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710A -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710A
KR20190072710A KR1020170173463A KR20170173463A KR20190072710A KR 20190072710 A KR20190072710 A KR 20190072710A KR 1020170173463 A KR1020170173463 A KR 1020170173463A KR 20170173463 A KR20170173463 A KR 20170173463A KR 20190072710 A KR20190072710 A KR 2019007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holder
punch
sliding
th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958B1 (ko
Inventor
임상웅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9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21D39/031Joining superposed plates by locally deforming without slitting or pier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이종부품 박판을 적층시킨 후, 접합시키기 위한 클린칭 장치에 있어서, 상부 중앙단에 장착부가 형성된 다이; 상기 다이의 장착부에 형상맞춤되어 삽입장착되고, 상부 중앙단에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 하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확장단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핀장착단이 형성되고 성형시 상측으로 다수의 이종부품 박판이 적층된 이종소재박판이 위치되는 홀더; 상기 핀장착단 각각에 장착되는 다수의 프레스핀; 및 상기 이종소재박판이 상기 홀더 상에 위치된 후, 상기 홀더의 삽입부 측으로 압입되어 상기 이종소재박판을 접합시키는 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Sliding clincging device}
본 발명은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분야에서 두 금속판재를 상호 겹치기 접합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레이저 용접이나, 스폿 용접기를 이용한 전기저항 용접이 주로 적용된다.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강판 소재를 용접하기 위한 일반적인 레이저 용접 시스템은 로봇의 아암 선단에 레이저 헤드가 설치되고, 이 레이저 헤드는 레이저 발진기와 연결된다. 로봇은 로봇 제어기에 의해 거동 제어되어 레이저헤드를 소재의 용접패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체의 고강도 및 경량화의 추세에 따라 차체 소재로 금속판재 또는 비철금속판재뿐만 아니라 복합판재를 적용하는 사례가 널리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들은 원 소재 자체가 고가이며 본딩이나 기계적인 접합 방식에 국한되어 있고, 특히 이종 소재간 용접은 두 소재의 물성적 특성에 의해 레이저 용접이나 스폿 용접은 불가능하고, 이종 소재의 맞대기 접합은 더욱 불가능한 실정이다.
더 나아가, 종래 기술에서는 본딩이나 기계적인 접합 방식으로 이종 소재를 접합하는 경우, 그 이종 소재의 접합체가 인장 방향(전단 방향)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종소재에 대한 기계적인 접합방법으로 클린칭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펀치, 다이, 홀더를 이용한 소모재 없이 클린칭장치(1)를 이용하여 이종소재를 접합하는 방식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린칭 장치(1)는 다이(20), 홀더(30), 펀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0)의 장착부(21)에 홀더(30)를 장착시킨 후, 홀더(30)의 삽입부(31)에 펀치(10)를 압입하여 이종소재박판(4)을 서로 접합시키게 된다.
즉, 두 개의 이종소재박판(4)을 겹친 후, 찍어 눌러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접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 클린칭 방식의 경우 추가 접합요소가 불필요하고 경량화가 가능하고, 친환경 가공이 가능하며 공정시간이 짧고 점용접에 비해 동적 강도 향상 등의 장점이 있으나, 접합강도가 기존 점용접과 대비하여 현저히 감소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0)의 하부면 외주부에 확장단(33)을 형성하여 접합력을 개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클린칭 방식에 의해 제조된 차체 도어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린칭 방식의 경우, 여전히 접합강도가 점용접의 50 ~ 70% 수준에 불과하고, 형상적으로 집중응력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하고, 고강도 소재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소재의 변형 흔적이 남고, 판재간 이격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다라서 클린칭의 접합강도를 높이고 집중응력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된 클린칭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0489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086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2610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린칭의 접합강도를 높이고 집중응력을 해소하여 종래 클린칭 결합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자동차 부품 및 가전 조립 등 그 적용분야를 확대할 수 있는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르면, 스폿 용접보다 비용 효율이 우수하고 기존 클린칭 결합방식보다 접합강도가 약 20%정도 상승할 수 있으며, 공정시간이 빠르고 점용접 대비 동적강도가 형상되며, 경량화, 친환경을 실현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접합요소가 필요없고 다양한 소재 조합에 유용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공정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품 손상없이 육안으로 접합품질의 확인이 가능한,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다수의 이종소재박판을 적층시킨 후, 접합시키기 위한 클린칭 장치에 있어서, 상부 중앙단에 장착부가 형성된 다이; 상기 다이의 장착부에 형상맞춤되어 삽입장착되고, 상부 중앙단에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 하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확장단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핀장착단이 형성되고 성형시 상측으로 다수의 이종소재박판이 위치되는 홀더; 상기 핀장착단 각각에 장착되는 다수의 프레스핀; 및 상기 이종소재박판이 상기 홀더 상에 위치된 후, 상기 홀더의 삽입부 측으로 압입되어 상기 이종소재박판을 접합시키는 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펀치는, 상부면에서 외면을 따라 평단면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의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의 하부끝단부는 하부측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테이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핀 각각의 내측면은 중단부에 돌출단을 갖고, 상기 돌출단을 기준으로 상부 경사면과 하부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에 의해 압입된 압입부는, 하단 외주면에 확장부를 갖고, 측면 일측 외주부에 오목단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 1목적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를 이용하여 이종소재박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홀더의 핀장착단 각각에 프레스핀을 장착하는 단계; 다이의 장착부에 상기 홀더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홀더 상에 이종소재박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펀치를 상기 홀더의 삽입부에 압입하여 이종소재박판에 압입부를 형성시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펀치의 하단 외면이 상기 프레스핀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프레스핀의 하부경사면이 상기 펀치의 테이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된 후, 상기 프레스핀의 돌출단이 상기 펀치의 슬라이딩 홈을 따라 펀치가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박판 접합 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에 따르면, 클린칭의 접합강도를 높이고 집중응력을 해소하여 종래 클린칭 결합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자동차 부품 및 가전 조립 등 그 적용분야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에 따르면, 스폿 용접보다 비용 효율이 우수하고 기존 클린칭 결합방식보다 접합강도가 약 20%정도 상승할 수 있으며, 공정시간이 빠르고 점용접 대비 동적강도가 형상되며, 경량화, 친환경을 실현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접합요소가 필요없고 다양한 소재 조합에 유용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공정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품 손상없이 육안으로 접합품질의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펀치, 다이, 홀더를 이용한 소모재 없이 이종소재를 접합하는 방식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클린칭 방식에 의해 제조된 차체 도어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에 적용되는 이종소재박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장치에 의해 형성된 압입부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장치에 의해 형성된 압입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박판(4)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100)의 구성, 기능 및 그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100)를 이용한 접합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박판(4)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100)에 적용되는 이종소재박판(4)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펀치(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2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3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핀(4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장치(100)는 다이(20), 홀더(30), 프레스핀(40), 펀치(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장치(100)에 의해 제1소재박판(2, 예를 들면, 스틸)과 제2소재박판(3,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적층시킨 이종소재박판(4)에 압입부(5)를 형성시켜 제1소재박판(2)과 제2소재박판(3)을 접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100)의 다이(20)는 도 3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중앙단에 장착부(21)가 형성됨을 알 수 잇다. 즉, 상부측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컵형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착부에 형상맞춤되어 홀더(30)가 삽입장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100)의 홀더(30)는 도 3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0)의 장착부(21)에 형상맞춤되어 삽입장착되고, 상부 중앙단에 삽입부(31)가 형성되어 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31) 하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확장단(33)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외측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핀장착단(32)이 형성되고 성형시 상측으로 이종소재박판(4)이 위치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장착단(32)은 방사형으로 3개가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핀장착단(32)의 깊이보다 삽입부(31)의 깊이가 더 크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홀더(30)의 핀장착단(32) 각각에는 프레스핀(40)이 장착되어지게 된다. 도 3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핀(40) 각각의 내측면은 중단부에 돌출단(41)을 갖고, 돌출단(41)을 기준으로 상부경사면(42)과 하부경사면(43)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장치(100)의 펀치(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소재박판(4)이 홀더(30) 상에 위치된 후, 홀더(30)의 삽입부(31) 측으로 압입되어 이종소재박판(4)에 압입부(5)를 형성시켜 이종소재박판(4)을 접합시키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펀치(10)는, 상부면에서 외면을 따라 평단면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3개의 슬라이딩홈(11)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홈(11)의 하부끝단부는 하부측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테이퍼면(12)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압입부(5)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압입부(5)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100)에 의해 압입된 압입부(5)는, 하단 외주면에 확장부(7)를 갖고, 측면 상측 외주부에 오목단(6)이 형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확장부(7)와 오목단(6)이 형성되게 됨으로써 클린칭의 접합강도를 높이고 집중응력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100)를 이용하여 이종소재박판(4)을 접합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하도록 한다. 먼저, 홀더(30)의 핀장착단(32) 각각에 프레스핀(40)을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다이(20)의 장착부(21)에 홀더(30)를 삽입,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홀더(30) 상에 이종소재박판(4)을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펀치(10)를 홀더(30)의 삽입부(31)에 압입하여 이종소재박판(4)에 압입부(5)를 형성시켜 접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접합시키는 단계에서, 먼저, 펀치(10)의 하단 외면이 프레스핀(40)의 상부경사면(42)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프레스핀(40)의 하부경사면(43)이 펀치(10)의 테이퍼면(12)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된다.
그리고 프레스핀(40)의 돌출단(41)이 펀치(10)의 슬라이딩홈(11)을 따라 펀치(10)가 압입되면서 펀치(10)가 홀더(30)의 삽입부(31) 하부면까지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펀치(10)가 완전히 홀더(30)의 하부면까지 이동되며 이종소재박판(4)의 압입부(5) 하부면 외주면에는 확장부(7)가 형성되고, 측면 상부측 외주면으로는 내측으로 돌출된 오목단(6)이 형성되게 된다.
즉, 펀치(10)와 다이(20)의 상하 운동으로 프레스핀(40)이 슬라이딩홈(11)(마찰면)을 타고 슬라이딩 되어 좌우 수평운동이 가능해지는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하 동시 가압, 프레스핀(40)의 추가 가압을 통해 두 이종소재박판(4)이 소성변형을 하여 홈을 따라 변형되고, 오목부 성형이 되어져 빠지지 않고 고정이 되게 된다. 그리고 두 이종소재박판(4)의 결합이 완료된 후 곧바로 초기 셋팅 상태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종래 클린칭 장치
2:제1소재박판
3:제2소재박판
4:이종소재박판
5:압입부
6:오목단
7:확장부
10:펀치
11:슬라이딩홈
12:테이퍼면
20:다이
21:장착부
30:홀더
31:삽입부
32:핀장착단
33:확장단
40:프레스핀
41:돌출단
42:상부경사면
43:하부경사면
100: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Claims (5)

  1. 다수의 이종소재박판을 적층시킨 후, 접합시키기 위한 클린칭 장치에 있어서,
    상부 중앙단에 장착부가 형성된 다이;
    상기 다이의 장착부에 형상맞춤되어 삽입장착되고, 상부 중앙단에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 하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확장단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핀장착단이 형성되고 성형시 상측으로 다수의 이종소재박판이 위치되는 홀더;
    상기 핀장착단 각각에 장착되는 다수의 프레스핀; 및
    상기 이종소재박판이 상기 홀더 상에 위치된 후, 상기 홀더의 삽입부 측으로 압입되어 상기 이종소재박판을 접합시키는 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는,
    상부면에서 외면을 따라 평단면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의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의 하부끝단부는 하부측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테이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핀 각각의 내측면은 중단부에 돌출단을 갖고, 상기 돌출단을 기준으로 상부 경사면과 하부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에 의해 압입된 압입부는, 하단 외주면에 확장부를 갖고, 측면 일측 외주부에 오목단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를 이용하여 이종소재박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홀더의 핀장착단 각각에 프레스핀을 장착하는 단계;
    다이의 장착부에 상기 홀더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홀더 상에 이종소재박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펀치를 상기 홀더의 삽입부에 압입하여 이종소재박판에 압입부를 형성시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펀치의 하단 외면이 상기 프레스핀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프레스핀의 하부경사면이 상기 펀치의 테이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된 후, 상기 프레스핀의 돌출단이 상기 펀치의 슬라이딩 홈을 따라 펀치가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박판 접합 방법.
KR1020170173463A 2017-12-15 2017-12-15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 KR10201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63A KR102018958B1 (ko) 2017-12-15 2017-12-15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63A KR102018958B1 (ko) 2017-12-15 2017-12-15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710A true KR20190072710A (ko) 2019-06-26
KR102018958B1 KR102018958B1 (ko) 2019-09-06

Family

ID=6710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463A KR102018958B1 (ko) 2017-12-15 2017-12-15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9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4928A (ja) * 1991-03-08 1992-10-09 Toyota Motor Corp 薄板部材の接合装置
KR20030014024A (ko) * 2001-08-10 2003-02-15 한국과학기술원 중첩판재를 클린칭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26106B1 (ko) 2005-01-06 2006-09-2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복수 패널의 클린칭 동시성형용 포밍 프레스 금형
KR20090108693A (ko) 2007-02-13 2009-10-16 인벤티오 아게 두꺼운 판금을 클린칭하기 위한 방법과 공구, 및 그 공구의 용도
KR101304897B1 (ko) 2012-12-06 2013-09-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판재 클린칭 장치 및 방법
JP2016112594A (ja) * 2014-12-16 2016-06-23 スズキ株式会社 メカニカルクリンチ用パンチ、メカニカルクリンチ装置及びメカニカルクリンチ部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4928A (ja) * 1991-03-08 1992-10-09 Toyota Motor Corp 薄板部材の接合装置
KR20030014024A (ko) * 2001-08-10 2003-02-15 한국과학기술원 중첩판재를 클린칭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26106B1 (ko) 2005-01-06 2006-09-2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복수 패널의 클린칭 동시성형용 포밍 프레스 금형
KR20090108693A (ko) 2007-02-13 2009-10-16 인벤티오 아게 두꺼운 판금을 클린칭하기 위한 방법과 공구, 및 그 공구의 용도
KR101304897B1 (ko) 2012-12-06 2013-09-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판재 클린칭 장치 및 방법
JP2016112594A (ja) * 2014-12-16 2016-06-23 スズキ株式会社 メカニカルクリンチ用パンチ、メカニカルクリンチ装置及びメカニカルクリンチ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958B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362B1 (ko) 적어도 2개의 박판 부품의 결합 방법
JP5165806B1 (ja) 金属部品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法によって得られる金属部品
JP6148136B2 (ja) 異材接合体の製造方法
KR20160023814A (ko) 이재 접합용 리벳, 이재 접합용 부재, 이재 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재 접합체
RU2009134105A (ru) Способ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риклепывания толст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истов, а также применение клепа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или клепального аппараата, или клепального прибора
US10730096B2 (en) Joint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CN108115300A (zh) 连接由不同材料构成的构件的方法
CN109996635B (zh) 具有接合辅助元件的构件、至少两个构件的构件组合体以及用于制造的方法
JP2019166564A (ja) 接合装置および接合体の製造方法
KR20190072711A (ko) 2단 압입 구조를 갖는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접합방법
KR20190072710A (ko) 이종소재 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클린칭 장치 및 그 클린칭 장치를 이용한 이종소재 박판 접합방법
JP2013022628A (ja) 金属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金属接合体
KR20160080364A (ko) 셀프 피어싱 리벳, 및 이를 이용한 접합방법
JP2019166562A (ja) 接合体の製造方法
JP5213028B2 (ja) 金属板のかしめ接合方法
JP5219178B1 (ja) 金属板又は金属棒の端部分割方法及び該端部分割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金属部品とその接合方法
KR101865028B1 (ko) 이종소재 접합용 셀프 피어싱 리벳을 이용한 이종소재 접합 구조체
JP6156034B2 (ja) 金属板積層体の接合方法および金属板積層体
KR20180044622A (ko) 이종소재 접합 구조체 및 접합 방법
CN114033776B (zh) 一种连接元件及连接方法
KR102669789B1 (ko) 금속 시트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JPS63126628A (ja) 板状部材の接合体
KR100397843B1 (ko) 박판페어의 기계적 접합을 위한 장치
JP5602960B1 (ja) 接合治具、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接合体
KR200298165Y1 (ko) 강판 접합용 코킹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