5 #4#4 5 중량%5 wt% 0.10.1 #5# 5 10 중량%10 wt% 검출 안됨Not detected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수석고의 첨가에 의해 Pb 용출량은 획기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고, 2 중량%의 석고 함량으로 원하는 중금속 저감 효과를 달성함을 알 수 있다.도 5는 샘플 #4에 사용된 탈황제를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과 EDS 맵핑사진이고, 도 6은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the amount of Pb elution was drastically reduced by the addition of anhydrous gypsum, and the desired heavy metal reduction effect was achieved with a gypsum content of 2% by weight. 4 is an electron micrograph and an EDS mapping photograph of the desulfurizing agent used, and FIG. 6 is a graph showing an XRD analysis resul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탈황제로 중조(NaHCO3) 및 황산칼슘(CaSO4)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nd FIG. 6, it can be seen that a sulfuric acid (NaHCO 3) and calcium sulfate (CaSO 4) are contained as a desulfurizing agent.

도 7은 샘플 #4의 탈황제를 사용하여 배출된 탈황 폐기물을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과 EDS 맵핑사진이고, 도 8은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7 is an electron micrograph and an EDS mapping image of the desulfurized waste discharged using the desulfurizing agent of the sample # 4, and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XRD analysis resul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망초 폐기물은 중탄산나트륨과 배기 가스의 반응물인 망초(Na2SO4)와 NaCl 등으로 이루어지며, 석고(CaSO4)는 상기 망초 폐기물에서 실질적으로 미반응 상태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는 탈황제에 포함된 석고가 후혼합 방식에서 투입되는 석고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NaCl은 배기 가스 중의 염소 이온이 탄산 나트륨과 반응하여 생성된다. 7 and 8, the municipal waste is composed of Na 2 SO 4 and NaCl, which are reactants of sodium bicarbonate and exhaust gas, and the gypsum (CaSO 4 ) is substantially unreacted Can be found. Therefore, it is shown that the gypsum contained in the desulfurizing agent can exhibit the same performance as the gypsum put in the post-mixing system. Here, NaCl is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chlorine ions in the exhaust gas with sodium carbonate.

도 9는 샘플 #5의 탈황 폐기물을 물에 용해한 수용액의 침전물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 및 EDS 맵핑 사진이고 도 10는 침전물에 대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9 is an electron micrograph and an EDS mapping picture of a precipitate of an aqueous solution of the sample # 5 in which the desulfurization waste is dissolved in water, and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XRD analysis results of the precipitat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침전물에는 탄산칼슘이 생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탈황 폐기물에 잔류하던 황산칼슘(석고)이 탈황 폐기물에 잔류하던 중조나 탄산나트륨 등과 반응하여 생성된 것으로 이해된다. 즉, 첨가된 석고는 석고 그 자체가 중금속 용출 억제 기능을 한다기 보다는 수용액 내에서 탄산칼슘을 생성하며 생성된 탄산칼슘은 침전되면서 중금속류를 침전물에 흡착 또는 응집하는 것으로 보인다. 도 9의 (e)는 침전물에 Pb가 함유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Referring to FIGS. 9 and 10, calcium carbonate is produced in the precipitate. It is understood that the calcium sulfate (gypsum) remaining in the desulfurization waste is produced by reacting with the sulfuric acid, sodium carbonate or the like which remained in the desulfurization waste. That is, the added gypsum shows that the gypsum itself does not inhibit the leaching of heavy metals, but rather produces calcium carbonate in the aqueous solution, and the calcium carbonate produced is likely to adsorb or coalesce heavy metals into the precipitate as they are precipitated. FIG. 9 (e) shows that Pb is contained in the precipitate.

<시험예><Test Example>

석고가 중탄산나트륨의 탄산에 의해 탄산칼슘으로 변환되었다는 점은 석고와 중탄산나트륨의 혼합 탈황제를 물에 녹여 수용액을 만든 다음 그 침전물을 분석해 보면 알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중탄산나트륨에 석고를 96:4의 비율로 혼합한 탈황제를 물에 용해한 후 침전물을 걸러내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 및 도 12로부터 탄산칼슘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fact that the gypsum was converted into calcium carbonate by the sodium carbonate of sodium bicarbonate is obtained by dissolving the mixed desulfurizing agent of gypsum and sodium bicarbonate in water to make an aqueous solution and then analyzing the sediment. Figs. 11 and 12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dissolving a desulfurizing agent obtained by mixing gypsum with sodium bicarbonate at a ratio of 96: 4 in water and filtering out the precipitate. From Figs. 11 and 12, it can be confirmed that calcium carbonate is produced.

<실시예 3>&Lt; Example 3 >

탈황 반응조에 투입되는 탈황제 성분을 중탄산나트륨, 석고 및 황산제일철 일수염으로 하고, 그 성분 비율을 조절하였다. 제조된 망초 폐기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Pb 용출량을 조사하였다. 아래 표 3은 측정 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낸 표이다. The desulfurizing agent component introduced in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was adjusted to sodium bicarbonate, gypsum and ferrous sulfate monohydrate, and the content ratio thereof was adjusted. The amount of Pb eluted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3 summarizes the measurement results.

번호number 시 료 명Sample name 석고gypsum 황산제일철Ferrous sulfate Pb 용출량Pb elution amount PHPH #6# 6 중조 단독Monogamous sole 0%0% 0%0% 19.419.4 10.510.5 #7# 7 중조 94%94% 0%0% 6%6% 1.41.4 9.79.7 #8#8 중조 94%94% 1%One% 5%5% 0.60.6 9.89.8 #9# 9 중조 94%94% 2%2% 4%4% 0.40.4 9.89.8 #10# 10 중조 94%94% 3%3% 3%3% 0.30.3 9.99.9 #11# 11 중조 94%94% 4%4% 2%2% 0.30.3 10.010.0 #12# 12 중조 94%94% 5%5% 1%One% 0.10.1 10.210.2 #13# 13 중조 94%94% 6%6% 0%0% 0.020.02 10.410.4

표 3으로부터 황산제일철은 망초 폐기물의 pH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의 감소는 Pb(OH)2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검촐되는 중금속의 함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중탄산나트륨에 석고와 황산제일철을 첨가한 탈황제는 각각 상이한 메커니즘에 의해 중금속 용출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황산제일철 일수염을 대신하여 황산제일철 칠수염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rom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ferrous sulfate reduces the pH of the mung waste. As shown in FIG. 1, the decrease in pH increases the solubility of Pb (OH) 2 , thereby reducing the content of heavy metals. Therefore, the desulfurizing agent to which gypsum and ferrous sulfate are added to sodium bicarbonate can inhibit the elution of heavy metals by different mechanisms, respective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ferrous sulfate helix salt may be used instead of the ferrous sulfate helix of this embodime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탈황 반응조에 중탄산나트륨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탈황 반응조에 이산화황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유입하는 단계;
상기 탈황 반응조에서 중탄산나트륨과 이산화황을 반응하여 상기 배기가스의 탈황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탈황 반응조로부터 배출된 탈황 폐기물에 석고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황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
Introducing sodium bicarbonate into a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Introducing an exhaust gas containing sulfur dioxide into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Performing a desulfurization process of the exhaust gas by reacting sodium bicarbonate with sulfur dioxide in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And
And mixing the gypsum with the desulfurized waste discharged from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 혼합 단계의 탈황 폐기물은 망초를 포함하고, 중탄산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이 잔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ulfurization waste in the gypsum mixing step comprises gangue, and sodium bicarbonate or sodium carbonate is rem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는, 수분의 존재하에서 상기 탈황 폐기물과 반응하여 탄산칼슘을 형성하면서 침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ypsum is precipitated while reacting with the desulfurization waste in the presence of water to form calcium carbon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칼슘 침전물은 중금속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lcium carbonate precipitate contains a heavy metal.
KR1020180153370A 2017-12-18 2018-12-03 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 KR1025436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403 2017-12-18
KR20170174403 2017-12-18
KR1020180049547A KR101936385B1 (en) 2017-12-18 2018-04-30 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547A Division KR101936385B1 (en) 2017-12-18 2018-04-30 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267A true KR20190073267A (en) 2019-06-26
KR102543633B1 KR102543633B1 (en) 2023-06-19

Family

ID=650173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547A KR101936385B1 (en) 2017-12-18 2018-04-30 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
KR1020180153370A KR102543633B1 (en) 2017-12-18 2018-12-03 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547A KR101936385B1 (en) 2017-12-18 2018-04-30 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3638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158B1 (en) * 2021-01-26 2021-07-27 현대제철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elution of heavy metals from desulfurization waste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elution of heavy metals from desulfurization waste using the same
KR20220016707A (en)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Desulfurizing agent, desulfurizing method and binder agent using the same
DE112020002960T5 (en) 2019-06-20 2022-03-17 Mando Corporation STEER-BY-WIRE STEERING DEVICE
KR102472305B1 (en) * 2021-06-30 2022-11-30 현대제철 주식회사 Heavy metal dissolution stabilizer from desulfurization was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841B1 (en) * 2019-07-04 2021-06-16 주식회사 아이에스원 The material for the blaster slag melting control
CN113413741B (en) * 2021-05-28 2023-06-30 昆明理工大学 Gangue and method for desulfurizing tail gas by using activated slag of gangu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002B1 (en) 2014-05-13 2015-11-30 주식회사 유니코정밀화학 COMPOSITION FOR REMOVING SOx IN EXHAUSTED GAS AND METHOD FOR REMOVING Sox IN EXHAUSTED GA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9653B2 (en) 2005-03-29 2011-12-21 栗田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treating waste containing chlorine and heavy met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002B1 (en) 2014-05-13 2015-11-30 주식회사 유니코정밀화학 COMPOSITION FOR REMOVING SOx IN EXHAUSTED GAS AND METHOD FOR REMOVING Sox IN EXHAUSTED GA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0002960T5 (en) 2019-06-20 2022-03-17 Mando Corporation STEER-BY-WIRE STEERING DEVICE
KR20220016707A (en)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Desulfurizing agent, desulfurizing method and binder agent using the same
KR102282158B1 (en) * 2021-01-26 2021-07-27 현대제철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elution of heavy metals from desulfurization waste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elution of heavy metals from desulfurization waste using the same
KR102472305B1 (en) * 2021-06-30 2022-11-30 현대제철 주식회사 Heavy metal dissolution stabilizer from desulfurization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633B1 (en) 2023-06-19
KR101936385B1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385B1 (en) Suppression of Heavy Metal Dissolution From Desulfurizing Wastes, and Desulfurizer Used Therefor
JP5599061B2 (en) Neutral solidifying material additive, neutral solidifying material and method for suppressing elution of heavy metals
JPWO2009001719A1 (en) Hazardous substance insolubilizer and method of insolubilizing hazardous substances
KR102156734B1 (en) Methods To manufacture alkaline waste neutralizer of solids containing large amounts of active calcium oxide by mixing raw lime with bauxite residues and neutralizing sulfuric acid as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cement condensation retardant
EP3733613B1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CN113105899A (en) Heavy metal stabilizer and application and use method thereof
JP5257469B2 (en) Remover of harmful substances in waste water and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KR102363413B1 (en) Desulfurizing agent, desulfurizing method and binder agent using the same
KR100997325B1 (en)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contained heavy metal
EP3733612B1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JP2005288378A (en) Treatment method of contaminated medium including heavy metals and treatment agent
JP4692064B2 (en) Reduction treatment agent and reduction treatment method
JP2023025362A (en) Harmful substance treatment agent and method for treating harmful substance-containing waste water
KR20190041583A (en) Agent For Inhibiting Elution Of Heavy Metals In Desulfurization Dust Wastes And Inhibition Method Thereof
JP6610855B2 (en) Processing method of heavy metal treatment material and heavy metal containing fly ash cleaning liquid
JP4712290B2 (en) Hazardous material collecting material and method of treating sewage and soil using the same
CN112495984A (en) Hazardous waste solidification/stabilization comprehensive treatment method
JP5608352B2 (en) Methods for insolubilizing hazardous substances
KR102472305B1 (en) Heavy metal dissolution stabilizer from desulfurization waste
JPH01304100A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desulfurized by wet exhaust gas desulfurization device
KR20200059639A (en) GYPSUM PRODUCTION METHOD USING DE-SOx DUST TREATED WITH NaHCO3
KR102282158B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elution of heavy metals from desulfurization waste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elution of heavy metals from desulfurization waste using the same
CN113274687B (en) Co-treatment method of chromium slag and acidic arsenic-containing wastewater
EP4206158A1 (en) Method of stabilizing leachable compounds in a carbonate bonded matrix
JPH1142469A (en) Waste processing agent and treatment of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