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780A - Foreign substances remo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oreign substances remov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780A
KR20190072780A KR1020170173836A KR20170173836A KR20190072780A KR 20190072780 A KR20190072780 A KR 20190072780A KR 1020170173836 A KR1020170173836 A KR 1020170173836A KR 20170173836 A KR20170173836 A KR 20170173836A KR 20190072780 A KR20190072780 A KR 20190072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el plate
roller
steel sheet
roll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5637B1 (en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637B1/en
Publication of KR2019007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7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78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6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of strip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removing a foreign substance can comprise: a chamber unit disposed on a movement route of a steel sheet and having an inlet part through which the steel sheet enters and an outlet part from which the steel sheet is discharged; and a separated light unit disposed in the chamber unit, forming and floating the foreign substance on the steel sheet in a high energy state by irradiating laser, and moving the floated foreign substance toward the outlet part.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장치{Foreign substances removing apparatus}[0001]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냉간압연된 전기강판 표면에는 압연유를 포함한 미세 산화 스케일이 표면에 고착돼 있다.Generally, on the surface of a cold-rolled steel sheet, fine oxide scale including rolling oil is adhered to the surface.

이러한 강판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기계식 탈지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러한 종래의 기계식 탈지방법은 표면에 일부 이물질이 잔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 mechanical degreasing method has been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teel sheet.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chanical degreas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some foreign substances remain on the surface.

즉, 종래에는 연속적으로 강판이 이동되면, 탈지용액을 스프레이노즐에 의해서 강판의 상하면에 분사한 후에 브러쉬롤에 의해 강판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구성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의 경우에는 탈지시 강판의 속도가 빠른 관계로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는 이물질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었다.That is, conventionally, when the steel sheet is continuously moved, the degreasing solution is spray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eel sheet by a spray nozzle,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teel sheet are removed by a brush roll. In this method, There is a limit in that foreign matter that is not removed and remains is generated.

또한 이러한 잔류하는 이물질로 인하여 이후 공정에서 상기 이물질이 강판의 하자의 원인이 되어 강판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due to the residual foreign matter, the foreign matter causes defects of the steel sheet in subsequent steps, thereby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steel sheet.

일례로 잔류하는 이물질로 인하여 절연 코팅시 코팅층이 박리되거나 코팅 작업 중 절연 코팅용액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다.For example, due to residual foreign matt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ating layer peeled during the insulation coating or the insulation coating solution was contaminated during the coating operation.

또한 이러한 상기 강판 상의 이물질이 브러쉬롤에 의해서 상기 강판에서 이탈되더라도 이렇게 이탈된 이물질이 다시 강판에 안착되어 이물질 제거의 효과가 감소하는 한계가 있었다.Also, even if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steel plate are separated from the steel plate by the brush roll,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foreign substance is rested on the steel plate and the effect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s reduced.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한국 출원 번호 제 10-2015-0116538호Korean Application No. 10-2015-0116538

본 발명은 강판 상의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foreign substances on a steel sheet.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강판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재부착에 의한 제거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which prevents deterioration of removal efficiency by reattachment of foreign matter removed on a steel she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강판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강판이 진입하는 입구부와 상기 강판이 배출되는 출구부가 구비된 챔버유닛 및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강판 상의 이물질을 고에너지 상태로 형성하여 부유시키고, 부유된 이물질을 상기 출구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탈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unit provided on a moving path of a steel sheet and having an inlet for entering the steel sheet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steel sheet, And a release optical unit for irradiating a laser to form foreign substances on the steel sheet in a high energy state to float and to move suspended foreign substances toward the exit por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이탈광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강판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에서 출구부로 갈수록 개구된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 유동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oreign optical unit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aser irradiation unit coupled to the chamber unit and irradiating a laser beam on the steel plate, and a laser irradiation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laser irradiation unit, And a flow forming part formed to narrow the cross-sectional area opened to the outlet part.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챔버유닛에 비스듬하게 구비되어 상기 강판에 비스듬하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ser irradiating unit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t an oblique angle in the chamber unit, and irradiates the steel plate at an oblique angle with the la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이탈광유닛이 구비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출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석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mber unit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part having the inlet part and the outlet part, the inside part of which includes the releasing optical unit, and the outlet part, And a suction unit for sucking the air inside the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이탈광유닛보다 상기 출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강판에 충격을 가하는 임팩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pacting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outlet portion of the releasing optical unit and impacting the steel plat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임팩팅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강판에 충격을 가하는 충돌롤러부 및 상기 충돌롤러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돌롤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mpacting unit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pact roller unit tha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hamber unit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impact the steel plate, And a rotatio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collision roller unit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collision roller unit.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충돌롤러부는, 타원형의 단면 형상 또는 일측이 돌출된 캠형의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or a cam-shaped cross-sectional shape with one side protruding.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임팩팅유닛은, 상기 충돌롤러부보다 상기 강판 이동의 상류에 구비되는 상류루퍼롤러부 및 상기 충돌롤러부보다 상기 강판 이동의 하류에 구비되는 하류루퍼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acting unit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stream looper roller unit provided upstream of the impact plate unit and a downstream looper roller unit provided downstream of the impact plate unit And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상류루퍼롤러부는, 상기 충돌롤러부의 돌출 부분이 상기 강판에 인접하게 회전시에 상기 하류루퍼롤러부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충돌롤러부의 돌출 부분이 상기 강판에서 멀어지게 회전시에 상기 하류루퍼롤러부와 다른 높이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upstream looper roller portion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impact roller portion is horizont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when rotated adjacent to the steel sheet,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locat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when the protruding portion is rotated away from the steel plat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하류루퍼롤러부는, 상기 충돌롤러부의 돌출 부분이 상기 강판에 인접하게 회전시에 상기 상류루퍼롤러부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ownstream louver roller portion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is rotated at a slower speed than the upstream louper roller portion when rotated adjacent to the steel plate .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강판 상의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steel sheet can be enhanced.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강판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재부착에 의한 제거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removal efficiency due to reattachment of foreign substances removed on the steel plate.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may be more read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임팩팅유닛의 충돌롤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임팩팅유닛에 의한 이물질 제거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임팩팅유닛이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 강판의 장력을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of the impacting unit i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using an impacting unit 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of the steel sheet is maintained when the impacting unit is not operated 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reference signs allotted in the same reference notation or the lik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판(S) 상의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는 강판(S)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재부착에 의한 제거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which can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foreign matter on the steel sheet S and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removal efficiency due to reattachment of foreign matter removed on the steel sheet S from the other side.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강판(S)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강판(S)이 진입하는 입구부(11a)와 상기 강판(S)이 배출되는 출구부(11b)가 구비된 챔버유닛(10) 및 상기 챔버유닛(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강판(S) 상의 이물질을 고에너지 상태로 형성하여 부유시키고, 부유된 이물질을 상기 출구부(11b)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탈광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path And includes a chamber unit 10 provided with an inlet 11a through which the steel sheet S enters and an outlet 11b through which the steel sheet S is discharged, And a deflection light unit 20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to form a foreign substance on the steel sheet S in a high energy state to float and move the suspended foreign substance toward the outlet part 11b.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이탈광유닛(20)이 강판(S) 상의 이물질에 대하여 고에너지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이물질을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시켜 이물질 제거의 효율을 높이게 되며, 이렇게 이탈된 이물질을 출구부(11b)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된 이물질이 다시 강판(S) 상으로 안착되어 이물질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light unit 20 is formed in a high energy state with respect to the foreign substance on the steel plate S, and the foreign substance is separated from the steel plate S, By moving the removed foreign matter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ortion 11b, the foreign matter removed on the steel sheet S is rested on the steel sheet S, thereby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removal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상기 챔버유닛(10)은 상기 강판(S)이 통과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강판(S)이 통과하기 위해서 입구부(11a)와 출구부(11b)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챔버유닛(10)에는 상기 이탈광유닛(2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강판(S) 상의 이물질을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시키게 되며, 이렇게 이탈된 이물질을 상기 챔버유닛(10)이 상기 출구부(11b)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챔버유닛(10)은 하우징부(11), 석션부(12) 등을 포함하게 된다.The chamber unit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teel sheet S passes through the inlet unit 11a and the outlet unit 11b to allow the steel sheet S to pass therethrough. In addition, foreign matter on the steel plate S is separated from the steel plate S by providing the detached optical unit 20 in the chamber unit 10, And is then re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ortion 11b. To this end, the chamber unit 10 includes a housing part 11, a suction part 12, and the like.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챔버유닛(10)은, 상기 입구부(11a)와 출구부(11b)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이탈광유닛(20)이 구비되는 하우징부(11) 및 상기 출구부(11b)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부(11)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석션부(12)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hamber unit 10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inlet portion 11a and the outlet portion 11b, And a suction unit 12 provided adjacent to the housing unit 11 and the outlet unit 11b for sucking the air inside the housing unit 11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상기 하우징부(11)는 상기 입구부(11a)와 출구부(11b)가 형성되어 상기 강판(S)이 통과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이러한 하우징부(11)에는 상기 이탈광유닛(20)의 유동형성부(22)가 형성되어 상기 강판(S)에서 이탈된 이물질이 상기 출구부(11b)로 이동하는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The housing part 1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part 11a and the outlet part 11b are formed to allow the steel plate S to pass through. The flow forming portion 22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 is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11 to form a flow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ed from the steel plate S to the outlet portion 11b .

상기 석셕부는 상기 강판(S) 상에 이탈된 이물질을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석션부(12)는 상기 강판(S)에서 이탈된 이물질이 상기 강판(S) 상에 다시 안착되기 전에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stonewall absorbs the foreign matter left on the steel sheet S and discharges the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the suction unit 12 sucks th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steel plate S before it is seated on the steel plate S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더욱이 상기 석션부(12)는 상기 이탈광유닛(20)의 유동형성부(22)의 상기 출구부(11b)쪽에 인접한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형성부(22)가 출구부(11b)로 유동을 형성하여 이동시킨 이물질을 용이하게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suction part 12 is provided at an end adjacent to the outlet part 11b of the flow forming part 22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 so that the flow forming part 22 is connected to the outlet part 11b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by forming the flow.

그리고, 상기 석션부(12)는 후술할 임팩팅유닛(30)보다 상기 강판(S)의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어 상기 임팩팅유닛(30)에 의해서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된 이물질도 흡인하여 외부로 제거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2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impact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S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removed from the steel sheet S by the impacting unit 30 And can be arranged to be sucked and removed to the outside.

다시 말해, 상기 석션부(12)는 상기 이탈광유닛(20)의 유동형성부(22)의 상기 출구부(11b)쪽에 인접한 단부에 구비되는 상류석션부(12a)와 상기 임팩팅유닛(30)보다 상기 강판(S)의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는 하류석션부(12b)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uction unit 12 includes an upstream suction part 12a provided at an end adjacent to the outlet part 11b of the flow forming part 22 of the departure light unit 20, And a downstream suction part 12b provided downstream of the steel sheet S in the moving direction.

상기 이탈광유닛(20)은 상기 강판(S) 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고에너지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이물질을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더하여 상기 강판(S)에서 이탈될 이물질을 상기 출구부(11b) 쪽으로 유동하여 이동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The releasing optical unit 20 serves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from the steel sheet S by forming a foreign substance adhered on the steel sheet S in a high energy state, And also moves the foreign matter to the outlet portion 11b and moves it.

이를 위해서, 상기 이탈광유닛(20)은 레이저 조사부(21), 유동형성부(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deviation optical unit 20 may include a laser irradiation unit 21, a flow forming unit 22, and the like.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이탈광유닛(20)은, 상기 챔버유닛(10)에 결합되며, 상기 강판(S)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21)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21)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11a)에서 출구부(11b)로 갈수록 개구된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 유동형성부(22)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ptical fiber unit 20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irradiation unit 21 coupled to the chamber unit 10 and irradiating a laser beam onto the steel sheet S, And a flow forming part 22 provided adjacent to the laser irradiating part 21 and formed to have a narrow cross sectional area opened from the inlet part 11a to the outlet part 11b.

이와 같이 상기 이탈광유닛(20)은 상기 레이저 조사부(21)에 의해서 상기 강판(S)상의 이물질을 고에너지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강판(S) 상에서 상기 이물질을 이탈시키고, 이렇게 이탈된 이물질은 상기 유동형성부(22)가 형성하는 출구부(11b)쪽으로 유동에 의해서 상기 출구부(11b)쪽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way, the laser beam irradiating unit 20 forms a foreign matter on the steel sheet S in a high energy state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on the steel sheet S, And flows toward the outlet portion 11b by the flow toward the outlet portion 11b formed by the flow forming portion 22. [

여기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21)는 상기 강판(S) 상의 이물질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고에너지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강판(S) 상의 이물질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이물질 중의 압연유 등의 액체 상태의 이물질은 기체 상태로 상변화 시켜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시키거나, 상기 이물질 중의 부유물 등의 고체 상태의 이물질은 태워서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laser irradiating unit 21 irradiates a foreign substance on the steel sheet S with a laser so as to form a high energy state and to release it on the steel sheet S. In other words, a foreign matter on the steel sheet S is irradiated with a laser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rolling oil in the foreign matter is phase-changed into a gaseous state to be released on the steel sheet S, or a solid state So that the foreign matter on the steel plate S can be burned off.

일례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21)는 3상 60Hz 220V를 사용하고 출력 0.8kW, 주파수 10 ~ 13kHz의 파워를 사용하여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laser irradiating unit 21 is capable of irradiating a laser using power of 3-phase 60Hz 220V and output of 0.8 kW and a frequency of 10 to 13 kHz.

그리고, 상기 레이저 조사부(21)는 상기 챔버유닛(10)에 비스듬하게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강판(S) 상에 조사되는 범위를 넓게 형성할 수도 있다.The laser irradiating unit 21 may be formed obliquely in the chamber unit 10, so that the laser irradiating unit 21 may be broadly irradiated on the steel sheet S.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레이저 조사부(21)는, 상기 챔버유닛(10)에 비스듬하게 구비되어 상기 강판(S)에 비스듬하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aser irradiation unit 21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ser irradiation unit 21 is obliquely provided in the chamber unit 10 and irradiates the steel plate S obliquely with laser .

그리고, 상기 레이저 조사부(21)는 상기 강판(S)의 상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상부조사부(21a) 및 상기 강판(S)의 하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하부조사부(21b)를 구비하여, 상기 강판(S)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강판(S)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The laser irradiating unit 21 includes an upper irradiating unit 21a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sheet S and a lower irradiating unit 21b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sheet S, A laser beam is irradiated onto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sheet S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steel sheet S can be separated from the steel sheet S.

상기 유동형성부(22)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1)에 의해서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된 이물질을 상기 출구부(11b) 쪽으로 이동시키는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유동형성부(22)는 노즐과 같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출구부(11b)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The flow forming part 22 forms a flow for 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on the steel plate S by the laser irradiating part 21 toward the outlet part 11b. For this, the flow forming part 2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nozzle to form an air flow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art 11b.

다시 말해, 상기 유동형성부(22)는 상기 입구부(11a)에서 출구부(11b)로 갈수록 개구된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강판(S)이 상기 입구부(11a)에서 출구부(11b)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강판(S)과 공기 사이의 점성에 의해서 공기 유동이 형성되면 이를 더욱 가속하여 상기 출구부(11b) 쪽으로 이동하는 유동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forming portion 22 is narrowed from the inlet portion 11a to the outlet portion 11b, the steel sheet S is discharged from the inlet portion 11a to the outlet portion 11b, When the air flow is formed due to the viscosity between the steel sheet S and the air as it moves toward the outlet 11b, it further accelerates the air flow to form a flow moving toward the outlet 11b.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이탈광유닛(20)보다 상기 출구부(11b)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강판(S)에 충격을 가하는 임팩팅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djacent to the outlet portion 11b rather than the release light unit 20, and is provided with an impacting unit 30 for impacting the steel plate S .

다시 말해, 상기 이탈광유닛(20)에 의해서 상기 강판(S)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임팩팅유닛(30)에 의해서 상기 강판(S)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구성한 것이다.In other words, foreign matter on the steel sheet S is removed by the impacting unit 30 in addition to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on the steel sheet S by the light emitting unit 20.

여기서, 상기 임팩팅유닛(30)은 상기 강판(S)에 일시적인 충돌을 가하여 상기 강판(S)과 상기 강판(S) 상의 이물질의 관성 차이에 의해서 상기 이물질을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시키게 된다.Here, the impacting unit 30 applies a temporary collision to the steel sheet S, thereby causing the foreign matter to be separated from the steel sheet S due to a difference in inertia of the foreign matter on the steel sheet S and the steel sheet S .

이를 위해서, 상기 임팩팅유닛(30)은 충돌롤러부(31), 회전구동부(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impacting unit 30 may include an impact roller 31, a rotation driving part 32, and the lik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임팩팅유닛(30)은, 상기 챔버유닛(10)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강판(S)에 충격을 가하는 충돌롤러부(31) 및 상기 충돌롤러부(31)에 연결되어, 상기 충돌롤러부(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32)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impacting unit 30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hamber unit 10, and at least a part of the impact unit 3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 impact the steel plate S And a rotation driving unit 32 connected to the impact roller unit 31 and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impact roller unit 31.

상기 충돌롤러부(31)는 상기 강판(S)과 직접 접촉되어 상기 강판(S)에 대하여 충돌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충돌롤러부(31)는 상기 회전구동부(32)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상기 강판(S)과 일정 간격을 두고 충돌하면서 상기 강판(S)에 대하여 충돌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다.The impact roller 31 directly contacts the steel plate S to apply a collision to the steel plate S. That is, the impact roller unit 31 can apply a collision to the steel plate S while colliding with the steel plate 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32.

여기서, 상기 충돌롤러부(31)는 상기 강판(S)의 상면에 충돌을 인가하는 상부충돌부(31a) 및 상기 강판(S)의 하면에 충돌을 인가하는 하부충돌부(31b)를 구비하여, 상기 강판(S)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대하여 충돌을 인가하여 상기 강판(S)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강판(S) 상에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충돌부(31a)와 하부충돌부(31b)는 동시에 상기 강판(S)에 대하여 충돌을 인가할 수도 있으나, 서로 엇갈리게 상기 강판(S)에 충돌을 인가할 수도 있다.The impact roller portion 31 includes an upper impact portion 31a for applying a collis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sheet S and a lower impact portion 31b for applying a collisio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sheet S , Collision is applied to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sheet S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steel sheet S can be separated from the steel sheet S. The upper impact portion 31a and the lower impact portion 31b may apply a collision to the steel strip S at the same time, but may apply the collision to the steel strip S staggeredly.

이를 위해서, 상기 충돌롤러부(31)는 단면 형상이 일측이 돌출된 형태의 캠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For this, the impingement roller 31 may have a cam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protrud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회전구동부(32)는 상기 충돌롤러부(31)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충돌롤러부(31)가 일정 간격으로 상기 강판(S)과 접하며 상기 강판(S)에 충돌을 인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구동부(32)는 상기 충돌롤러부(31)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수단은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상기 회전구동부(32)는 상기 충돌롤러부(31)와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모터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32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impact roller unit 31 so that the impact roller unit 31 contacts the steel sheet S at regular intervals and applies a collision to the steel sheet S . For example, the rotation driving unit 32 may be connected to the impingement roller unit 31 by a rotation shaft, for example, And a rotating motor for impar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shaft.

이와 같이, 상기 임팩팅유닛(30)이 상기 강판(S)에 충격을 가함에 따라 상기 강판(S)은 일시적으로 위치가 변동되게 되는데, 이러한 일시적 위치 변동을 위해서 상기 강판(S)에는 부여되는 장력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S) 상에 충돌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강판(S)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임팩팅유닛(30)은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s the impacting unit 30 impacts the steel plate S, the position of the steel plate S is temporarily changed. In order to temporari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steel plate S, The tension may be temporarily released. When no impact is applied to the steel sheet S, the impacting unit 30 is provided with the up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3,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and the like so as to apply tension to the steel sheet 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임팩팅유닛(30)의 충돌롤러부(31)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충돌롤러부(31)는, 타원형의 단면 형상 또는 일측이 돌출된 캠형의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mpingement roller unit 31 of the impacting unit 30 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a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roller portion 31 may be provided in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or a cam-like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protruded.

다시 말해, 상기 충돌롤러부(31)가 상기 강판(S)에 대하여 회전에 의해서 충돌을 인가할 수 있는 형태를 제시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llision roller unit 31 is capable of applying a collision to the steel sheet S by rotation.

여기서, 상기 일측이 돌출된 캠형의 충돌롤러부(31)는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고, 타원형의 충돌롤러부(31)는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다.2 (a), and the elliptical impingement roller portion 31 is shown in Fig. 2 (b).

상기 타원형의 충돌롤러부(31)는 상기 일측이 돌출된 캠형의 충돌롤러부(31)보다 상기 강판(S)에 대한 충돌 횟수가 두 배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강판(S) 상에 비교적 낮은 강도로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he number of collision of the elliptical impingement roller 31 with respect to the steel plate S is twice as much as that of the impulse roller 31 protruding from the cam follower 3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substrate.

한편, 상기 일측이 돌출된 캠형의 충돌롤러부(31)는 상기 타원형의 충돌롤러부(31)보다 상기 강판(S)에 대한 충돌 횟수가 절반이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강판(S) 상에 비교적 강한 강도로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임팩트 있게 제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mpingement rollers 31 of the cam-shaped protruded one side are half of the number of collision against the steel sheet S than the elliptical impingement roller 31,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ed with strong strength.

도 3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임팩팅유닛(30)에 의한 이물질 제거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임팩팅유닛(30)이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 강판(S)의 장력을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pacting unit 30 is not actuated.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of the sheet S is maintained.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임팩팅유닛(30)은, 상기 충돌롤러부(31)보다 상기 강판(S) 이동의 상류에 구비되는 상류루퍼롤러부(33) 및 상기 충돌롤러부(31)보다 상기 강판(S) 이동의 하류에 구비되는 하류루퍼롤러부(3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mpacting unit 30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stream louver roller unit 31 provided upstream of the impact plate unit 31 for moving the steel plate S, And a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provided downstream of the impact roller portion 31 and downstream of the movement of the steel sheet S. [

다시 말해, 상기 임팩팅유닛(30)이 상기 강판(S)에 충격을 가함에 따라 상기 강판(S)은 일시적으로 위치가 변동되게 되는데, 이러한 일시적 위치 변동을 위해서 상기 강판(S)에는 부여되는 장력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강판(S) 상에 충돌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강판(S)에 장력을 부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임팩팅유닛(30)은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를 포함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 the impacting unit 30 applies an impact to the steel plate S, the position of the steel plate S is temporarily changed. In order to temporari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steel plate S, And tension is applied to the steel plate S when the impact is not applied to the steel plate S. To this end, the impact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n upstream looper roller unit (33), and a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즉,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는 상기 강판(S)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강판(S)을 상기 강판(S)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up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3 and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are configured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S,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가 수평한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 사이에 강판(S)은 장력을 상실하고 일부 처지게 구성되며, 이때 상기 충돌롤러부(31)가 상기 강판(S)에 충격을 인가하면 상기 강판(S)은 갑작스런 위치 변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강판(S) 상의 이물질과의 관성 차이에 의해서 상기 이물질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p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3 and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are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teel sheet S is relatively sandwiched between the up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3 and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When the impact roller unit 31 applies an impact to the steel plate S, the steel plate S suddenly changes its position, and accordingly, the steel plate S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by the inertia difference between the foreign matter and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his state can be referred to FIG.

한편,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 사이의 강판(S)에 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강판(S)은 안정적으로 이동 방향의 하류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에는 상기 충돌롤러부(31)가 상기 강판(S)에 출돌을 인가하지 않는 상태이다. 다만 이때에는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The upstream looper roller 33 and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34 are moved up and down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the upstream and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s 33 and 34 When the tension is applied, the steel sheet S is stably mov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and at this time,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31 does not apply any breakthrough to the steel sheet S. At this time, however, the up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3 and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must be configured to rotate at the same speed. This state can be referred to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는, 상기 충돌롤러부(31)의 돌출 부분이 상기 강판(S)에 인접하게 회전시에 상기 하류루퍼롤러부(34)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충돌롤러부(31)의 돌출 부분이 상기 강판(S)에서 멀어지게 회전시에 상기 하류루퍼롤러부(34)와 다른 높이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stream lugger roller portion 33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31 rotates adjacent to the steel plate S,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31 is position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downstream louver roller portion 34 when rotated to move away from the steel plate S. [ can do.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상기 하류루퍼롤러부(34)는, 상기 충돌롤러부(31)의 돌출 부분이 상기 강판(S)에 인접하게 회전시에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ownstream louver roller portion 34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31 rotates adjacent to the steel plate S, And is rotated at a speed slower than that of the rotor (33).

다시 말해,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보다 상기 하류루퍼롤러부(34)가 느리게 회전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상기 상류루퍼롤러부(33), 하류루퍼롤러부(34) 사이에 위치하는 강판(S)은 장력을 상실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충돌롤러부(31)가 상기 강판(S)에 충격을 인가하면 상기 강판(S)은 갑작스런 위치 변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강판(S) 상의 이물질과의 관성 차이에 의해서 상기 이물질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is rotated more slowly than the up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3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up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3 and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The steel sheet S positioned between the looper roller portion 33 and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34 is lost in tension and when the impact roller portion 31 applies an impact to the steel sheet S The position of the steel sheet S is suddenly changed, and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can be released due to the inertia difference with the foreign matter on the steel sheet 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Bu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챔버유닛 11: 하우징부
12: 석션부 20: 이탈광유닛
21: 레이저 조사부 22: 유동형성부
30: 임팩팅유닛 31: 충돌롤러부
32: 회전구동부 33: 상류루퍼롤러부
34: 하류루퍼롤러부
10: chamber unit 11: housing part
12: Suction part 20: Deviated light unit
21: laser irradiation part 22: flow forming part
30: an impacting unit 31: a collision roller unit
32: rotation driving part 33: upstream looper roller part
34: downstream looper roller section

Claims (10)

강판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강판이 진입하는 입구부와 상기 강판이 배출되는 출구부가 구비된 챔버유닛; 및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강판 상의 이물질을 고에너지 상태로 형성하여 부유시키고, 부유된 이물질을 상기 출구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탈광유닛;
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A chamber unit provided on a moving path of the steel plate and having an in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steel plate enters and an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steel plate is discharged; And
A release optical unit provided in the chamber unit for floating a foreign substance on the steel sheet by irradiating a laser to a high energy state and moving suspended foreign substances toward the outle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광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강판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에서 출구부로 갈수록 개구된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 유동형성부;
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A laser irradiation unit coupled to the chamber unit and configured to irradiate a laser beam on the steel plate; And
A flow forming part provided adjacent to the laser irradiating part and formed to have a narrow cross-sectional area opened from the inlet part to the outlet part;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챔버유닛에 비스듬하게 구비되어 상기 강판에 비스듬하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aser irradiation unit is provided obliquely to the chamber unit and irradiates the steel plate at an oblique angle with the la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이탈광유닛이 구비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출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석션부;
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mber unit comprises:
A housing part in which the entrance part and the exit part are formed and the release optical unit is provided therein; And
A sucking part provided adjacent to the outlet part and sucking air inside the housing par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광유닛보다 상기 출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강판에 충격을 가하는 임팩팅유닛;
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mpacting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exit portion of the detached light unit and impacting the steel plate;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팅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강판에 충격을 가하는 충돌롤러부; 및
상기 충돌롤러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돌롤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mpacting unit comprises:
A collision roller unit rotatably installed in the chamber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lision roller unit protruding to impact the steel plate; And
A rotatio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collision roller unit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collision roller unit;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롤러부는, 타원형의 단면 형상 또는 일측이 돌출된 캠형의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is provided in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or a cam-like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protrud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팅유닛은,
상기 충돌롤러부보다 상기 강판 이동의 상류에 구비되는 상류루퍼롤러부; 및
상기 충돌롤러부보다 상기 강판 이동의 하류에 구비되는 하류루퍼롤러부;
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mpacting unit comprises:
An upstream louver roller portion provided upstream of the impact of the impact roller portion; And
A downstream looper roll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impingement roller unit;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루퍼롤러부는, 상기 충돌롤러부의 돌출 부분이 상기 강판에 인접하게 회전시에 상기 하류루퍼롤러부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충돌롤러부의 돌출 부분이 상기 강판에서 멀어지게 회전시에 상기 하류루퍼롤러부와 다른 높이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pstream louver roller portion is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downstream louper roller portion when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rotates adjacent to the steel plate and when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impingement roller portion is rotated away from the steel plate, And is position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roller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루퍼롤러부는, 상기 충돌롤러부의 돌출 부분이 상기 강판에 인접하게 회전시에 상기 상류루퍼롤러부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ownstream looper roller portion is rotated at a slower speed than the upstream looper roller portion when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impact roller portion rotates adjacent to the steel plate.
KR1020170173836A 2017-12-18 2017-12-18 Foreign substances removing apparatus KR102045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836A KR102045637B1 (en) 2017-12-18 2017-12-18 Foreign substances remo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836A KR102045637B1 (en) 2017-12-18 2017-12-18 Foreign substances remov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780A true KR20190072780A (en) 2019-06-26
KR102045637B1 KR102045637B1 (en) 2019-11-15

Family

ID=6710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836A KR102045637B1 (en) 2017-12-18 2017-12-18 Foreign substances remov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63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351A (en) * 1999-02-25 2000-09-12 Kyoei Kogyo Kk Hemm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o be used for it
KR20090029867A (en) * 2007-09-19 2009-03-24 세메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cleaning a substrate
KR20110075320A (en)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oil of strip
KR20150116538A (en) 2014-04-07 2015-10-16 카바스(주) Compact Imaging L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351A (en) * 1999-02-25 2000-09-12 Kyoei Kogyo Kk Hemm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o be used for it
KR20090029867A (en) * 2007-09-19 2009-03-24 세메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cleaning a substrate
KR20110075320A (en)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oil of strip
KR20150116538A (en) 2014-04-07 2015-10-16 카바스(주) Compact Imaging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637B1 (en) 201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4911B2 (en) How to process a glass web
TWI531446B (en) Blast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brasive recovery system, processing method of thin-film solar cell panel, and thin-film solar cell panel processed by the method
US2018024456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glass
CN105792493B (en) Electrostatic removal device and electrostatic remove method
CN112808651A (en) Dust collector from type membrane
TWI413564B (en) Substrate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utting substrate using the same
CN10813736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glass
JP5983933B2 (en) Coating film removing method and laser irradiation apparatus
KR20190072780A (en) Foreign substances removing apparatus
TWI545029B (en) A hydraulic transfer method having a surface cleaning mechanism, and a hydraulic transfer device
JP5540032B2 (en) Labyrinth seal, cleaning device, cleaning method, and solution casting method
CN1931453B (en) Method for purifying member in decompression process chamber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140366307A1 (en) Dry cleaning device
CN110062667B (en) Contact type brush cleaner
WO2011102278A1 (en) Method for planarising the rear surface of a substrate
KR201700882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KR20140148162A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JP2014024063A (en) Dry cleaning device
KR101000548B1 (en) Apparatus for coating photoresist on substrate
JP7250241B1 (en) LASER PROCESSING RECOVERY DEVICE, LASER PROCESSING SYSTEM AND LASER PROCESSING METHOD
JP2010277913A (en) Static eliminator
JP2009072651A (en) Stuck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nd stuck foreign matter removing method
JP2008237985A (en) Stuck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nd stuck foreign matter removing method
KR20110011395A (en) Processing method using laser and apparatus thereof
JP4997058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